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483B1 -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483B1
KR0177483B1 KR1019960037267A KR19960037267A KR0177483B1 KR 0177483 B1 KR0177483 B1 KR 0177483B1 KR 1019960037267 A KR1019960037267 A KR 1019960037267A KR 19960037267 A KR19960037267 A KR 19960037267A KR 0177483 B1 KR0177483 B1 KR 0177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resistance
brightness
comparing
extern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482A (ko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4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18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varying the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광량이 적을 때는 클러스터의 밝기를 자동으로 줄이고 외부광량이 많을 때에는 클러스터의 밝기를 자동으로 높여 운전자에게 확실한 정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클러스터 전원 시스템은 운전자가 외부광량을 인지하여 클러스터 전원을 작동시 온 내지는 오프의 2단계 작동모드만을 선택하기 때문에 외부광량에 따라 최적의 밝기를 제공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어, 본 발명은 광량을 측정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센싱수단에서 측정된 광량에 따른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회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교회로 수단에 각각 다른 저항수단을 설치하여 광량의 세기에 따라 클러스터에 제공되는 전원의 세기를 자동 조절토록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본 발명은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량을 측정하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광센서에서 측정된 광량에 따른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회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교회로 수단에 각각 다른 저항수단을 설치하여 외부광량에 따라 클러스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각각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광량이 적을 때는 클러스터의 밝기를 자동으로 줄이고 외부광량이 많을 때에는 클러스터의 밝기를 자동으로 높여 운전자에게 확실한 정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클러스터에는 오일 및 온도게이지 또는 속도계 및 타코미터 등의 각종 계기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계기판은 야간운행시에도 항시 관찰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에 광량을 지원하는 미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클러스터 전원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0)와, 상기 전원공급장치(10)의 전원을 각 장치에 연결하는 이그니션 스위치(20)와, 클러스터 내장램프와 접속되며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20)로 부터 출력된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 스위치를 갖는 램프 스위칭 수단(30)과, 상기 후진램프 스위칭수단(30)의 접점 스위치가 온되면 작동하는 클러스터 내장램프(40)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엔진작동시 이그니셔키(2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이 램프 스위칭 수단(30)에 의해 클러스터 내장램프(40)로 전달되어 클러스터가 적당한 밝기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러스터 전원 시스템은 운전자가 외부광량을 인지하여 클러스터 전원을 작동시 온 내지는 오프의 2단계 작동모드만을 선택하기 때문에 외부광량에 따라 최적의 밝기를 제공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특히 밝기가 수시로 변하는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각종 계기판이 위치한 클러스터의 정보를 정확히 판별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러스터 전원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클러스터 전원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공급수단 20: 이그니션 스위치
30: 후진램프 스위칭 수단 40: 클러스터 내장램프
50: 광센싱 수단 60: 비교수단
70: 릴레이 90: 저항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광량을 측정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센싱수단에서 측정된 광량에 따른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회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교회로 수단에 각각 다른 저항수단을 설치하여 광량의 세기에 따라 클러스터에 제공되는 전원의 세기를 자동 조절토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클러스터 전원 회로도로써, 전원공급수단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량에 따라 저항을 가변시키는 광센싱 수단(50)과, 상기 광센싱수단(50)을 통해 출력된 전원을 각각 입력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수단(60)과, 상기 비교수단(60)을 통한 전원을 타회로단에 접속시키는 릴레이(70)와, 상기 릴레이 작동시 이에 상응하여 회로를 접점시키는 스위칭 수단(80)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접점에 따라 전압을 강하시켜 클러스터 내장램프(40)에 전달하는 저항수단(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교수단(60)은 가장높은 기준전압을 제공받는 제 1 비교수단(61)과, 중간의 기준전압을 제공받는 제 2 비교수단(62)과, 가장낮은 기준전압을 제공받는 제 3 비교수단(6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교수단(60)을 통해 스위칭시 상기 제 1 비교수단(61)에 연결되며 가장 낮은 저항을 갖는 제 1 저항수단(R1)과, 상기 제 2 비교수단(62)에 연결되며 중간의 저항을 갖는 제 2 저항수단(R2)과, 상기 제 3 비교수단(63)에 연결되며 가장 높은 저항을 갖는 제 3 저항 수단(R3)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클러스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광센서(50)에 의해 외부 광량을 측정한다. 이때 광센서(50)는 광량이 많으면 저항이 작아지고, 광량이 높으면 저항이 커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만약 현재 외부가 비교적 밝아 광량이 많은 상태이면 광센서의 저항이 작아져 높은 전압이 출력되고 이때 출력된 전압이 제 1 비교수단의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제 1 비교수단(61)의 릴레이(71)를 동작시키고, 상기 릴레이(71)는 제 1 스위칭 수단(81)을 접점시켜 제 1 저항수단(R1)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저항수단(R1)은 저항값이 낮기 때문에 클러스터 램프(40)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클러스터가 밝게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광센서(50)를 통한 전압이 제 2 비교수단(62)의 기준전압을 상회하고 제 1 비교수단(61)의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제 2 비교수단(62)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릴레이(72)와 스위칭수단(82)을 거쳐 제 2 저항수단(R2)을 통해 클러스터 램프(40)에 인가한다. 마지막으로 광센서(50)를 통한 전압이 제 3 비교수단(63)의 기준전압을 상회하고 제 2 비교수단(62)의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제 3 비교수단(63)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릴레이(73)와 스위칭 수단(83)을 거쳐 제 3 저항수단(R3)을 통해 클러스터에 인가된다.
결국 외부광량이 많으면 광센서(50)의 저항이 작아지고, 광센서의 저항이 작을때는 저항수단중 저항이 작은 것과 연결시키는 구조를 이룬다.
왜냐하면 외부가 밝으면 그만큼 클러스터가 밝아야 하고, 외부가 어두우면 그만큼 클러스터가 어두워야 운전자의 시각에 맞는 최적의 광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광량에 따라 광센서의 저항변화로 인해 자동으로 제 1 비교수단(61)과 제 2 비교수단(62) 및 제 3 비교수단(63)의 회로를 연결함으로써 운전자가 클러스터의 계기판을 인지하는데 있어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외부광량에 따라 클러스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각각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광량이 적을 때는 클러스터의 밝기를 자동으로 줄이고 외부광량이 많을 때에는 클러스터의 밝기를 자동으로 높여 운전자에게 확실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광량에 따라 클러스터의 밝기를 자동변환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상태에서 클러스터의 정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Claims (2)

  1. 전원공급수단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량에 따라 저항을 가변시키는 광센싱 수단(50)과, 상기 광센싱수단(50)을 통해 출력된 전원을 각각 입력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수단(60)과, 상기 비교수단(60)을 통한 전원을 타회로단에 접속시키는 릴레이(70)와, 상기 릴레이 작동시 이에 상응하여 회로를 접점시키는 스위칭 수단(80)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접점에 따라 전압을 강하시켜 클러스터 내장램프(40)에 전달하는 저항수단(9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2. 상기 비교수단(60)은 가장높은 기준전압을 제공받는 제 1 비교수단(61)과, 중간의 기준전압을 제공받는 제 2 비교수단(62)과, 가장낮은 기준전압을 제공받는 제 3 비교수단(63)으로 이루어지며; 저항수단(90)은 상기 비교수단(60)을 통해 스위칭시 상기 제 1 비교수단(61)에 연결되며 가장 낮은 저항을 갖는 제 1 저항수단(R1)과, 상기 제 2 비교수단(62)에 연결되며 중간의 저항을 갖는 제 2 저항수단(R2)과, 상기 제 3 비교수단(63)에 연결되며 가장 높은 저항을 갖는 제 3 저항수단(R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KR1019960037267A 1996-08-30 1996-08-30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KR017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267A KR0177483B1 (ko) 1996-08-30 1996-08-30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267A KR0177483B1 (ko) 1996-08-30 1996-08-30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482A KR19980017482A (ko) 1998-06-05
KR0177483B1 true KR0177483B1 (ko) 1999-04-01

Family

ID=1947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267A KR0177483B1 (ko) 1996-08-30 1996-08-30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4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482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483B1 (ko)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KR19980019020A (ko) 차량용 조명장치(illumin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100692701B1 (ko) 자동차용 오토라이트 시스템
US6929388B2 (en) Auto headlamp module with integrated photocell
KR20090112939A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200163930Y1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200152766Y1 (ko)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KR0162132B1 (ko)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KR0171329B1 (ko)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KR100203489B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장치
KR20000073033A (ko) 차량의 전장품 조명 자동 조절장치
KR0174173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전조등 자동 광량 조절장치
KR200359670Y1 (ko) 자동차 조명회로
JPS59160639A (ja) 車両の表示装置
KR100532047B1 (ko) 자동차 조명회로
KR19980066753A (ko) 자동차의 후미등과 안개등 밝기 조절 장치
KR200140884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지시 장치
KR0139693Y1 (ko) 자동차용 스몰라이트 자동 점등장치
KR19980042363U (ko) 햇빛에 따른 클러스터의 밝기 조절장치
KR0137823Y1 (ko) 자동차의 자동 램프 변환 장치
KR19990001823A (ko) 차량 표시램프 제어회로
KR19980014016A (ko) 자동차용 후진등의 조사방향 조절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9990005114A (ko) 자동차의 계기조명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9958U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도 조절회로
JP2005029053A (ja) 自動車のオートライト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オートライト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