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741A -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741A
KR20150139741A KR1020140067987A KR20140067987A KR20150139741A KR 20150139741 A KR20150139741 A KR 20150139741A KR 1020140067987 A KR1020140067987 A KR 1020140067987A KR 20140067987 A KR20140067987 A KR 20140067987A KR 20150139741 A KR20150139741 A KR 20150139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sensor
value
vehicle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684B1 (ko
Inventor
이선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68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60Q1/38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with several light sources activated in sequence, e.g. to create a sweep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3Attenuation of the light according to ambient luminiosity, e.g. for braking or direction indicat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조도의 변화나 차량의 속도에 따라 가변 순차점등하는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Turn signal lamp and the method of variable sequential lighting}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조도 변화나 차량의 속도에 따라 가변 순차점등하는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은 차선을 바꿀 때 좌측 또는 우측의 전방 및 후방 램프를 각각 일정간격으로 점등시켜, 전방차량이나 후방차량에게 자신의 주행방향을 알린다.
방향지시등은 대부분 점멸식이며, 점멸은 전원을 단속(ON-OFF)하는 방법으로 한다. 점멸주파수는 1분당 90±30Hz 정도가 대부분으로, 사람의 시야로 등이 깜빡이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방향 지시등의 색깔은 황색 또는 적색이어야 하며, 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최장 1초 이내에 점멸신호가 발생되어야 한다. 그리고 작동상태 및 고장여부를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 차량의 램프에 가변 순차점등이 가능한 법규가 등록되어, 방향지시등에는 가변 순차점등을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방향지시등은 주간과 야간의 환경에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빛의 강도를 고려하지 않아, 주간에는 광도가 낮게 느껴지고 사람이 인지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주행 중인 차량의 경우, 방향지시등의 광원이 등속으로 완전 점등할 때 초당 차량이 움직이는 거리를 고려하지 않아, 상대방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인지하는 인지력이 떨어지고, 인지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677호 (출원일: 2005년01월25일)
본 발명은 외부 조도 변화나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가변 순차점등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상대방 운전자의 인지도 향상을 통해 안전성을 향상시킨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오토라이트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조도를 확인하는 1단계와 차량에 설치된 차량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확인하는 2단계와 상기 1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센서값의 오류를 점검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오류가 없을 경우 방향지시등의 엘이디 채널을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가변 순차점등하는 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3단계는, 2진수를 이용하여, 일정범위의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류를 점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4단계는, 상기 3단계에서 오류가 발견되면, 상기 엘이디 채널을 설정된 순서에 따라 등속도 및 등채널 점등하는 일반 순차점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기준이 되는 설정 값을 가지고, 상기 오토라이트센서의 실제 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 채널을 설정된 순서로 가변 순차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의 설정 값보다 상기 오토라이트센서의 값이 높을 때, 상기 엘이디 채널을 한번에 복수개의 묶음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점등하는 부분채널점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의 설정 값보다 상기 오토라이트센서의 값이 낮을 때, 상기 엘이디 채널을 개별적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점등하는 전체채널점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단계는, 차량속도에 따라 완전 점등까지의 점등속도를 가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등은, 복수개의 채널로 이루어진 광원과, 상기 광원과 연결되어, 조도나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광원의 가변 순차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오토라이트센서와 차량속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이 각각 개별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엘이디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의 채널의 순차 점등속도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차량속도가 증가할수록, 순차점등 속도도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범위의 값을 기준으로 상기 센서부에서 전달받는 값의 오류를 판단하는 오류점검부를 더 포함하고, 오류가 없을 때, 상기 광원의 점등속도 및 점등 채널 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경고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 방법은, 외부의 조도변화나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가변 순차점등하여,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상대방 운전자의 인지도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지시등을 가변 순차점등 하는 것은, 상기 방향지시등을 작동시 자동으로 가변 순차점등이 작동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가변 순차점등에 필요한 센서값은, 기존에 설치된 오토라이트센서와 차량속도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센서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 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등(1)은, 복수개의 채널로 이루어진 광원(300)과, 상기 광원(300)과 연결되어, 조도나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광원(300)의 가변 순차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및,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오토라이트센서(110)와 차량속도센서(120)로부터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부(200)로 보내는 센서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순차점등이란, 좌측을 기준으로 하거나 우측을 기준으로 하여, 기준에서 한쪽 방향으로 등이 나열된 순서로 점등하는 것을 뜻한다. 예컨대, 광원(300)이 12개의 채널을 구비한 경우, 광원(300)의 채널은 한쪽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채널이 1~12번의 설정된 순서가 있어, 1번에서 12번까지 각 채널은 순서에 따라 점등할 수 있다.
복수개의 채널로 이루어진 광원(300)은, 복수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채널은 각각 개별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광원(300)은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310)로 구성될 수 있다. 엘이디(310)는 소모전력이 작고, 발광력이 뛰어나 복수개의 채널로 구성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엘이디(31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데 있어서, 제어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광원(300)은 복수개의 채널로 된 엘이디(310)로 이루어져,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채널이 1개씩 점등 가능하고, 또는 2개 이상의 채널을 묶어서 순차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차량에 기 설치된 오토라이트센서(110)와 차량속도센서(120)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을 제어부(200)로 보낸다. 센서부(100)는 별도의 추가적인 센서 설치는 필요로 하지 않고, 각각의 신호체계를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는 센서 연결선을 설치할 수 있다.
오토라이트센서(110)는 차량에 기 설치된 오토라이트시스템(Auto light system)을 이용한다. 오토라이트시스템은 주위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조도센서에서 입력하는 신호에 따라 미등·전조등을 자동으로 점등·소등시켜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토라이트시스템의 조도센서를 오토라이트센서(110)로 칭하고, 상기 오토라이트센서(110)를 이용하여, 주위의 밝기 변화를 감지한 측정값을 제어부(200)로 보내고 오류를 점검하여 가변 순차점등을 할 수 있다. 오토라이트센서(110)를 이용하여, 주간과 야간뿐만이 아니라 조도량의 변화가 심한 터널이나 우천시, 짙은 안개낀 날씨등의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차량속도센서(120)는 자동차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그 신호는 속도계 외에도 전자식 자동 변속 장치나 미끄럼 방지 장치, 오토 드라이브 장치, 자동 도어 로크 장치, 차량 속도 경보 장치 등 각종 전자 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차량속도센서(120)에는 기계식과 전기식이 있는데, 기계식은 오직 속도계에만 쓰이는 데 반하여, 전기식은 속도계와 전자 장치 양쪽에 사용되고 있다. 기계식에서는 트랜스미션 출력축의 회전을 플렉시블한 축에 의해 속도계의 구동축까지 전달하여 지침을 움직인다. 전기식에서 전자 픽업, 홀 소자, 리드 스위치, 자기 저항 소자 등을 이용하여 트랜스미션 출력축의 회전을 검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식 차량속도센서(120)를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차량에 구비된 오토라이트센서(110)와 차량속도센서(120)를 이용하기 때문에, 방향지시등(1)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원가 상승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방향지시등(1)을 구성하는 과정도 단순화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센서부(100)에서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오류를 판단할 수 있는 오류점검부가 있다. 오류점검부는 일정범위의 값을 정상값으로 설정한 후, 센서부(100)에서 전달받는 값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상값과 상기 센서부에서 전달받는 값은 2진수를 이용하여 신호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범위의 값을 0000 ~ 1111으로 했을 때, 센서부(100)에서 전달받은 값이 상기 일정범위의 값에 속할 경우 제어부(200)에서 오류가 없다고 판단하고, 엘이디(310)를 가변 순차점등 시킨다. 상기 일정범위의 값을 벗어날 경우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고, 등채널 점등과 등속 점등하는 일반순차점등 시킬 수 있다. 오류점검부는 텔테일(Tell-tale)회로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경고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기존 차량에 있는 경고등과 연결될 수 있다. 방향지시등(1)의 점등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면, 기존에 주유 또는 냉각수 경고등과 같이 표시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음성 알림 장치나 알람음과 같은 경고음 전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텔테일(Tell-tale)회로가 부가적으로 구성되면, 센서부(100)의 값에 오류가 있거나, 일부의 고장을 차량 내부의 경고시스템으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방향지시등(1)을 오작동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기준이 되는 설정 값을 가지고, 오토라이트센서(110)의 실제 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310) 채널을 설정된 순서로 가변 순차점등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00)에서 200의 조도 값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실제 오토라이트센서(110)의 값이 상기 기준보다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 점등되는 채널의 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의 기준 값보다 100의 조도값이 더 높아지면, 한번에 점등되는 채널수를 더 늘리도록 제어부(200)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채널의 수를 가변 점등하는 이유는, 빛의 밝기는 외부의 조도에 따라 인식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같은 1개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더라도, 조도가 높은 주간이 조도가 낮은 야간보다 인식할 수 있는 광량이 작으므로, 엘이디(310)의 점등 채널수를 가변 적용해야 한다.
제어부(200)의 설정 값보다 실제 오토라이트센서(110)의 값이 높을 때, 엘이디(310)의 채널을 한번에 복수개의 묶음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점등하는 부분채널점등을 할 수 있다.
제어부(200)의 설정 값보다 실제 오토라이트센서(110)의 값이 낮을 때, 엘이디(300)의 채널을 각 1개씩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점등하는 전체채널점등을 할 수 있다.
상기 부분채널 점등은 한번에 점등되는 채널수가 많기 때문에, 광량이 증대되어 주간에 인지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전체채널 점등은 채널을 1개씩 순차점등해도, 야간이 주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지되는 광량이 많아 충분하고, 과다한 엘이디(310)의 채널 점등을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차량속도센서(120)의 차량 주행속도 값을 판단하여, 엘이디(310)가 완전 점등되기까지의 점등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주행중인 차에서 방향지시등(1)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법규 기준으로 광도가 최소 200cd 이상이 필요하다.
예컨대, 엘이디(310)의 채널수를 12ch로 가정했을 때, 순차적으로 점등할 경우, 엘이디(310)가 완전 점등되기까지 0.2sec 시간을 필요로 한다. 즉, 차량이 120km/h로 주행시에는, 방향지시등(1)이 작동되고 6.67m를 움직인 뒤, 상대방 차량이 방향지시등(1)을 인지할 수 있다. 상대방 차량이 상기 경우보다 빨리 인지하기 위해, 더 빠른 점등속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310)가 완전 점등되기까지의 순차점등속도는, 상기 센서부(100)에서 측정한 차량속도가 증가할수록, 순차점등속도도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엘이디(310)가 완전 점등되기까지의 점등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상대방 운전자의 인지도를 향상 시켜,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방향지시등(1)의 가변 순차점등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오토라이트센서(110)를 이용하여 외부의 조도를 확인하는 1단계(S110)와, 차량에 설치된 차량속도센서(120)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확인하는 2단계(S120)와, 상기 1단계(S110)와 상기 2단계(S120)에서 측정한 값의 오류를 점검하는 3단계(S200) 및, 상기 3단계(S200)에서 오류가 없을 경우 방향지시등(1)의 엘이디(310) 채널을 가변 순차점등하는 4단계(S310)를 기본으로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3단계(S200)에서 오류가 발견되면, 등채널 점등과 등속도 점등을 하는 일반 순차점등단계를 적용할 수 있다. 일반 순차점등단계는 제어부(200)에서 센서부(100)에서 받은 값의 오류를 확인하여 정확한 차량의 주행환경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엘이디(310) 개별 채널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방향지시등(1)의 오작동을 예방하고, 가변 순차점등을 보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4단계(S310)에서 엘이디(310) 채널을 가변 순차점등하는데 있어, 엘이디(310) 채널을 외부의 조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가변 순차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외부의 조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상기 가변 순차점등하는 단계는, 앞서 예를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기준이 되는 설정 값을 가지고, 오토라이트센서(110)의 실제 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310) 채널을 설정된 순서로 가변 순차점등을 하는 단계이다.
제어부(200)의 설정 값보다 실제 오토라이트센서(110)의 값이 높을 때, 엘이디(310)의 채널을 한번에 복수개의 묶음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점등하는 부분 채널 점등단계(S314)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의 설정 값보다 실제 오토라이트센서(110)의 값이 낮을 때, 엘이디(300)의 채널을 각 1개씩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점등하는 전체 채널 점등 단계(S312)를 실행할 수 있다.
차량 외부의 조도에 따른 점등 채널의 수가 결정이 되면, 마지막으로 차량 속도에 따라 점등속도를 가변하는 단계(S316)를 실행할 수 있다.
주간이나 야간의 외부 환경에 따라 채널의 점등수와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완전 점등되는 점등속도를 조절하여, 안전성 향상을 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 환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방향지시등(1)의 점등상태를 조절하여, 운전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제품에 대한 운전자의 만족도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방향지시등 100: 센서부
110: 오토라이트센서 120: 차량속도센서
200: 제어부 300: 복수 채널 광원
310: 엘이디 S110: 외부조도확인단계
S120: 차량속도확인단계 S200: 오류점검단계
S310: 가변순차점등단계 S312: 전체채널동작단계
S314: 부분채널동작단계 S316: 점등속도가변단계
S340: 일반순차점등단계

Claims (13)

  1. 차량에 설치된 오토라이트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조도를 확인하는 1단계;
    차량에 설치된 차량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확인하는 2단계;
    상기 1단계와 2단계의 센서값의 오류를 점검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오류가 없을 경우 방향지시등의 엘이디 채널을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가변 순차점등하는 4단계;
    를 포함하는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2진수를 이용하여, 일정범위의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류를 점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상기 3단계에서 오류가 발견되면, 상기 엘이디 채널을 설정된 순서에 따라 등속도 및 등채널 점등하는 일반 순차점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기준이 되는 설정 값을 가지고,
    상기 오토라이트센서의 실제 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 채널을 설정된 순서로 가변 순차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의 설정 값보다 상기 오토라이트센서의 값이 높을 때, 상기 엘이디 채널을 한번에 복수개의 묶음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점등하는 부분채널점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의 설정 값보다 상기 오토라이트센서의 값이 낮을 때, 상기 엘이디 채널을 개별적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점등하는 전체채널점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차량 속도에 따라 완전 점등되기까지의 점등속도를 가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지시등의 가변 순차점등방법.
  8. 복수개의 채널로 이루어진 광원;
    상기 광원과 연결되어, 조도나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광원의 가변 순차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오토라이트센서와 차량속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방향지시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이 각각 개별적으로 점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엘이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의 채널의 순차 점등속도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차량속도가 증가할수록, 순차 점등속도도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일정 범위의 값을 기준으로 상기 센서부에서 전달받는 값의 오류를 판단하는 오류점검부를 더 포함하고, 오류가 없을 때 상기 광원의 점등속도 및 점등 채널 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방향지시등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경고시스템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
KR1020140067987A 2014-06-04 2014-06-04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KR102213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987A KR102213684B1 (ko) 2014-06-04 2014-06-04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987A KR102213684B1 (ko) 2014-06-04 2014-06-04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741A true KR20150139741A (ko) 2015-12-14
KR102213684B1 KR102213684B1 (ko) 2021-02-08

Family

ID=5502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987A KR102213684B1 (ko) 2014-06-04 2014-06-04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6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204A (ko) 2017-09-08 2019-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순차 점등 방향지시등 및 순차 점등방법
KR20190130918A (ko) * 2018-05-15 2019-1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834799B2 (en) 2018-10-18 2020-11-10 Silicon Works Co., Ltd.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US11310890B2 (en) 2018-10-18 2022-04-19 Silicon Works Co., Ltd.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618U (ja) * 1991-12-26 1993-07-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動車用自動ライト点消灯装置
KR20040108179A (ko) * 2003-06-16 2004-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조등 점멸방지 방법
KR200382677Y1 (ko) 2005-01-25 2005-04-22 김재철 순차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차 방향지시장치
KR20050063726A (ko) * 2003-12-22 2005-06-28 웬 웨이 수 자동차의 방향 지시 장치
KR20050098983A (ko) * 2004-04-08 200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오토라이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618U (ja) * 1991-12-26 1993-07-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動車用自動ライト点消灯装置
KR20040108179A (ko) * 2003-06-16 2004-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조등 점멸방지 방법
KR20050063726A (ko) * 2003-12-22 2005-06-28 웬 웨이 수 자동차의 방향 지시 장치
KR20050098983A (ko) * 2004-04-08 200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오토라이트 시스템
KR200382677Y1 (ko) 2005-01-25 2005-04-22 김재철 순차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차 방향지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204A (ko) 2017-09-08 2019-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순차 점등 방향지시등 및 순차 점등방법
US10352519B2 (en) 2017-09-08 2019-07-16 Hyundai Motor Company Sequential turn signal using laser source and method for sequentially blinking the same
KR20190130918A (ko) * 2018-05-15 2019-1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834799B2 (en) 2018-10-18 2020-11-10 Silicon Works Co., Ltd.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US11310890B2 (en) 2018-10-18 2022-04-19 Silicon Works Co., Ltd. Vehicle lamp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684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10200A (en) Vehicular turning indicator
US20170096095A1 (en) A warning system for a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CN103587465B (zh) 一种车辆障碍物提示系统及方法
KR20150139741A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CN103687246A (zh) 一种可以根据天气及环境变换汽车照明颜色的装置
KR101994003B1 (ko) Iot형 터널 조명 제어 방법
US7075423B2 (en) Combination illuminating inverse function power indicator and a brake light
CN108082036B (zh) 车辆通知装置
CN101648543A (zh) 一种汽车车灯的故障监测方法及装置
CN107504450B (zh) 一种车灯之显示装置
CN108749709A (zh) 一种能够匹配不同光源的转向灯控制系统及方法
KR102004121B1 (ko) 차량용 전조등의 고장진단 시스템
KR101964091B1 (ko) 차량 전조등 색상 자동 변환 시스템
KR101730894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CN102602337A (zh) 汽车车灯监测系统
KR101510844B1 (ko) 차량용 비상등 점멸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201694100U (zh) Ads刹车灯光控制系统
CN211416861U (zh) 一种胎压监测氛围灯系统
KR1016161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00597B1 (ko) 차량용 램프의 작동 여부 확인을 위한 알림 장치
KR20090112939A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100916585B1 (ko) 철도 차량의 외부등 점등 제어 및 소손 감지 장치
KR100506706B1 (ko)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73977B1 (ko)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
KR200431152Y1 (ko) 차량의 감속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