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329B1 -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329B1
KR0171329B1 KR1019960021156A KR19960021156A KR0171329B1 KR 0171329 B1 KR0171329 B1 KR 0171329B1 KR 1019960021156 A KR1019960021156 A KR 1019960021156A KR 19960021156 A KR19960021156 A KR 19960021156A KR 0171329 B1 KR0171329 B1 KR 017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illumination
reference voltage
brightness
shift reg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298A (ko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2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329B1/ko
Publication of KR98000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18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varying the light int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클러스터(Cluster) 조명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변 빛의 밝기에 따라 클러스터의 조명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디머 스위치를 조절하여 조명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클러스터의 조명을 조절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에 클러스터의 조명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디머 스위치를 조작함에 기인하여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변 빛의 밝기에 따라 클러스터의 조명을 자동으로 조절하므로, 자동차 운행중에 운전자가 클러스터의 조명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감지 소자 CP1∼CP3 : 비교부
11 : 쉬프트 레지스터 12 : 제어부
13 : 클러스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클러스터(Cluster) 조명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변 빛의 밝기에 따라 클러스터의 조명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경웨 해당 자동차 각 부분의 상태를 클러스터에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가 자동차의 이상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주변의 빛 밝기에 따라 클러스터에 구비된 조명램프의 밝기를 조절하여 주어야 운전자가 자동차의 이상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종래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바, 조명용 전원선으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Bl+)의 전압을 디머 스위치(DS; Dimmer Switch)에 의하여 조절함으로써 클러스터(1)에 구비된 다수의 조명 램프(2)에 대한 밝기를 조절하였다. 즉,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디머 스위치(DS)를 조절하여 조명램프(2)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클러스터(1)의 조명을 조절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에 클러스터(1)의 조명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디머 스위치(DS)를 조작함에 기인하여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변 빛의 밝기에 따라 클러스터의 조명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주변의 및 밝기를 감지하여 클러스터의 조명을 조절하는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에 있어서, 광감지 소자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과 소정의 제1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와; 상기 광감지 소자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과 소정의 제2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와; 상기 광감지 소자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과 소정의 제3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3비교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부로 부터 병렬로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병렬로 전달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 부터 병렬로 인가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주변의 빛 밝기를 인지함으로써 클러스터의 조명 램프들을 대응되는 밝기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감지 소자(10), 다수의 비교부(CP1∼CP3), 쉬프트 레지스터(11), 제어부(12) 및 클러스터(13)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광감지 소자(10)는 Cds(황화 카드늄)셀로 이루어 지는데, 주변의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전압을 비교부(CP1∼CP3) 측으로 출력한다. 즉, Cds 셀은 다량의 빛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내부의 저항값이 감소되고, 소량의 빛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내부 저항값이 증가되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는바, 광감지 소자(10)는 다량의 빛을 감지하면(주변이 밝으면) 저전압을 비교부(CP1∼CP3) 측으로 인가하고, 소량의 빛을 감지하면(주변이 어두우면) 고전압을 비교부(CP1∼CP3) 측으로 인가한다. 한편, 비교부(CP1∼CP3)는 광감지 소자(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V1∼V3)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쉬프트 레지스터(11)측으로 출력하는데, 광감지 소자(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전압(V1∼V3)보다 높으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쉬프트 레지스터(11)측에 출력하고, 광감지 소자(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전압(V1∼V3)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쉬프트 레지스터(11)측에 출련한다. 그리고, 쉬프트 레지스터(11)는 비교부(CP1∼CP3)로 부터 병렬로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병렬로 제어부(12)측에 전달한다. 제어부(12)는 쉬프트 레지스터(11)로 부터 병렬로 인가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주변의 빛 밝기를 인지함으로써 클러스터(13)의 조명램프(LP)들을 대응되는 밝기로 조절하여 준다.
광감지 소자(10)는 다량의 빛을 감지하면 저전압을 비교부(CP1∼CP3)측으로 인가하고, 소량의 빛을 감지하면 고전압을 비교부(CP1∼CP3) 측으로 인가하는바, 각 비교부(CP1∼CP3)에 개별적으로 인가되는 기준전압(V1∼V3)의 크기는 V1 〉V2 〉V3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주변의 빛이 밝은 경우에, 광감지 소자(10)는 다량의 빛을 감지함에 기인하여 대응되는 전압을 비교부(CP1∼CP3) 측으로 인가한다. 이때, 비교부(CP1∼CP3)는 광감지 소자(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V1∼V3)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쉬프트 레지스터(11) 측으로 출력하는데, 예들 들어 광감지 소자(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Vi)의 크기가 V1 〉 V2 〉 Vi 〉 V3인 경우, 비교부(CP1)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부(CP2)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부(CP3)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비교부(CP1∼CP3)는 전체적으로 “0 0 1”이라는 디지탈 신호를 쉬프트 레지스터(11)측에 인가한다. 한편, 쉬프트 레지스터(11)는 인가받은 해당 “0 0 1”신호를 제어부(12)측에 전달하여 주고, 제어부(12)는 쉬프트 레지스터(11)로 부터 인가되는 해당 신호를 읽어들여 주변의 빛의 밝음을 인지함으로써 클러스터(13)의 조명램프(LP)들을 대응되는 밝기로 조절하여 준다.
또한, 주변의 빛이 어두운 경우에, 광감지 소자(10)는 소랴의 빛을 감지함에 기인하여 대응되는 전압을 비교부(CP1∼CP3) 측으로 인가한다. 이때, 비교부(CP1∼CP3)는 광감지 소자(1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V1∼V3)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쉬프트 레지스터(11) 측으로 출력하는데, 예를들어 광감지 소자(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Vi)의 크기가 V1 〉Vi 〉V2 〉V3인 경우, 비교부(CP1)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부(CP2)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부(CP3)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비교부(CP1∼CP3)는 전체적으로 “0 1 1”이라는 디지탈 신호를 쉬프트 레지스터(11)측에 인가한다. 한편, 쉬프트 레지스터(11)는 인가받은 해당 “0 1 1”신호를 제어부(12)측에 전달하여 주고, 제어부(12)는 쉬프트 레지스터(11)로 부터 인가되는 해당 신호를 읽어들여 주변의 빛이 어두움을 인지함으로써 클러스터(13)의 조명램프(LP)들을 대응되는 밝기로 조절하여 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 빛의 밝기에 따라 클러스터의 조명을 자동으로 조절하므로, 자동차 운행중에 운전자가 클러스터의 조명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게 된다.

Claims (2)

  1. 주변의 빛 밝기를 감지하여 클러스터의 조명을 조절하는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에 있어서, 광감지 소자(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과 소정의 제1기준전압(V1)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CP1)와; 상기 광감지 소자(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과 소정의 제2기준전압(V2)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CP2)와; 상기 광감지 소자(1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과 소정의 제3기준전압(V3)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3비교부(CP3)와; 상기 제1내지 제3비교부(CP1∼CP3)로 부터 병렬로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병렬로 전달하는 쉬프트 레지스터(11)와;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11)로 부터 병렬로 인가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주변의 빛 밝기를 인지함으로써 클러스터(13)의 조명램프(LP)들을 대응되는 밝기로 조절하는 제어부(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전압(V1)은 제2기준전압(V2)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준전압(V2)은 제3기준전압(V3) 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KR1019960021156A 1996-06-13 1996-06-13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KR017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156A KR0171329B1 (ko) 1996-06-13 1996-06-13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156A KR0171329B1 (ko) 1996-06-13 1996-06-13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298A KR980001298A (ko) 1998-03-30
KR0171329B1 true KR0171329B1 (ko) 1999-02-18

Family

ID=1946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156A KR0171329B1 (ko) 1996-06-13 1996-06-13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3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298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3437A (en) Vehicle room illuminating apparatus
JP3057535B2 (ja) 光学的検出装置
KR0171329B1 (ko)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US6161065A (en) Control system for vehicular illumination
JPH1064682A (ja) 減光回路制御装置のための入力回路
JP3160211B2 (ja) センサライト
JP2751847B2 (ja) 表示装置
KR0162132B1 (ko)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KR20090097686A (ko) 자동 조명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230265985A1 (en)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system
KR0177483B1 (ko)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KR200163930Y1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JPH07186828A (ja) パネル表示部の照明制御方法
KR20000014784A (ko) 자동차 a/v시스템의 오토디밍 장치 및 방법
KR200299668Y1 (ko)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KR20000073033A (ko) 차량의 전장품 조명 자동 조절장치
JP2009056905A (ja) 車両用オートライト装置
JPH05278520A (ja) 後方点灯用車載ライト装置
KR970006394Y1 (ko) 차량용 실내등 자동 제어 장치
KR200152766Y1 (ko)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KR100444044B1 (ko) 차량의 연료 레벨 검출 제어방법
KR0137823Y1 (ko) 자동차의 자동 램프 변환 장치
KR100276224B1 (ko) 조도가 자동 조절되는 후진등
KR20000005701U (ko) 자동차 미러의 눈부심 방지장치
JP2004320462A (ja) 車載システム、オートディマー装置、オートライト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