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962A - 액체 전개용 시트 - Google Patents

액체 전개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962A
KR20100076962A KR1020107007218A KR20107007218A KR20100076962A KR 20100076962 A KR20100076962 A KR 20100076962A KR 1020107007218 A KR1020107007218 A KR 1020107007218A KR 20107007218 A KR20107007218 A KR 20107007218A KR 20100076962 A KR20100076962 A KR 20100076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block copolymer
receiving layer
sheet according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까즈 니노미야
기요히꼬 이또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1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rfacing components, e.g. fluidic, electrical, optical or mechanical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46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trolling flow resistance, e.g. flow controllers, baff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액체 수용층이 배치되고, 그 액체 수용층이 바인더, 및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과 탄소수가 3 이상인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액체 전개용 시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 고습하에서도 안정된 액체 전개성을 나타내고, 또한 기재 밀착성도 양호한 바이오센서용 액체 전개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전개용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바이오센서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전개용 시트{SHEET FOR DEVELOPING LIQUID}
본 발명은 다양한 미량의 액체 시료 중의 특정 성분, 예를 들면 혈액이나 소변 등의 생체액의 특정 성분을 검사 또는 정량할 때에 이용되는 바이오센서에 구비되는 액체 전개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체 시료를 모세관 현상으로 도입하는 캐비티를 구비한 바이오센서에 있어서, 액체 시료의 캐비티 내로의 도입을 조성하는 액체 전개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액체 시료 중의 특정 성분을 정량하는 바이오센서로서, 예를 들면 혈액 중의 글루코스와 센서 중에 담지된 글루코스옥시다아제, 페리시안화칼륨 등의 시약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전류값을 계측함으로써 혈당치 등을 구하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도 1은 그와 같은 종래의 혈당치 측정용 바이오센서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이오센서의 기본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에서도 동등하다. 도 1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 기판(5) 상에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작용 전극(1)과 상대 전극(2)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극 상에는 효소인 글루코스옥시다아제, 전자 전달체인 페리시안화칼륨 및 친수성 고분자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는 시약층(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임의의 양의 혈액을 캐비티(11)에 채취하고, 채취한 혈액과 시약층(10)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전류값을 상기 전극으로 검출한다. 캐비티(11)를 형성하기 위해서, 커버 필름(6)과 절연성 기판(5)을 스페이서(7)를 통하여 접합하고 있다. 스페이서(7)는 전극 및 시약층의 부분이 가늘고 길게 절결되어 있다. 커버 필름(6)에는 공기 도피공(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바이오센서에 있어서, 혈액은 흡인구(8)로부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캐비티(11) 내에 도입되고, 전극과 시약층의 임의의 위치까지 도입된다. 그리고, 전극 상에서의 혈액과 시약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값은 리드(3, 4)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측정 장치에 의해 판독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모세관 현상만으로는 혈액을 캐비티(11) 내에 원활하게 도입하기는 어렵다. 더 빠르고 또한 정확하게 혈액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시약층(10)을 덮도록 그 위로부터 난황 레시틴 등의 계면활성제층(12)을 전개하는 등의 고안이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 있어서 캐비티 내부에 흡인되는 액체 시료의 흡인 속도에 편차가 발생하기 쉬웠다. 특히 고온 다습 환경하에서의 보존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블리드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센서의 측정 편차가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318970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배경을 감안하여, 소량의 검체량으로 측정할 수 있고, 검체 흡수 속도가 빠르고, 또한 측정 정밀도가 높은 바이오센서용 액체 전개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택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액체 전개용 시트는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액체 수용층이 배치되고, 그 액체 수용층이 바인더, 및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과 탄소수가 3 이상인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고습하에서도 안정된 액체 전개성을 나타내고, 또한 기재 밀착성도 양호한 바이오센서용 액체 전개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전개용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바이오센서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바이오센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작용 전극
2: 상대 전극
3: 작용 전극용 리드
4: 상대 전극용 리드
5: 절연 기판
6: 커버 필름
7: 스페이서
8: 흡인구
9: 공기 도피공
10: 시약층
11: 캐비티
12: 계면활성제층
13: 기재 이면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 특히 전극 방식(전기 전도도 측정)의 검사 시트에 있어서, 검사 시트의 흡인공으로부터 액체가 빠르게 도입되도록 하는, 소위 액체 전개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액체 전개용 시트는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액체 수용층이 배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전개용 시트는, 액체 수용층으로서 바인더 및 특정의 알킬렌옥사이드 단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를 배합한 결과,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규명한 것이다.
액체 수용층를 구성하는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이오노머 수지, 우레탄 수지, 나일론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 수지,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 수지,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 수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알킬렌옥시드 수지, 젤라틴 등의 유기계 바인더나, 지르코늄, 규소, 알루미늄, 티탄 원자 등을 포함하는 무기계 바인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것이 기재와의 접착력이나 액체의 습윤성 및 전개성 등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과 탄소수가 3 이상인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는, 액체 수용층의 표면 저항값 및 임계 표면 장력을 조정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함으로써 액체의 습윤성 및 전개성이 양호해지는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
HO-(CH2CH2O)l-(R1-O)m-(CH2CH2O)n-H
<화학식 2>
HO-(R2-O)o-(CH2CH2O)p-(R3-O)q-H
여기서, R1, R2, R3은 탄소수가 3 이상인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l, m, n, o, p, q는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H-NMR 또는 13C-NMR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틸렌옥사이드/알킬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 타입의 블록 공중합체의 예로서, 플루로닉(Pluronic)(R) PE3100, PE3500, PE4300, PE6100, PE6120, PE6200, PE6400, PE6800, PE7400, PE8100, PE9200, PE9400, PE10100, PE10300, PE10400, PE10500(BASF 재팬(주)제), 아데카(Adeka)(R)플루로닉 L-23, L-31, L-33, L-34, L-35, F-38, L-42, L-43, L-44, L-61, L-62, L-64, P-65, F-68, L-71, L-72, P-75, P-77, L-81, P-84, P-85, F-88, L-92, P-94, F-98, L-101, P-103, P-104, P-105, F-108, L-121, L-122, P-123, F-127((주)ADEKA제), 뉴폴 PE-34, PE-61, PE-62, PE-64, PE-68, PE-71, PE-74, PE-75, PE-78, PE-108, PE-128(산요화성공업(주)제), 프로논(R) #124P, #188P, #407P(닛폰유지(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알킬렌옥사이드 타입의 블록 공중합체의 예로서, 플루로닉(R) RPE1720, RPE1740, RPE2035, RPE2510, RPE2520, RPE2525, RPE3100(BASF 재팬(주)제), 아데카(R)플루로닉 17R-2, 17R-3, 17R-4, 25R-1, 25R-2((주)ADEKA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도 상기 화학식 중에 나타낸 알킬렌옥사이드 단위의 탄소수가 3 내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명확한 이유는 불명료하지만,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알킬렌옥사이드 단위의 탄소수가 6 이상이 되면 액체의 전개성이 차이가 나게 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알킬렌옥사이드 단위가 프로필렌옥사이드 단위인 것이 액체의 전개성이 더 양호한 것이 실증되어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수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2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15000이다. 즉,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이면, 액체 수용층에 의한 액체의 전개성이 양호하고, 그 결과 측정 정밀도가 안정되어 단시간에 측정이 완료되므로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20000 이하이면, 블록 공중합체를 바인더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JIS K0070(1992)에 준거하여 측정된 수산기가가 5 내지 200mgKOH/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00mgKOH/g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산기가가 5mgKOH/g 이상이면, 바인더와의 상용성이 좋고, 기재와의 밀착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수산기가가 200mgKOH/g 이하이면, 액체의 습윤성 및 전개성이 좋고, 측정 정밀도가 안정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JIS K 0064(1992)에 준거하여 측정된 융점이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융점의 상한은 70℃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의 융점이 25℃ 이상이면, 액체 수용층으로부터 블록 공중합체가 블리드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그 액체 전개용 시트를 형성 후 그대로 권취하였을 때, 기재 이면에 액체 수용층이 전사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만약, 기재 이면에 액체 수용층이 전사되면, 그 액체 전개용 시트를 이용하여 액체를 흡인할 때 그 기재 이면에도 액체가 퍼짐으로써, 일정량 이상의 액체가 채취되거나 측정 정밀도가 안정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 중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중량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 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5 내지 80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중량비란, 블록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한 그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의 중량의 비율이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중량비가 1중량% 이상이면 액체 수용층에 있어서의 액체의 습윤성 및 전개성이 좋아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중량비가 90% 이상이면, 바인더와의 상용성이 좋고, 기재와의 밀착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부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부이다.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0.1중량부 이상이면 액체 수용층에 있어서의 액체의 습윤성 및 전개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30중량부 이하이면, 기재와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액체 수용층 표면에 블록 공중합체가 블리드하는 것에 의한 블로킹이 일어나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 수용층에는 수산기와 반응하는 가교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함으로써 액체 수용층과 기재의 밀착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수산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글리시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누레이트형, 뷰렛형, 어덕트형 중의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어덕트형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기재로서는 플라스틱 필름, 합성지, 종이 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된 복합 시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치수 안정성이나 내구성 등의 점으로부터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필름의 재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ρ-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공중합체나 블렌드물이나 더 가교된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α,β-비스(2-클로르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기계적 특성, 작업성 등의 품질,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에 대한 액체 수용층의 부착량은 0.1 내지 5g/㎡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g/㎡이다. 부착량이 0.1g/㎡보다 적으면, 가공시의 찰상 등에 의해 액체 수용층의 탈락이나 핀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측정 정밀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착량이 5g/㎡보다 많아지면, 작업성이 나빠지는 경우나 블로킹을 일으키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전개용 시트를 제조하는 수단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액체 수용층은, 그 액체 수용층을 구성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고, 도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액은 예를 들면 상기 바인더와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톨루엔이나 메틸에틸케톤(MEK) 등의 유기 용제나 물 등의 용매로 원하는 농도로 희석하여 얻을 수 있다.
그 도포액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키스 코트법, 다이 코트법 및 바 코트법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기재 상에는 도포액을 도포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공기 중 또는 그 외의 분위기 중에서의 코로나 방전 처리나 프라이머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도포성을 양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액체 수용층을 더 강고하게 기재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액 농도 및 도막 건조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재의 제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도포액 농도는 도포액에 대하여 그 액체 수용층 성분이 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 건조 조건은 70 내지 160℃에서 10초 내지 5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 수용층은 상기 도포액으로 미리 막 형태의 물질을 만들고, 그것을 기재에 점착시킴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수지 필름 등의 이형 필름에 도포액을 도공하여 기재에 전사하는 방법이 채택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시험편의 특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실시예 1)
[각 부재의 작성 방법]
각 부재의 작성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1) 스페이서의 작성 방법
도레이(주)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루미라"(R)(타입 100E20)를 기재로 하였다. 또한 도포액으로서 연화점 105℃의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수지를 톨루엔/MEK(메틸에틸케톤)=4/1(중량비)에 용해한 30% 용액(다카마츠유지주식회사제 페스레진 S140)을 준비하였다. 그 30% 용액을 콤마 코터로 실리콘계 이형 필름에 도포하고, 120℃에서 2분간 건조한 후,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수지를 기재의 한쪽 면에 전사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수지를 기재의 다른쪽 면에도 전사하여 양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수지층을 갖는 스페이서 필름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수지층의 두께는 각각 20㎛였다.
(2)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
도레이(주)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루미라"(R)(타입 100T60)를 기재로 하였다. 또한 도포액으로서 다카마츠유지(주)제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스레진 S-140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 A(산요화성공업(주)제 뉴폴 PE-64; 알킬기 R1:프로필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중량비 40%; 수평균 분자량(Mn) 3016; 수산기가 37.2mgKOH/g)를 100중량부/5중량부의 비율로 조합하여 톨루엔/MEK=1/1(중량비)로 15중량%로 희석한 것을 준비하였다. 도포액을 그라비아 코터로 기재의 한쪽 면에 도포하고, 120℃에서 30초 건조하여 액체 수용층을 갖는 커버 필름을 얻었다. 액체 수용층의 도포 두께는 1.0g/㎡였다.
[캐비티의 작성 방법]
도레이(주)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루미라"(R)(타입 250H10) 상에 상기 각 부재의 작성 방법 (1)의 수순으로 작성한 스페이서와, 상기 각 부재의 작성 방법 (2)의 수순으로 작성한 액체 수용층을 갖는 커버 필름을 접착시킴으로써, 폭 1.2㎜, 높이 140㎛, 길이 20㎜의 캐비티를 갖는 시험편을 작성하였다. 또한, 커버 필름은 액체 수용층이 스페이서측을 향하도록 하여 접착하였다.
(액체 전개성 평가)
상기 캐비티의 작성 방법의 수순으로 작성된 시험편을 23℃, 65% RH 분위기에 5일간 노출한 것, 및 40℃, 90% RH 분위기에 5일간 노출한 것을 각각 3개씩 준비하였다. 그 시험편의 흡인공의 선단에 헤마토크리트를 45%로 조정한 혈액을 대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혈액을 상기 캐비티 내에 도입하였다. 흡인공의 선단에 혈액을 대고 나서 캐비티 내의 15㎜의 위치에 혈액이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한 시간을 계측하였다. 3개의 시험편의 평균값으로 평가하였다.
(기재 밀착성)
상기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의 수순으로 작성한 커버 필름의 액체 수용층의 기재와의 밀착성을 JIS K5600-5-6에 따라 크로스컷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3개의 시험편의 최소값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A 5중량부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 B((주)ADEKA제 아데카(R)플루로닉 F-68; 알킬기 R1:프로필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중량비 80%; 수평균 분자량(Mn) 8436; 수산기가 13.3mgKOH/g) 2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A 5중량부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 C((주)ADEKA제 아데카(R)플루로닉 17R-2; 알킬기 R2 및 R3:프로필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중량비 20%; 수평균 분자량(Mn) 2183; 수산기가 51.4mgKOH/g) 2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A 5중량부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 D(BASF 재팬(주)제 플루로닉(R)3100; 알킬기 R1:프로필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중량비 10%; 수평균 분자량(Mn) 1146; 수산기가 97.9mgKOH/g) 1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도포액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타케네이트 D-110N(미츠이폴리우레탄(주)제 트리메틸프로판 어덕트형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더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A 5중량부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산요화성공업(주)제 나로액티 CL20) 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A 5중량부를 소르비탄에스테르에테르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토호화학공업(주)제 소르본 T-20) 2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A 5중량부를 이미다졸린형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산요화성공업(주)제 카티온 SF-10) 2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스페이서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수지를 톨루엔/MEK(메틸에틸케톤)=4/1(중량비)에 용해한 30% 용액(다카마츠유지주식회사제 페스레진 S120)으로 변경하고,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A 5중량부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 E((주)ADEKA제 아데카(R)플루로닉 P-84; 알킬기 R1:프로필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중량비 40%; 수평균 분자량(Mn) 4332; 수산기가 25.9mgKOH/g; 융점 34℃) 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기재 이면의 전이성 평가)
상기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서 얻어진 시험편의 액체 수용층 상에 도레이(주)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루미라"(R)(타입 100T60)를 포개고, 그 위에서 2㎪의 하중을 가하고, 23℃, 65% RH 분위기에 5일간 두었다. 그 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시험편으로부터 박리하고, 액체 수용층이 접촉하고 있던 표면에 와코쥰야쿠(주)제 습윤 시약 60mN/m액을 적하하고, 시약의 튀김(repelling)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PET 필름에 액체 수용층의 성분이 전사하고 있는 경우에는 PET 필름 표면의 습윤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시약이 튀김이 없다. 즉, 시약의 튀김이 있는 경우에는 PET 필름에 액체 수용층의 성분이 전사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7)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E 5중량부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 F(산요화성공업(주)제 뉴폴 PE-61; 알킬기 R1:프로필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중량비 10%; 수평균 분자량(Mn) 1979; 수산기가 56.7mgKOH/g; 융점 -30℃) 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실시예 8)
커버 필름의 작성 방법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E 5중량부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 G((주)ADEKA제 아데카(R)플루로닉 L-121; 알킬기 R1:프로필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중량비 10%; 수평균 분자량(Mn) 4714; 수산기가 23.8mgKOH/g; 융점 5℃) 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시험편의 작성 및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및 표 2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액체 수용층은, 고온 다습 환경하에서의 보존에서도 안정된 액체 전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기재에의 밀착성도 양호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내지 3에서 나타내는 액체 수용층은,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액체 전개성이 안정되지 않았고, 기재에의 밀착성도 나빴다.
또한 실시예 6에서 나타내는 액체 전개용 시트는, 기재 이면에 액체 수용층 성분이 전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안정된 액체 전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7 및 8에서 나타내는 액체 전개용 시트는, 블록 공중합체의 융점이 25℃ 이상은 아니기 때문에 기재 이면에 액체 수용층 성분이 전사하였다. 그 때문에, 이 액체 전개용 시트를 바이오센서에 조립하고, 그 바이오센서의 액체 흡인구에 액체를 접촉시키면, 그 바이오센서의 캐비티 내에 액체가 흡인될 뿐만 아니라 액체 전개용 시트의 기재 이면에도 액체가 퍼지기 때문에 측정 정밀도가 저하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액체 전개용 시트는, 혈액이나 소변 등의 생체 시료나 식품 공업에서의 원료나 제품, 과즙 등의 시료 중에 포함되는 특정 성분의 검사 또는 정량시에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적합하게는 혈액이나 소변 등의 생체액의 특정 성분을 검사 또는 정량할 때에 이용된다.

Claims (9)

  1.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액체 수용층이 배치되고, 그 액체 수용층이 바인더, 및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과 탄소수가 3 이상인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액체 전개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옥사이드 단위의 탄소수가 3 내지 5인 액체 전개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옥사이드 단위가 프로필렌옥사이드 단위인 액체 전개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인 액체 전개용 시트.
    [화학식 1]
    HO-(CH2CH2O)l-(R1-O)m-(CH2CH2O)n-H
    [화학식 2]
    HO-(R2-O)o-(CH2CH2O)p-(R3-O)q-H
    여기서, R1, R2 및 R3은 탄소수가 3 이상인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l, m, n, o, p 및 q는 정수를 나타낸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융점이 25℃ 이상인 액체 전개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인 액체 전개용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수산기가가 5 내지 200mgKOH/g인 액체 전개용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층이 수산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액체 전개용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액체 전개용 시트.
KR1020107007218A 2007-09-07 2008-09-01 액체 전개용 시트 KR20100076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2349 2007-09-07
JPJP-P-2007-232349 2007-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962A true KR20100076962A (ko) 2010-07-06

Family

ID=4042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218A KR20100076962A (ko) 2007-09-07 2008-09-01 액체 전개용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00292387A1 (ko)
EP (1) EP2187203A4 (ko)
JP (1) JPWO2009031484A1 (ko)
KR (1) KR20100076962A (ko)
CN (1) CN101796403B (ko)
TW (1) TW200918887A (ko)
WO (1) WO2009031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6445B2 (ja) * 2010-03-09 2013-10-16 東レ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に用いられるカバーフィルム
CN104583765B (zh) * 2012-06-25 2017-06-06 日本生物工程研究所有限责任公司 酶电极
CN104950020A (zh) * 2014-03-26 2015-09-30 无锡市申瑞生物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碘离子检测的抛弃式电化学传感器及其制造方法
GB201520660D0 (en) 2015-11-23 2016-01-06 Inside Biometrics Ltd Electrochemical test device
CN108548932A (zh) * 2018-05-09 2018-09-18 南京岚煜生物科技有限公司 基于微流控芯片的促甲状腺激素tsh试剂盒及制备和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1377A (en) * 1993-08-06 1995-03-28 Biomedix, Inc. Ion-selective sensor with polymeric membrane having phospholipid dispersed therein
US5786439A (en) * 1996-10-24 1998-07-28 Minimed Inc. Hydrophilic, swellable coatings for biosensors
DE69634802T2 (de) * 1995-11-08 2006-03-16 Hypoguard Ltd., Woodbridge Biosensoren mit membran
US5759364A (en) 1997-05-02 1998-06-02 Bayer Corporation Electrochemical biosensor
AU7590300A (en) * 1999-09-20 2001-04-24 Roche Diagnostics Corporation Small volume biosensor for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CN1632553A (zh) * 1999-11-15 2005-06-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生物传感器、薄膜电极形成方法、定量装置及定量方法
DE10009467A1 (de) * 2000-02-28 2001-09-20 Bcs Bio Und Chemosensoren Gmbh Enzymatisch-elektrochemische Durchflußmeßeinrichtung (EED)
JP4670133B2 (ja) * 2000-09-04 2011-04-13 東レ株式会社 電極方式の検査シートのカバーに用いられる液体展開用シート
JP2002214187A (ja) * 2001-01-17 2002-07-31 Toray Ind Inc バイオセンサ
US7771468B2 (en) * 2001-03-16 2010-08-10 Angiotech Biocoatings Corp. Medicated stent having multi-layer polymer coating
US20030036202A1 (en) * 2001-08-01 2003-02-20 Maria Teodorcyzk Methods and devices for use in analyte concentration determination assays
US20030028125A1 (en) * 2001-08-06 2003-02-06 Yuzhakov Vadim V. Physiological sample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4238715B2 (ja) * 2003-12-15 2009-03-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気化学測定用電極
US20060003400A1 (en) * 2004-06-30 2006-01-05 Byrd Patricia 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haracterizing a redox reagent system enzyme
DE502004004590D1 (de) * 2004-09-09 2007-09-20 Analyticon Biotechnologies Ag Lateralflussmessvorrichtung und Messverfahren für Analyten
KR101365933B1 (ko) * 2004-10-12 2014-02-24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샘플 내 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기화학 시스템
US20060240478A1 (en) * 2005-02-23 2006-10-26 Fuji Photo Film Co., Ltd. Biosensor
US20060275825A1 (en) * 2005-04-12 2006-12-07 Sru Biosystems, Inc. Proteolipid membrane and lipid membrane bio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96403A (zh) 2010-08-04
US20100292387A1 (en) 2010-11-18
CN101796403B (zh) 2014-08-20
US20130092535A1 (en) 2013-04-18
TW200918887A (en) 2009-05-01
WO2009031484A1 (ja) 2009-03-12
EP2187203A1 (en) 2010-05-19
JPWO2009031484A1 (ja) 2010-12-16
EP2187203A4 (en)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4371C (en) Heterogeneous membrane electrodes
JP4885508B2 (ja) 小体積生体外分析物センサ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7867756B2 (en) Specimen analyzing implement
US5529676A (en) Sample chamber
EP1747450B1 (en) Connector configuration for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ers for use in combination therewith
KR20100076962A (ko) 액체 전개용 시트
EP1291650A1 (en) Bio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880128B2 (en) Electrode strip and sensor strip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system thereof
US20190046979A1 (en) Microfluidic device
EP2664913A1 (en) Biosensor
CN100412549C (zh) 用于测量血清高密度脂蛋白相关胆固醇的测定设备中保留多孔性和生物活性的粘合膜
CN1527045A (zh) 测定血液中葡萄糖的方法和检测条
TWI547374B (zh) 體外膜片用之親水膜
EP1942337A1 (en) Sensor chip and sensor system
US20130228475A1 (en) Co-facial analytical test strip with stacked unidirectional contact pads and inert carrier substrate
EP0388782A1 (en)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nalytes
US5958201A (en) Sodium ion-selective-electrode membrane having extended uselife
JP4236538B2 (ja) バイオセンサ
KR20240042171A (ko) 일회용의 이용 가능한 산소 센서
KR102136193B1 (ko)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용 스트립
CN219084760U (zh) 一种干化学试剂条
JP2009014472A (ja) 液体展開用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生体液展開用シート
KR20130129101A (ko) 바이오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