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517A -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 - Google Patents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517A
KR20100079517A KR1020080138037A KR20080138037A KR20100079517A KR 20100079517 A KR20100079517 A KR 20100079517A KR 1020080138037 A KR1020080138037 A KR 1020080138037A KR 20080138037 A KR20080138037 A KR 20080138037A KR 20100079517 A KR20100079517 A KR 2010007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nanoclay
weight
copolymer
polypropyl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503B1 (ko
Inventor
정광섭
김재현
최우진
채종민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5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엘라스토머 40 내지 70 중량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분산 가능한 나노클레이 1.0 내지 40 중량부, 상기 나노클레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 1.0 내지 10 중량부, 및 성형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금속 함유 화합물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Composition for polymer composite with nanoclay and parts of automobile which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외장용 부품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고강도 및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가지며 성형에 따른 수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기계적 물성이 매우 우수한 복합 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등의 각종 부품을 생산하는 소재 산업 분야에서는 보다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증가되고 열이나 성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요인에 의한 형태의 변형 가능성이 적은 높은 고급 소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 소재 중 낮은 성형 수축율이 필요한 소재는 이러한 저 성형 수축률의 확보를 위하여 무기물 등을 고 함량으로 소재에 포함시켜왔다. 그러나 최근의 고유가 추세 및 미국의 CAFE 등 세계 각국의 자동차 연비 규제로 인해 자동차 소재의 경량화가 추구되고 있으나, 상기 고 함량의 무기물을 투입한 자동차 소재는 비중이 높아 경량화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 다.
본 발명은 경량이면서도 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성형 수축률이 낮은 복합 재료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복합 재료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며, 경량이면서도 각종 강도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한 차량 외장용 부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엘라스토머 40 내지 70 중량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분산 가능한 나노클레이 1.0 내지 40 중량부, 상기 나노클레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 1.0 내지 10 중량부 및 성형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금속 함유 화합물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1.0g/10분 내지 100g/10분의 용융지수(230℃) 및 결정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올 레핀계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로서 에틸렌 부텐-1 공중합체(EBR), 에틸렌 옥텐-1 공중합체(EO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나노클레이로서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 등의 오늄 이온으로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클레이의 종류로는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나이트, 사포나이트 등의 스멕타이트계 광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로서는 말단 카르복실화 폴리프로필렌(COOH-PP), 말단 말레익언하이드리드화 폴리프로필렌(MA-PP),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그라프트 공중합체(PP-g-PA), 폴리프로필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PP-g-MA), 폴리에틸렌 옥텐-말레익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EOR-g-MA),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말레익 언하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SEBS-g-M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로서는 칼슘염, 아연화합물 등의 금속 함유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칼슘염으로서는 시스-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칼슘염 등의 카르복실산계 칼슘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외장용 부품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엘라스토머 40 내지 70 중량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분산 가능한 나노클레이 1.0 내지 40 중량부, 상기 나노클레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 1.0 내지 10 중량부 및 성형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금속 함유 화합물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조성물 을 성형하여 제조된다.
상기 차량 외장용 부품으로서는 범퍼, 휀다 또는 가니쉬(Garnish) 등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외장용 부품은 사출 성형에 따른 성형 수축률이 6.2ⅹ10-3 이하이고, 23℃ 및 -30℃에서의 충격 강도가 각각 적어도 46.0 Kgf-cm/cm 및 5.0 Kgf-cm/cm이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경량이면서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열에 의한 변형이 적으며 성형 과정에 따른 성형 수축률이 낮은 복합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범퍼, 휀다, 가니쉬(garnish) 등의 차량 외장용 부품에 적용할 경우 자동차의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비 규제 등의 최근 시대적 요구에도 부합하는 자동차의 제조가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 수축률의 상승을 억제함과 동시에 저경량의 복합 소재의 개발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복합 재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엘라스토머 40 내지 70 중량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분 산 가능한 나노클레이 1.0 내지 40 중량부, 상기 나노클레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 1.0 내지 10 중량부, 및 성형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금속 함유 화합물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성형을 통하여 구체적인 제품이 특정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펠렛 형태의 소재 또는 배합 단계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펠렛 형태와 같이 일차적인 성형 과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최종 제품 형태로 완성되기 전 단계의 모습이라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로 간주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230℃)가 1.0g/10분 내지 100g/10분이고 결정성을 갖는다. 상기 용융지수가 1.0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성이 불량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반면, 용융지수가 10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도 있고 이종 이상의 공중합체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B성분)로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구체적으로 에틸렌 부텐-1 공중합체(EBR) 또는 에틸렌 옥텐-1 공중합체(EOR)가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 부텐-1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0.1 내지 70g/10분,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40g/10분이며, 밀도는 0.85 내지 0.90g/cm3, 바람직하기로는 0.86 내지 0.87g/cm3이다. 에틸렌 옥텐-1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0.1 내지 70g/10분, 바람직하기로는 0.5 ~ 40g/10분이며, 밀도는 0.84 ~ 0.88g/cm3, 바람직하기로는 0.86~0.87g/cm3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강성 및 성형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한 상기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50 내지 60 중량부이다.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의 상기 나노클레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도록 사용되는 상용화제이다.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의 예로서는 말단 카르복실화 폴리프로필렌(COOH-PP), 말단 말레익언하이드리드화 폴리프로필렌(MA-PP),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그라프트 공중합체(PP-g-PA), 폴리프로필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PP-g-MA), 폴리에틸렌 옥텐-말레익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EOR-g-MA),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말레익 언하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SEBS-g-MA)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로서 폴리프로필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PP-g-M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는 블록 혹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들 중 상기 공중합체 PP-g-MA로서는 용융지수가 1.0 내지 1000g/10분이고, 그라프트율이 0.2 내지 2.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나노클레이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반면에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성, 충격 강도 등의 물성이 특히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의 함량은 4 내지 6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클레이는 유기 오늄이온에 의해 유기화된 층상 점토광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층상 점토광물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등의 스멕타이트계 층상광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나노클레이로서는 상기 층상 점토광물에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 등 유기 오늄이온의 유기화제로 처리된 유기화 나노클레이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나노클레이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나노클레이의 유효 물성을 나타내기 어렵고, 반면에 상기 나노클레이의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나노클레이 입자간의 응집현상이 발생하여 나노 입자적 특성을 상실하여 분산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조성물 전체의 물성 증가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클레이의 함량은 5 내지 15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은 일종의 핵제로 사용된다.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로서는 칼슘염 또는 아연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복합 수지의 경우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주로 사용된 소르비톨계 핵제의 경우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을 높여 소재의 강성 향상을 유도할 수는 있으나 사출 후 소재의 수축이 크며 수축의 이방성에 의하여 사출물에 변형을 야기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칼슘염으로서는 특히 시스-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칼슘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은 상기 시스-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칼슘염 및 아연 화합물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이 상기 칼슘염 및 아연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소르비톨계 핵제와 동등 이상의 강성을 나타내는 반면, 압출이나 사출에 따른 수축이 적어 소재의 수축 이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사출물 등 성형물의 성형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거나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강성 보강 효과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의 함량은 0.05 내지 0.3 중량부이다.
상기 차량 외장용 고강도 복합 재료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들 외에도 작업자의 의도나 최종 제품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잇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의 예로서는 내가수분해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윤활제, 이형제, 안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들은 작업자에 의도에 따라 소량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료 조성물은 압출, 사출 등의 다양한 성형 방법을 통하여 특히, 차량 외장용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외장용 부품의 예로서는 범퍼, 휀다, 가니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합재료 조성물은 상술한 용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제품 또는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외장용 부품은 사출 성형에 따른 성형 수축률이 6.2ⅹ10-3 이하인 물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차량 외장용 부품의 23℃ 및 -30℃에서의 충격 강도가 각각 적어도 46.0 Kgf-cm/cm 및 5.0 Kgf-cm/cm이다.
상기 차량 외장용 부품 등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소재 부품들은 경량이면서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이나 환경적 요인에 따른 형태 변형 가능성이 낮으므로 우수한 제품 안정성을 갖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용융지수가 25g/10분인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엘라스토머로서는 용융지수 2.0g/10분인 에틸렌-옥텐 고무(상품명: Engage 8842, Dow Chemical 제조),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로서는 말레이트화 폴리프로필렌으로 호모폴리프로필렌을 기반으로 용융지수가 107g10분이고, FT-IR롤 측정한 말레익언하이드리드 변성율이 0.7%인 MP120PP(켐코정밀사 제조)을 사용하였다. 한편, 나노클레이로서는 평균입경 1㎛인 Nannolin DK4(Zhejiang fenghong clay chemicals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금속 함유 화합물로서는 아연 화합물과 1,2-시클로핵산디카르복실산 칼슘염이 혼합되어 있는 Hyperform HPN-20E(상품명, Milliken사 제조)을 사용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엘라스토머,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 나노클레이 및 금속 함유 화합물은 함량이 각각 100 중량부, 55 중량부, 5 중량부, 중량부 및 0.2 중량부가 되도록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소량의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및 내열안정제를 첨가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길이 대 직경 비율이 44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만든 후, 사출기를 통하여 시험용 시편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엘라스토머로서, 용융지수 6.7g/10분인 에틸렌-부텐 고무 (상품명:Tafmer DF640, Mitsui Chemicals사 제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시험용 시편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
금속 함유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으로 시험용 시편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2]
금속 함유 화합물 대신 인산 나트륨계 핵제(상품명: NA-11, Asahi Denka Kogyo사 제조) 0.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3]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를 3.3 중량부, 나노클레이를 8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4]
엘라스토머를 24 중량부 사용하고, 금속 함유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대시 탈크 76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완성하였다.
하기 표1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분 및 조성을 중량부 및 비율(%) 단위로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엘라스토머,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 나노클레이 및 금속 함유 화합물을 각각 A 성분, B 성분, C 성분, E 성분 및 E 성분으로 표시하였다.
구분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 4
A 성분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성분 55 55 55 55 24
C성분 5 5 5 5 3.3 -
D성분 14 14 14 14 9 -
E성분 0.2 0.2 - 0.2 - -
탈크 - - - - - 76
A성분 비율
(%)
57% 57% 57% 57% 89% 50%
B성분 32% 32% 32% 32% 0% 12%
C성분 3% 3% 3% 3% 3% -
D성분 8% 8% 8% 8% 8% -
E성분 0.2 0.2 - 0.2 - -
탈크 - - - - - 38%
하기 표 2에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 성분의 종류, 사용량 및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물리적 특성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 비중: ASTM D1505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83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크로스-헤드 속도는 50 mm/분으로 설정하였다.
- 아이조드 충격 강도: ASTM D256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험조건은 23℃ 및 - 30℃ 두 조건하에서 가공 톱니 시편을 이용하였다.
- 열 변형 온도: ASTM D648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험조건에 사용된 로드 값은 4.6 kgf/㎠이다.
- 성형 수축율: ASTM D955에 따라 측정하였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중 0.92 0.92 0.92 0.92 0.92 1.20
인장강도 230 225 200 225 270 190
신율 420 440 410 400 150 100
충격강도
23℃
-30℃

46.0
5.1

46.3
5.3

44.0
4.5

42.2
4.3

5.0
1.2

18.3
2.5
열변형온도 110 107 100 106 120 128
성형수축율
(1/1000)
6.2 6.1 7.0 7.5 15.3 6.2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시편이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시편에 비하여 성형 수축율이 낮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시편과 비교하여 기계적 물성은 유사하나 성형 수축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시편이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시편에 비하여 성형 수축율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으며,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시편에 비하여 동일한 성형수축율을 가지나 비중이 작아 경량화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13)

  1.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엘라스토머 40 내지 70 중량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분산 가능한 나노클레이 1.0 내지 40 중량부;
    상기 나노클레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 1.0 내지 10 중량부; 및
    성형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금속 함유 화합물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에틸렌 부텐-1 공중합체(EBR) 및 에틸렌 옥텐-1 공중합체(EOR) 중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클레이는 암모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으로 유기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클레이는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나이트 및 사포나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스멕타이트계 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는 말단 카르복실화 폴리프로필렌(COOH-PP), 말단 말레익언하이드리드화 폴리프로필렌(MA-PP),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그라프트 공중합체(PP-g-PA), 폴리프로필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PP-g-MA), 폴리에틸렌 옥텐-말레익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EOR-g-MA)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말레익 언하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SEBS-g-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함유 화합물은 칼슘염 및 아연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염은 카르복실산 칼슘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염은 시스-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칼슘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재료 조성물.
  10.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엘라스토머 40 내지 70 중량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분산 가능한 나노클레이 1.0 내지 40 중량부;
    상기 나노클레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능기 함유 공중합체 1.0 내지 10 중량부; 및
    성형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금속 함유 화합물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장용 부품은 범퍼, 휀다 또는 가니쉬(Garni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장용 부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장용 부품은 사출 성형에 따른 성형 수축률이 6.2ⅹ1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장용 부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장용 부품의 23℃ 및 -30℃에서의 충격 강도가 각각 적어도 46.0 Kgf-cm/cm 및 5.0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장용 부품.
KR1020080138037A 2008-12-31 2008-12-31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 KR10104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037A KR101042503B1 (ko) 2008-12-31 2008-12-31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037A KR101042503B1 (ko) 2008-12-31 2008-12-31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517A true KR20100079517A (ko) 2010-07-08
KR101042503B1 KR101042503B1 (ko) 2011-06-16

Family

ID=4264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037A KR101042503B1 (ko) 2008-12-31 2008-12-31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5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40B1 (ko) * 2011-08-12 2013-07-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복합 조성물
KR101383621B1 (ko) * 2012-10-26 2014-04-10 (주)대웅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가 향상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611B1 (ko) * 2004-04-08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 스크래치성 및 성형수축률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용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20050101718A (ko) * 2004-04-19 2005-10-25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무-점토 나노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자동차용 웨더스트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40B1 (ko) * 2011-08-12 2013-07-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복합 조성물
KR101383621B1 (ko) * 2012-10-26 2014-04-10 (주)대웅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가 향상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503B1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0585B2 (en) High-flow and high-impact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5636320B2 (ja) 自動車部材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用外装部材
KR101005489B1 (ko)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KR101714074B1 (ko) 자동차 도어 트림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20116160A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US6730728B2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mold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KR100706422B1 (ko) 칫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나노복합 수지
KR101042503B1 (ko)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
JP3990856B2 (ja) ポリプロピレンマスターバ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方法
KR20100027322A (ko) 강성이 우수한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4885185B2 (ja)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成形体の製造方法
CN107337841B (zh) 具有优异的触感和尺寸稳定性的聚丙烯的组合物
JP2007332272A (ja) 自動車外装用プロピ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自動車用外装部材
JP5703202B2 (ja) 射出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射出成形体
JP3320031B2 (ja) 高濃度タルクマスターバッチ
KR101783084B1 (ko)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H01204946A (ja) 自動車バンパ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20060252870A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polyolefin nanocomposite
US20180258269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US11795311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nd vehicle molded parts manufactured therefrom
CN112639025B (zh) 树脂成型体和树脂组合物
KR20180055401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마스터배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4418604B2 (ja) 成形外観、低温衝撃に優れる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6083198A (ja) 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