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706B1 -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706B1
KR100506706B1 KR10-2002-0067186A KR20020067186A KR100506706B1 KR 100506706 B1 KR100506706 B1 KR 100506706B1 KR 20020067186 A KR20020067186 A KR 20020067186A KR 100506706 B1 KR100506706 B1 KR 100506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lamp
brake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293A (ko
Inventor
전영일
전상욱
Original Assignee
전영일
전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일, 전상욱 filed Critical 전영일
Priority to KR10-2002-006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70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speed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후행차량에게 알리기 위해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동등 및 후미등을 적어도 구비하며 차량 후미에 일체로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제동등 및 후미등;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차속신호를 발생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량의 제동을 감지하여 제동신호를 발생하는 제동등 스위치; 상기 후미등을 작동시키는 후미등 스위치; 상기 제동등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체크하고, 상기 제동등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에 구비된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며, 상기 후미등 스위치로부터 작동신호가 있으면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계속하여 체크하고, 상기 후미등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번 점멸주기에 따라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이 교번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상기 점멸주기로 전류를 각각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교번 제어부; 및 상기 교번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AR COMBINATION LAMP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후행차량에게 알리기 위해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제동등 및 후미등이 적어도 일체로 디자인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과 후미등의 점멸주기를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가변(차속이 빨라질수록 점멸주기가 짧아지고, 차량이 정지하면 계속하여 점등된 상태를 유지함)시킴으로서 선행차량의 주행속도정보 및 주행중의 정지정보를 후행차량에게 명확히 알려 시각적인 착시현상을 해소함으로써, 선행차량의 주행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구비될 수 있는 방향지시등 및 후퇴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 주행과 관련된 자신의 의사를 모든 타 차량 등 교통관계자들에게 명확히 표시(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의사표시 수단으로는 각종 등화장치인 광학신호장치와 경음기인 음향신호장치가 이용된다.
상기 등화장치 중 주행방향을 변경하고자하는 의사표시는 운전석 레버의 조작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ear Combination Lamp)(100, RL)에 일체가 되어 디자인된 방향지시등(TSL; Turn Signal Lamp)(102)을 점등하여 표시한다. 또한, 브레이크를 제동중임은 마스터 실린터에 장착되어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나 페달위에 설치되어 접점으로 동작하는 기계식 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자동으로 제동등(104)을 점등시켜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방향지시등(102)은 위급상황 시 좌우 양쪽을 전부 점등시켜 비상점멸표시등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 RL)는 야간에 차량의 폭을 전후방에 알려주는 후미등(또는 차폭등)(106) 및 변속기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후진할 때 뒤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백기어 변속 시 점등하는 후퇴등(108)을 구비한다.
종래에 있어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상술한 운전중의 상황에 따라 해당 등화를 점등 또는 점멸하여 후방의 타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해당 등화에 대응하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해당 등화의 램프가 단순히 온/오프되는 것이므로, 후방의 타 차량 운전자에게 있어서, 낮 시간 등과 같은 양호한 시계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도로와 주변의 고정된 구조물 속에서 이동하는 앞 차량 등의 사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없다.
특히, 일몰 시와 같이 주변 사물의 인식이 곤란하고, 대향 차량의 전조등 조명과 주변의 예기치 못한 조명의 난반사가 간섭되는 상황 및 사물의 인식도를 더욱 떨어트리는 우천 시에는 착시현상이 발생하여 선행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파악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선행 차량이 정상적으로 진행하는 차량인지, 일시적인 감속 또는 단계적인 감속을 하며 정지하려는 차량인지의 여부를 인지하는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동시키려는 해당 등화의 램프가 급작스럽게 끊어진 경우에는 제 3자에게 자신의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의사를 전달할 수 없어 더욱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행하는 차량의 이동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방법이 없고, 단지 후속 차량 운전자의 감각으로 판단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따라 후행차량의 운전자는 지나친 전방 주시로 운전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필요 이상의 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므로 연료의 손실을 가져오며 배출가스의 증가로 인한 환경의 악화 등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선행차량이 정지하기 직전의 매우 느린속도로 이동 중인 상태 또는 정지상태인 경우에, 이를 정상주행 중인 것으로 오판함으로 인하여 선행차량과의 추돌사고 및 이에 따른 연쇄적인 대형사고에 대한 위험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방향지시등이나 후퇴등의 단형식 점멸이나 점등만으로는 역시 제 3자에게 차량의 운행정보를 충분히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램프를 좌우 일체로 형성하여, 브레이크의 압력값에 따라 램프를 다단계로 추가 점등하거나,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그 개수에 따라 차량의 제동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만국 공용 공통적 학습 동의를 얻을 수 없으므로, 관계 차량의 등화로부터 얻어지는 운행정보가 더욱 필수적이게 되어, 차량의 주행 중의 속도와 주행중의 멈춤 속도를 가시적을 쉽게 알 수 있어야 하는 고속 운행 시엔 오히려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종류에 따라 후미에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형태와 구조가 매우 다르므로 상기한 방법은 이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착시현상에 따른 추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동등 회로에 깜박이 릴레이를 연결하여 브레이크 작동 시, 제동등이 반복적으로 점멸케 하는 불법적인 제동표시 등화의 개조가 일부 상용화되고 있으나, 이는 개조된 제동등의 반복적인 점멸이 기존의 비상점멸표시등의 점멸과 쉽게 구별되지 않아서 차량의 뒷면에 혼동하기 쉬운 등화나 점멸하는 등화를 설치하여서는 안된다는 차량 안전기준에 대한 기본규칙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효과 또한 미비하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신개념의 등화표시 변환 시스템이 요망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선행차량이 운행 중 작동시키는 등화에 대하여 후행차량이 착시현상에 따른 혼동없이 상기 작동 등화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선행차량의 이동 및 정지상태를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 및 주행 중 제동여부에 따라,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적어도 구비되는 제동등 및/또는 후미등의 점멸주기를 가변하여 교번 점멸토록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구비되는 방향지시등과 후퇴등에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을 각각 구비하여 높은 광도를 갖는 램프 및 필라멘트 단선 예비구조를 갖는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형태와 구조가 서로 다른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도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동등 및/또는 후미등과 연계되어, 점멸주기를 가변하여 교번 점멸할 수 있는 보조등화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필라멘트 단선 시 및 악천후 시 안정적으로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운용할 수 있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동등 및 후미등을 적어도 구비하며 차량 후미에 일체로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제동등 및 후미등;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차속신호를 발생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량의 제동을 감지하여 제동신호를 발생하는 제동등 스위치;
상기 후미등을 작동시키는 후미등 스위치;
상기 제동등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체크하고, 상기 제동등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며,
상기 후미등 스위치로부터 작동신호가 있으면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계속하여 체크하고, 상기 후미등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번 점멸주기에 따라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이 교번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상기 점멸주기로 전류를 각각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교번 제어부; 및
상기 교번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동등 스위치 및 상기 후미등 스위치가 모두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체크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동등과 상기 후미등이 서로 교번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점멸주기를 동일하게 가변 설정하며,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 중 어느 하나의 점멸시작시점을 다른 하나의 점멸시작시점보다 반주기 지연시켜 점멸토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 중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가 단선되면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단선 경보 램프;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른 교번 점멸주기로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과 동시에 교번 점멸하도록 차량의 후부 스포일러에 하나 이상의 제동등 램프 및 후미등 램프로 이루어진 스포일러램프;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방향지시등 및 후퇴등;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제동등 및 후미등 램프로 이루어지는 제동등 및 후미등을 적어도 구비하며 차량 후미에 일체로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동등 스위치로부터 차량이 제동됨을 알리는 제동신호를 수신하면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체크하는 단계;
후미등 스위치로부터 작동신호가 있으면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계속하여 체크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동등을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고, 상기 후미등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교번 점멸주기에 따라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이 교번하여 점멸하도록 교번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 램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상기 점멸주기로 전류를 각각 인가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교번 제어부를 제어하여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방법.
또한,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 교번 점멸 시, 스포일러램프용 제동등 램프 및 스포일러램프용 후미등 램프를 각각 동시에 교번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에 전원을 공급할 시,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각 램프의 필라멘트가 단선되면 이를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단선경보램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적용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적용부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차량은, 차량 주행과 관련된 자신의 의사를 모든 타 차량 등 교통관계자들에게 명확히 표시(전달)하기 위한 의사표시 수단으로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 RL)를 구비한다.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 RL)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등화의 점멸로서 전달하며, 이를 위하여 좌우 공히 방향지시등(102), 제동등(104), 후미등(또는 차폭등)(106) 및 후퇴등(108)을 구비하며, 후행차량이 더욱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스포일러램프(Spoiler Lamp)(110)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일 예로서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간략히 도시하였으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형태, 위치, 구조는 차량에 따라 다르며, 좌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동시에 점등되어 운행정보를 후행차량에 전달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좌측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의 상세한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적용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를 구성하는 등화와 그에 사용되는 램프의 배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도 1의 (b)에 도시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를 구성하는 등화와 그에 사용되는 램프의 배치를 보인 도면이며, (b) 내지 (d)는 도 1의 (a)에 도시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를 구성하는 등화와 그에 사용되는 램프의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가 일반적인 형태로 방향지시등(102), 제동등(104), 후미등(또는 차폭등)(106) 및 후퇴등(108)의 등화로 구성되며, 각 등화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램프로 구현됨을 보인 것으로서,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램프가 각각 하나의 등화를 표시한다.
이러한 도 3의 (a)는 각 등화의 점멸 시 복수 개의 필라멘트가 가변하는 점멸주기에 따라 교번하여 점멸함으로써 해당 등화를 표시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104)램프 및 후미등(106)램프는 해당 등화 구동 시 해당 램프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이 각각 교번 점멸한다. 한편, 방향지시등(102)은 차량이 해당 방향으로 회전 시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을 동시에 점등하고 일정한 주기로 점멸함으로써 회전방향을 표시하며, 후퇴등(108)은 차량이 후진 시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동시에 단순 점등하여 후진중임을 표시한다.
도 3의 (b) 및 (c)는 제동등(104) 램프와 후미등(106) 램프가 종렬 및 횡렬 구조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동등(104) 램프와 상기 후미등(106)램프가 각각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해당 점멸주기로 점멸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등(104)램프와 상기 후미등(106)램프가 구비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동시에 점멸하는 것에 의하여 짝을 이뤄 해당 점멸주기로 점멸함으로써 차량의 이동상태에 따른 운행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는 등화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방향지시등(102) 및 후퇴등(108)의 등화는 도 3의 (a)에 도시된 해당 등화의 점등 또는 점멸과 동일하게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동시에 점멸 또는 점등함으로써 해당 등화를 표시하게 된다.
도 3의 (d)는 제동등(104)용 램프와 후미등(106)용 램프가 일체형으로 통합된 형태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등(104)용 필라멘트와 후미등(106)용 필라멘트가 하나의 램프 내에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 및 주행 중 제동 시에 점멸주기를 가변하여 교번 점멸하며, 방향지시등(102) 및 후퇴등(108)의 등화는 도 3의 (a)에 도시된 해당 등화의 점등 또는 점멸과 동일하게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동시에 점멸 또는 점등함으로써 해당 등화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동등(104)용 램프와 후미등(106)용 램프를 종렬 또는 횡렬로 배치한 실시 예 및 이들을 통합하여 구현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 예 이외에도 상기 제동등(104)용 램프와 상기 후미등(106)용 램프를 동심원 상에 배치하여 교번 점멸 시,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듯한 외관을 주는 등, 다양한 배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스포일러램프(110)의 구조도 상기 도 3의 (b)에 보인 제동등 램프와 후미등 램프의 인접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를 구성하는 각 등화의 램프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동시에 점멸 및 점등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높은 광도를 갖는 등화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필라멘트가 끊어져도 다른 하나의 필라멘트를 독립적으로 점멸 및 점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필라멘트의 단선 예비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을 각각 교번하여 점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별력 높은 등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 제어장치는 각각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방향지시등(102), 제동등(104), 후미등(106) 및 후퇴등(108) 램프로 구성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와, 상기 각 등화를 작동시키는 해당 스위치(40, 50, 60), 차량이 제동됨을 감지하는 제동등 스위치(20), 차속센서(30), 교번 제어부(70), 전원부(80) 및 단선경보램프(90)와 제동등(112) 및 후미등 램프(114)로 구성되는 스포일러램프(110), 그리고 마이컴(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지시등 스위치(40)는 상기 방향지시등(102)을 작동시키고, 상기 후미등 스위치(50)는 상기 후미등(106)을 작동시키며, 상기 후퇴등 스위치(60)는 후진기어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후퇴등(108)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동등 스위치(20)는 상기 차량의 제동을 감지하여 제동신호를 발생하다.
상기 전원부(80)는 상기 교번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등화용 램프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차속센서(30)는 상기 후미등 스위치로부터 작동신호가 있으면 작동되는 해당 등화를 차량의 현재 속도에 따라 가변하여 교번 점멸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계속하여 감지하여 대응하는 차속신호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차속센서(30)는 상기 제동등 스위치(20)로부터 상기 제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속센서(30)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체크하고 이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방향지시등(102)은 상기 방향지시등 스위치(40)로부터의 작동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로 점멸되며, 상기 후퇴등(108)은 상기 후퇴등 스위치(60)로부터의 작동신호에 따라 단순 점등된다.
상기 단선 경보 램프(90)는 각 등화의 램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 중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가 단선되면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하고, 상기 스포일러램프(110)은 차량의 후부 스포일러에 장착되며, 상기 제동등(104) 및 상기 후미등(106)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에 따라 결정된 교번 점멸주기로 상기 해당 등화를 각각 교번 점멸하기 위해 상기 해당 등화의 램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에 상기 점멸주기로 인가되는 전류를 동시에 인가하여, 상기 해당 등화와 동시에 교번 점멸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동등 램프(112) 및 후미등 램프(11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포일러램프(110)는 차량의 후미등이 켜져있는 상태에서 차량 제동 시,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에 따라 결정된 교번 점멸주기로 교번하여 점멸하는 상기 제동등(104) 및 상기 후미등(106)과 동시에 점멸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차속센서(30)로부터의 차속신호와 상기 각 스위치로부터의 해당 등화의 작동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해당 등화의 교번 점멸주기를 가변 설정한다.
이때,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제동등 스위치(20) 및 상기 후미등 스위치(50)가 모두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차속센서(30)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체크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동등(104)과 상기 후미등(106)이 서로 교번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104)과 상기 후미등(106)의 점멸주기를 동일하게 가변 설정하고, 상기 제동등(104) 및 상기 후미등(106) 중 어느 하나의 점멸시작시점을 다른 하나의 점멸시작시점보다 반주기 지연시켜 점멸토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차속센서(30)로부터의 차속신호에 따라 차량의 현재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해당 등화의 교번 점멸주기를 짧게 설정하여 선행차량이 작동시키는 등화에 대한 착시현상을 해소하고 혼동없이 인지하도록 후행차량에게 선행차량의 이동상태를 명확하게 전달하게 된다.
상기 교번 제어부(70)는 상기 마이컴(10)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번 점멸주기에 따라 상기 해당 등화가 교번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해당 등화의 램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에 상기 점멸주기로 전류를 각각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단계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하 도 2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등 스위치(20)는 차량의 제동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10)으로 차량의 제동신호(S1)를 전송한다.
상기 차속센서(30)는 상기 제동등 스위치(20)의 상기 제동신호(S1)에 따른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주행속도를 체크하여 상기 마이컴(10)으로 현재 차량의 속도정보를 갖는 차속신호(S2)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차속센서(30)는 상기 방향지시등 스위치(40), 후미등 스위치(50) 및 후퇴등 스위치(6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마이컴(10)의 제어하에 차량의 주행속도를 체크하여 상기 마이컴(10)으로 현재 차량의 속도정보를 갖는 차속신호(S2)를 전송한다.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전송된 차속신호(S2)로부터 차량의 현재 속도를 판단하고, 스위치가 작동된 해당 등화의 교번 점멸주기를 결정한다.
이어,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결정한 교번 점멸주기(S3)를 상기 교번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상기 교번 제어부(70)는 상기 교번 점멸주기(S3)에 따라 전류제어신호(S4)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부(8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부(80)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의 해당 등화를 소정 교번 점멸주기로 교번 점멸토록 전원(S5)을 공급하며,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의 제동등(104) 및 후미등(106) 교번 점멸 시, 동일한 운행 및 제동표시를 제공하는 상기 스포일러램프(110)또한 동시에 교번 점멸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80) 및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의 각 등화로부터 각 램프의 필라멘트가 단선되면 이를 감지하여 단선경보램프(90)를 작동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경보한다.
이하 차량이 100km/h로 주행 중인 경우를 주간, 야간 및 야간제동 시로 구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우선, 주간에 100km/h로 주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후미등 스위치(50)는 오프(OFF)상태에 있으므로, 차량의 제동 여부에 따라 제동등(104)만이 점등한다.
따라서, 상기 제동등 스위치(20)는 차량의 제동을 감지하면, 제동신호(S1)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제동신호(S1)에 따라 상기 차속센서(30)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정보(S2)를 체크한다.
상기 차속센서(30)로부터의 상기 차속정보(S1)에 따라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제동등(104)의 교번 점멸주기(S3)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교번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교번 제어부(70)는 전원부(80)의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제동등(104) 램프의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각각 상기 결정된 교번 점멸주기로 교번 점멸토록 한다.
상기 예에서 차량이 100km/h로 주행중인 경우에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이므로, 후행차량에게 이러한 선행차량의 주행정보를 정확히 알릴 수 있도록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교번 점멸주기를 매우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야간에 100km/h로 주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후미등 스위치(50)는 항상 온(ON)상태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후미등(106)은 점등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미등 스위치(50)가 작동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마이컴(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차속센서(30)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정보(S2)를 계속하여 체크한다.
상기 차속센서(30)로부터의 상기 차속정보(S1)에 따라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후미등(106)의 교번 점멸주기(S3)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교번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교번 제어부(70)는 전원부(80)의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후미등(106) 램프의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각각 상기 결정된 교번 점멸주기로 교번 점멸토록 한다.
상기 예에서 차량이 100km/h로 주행중인 경우에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이므로, 후행차량에게 이러한 선행차량의 주행정보를 정확히 알릴 수 있도록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교번 점멸주기를 매우 짧게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빨라지면, 이에 비례하여 상기 후미등(106)의 교번 점멸주기가 더욱 짧아지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느려지면, 이에 비례하여 상기 후비등(106)의 고번 점멸주기는 상대적으로 늘어나도록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야간에 100km/h로 주행하는 차량이 제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후미등 스위치(50)는 항상 온(ON)상태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후미등(106)은 점등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미등 스위치(50)가 작동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마이컴(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차속센서(30)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정보(S2)를 계속하여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차속센서(30)로부터의 상기 차속정보(S1)에 따라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후미등(106)의 교번 점멸주기(S3)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교번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교번 제어부(70)는 전원부(80)의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후미등(106) 램프의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각각 상기 결정된 교번 점멸주기로 교번 점멸토록 한다.
이때,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제동을 수행하면, 상기 제동등 스위치(20)는 차량의 제동을 감지하고, 제동신호(S1)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제동신호(S1)에 따라 상기 차속센서(30)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정보(S2)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차속센서(30)로부터의 상기 차속정보(S1)에 따라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제동등(104)의 교번 점멸주기(S3)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교번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교번 제어부(70)는 전원부(80)의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10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제동등(104) 램프의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각각 상기 결정된 교번 점멸주기로 교번 점멸토록 한다.
상기 예에서 차량이 야간에 주행중 제동을 실시한 경우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미등(106) 및 상기 제동등(104)이 각각 교번 점멸주기에 따라 교번 점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량이 제동을 수행하는 순간의 상기 후미등(106) 및 상기 제동등(104)의 교번 점멸주기는 동일하게 일치하며, 이에 따라 후행차량에게 이러한 선행차량의 주행정보를 더욱 명확히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미등(106) 및 상기 제동등(104)이 동시에 점멸하는 경우에,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후미등(106) 및 상기 제동등(104)이 하나의 교번 점멸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후미등(106) 램프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을 동시에 점멸하고, 이와 비교하여 점멸주기를 반주기 지연시켜 상기 제동등(104)램프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을 동시에 점멸토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두 개의 필라멘트를 동시에 점등하게 되므로, 종래의 등화가 제공하던 것보다 높은 광도를 갖는 등화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는 야간우천 등 악천후 시에 더욱 밝은 등화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정보를 후행차량에게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게 된다.
한편, 마이컴(10)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가 60km/h이하인 경우에는 100km/h이상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번 점멸주기를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하나의 필라멘트를 예비 필라멘트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필라멘트가 끊어진 경우에도 예비 필라멘트를 교번하여 점멸토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정상적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적용되는 제어장치를 구체적인 실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교통신호등, 비상유도등, 특수조명등의 제어장치와 같은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후행차량에게 선행차량의 주행속도 및 현재 주행속도에서의 감속이나 정지신호를 보다 명확히 구분하여 알려주게 되므로, 운전자가 보다 정확한 선행차량의 운행정보를 인식하여 연쇄적인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집중하지 않고도 선행차량의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전하고 편안한 운전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요 이상의 브레이크 사용을 방지하고 연료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는 공해물질의 배출이 감소되어 환경보호에 일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구비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운용할 수 있으며, 악천후 시 더욱 명확하게 선행차량의 운행정보를 후행차량에게 알려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적용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적용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적용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구성하는 등화의 배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단계를 보인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마이컴 20: 제동등 스위치
30: 차속센서 40: 방향지시등 스위치
50: 후미등 스위치 60: 후퇴등 스위치
70: 교번 제어부 80: 전원부
90: 단선경보램프 100: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2: 방향지시등 104: 제동등
106: 후미등 108: 후퇴등
110: 스포일러램프 112: 스포일러램프용 제동등 램프
114: 스포일러램프용 후미등 램프

Claims (8)

  1. 제동등 및 후미등을 적어도 구비하며 차량 후미에 일체로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을 갖는 제동등 및 후미등;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차속신호를 발생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량의 제동을 감지하여 제동신호를 발생하는 제동등 스위치;
    상기 후미등을 작동시키는 후미등 스위치;
    상기 제동등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체크하고, 상기 제동등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며,
    상기 후미등 스위치로부터 작동신호가 있으면 상기 차속센서로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계속하여 체크하고, 상기 후미등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번 점멸주기에 따라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이 교번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상기 점멸주기로 전류를 각각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교번 제어부; 및
    상기 교번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동등 스위치 및 상기 후미등 스위치가 모두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체크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동등과 상기 후미등이 서로 교번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점멸주기를 동일하게 가변 설정하며,
    상기 제동등 및 상기 후미등 중 어느 하나의 점멸시작시점을 다른 하나의 점멸시작시점보다 반주기 지연시켜 점멸하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 중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가 단선되면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단선 경보 램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른 교번 점멸주기로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과 동시에 교번 점멸하도록 차량의 후부 스포일러에 하나 이상의 제동등 램프 및 후미등 램프로 이루어진 스포일러램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을 갖는 방향지시등 및 후퇴등;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장치.
  6.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갖는 제동등 및 후미등으로 이루어지는 제동등 및 후미등을 적어도 구비하며 차량 후미에 일체로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동등 스위치로부터 차량이 제동됨을 알리는 제동신호를 수신하면 차속센서로부터 차속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체크하는 단계;
    후미등 스위치로부터 작동신호가 있으면 상기 차속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계속하여 체크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제동등을 점멸하도록 상기 제동등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고, 상기 후미등을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점멸하도록 상기 후미등에 구비된 복수의 필라멘트들의 교번 점멸주기를 상기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교번 점멸주기에 따라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이 교번하여 점멸하도록 교번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들에 상기 점멸주기로 전류를 각각 인가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교번 제어부를 제어하여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 교번 점멸 시, 스포일러램프용 제동등 램프 및 스포일러용 후미등 램프를 각각 동시에 교번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제동등 및 후미등에 전원을 공급할 시,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각 램프의 필라멘트가 단선되면 이를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단선경보램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방법.
KR10-2002-0067186A 2002-10-31 2002-10-31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06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86A KR100506706B1 (ko) 2002-10-31 2002-10-31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86A KR100506706B1 (ko) 2002-10-31 2002-10-31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93A KR20040038293A (ko) 2004-05-08
KR100506706B1 true KR100506706B1 (ko) 2005-08-09

Family

ID=3733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186A KR100506706B1 (ko) 2002-10-31 2002-10-31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0213A1 (de) * 2013-06-20 2014-12-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Lichtemission einer Heckleuchte eines Fahrzeugs
CN104786921A (zh) * 2015-05-20 2015-07-22 马同金 尾红灯可显示低速行驶的汽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94A (ko) * 1988-08-12 1990-03-23 정몽헌 차량용 제동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40003779A (ko) * 1992-08-13 1994-03-12 전승표 자동차용 교차 점멸식 일체형 후미등
KR940019521A (ko) * 1993-02-23 1994-09-14 김재헌 높이 부착된 자동차용 정지등(hmsl)
KR970037580A (ko) * 1995-12-26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회로
KR20000006977A (ko) * 1999-11-11 2000-02-07 공종의 자동차의 스톱램프 자동점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94A (ko) * 1988-08-12 1990-03-23 정몽헌 차량용 제동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40003779A (ko) * 1992-08-13 1994-03-12 전승표 자동차용 교차 점멸식 일체형 후미등
KR940019521A (ko) * 1993-02-23 1994-09-14 김재헌 높이 부착된 자동차용 정지등(hmsl)
KR970037580A (ko) * 1995-12-26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제동등 제어회로
KR20000006977A (ko) * 1999-11-11 2000-02-07 공종의 자동차의 스톱램프 자동점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93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0357B2 (en) After market sequential turn signal
EP1512579A2 (en) Vehicular turning indicator
JP2009519162A (ja) 追突警報装置を備える自動車
KR20050063726A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 장치
CN111051134B (zh) 用于制动操作的动态比例传信系统
KR102213684B1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CN108082036B (zh) 车辆通知装置
KR100506706B1 (ko)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1190666A (zh) 车辆led尾灯装置及包括该尾灯装置的机动车辆
JP2007131284A (ja) 車両動作表示機能付きテールランプ
KR20110049295A (ko) 차량용 후방램프 및 차량용 후방램프의 점등시스템
KR200382677Y1 (ko) 순차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차 방향지시장치
CN201694100U (zh) Ads刹车灯光控制系统
KR20190063673A (ko) 교통상황에 따라 방향지시등을 가변 점등하는 방법
KR200308410Y1 (ko)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CN210717355U (zh) 一种带闪烁功能的led汽车灯
KR102594986B1 (ko) 안전 운행을 위한 자동차 브레이크등 제어시스템
CN211416861U (zh) 一种胎压监测氛围灯系统
KR200431152Y1 (ko) 차량의 감속표시 장치
JP2006282030A (ja) 車両用警告灯装置
KR20230036885A (ko) 자동차 라이트 점등 제어 방법
JPH08339480A (ja) フェンダマーカ表示装置
CN115465185A (zh) 一种可以反馈驶状态的交互式车尾灯系统
KR0132132Y1 (ko) 자동차의 안개등 및 브레이크등을 이용한 비상등 구동장치
KR20020022879A (ko) 이퀄라이저형 자동차 브레이크 램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