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132B1 -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132B1
KR0162132B1 KR1019950051528A KR19950051528A KR0162132B1 KR 0162132 B1 KR0162132 B1 KR 0162132B1 KR 1019950051528 A KR1019950051528 A KR 1019950051528A KR 19950051528 A KR19950051528 A KR 19950051528A KR 0162132 B1 KR0162132 B1 KR 016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instrument panel
unit
signa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831A (ko
Inventor
이현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132B1/ko
Publication of KR97003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18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varying the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를 주위의 밝기에 따라 단계별로 자동 조절함으로써 운전자가 계기판 표시등을 인지하는데 용이하도록,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와,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한 후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신호 증폭 및 변환부, 상기 신호증폭 및 변환부에서 증폭되어 변환된 전압을 비교하여 각 전압에 따른 밝기를 판단하는 밝기 판단부 및, 상기 밝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밝기에 따라 계기판 표시등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도 제어부로 구성한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대한 출력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도 감지부 20 : 신호증폭 및 변환부
30 : 밝기 판단부 40 : 조도 제어부
50 : 계기판 표시등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를 주위의 밝기에 따라 단계별로 자동 조절함으로써, 운전자가 계기판 표시등을 인지하는데 용이하도록 한 계기판 밝기 자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계기 장치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와 제장치의 자동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운전석에 전달 표시하여 운전자가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고 정비 및 점검을 예고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하는 장치이다.
그 지시 방법으로는 지침식과 점등식이 있으며, 현재에는 전자 회로를 이용한 전기식 계기와 발광 다이오도, 형광 표지판 등의 새로운 방법으로 숫자 표시나 막대그래프로 지시하여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계기판 표시등은 전력 가변 저항에 의한 직접 조정 방식으로 조절함으로써 전구의 밝기가 일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우천시나 야간과 같이 주위가 어두운 경우 계기판 표시등의 점등 여부를 인지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운전자가 계기판 표시등의 점등 여부를 인지하지 못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자동차의 표시등의 밝기를 주위의 밝기에 따라 단계별로 자동 조절함으로써, 운전자가 계기판 표시등을 인지하는데 용이하도록 한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와,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한 후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신호증폭 및 변환부, 상기 신호증폭 및 변환부에서 증폭되어 변환된 전압을 비교하여 각 전압에 따른 밝기를 판단하는 밝기 판단부 및, 상기 밝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밝기에 따라 계기판 표시등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도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10)와; 상기 조도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한 후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신호증폭 및 변환부(20); 상기 신호증폭 및 변환부(20)에서 증폭되어 변환된 전압을 비교하여 각 전압에 따른 밝기를 판단하는 밝기 판단부(30) 및; 상기 밝기 판단부(30)에서 판단된 밝기에 따라 계기판 표시등(50)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도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을 운행하게 되면 조도 감지부(10)의 조도 세서가 주위의 광량 즉 조도를 감지하여 신호증폭 및 변환부(20)로 입력시키고, 상기와 같이 조도 감지신호가 입력된 신호증폭 및 변환부(20)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제2도의 (a)와 같이 주변 밝기에 따른 전압으로 변환하여 밝기 판단부(30)로 출력시킨다.
상기 밝기 판단부(30)에서는 신호증폭 및 변환부(20)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제2도의 (b)와 같이 4단계로 비교하여 각 논리에 따른 진리값을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밝기 판단부(30)의 동작을 진리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상기 진리표(표1)와 같이 출력된 밝기 판단부(30)의 X, Y 출력은 조도 제어부(40)로 입력되고, 상기 조도 제어부(40)는 입력된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주위의 밝기에 따라 계기판 표시등(50)의 밝기를 조절하여 준다.
따라서, 주간과 같이 주위가 밝은 경우에는 계기판 표시등(50)의 밝기를 최소의 밝기로 제어하고, 반면에 야간과 같이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는 계기판 표시등(50)의 밝기를 최대의 밝기로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계기판 표시등(50)의 점등 여부를 확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를 주위의 밝기에 따라 단계별로 자동 조절함으로써 운전자가 계기판 표시등을 인지하는데 용이하며, 운전자가 계기판 표시등의 점등 여부를 인지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이상 상태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어 차량 운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10); 상기 조도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한 후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신호증폭 및 변환부(20); 각각 기준전압이 상이하게 설정된 소정 개수의비교회로(①, ②, ③, ④)와 비교회로의 입력값에 해당하는 신호 (X, Y)를 출력하는 출력단(31)으로 구성되어 상기 신호증폭 및 변환부(20)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신호 (X, Y )를 출력하는 밝기 판단부(30); 상기 밝기 판단부(3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계기판 표시등(50)에 해당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조도 제어부(4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KR1019950051528A 1995-12-19 1995-12-19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KR016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528A KR0162132B1 (ko) 1995-12-19 1995-12-19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528A KR0162132B1 (ko) 1995-12-19 1995-12-19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831A KR970037831A (ko) 1997-07-24
KR0162132B1 true KR0162132B1 (ko) 1998-12-01

Family

ID=1944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528A KR0162132B1 (ko) 1995-12-19 1995-12-19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757B1 (ko) * 2005-03-04 2010-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교 계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784A (ko) * 1998-08-25 2000-03-15 김영환 자동차 a/v시스템의 오토디밍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757B1 (ko) * 2005-03-04 2010-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교 계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831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35585A (zh) 一种车内发光部件的光线控制方法
KR0162132B1 (ko) 계기판 표시등의 밝기 자동 제어 장치
US6161065A (en) Control system for vehicular illumination
JPH1064682A (ja) 減光回路制御装置のための入力回路
KR101405584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19980019020A (ko) 차량용 조명장치(illumination apparatus for vehicle)
JPH07234656A (ja) 表示装置
KR20090097686A (ko) 자동 조명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002049B1 (ko) 공조 패널용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00073033A (ko) 차량의 전장품 조명 자동 조절장치
JPH07186828A (ja) パネル表示部の照明制御方法
KR0171329B1 (ko) 자동차의 클러스터 조명 조절장치
JPH0516728A (ja) 車載用表示装置
KR200163930Y1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0177483B1 (ko) 입사광에 따른 클러스터 밝기 자동변환장치
KR0141393B1 (ko) 자동차의 광도 자동 조절 안개등 장치
KR980008772A (ko) 헤드램프 밝기 및 상 · 하향등 자동조절장치
KR0137823Y1 (ko) 자동차의 자동 램프 변환 장치
KR20040086875A (ko) 외부 광도 및 사용자 설정 조도에 의한 차량의 조도 제어방법
KR19990055623A (ko) 자동차용 백라이트 자동 조명장치
KR19990005114A (ko) 자동차의 계기조명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53094B1 (ko) 조도적응식 제동램프 밝기제어회로
KR19980042363U (ko) 햇빛에 따른 클러스터의 밝기 조절장치
CN110758231A (zh) 一种车辆照明方法
KR200160063Y1 (ko) 클러스터 게이지 조명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