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513A - 양측성 평형 교합이 용이한 인공치 - Google Patents

양측성 평형 교합이 용이한 인공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513A
KR20100080513A KR1020107006590A KR20107006590A KR20100080513A KR 20100080513 A KR20100080513 A KR 20100080513A KR 1020107006590 A KR1020107006590 A KR 1020107006590A KR 20107006590 A KR20107006590 A KR 20107006590A KR 20100080513 A KR20100080513 A KR 20100080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lusal
angle
plane
cro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510B1 (ko
Inventor
히로카즈 사토
구니히로 후지이
노리유키 네고로
Original Assignee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97Artificial teeth; Making same characterised by occlusal profiles, i.e. chewing contact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삭합(削合) 조정량이 적고, 용이하게 양측성 평형 교합(咬合)의 확립이 가능한 인공치(人工齒)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공치의 각 교합 소면(小面)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하였다. 예를 들면, 상악(上顎) 중절치용 인공치에서는, 절연(絶緣)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矢狀面)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2.0°∼25.5°인 동시에, 전두면(前頭面)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6.5°이며,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0.5°∼23.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6.5°이다.

Description

양측성 평형 교합이 용이한 인공치{ARTIFICIAL TOOTH FACILITATING BILATERAL BALANCED OCCLUSION}
본 발명은 유상(有床) 의치(義齒)의 제작 시에 이용되는 미리 중합 경화시킨 인공치(人工齒)에 관한 것이다.
인공치는 치과 의사 또는 치과 기공사에게 제공되어 유상 의치의 제작에 이용되는 치관(齒冠) 재료이며, 몇 종류의 형상이나 크기의 것으로부터 환자의 결손 상태나 치료 방침에 따라서 적의(適宜) 선택되어서 사용된다.
의치의 제작은 인상재(印象材)로 환자의 구강 내의 형취(型取)한 음형(陰型)에 석고를 흘려보내 경화시켜 제작한 모형을 교합기(咬合器)라고 불리는 턱의 운동을 재현하는 기구 상에 부착하고, 이 모형 상에서 작업을 실행한다.
교합기에는, 좌우로 움직일 때의 관절부의 유도로(誘導路)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성 교합기나, 이것을 인간의 평균적인 각도에 고정한 평균치 교합기가 있다. 치과 의사에 의해 특별한 각도 조절의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는, 평균치 교합기가 사용된다.
총의치(總義齒)에 의한 보철(補綴) 치료에 있어서는 양측성(兩側性) 평형 교합이라고 불리는 교합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성 평형 교합은, 완전 평형 교합(full balanced occulusion)과 평형 교합(balanced occulusion)으로 대별된다. 완전 평형 교합이라는 것은 교두(咬頭) 감합위(嵌合位)와 편심 운동의 전(全) 과정에 있어서 모든 치아가 동시에 접촉하는 교합 관계를 말한다. 그러나 임상적으로는 배열 위치나 삭합(削合) 조정의 오차 등으로 재현이 곤란하기 때문에, 평형 교합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평형 교합이라는 것은, 편심 운동할 때에 작업 측에서 2∼3번 치아, 평형 측에서 2∼3번 치아가 접촉 활주하고, 몇 개의 치아가 접촉하지 않는 부위가 있어도 좋다고 하는 교합 관계이다. 그 때문에, 의치의 제작 단계에서의 예비적인 삭합 조정 및 환자의 구강 내 장착 시의 치과 의사에 의한 최종 조정을 실행함으로써, 환자 고유의 하악(下顎) 운동로(運動路)에 적합한 의치가 완성된다. 또한, 작업 측이라는 것은 측방(側方) 운동 시에, 하악 치열(齒列)이 상악(上顎) 치열에 대하여 협측(頰側)에 편위된 측을 말하고, 평형 측이라는 것은 그 반대 측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하의 턱이 교합한 상태로부터 하악을 우측으로 움직였을 때는, 작업 측은 우측이고, 평형 측은 좌측을 가리킨다.
특허문헌 1에서, 본원 출원인은 교두(咬頭)와 소와(小窩)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정한 인공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렇지만 삭합 조정에 의해 양측성 평형 교합으로 하는 작업은, 실제로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한 작업이며, 미리 평균치 교합기의 운동에 조화(調和)되는 삭합 조정을 완료시킨 형상의 인공치가 기대되고 있었다.
JP2003-102752 A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턱 간 거리가 105mm, 시상(矢狀) 과로각(顆路角)이 수평면에 대하여 25°, 교합 3각과 교합 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15°, 시상 절치로각(切齒路角) 10°, 측방 절치로각 10°의 교합기를 이용해서 총의치를 제작할 경우에 있어서, 삭합 조정량이 적고, 용이하게 양측성 평형 교합의 확립이 가능한 인공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악 중절치용(中切齒用) 인공치, 상악 측절치용(側切齒用) 인공치, 상악 견치용(犬齒用) 인공치, 상악 제1소구치용(第一小臼齒用) 인공치,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상악 제1대구치용(第一大臼齒用) 인공치,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의 각 교합 소면(小面)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하였다.
또한,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하악 견치용 인공치,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의 각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하였다.
본 발명은, 상악 인공치와 하악 인공치의 교두 감압위에 있어서의 각 교합 소면의 접촉 위치 관계, 편심위에 있어서의 측방 운동의 작업 측과 평형 측, 및 전방 운동 시의 각 교합 소면의 활주(滑走) 관계를 적절하게 설정하였다.
본 발명의 인공치를 의치(義齒) 제작에 이용함으로써, 평균치 교합기의 각 유도로에 따른 각도로 상하악(上下顎)의 인공치의 전치(前齒) 절연(切緣) 및 구치(臼齒) 교합면끼리가 균일하게 접촉, 활주하는 편심 운동 상태를 얻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조정 작업의 양이 경감된다. 따라서 신속하게 일정한 교합 상태의 의치를 제작할 수 있어, 치과 의사 또는 치과 기공사의 작업 부담의 경감에 기여한다.
도 1은 상악과 하악의 인공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교합면 도면.
도 2는 상악과 하악의 전두면(前頭面)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3은 상악과 하악의 전두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4는 상악과 하악의 시상면(矢狀面)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5는 상악과 하악의 시상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6은 상악과 하악의 협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상악과 하악의 설측(舌側)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9는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0은 상악 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1은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2는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3은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4는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5는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6은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7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8은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19는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20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21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교합면 도면.
도 22는 교두 감압위로 일부 접촉하는 교합 소면을 나타내는 인공치 세트(set) 교합면 도면.
도 23은 측방 운동 시의 작업 측에서 활주하는 교합 소면을 나타내는 인공치 세트 교합면 도면.
도 24는 측방 운동 시의 평형 측에 활주하는 교합 소면을 나타내는 인공치 세트 교합면 도면.
도 25는 전방 운동 시에 활주하는 교합 소면을 나타내는 인공치 세트 교합면 도면.
(기준면의 설명)
실시형태의 설명에 즈음하여 사용하는 기준면의 명칭에 대해서 설명한다.
교합 평면이라는 것은, 해부학적으로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열 중의 절치점(切齒點)과 좌우 최후 구치(臼齒) 교두정(咬頭頂)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이지만, 실제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는 교합기 중의 교합 평면판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 된다.
시상면(矢狀面)이라는 것은 신체를 좌우로 나누는 평면이며, 과두(顆頭) 간 축에 직교하는 평면이다.
전두면(前頭面)이라는 것은 시상면과 수평면이 직교하는 평면이다.
수평면이라는 것은 지면(地面)과 평행하게 되는 면이다.
(교합기의 조건)
본 발명의 인공치를 사용하는 교합기는 과두 간 거리(좌우 양쪽 하악두(下顎頭)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가 105mm, 시상과로각(하악이 전방 운동을 할 때의 하악의 운동로를 시상면에 투영한 경로)이 수평면에 대하여 25.0°, 교합 3각(좌우 양쪽 하악두의 회전 중심과 교합 평면판 상의 절치점(切齒點)을 잇는 3각형으로 구성되는 평면)과 교합 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15.0°, 시상 절치로각(하악이 교두 감압위에 있을 때의 절치점과 상하 전치가 전방 운동해 절연끼리로 교합하였을 때의 절치점을 연결한 선과, 수평 기준면이 이루는 각도)이 10.0°, 측방 절치로각(하악이 교두 감압위에 있을 때의 절치점과 상하 전치가 측방 운동해 절연끼리로 교합하였을 때의 절치점을 연결한 선과, 수평 기준면이 이루는 각도)이 10.0°의 것을 이용한다. 교합 평면판은 수평면과 평행의 것을 사용한다. 조절성 교합기를 상기 조건으로 조절해서 이용해도 좋다.
도 1은 상악과 하악의 인공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교합면 도면, 도 2는 상악과 하악의 전두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3은 상악과 하악의 전두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4는 상악과 하악의 시상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5는 상악과 하악의 시상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6은 상악과 하악의 협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상악과 하악의 설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용 인공치는,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로서 이루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악용 인공치는,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T8,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로서 이루어지고 있다.
도 8은,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을 나타낸다.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은, 절연 i1에 전방 교합 소면 f1과 전방 교합 소면 f2를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1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θ1s)가 22.0°∼25.5°이며 바람직하게는 23.5°∼24.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θ1f)가 1.5°∼6.5°이며 바람직하게는 3.5°∼4.5°이다.
전방 교합 소면 f2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θ2s)가 20.5°∼23.0°이며 바람직하게는 21.0°∼22.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θ2f)가 1.5°∼6.5°이며 바람직하게는 2.5°∼5.5°이다.
도 9는,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를 나타낸다.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는, 절연 i2에 전방 교합 소면 f3과 후방 교합 소면 f4를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3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3.0°∼28.0°이며 바람직하게는 25.0°∼26.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0°∼17.0°이며 바람직하게는 15.5°∼16.5°이다.
후방 교합 소면 f4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6.0°∼22.0°이며 바람직하게는 17.0°∼20.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9.5°∼10.5°이며 바람직하게는 10.0°∼10.5°이다.
도 10은,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을 나타낸다.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은, 절연 i3에 전방 교합 소면 f5와 후방 교합 소면 f6을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5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5.0°∼31.0°이며 바람직하게는 26.0°∼30.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5.0°이며 바람직하게는 2.5°∼4.5°이다.
후방 교합 소면 f6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8.5°∼22.5°이며 바람직하게는 10.0°∼15.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8.0°∼25.0°이며 바람직하게는 19.0°∼24.0°이다.
도 11은,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를 나타낸다.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는, 협측 교두정 c1의 부근에 전방 교합 소면 f7과 후방 교합 소면 f8을 갖고, 설측 교두정 c2의 부근에 평형 교합 소면 f9를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7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4.5°∼27.5°이며 바람직하게는 25.5°∼27.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8.5°∼16.4°이며 바람직하게는 10.0°∼15.0°이다.
후방 교합 소면 f8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8.5°∼27.0°이며 바람직하게는 20.5°∼25.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0°∼18.0°이며 바람직하게는 13.5°∼16.5°이다.
평형 교합 소면 f9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4.5°이며 바람직하게는 2.0°∼3.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9.5°∼35.5°이며 바람직하게는 30.0°∼35.0°이다.
도 12는,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를 나타낸다.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는, 협측 교두정 c3의 부근에 전방 교합 소면 f1O과 후방 교합 소면 f11을 갖고, 설측 교두정 c4의 부근에 평형 교합 소면 f12를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1O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3.0°∼28.0°이며 바람직하게는 23.5°∼27.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0°∼19.0°이며 바람직하게는 12.5°∼15.5°이다.
후방 교합 소면 f11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6.5°∼19.0°이며 바람직하게는 17.5°∼18.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3.0°∼17.5°이며 바람직하게는 14.0°∼15.5°이다.
평형 교합 소면 f12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6.0°∼10.0°이며 바람직하게는 7.5°∼9.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5.5°∼29.0°이며 바람직하게는 27.0°∼28.0°이다.
도 13은,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을 나타낸다.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은, 근심(近心) 협측 교두정 c5의 부근에 전방 교합 소면 f13과 후방 교합 소면 f14를 갖고, 원심(遠心) 협측 교두정 c6의 부근에 전방 교합 소면 f15와 후방 교합 소면 f16을 갖고, 근심 설측 교두정 c7의 부근에 평형 교합 소면 f17과 전방 교합 소면 f18을 갖고, 원심 설측 교두정 c8의 부근에 후방 교합 소면 f19와 평형 교합 소면 f20을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13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8.5°∼21.0°이며 바람직하게는 19.5°∼20.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5.0°∼11.0°이며 바람직하게는 6.0°∼10.0°이다.
후방 교합 소면 f14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7.0°∼12.0°이며 바람직하게는 7.5°∼10.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9.0°∼13.0°이며 바람직하게는 10.0°∼12.0°이다.
전방 교합 소면 f15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5°∼19.5°이며 바람직하게는 17.0°∼18.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8.0°∼9.0°이며 바람직하게는 8.5°∼9.0°이다.
후방 교합 소면 f16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8.5°∼23.0°이며 바람직하게는 19.0°∼21.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1.0°∼13.5°이며 바람직하게는 12.0°∼13.0°이다.
평형 교합 소면 f17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4.5°∼16.5°이며 바람직하게는 15.0°∼16.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40.0°∼42.0°이며 바람직하게는 40.5°∼41.5°이다.
전방 교합 소면 f18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8.5°∼19.5°이며 바람직하게는 18.5°∼19.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4.5°∼6.5°이며 바람직하게는 5.0°∼6.0°이다.
후방 교합 소면 f19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6.5°∼7.5°이며 바람직하게는 7.0°∼7.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5°∼18.0°이며 바람직하게는 16.0°∼17.5°이다.
평형 교합 소면 f20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0°∼12.0°이며 바람직하게는 5.0°∼10.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2.0°∼38.5°이며 바람직하게는 33.0°∼37.0°이다.
도 14는,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을 나타낸다.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은, 근심 협측 교두정 c9의 부근에 전방 교합 소면 f21과 후방 교합 소면 f22를 갖고, 원심 협측 교두정 c1O의 부근에 후방 교합 소면 f23을 갖고, 근심 설측 교두정 c11의 부근에 평형 교합 소면 f24와 전방 교합 소면 f25를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21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2.5°∼25.5°이며 바람직하게는 23.0°∼25.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2.5°이며 바람직하게는 1.5°∼2.0°이다.
후방 교합 소면 f22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9.5°∼17.5°이며 바람직하게는 10.0°∼15.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3.0°∼16.5°이며 바람직하게는 14.0°∼15.5°이다.
후방 교합 소면 f23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6.5°∼12.0°이며 바람직하게는 7.0°∼11.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4.5°∼7.0°이며 바람직하게는 5.0°∼6.5°이다.
평형 교합 소면 f24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0.5°∼10.0°이며 바람직하게는 2.0°∼7.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8.5°∼47.0°이며 바람직하게는 39.0°∼45.0°이다.
전방 교합 소면 f25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0.5°∼22.5°이며 바람직하게는 21.0°∼22.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6.0°이며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도 15는,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T8을 나타낸다.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T8은 절연 i4에 전방 교합 소면 f26을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26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θ26s)가 27.0°∼35.0°이며 바람직하게는 28.0°∼33.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θ26f)가 3.5°∼12.5°이며 바람직하게는 5.0°∼11.0°이다.
도 16은,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를 나타낸다.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는 절연 i5에 전방 교합 소면 f27과 후방 교합 소면 f28을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27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1.0°∼35.0°이며 바람직하게는 32.0°∼33.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0.0°∼1.5°이며 바람직하게는 0.5°∼1.0°이다.
후방 교합 소면 f28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2.0°∼35.0°이며 바람직하게는 23.0°∼30.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7.5°∼26.5°이며 바람직하게는 18.0°∼23.5°이다.
도 17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을 나타낸다.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은 절연 i6에 전방 교합 소면 f29와 후방 교합 소면 f30을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29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3.0°∼28.0°이며 바람직하게는 24.0°∼26.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0.5°∼10.0°이며 바람직하게는 2.5°∼8.0°이다.
후방 교합 소면 f30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4.5°∼18.0°이며 바람직하게는 15.0°∼16.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6.0°∼21.0°이며 바람직하게는 17.5°∼19.5°이다.
도 18은,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을 나타낸다.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은 협측 교두정 c12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 f31과 후방 교합 소면 f32를 갖고, 원심 소와(小窩) s1의 부근에 평형 교합 소면 f33과 전방 교합 소면 f34를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31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8.0°∼41.0°이며 바람직하게는 39.0°∼40.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5.0°∼8.5°이며 바람직하게는 6.0°∼7.5°이다.
후방 교합 소면 f32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7.0°∼17.5°이며 바람직하게는 10.0°∼15.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9.0°∼15.5°이며 바람직하게는 10.0°∼13.5°이다.
평형 교합 소면 f33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0°∼24.0°이며 바람직하게는 16.0°∼23.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9.0°∼32.0°이며 바람직하게는 30.0°∼31.0°이다.
전방 교합 소면 f34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5°∼10.0°이며 바람직하게는 5.0°∼7.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5.0°이며 바람직하게는 2.5°∼4.5°이다.
도 19는,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를 나타낸다.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는, 협측 교두정 c13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 f35와 후방 교합 소면 f36을 갖고, 원심 소와 s2 부근에 평형 교합 소면 f37과 전방 교합 소면 f38을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35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7.5°∼30.0°이며 바람직하게는 28.0°∼29.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6.0°∼19.0°이며 바람직하게는 17.5°∼18.5°이다.
후방 교합 소면 f36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3.0°∼15.0°이며 바람직하게는 13.5°∼14.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7.0°∼24.0°이며 바람직하게는 18.5°∼23.0°이다.
평형 교합 소면 f37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17.0°이며 바람직하게는 15.5°∼16.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0°∼16.5°이며 바람직하게는 12.0°∼15.5°이다.
전방 교합 소면 f38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0°∼5.0°이며 바람직하게는 3.0°∼4.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2.0°∼14.5°이며 바람직하게는 12.5°∼13.5°이다.
도 20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을 나타낸다.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은, 근심 협측 교두정 c14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 f39와 후방 교합 소면 f40과 평형 교합 소면 f41을 갖고, 원심 협측 교두정 c15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 f42와 후방 교합 소면 f43과 평형 교합 소면 f44를 갖고, 원심 교두정 c16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 f45와 평형 교합 소면 f46을 갖고, 중앙와(中央窩) s3의 부근에 전방 교합 소면 f47을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39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3.5°∼32.0°이며 바람직하게는 25.0°∼30.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7.0°∼15.0°이며 바람직하게는 8.0°∼12.0°이다.
후방 교합 소면 f40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7.5°∼12.0°이며 바람직하게는 9.0°∼11.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4.0°∼16.0°이며 바람직하게는 14.5°∼15.5°이다.
평형 교합 소면 f41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0°∼5.5°이며 바람직하게는 3.0°∼4.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0.0°∼32.0°이며 바람직하게는 30.0°∼31.5°이다.
전방 교합 소면 f42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5°∼21.0°이며 바람직하게는 16.0°∼19.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8.0°∼11.0°이며 바람직하게는 9.0°∼10.5°이다.
후방 교합 소면 f43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5.0°∼27.0°이며 바람직하게는 25.5°∼26.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4.0°∼25.0°이며 바람직하게는 24.5°∼25.0°이다.
평형 교합 소면 f44가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2.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13.5°∼18.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0.0°∼37.0°이며 바람직하게는 31.5°∼33.5°이다.
전방 교합 소면 f45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7.5°∼13.0°이며 바람직하게는 9.0°∼11.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0°∼13.0°이며 바람직하게는 10.5°∼12.0°이다.
평형 교합 소면 f46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5°∼4.5°이며 바람직하게는 3.0°∼4.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7.0°∼33.0°이며 바람직하게는 29.0°∼32.0°이다.
전방 교합 소면 f47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5°∼18.5°이며 바람직하게는 12.5°∼16.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8.0°이며 바람직하게는 2.5°∼6.0°이다.
도 21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를 나타낸다.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는, 근심 협측 교두정 c17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 f48과 후방 교합 소면 f49와 평형 교합 소면 f50을 갖고, 원심 협측 교두정 c18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 f51과 후방 교합 소면 f52와 평형 교합 소면 f53을 갖고, 중앙와 s4의 부근에 전방 교합 소면 f54를 갖는다.
전방 교합 소면 f48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6.0°∼30.0°이며 바람직하게는 27.0°∼29.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0°∼13.0°이며 바람직하게는 10.5°∼12.5°이다.
후방 교합 소면 f49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4.0°∼16.0°이며 바람직하게는 14.5°∼15.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0°∼17.5°이며 바람직하게는 15.5°∼17.0°이다.
평형 교합 소면 f50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5°∼3.5°이며 바람직하게는 2.5°∼3.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4.0°∼38.0°이며 바람직하게는 35.0°∼37.0°이다.
전방 교합 소면 f51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7.0°∼21.0°이며 바람직하게는 18.0°∼20.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4.5°∼6.5°이며 바람직하게는 5.0°∼6.0°이다.
후방 교합 소면 f52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9.0°∼22.0°이며 바람직하게는 19.5°∼21.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3.0°∼14.5°이며 바람직하게는 13.5°∼14.0°이다.
평형 교합 소면 f53이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3.0°이며 바람직하게는 1.5°∼2.5°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4.0°∼38.0°이며 바람직하게는 35.0°∼37.0°이다.
전방 교합 소면 f54가 교합 평면 P1과 이루는 각도는, 시상면 P2와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5.5°∼23.0°이며 바람직하게는 17.0°∼20.0°인 동시에, 전두면 P3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5.5°∼12.0°이며 바람직하게는 7.0°∼10.0°이다.
이상의 교합 소면을 갖는 상악 인공치와 하악 인공치를 평균치 교합기에 설치하면, 각 교합 소면은 아래와 같이 접촉한다.
교두 감합위에 있어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의 전방 교합 소면 f1은,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의 전방 교합 소면 f27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의 후방 교합 소면 f2는,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T8의 전방 교합 소면 f26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의 전방 교합 소면 f3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의 전방 교합 소면 f29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의 후방 교합 소면 f4는,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의 후방 교합 소면 f28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의 전방 교합 소면 f5는,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전방 교합 소면 f31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의 후방 교합 소면 f6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의 후방 교합 소면 f30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전방 교합 소면 f7은,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전방 교합 소면 f35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후방 교합 소면 f8은,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후방 교합 소면 f32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평형 교합 소면 f9는,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평형 교합 소면 f33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전방 교합 소면 f1O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39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후방 교합 소면 f11은,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후방 교합 소면 f36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평형 교합 소면 f12는,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평형 교합 소면 f37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3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2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후방 교합 소면 f14는,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후방 교합 소면 f40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5는,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5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후방 교합 소면 f16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후방 교합 소면 f43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17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4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8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7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20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6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1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1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후방 교합 소면 f22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후방 교합 소면 f49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후방 교합 소면 f23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후방 교합 소면 f52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평형 교합 소면 f24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평형 교합 소면 f53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5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4와 일부 접촉한다.
또한, 전방 운동 시, 측방 운동 시의 작업 측 및 평형 측의 각 교합 소면은 아래와 같이 활주(滑走)한다.
측방 운동 시의 작업 측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의 후방 교합 소면 f4는,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의 후방 교합 소면 f28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의 후방 교합 소면 f6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의 후방 교합 소면 f30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후방 교합 소면 f8은,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후방 교합 소면 f32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후방 교합 소면 f11은,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후방 교합 소면 f36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후방 교합 소면 f14는,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후방 교합 소면 f40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후방 교합 소면 f16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후방 교합 소면 f43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8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7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후방 교합 소면 f22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후방 교합 소면 f49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후방 교합 소면 f23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후방 교합 소면 f52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5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4와 일부 활주한다.
측방 운동 시의 평형 측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평형 교합 소면 f9는,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평형 교합 소면 f33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평형 교합 소면 f12는,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평형 교합 소면 f37 및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1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17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4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20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6 및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평형 교합 소면 f50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평형 교합 소면 f24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평형 교합 소면 f53과 일부 활주한다.
전방 운동 시에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의 전방 교합 소면 f1은,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의 전방 교합 소면 f27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의 후방 교합 소면 f2는,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T8의 전방 교합 소면 f26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의 전방 교합 소면 f3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의 전방 교합 소면 f29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의 전방 교합 소면 f5는,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전방 교합 소면 f31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전방 교합 소면 f7은,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전방 교합 소면 f35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전방 교합 소면 f1O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39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3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2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5는,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5 및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48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18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7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1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1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5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4와 일부 활주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인공치에 이용되는 재료는, 장석(長石), 석영, 실리카 등의 세라믹 재료, 또는 MMA, UDMA, EDMA, Bis-GMA 등의 레진(resin) 성분과 유기 또는 무기의 필러(filler)로서 이루어지는 콤퍼지트(composite) 레진이나, 아크릴 레진 등 보통 치과 업계에서 이용되고 있는 레진 재료로부터 적당히 선택된다.
더욱이, 심미성(審美性)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에나멜층용과 덴틴층용의 2색 이상의 색조가 상이한 재료를 사용해서 복수 층에 나누어 적층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질은 전술한 것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고, 2개의 상이한 재료로 색조를 변하게 한 것을 준비하여 조합시켜서 성형하든가, 혹은 동일한 재질로 색조를 변경한 것을 준비해서 이용해도 좋다.
성형법은, 압축 성형, 사출 성형, 사출 압축 성형의 방법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의 인공치는, 평균치 교합기 중의 교합 평면과 각 인공치의 교합 소면과의 각도의 관계를 미리 적절하게 설정하고, 양측성 평형 교합이라고 불리는 교합 접촉 관계를 유지하도록 설정하였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인공치를 평균치 교합기에서 사용하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일정한 교합 상태의 의치를 제작할 수 있어, 의치 제작 시의 삭합 조정의 작업량이 적어진다.
이하에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상 업무에 있어서 인공치 배열 작업을 실행하고 있는 치과 기공사 9명을 피험자로서 무치악(無齒顎) 석고 모형을 장착한 소후사제(松風社製) 핸디 ⅡA형 교합기에 본 발명의 시작 인공치에 대해서 배열 시험을 실행하였다. 소요 시간 및 「양측성 평형 교합」의 완성도의 개관적 평가, 또한 「용이하게 양측성 평형 교합이 얻어진다고 느꼈는가」에 대해서 피험자 자신의 주관적 평가를 시험 결과로서 표 1에 기술하였다.
[표 1]
소요 시간(분) 완성도 주관적 평가
피험자 A 45 △ ○
피험자 B 43 ○ ○
피험자 C 42 ○ ○
피험자 D 88 △ ○
피험자 E 46 △ ×
피험자 F 35 ○ ○
피험자 G 40 ○ ○
피험자 H 37 ○ ○
피험자 Ⅰ 46 ○ ○
본 발명은 보철 치과 치료에서 제작되는 유상(有床) 의치에 사용되는 인공치에 관한 것으로, 치과 의사 또는 치과 기공사가 의치를 제작할 때에 이용되는 것이다.
인공치는 공업 제품이며, 복수의 형태와 크기가 제공되고, 그 중에서 적당히 이용할 수 있는 인공치를 기공사나 치과 의사가 선택하여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치는 교육용으로서 인공치 배열이나 삭합 조정 등의 학생 실습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1: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i1: 절연(切緣)
f1: 전방 교합 소면
f2: 전방 교합 소면
T2: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i2: 절연
f3: 전방 교합 소면
f4: 후방 교합 소면
T3: 상악 견치용 인공치
i3: 절연
f5: 전방 교합 소면
f6: 후방 교합 소면
T4: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c1: 협측 교두정(咬頭頂)
f7: 전방 교합 소면
f8: 후방 교합 소면
c2: 설측 교두정
f9: 평형 교합 소면
T5: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c3: 협측 교두정
f1O: 전방 교합 소면
f11: 후방 교합 소면
c4: 설측 교두정
f12: 평형 교합 소면
T6: 상악 1대구치용 인공치
c5: 근심(近心) 협측 교두정
f13: 전방 교합 소면
f14: 후방 교합 소면
c6: 원심(遠心) 협측 교두정
f15: 전방 교합 소면
f16: 후방 교합 소면
c7: 근심 설측 교두정
f17: 평형 교합 소면
f18: 전방 교합 소면
c8: 원심 설측 교두정
f19: 후방 교합 소면
f20: 평형 교합 소면
T7: 상악 2대구치용 인공치
c9: 근심 협측 교두정
f21: 전방 교합 소면
f22: 후방 교합 소면
c1O: 원심 협측 교두정
f23: 후방 교합 소면
c11: 근심 설측 교두정
f24: 평형 교합 소면
f25: 전방 교합 소면
T8: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i4: 절연
f26: 전방 교합 소면
T9: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i5: 절연
f27: 전방 교합 소면
f28: 후방 교합 소면
T1O: 하악 견치용 인공치
i6: 절연
f29: 전방 교합 소면
f30: 후방 교합 소면
T11: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c12: 협측 교두정
f31: 전방 교합 소면
f32: 후방 교합 소면
s1: 원심 소와(小窩)
f33: 평형 교합 소면
f34: 전방 교합 소면
T12: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c13: 협측 교두정
f35: 전방 교합 소면
f36: 후방 교합 소면
s2: 원심 소와
f37: 평형 교합 소면
f38: 전방 교합 소면
T13: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c14: 근심 협측 교두정
f39: 전방 교합 소면
f40: 후방 교합 소면
f41: 평형 교합 소면
c15: 원심 협측 교두정
f42: 전방 교합 소면
f43: 후방 교합 소면
f44: 평형 교합 소면
c16: 원심 교두정
f45: 전방 교합 소면
f46: 평형 교합 소면
s3: 중앙와(中央窩)
f47: 전방 교합 소면
T14: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c17: 근심 협측 교두정
f48: 전방 교합 소면
f49: 후방 교합 소면
f50: 평형 교합 소면
c18: 원심 협측 교두정
f51: 전방 교합 소면
f52: 후방 교합 소면
f53: 평형 교합 소면
s4: 중앙와
f54: 전방 교합 소면
P1: 교합 평면
P2: 시상면
P3: 전두면(前頭面)

Claims (15)

  1. 절연(切緣)에 전방 교합(咬合) 소면(小面)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矢狀面)과의 단면(斷面)에 있어서의 각도로 22.0°∼25.5°인 동시에, 전두면(前頭面)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6.5°이며,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0.5°∼23.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6.5°인 상악(上顎) 중절치용(中切齒用) 인공치.
  2. 절연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3.0°∼28.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0°∼17.0°이며,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6.0°∼22.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9.5°∼10.5°인 상악 측절치용(側切齒用) 인공치.
  3. 절연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5.0°∼31.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5.0°이며,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8.5°∼22.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8.0°∼25.0°인 상악 견치용 인공치.
  4. 협측(頰側) 교두정(咬頭頂)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또한 설측(舌側) 교두정의 주위에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4.5°∼27.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8.5°∼16.4°이며,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8.5°∼27.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0.0°∼18.0°이며,
    설측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4.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9.5°∼35.5°인 상악 제1소구치용(第一小臼齒用) 인공치.
  5.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또한 설측 교두정의 주위에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3.0°∼28.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0.0°∼19.0°이며,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6.5°∼19.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3.0°∼17.5°이며,
    설측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6.0°∼10.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5.5°∼29.0°인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6. 근심(近心)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원심(遠心)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근심 설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원심 설측 교두정의 주위에 후방 교합 소면과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8.5°∼21.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5.0°∼11.0°이며,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7.0°∼12.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9.0°∼13.0°이며,
    원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5°∼19.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8.0°∼9.0°이며,
    원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8.5°∼23.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11.0°∼13.5°이며,
    근심 설측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4.5°∼16.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40.0°∼42.0°이며,
    근심 설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8.5°∼19.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4.5°∼6.5°이며,
    원심 설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6.5°∼7.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5°∼18.0°이며,
    원심 설측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0°∼12.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2.0°∼38.5°인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7. 근심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원심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근심 설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2.5°∼25.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0°∼2.5°이며,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9.5°∼17.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3.0°∼16.5°이며,
    원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6.5°∼12.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4.5°∼7.0°이며,
    근심 설측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0.5°∼10.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8.5°∼47.0°이며,
    근심 설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0.5°∼22.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6.0°인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8. 절연에 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7.0°∼35.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5°∼12.5°인 하악 중절치용(中切齒用) 인공치.
  9. 절연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1.0°∼35.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0.0°∼1.5°이며,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2.0°∼35.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7.5°∼26.5°인 하악 측절치용(側切齒用) 인공치.
  10. 절연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3.0°∼28.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0.5°∼10.0°이며,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4.5°∼18.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6.0°∼21.0°인 하악 견치용(犬齒用) 인공치.
  11.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원심 소와(小窩)의 주위에 평형 교합 소면과 전방 교합 소면을 갖고,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8.0°∼41.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5.0°∼8.5°이며,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7.0°∼17.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9.0°∼15.5°이며,
    원심 소와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0°∼24.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9.0°∼32.0°이며,
    원심 소와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5°∼10.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0°∼5.0°인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12.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을 갖고, 원심 소와의 주위에 평형 교합 소면과 전방 교합 소면을 갖고,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7.5°∼30.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6.0°∼19.0°이며,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3.0°∼15.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7.0°∼24.0°이며,
    원심 소와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17.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0.0°∼16.5°이며,
    원심 소와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0°∼5.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2.0°∼14.5°인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13. 근심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과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원심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과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원심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중앙와 부근에 전방 교합 소면을 갖고,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3.5°∼32.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7.0°∼15.0°이며,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7.5°∼12.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4.0°∼16.0°이며,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0°∼5.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30.0°∼32.0°이며,
    원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5°∼21.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8.0°∼11.0°이며,
    원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5.0°∼27.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가 24.0°∼25.0°이며,
    원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2.0°∼20.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0.0°∼37.0°이며,
    원심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7.5°∼13.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0.0°∼13.0°이며,
    원심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5°∼4.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7.0°∼33.0°이며,
    중앙와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0.5°∼18.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0°∼8.0°인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14. 근심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과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원심 협측 교두정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과 후방 교합 소면과 평형 교합 소면을 갖고, 중앙와 부근의 주위에 전방 교합 소면을 갖고,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6.0°∼30.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0.0°∼13.0°이며,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4.0°∼16.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0°∼17.5°이며,
    근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2.5°∼3.5°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4.0°∼38.0°이며,
    원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7.0°∼21.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4.5°∼6.5°이며,
    원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9.0°∼22.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3.0°∼14.5°이며,
    원심 협측 교두정 부근의 평형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0°∼3.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34.0°∼38.0°이며,
    중앙와 부근의 전방 교합 소면이 교합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시상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15.5°∼23.0°인 동시에, 전두면과의 단면에 있어서의 각도로 5.5°∼12.0°인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15. 청구항 1로부터 청구항 7의 상악용 인공치와, 청구항 7로부터 청구항 14의 하악용 인공치로 이루어지는 인공치 세트(set)로서,
    교두 감합위에서는,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의 전방 교합 소면 f1은,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의 전방 교합 소면 f27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의 후방 교합 소면 f2는,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T8의 전방 교합 소면 f26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의 전방 교합 소면 f3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의 전방 교합 소면 f29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의 후방 교합 소면 f4는,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의 후방 교합 소면 f28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의 전방 교합 소면 f5는,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전방 교합 소면 f31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의 후방 교합 소면 f6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의 후방 교합 소면 f30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전방 교합 소면 f7은,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전방 교합 소면 f35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후방 교합 소면 f8은,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후방 교합 소면 f32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평형 교합 소면 f9는,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평형 교합 소면 f33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전방 교합 소면 f1O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39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후방 교합 소면 f11은,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후방 교합 소면 f36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평형 교합 소면 f12는,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평형 교합 소면 f37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3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2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후방 교합 소면 f14는,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후방 교합 소면 f40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5는,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5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후방 교합 소면 f16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후방 교합 소면 f43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17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4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8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7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20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6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1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1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후방 교합 소면 f22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후방 교합 소면 f49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후방 교합 소면 f23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후방 교합 소면 f52와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평형 교합 소면 f24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평형 교합 소면 f53과 일부 접촉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5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4와 일부 접촉하고,
    측방 운동 시에는, 작업 측에 있어서,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의 후방 교합 소면 f4는,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의 후방 교합 소면 f28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의 후방 교합 소면 f6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의 후방 교합 소면 f30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후방 교합 소면 f8은,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후방 교합 소면 f32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후방 교합 소면 f11은,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후방 교합 소면 f36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후방 교합 소면 f14는,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후방 교합 소면 f40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후방 교합 소면 f16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후방 교합 소면 f43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8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7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후방 교합 소면 f22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후방 교합 소면 f49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후방 교합 소면 f23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후방 교합 소면 f52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5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4와 일부 활주하는 동시에,
    평형 측에 있어서,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평형 교합 소면 f9는,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평형 교합 소면 f33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평형 교합 소면 f12는,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평형 교합 소면 f37 및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1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17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4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20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평형 교합 소면 f46 및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평형 교합 소면 f50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평형 교합 소면 f24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평형 교합 소면 f53과 일부 활주하고,
    전방 운동 시에는,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의 전방 교합 소면 f1은, 하악 측절치용 인공치 T9의 전방 교합 소면 f27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중절치용 인공치 T1의 후방 교합 소면 f2는, 하악 중절치용 인공치 T8의 전방 교합 소면 f26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측절치용 인공치 T2의 전방 교합 소면 f3은, 하악 견치용 인공치 T1O의 전방 교합 소면 f29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견치용 인공치 T3의 전방 교합 소면 f5는, 하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11의 전방 교합 소면 f31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소구치용 인공치 T4의 전방 교합 소면 f7은, 하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12의 전방 교합 소면 f35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소구치용 인공치 T5의 전방 교합 소면 f1O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39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3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2와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전방 교합 소면 f15는,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5 및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48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6의 평형 교합 소면 f18은, 하악 제1대구치용 인공치 T13의 전방 교합 소면 f47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1은,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1과 일부 활주하고,
    상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7의 전방 교합 소면 f25는, 하악 제2대구치용 인공치 T14의 전방 교합 소면 f54와 일부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 세트(set).
KR1020107006590A 2007-10-01 2007-10-01 양측성 평형 교합이 용이한 인공치 KR101313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9195 WO2009044443A1 (ja) 2007-10-01 2007-10-01 両側性平衡咬合が容易な人工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513A true KR20100080513A (ko) 2010-07-08
KR101313510B1 KR101313510B1 (ko) 2013-10-01

Family

ID=4052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590A KR101313510B1 (ko) 2007-10-01 2007-10-01 양측성 평형 교합이 용이한 인공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28404B2 (ko)
JP (1) JP5214621B2 (ko)
KR (1) KR101313510B1 (ko)
CN (1) CN101815480B (ko)
DE (1) DE112007003671B4 (ko)
WO (1) WO20090444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288A (ko) * 2017-02-28 2019-09-0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의치상 및 그 제조 방법, 인공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유상의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9673A1 (ja) 2007-04-18 2008-10-30 Kabushiki Kaisha Shofu 人工歯
JP5275205B2 (ja) * 2008-12-17 2013-08-28 株式会社松風 人工臼歯
JP4546572B1 (ja) 2009-08-21 2010-09-15 株式会社松風 人工臼歯
DE202012006877U1 (de) * 2011-07-14 2012-10-22 Wolfgang Arnold Zahnersatz
EP2742908B1 (de) * 2012-12-12 2018-05-30 Ivoclar Vivadent AG Zahn mit einer Mulde in seiner Basalfäche
JP2015136520A (ja) * 2014-01-23 2015-07-30 三井化学株式会社 有床義歯の製造方法、有床義歯の設計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229819B2 (ja) * 2018-05-10 2023-02-28 株式会社松風 上下顎嵌合型連結人工歯セット
EP3566675B1 (en) * 2018-05-10 2021-03-24 Kabushiki Kaisha Shofu Maxillomandibular fitting type coupled artificial tooth set
GB2581491B (en) * 2019-02-18 2023-02-22 Davis Schottlander & Davis Ltd Prosthetic tooth
USD942016S1 (en) * 2019-11-05 2022-01-25 Lloyd Thorne Dental decoration
JP2023148001A (ja) 2022-03-30 2023-10-13 株式会社ジーシー 人工歯群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13A (en) * 1909-02-17 1909-12-14 Edwin J Greenfield Mounting for artificial teeth.
US2072127A (en) * 1932-08-15 1937-03-02 Ernest L Pilkington Artificial teeth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06717A (en) * 1934-05-18 1935-07-02 Dentists Supply Co Artificial teeth
US2104459A (en) * 1936-01-14 1938-01-04 Dentists Supply Co Artificial teeth
US2416983A (en) * 1943-07-01 1947-03-04 Ross O Dickson Artificial teeth
US2570562A (en) * 1948-02-24 1951-10-09 Jason D Kinsley Artificial denture
US2585857A (en) * 1948-03-09 1952-02-12 Jacob D Schwartz Artificial tooth
US2874832A (en) * 1958-01-02 1959-02-24 Gordon Eliot Prosthetic dental product
US3105300A (en) * 1960-04-11 1963-10-01 Beresin Morris Artificial teeth
US3247844A (en) * 1964-01-29 1966-04-26 Roberts Dental Mfg Co Inc Mouth guard
US3423831A (en) * 1966-06-27 1969-01-28 Dentists Supply Co Composite artificial tooth
US3638309A (en) * 1970-01-29 1972-02-01 John P Frush Artificial denture
GB1503382A (en) * 1974-04-06 1978-03-08 Rauter Vita Zahnfabrik Artificial mol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H607686A5 (ko) * 1976-10-12 1978-10-13 Gerber Peter T Dentalgeraete C
US4194288A (en) * 1978-02-06 1980-03-25 Martin A. Hass Artificial teeth that minimize stresses on denture supporting tissue
DD148857A3 (de) * 1979-06-29 1981-06-17 Alfred Breustedt Mineralzahn mit silangekoppeltem plasthaft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D272465S (en) * 1981-01-26 1984-01-31 Wolf Ehrenfried G B False tooth
US4481162A (en) * 1981-02-02 1984-11-06 Kv33 Corporation Flexible mold for dental model bases and method of using it
US4445863A (en) * 1982-08-30 1984-05-01 Lang Brien R Artificial teeth
US4626215A (en) * 1985-08-12 1986-12-02 Clarke Clifford R Mastication-enhancing protrusion
US4872840A (en) * 1987-07-15 1989-10-10 Team Incorporated Dental implant and method
JPH0191853A (ja) * 1987-10-02 1989-04-11 Jishi Toushi Kogyo Kk 人工歯
US4911641A (en) * 1988-02-23 1990-03-27 Detsch Steven G Bone growing method and composition
JP2694223B2 (ja) * 1988-05-27 1997-12-24 株式会社ジーシーデンタルプロダクツ 臼歯部用人工歯及びその咬合面部を置換する方法
US5051091A (en) * 1990-10-17 1991-09-24 Rosenfeld Philip J Simplified dental implant operation
US5234339A (en) * 1991-02-14 1993-08-10 Kulzer, Inc.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US5232370A (en) * 1992-09-25 1993-08-03 Hoye Mary E Children's dental teaching toy
US5326262A (en) * 1992-12-01 1994-07-05 Jorgenson H Grant Method of making cuspless artificial dentition
DE4432176A1 (de) * 1994-09-09 1996-03-14 Guenter Kura Künstlicher Seitenzahn für das menschliche Gebiß
JPH08112294A (ja) 1994-10-19 1996-05-07 Nikon Corp 形状計測装置及び形状計測方法
DE19508762C1 (de) * 1995-03-10 1996-05-15 Ivoclar Ag Zahnsatz
US5788489A (en) * 1995-06-07 1998-08-04 Huffman; Ronald E. Dental model base assembly
US5788490A (en) * 1995-06-07 1998-08-04 Huffman; Ronald E. Dental model base and method for forming stone dowels
JPH11290347A (ja) 1998-04-07 1999-10-26 Yamahachi Shizai Kogyo Kk 人工臼歯
US5906489A (en) * 1998-06-10 1999-05-25 Biotech Medical Instruments Corp. Temporary dental implant
DE19837748B4 (de) * 1998-08-20 2007-06-06 Dental Consulting Mönkmeyer S.L. Zahnsatz
CA2351420A1 (en) * 1998-11-30 2000-06-08 Loc X. Phan Attachment devices and methods for a dental appliance
US6318994B1 (en) * 1999-05-13 2001-11-20 Align Technology, Inc Tooth path treatment plan
US6193516B1 (en) * 1999-06-18 2001-02-27 Sulzer Calcitek Inc. Dental implant having a force distribution shell to reduce stress shielding
KR200178291Y1 (ko) * 1999-11-09 2000-04-15 최기선 치과용 보철물
EP1099420A3 (en) * 1999-11-11 2003-04-09 Yamahachi Shizai Kogyo Kabushiki Kaisha Dentures and false teeth
US6488503B1 (en) * 1999-12-21 2002-12-03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Prosthetic teeth and method of making therefor
US20030031981A1 (en) * 2000-10-21 2003-02-13 Robert Holt Prosthetic implant
JP2002177301A (ja) 2000-12-17 2002-06-25 Gc Dental Products Corp 人工臼歯
US20040202983A1 (en) * 2001-09-28 2004-10-14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kits for forming pontics in polymeric shell aligners
JP4603218B2 (ja) * 2001-09-30 2010-12-22 株式会社松風 操作性の良い人工歯
DE10163105A1 (de) * 2001-12-23 2003-07-03 Zahn Spektrum Entwicklungsgese Zahnsatz
JP2004065578A (ja) * 2002-08-06 2004-03-04 Gc Corp 歯牙表面用補綴物
JP4338649B2 (ja) * 2003-05-01 2009-10-07 ヘレウスクルツァージャパン株式会社 人工歯
US7108511B1 (en) * 2003-08-15 2006-09-19 Shatkin Todd E System of dental restoration of single stage dental implants and loading with a preformed crown restoration
CN2778225Y (zh) * 2004-06-30 2006-05-10 北京世纪康特齿科用材有限公司 人造牙
US7699610B2 (en) * 2004-07-22 2010-04-20 Bryan Childress Flexible denture and method to make same
GB2433444A (en) * 2005-12-21 2007-06-27 Davis Schottlander & Davis Ltd Artificial teeth
WO2008129673A1 (ja) * 2007-04-18 2008-10-30 Kabushiki Kaisha Shofu 人工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288A (ko) * 2017-02-28 2019-09-0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의치상 및 그 제조 방법, 인공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유상의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28404B2 (en) 2012-03-06
US20100266988A1 (en) 2010-10-21
DE112007003671T5 (de) 2010-08-12
CN101815480A (zh) 2010-08-25
DE112007003671B4 (de) 2012-07-19
JPWO2009044443A1 (ja) 2011-01-27
KR101313510B1 (ko) 2013-10-01
WO2009044443A1 (ja) 2009-04-09
JP5214621B2 (ja) 2013-06-19
CN101815480B (zh)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510B1 (ko) 양측성 평형 교합이 용이한 인공치
EP3566675B1 (en) Maxillomandibular fitting type coupled artificial tooth set
US20220015880A1 (en) Partial connection full arch artificial tooth having adjustability of dental arch and occlusion curvature
AU2015341709B2 (en) Artificial teeth
JP2013135863A (ja) 両側性平衡咬合が容易な人工歯
JP4546572B1 (ja) 人工臼歯
CN106821523A (zh) 带基牙的基托上粘结全瓷牙冠的数字化全口义齿修复方法
Jones The principles of obtaining occlusion in occlusal rehabilitation
JP7112616B2 (ja) 人工歯片ユニット、義歯および義歯の製造方法
RU2456956C2 (ru) Искусственные зубы, позволяющие легко достигнуть двухсторонней сбалансированной окклюзии
JP7229819B2 (ja) 上下顎嵌合型連結人工歯セット
JP3236400U (ja) 歯列矯正促進アタッチメントに適応したマウスピース、アライナー型の歯列矯正器具
JPH0622990A (ja) 人工歯排列用ガイド板
JP2022018075A (ja) 歯列弓及び咬合彎曲の調節性を有する部分連結型全顎人工歯
JP3603199B2 (ja) 人工臼歯ユニット及び総義歯補綴物
JP2019198630A5 (ko)
Mohapatra et al.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Attrition A Case Report
Hardy et al. A method of arranging artificial teeth for class II jaw relations
JP6630089B2 (ja) 基準義歯床、基準義歯、義歯作製キ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義歯作製方法
In-Sung Occlusal rehabilitation of posterior fixed prostheses: A clinical report
Rani et al.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Bruxism Using Hobo’s Twin-Tables Technique–A Case Report
Gurav et al. Occlusal rehabilitation of severely mutilated dentition
JP2023148001A (ja) 人工歯群
Yeo et al. Occlusal rehabilitation of posterior fixed prostheses: A clinical report
Singh et al. Unconventional-True to Life Interpretation of Esthetics in Single Complete Denture: A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