KR20100081093A -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093A
KR20100081093A KR1020090000372A KR20090000372A KR20100081093A KR 20100081093 A KR20100081093 A KR 20100081093A KR 1020090000372 A KR1020090000372 A KR 1020090000372A KR 20090000372 A KR20090000372 A KR 20090000372A KR 20100081093 A KR20100081093 A KR 20100081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lamp
escort system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범
박건규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1093A/ko
Publication of KR2010008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for illuminating the clos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e.g. to facilitate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40Welcome lights, i.e. specific or existing exterior lamps to assist leaving or approach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광원, 즉 헤드램프, 후미램프, 기타 다양한 램프를 갖추고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야간에 차량의 도어를 잠그고 차량으로부터 이탈하거나, 무선 원격장치 등을 통해 차량의 도어를 언록시킨 후 차량으로 접근할 때에,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광원이 운전자의 방향을 향해 발광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보행을 유도시키도록 하는 방향별 에스코트 기능을 갖는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록 또는 언록시에 차량으로부터 운전자의 위치를 향해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야간 주차 후 목적지까지의 보행 또는 차량을 향한 보행이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ESCORT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광원, 즉 헤드램프, 후미램프, 기타 다양한 램프를 갖추고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야간에 차량의 도어를 잠그고 차량으로부터 이탈하거나, 무선 원격장치 등을 통해 차량의 도어를 언록시킨 후 차량으로 접근할 때에,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광원이 운전자의 방향을 향해 발광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보행을 유도시키도록 하는 방향별 에스코트 기능을 갖는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야간에 차량의 도어를 잠근 경우, 몇 초 동안 전방의 헤드램프를 밝히고 있는 기능을 차량에 탑재하고 있으며, 이 기능은 사용자가 무선 원격장치에 의해 차량의 원거리에서 도어를 언록시키면, 부저음과 함께 헤드램프를 밝히는 방식으로도 동작된다.
이를 통상 에스코트 기능이라고 하며, 이 기능을 통해 도어의 록/언록시 차폭등의 점등이 일정 시간 동안 이루어짐은 물론, 헤드램프까지 켜도록 하여, 다수 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을 경우 자신의 차량을 찾기에 수월함은 물론, 어두운 곳에서 운전자의 길을 밝히고 안내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이러한 에스코트 기능을 예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에스코트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점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야간에 탑승자가 무선 원격장치의 버튼 동작 등으로 도어를 록시키면, 차량(1) 전방의 헤드램프(10)가 온(on)되면서 전방을 향해 약 10초 정도 불을 밝히게 된다.
그런데 이 때 도면과 같이 하차한 사람이 차량의 측방이나 후방 측으로 걸어 가는 경우에는, 전방을 향해 발광하는 헤드램프(10)의 빛은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결과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야간에 운전자의 보행이 수월하도록 하기 위해, 운전자의 이동 위치를 방향별로 감지하고, 해당 방향에 적합한 광원을 동작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운전자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외측에 여러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수단; 및 차량의 외측에 여러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운전자의 하차 후 향하는 이동 위치 또는 승차를 위해 접근하는 위치를 상기 다수의 방향을 향한 감지센서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다수의 광원 중 운전자의 방향을 향하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여, 운전자의 이동 방향에 적합하게 빛을 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광원은: 헤드램프, 후미램프를 포함하고, 차량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방향별로 추가로 설치되는 램프 또는 전구 또는 led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록 또는 언록시에 차량으로부터 운전자의 위치를 향해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야간 주차 후 목적지까지의 보행 또는 차량을 향한 보행이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스코트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감지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외측에는 각 방향별로 감지센서(3)가 다수개 구비된다. 감지센서(3)는 초음파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방 범퍼나 후방 범퍼에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기존부터 사용되던 초음파센서를 같이 사용하면서, 추가로 측방 측에 간격을 두고 감지센서(3)를 더 추가시킨다.
감지센서(3)는 외부로 노출된 형태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평상시에는 내부로 인입되어 숨겨져 있다가, 동작시에만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각각의 감지센서(3)는 운전자의 위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보내면, 제어수단에서는 자체 알고리즘을 통해 운전자의 이동 위치, 방향을 연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스코트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광원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에는 기존의 헤드램프(10), 후미램프(20), 차폭램프(30)(또는 방향지시램프)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양 측방을 향하는 측방램프(40), 양측 후방을 향하는 측후방램프(50)를 더 장착한다. 즉, 기존의 광원을 포함하여, 차량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양한 방향으로 광원이 구비되도록 하고, 이러한 각각의 광원은 전방, 측방, 후방은 물론 측전방, 측후방을 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에스코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감지센서(3) #1, #2, #3, ...#n은 차량의 여러 방향에 설치되며, 이는 제어수단과 연결된다. 감지센서(3)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자의 거리 측정 값은 제어수단으로 입력된다.
제어수단은 이 값들을 수신하여, 각 감지센서(3) 별 값에 따른 연산을 통해 운전자의 위치나 거리, 방향을 예측하고, 이에 맞는 광원#1, #2, #3, ...#n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전원을 인가한다. 광원은 전구, LED 다이오드 모듈 등 종래 공지의 다양한 기술을 취사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5는 릴레이(RELAY)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스코트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점등 상태를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하차한 후 도면과 같이 좌측 후방 쪽으로 이동하면, 감지센서(3)에 의해 감지된 운전자의 위치와 방향에 의해 제어수단은 측방램프(40)를 동작시켜 운전자의 경로를 밝혀 준다.
제어수단의 알고리즘에 의해, 측방램프(40) 뿐만 아니라, 측후방램프(50)와 후미램프(20)도 동작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동작시키거나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로써 종래와 달리, 다양한 방향에 광원을 구비하고 운전자의 위치에 맞는 광원을 동작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에스코드 기능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코트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스코트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점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스코트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감지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스코트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광원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에스코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스코트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점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량 3 : 감지센서
5 : 릴레이 10 : 헤드램프
20 : 후미램프 30 : 차폭램프(방향지시램프)
40 : 측방램프 50 : 측후방램프

Claims (3)

  1. 차량의 외측에 여러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수단; 및
    차량의 외측에 여러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운전자의 하차 후 향하는 이동 위치 또는 승차를 위해 접근하는 위치를 상기 다수의 방향을 향한 감지센서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다수의 광원 중 운전자의 방향을 향하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여, 운전자의 이동 방향에 적합하게 빛을 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헤드램프, 후미램프를 포함하고,
    차량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방향별로 추가로 설치되는 램프 또는 전구 또는 led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KR1020090000372A 2009-01-05 2009-01-05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KR20100081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372A KR20100081093A (ko) 2009-01-05 2009-01-05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372A KR20100081093A (ko) 2009-01-05 2009-01-05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093A true KR20100081093A (ko) 2010-07-14

Family

ID=4264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372A KR20100081093A (ko) 2009-01-05 2009-01-05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10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43B1 (ko) * 2015-12-09 2016-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램프 에스코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1043922A1 (de) * 2019-09-04 2021-03-11 Zkw Group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mitransparenten kraftfahrzeugdesignelem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43B1 (ko) * 2015-12-09 2016-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램프 에스코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1043922A1 (de) * 2019-09-04 2021-03-11 Zkw Group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mitransparenten kraftfahrzeugdesignelements
WO2021043397A1 (de) * 2019-09-04 2021-03-11 Zkw Group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mitransparenten kraftfahrzeugdesignele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2053T3 (es) Vehículo automóvil que comprende varios medios luminiscentes que sirven para iluminar el entorno lateral o trasero de dicho vehículo
US9446739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closing element
CN101778739B (zh) 用于汽车的照明装置
US9165460B2 (en) Pedestrian warning light system for vehicles with illumin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JP2016210410A (ja) 車両用の制御可能な照明装置
EP3126194B1 (en) A warning system for a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KR101060676B1 (ko) 비매설형 다기능 시선유도 장치
KR102005383B1 (ko) 도로에 매립되어 신호 및 차선을 안내하는 주행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유도시스템
KR101040473B1 (ko) 터널의 차량속도 알림 시스템
KR20100081093A (ko) 차량의 방향별 에스코트 시스템
KR101411290B1 (ko) 자전거의 후방 감지 장치
KR20140039609A (ko) 차량용 램프제어 시스템
KR20120138946A (ko) 엘이디 센서등
KR200457930Y1 (ko) 차량사고예방용 유도비상등 시스템
ES2539876B1 (es) Dispositivo para la prevención de accidentes por colisión trasera y su sistema de funcionamiento
KR20150139741A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KR101210614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인체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2507A (ko) 인접 그룹별로 점등하는 독립형 조명 제어장치
JP2020522438A5 (ko)
KR20100005681A (ko) 자동차용 굽은 도로 조명장치
JP2010202094A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
KR20150086635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JP2012030613A (ja) 車両用灯具を用いた駐車場照明システム
KR200459228Y1 (ko) 차량 도어 개방 경보 장치
KR101182728B1 (ko) 터널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