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440A - 모노사카라이드 및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 Google Patents

모노사카라이드 및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440A
KR20100080440A KR20090132950A KR20090132950A KR20100080440A KR 20100080440 A KR20100080440 A KR 20100080440A KR 20090132950 A KR20090132950 A KR 20090132950A KR 20090132950 A KR20090132950 A KR 20090132950A KR 20100080440 A KR20100080440 A KR 20100080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rbic acid
skin
composition
collagen
rham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3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076B1 (ko
Inventor
줄리앙 라부로
쟝-티에리 시몬네
파스꺌 뽀르테스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0768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8044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10008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1Inj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만노스, 람노스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와 아스코르브산, 이의 아날로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조성물의 노화 징후를 없애는데 사용하는 용도 및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만노스, 람노스, 아스코르브산, 피부, 노화, 화장품

Description

모노사카라이드 및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Combination of monosaccharides with ascorbic acid and use thereof in cosmetics}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만노스, 람노스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와 아스코르브산, 이의 아날로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특히 화장품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 조성물의 용도 및 이를 함유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두개의 주요층, 즉 진피 및 진피 표면을 덮고 있는 표피로 구성된다. 진피(dermis)는 표피에 고체 지지체를 제공한다. 또한 영양 공급원이다. 이들은 섬유모세포 및 주로 콜라겐, 엘라스틴 및 기저 물질로 알려져 있는 물질로 구성된 세포외 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이들 성분은 섬유모세포에 의해 합성된다.
표피와 진피의 결합은 진피-표피 연접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약 100 nm 두께의 복합체 영역이며, 기저 각질세포의 기저극, 표피막 및 진피표층부의 기저-하부 영역을 포함한다. 구조학적 관점에서 보면, 케라틴 섬유내로 삽입되는 헤미데스모좀(헤미데스모좀-토노필라멘트 복합체)은 기저 각질세포의 세포막에 분포된다. 이러한 헤미데스모좀-토노필라멘트 복합체를 마주하여 표피기저막을 가로지르는 앵커링 필라멘트가 존재한다. 앵커링 필라멘트는 표피측에서 라미닌 V에 부착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이 앵커링 소섬유들은 하부-기저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들은 곡선구조로 나와 기저막이 낮은 면상에서 끝나며, I, III 및 V형 콜라겐 섬유에 관여한다.
앵커링 소섬유들은 전자현미경으로 보이는데, VII형 콜라겐(콜라겐 VII라고도 한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VII형 콜라겐은 각질세포 및 섬유모세포에 의해 합성되나, 실질적으로 각질세포에 의해 더 많이 합성된다(Aumailley M., Rousselle P. Laminins of the dermoepidermal junction. Matrix Biology, 1999, 18: 19-28; Nievers M., Schaapveld R., Sonnenberg A. Biology and function of hemidesmosomes. Matrix Biology, 1999, 18: 5-17).
콜라겐은 피부의 세포외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이다. 지금까지 I형 내지 XX형의 20가지 타입의 콜라겐이 확인되었다. 표피 전반에 주로 존재하는 콜라겐은 I형 및 III형 콜라겐으로서, 이들은 전체 진피의 세포외 매트릭스를 형성한다(이들 콜라겐은 진피 건조 중량의 70-80%를 차지한다). 또한 콜라겐은 모두 동일한 세포 형태로부터 합성되는 것은 아니다: I형 및 III형 콜라겐은 본질적으로 진피 섬유모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반면, VII형 콜라겐은 두 범주의 세포, 즉 각질세포와 섬유모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이들 발현 조절은 콜라겐마다 다른데, 예를 들면 I형 및 VII형 콜라겐은 특정 사이토킨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조절되지 않는다: 특히 TNF-a 및 류코레굴린(leukoregulin)은 VII형 콜라겐을 자극하는 반면 I 형 콜라겐은 음성 조절한다. 특히 노화에 관련된 다른 형태의 콜라겐으로서 XII 및 VI형 콜라겐을 예로 들 수 있다. XII형 콜라겐은 I형 콜라겐의 피브릴을 유두상 진피내 다른 매트릭스 화합물에 결합시키며, 피부 조직의 생기계학적 성질을 조절한다: 섬유들 각자에 대해 슬라이딩을 촉진함으로써 콜라겐 섬유의 변형과 수축을 조절한다. VI형 콜라겐은 프로테오글리칸과 같이 콜라겐 섬유의 3차원적 배열을 촉진한다. VI형 콜라겐의 특징은 작용의 다중성이다. 특히 이는 인테그린 타입의 수용체를 통해 다수의 세포 및 다수의 매트릭스 분자(IV형 콜라겐, 피브로넥틴, 바이글리칸, MAGP-1)와 결합한다. 최종적으로 모든 콜라겐 분자는 동일한 전구체 즉 프로콜라겐의 α사슬의 변이체이다.
진피-표피 연접부는 피부의 표면상태를 조건화하는 구조체이다. 원래의 앵커링 구조를 갖는 진피-표피 연접부은 접힌채로 유지되며, 따라서 진피와 표피간의 접촉 영역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특히 이들 두 조직간에 확산인자의 교환을 촉진하며, 그 상호결합을 강화하고, 표피의 외관을 개선한다. 특히 VII형 콜라겐, 테나신의 합성 감소 및/또는 노화로 인해 앵커링 구조가 손상되는 경우, 진피 표피 연접부는 평탄하게 된다. 교환이 적게 일어날 수록, 두 조직은 점차 덜 견고하게 연결되며, 표피가 접히고, 따라서 피부는 덜 견고하고 덜 팽팽하게 되며, 주름이 나타나고 기계적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이 증가된다.
테나신은 진피-표피 연접부를 이루는 주 성분이다. 이는 세포외 매트릭스 당단백질로서, 테나신-C로도 알려져있다. 주기능은 특히 배아형성기 동안 상피-중간엽 상호작용을 담당한다. 피부에서 테나신은 유두상 진피의 상피하부 수준에서 발 견되며, 그외 혈관 및 돌기(appendices)주변에서 발견된다. 과증식, 예컨대 건선이나 암 및 반흔 형성시 특히 발현이 상승한다. 테나신은 피부에서 두 주요세포 타입, 각질세포 및 섬유모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그 기능중 하나는 세포부착이다. 특히 반흔형성 동안 각질세포 이동에서 테나신이 강하게 상향조절되는 것은 각질세포를 결합조직에 부착하여 양호한 표피진피 상호결합을 보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을 제안한다(Crossin KL. Tenascin: a multifunctional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with a restricted distribution in development and disease. J. Cell. Biochem. 1996, 61: 592-598; Latijnhouwers M., Bergers M., Ponec M., Dijkman H., Andriessen M., Schlkwijk J. Human epidermalkeratinocytes are a source of tenascin-C during wound healing. J. Invest. Dermatol., 1997, 108: 776-783; Steijlen P.M., Maessen E., Kresse H., Van Vlijmen I.M.J.J., Verstraeten A.A., Traupe H., Schalkwijk J. Expression of tenascin, biglycan and decorin in disorders of keratinization. Br. J. Dermatol., 1994, 130 : 564-568).
노화에 따라 콜라겐은 점점 더 얇아지며 무질서하게 되며, 피부세포의 재생이 감소하고, 피부표면에 주름이 나타나며, 피부는 어두워지고 덜 견고해진다. 피부 노화는 유전적 특징에 의해 조건화된다. 또한 흡연 및 햇빛에의 노출과 같은 환경적 인자는 노화를 더욱 가속화한다. 햇빛에 노출된 영역, 예를 들면 손등이나 얼굴등의 피부는 더욱 노화된 외관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인자들은 피부의 천연 콜라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피부 통합성 및 기계적 형태의 외부 공격인자에 대한 저항성에 있어서 콜라겐이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볼 때, 이들 콜라겐, 특히 I형 프로콜라겐 및 VI, VII 및 XII형 콜라겐 합성의 촉진은 피부 노화의 징후를 극복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며, 그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고, 세포의 부족 또는 세포 결핍, 세포재생의 결핍 또는 진피 또는 진피표피연접부의 특정 화합물의 결핍에 수반되는 병리현상를 피하기 위해, 각질세포 증식,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 대사의 자극, 및 콜라겐, 특히 I형 프로콜라겐, IV형 콜라겐, VII 형 콜라겐 또는 XII형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고, 테나신의 합성을 증강함으로써, 진피가 역할하는 지지체로서 그리고 영양공급원으로서의 역할, 피부의 다양한 층간의 상호결합, 특히 진피와 표피간의 상호결합을 강화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중요하다.
표피는 진피를 덮고 있으며, 외부 환경과 직접 접촉하고 있고, 탈수 및 외부공격으로 부터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천연적인 인간 표피는 주로 세 형태의 세포, 즉 표피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각질세포, 멜라닌세포 및 랑게르한스 세포로 구성된다. 이들 형태의 세포는, 각각 그들 고유의 기능에 의해, 외부의 공격인자(기후, 자외선, 담배 등)으로부터 인테를 보호하는, "장벽기능"으로 지칭되는 인체에서 피부에 의해 수행되는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표피(epidermis)는 케라틴화된 층상 상피로서 90%가 각질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진피와 상피를 분리시키는 기저막 세포는 피부 표면으로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분화되며, 특히 각질세포의 분화를 포함하며, 이들은 피부표면으로 이동되어 박리 된다.
표피의 노화는 주로 그 두께의 감소로 나타난다. 표피의 위축은 각질세포 증식의 감소 및 노화 각질세포의 축적 결과이다. 각질층은 흐릿해진다.
표피를 구성하는 세포는 지질 도메인으로 구획된다. 분화되는 동안, 표피의 살아있는 층의 세포막의 액체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인지질은 점차 지방산, 콜레스테롤 및 세라마이드(스핑고리피드)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의해 대체된다.
이들 지질은 특이적인 라멜라구조로 조직되며, 그 통합성은 존재하는 분획의 질에 의존할 뿐 아니라 그 각각의 비율에 의존한다. 이러한 표피의 지질 도메인내 지질의 라멜라구조로 인해 피부는 액성 및 유연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지질은 표피, 특히 각질층의 "장벽"기능을 나타낸다.
표피 지질은 주로 살아있는 표피에 의해 합성된다. 이들은 주로 인지질, 스핑고리피드, 콜레스테롤, 자유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및 알칸으로 이루어진다. 인지질은 세포막의 필수적 성분이다. 이는 세포외신호의 전달 및 에너지 생성에 사용되는 지방족 사슬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스핑고리피드 성분에 필수적인 자유지방산의 저장고이다. 콜레스테롤은 피부의 보습 및 표피의 "장벽"기능에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 자유지방산은 각질층의 라멜라 지질구조의 유지, 세포막의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막 유동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수용체의 기능이나 효소활성과 같은 생리학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세라마이드는 표피 대사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질로서, 각질사이지질의 다 층구조를 유지시키는데 필수적이다. 이는 또한 표피의 "장벽"기능 및 수분 교환, 특히 노화에 관련된 보습 문제를 해소하는데 필수적이다.
문헌으로부터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또는 그 특정 유도체들이 특히 세라마이드의 합성을 증가시킴이 실무상 알려져 있다(J. Invest. Dermatol. 109: 348-355, 1997; EP-1 145 706; EP-1 145 710). 생체외 테스트 또한, 독립적으로 배양매질에 비타민 C를 가함으로써 테나신 및 VII형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킬수 있음이 입증된 바 있다(EP-1 334 714).
피부의 생물학적 또는 액틴성 노화 징후를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이 요구된다.
각질세포 증식,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 대사의 자극, 및 콜라겐, 특히 I형 프로콜라겐, IV형 콜라겐, VII 형 콜라겐 또는 XII형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고, 테나신의 합성을 증강함으로써, 진피가 역할하는 지지체로서 그리고 영양공급원으로서의 역할, 피부의 다양한 층간의 상호결합, 특히 진피와 표피간의 상호결합을 강화하고 유지시킬 수 있고, 산화에 불안정하거나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이 없어 화장품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서 놀랍게도,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와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아날로그의 조합이 표피의 지질생성(lipogenesis), 특히 지질 세라마 이드의 합성 및 테나신, VI형, XII형 및/또는 VII형 콜라겐 및/또는 I형 프로콜라겐의 합성에 작용하고, 또한 각질세포 및/또는 섬유모세포의 증식의 활성화 모두에 상승적으로 작용함을 보였다. 상기 조합은 진피, 진피-표피 연접부 및 표피에서 피부의 노화 징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특히 노화 관련된 표피 및/또는 진피 위축을 없애고, 또한 진피와 표피간의 상호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실제로 만노스 또는 람노스에 의해 각질세포 및 섬유모세포의 증식이 활성화되고, I형 프로콜라겐 합성이 촉진됨을 입증하였다.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사용은 따라서 피부의 노화징후 및 특히 노화에 관련된 표피 및/또는 진피 위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전술한 직접적인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들 모노사카라이드들을 사용하는 것은 지금까지 전혀 알려진 바 없다. 특허출원 WO 2007/128939는 사카라이드 화합물과 조합한 장력제(tensioning agent)의 생물기계학적 효과를 통해 얻어진 항-노화 작용을 언급한 바 있으며, 이는 피부 세포의 기계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기계적 수용체의 발현 증가는 장력제 효과에 반응하는 피부 세포 민감도의 증가로 기술되었다.
특허출원 WO 2005/063194는 특히 만노스 또는 람노스를 포함하는 고내성의 생약 베이스(galenical base)를 기술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약 베이스는 단지 담체에 불과하고, 활성제와 조합되었을때만 이들 생약 베이스가 기능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피부 및/또는 화장품용 생약 베이스는 근본적으로 두 폴리올, 즉 만니톨 및 크실리톨의 존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만노스, 람노스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와 아스코르브산, 이의 아날로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특히 화장품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스코르브산은 일반적으로 천연 제품에서 추출되는 형태인 L형태를 사용하며, 이의 아날로그를 사용한다.
아스코르브산은 그 화학적 구조(α-케토 락톤)로 인해, 빛, 열 및 수성 매질 등의 환경적 요인에 매우 민감하며, 따라서 아스코르브산의 사카라이드 에스테르 형태 또는 포스포릴 아스코르브산의 금속염 형태의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아스코르브산의 사카라이드 에스테르 형태는 특히 아스코르브산의 글리코실, 만노실, 프락토실, 푸코실, 갈락토실, N-아세틸무람산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특히 아스코빌-2 글루코사이드(ascorbyl-2 glucoside) 또는 L-아스코르브산의 2-O-α-D 글루코피라노실 또는 L-아스코르브산의 6-O-D 갈락토피라노실이다. 후자의 화합물 및 이들의 제법은 특히 문헌 EP-A-487 404, EP-A-425 066 및 J-05 213 736에 개시되어 있다.
포스포릴 아스코르브산의 금속염 형태의 아스코르브산은 알칼리 금속 아스코빌 포스페이트(alkali metal ascorbyl phosphates), 알칼리 토금속 아스코빌 포스페이트(alkaline-earth metal ascorbyl phosphates) 및 전이금속 아스코빌 포스페이트(transition metal ascorbyl phosphat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아스코르브산 아날로그는 특히, 소듐 아스코베이트, 소듐 또는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의 아세틱 에스테르와 같은 이들의 염, 또는 글리코실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이들의 당이다.
필요한 경우, 아스코르브산을 특허출원 EP 1 374 85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말레 무수 유도체 또는 특허출원 FR 2 832 630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이미다졸 폴리머와 결합함으로써, 산화에 안정한 아스코르브산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하는 부가 화합물은 아스코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실리톨 및 만니톨 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만노스는 육탄당으로서 글루코스의 C2 에피머이다. 람노스(Rhamnose; 6-데옥시만노스)는 통상 만노스의 C6 위치에서의 탈산소 산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사카라이드는 D 또는 L형 만노스 및/또는 람노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이들 각각은 그 자체가 알파 및/또는 베타 아노머(anomer)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형태는 D-만노스 및/또는 L-람노스이다.
D-만노스는 식물, 특히 크랜베리를 포함하는 특정 과일, 또는 활엽수(너도밤나무(beech) 및 박달나무(birch))에 존재한다. 람노스는 천연적으로는 L 형태로 존재한다. D-만노스 및 L-람노스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니스코에서 Sweeteners®의 상품명으로 또는 심리스사에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노사카라이드는 바람직하게 모노머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경구, 국소 또는 피부주입(cutaneous injection)을 통해 투여된 상기 정의된 조성물의 사용, 특히 화장품용 또는 피부용으로서의 사용 특히 피부 및/또는 두피 케어에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헤어케어용, 특히 모발성장 촉진, 모발탈락을 방지 또는 지연하거나 모발의 윤기를 강화하기 위한 화장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특히 개체에, 바람직하게는 인간에, 유효량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와 유효량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아스코르브산 아날로그 및/또는 아스코르브산 그 자체를 조합하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또는 외피(모발, 속눈썹, 손톱 등)의 노화 징후를 경감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처리 방법, 특히 미용적 또는 치료적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은 특히 피부 노화의 징후, 예컨대 주름을 나타내는 개체의 체부 영역 또는 얼굴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을 피부 및/또는 그 외피의 노화 징후를 경감 및/또는 방지하는데 사용하는 용도, 특히 화장품용 또는 피부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정 모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은 크실리톨 및 만니톨 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은 피부 또는 외피의 표피 및 진피세포, 특 히 각질세포 및 섬유모세포의 재생을 특히 그 증식을 증강시켜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시적 노화 및/또는 광노화의 징후를 제거하는데 특히 유효한 방법, 특히 미용적 방법을 제공한다.
광노화의 징후는 자외선에의 노출로 인한 피부의 내부적 분해에 해당한다(액틴성 노화). 경시적 노화의 징후는 개체의 본래적 노화에 기인한 피부의 내부적 분해를 말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얼굴피부의 윤기(radiance of the complexion)를 개선하고, 주름 및/또는 미세주름을 경감 및/또는 예방하고, 피부의 미세굴곡을 개선 및/또는 경감하고, 피부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며, 비비거나 긴장 또는 마찰과 같은 기계적 공격에 대한 피부저항성을 증가시키며, 및/또는 피부 수복(repair)을 촉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의 사용은 피부밀도, 피부의 견고성 및/또는 다양한 부분, 특히 진피와 표피의 상호결합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을 사용하여 주름 및/또는 미세주름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처치, 피부 약화(withered skin), 피부 탄력성 및/또는 긴장성의 부족, 진피 박화(얇아짐), 콜라겐 섬유의 분해, 피부 처짐(flaccid skin), 피부 박화 및/또는 자외선에의 노출에 의해 유발된 피부의 내부적 분해를 예방적 또는 치료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을 사용하여 피부 세포 갱 신, 특히 표피 및/또는 진피의 갱신에 의해 피부 재생, 특히 표피 및/또는 진피의 재생을 촉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진피-표피 연접부에 작용하여 이를 접힌채로 유지시킴으로써, 진피와 표피간의 접촉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들 두 조직간 교환을 촉진하고, 그 상호연결을 강화하며, 표피의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고, 따라서 주름을 경감시키고 및/또는 피부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은 지질생성을 변경함으로써 표피의 지질 프로파일을 개선하고, 피부 지질의 통합성을 강화하며, 피부의 장벽기능을 개선하고 및/또는 피부의 유연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을 사용하여 지질생성을 변경함으로써, 특히 세라마이드의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표피의 지질 프로파일을 개선하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을 사용하여 각질세포 및/또는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증강하고, 콜라겐 합성, 특히 I형 프로콜라겐, VII 형 콜라겐 및 VI형 및/또는 XII형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조합을 사용하여 테나신 및/또는 VII형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전술한 모노사카라이드 및 상기 정의된 아스코르브산 및 그 아날로그 중에서 선택되는 활성성분의 양은 원하는 미용적 또는 치료적 효과에 의존하며, 매우 넓은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당업자는 그의 통상적인 지식에 기초하여, 적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를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30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5 중량%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그리고 특히 부가 화합물이 아스코르브산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를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4 중량% 내지 30 중량%, 특히 0.4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4 중량%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타민 C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를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30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5 중량%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나 그 외피에의 국소 투여, 경구 투여 또는 특히 멸균 용액의 형태로 피부 주입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국소투여는 크림, 겔, 로션, 밀크, 오일, 연고, 왁스, 무스, 페이스트, 세럼, 포마드 또는 샴푸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는 겔 캡슐, 정제 또는 필제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사카라이드,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아날로그는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물질(또는 활성성분)으로, 특히 단독 활성물질로 존재한다.
"활성물질" 및 "활성성분"은 특히 본 발명에서, 개체, 특히 인간 개체에 투여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른 화합물의 생물학적 또는 기계적 효과에 영향을 미침없이, 체부 특히 피부나 외피에 직접적인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전술된 조성물의 활성 성분이 포함되는 매질은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특히 화장품학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이며, 무수성이거나 수성일 수 있다. 수상(aqueous phase) 및/또는 유상(fatty phas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채용될 수 있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및 그 성분, 양, 조성 형태, 제조 모드 및 투여 모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원하는 타입의 조성에 따라, 그가 갖고 있는 통상의 지식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조성물이 국소 투여를 위한 것인 경우, 수성 또는 수성-알콜성 용액,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에멀젼 또는 다중 에멀젼(삼중: W/O/W 또는 O/W/O), 나노에멀젼, 특히 방울 크기가 100 nm 미만인 O/W 나노에멀젼, 수성 겔 또는 소체의 도움에 의해 수상에 유상이 분산되어 있는 현탁액(상기 소체는 나노스피어 및 나노캡슐과 같은 폴리머 나노입자 또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지질 소낭(리포좀, 니오좀 또는 올레오좀(특허출원 FR 2 709 666 및 FR 2 725 369에 기재된 바와 같은)이다)이다.
상기 조성물들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은 다소 유동성이며, 백색 또는 유색의 크림, 포마드, 밀크, 로션, 세럼, 페이스트 또는 무스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임의로 에어로솔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스틱 형태과 같이 고체 형태일 수 있다.
모발 또는 두피에 국소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본 조성물은 수성, 알콜성 또는 수성-알콜성 용액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크림, 겔, 에멀젼 또는 무스의 형태; 감압하 추진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태.
조성물이 특히 수성 분산액, 에멀젼 또는 용액 형태의 수성 형태일때, 수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상은 물, 플로랄 워터(floral water) 및/또는 광천수(mineral w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이 에멀젼인 경우, 유상의 비율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약 5 중량%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 약 2 중량% 내지 50 중량%이다. 오일, 왁스, 유화제 및 공-유화제가 에멀젼 형태에서 조성물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화장품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유화제 및 공유화제는 조성물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3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에멀젼은 지질 소포체일 수 있다.
조성물이 오일성 용액 또는 겔인 경우, 오일상은 조성물 총 중량의 9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오일상은 통상적인 지용성 또는 지질에 분산되는 후술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왁스, 페이스트 화합물, 지방알콜 또는 지방산과 같은 지방성 물질을 포함한다. 오일상은 하나 이상의 오일, 특히 하나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을 포함한다. "오일"은 실온(25℃)에서 액체인 지방성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오일로서, 하기 물질을 예로 할 수 있다:
- 퍼하이드로스쿠알렌과 같은, 동물 유래의 탄화수소-기반의 오일;
- 헵탄산 또는 옥탄산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4 내지 10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산의 액체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예를 들어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매로우유(marrow oil), 포도씨유, 참기름, 헤이즐럿 오일, 살구유, 마카다미아유, 아라라유, 코리안더유, 피자마유, 아보카도유, 예를 들어 스테아리네리 듀보이스사에 의해 시판되거나 디나미트 노벨사에 의해 상품명 미글리올 810, 812 및 818로 시판되는 카프릴/카프리산 트리글리세라이드, 호호바유, 시아버터유(shea butter oil) 및 카프릴일 글리콜과 같은 식물 유래의 탄화수소-기초의 오일;
- 식 R1COOR2 및 R1OR2의 지방산의 합성 에스테르 및 에테르(여기에서 R1은 8 내지 29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또는 지방 알콜 잔기를 표시하며, R2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의 3 내지 30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기초 사슬을 표시), 예를 들면 푸셀린 오일, 2-옥틸도데실 스테아레이트, 2-옥틸도데실 에루케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록시화 에스테르, 예를 들면 이소스테아릴 락테 이트,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또는 트리이소세틸시트레이트; 지방알콜 헵타노에이트, 옥타노에이트 또는 데카노에이트; 폴리올 에스테르,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디옥타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 에스테르, 예를 들면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특히 아지노모노사에 의해 상품명 Eldew SL 205로 시판되는 이소프로필 라우로일사코시네이트;
-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액체 파라핀 및 이들의 유도체, 바셀린(petroleum jelly), 폴리데켄, 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팔레암 오일과 같은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또는 코그니스사에 의해 참조 Cetiol UT로 시판되는 n-운데칸(C11) 및 n-트리데칸(C13) 혼합물과 같은, 광물성 또는 합성 유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 문헌JP-A-2 295 912에 기재된 것과 같은, 부분 탄화수소-기초 및/또는 실리콘 기초의 불소 오일(fluoro oil);
- 실온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상인, 선형 또는 환형 실리콘 사슬을 갖고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폴리메틸실록산(PDMS)과 같은 실리콘 오일, 특히 휘발성 실리콘 오일, 특히 사이클로헥사디메틸실록산 및 사이클로펜타디메틸실록산과 같은 사이클로폴리디메틸실록산(사이클로메티콘); 2 내지 24 탄소수의 알킬, 알콕시 또는 페닐기를 펜단트 또는 실리콘 사슬의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페닐트리메티콘, 페닐디메티콘, 페닐트리메틸실록시디페닐실록산, 디페닐디메티콘, 디 페닐메틸디페닐트리실록산 또는 2-페닐에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폴리메틸페닐실록산과 같은 페닐 실리콘;
- 이들의 혼합물.
상기 오일 리스트에서, "탄화수소-기초 오일"은 탄소 및 수소원자를 주로 포함하고, 에스테르, 에테르, 플루오로, 카복실산 및/또는 알콜기를 포함할 수 있는 오일을 의미한다.
오일상에 존재할 수 있는 기타 지방성 물질로서, 8 내지 30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및 올레산; 라놀린 왁스, 비스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파라핀 왁스, 리그나이트 왁스 또는 마이크로결정 왁스, 세레신 또는 오조케라이트와 같은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 및 피셔-트롭스크 왁스와 같은 합성 왁스; 트리플루오로메틸-C1-4-알킬디메티콘 및 트리플루오로프로필 디메티콘과 같은 실리콘 레진; 및 신-에츄사에 의해 KSG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 다우 코닝사에 의해 Trefil, BY29 또는 EPSX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 또는 그란트산업에 의해 Gransil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과 같은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지방성 물질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원하는 성질을 갖는 조성물의 제조에 적합하도록, 예컨대 조도나 텍스쳐의 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양쪽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유화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를 단독 또는 혼합물로, 임의로 공유화제와 함께 함유할 수 있다. 유화제는 수득하고자 하는 에멀젼(W/O 또는 O/W)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선택된다. 유화제 및 공유화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내에 조성물 총량에 대해 0.3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W/O 에멀젼의 경우, 유화제의 예로는 다우코닝사에 의해 DC 5225 C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사이클로디메티콘 및 디메티콘코폴리올 혼합물과 같은 디메티콘 코폴리올, 다우코닝사의 다우코닝 5200 포물레이션 에이드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라우릴 디메티콘 코폴리올과 같은 알킬 디메티콘 코폴리올, 및 골드슈미드트사에 의해 Abil EM 90®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세틸디메티콘 코폴리올을 들 수 있다. 예컨대 특허 US-A-5 412 004의 실시예 3, 4 및 8 및 특허 US-A-5 811 487의 실시예의 과정, 특히 특허 US-A-5 412 004의 실시예 3(합성예)의 과정에 따라 수득된, 하나 이상의 옥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교차결합된 엘라스토머 고형 오가노폴리실록산, 예컨대 신-에츄사에 의해 참조 KSG 21로 시판되는 제품 또한 W/O 에멀젼을 위한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O/W 에멀젼의 경우, 유화제의 예로는 글리세롤의 옥시알킬렌화(특히 폴리옥시에티렌화)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의 옥시알킬렌화 지방산 에스테르; 옥시알킬렌화(옥시에틸렌화 및/또는 옥시프로필렌화) 지방산 에스테르; 옥시알킬렌화(옥시에틸렌화 및/또는 옥시프로필렌화) 지방알콜에테르; 슈크로스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당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와 PEG-40 스테아 레이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들은 특허 FR 2 760 641에 개시된 폴리머 입자와 같은 입자 또는 특허출원 FR 2 853 543 및 FR 2 819 175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교차 또는 비-교차결합된 양쪽성 폴리머로 안정화된 O/W 에멀젼일 수 있다.
알려진 방식으로 본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보조제들, 예를 들면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향료, 충전체, 흡취제 및 염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존제들의 양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양으로, 예를 들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약 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그 성질에 따라 이들 보조제들은 유상, 수상 및/또는 지질소포체내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저급 알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친수성 겔화제로는, 비제한적 예로서, 카복시비닐폴리머(카보머®), 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와 같은 아크릴코폴리머, 폴리아크릴아미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와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천연검 및 진흙 등이며, 친유성 겔화제로는, 벤톤과 같은 변형 진흙,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의 금속염, 소수성 실리카, 에틸셀룰로스 및 폴리에틸렌을 예로 들 수 있다.
모노사카라이드가 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 게 겔캡슐, 정제 또는 필제의 형태이다. 모노사카라이드가 피부주입을 통해 투여되는 경우,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특히 멸균용액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활성제는 항산화제, 피부-이완제 또는 피부-탈수축제, 항-노화제, 항-당화제, 진피 또는 표피 마크로분자 합성 촉진 및/또는 이들의 분해를 막는 물질, 섬유모세포 또는 각질세포 증식 촉진 및/또는 각질세포 분화 촉진제, 각질외피의 성숙을 촉진하는 물질, NO-신타제 저해제 및 세포에너지대사촉진제 중에서 특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제의 목록이 이하에 예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노화제:
노화, 특히 피부노화의 징후를 경감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물질의 예로는 특히 다음 물질들을 들 수 있다:
비타민 B3, 코엔자임 Q10 (또는 유비퀴논), 비타민 B9, 비타민 E, 예를 들면 쇼와덴코사에 의해 TPNA®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인산 유도체와 같은 비타민 E 유도체, 예를 들면 에스테로더사에 의해 Resveratrate®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레스베라트롤 또는 이들의 유도체, 레티놀 또는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항당화제:
"항당화제"는 피부단백질, 특히 콜라겐과 같은 진피단백질의 당화를 방지 및 /또는 경감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항당화제의 예로는 코스메토켐사에 의해 Blueberry Herbasol Extract PG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인 블루베리추출물(Vaccinium angustifolium 또는 Vaccinium myrtillus)와 같은 에리카세아과 식물 추출물, 에르코티오네인(ergothioneine) 및 이들의 유도체, 레스베라트롤 및 3, 3', 5, 5'-테트라하이드록시스틸벤와 같은 하이드록시스틸벤 및 이들의 유도체 (이들 당화제는 각각 특허출원 FR 2 802 425, FR 2 810 548, FR 2 796 278 및 FR 2 802 420에 개시되어 있다), 디하이드록시스틸벤 및 이들의 유도체, 솔라비아사에 의해 상품명 Amadorine®으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아르기닌 및 리신 폴리펩타이드, 카르시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엑시몰사에 의해 상품명 Alistin®으로 시판), 실랍사에 의해 Antiglyskin®으로 시판되는 헬리안투스 아누스(Helianthus annuus ) 추출물, 지바우단사에 의해 Vin blanc deshydratee 2F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말토덱스트린 지지체상의 분말 백포도주 추출물과 같은 와인 추출물, 치옥타시드(thioctic acid 또는 a-리포산), 라보라토르 세로바이오라지쿼사의 Aglycal LS 8777®과 같은 월귤나무추출물 및 마린 글리코겐(marine glycogen) 혼합물, 및 세르데마사의 Kombuchka®과 같은 홍차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항당화제로는 블루베리추출물(Vaccinium myrtillus) 및 홍차추출물을 들 수 있다.
진피 및/또는 표피 마크로분자의 합성 촉진 및/또는 이들의 분해방지 물질
진피 또는 표피 마크로분자 합성 촉진 및/또는 이들의 분해를 막는 물질의 예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 콜라겐 합성에 작용하는 것으로, 센텔라아시티카(Centella asiatica)추출물, 아시아티코시드 및 이들의 유도체; 이아민, 바이오펩타이드 CL 또는 세르데마사에 의해 시판되는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와 같은 합성 펩타이드; 콜레티카사에 의해 상품명 Phytokine®으로 시판되고 있는 대두가수분해물과 같은, 식물에서 추출한 펩타이드; 실랍사의 Nutripeptide®와 같은 쌀 펩타이드, 엑시몰사에 의해 Algisium C®와 같은 메틸실라놀 만누로네이트; 옥신 및 리그난과 같은 식물 호르몬; 엽산; 및 실랍사에 의해 Vitanol®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과 같은 메다카고사티바(Medicago sativa; 알팔파) 추출물; 솔라비아사에 의해 상품명 Nuteline C®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과 같은 헤이즐넛의 펩타이드 추출물; 및 아르기닌;
- 콜라겐 분해를 저해하는 것으로, 특히 메탈로프로테아제(MMP), 특히 MMP 1, 2, 3 및 9의 작용을 저해하는 것으로, 예로서 다음을 들 수 있다: 레티노이드 및 유도체, 실랍사의 Vitanol®와 같은 메다카고 사티바 추출물, 아트리움 바이오테크날로지사에 의해 Lanablue®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아파니조메논 플루스-아쿠 아(Aphanizomenon flos-aquae; Cyanophyceae) 추출물, 올리고펩타이드 및 리포펩타이드, 리포아미노산, 콜레티카사에 의해 상품명 Collalift®로 시판되고 있는 맥아추출물; 블루베리 또는 로즈마리 추출물; 리코펜; 이소플라본,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특히 대두추출물(예, 이치마루 파르코스사에 의해 상품명 Flavosterone SB®로 시판), 붉은 토끼풀 추출물, 아마추출물 또는 갈근(kakkon) 추출물; 여지(lychee) 추출물; 세픽사에 의해 상품명 Sepilift DPHP®로 시판되는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라인; 실랍사에 의해 시판되는 바카리스 제니스텔로이드(Baccharis genistelloides) 또는 바카린(Baccharine), 코그니스사의 Arganyl LS 9781®와 같은 모링가(moringa) 추출물; 라비아테과의 특허출원 FR-A-2 812 54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세이지 추출물(플렉스만사의 Salvia officinalis), 로도덴드론(rhododendron)추출물, 블루베리추출물, 및 특허출원 FR-A-2 814 950에 개시된 것과 같은 베시늄미르틸러스(Vaccinium myrtillus)추출물;
- 엘라스틴 패밀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에 속하는 분자들의 합성에 작용하는 것으로,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레티놀 및 유도체, 특히 레티닐팔미테이트; LSN사에 의해 상품명 Cytovitin®로 시판되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 추출물(Saccharomyces cerevisiae) 및 세크마사에 의해 Kelpadelie®로 시판되는 알가 마크로시스타스 피리페라 추출물(Macrocystis pyrifera); 솔라비아사에 의해 상품 명 Nuteline C®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헤이즐넛의 펩타이드 추출물;
- 엘라스틴 분해를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LSN사에 의해 상품명 Parelastyl®로 시판되는 피숨 사티붐(Pisum sativum) 종자의 펩타이드 추출물; 헤파리노이드; 및 특허출원 WO 01/94381에 개시된 N-아실아미노아미드 화합물, 예컨대 {2-[아세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3-메틸부티릴아미노}아세트산(N-[N-아세틸, 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발릴]글리신으로도 알려져 있음), 또는 N-아세틸-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발릴글리신 또는 아세틸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발릴글리신, 또는 이들의 C1-C6알콜과의 에스테르; 펜타팜사의 Colhibin®과 같은 쌀 펩타이드 추출물, 또는 로나사의 Emblica®과 같은 필란투스 엠블리카(Phyllanthus emblica) 추출물을 들 수 있다;
-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합성에 작용하는 것으로, 예로써, 다음을 들 수 있다. 브룩사에 의해 Biomin Yoghurt®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스(Lactobacillus vulgaris)로 우유를 발효하여 얻은 제품; 알반뮬러사의 HSP3®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갈색조류 파디나 파보니카(Padina pavonica) 추출물; 특히 Firmalift®의 상품명으로 실랍사 또는 Cytovitin®의 상품명으로에 LSN사 의해 시판되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Saccharomyces cerevisiae)추출물; 세크마사의 Laminaine®과 같은 라미나리아 오크롤레우카(Laminaria ochroleuca) 추출물; 루카스 마이에사의 마카쿠 에센스 및 크레스 추출물(실랍사의 Odraline®);
- 피브로넥틴 합성에 작용하는 것으로, 예로써 다음을 들 수 있다. 상품명 GP4G®로 세포르가사에 의해 시판되는 동물플랑크톤 살리나 추출물; 상품명 Drieline®으로 알반 뮬러사에 의해 특히 시판되는 효모 추출물; 상품명 Matrixyl®으로 세데르마사에 의해 시판되는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
필라그린 및 케라틴과 같은 표피 마크로분자를 자극하는 활성제로는 특히 실랍사에 의해 상품명 Structurine®으로 시판되는 루핀 추출물; 가테포세사에 의해 상품명 Gatuline®RC로 시판되는 파고스 실바티카(Fagus sylvatica) 너도밤나무 눈 추출물; 세포르가사에 의해 GP4G®로 시판되는 동물플랑크톤 살리나 추출물; 프로사이트사의 구리 트리펩타이드; 라보라토르 세로바이오라지쿼사의 Filladyn LS 9397®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보안드제이아 서브스테라니아(Voandzeia substerranea)의 펩타이드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합성 촉진제, 엘라스틴 분해 저해제, 피브로넥틴 합성 촉진제, 표피 마크로분자합성 촉진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진피 및/또는 표피 마크로분자 합성을 촉진하고 및/또는 이들의 분해를 방지하는 활성제가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갈색조류 파디나 파보니카 추출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 추출물, 라미나리아 오크롤레우카 추출물, 마카쿠 에센스, 및 크레스(cres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합성을 촉진하는 활성제를 사용한다.
진피 및/또는 표피 마크로분자의 합성 촉진 및/또는 이들의 분해 방지를 위한 바람직한 활성제로서, 하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아민(iamin), 바이오펩타이드 CL 또는 세르데마사에 의해 시판되는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와 같은 합성 펩타이드; 콜레티카사에 의해 상품명 Phytokine®으로 시판되고 있는 대두가수분해물과 같은, 식물에서 추출한 펩타이드; 실랍사의 Nutripeptide®와 같은 쌀 펩타이드, 엑시몰사에 의해 Algisium C®로 시판되는 메틸실라놀 만누로네이트; 엽산; 및 실랍사에 의해 Vitanol®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메다카고 사티바(알팔파) 추출물; 솔라비아사에 의해 상품명 Nuteline C®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과 같은 헤이즐넛의 펩타이드 추출물; 아르기닌; 아트리움 바이오테크날로지사에 의해 Lanablue®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아파니조메논 플루스-아쿠아(Cyanophyceae) 추출물, 콜레티카사에 의해 상품명 Collalift®로 시판되고 있는 맥아추출물, 리코펜; 여지(lychee) 추출물; 코그니스사의 Arganyl LS 9781®와 같은 모링가(moringa) 추출물; 특허출원 FR-A-2 814 950에 개시된 것과 같은 베시 늄 미르틸러스 추출물; 레티놀 및 유도체 특히 레티닐 팔미테이트; LSN사에 의해 상품명 Cytovitin®로 시판되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 추출물; 솔라비아사에 의해 상품명 Nuteline C®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헤이즐넛의 펩타이드 추출물; {2-[아세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3-메틸부티릴아미노}아세트산 (N-[N-아세틸, 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발릴]글리신으로도 알려져 있음), 또는 N-아세틸-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발릴글리신 또는 아세틸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발릴글리신, 또는 이들의 C1-C6알콜과의 에스테르; 펜타팜사의 Colhibin®과 같은 쌀 펩타이드 추출물, 또는 로나사의 Emblica®과 같은 필란투스 엠블리카 추출물; 알반뮬러사의 HSP3®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갈색조류 파디나 파보니카 추출물; 특히 Firmalift®의 상품명으로 실랍사 또는 Cytovitin®의 상품명으로에 LSN사 의해 시판되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 추출물; 세크마사의 Laminaine®과 같은 라미나리아 오크롤레우카 추출물; 루카스 마이에사의 마카쿠 에센스, 실랍사에 의해 상품명 Structurine®으로 시판되는 루핀 추출물; 가테포세사에 의해 상품명 Gatuline®RC로 시판되는 파고스 실바티카 너도밤나무 눈 추출물.
섬유모세포 또는 각질세포 증식 및/또는 각질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물질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섬유모세포 증식 촉진제는 예컨대, 특 히 대두에서 추출된 식물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LSN사에 의해 상품명 Eleseryl SHVEG8®로 시판되는 대두추출물 또는 실랍사에 의해 상품명 Raffermine®로 시판되는 대두추출물); 실랍사의 Ridulisse®과 같은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추출물; 지버렐린 및 시토키닌과 같은 식물 호르몬; 솔라비아사에 의해 상품명 Nuteline C®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헤이즐넛의 펩타이드 추출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질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를 촉진하는 물질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각질세포 증식 촉진제는 특히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이치마루 파르코스사의 Amacha Liquid E®와 같은 히드랑게 마크로필라(Hydrangea macrophylla) 잎의 추출물, CLR사의 Stimoderm®와 같은 효모 추출물; 세르드마사의 Capislow®와 같은 라레 디바리카타(Larrea divaricata) 추출물, 빈시엔스사의 Xyleine®과 같은 파파야, 올리브잎 및 레몬추출물의 혼합물, 이키마루 파코스사의 Amacha Liquid E®와 같은 히드랑게 마크로필라 잎 추출물,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레티놀 및 이들의 에스테르, 가테포세사에 의해 시판되는 너트케이크(nut cake) 추출물 및 세데르마사에 의해 시판되는 Dermolectine®과 같은 솔라늄 투버로섬(Solanum tuberosum)을 포함한다.
각질세포 분화 촉진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예로서, 칼슘과 같은 광물; 실랍사에 의해 상품명 Structurine®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루핀의 펩타이드 추출물; 세포르가사에 의해 상품명 Phytocohesine®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소듐 베타-시토스테릴 설페이트; 및 솔라비아사에 의해 상품명 Phytovityl®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수용성 옥수수 추출물; 라보라토르 세로바이오라지쿼사의 상품명 Filladyn LS 9397®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보안드제이아 서브스테라니아(Voandzeia substerranea)의 펩타이드 추출물; 및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과 같은 리그난, 및 레티놀 및 레티놀 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이들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각질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를 촉진하는 물질로서, 또한 에스트라디올 및 이들의 호몰로그와 같은 에스트로겐; 또는 시토킨등을 들 수 있다.
섬유모세포 또는 각질세포 증식 및/또는 각질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바람직한 활성제로는, 특히 대두에서 추출된 식물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LSN사에 의해 상품명 Eleseryl SHVEG8®로 시판되는 대두추출물 또는 실랍사에 의해 상품명 Raffermine®로 시판되는 대두추출물); 실랍사의 Ridulisse®과 같은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추출물; 솔라비아사에 의해 상품명 Nuteline C®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헤이즐넛의 펩타이드 추출물; 플로로글루시놀, CLR사의 Stimoderm®와 같은 효모 추출물; 실랍사에 의해 상품명 Structurine®으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루핀의 펩 타이드 추출물; 솔라비아사에 의해 상품명 Phytovityl®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수용성 옥수수 추출물; 라보라토르 세로바이오라지쿼사의 Filladyn LS 9397®의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보안드제이아 서브스테라니아의 펩타이드 추출물; 레티놀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이들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각질외피(horny envelope) 성숙 촉진제
각질외피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손상되고 트란스글루타미나제 활성의 감소가 유발된다. 이러한 각질층을 성숙시키는 물질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요소(urea)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내쇼날 스타치사의 Hydrovance®이나 로레알 특허 출원 FR 2 877 220에 언급된 바 있는 다른 활성제를 들 수 있다.
NO-신타제 저해제
NO 신타제에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은 OPCs (프로시아니돌 올리고머);"Leucocyanidines de raisins extra"의 상품명으로 유로메드사에 의해, Leucoselect®의 상품명으로 인데나사에 의해, 한센사에 의해 "Extrait de marc de raisin"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식물 추출물; 바람직하게 올리브나무 잎에서 수득되며, 비니알사에 의해 건조 추출물 형태로 시판되거나 바이오로지아 & 테크놀로지아사에 의해 상품명 Eurol®BT로 시판되는 올레아 유로피아(Olea europaea)의 식물 추출물; 및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식 물 추출물, 바람직하게 보포어사에 의해 상품명 "Ginkgo biloba extrait standard"로 시판되는 이들 식물의 건조 수성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세포 에너지 대사 촉진제
세포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제는, 예컨대, 비오틴, 세르드마사의 Phosphovital®과 같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라비지아 추출물, 솔라비아사의 Physiogenyl®과 같은 피롤리돈카복실산의 소듐염, 망간염, 아연염 및 마그네슘염의 혼합물, 세픽사의 Sepitonic M3®과 같은 아연, 구리 및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미벨 아게 바이오케미스트리사에 의해 시판되는 제품과 같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서 유도된 베타-글루칸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피부 및 그 외피(모발, 손눈썹, 손톱 등)의 노화 징후를 경감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미용적 피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상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전술한 피부 노화의 징후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개체의 피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방법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노화되고, 주름지며, 연약하거나 처진 피부 또는 피부영역을 갖는 개체의 피부에 또는 탄력성 및/또는 견고성 및/또는 긴장성을 잃은 체부의 영역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료될 피부 또는 외피의 일부, 특히 얼굴, 목, 손, 모발 또는 두피에 바람직하게 날마다 또는 일일 수회씩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은 예컨대 원하는 효과에 따라 다양한 기간동안, 통상 3 내지 6주간 매일 반복할 수 있으며, 이보다 더 오랫동안 계속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대체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충전제품와 함께 임의로 주사에 의해 주입될 수 있다. 특히 주름 및/또는 연조직의 부피 감소를 위한 일 방법으로 충전제품(또는 필러)를 사용한다. 이러한 충전은 비흡수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아미드겔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입자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들은 염증이나 과민방응과 같은 불내성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단백질, 지방, 콜라겐 또는 히알루론산과 같은 재흡수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들은 체내에서 비교적 신속하게 분해되며, 이는 이들의 효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소 경비가 들지만 이들 화합물들을 교차결합시켜야 한다. 현재 약학적 형태 또는 의료장비내에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겔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메조테라피(mesotherapy)로 적용할 수 있다. 메조테라피는 활성물질, 예컨대 마이크로영양소, 비타민 및/또는 히알루론산 등을 표피내(intraepidermal) 및/또는 진피내(intradermal) 및/또는 피하 주사를 통해 처치하는 기술이다. 본 조성물은 이 기술에 따라 다수의 작은 방울들을 주사를 통해 표피내로, 진피-표피 연접부 및/또는 진피내로 투여하여 특히 성공적으로 피하층화를 수행한다. 이러한 메조테라피 기술은 Jacques Le Coz의 간행물 "Traite de mesotherpie"(published by Masson, 2004)에 잘 개시되어 있다. 얼굴에 수행되는 메조테라피는 메조리프트(mesolift) 또는 메조글로우(mesoglow)로도 지칭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비, 특히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 유효량을 아스코르브산 아날로그 또는 아스코르브산 그 자체의 유효량과 조합하여 포함하는 의료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비는 표피내 및/또는 진피내 및/또는 피하 주입에 적합하다. 상기 정의된 활성물질의 조합은 멸균 매질내 용해된다. 상기 장비는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예를 들면 전술한 것들과 같은, 임의로 교차결합된, 하나 이상의 재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제품들을 포함한다.
상기 장비는 예를 들면, 바늘을 갖고 있는 주사기 또는 메조테라피로 알려진 케어 기술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바늘이 없는 주입 장비일 수 있다. 장비를 포함하는 키트도 가능하며, 상기 키트는 장비, 특히 주사기 또는 주입 장비와 상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 모노사카라이드와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아날로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키트는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비는 즉시사용 형태, 즉 미리 충전된 형태(prefilled) 또는 사용전에 충전되는 형태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조성물 또는 다른 장비(예, 바이알)는 상기 활성성분, 모노사카라이드와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날로그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화합물과 조합하여 포함되며, 예컨대 하나 이상의 전술한 충전 제품과 같은, 임의로 교차결합된 재흡수성 또는 비-재흡수성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의 주입은 다른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바람직하게 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지지체내에 전술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을 피부 또는 외피에 적용하기 전에 또는 후에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i) 폐쇄 부재로 밀폐되어 있고, 하나이상의 구획부로 나뉘어져 있는 용기 및 ii) 상기 구획부내에 위치되는 상기 정의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는 적당한 형태라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특히 병, 튜브, 쟈(jar), 케이스, 깡통, 샤세, 또는 박스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폐쇄 부재는 특히 용기에 고정되는 체부 및 체부에 연결된 캡을 포함하는 형태의 제거가능한 마개, 뚜껑, 커버, 찢는 스트립 또는 캡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선택적인 폐쇄를 보증하는 형태의 부재, 특히 펌프, 밸브 또는 클래퍼의 형태일 수 있다.
용기는 적용기와 조합될 수 있다. 적용기는 예를 들면 특허 FR 2 722 380에 개시된 것과 같은 가는 붓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용기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제품은 특히 와이프(wipe) 나 패드(pad) 형태의 주입된 지지체상에 정렬될 수 있고, 또는 개별적으로 또는 복수로 박스나 샤세내에 정렬될 수 있다. 제품을 포함하는 이러한 지지체는 예를 들면 특허출원 WO 01/03538에 기재되어 있다.
폐쇄 부재는 나사로 죄어(screwing) 용기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폐쇄부재와 용기의 결합은 죄는 것 이외, 클릭-고정(click-fastening), 그립핑(gripping), 용접(welding), 본딩(bonding)과 같은 베이오넷기전(bayonet mechanism) 또는 자기적 인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 "클릭-고정"은 특히 폐쇄부재의 일부의 탄성적 변형에 의해 비드나 물질 코드를 교차하고, 뒤이어 비드나 코드의 교차후 상기 부분의 탄성적으로 자유로운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용기는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용기는 비-열가소성물질, 특히 유리나 금속(또는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딱딱하거나 변형될 수 있는 벽, 특히 튜브나 튜브명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조성물의 분배를 개시하거나 촉진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용기는 용기내부의 양압에 반응하여 조성물을 방출할 수 있는 변형가능한 벽을 가질수 있으며, 이러한 양압은 용기벽의 탄성적(또는 비탄성적)으로 짬(squeezing)으로써 유발된다.
전술한 특허 또는 특허출원의 내용은 본 특허출원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일 특정 모드에 따르면, 본 발명은
- 아스코르브산, 이들의 아날로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
- 상기 조성물 A와 별도로 존재하는, 만노스, 람노스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B를 포함하는 조립체, 특히 화장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조성물 A를 피부 및/또는 그 외피에 특히 국소적용으로 투여하는 단계 및 조성물 B를 피부 및/또는 그 외피에 특히 국소적용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용적 또는 피부학적 처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A의 투여는 조성물 B의 투여와 동시에, 그 전에 또는 그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 A 및 B의 투여는 국소적으로, 경구적으로 또는 주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대체예에 따르면, 먼저 조성물 A를 투여하고, 조성물 B를 나중에 투여한다. 다른 대체예에 따르면, 먼저 조성물 B를 투여하고, 조성물 A를 나중에 투여한다.
조성물 A 및 B는 두개의 분리된 용기 또는 한 용기내에 형성된 두 구획내에서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단일용기"는 두 구획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용기는 특히 열가소성물질로 제조되는, 두 구획의 모노블록 몰딩 과정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이는 본딩, 용접 또는 기타 클릭-고정과 같은 조립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두 용기는 서로 독립적이다. 각 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특히 튜브, 병 또는 드럼(drum)이다.
하나 및/또는 다른 용기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펌프가 설치되고, 이 펌프위에 펌프를 구동하는 누름단추가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분배 구멍을 통해 조성물이 분배된다.
또는 하나 및/또는 다른 용기는 추진체, 특히 추진가스에 의해 가압되어 있 다. 이 경우 상기 용기는 노즐이나 다른 제품 분배를 위한 확산 수단을 장착한 누름단추가 장착된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추진체는 특히 용기내 슬라이드될 수 있는 피스톤에 의해, 또는 조성물이 위치된 백의 가요성 벽을 통해 분배 또는 분리될 조성물과 혼합물의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다양한 물질 즉 플라스틱, 유리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두 구획이 튜브 내부에 형성된 두개의 동심 구획으로부터 형성되며, 그 위에 공기의 재흡수가 되지 않는 펌프가 있고, 하나 또는 두개의 분배구멍을 갖는 누름단추가 구비되어 있다. 튜브 내부에는 조성물이 용기 내부에서 꺼내질때 펌프방향으로 올라오는 피스톤이 구비된다. 이러한 분배모드는 특히 치약 분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조합은 각질세포 증식,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 대사의 자극, 및 콜라겐, 특히 I형 프로콜라겐, IV형 콜라겐, VII 형 콜라겐 또는 XII형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고, 테나신의 합성을 증강함으로써, 진피가 역할하는 지지체로서 그리고 영양공급원으로서의 역할, 피부의 다양한 층간의 상호결합, 특히 진피와 표피간의 상호결합을 강화하고 유지시킬 수 있고, 산화에 불안정하거나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이 없어 화장품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 각질세포의 증식
프로토콜
각질세포(HaCat line)를 두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전체 확정된 배양매질 (표준 조건) 및 성장인자가 결핍된 배양 매질. 결핍된 매질은 세포 증식의 조절된 지연을 일으킨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배양매질내 성장인자의 결핍을 보상하여, 이로써 세포증식을 재개시키고 및/또는 세포 대사를 촉진할 수 있는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질세포 증식은 동일한 세포집단에 대해 3 마커로 측정하였다: 세포수에 비례하는 DNA 수준(Cyquant 프로브), 세포막의 극성지질성분의 수준(Nile red 프로브) 및 일반적인 세포 대사를 반영하는 미토콘드리아 호흡(XTT 프로브).
결과
상기 결과를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두 모노사카라이드 람노스 및 만노스는, 세포성장이 상당히 지연되는 배양조건인, 성장인자가 결핍된 매질에서 각질세포가 배양되는 경우에도, 각질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킴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두 화합물에 의해 세포증식의 활성화는 미처리된 대조에 대비되는 많은 세포수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다.
세포수의 증가는, 모노사카라이드들을 1mM의 농도에서 평가시, 상당히 증가되는 DNA 수준(Cyquant), 극성 지질 수준 (Nile red 신호) 및 미토콘드리아 호 흡(XTT 신호)로 확인되었다. 500μM에서, 이 두 분자는 이미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두 모노사카라이드 만노스 및 람노스는 각질세포 증식에 영향을 나타낸다. 이들은 성장인자가 결핍된 매질에서 배양된 각질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며, 이는 미처리된 대조와 대비되는 많은 수의 세포를 통해 명확히 확인되었다.
람노스와 만노스는 표피 재생을 증대시키고, 나이에 관련된 표피위축을 감소시킴으로써 항-노화 효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2 : 섬유모세포의 증식
프로토콜
전체 재구축된 피부 모델을 사용하여 람노스의 진피 부분에 대한 항노화 효능을 측정하였다.
사용되는 재구축 피부모델은 벨 등에 의해 잘 개시되어있다(Bell E. et al., The reconstitution of living skin, J. Invest. Dermatol., 1983, July; 81): 이 모델은 진피 동등물을 포함하고, 이 위에 여러층의 표피가 재구축되어 있다; 상기 진피동등물은 산에 녹는 콜라겐으로부터 제조되며, 배양매질은 혈청 및 정상 성인 인간 섬유모세포를 포함한다. 수축(shrinkage) 5일후, 이 동등물에 각질세포를 주입하고, 6일간은 이머션(immersion)상태에서 배양하고, 7일간은 에머션(emersion)상태에서 배양하여, 다층 표피 및 각질층을 갖는 분화 표피를 수득하였다.
상기 재구축된 피부를 배양매질에서 5 mM 람노스로 2일간 및 5일간 처리하였다; 처리후 재구축 피부를 저온유지장치를 갖는 티슈텍(Tissue Tek)에 넣어 7 ㎛ 두께의 동결 섹션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섹션을 프로피디움 요오드로 염색하여, 섬유모세포 핵내 DNA를 라벨링하여 계수하였다. 각 재구축 피부에 대해 랜덤하게 3개의 동결 섹션을 제조하고; 각 섹션에 대해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두 현미경 필드(25× 대물렌즈)로 분석하였으며 사진을 찍었다. 각 재구축 피부에 대해 고려된 6개의 현미경 필드를 나타내는 전체 6개의 이미지에 대해, 진피 섬유모세포를 계수하였다. 대조 피부와 두 키네틱 단계에서 람노스로처리한 피부간에 진피 섬유모세포의 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람노스는 처리 48시간 이내에 재구축 피부의 진피 섬유모세포 성장 촉진을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자극은 처리 120시간 30% 내지 35%의 추가적인 세포들에 의해 확인되었다(도 3). 특히 이러한 자극은 5 mM, 및 1 mM에서 프로콜라겐의 자극이 수반됨이 주목되었으며, 이는 상기 세포외 매트릭스 주요 단백질을 분비하는 섬유모세포수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들 두 효과 즉 진피부분의 주요세포인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 대사를 촉진시킴으로써, 표피 부분에서 이미 측정된 람노스의 항-노화 활성을 보충한다.
실시예 3 : I형 프로콜라겐의 합성
다른 시리즈의 동결 섹션에 대해 재구축 피부의 진피내 I형 프로콜라겐의 간접 면역형광법을 통한 통상적인 검출을 수행하였다(항-프로콜 1 항체(MAB 1912 밀 리포어) + FTIC-결합 콘쥬게이트 (112-095-068 Jackson Immunoresearch)). 상기 섹션의 현미경 검사시 피부구조물내 표시물(bearing)을 얻기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각질세포와 섬유모세포의 세포핵을 프로피디움 요오드로 염색하여 국재화시켰다. 각 재구축 피부에 대해 랜덤하게 3개의 동결 섹션을 제조하고, 각 섹션에 대해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두 현미경 필드(25× 대물렌즈)로 분석하였으며 사진을 찍었다. 형광수준은 I형 프로콜라겐의 양에 비례하며, 대조 피부 및 람노스 처리 피부의 형광수준을 비교하였다.
도 4의 이미지 1은 배양 120시간에서의 대조 재구축 피부 섹션에 대한 것이며, 진피 섬유모세포에 의해 합성된 I형 프로콜라겐의 존재는 이미지의 아래부분에 위치하는 녹색 형광으로 확인되었다. 고도의 세포성 조직인 표피의 기저부분은 수많은 각질세포 핵으로 가시화되며, 이는 이미지의 상부에 나타난다. 다소 세포가 적은 조직인 진피는 진피 세포외 매트릭스내 섬유모세포의 랜덤한 분포를 나타낸다. 도 4의 이미지 2는 1 mM 람노스를 120시간 처리한 재구축 피부 섹션에 대한 것으로, 대조 피부(이미지 1)에서 관찰된 것과 대비하여 녹색 형광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새로이 합성된 I형 프로콜라겐의 소섬유 측면을 명백하게 나타내는 형광신호들의 분포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전반적인 형광의 증가는 람노스 처리가 섬유모세포에 의한 I형 프로콜라겐 합성을 상당히 자극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되는 동안 세포외 매트릭스의 재생보다는 분해쪽으로 불균형하게 되는, 섬유모세포 대사를 자극하는 람노스의 효능을 명백히 보여준다.
진피 섬유모세포의 대사 및 성장 양자를 자극함으로써, 람노스는 명백히 진 피에서 항노화 효능을 명백히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는 표피부위에서 측정된 것에 상보적으로 작용한다.
실시예 4: 람노스와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비타민 C와 람노스의 표피 세라마이드 합성에 대한 상승작용의 입증
프로토콜
아스코르브산 단독(람노스 미존재)
에피스킨사(Lyons, France)시판 피부 동등물을 7일간 배양하고, 이에 대해 아스코르브산을 가하여 테스트하였다. 사용된 아스코르브산의 양과 과정은 람노스와 함께 조합한 경우와 동일하게 하기 프로토콜에 따라 시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물질들의 조합
에피스킨사(Lyons, France)시판 피부 동등물을 7일간 배양하여 이에 대해 아스코르브산 및 람노스 조합을 가하여 테스트하였다. 배양매질 및 테스트 매질은 공급자 시판 키트내 포함된 것이다. 아스코르브산은 100 및 200 μg/ml로 람노스 5 mM와 배양 매질내에 조합하여 테스트하였다. 재구축된 표피 샘플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대조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동일한 표피 동등물로 구성되었다. 재구축된 표피를 밤새 14C 아세테이트 (2 μCi/ml)와 인큐베이션하여 지질 합성을 모니터하였다. 인큐베이션이 끝난 후, 표피 동등물을 그 콜라겐 지지체로부터 탈착하였다.
표피 동등물로부터 지질을 제조하고 이를 HPTLC(high-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분석하는 것은 M. Ponec (1991, Adv. Lipid Res. 24: 83-117)에 기재된 버퍼 및 기술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동이 끝난 후, 오토라디오그라피의 농도분석을 수행하였다(모델 1800, Fuji brand densitometer 사용). 대조 표피와 조합을 처리한 표피 샘플간의 상피 지질을 비교하였다. 보충물로서, 특정 클래스의 지질, 예를 들면 인지질, 자유지방산, 세라마이드 및 세레브로사이드 및 콜레스테롤의 조절 또한 분석하였다.
결과
아스코르브산 단독 투여에 비해, 아스코르브산 및 람노스 조합을 처리한 재구축 표피 샘플은 월등하게 많은 표피 지질들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5 : 람노스 및 아스코르브산의 조합-비타민 C 및 람노스의 섬유모세포에 의한 VI형 및 XII형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상승적 작용의 입증
본 실시예는 세포외 매트릭스의 VI형 및 XII형 콜라겐의 알파1-사슬의 발현에 미치는 비타민 C 및 L-람노스 조합의 상승적 작용을 보인다.
프로토콜
인간 진피 섬유모세포(9번째 패시지 사용)은 유선 또는 복부수술에서 수득하였다. 하기 물질이 보충된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 10% 소태아혈청(FCS),
- 2 mM L-글루타민 (인비트로겐 25030024),
- 페니실린(50 IU/mL), 스테렙토마이신(50 μg/mL), (인비트로겐 15070063)
- 소듐 피루베이트(인비트로겐 11360039), 및
- 비필수 아미노산(인비트로겐 11140035)
섬유모세포는 전술한 보충 DMEM 매질내, 37℃, 물로 포화된 대기내 5% CO2에서 인큐베이션하여 배양되었다(D0). 세포부착후(D1), 배양매질을 제거하고, 비타민 C, L-람노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매질로 대체하였다. 상이한 자극 조건(비타민 C 25 μM, 50 μM, 람노스 1 mM 및 상이한 조합들)으로 3세트로 수행하였다(12웰 접시).
D3 및 D5 상에서 상이한 콜라겐 발현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RNA의 추출 및 정제:
각 조건 및 각 시간(D3 및 D5)에 대해, 상등액을 제거하고 세포부분을 용해하였다. 전체 RNA를 추출하고 정제하였다. 이 모든 조작은 Qiagen n°79254 키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RNA의 정성 및 정량:
이후 RNA는 형광으로 리보그린 프로토콜(Quan-it, Ribogreen RNA assay kit, 인비트로겐 R11490)에 따라 정량하고, Tecan Safire로 판독하였다. RNA의 동정은 후속하는 전기영동 프로파일로 시행하였다.
비타민 C, L-람노스 또는 이들의 조합의 최종 테스트 농도는 다음과 같다: 비타민 C 50 μM, L-람노스 1mM, 및 조합 : 비타민 C 50 μM + L-람노스 1 mM.
결과
VI형 콜라겐 XII형 콜라겐
Col6A1 Cola12A1
대조 100 100
람노스 1mM 109 115
비타민 C 50 μM 154 124
람노스 1 mM + 비타민 C 50 μM 174 152
상기 표는 람노스, 비타민 C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하에 섬유모세포내 VI형 및 XII형 콜라겐의 생합성 강도를 대조를 100으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들은 진피 섬유모세포에 의한 VI형 및 XII형 콜라겐 코딩 유전자의 전사조절에 람노스 및 비타민 C가 상승작용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실시예 6 :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상피 및 진피 재생 크림:수중유 에멀젼
암모늄폴리아크릴디메틸타우라미드(호스타세린 AMPS 클라리언트사) 1.00%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0%
살구씨유 7%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7%
스테아릴알콜 0.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0.70%
디미리스틸타타레이트/세테아릴알콜/C12-15파레쓰-7/PPG-25-라우레쓰-25 0.50%
크산탄검 0.20%
람노스 5%
아스코르브산 3%
보존제 0.50%
100이 되도록 적량
실시예 7 :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표피재생크림:수중유 에멀젼
암모늄폴리아크릴디메틸타우라미드(호스타세린 AMPS 클라리언트사) 1.00%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0%
글리세롤 1.7%
스테아릴알콜 0.30%
살구씨유 7%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7%
디미리스틸타타레이트/세테아릴알콜/C12-15파레쓰-7/PPG-25-라우레쓰-25 0.50%
크산탄검 0.20%
아스크로브산 5%
SMA 1000 HNa 1%
만노스 5%
보존제 0.50%
100이 되도록 적량
실시예 8 :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표피재생크림:수중유 에멀젼
암모늄폴리아크릴디메틸타우라미드(호스타세린 AMPS 클라리언트사) 1.00%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0%
글리세롤 1.70%
스테아릴알콜 0.30%
살구씨유 7%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7%
디미리스틸타타레이트/세테아릴알콜/C12-15파레쓰-7/PPG-25-라우레쓰-25 0.50%
크산탄검 0.20%
만노스 2.5%
람노스 2.5%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1%
보존제 0.50%
100이 되도록 적량
실시예 9 :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예
항노화 얼굴 데이크림
A1상:
- 슈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스테라이네리 듀보이사 시판품) 1.75%
- 4 몰의 에틸렌옥사이드로 옥시에틸렌화된 솔비탄스테아레이트
(ICI명 트윈 61) 1.15%
- 스테아르산 0.75%
-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4.00%
- 바셀린 코덱스 1.50%
- 아보카도유 3.20%
- 호호바유 3.00%
- 휘발성 실리콘유 2.70%
- 비타민E 아세테이트 1.00%
- 비타민 F 글리세라이드 3.00%
A2상:
- 실리콘 검(다우코닝사 시판품, 상품명 Q2-1403 유체) 3.00%
- 프로필 파라벤 0.2%
- 향료 0.3%
B상:
- 글리세롤 3.00%
- 하이드록시프롤라인 1.00%
- D-판테놀 1.00%
- 트리에타놀아민 0.35%
- 람노스 3.00%
- 글리코실 비타민 C 1.00%
- 메틸파라벤 0.3%
- 탈염수 적량 100%
C상:
- 암모늄폴리아크릴디메틸타우라미드(호스타세린 AMPS 클라리언트사) 1%
도 1은 성장인자가 결핍된 매질의 대조 및 x-축에 표시된 상이한 농도의 L-람노스를 첨가한 매질의 시험군에 대해, 상이한 마커들의 분석을 통해 수득한 각질세포 증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y-축에 지시된 값은 대조에 대한 측정된 라벨된 세포 퍼센트이다.
도 2는 성장인자가 결핍된 매질의 대조 및 x-축에 표시된 상이한 농도의 D-만노스를 첨가한 매질의 시험군에 대해, 상이한 마커들의 분석을 통해 수득한 각질세포 증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y-축에 지시된 값은 대조에 대한 측정된 라벨된 세포 퍼센트이다.
도 3은 미처리 대조 전체재구축된 피부(좌측) 및 5 mM의 람노스로 처리된 전체재구축된 피부(우측)에서 측정된 섬유모세포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처리내 상이한 단계들에서 섬유모세포를 계수하였다. 각 피부타입에 대해 좌측 칼럼은 처리 48시간에 얻어진 계수결과에 해당하며, 우측 칼럼은 처리 120시간에 얻어진 계수결과이다.
도 4는 재구축 피부 두께 7㎛의 동결 섹션의 현미경 사진이다. 형광수준은 흑백사진에서 흰색 표시로 나타내었다; 이는 I형 프로콜라겐양과 비례한다. 대조피부는 좌측에 람노스 1 mM을 처리한 피부는 우측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람노스 및/또는 비타민 C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진피 섬유모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VI형 및 XII형 콜라겐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4)

  1.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만노스, 람노스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와 아스코르브산, 이의 아날로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모노사카라이드의 양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4 중량% 내지 30 중량%인 조성물의, 피부 또는 그 외피의 노화징후의 경감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는 미용적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얼굴피부의 윤기 개선, 주름 및/또는 미세주름의 경감 및/또는 예방, 피부의 미세굴곡의 개선 및/또는 경감, 및/또는 피부의 기계적 성질의 개선에 사용하는 미용적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부의 밀도, 견고성 및/또는 다양한 부분, 특히 진피와 표피간의 상호결합의 개선에 사용하는 미용적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름 및/또는 미세주름, 및/또는 자외선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의 내부적 분해의 예방 또는 치료적 처치에 사용하는 미용적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질생성의 변경, 특히 세라마이 드의 합성의 증가의 유도에 의한 지질프로파일의 개선, 또는 테나신, VII형 콜라겐, VI형 콜라겐 및/또는 XII형 콜라겐의 합성 증가에 사용하는 미용적 용도.
  6.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만노스, 람노스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와 하나 이상의 아스코르브산 아날로그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크실리톨 및 만니톨 조합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
  7.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 만노스, 람노스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와 아스코르브산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크실리톨 및 만니톨 조합을 포함하지 않으며, 모노사카라이드의 함량이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4 중량% 내지 30 중량%, 특히 0.4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4 중량% 내지 6 중량%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 아날로그가 소듐 아스코르베이트와 같은 아스코르브산 염, 마그네슘 또는 소듐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의 아세트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의 사카라이드 에스테르, 및 포스포릴 아스코르브산의 금속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의 사카라이드 에스테르는 아스코르브산의 글리코실, 만노실, 프락토실, 푸코실, 갈락토실과 같은 글리코실 유도체, N-아 세틸글루코사민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N-아세틸무람산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브산의 사카라이드 에스테르는 아스코빌-2 글루코사이드, L-아스코르브산의 2-O-α-D 글루코피라노실 및 L-아스코르브산의 6-O-D 갈락토피라노실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포스포릴 아스코르브산의 금속염은 소듐 아스코빌 포스페이트와 같은 알칼리 금속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및 전이금속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및/또는 아날로그의 함량이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30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5 중량% 내지 6 중량%인 조성물.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외피에의 국소 투여, 경구투여 또는 피부주입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만노스, 람노스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 및 아스코르브산, 이의 아날로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비로서, 표피내 및/또는 진피내 및/또는 피하내 주입에 적합한 장비.
KR1020090132950A 2008-12-30 2009-12-29 모노사카라이드 및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KR101309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9152 2008-12-30
FR0859152A FR2940612B1 (fr) 2008-12-30 2008-12-30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avec l'acide ascorbique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US14511909P 2009-01-16 2009-01-16
US61/145,119 2009-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440A true KR20100080440A (ko) 2010-07-08
KR101309076B1 KR101309076B1 (ko) 2013-09-17

Family

ID=4107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950A KR101309076B1 (ko) 2008-12-30 2009-12-29 모노사카라이드 및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32075B2 (ko)
EP (1) EP2204163B1 (ko)
JP (1) JP6323972B2 (ko)
KR (1) KR101309076B1 (ko)
CN (1) CN101766550A (ko)
BR (1) BRPI0905400B1 (ko)
ES (1) ES2655736T3 (ko)
FR (1) FR29406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42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아이마더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9469A (zh) * 2011-01-11 2012-07-18 南京华狮化工有限公司 一种抗坏血酸糖苷的应用
DE102011002893A1 (de) * 2011-01-20 2012-07-26 Henkel Ag & Co. Kgaa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en gegen trockene Haut
US8895034B2 (en) 2011-11-02 2014-11-25 Mark K Bennett Collagen production compound
JP5901547B2 (ja) 2012-03-28 2016-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組成物、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又は機能性食品
FR2997853B1 (fr) * 2012-11-09 2016-11-04 Oreal Utilisation d'extrait de myrothamnus flabellifolia et de rhamnose pour lutter contre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JP7190248B2 (ja) * 2016-06-08 2022-12-1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支帯改善剤
JP7433628B2 (ja) 2019-12-18 2024-02-2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外用剤及び内用剤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990B2 (ja) 1989-05-10 1998-09-10 株式会社資生堂 肌用化粧料
JP2832848B2 (ja) 1989-10-21 1998-12-09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結晶2―O―α―D―グルコピラノシル―L―アスコルビン酸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TW197375B (ko) 1990-11-19 1993-01-01 Hayashibara Biochem Lab
EP0545002A1 (en) 1991-11-21 1993-06-09 Kose Corporation Silicone polymer, paste-like composition and water-in-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H05213736A (ja) 1992-02-07 1993-08-24 Unitika Ltd 皮膚化粧料
FR2709666B1 (fr) 1993-09-07 1995-10-13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constituée d'une émulsion huile dans eau à base de globules huileux pourvus d'un enrobage cristal liquide lamellaire.
FR2722380A1 (fr) 1994-07-12 1996-01-19 Oreal Applicateur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liquide et ensemble de maquillage muni d'un tel applicateur
FR2725369B1 (fr) 1994-10-07 1997-01-0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nstituee d'une emulsion huile dans eau a base de globules huileux pourvus d'un enrobage cristal liquide lamellaire
JPH10508856A (ja) * 1994-11-15 1998-09-02 オスモティ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キンケア組成物及びその適用方法
JP3597245B2 (ja) * 1995-02-23 2004-12-02 花王株式会社 シワ形成抑制剤
US5811487A (en) 1996-12-16 1998-09-22 Dow Corning Corporation Thickening silicones with elastomeric silicone polyethers
FR2760641B1 (fr) 1997-03-13 2000-08-18 Oreal Emulsion huile-dans-eau stabl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es domaines cosmetique et dermatologique
FR2767694B1 (fr) * 1997-09-02 1999-10-08 Oreal Systeme a base de derive d'acide phosphonique et de metabisulfite pour stabiliser l'acide ascorbique et composition contenant un tel systeme
FR2768623B1 (fr) * 1997-09-22 1999-12-31 Jean Noel Thorel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a usage topique pour le traitement des peaux grasses
AU6294800A (en) 1999-07-09 2001-01-30 Bourjois Article for applying a top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FR2796278B1 (fr) 1999-07-16 2002-05-03 Oreal Utilisation d'au moins un hydroxystilbene comme agent anti-glycation
US7068642B1 (en) * 1999-09-17 2006-06-27 Concerto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of propagating exclusion records in a networked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system
JP2001163720A (ja) * 1999-12-08 2001-06-19 Unitika Ltd 保湿剤、皮膚化粧料および皮膚外用剤
FR2802420B1 (fr) 1999-12-21 2002-02-22 Oreal Utilisation du 3,3', 5,5'-tetrahydroxystilbene comme agent anti-glycation
FR2802425B1 (fr) 1999-12-21 2003-09-26 Oreal Utilisation d'un extrait d'au moins un vegetal de la famille des ericaceae comme agent anti-glycation
FR2807322B1 (fr) 2000-04-10 2004-02-20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comprenant de l'acide ascorbique en association avec un derive d'acide ascorbique
FR2807320B1 (fr) * 2000-04-10 2002-05-24 Oreal Utilisation de derives d'acide ascorbique pour augmenter la synthese des creramides epidermiques
FR2810033B1 (fr) 2000-06-08 2004-04-30 Oreal Nouveaux composes de la famille des n-acylamino-amides,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t utilisations
FR2810548A1 (fr) 2000-06-26 2001-12-28 Oreal Utilisation d'ergothioneine et/ou de ses derives comme agent anti-glycation
FR2812544B1 (fr) 2000-08-02 2003-03-21 Oreal Utilisation d'au moins un extrait d'au moins un vegetal du genre salvia dans des compositions destinees a traiter les signes cutanes du vieillissement
FR2813789B1 (fr) * 2000-09-11 2003-05-02 Ind E Com De Cosmeticos Natura Nouvelle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comprenant une association de vitamine c et/ou avec un composant fucose, et utilisation de cette association en cosmetique ou pharmacie
FR2814950B1 (fr) 2000-10-05 2003-08-08 Oreal Utilisation d'au moins un extrait d'au moins un vegetal de la famille des ericaceae, dans des compositions destinees a traiter les signes cutanes du vieillissement
FR2818547B1 (fr) * 2000-12-22 2006-11-17 Oreal Nouveaux derives c-glycosides et utilisation
FR2819175B1 (fr) 2001-01-11 2003-02-2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acide contenant un polymere amphiphile
US6866841B2 (en) * 2001-08-09 2005-03-15 Epatentmanager.Com Non-endocrine disrupting cytoprotective UV radiation resistant substance
JP2003081805A (ja) * 2001-09-06 2003-03-1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US6955816B2 (en) * 2001-11-16 2005-10-18 Klysz Beatrice M Anti-aging skin car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FR2832630B1 (fr) 2001-11-28 2005-01-1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contenant au moins un actif hydrophile sensible a l'oxydation stabilise par au moins un copolymere de n-vinylimidazole
FR2835429B1 (fr) 2002-02-07 2006-02-10 Oreal Utilisation d'acide ascorbique pour renforcer la cohesion de la jonction dermo-epidermique
DE60302389T2 (de) 2002-06-20 2006-07-13 L'oreal S.A.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Verwendung einer Zusammensetzung, die mindestens einen oxidationsempfindlichen hydrophilen Wirkstoff enthält, der mit mindestens einem Copolymer von Maleinsäureanhydrid stabilisiert ist
AU2003303607A1 (en) * 2002-12-30 2004-07-29 Jean-Noel Thorel Cutaneous metabolic bio-activator
FR2853539B1 (fr) 2003-04-08 2007-10-19 Ind E Com De Cosmeticos Natura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LE FROPs ET LE RROPS,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POUR UNE ACTION ANTI-VIEILLISSEMENT CUTANEE
FR2853543B1 (fr) 2003-04-11 2006-07-14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emulsion h/e contenant des cires, et son utilisation dans le domaine cosmetique
FR2863887B1 (fr) * 2003-12-23 2008-05-16 Jean Noel Thorel Procede d'innoformulation d'une base galenique biocompatible
FR2876283A1 (fr) * 2004-10-07 2006-04-14 Ind E Com De Cosmeticos Natura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compose saccharidique presentant un motif repete riche en rhamnose,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pour une action anti- vieillissement cutane
FR2877220B1 (fr) 2004-11-04 2008-10-10 Oreal Utilisation de composes d'uree pour lutter contre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JP2006321762A (ja) * 2005-05-19 2006-11-30 Ito:Kk 化粧用組成物および化粧料
FR2900574B1 (fr) 2006-05-05 2015-01-30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agent tenseur et un compose saccharidique
EP2026882A2 (fr) * 2006-05-05 2009-02-25 L'Oréal Association d'un agent ou dispositif tenseur et d'un compose saccharidique
JP2008007428A (ja) 2006-06-27 2008-01-17 Showa Denko Kk 皮膚外用シワ防止剤
FR2903004B1 (fr) * 2006-07-03 2009-07-10 Oreal Utilisation en cosmetique d'un derive c-glycoside en association avec de l'acide ascorbique
EP1955692A1 (fr) * 2007-01-12 2008-08-13 L'oreal Utilisation d'actifs permettant d'augmenter la teneur en céramides dans les lèvres, à titre d'agent protecteur des lèvres fragiles
FR2912313B1 (fr) * 2007-02-13 2012-07-06 Rocher Yves Biolog Vegetale Composition d'extrait de ble et d'esculine et utilisation en cosmetiqu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42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아이마더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701322B2 (en) 2018-03-23 2023-07-1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4163A1 (fr) 2010-07-07
US20100173853A1 (en) 2010-07-08
FR2940612B1 (fr) 2011-05-06
BRPI0905400A2 (pt) 2011-03-29
JP6323972B2 (ja) 2018-05-16
FR2940612A1 (fr) 2010-07-02
US9132075B2 (en) 2015-09-15
ES2655736T3 (es) 2018-02-21
KR101309076B1 (ko) 2013-09-17
JP2010155837A (ja) 2010-07-15
CN101766550A (zh) 2010-07-07
EP2204163B1 (fr) 2017-11-29
BRPI0905400B1 (pt)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205B1 (ko) 모노사카라이드 및 각질박리제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KR101198366B1 (ko) 모노사카라이드 및 항산화제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KR101309071B1 (ko) 모노사카라이드 및 c-글리코사이드 유도체의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KR101320526B1 (ko) 모노사카라이드 및 그 조성물의 용도
KR101309076B1 (ko) 모노사카라이드 및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KR101207548B1 (ko) 모노사카라이드 및 아데노신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KR20100080442A (ko) 모노사카라이드 및 자외선차단제의 조합 및 그 미용적 용도
BRPI0905229B1 (pt) Cosmetic use of a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device, and,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