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939A - 차량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939A
KR20090112939A KR1020080038738A KR20080038738A KR20090112939A KR 20090112939 A KR20090112939 A KR 20090112939A KR 1020080038738 A KR1020080038738 A KR 1020080038738A KR 20080038738 A KR20080038738 A KR 20080038738A KR 20090112939 A KR20090112939 A KR 2009011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night
vehicle
detection signal
ligh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584B1 (ko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58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18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varying the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야 상시 조명되는 내부 조명 장치의 경우 테일 스위치를 턴 온 하더라도 디텐트 기능 및 오토라이트 센서 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주위 조도가 낮은 경우에만 야간 조명 상태인 1차 감광을 수행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클러스터, 디텐트(detent), 오토라이트, 조명, 테일(tail), 밝기 조절(rheostat)

Description

차량용 조명 장치{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야 상시 조명되는 내부 조명 장치의 경우 테일 스위치를 턴 온 하더라도 디텐트 기능 및 오토라이트 센서 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주위 조도가 낮은 경우에만 야간 조명 상태인 1차 감광을 수행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시 보드(dash board)에는 차량의 주행 및 조작 상태와 조명 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클러스터(cluster)가 장착된다.
클러스터는 차량 운행 속도, 회전속도(rpm) 및 연료량 등을 표시하는 계기들을 구비하며, 조명등(전조등, 안개등, 후진등, 실내등, 계기등), 신호등(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경고등(유압등, 충전등, 연료등, 브레이크오일등) 및 표시등(미등, 주차등, 번호등, 차폭등)의 조명 상태를 표시하는 조명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조명 장치는 주로 발광다이오드(LED)로 구현된다.
클러스터의 조명 장치는 주간과 야간 조명 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주간에는 휘도의 변화없이 일정한 밝기의 조명 상태를 유지하고, 야간에는 밝기 조절(rheostat) 스위치에 연동하여 조명 밝기가 조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차량용 조명 장치는 주간 또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각적 인지를 위한 클러스터, 오디오, 공조, 시계 등의 내부 조명장치(10), 야간에 외부 조명장치(vehicle bulbs) 및 내부 조명 장치(1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테일 스위치(tail switch)(20), 외부 조명장치 및 내부 조명장치(1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rheostat) 스위치(30)를 구비한다.
클러스터는 엔진 냉각수 온도계, 타코미터, 속도계, 연료량 게이지 등의 계기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계기들은 각각의 계기 값을 표시판에 표시된 눈금을 포인터가 가리키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야간 주행 시 운전자가 보다 명확하게 자동차의 주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계기들에 내부 조명장치(10)가 장착된다.
클러스터는 점화 전압(IG+)이 인가되어 테일 스위치(2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에 대응하여 내부 조명장치(10)를 구동한다.
즉, 주간 조명 상태인 경우 운전자는 테일 스위치(20)를 턴 오프 하고, 밝기 조절 스위치(30)는 양의 조명 전압단(ILL_OUT(+))을 접지에 연결하고, 음의 조명 전압단(ILL_OUT(-))을 개방하여 내부 조명수단(10)을 주간 조명 상태로 설정한다.
한편, 주위 환경이 어두워져 운전자가 테일 스위치(20)를 턴 온 하면 양의 조명 전압단(ILL_OUT(+))에 하이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고, 음의 조명 전압 단(ILL_OUT(-))은 밝기 조절 스위치(30)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어 내부 조명 장치(10)에 대해 야간 조명 상태인 1차 감광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주위 환경이 많이 어둡지 않은 초저녁인 경우 테일 스위치(20)를 턴 온 하여 내부 조명 장치(10)에 대해 야간 조명 상태인 1차 감광을 수행하면, 주야 상시 조명되는 내부 조명 장치(10)인 경우 조명이 어두워 시인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주야 상시 조명되는 내부 조명 장치의 경우 테일 스위치를 턴 온 하더라도 실제 주위 조도가 낮은 경우에만 야간 조명 상태인 1차 감광을 수행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는 내부 조명장치를 턴 온 하여 야간 조명 상태로 설정하는 테일 스위치; 상기 내부 조명장치의 밝기를 조절하고, 디텐트(detent) 기능을 설정하는 밝기 조절 스위치; 주위 조도를 측정한 조도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오토라이트 센서; 및 상기 테일 스위치에 의해 상기 야간 조명 상태로 설정된 경우 디텐트 기능의 설정 여부 및 상기 조도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 조명 장치의 야간 조명 상태 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주야 상시 조명되는 내부 조명 장치의 경우 테일 스위치를 턴 온 하더라도 디텐트 기능 및 오토라이트 센서 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주위 조도가 낮은 경우에만 야간 조명 상태인 1차 감광을 수행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철저하고 완전하게 개시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차량용 조명 장치는 주간 또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각적 인지를 위한 클러스터, 오디오, 공조, 시계 등의 내부 조명장치(100), 야간에 외부 조명장치(vehicle bulbs) 및 내부 조명 장치(10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테일 스위치(tail switch)(200), 조명 전압단(ILL_OUT(-))을 이용하여 외부 조명장치 및 내부 조명 장치(100)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rheostat) 스위치(300), 주위 환경의 조도(intensity of illumination)를 검출한 조도검출신호(DET)를 출력하는 오토라이트 센서(auto-light sensor)(400), 및 밝기 조절 스위치(300) 및 오토라이트 센서(400)에 의해 내부 조명 장치(10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마이컴(micro computer)(500)을 구비한다. 여기서, 마이컴(500)은 클러스터에 장착되어, 점화 전압(IG+)이 인가되어 테일 스위치(2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에 해당하는 내부 조명장치(100)를 구동한다.
오토라이트 센서(400)는 오토라이트 시스템(auto light system)에 의해 구현된다. 여기서, 오토라이트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각종 편의성 기능을 가지는 전장품 중의 하나이며, 주위 조도에 따라 운전자의 별도 조작 없이 헤드램프 및 테일 램프를 자동으로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오토라이트 시스템은 주위 조도를 검출하는 포토 다이오드와, 이 포토 다이오드의 검출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조도 검출 신호(DET)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오토라이트 센서(400)는 BCM(Body Control Module)에 장착되고, 주위 조도를 검출한 조도검출신호(DET)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 버스를 이용하여 마이컴(500)에 인가한다.
따라서, 마이컴(500)은 테일 스위치(200)가 턴 온 상태에서 오토라이트 센서(400)로부터 조도검출신호(DET)를 인가받아 주위 조도에 따라 내부 조명 장치(100)의 1차 감광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디텐트(detent) 기능을 추가하여 디텐트 온(on) 시에는 테일 스위치(200)가 턴 온 상태일 경우이더라도 1차 감광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디텐트 기능은 밝기 조절 스위치(300)의 조명 밝기가 최대(MAX)인 상태에서 조명 밝기를 조절하는 업다운(up/down) 스위치 중 업 스위치를 한 번 더 누를 경우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부 조명 장치(100)의 1차 감광의 조건을 나타낸 조건표이다. 여기서는, 마이컴(500)의 출력신호(DETENT_OUT(+))가 하이 레벨(high level)일 때 1차 감광이 해제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테일 스위치 디텐트 오토라이트 센서 DETENT_OUT(+) 비고
off Don't care Don't care high
on off Not Valid open 오토라이트 센서 미장착
off high
on open
on on Don't care high
[표 1]을 참조하면, 테일 스위치(200)가 턴 오프 상태에서는 디텐트 기능의 설정 여부 및 오토 라이트 센서(400)로부터 출력된 조도검출신호(DET)의 상태에 상관없이 출력신호(DETENT_OUT(+))가 하이 레벨이 되어 1차 감광을 해제한다.
또한, 테일 스위치(200)가 턴 온 상태에서 디텐트 기능이 설정(on)되면 오토라이트 센서(400)로부터 출력된 조도검출신호(DET)의 상태에 상관없이 출력신호(DETENT_OUT(+))가 하이 레벨이 되어 1차 감광을 해제한다.
한편, 테일 스위치(200)가 턴 온 상태에서 디텐트 기능이 설정되지 않으면(off) 오토라이트 센서(400)로부터 출력된 조도검출신호(DET)의 상태에 따라 1차 감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즉, 주위 환경이 어두워져 특정 조도(예를 들어, 24룩스) 이하가 되어 오토라이트 센서(400)로부터 출력된 조도검출신호(DET)가 온 되면, 출력신호(DETENT_OUT(+))가 오픈 상태가 되어 1차 감광을 수행하지만, 주위 환경이 특정 조도 이상이 되어 오토라이트 센서(400)로부터 출력된 조도검출신호(DET)가 오프(off) 되고 출력신호(DETENT_OUT(+))가 하이 레벨이 되어 1차 감광을 해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500)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마이컴(500)의 출력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다이오드(D1), 두 개의 트랜지스터(TR1, TR2), 5개의 저항(R1, R2, R3, R4, R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트랜지스터(TR1)는 베이스에 MPU(Micro Process Unit) 출력이 저항(R1, R2)을 통해 인가되고, 제 1 트랜지스터(TR1)의 콜랙터가 저항(R3)을 통해 제 2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TR2)는 베이스에 점화 전압(IG+)이 다이오드(D1) 및 저항(R4)을 통해 베이스에 인가되어 콜랙터에 직렬 연결된 저항(R5)을 통해 출력신호(DETENT_OUT(+))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 1 트랜지스터(TR1)는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현하고, 제 2 트랜지스터(TR2)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현한다.
따라서, 마이컴(500)의 출력신호(DETENT_OUT(+))에 따라 클러스터, 오디오, 공조, 시계 등의 내부 조명 장치(100)의 1차 감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즉, 출력신호(DETENT_OUT(+))가 하이 레벨이면, 내부 조명 장치(100)의 1차 감광을 해제하고, 출력신호(DETENT_OUT(+))가 오픈 되면 내부 조명 장치(100)의 1차 감광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야 상시 조명되는 내부 조명 장치의 경우 테일 스위치를 턴 온 하더라도 디텐트 기능 및 오토라이트 센서 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주위 조도가 낮은 경우에만 야간 조명 상태인 1차 감광을 수행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500)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내부 조명 장치
200: 테일 스위치
300: 밝기 조절 스위치
400: 오토라이트 센서
500: 마이컴
D1: 다이오드
R1, R2, R3, R4, R5: 저항
TR1, TR2: 트랜지스터

Claims (4)

  1. 내부 조명장치를 턴 온 하여 야간 조명 상태로 설정하는 테일 스위치;
    상기 내부 조명장치의 밝기를 조절하고, 디텐트(detent) 기능을 설정하는 밝기 조절 스위치;
    주위 조도를 측정한 조도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오토라이트 센서; 및
    상기 테일 스위치에 의해 상기 야간 조명 상태로 설정된 경우 디텐트 기능의 설정 여부 및 상기 조도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 조명 장치의 야간 조명 상태 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을 구비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라이트 센서는 오토라이트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라이트 센서는 상기 센싱신호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 버스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컴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디텐트 기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조도검출신호에 따 라 상기 야간 조명 상태의 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KR1020080038738A 2008-04-25 2008-04-25 차량용 조명 장치 KR10140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38A KR101405584B1 (ko) 2008-04-25 2008-04-25 차량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38A KR101405584B1 (ko) 2008-04-25 2008-04-25 차량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39A true KR20090112939A (ko) 2009-10-29
KR101405584B1 KR101405584B1 (ko) 2014-06-10

Family

ID=4155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738A KR101405584B1 (ko) 2008-04-25 2008-04-25 차량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5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22Y1 (ko) * 2009-04-24 2011-03-28 조병수 자동차의 오토라이트 연결 장치.
KR101108099B1 (ko) * 2010-01-28 2012-01-30 (주) 사운드웨이브 자동차용 다기능 오토 라이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247B1 (ko) * 2016-12-28 2024-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217A (ko) * 2001-10-12 2003-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실내조명등 자동 조절 방법
KR100644447B1 (ko) * 2005-07-05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실내조명 감광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47477A (ko) * 2005-11-02 2007-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클러스터 조도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22Y1 (ko) * 2009-04-24 2011-03-28 조병수 자동차의 오토라이트 연결 장치.
KR101108099B1 (ko) * 2010-01-28 2012-01-30 (주) 사운드웨이브 자동차용 다기능 오토 라이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584B1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10200A (en) Vehicular turning indicator
CN108638959B (zh) 背光控制方法、背光控制系统及车辆
CN103687246A (zh) 一种可以根据天气及环境变换汽车照明颜色的装置
KR20160041519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5332586A (ja) 照明調光装置
KR101405584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US20110241545A1 (en) Vehicle headlight alert system and method
KR101964091B1 (ko) 차량 전조등 색상 자동 변환 시스템
KR20150139741A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JP2012144165A (ja) 調光制御システム
JP2001206103A (ja) 車両用調光装置
JP2015080963A (ja) 車両用標識灯
KR100532047B1 (ko) 자동차 조명회로
JP2006273067A (ja) 車両用計器の照明駆動装置
KR0162132B1 (ko)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KR200359670Y1 (ko) 자동차 조명회로
JP3870929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532650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JP2006242929A (ja) 指針式メーターの照明方式
KR102036097B1 (ko) Avn 조명장치용 디텐트 신호 감지장치
KR200163930Y1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JPH0132594Y2 (ko)
KR0177483B1 (ko)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JP4697358B2 (ja) 計器照明装置
KR101460722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