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626A -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626A
KR20140088626A KR1020120114377A KR20120114377A KR20140088626A KR 20140088626 A KR20140088626 A KR 20140088626A KR 1020120114377 A KR1020120114377 A KR 1020120114377A KR 20120114377 A KR20120114377 A KR 20120114377A KR 20140088626 A KR20140088626 A KR 20140088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mp
remote key
light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626A/ko
Publication of KR2014008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60Q1/38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with several light sources activated in sequence, e.g. to create a sweep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30Daytime running lights [DRL], e.g.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40Welcome lights, i.e. specific or existing exterior lamps to assist leaving or approach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40Several lamps activated in sequence, e.g. sweep effect, progressive acti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잠금 및 해제하는 리모트 키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리모트 키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리모트 키의 위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리모트 키로부터 차량 잠금해제(Unlo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원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램프에는 엔진룸과 범퍼 사이의 공간 양측에 위치하여 야간 주행 중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램프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규칙적으로 점멸되면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시그널램프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전조등과 동시에 점등되어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일램프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면 점등되는 브레이크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전방에는 포지션램프가 설치되어 보행자나 반대 차로의 운전자가 차량의 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낮 시간에 점등하여 안전운전을 행하도록 하는 DRL(Daytime Running Light)램프가 설치된다. 포지션램프와 DRL램프는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나 DRL램프는 주간에 점등하여 안전운전을 돕기 때문에 주로 광량이 큰 램프를 사용하는 반면에, 포지션램프는 통상적으로 미등이라고 하는 것으로서 야간에 주로 사용되며, 차량의 폭을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다소 작은 광량을 가진 램프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DRL램프나 포지션램프의 광원으로서 광량은 비교적 큰 반면에 소비전력이 낮은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LED 광원을 사용하는 포지션램프 또는 DRL램프는 단순하게 차량 운전자의 명령에 의해 주간이나 야간에 점등하여 안전운전을 돕는 기능적인 역할만 할 뿐이고,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감성 조명으로서의 역할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감성적으로도 차량의 운전자를 만족시킴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차량용 램프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작동에 따라 무선으로 차량을 잠금 및 해제하는 리모트 키; 상기 리모트 키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리모트 키 센서; 및 상기 리모트 키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리모트 키와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리모트 키로부터 차량 잠금해제(Unlo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광원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원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동하는 램프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광원들이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의 도어(door)가 오픈(open)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이 시동되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이 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순차적인 광원 제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는 외부에서 차량의 폭을 알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포지션 램프(position lamp)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는 DRL(Daytime Running Light)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DRL 램프는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DRL 램프는 상기 광원으로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하며, 상기 엘이디(LED)가 면발광 상태로 조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차량용 램프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을 잠금 및 해제하는 리모트 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트 키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리모트 키의 위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리모트 키로부터 차량 잠금해제(Unlo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원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광원들은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도어(door)가 오픈(open)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이 시동되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이 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순차적인 광원 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는 외부에서 차량의 폭을 알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포지션 램프(position lamp)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는 DRL(Daytime Running Light)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DRL 램프는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DRL 램프는 상기 광원으로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하며, 상기 엘이디(LED)가 면발광 상태로 조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할 경우 차량의 램프가 동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함으로써 차량이 운전자를 맞이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어 차량에 대한 만족감이 향상되고,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웰컴 라이트 기능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10)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10)은 리모트 키(200), 리모트 키 센서(300), 램프 구동 모듈(400), 제어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100)는 복수의 광원(111)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포지션 램프(Position Lamp) 또는 DRL 램프(Daytime Running Light Lamp)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포지션 램프는 외부에서 차량의 폭을 알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전방에 폭 방향 양측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주로 야간에 미등으로 사용된다. 상기 DRL 램프는 차량 전방에 폭 방향 양측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주로 주간에 점등하여 안전운전을 돕는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DRL 램프(1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광원(111)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DRL 램프(100)을 형성하고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100)의 광원(111)은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가 될 수 있다. 엘이디(LED)는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생기는 발광현상을 이용한 광원으로서, 기존 백열등과 같은 광원에 비해 에너지효율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엘이디 광원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램프를 형성하게 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DRL 램프(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엘이디(LED) 광원(111)들이 면발광 상태로 조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DRL 램프(100)는 상기 복수의 엘이디 광원(111)들로부터 발광된 빛을 차량 전방으로 산란시키고 반사시키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 전방에 설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엘이디에서 발광된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킬 수 있고, 상기 렌즈는 40% 정도의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반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한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넓게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면발광 상태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모트 키(Remote Key)(200)는 통상적으로 운전자의 작동에 따라 무선으로 차량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리모트 키(200)를 이용하면 원거리에서 무선신호로서 도어의 잠금이나 해제 또는 차량 시동 혹은 트렁크를 개폐시킬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트 키(200)는 차량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운행을 위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리모트 키(200) 상의 해제(unlock)버튼을 누르면 도어잠금 해제신호가 RF 신호로 송출된다. 송출된 RF 신호는 상기 차량에서 수신되며 차량에서는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를 확인한 후에 상기 도어(door)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리모트 키 센서(300)는 상기 리모트 키(200)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상기 리모트 키(200)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램프 구동 모듈(400)은 상기 제어유닛(5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램프(100)의 복수의 광원(111)들이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구동한다. 상기 램프 구동 모듈(400)은 상기 제어유닛(50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램프(100)의 광원(111)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리모트 키(200), 상기 리모트 키 센서(300) 또는 상기 램프 구동 모듈(4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500)은 유선 신호뿐만 아니라 RF(Radio Frequency) 신호와 같은 무선 신호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과, 상기 차량의 고유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i) 상기 리모트 키 센서(300)에서 감지된 상기 리모트 키(200)와 상기 리모트 키 센서(300) 사이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 ii) 상기 리모트 키(200)로부터 차량 잠금해제(Unlo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광원(111)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리모트 키(200)를 소지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상기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하면 램프(100)의 광원(111)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점등되거나 소등된다(이하에서는 이를 '웰컴 라이트 기능'이라고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이 자신을 맞이하는 것과 같은 감성을 느낄 수 있으며 차량 오너로서의 자부심이 증대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광원(111)들을 제어하기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램프 구동 모듈(400)은 상기 제어유닛(500)에서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상기 광원(111)들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동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동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램프 구동 모듈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제어유닛(500)에서 직접 상기 램프(100)의 광원(111)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복수의 광원(111)들이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램프 내부에는 복수의 광원(111)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띠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도 2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광원(111)들이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살아있는 것과 같은 동적인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111)들이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순서, 방향 또는 속도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500)은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도어(door)가 오픈(open)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이 시동되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이 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웰컴 라이트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에는 상기 웰컴 라이트 기능이 해제되고, 램프(100)의 모든 광원(111)들이 동시에 켜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모두 꺼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웰컴 라이트 기능은 해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웰컴 라이트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의 리모트 키 센서(300)에서 리모트 키(200)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상기 제어유닛(500)에 전송한다(S10).
상기 제어유닛(500)은 i) 상기 리모트 키 센서(300)에서 감지된 리모트 키(200)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소정 범위 이내인지 여부 또는 ii) 상기 리모트 키(200)로부터 차량 잠금 해제(unlock)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제어유닛(500)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i) 또는 ii)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되면 상기 웰컴 라이트 기능을 작동시켜 상기 램프(100)의 광원(111)들이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제어한다(S30).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500)은 웰컴 라이트 기능을 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램프 구동 모듈(400)에 전송하고, 상기 램프 구동 모듈(400)은 이를 수신하여 램프(100)의 광원(111)들이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구동한다.
그 다음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S30 단계에 의해 웰컴 라이트 기능이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door)를 오픈하거나, 차량이 시동되거나, 차량이 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door)가 오픈도거나, 차량이 시동되거나, 차량이 가속되는 경우에 해당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웰컴 라이트 기능을 해제한다(S5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웰컴 라이트 기능의 동작을 시간 순으로 1번부터 4번까지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리모트 키(200)를 소지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게 되면 웰컴 라이트 기능이 작동되어 상기 DRL 램프(100)의 LED 광원(111)들이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면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리모트 키(200) 소지하고 차량에 접근하게 되면 DRL 램프(100)가 순차적으로 점등되기 때문에 여러 차량들 중에 자신의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DRL 램프(100)의 광원(111)들이 점등되는 순서나 방향을 개별적으로 미리 설정해 놓게 되면 동시에 같은 종류의 차량들의 램프가 점등되는 경우에도 자신의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접근시 웰컴 라이트 기능에 의해 차량이 자신을 맞이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므로 차량에 대한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고, 차량의 상품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100: 램프
111: 광원
200: 리모트 키
300: 리모트 키 센서
400: 램프 구동 모듈
500: 제어유닛

Claims (17)

  1. 복수의 광원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차량용 램프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의 작동에 따라 무선으로 차량을 잠금 및 해제하는 리모트 키;
    상기 리모트 키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리모트 키 센서; 및
    상기 리모트 키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리모트 키와의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리모트 키로부터 차량 잠금해제(Unlo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광원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원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동하는 램프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광원들이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의 도어(door)가 오픈(open)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이 시동되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이 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순차적인 광원 제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외부에서 차량의 폭을 알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포지션 램프(position la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는 DRL(Daytime Running Light)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RL 램프는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RL 램프는 상기 광원으로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하며, 상기 엘이디(LED)가 면발광 상태로 조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10. 복수의 광원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차량용 램프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을 잠금 및 해제하는 리모트 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트 키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리모트 키의 위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리모트 키로부터 차량 잠금해제(Unlo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광원들이 시간차를 가지고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광원들은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door)가 오픈(open)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량이 시동되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이 가속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순차적인 광원 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외부에서 차량의 폭을 알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포지션 램프(position la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는 DRL(Daytime Running Light)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RL 램프는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RL 램프는 상기 광원으로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하며, 상기 엘이디(LED)가 면발광 상태로 조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KR1020120114377A 2012-10-15 2012-10-15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8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77A KR20140088626A (ko) 2012-10-15 2012-10-15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77A KR20140088626A (ko) 2012-10-15 2012-10-15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626A true KR20140088626A (ko) 2014-07-11

Family

ID=5173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377A KR20140088626A (ko) 2012-10-15 2012-10-15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6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7107B2 (en) * 2016-11-15 2018-07-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 activation sequence of a vehicle
US10029612B1 (en) 2017-03-17 2018-07-24 Sl Corporation Lamp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225375A1 (ja) * 2018-05-22 2019-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7107B2 (en) * 2016-11-15 2018-07-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 activation sequence of a vehicle
US10029612B1 (en) 2017-03-17 2018-07-24 Sl Corporation Lamp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225375A1 (ja) * 2018-05-22 2019-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
CN111902313A (zh) * 2018-05-22 2020-11-06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的点亮控制装置
CN111902313B (zh) * 2018-05-22 2023-08-01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的点亮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380B1 (en) Enhanced informational vehicle puddle lamp assemblies
US11427156B2 (en) Vehicular function control using sensing device with backlit icons
CN104029632B (zh) 具有灯的车辆
US7679491B2 (en) Vehicle start/stop button status feedback and lighting
JP2004175252A (ja) 車両用点灯制御装置
JP2005048578A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モジュール
KR101460720B1 (ko)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US10065556B2 (en) Illuminated door-open warning for center-opening door
CN105034939A (zh) 带有低光强设置的车辆阅读灯
CN108076575B (zh) 车辆的光激活序列
JP2009179998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US20150239390A1 (en) Illuminated Emblem
US9783100B2 (en) Running board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KR20140088626A (ko)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3186264U (ja) 光源調節制御可能な車のドア敷居用発光踏板
JP2015071386A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17024647A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140079920A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램프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948469B2 (en) Lighting apparatus for engine switch of vehicle
US20170113602A1 (en) Illuminated exterior badge
KR101393349B1 (ko)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JP2010018046A (ja) ドアハンドル装飾体の警告照明装置
JP2005219566A (ja) 車両の挙動表示装置
JP2015098677A (ja) 自車サーチシステム
WO2023136090A1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519

Effective date: 2015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