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112A -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한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한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112A
KR20100076112A KR1020080134044A KR20080134044A KR20100076112A KR 20100076112 A KR20100076112 A KR 20100076112A KR 1020080134044 A KR1020080134044 A KR 1020080134044A KR 20080134044 A KR20080134044 A KR 20080134044A KR 20100076112 A KR20100076112 A KR 2010007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xylitol
fructooligosaccharide
herbal
herb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용
Original Assignee
(주)함소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함소아 filed Critical (주)함소아
Priority to KR102008013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6112A/ko
Publication of KR2010007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1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약 순응도를 크게 개선한 한약 조성물로서, 한약재로부터 제조되는 한약에 올리고당, 자일리톨이 함유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향미제가 함유되어 있는 한약재 조성물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탕약 또는 증류 한약 형태로서, 향미가 우수하여 특히 소아들의 복약 순응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올리고당의 첨가로 인하여 배변활동의 원활과 소아의 성장을 촉진은 물론이고, 자일리톨의 첨가로 충치 예방 효과가 기대된다.
매스킹 한약, 자일리톨, 올리고당, 향미제

Description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한약 조성물{Herbal Medicin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본 발명은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미를 개선하여 복약 순응도를 크게 개선한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한약 또는 한약재는 예로부터 중국에서 사용된 것으로 전해지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 보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 분야의 처방으로는 침술, 뜸과 같은 분야 외에도 특히 자연계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물질을 한방 이론에 입각하여 처방, 제제(製劑)하여 특정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한의학에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는 천연물 또는 가공된 약제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 조제한 약물인 한약재는 동물성 성분과 광물성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나, 대부분은 식물성 성분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뒤, 물로 달여서 복용하고 있다.
특히, 서양 의학에서도 치료할 수 없다고 여겨졌던 다양한 질병에 대해서도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한약을 복용함으로써, 질병이 치유되고 있고, 특히 천연물로부터 얻어지는 성분으로 조제되는 한약재의 특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었던 전통 한약재 외에도 이들 한약재에서 추출한 성분에 대한 약리학적 기작 내지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642801호에서는 생지황, 자구자, 천화분, 황기 등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한약재에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3-80709호에서는 한약재 추출물을 장내세균총으로 처리하여 약리 활성이 우수하고 풍미가 개선된 탕약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476745호에서는 물푸레나무로부터 얻어진 진액을 포함하는 구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한약을 투여하는 방식 중에서 전통적으로 탕약 등으로 투여하거나, 환 또는 산 방식으로 투여하는 방법이 있었다. 탕이라, 한약재를 달여서 그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이고, 환은 한약재를 분쇄한 분말에 꿀과 밀가루 혹은 전분 등을 혼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구형 제제를 만들어 투약하는 것을 말하며, 산은 한약재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한 분말을 그대로 물과 함께 투약하는 제형 방식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약리 성분의 흡수와 효과 발현에서 가장 양호한 방식은 탕약이기 때문에, 탕약은 한약재를 투약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그렇지만, 주로 식물성 성분의 한약재를 물로 추출한 한약은 특유의 쓴맛으로 인하여 어른은 물론이고 특히 소아나 청소년들이 복용하는데 있어서 거부감을 야기한다. 따라서 생약 성분에서 추출한 한약의 약효를 그대로 유지하여 부작용이 없는 한편, 특유의 쓴맛을 없앰으로써 복용하는 데 있어서 거부감을 제거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시럽, 고형물 등으로 한약의 제형을 변경하면서 한약의 맛과 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복약 순응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약리 성분의 흡수와 효과 발현의 효율 등을 고려해 볼 때, 탕약 수준에서의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거의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복약 순응도는 물론이고, 예를 들어 소아의 성장 촉진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첨가된 기능성 한약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소아나 청소년들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약 특유의 쓴맛을 없앰으로써 복약 순응도가 크게 향상된 한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적절한 성분 배합을 통해서 칼로리와 혈당 상승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체 내에서 한약 성분 흡수의 용이성 등 부가적인 효능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목적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을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한약재로부터 조제된 기초 한약에 프럭토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이 배합되어 있는 한약 조성물로서, 상기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럭토올리고당 7 ~ 180 중량부, 상기 자일리톨 5 ~ 4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럭토올리고당과 상기 자일리톨은 4:1 ~ 1:2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있는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초 한약은 탕약이며, 상기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프럭토올리고당 7 ~ 30 중량부, 자일리톨 7 ~ 30 중량부가 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프럭토올리고당과 상기 자일리톨은 2:1 내지 1:2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초 한약을 기준으로 0.1 ~ 0.5 %(v/v)의 향미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초 한약은 증류 한약이고, 상기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프럭토올리고당 15 ~ 180 중량부, 자일리톨 5 ~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프럭토올리고당과 상기 자일리톨은 4:1 내지 2:1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한약 특유의 자극적인 씁쓸한 맛, 신맛, 매운맛을 감소시켜 특히 소아들이 선호하는 단맛과 청량감을 부여하여, 복약 순응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본 발명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단맛을 내는 물질인 자일리톨과 프럭토올리고당을 첨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칼로리와 혈당을 상승시키지 않는다는 결과는 쉽게 예측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한약을 섭취하여도 비만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장내 비피더스균의 증식 및 장내유해균의 성장 억제에 관여하는 프럭토올리고당의 첨가로 제조된 한약의 장내 흡수는 물론이고 배변 활동을 원활히 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울러, 자일리톨의 첨가로 인하여 뮤탄스균 등으로 야기되는 충치와 같은 구강 내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생약 성분에서 추출한 한약 특유의 자극적인 쓴맛, 신맛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노력한 끝에 한약재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진 한약에 소정 비율의 자일리톨, 프럭토올리고당, 경우에 따라서는 향미제를 배합하게 되면 복약 순응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초 한약' 또는 '기초 한약 성분'이라는 용어는 한의약 분야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한약재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생약에 적정량의 물을 혼합한 뒤 불에 달여 얻어지는 탕약(medicinal decoction)은 물론이고, 이 탕약을 더 가열하여 기화시킨 뒤, 이때 생성된 증기를 냉각하여 얻어지는 증류 한약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초 한약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감시평탕과 같은 탕약은 물론이고, 평위로와 같은 증류 한약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초 한약 성분'의 성분 및 그 배합 비율에 대해서 상세하게 예시하고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증류 한약'이라는 용어는 생약 성분인 한약재에서 추출한 액상 한약을 더 가열하여 기화시킨 상태에서 생성되는 증기를 냉각하여 얻어지는 한약을 의미한다. 증류 한약은 겉으로 보기에는 무미, 무색이나 휘발성 정유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그 자체 향을 함유하고 있어 한약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쓴맛이 줄어든다. 이와 같이 약을 달일 때 나오는 수증기를 냉각하여 추출하는 방식 을 한방에서는 '노법(露法)'이라고 하여 잘 알려져 있는 요법이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향기 한약' 또는 '매스킹 한약'이라는 용어는 한약 특유의 쓴맛을 제거하여 복용하기에 용이하도록 처리한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기초 한약에 감미제 성분으로서 자일리톨 및 프럭토올리고당이 소정 비율로 배합된 기능성 한약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바닐라 향, 초콜릿 향과 같은 향 성분을 방출할 수 있도록 식품 또는 약품 등에 첨가되는 향미제(香味濟)가 기초 한약 성분에 대해서 일정한 부피비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비율의 한약재를 혼합한 뒤 증류수를 첨가하여 얻어지는 탕약 또는 이 탕약을 다시 가열한 뒤 얻어지는 '증류 한약'에 대해서 소정 비율의 자일리톨, 프럭토올리고당을 혼합하여 한약의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들 배합 성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프럭토올리고당
프럭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은 올리고프럭탄(oligofructan) 또는 올리고프럭토오스(oligofructose)라고도 불리는 올리고당으로서 아스파라거스, 마늘, 양파, 꿀, 토마토 등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당류(saccharide)는 포도당(글루코오스), 과당(프럭토오스)와 같은 단당류(mono-saccharide), 자당(수크로오스)과 같은 이당류(di-saccharide) 및 전분과 같이 수백 개의 단당류가 결합되어 있는 다당류(poly-saccharide)와 대략 5-20개의 단당류가 결합되어 있는 올리고당으로 구분되는데, 프럭토올리고당은 기본적으로 과당과 포도당이 결합된 자당에 1~10개 정도의 자당이 결합된 올리고당을 의미한다.
프럭토올리고당은 설탕에 비하여 감미 정도는 낮지만, 그 독특한 결합으로 인하여 침에 함유된 소화 효소는 물론이고 소장 내의 소화 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간이 섭취하는 경우에 프럭토올리고당은 대장까지 운반될 수 있는데, 배속의 장내 세균은 프럭토올리고당을 이용하여 대사시킨다. 특히, 직접적으로 사람의 몸에 흡수되지 않아 저칼로리의 감미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더욱이 프럭토올리고당은 구강 내의 충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eptotococcus mutans)에 잘 이용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구강 내에서 치석과 유산 생성이 적기 때문에 충치와 같은 구강 내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한편, 대장에 도달한 프럭토올리고당은 단쇄 지방산 형태로 장내 세균이 사용할 수 있는 손쉬운 에너지원을 제공하여 유해균을 감소시키고 장내 유용균인 비피더스균의 먹이가 되어 비피더스균을 증가시킴으로써 바람직한 장내세균총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며, 유익한 균의 활동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장의 연동 운동을 도와 배변활동을 원활히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럭토올리고당의 섭취로 인하여 대장 환경이 산성화되면 칼슘이 장에서 더 잘 녹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칼슘 흡수를 돕는 운반체가 증가하게 되어 칼슘 흡수에 도움을 주어, 성장기에 있는 소아들에게 성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자일리톨
충치, 치주염과 같은 구강 질환은 대부분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eptotococcus mutans, 약칭하여 뮤탄스균)로 대표되는 세균이 포도당(glucose)과 과당(fructose)이 결합되어 있는 자당과 같은 발효성 당류를 포함하는 탄수화물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이들 세균은 발효성 당류를 대사하는 과정에서 발효 산물로 산을 생성하는데, 생성된 산으로 인하여 치주의 pH가 저하됨에 따라 치아 표면에서 칼슘을 포함하는 석회질이 제거됨으로써 치아가 부식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한편, 자일리톨(xylitol)은 많은 채소 및 열매 섬유에서 발견되는 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당-알코올(sugar alcohol)로서, 최근에는 설탕을 대신하는 감미료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자일리톨은 비발효성 당질로서 충치의 원인균인 뮤탄스균이 이를 발효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구강 내에서 충치의 직접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산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인하여 영양소를 흡수하지 못한 충치 원인 세균이 치아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어 항-충치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자일리톨은 뮤탄스균 등에 의하여 발효가 되지 않는데, 이와 같이 자일리톨을 흡수한 뮤탄스균은 이를 섭취하지 못하게 되어 이를 체외로 배출하게 된다. 뮤탄스균 체외로 배출된 자일리톨은 다시 뮤탄스균에 의하여 섭취되고, 이와 같이 뮤탄스균에 의한 섭취-체외 배출을 반복함에 따라 뮤탄스균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플러그의 접착력이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당과 같은 발효성 당류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뮤탄스균이 발효시키지 못하는 자일리톨을 일정 함량으로 복용시키는 경우에 치주의 pH 저하에 따른 충치, 치주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자일리톨은 흡열 반응에 의하여 용해되는 특성이 있는데, 이와 같이 용해될 때 흡수되는 용해열에 의하여 자일리톨을 섭취하는 경우에 청량감을 부여한다. 특히, 자일리톨의 섭취에 따른 청량감으로 인하여 구강 내에서 침 분비가 촉진되어, 구강 내의 산을 중화시켜 충치 예방의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자일리톨이 대사 과정에서 분해되는 경우에도 인슐린이 전혀 관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일리톨은 설탕에 비하여 대사과정에서 야기되는 칼로리의 발생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비만의 우려가 적고 당뇨병 환자의 질환을 악화시키지 않는 등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 배합 비율
상술한 것과 같은 효능을 갖는 프럭토올리고당 및 자일리톨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한약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프럭토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은 4:1 ~ 1:2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기초 한약이 탕약인 경우에는 프럭토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은 대략 2:1 내지 1:2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초 한약이 증류 한약인 경우에는 프럭토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은 4:1 내지 2:1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자일리톨에 대한 프럭토올리고당의 배합비율이 상술한 중량 비율을 초과하거나 그 미만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는 경우에, 프럭토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의 배합에 따른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술한 중량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배변 활동 촉진, 저-칼로리, 소아의 성장 촉진 및 충치와 같은 구강염 예방 효과가 기대되는 프럭토올리고당은 기초 한약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 ~ 18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 한약이 탕약인 경우에 프럭토올리고당은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 ~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 기초 한약이 증류 한약인 경우에는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 1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 16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된다. 만약, 프럭토올리고당의 함량이 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프럭토올리고당의 배합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프럭토올리고당의 함량이 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프럭토올리고당의 함량이 높아서 장내 세균에 의한 프럭토올리고당의 과-발효로 인하여 가스의 생성은 물론이고, 특히 칼로리의 상승으로 인한 비만을 야기하는 등의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충치와 같은 구강염 예방, 특유의 청량감 부여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자일리톨은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 4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초 한약이 탕약인 경우에 자일리톨은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 ~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25 중량부, 기초 한약이 증류 한약인 경우에 자일리톨은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 ~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 4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된다. 만약, 자일리톨의 함량이 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자일리톨의 배합에 의한 효과 - 충치 예방, 청량감 부여 -를 기대하기 힘들고, 자일리톨의 함량이 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자일리톨에 의하여 기대되는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나친 섭취로 인한 소화 장애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 향미제
한편, 본 발명의 기초 한약으로서, 탕약 성분 중에는 전술한 프럭토올리고당과 자일리톨 외에도 일정 함량의 향미제가 소정 함량으로 함유되어, 한약 특유의 자극적인 씁쓸한 맛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사용될 수 있는 향미제로는 종래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되었던 임의의 향미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향미제로는 합성 향유(flavor oil), 향미를 발휘하는 방향족 화합물, 올레오 레진류(oleo resins), 식물, 잎, 꽃, 열매 등으로부터 유래한 추출 성분 및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향유로는 스페어민트 오일(spearmint oil), 육계 오일(cinnamon oil), 페퍼민트 오일(peppermint oil), 정향유(colve oil) 등을 들 수 있으며, 아울러, 인공적이거나 천연의 합성 열매 향미제로는 바닐라(vanilla), 오렌지, 레몬, 포도, 배, 복숭아, 딸기, 자두 등의 오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향미제 성분으로는 페퍼민트, 멘솔(menthol)과 같은 박하 성분, 인공 바닐라 향, 크림 향, 초콜릿 향, 캐러멜 향 등이 가미된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신나밀 아세테이트(cinnayml acetate), 신나마알데하이드, 시트르산 디에틱에세티읕, 메틸아니솔(methylanisole) 등과 같은 알데하이드, 에스테르, 또는 락톤류와 같은 향미제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4),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시나믹 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레몬유 등에 함유된 액상 알데하이드인 '시트랄(citral)' - 레몬 등에 함유된 α-시트랄 또는 β-시트랄 γ-시트랄, 바닐라/크림 성분인 에틸 바닐린(ethyl vanillin) 또는 피퍼로날(piperonal)은 물론이고, α-아밀 시남알데하이드(α-amyl cinnamaldehyde), 부티르알데하이드(butyraldehyde), 발레르알데하이드(valeraldehyde), 알데하이드 C-8, 알데하이드 C-9, 알데하이드 C-12, 2-에틸 부티르알데하이드, 톨릴 알데하이드(tolyl aldehyde), 2,6-디메틸-5-헵텐알(2,6-dimethyl-5-heptenal), 또는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술한 향미제 성분들은 이미 상업적으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탕약 중에 크림 향을 가미하기 위해서는 ⅰ) 천연 방향유로서 오렌지 오일 0.53%, 이소아밀 아세테이트인 에스테르류 2.02%, 방향족 알데하이드인 바닐린 0.30%, 지방족 고급 알데하이드인 시트랄(citral) 0.03%, 지방족 고급 알콜류인 리나올(linalol) 0.02%, 주정(에틸알코올) 51.0%, 정제수 46.1%로 구성된 크림 소다향 키베이스 14.0%, ⅱ)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1.0%, 에틸 말톨 2.4%, 바닐린 13.0%, 프로필렌글리콜 83.6%로 구성된 크림밀크향 키베이스 6.0%, ⅲ) 에틸 팔미레이트와 에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에스테르류 0.3%; γ-노나락톤, γ-헵타락톤, γ-옥타락톤, γ-데라락톤으로 구성되는 락톤류 2.45%; 벤즈알데하이드와 바닐린으로 구성되는 알데하이드류 0.82%; 말톨 및 아세타니솔(acetanisole)로 구성되는 케톤류 0.43%; 프로필렌글리콜 95.8%; 트리아세틴(triacetin) 0.2%로 구성되어 있는 코코네트향 키베이스 20.0%, ⅳ) 프로필렌글리콜 60.0%로 구성되어 있는 향미제(한미향료화학(주))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캐러멜 향 성분이 함유된 함유제로서 ⅰ) 에틸 아세테이트/에틸 부티레이트/바닐린/에틸 바닐린/γ-노나락톤/γ-데카락톤/γ-도데카락톤/에틸말콜/메틸 사이클로 펜테놀론/아세트산/부티르산/레몬 오일/오렌지 오일/정제 팜유/프로필렌글리콜/프리아세틴/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가 소정 비율로 혼합된 캐러멜향 키베이스 9.1%, ⅱ) 주정(에틸알코올) 54.5%, ⅲ) 정제수 36.4%로 구성되어 있는 향미제((주)코시스)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파인애플 향 성분의 향미제로서는 ⅰ) 알릴 사이클로헥실 프로피오테이트인 에스테르류 90.60%; 말톨인 고급 케톤류 1.54%; 바닐린인 방향족 알데하이드 1.11%; γ-운데카락톤인 락톤류 0.45%; 프로필렌글리콜 6.30%로 구성된 파인애플 후레바(15K-1) 2.0%, ⅱ) 커피추출물 20.04%; 베티버 오일(\vetiver oil) 0.07%; 시나몬 잎 오일(cinnamon leaf oil) 0.06%; 올리버넘 레지노이드(olibanum resinoid) 0.02%; 시나몬 버크 오일(cinnamon bark oil) 0.02%; 계피 오일(Cassia oil) 0.02%; 로즈 앱솔루트(rose absolute) 0.01%; 에틸 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ethyl methyl phenyl glycidate) 21.39%; γ-운데카락톤 7.96%; 이소유게놀(isoeugenol) 1.71%; β-이오논(β-ionone) 1.35%; β-나프틸 에틸 에테르 0.49%; β-카르요필렌(β caryophyllene) 0.41%; 메틸 살리실레이트 0.24%; 알릴 헥사노에이트 0.11%; 말톨 0.05%; 벤질 알코올 0.01%; 바닐린 0.01%;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 0.01%; 프로필렌글리콜 28.26%; 주정 17.75%로 구성된 딸기향 키베이스 0.3%, ⅲ) 오렌지 에센스 33.0%, ⅳ)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0.2%, ⅴ) 에틸 부티레이트 0.4%, ⅵ) 이텔 아세토아세테이트 0.3%, ⅶ) 에틸 바닐린 0.2%, ⅷ) 주정 40.0%, ⅸ) 정제수 23.6%로 구성되어 있는 향미제(파인애플 후레바 #P-8054; (주)코시스)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초콜릿 향 성분의 향미제로는 ⅰ) γ-데카락톤 1.80%; D-리오넨 7.25%; 아세토페논 3.60%; 벤질 알코올 10.80%; 네롤(nerol) 1.60%; 랴카맥 색소 0.01%; 바닐린 9.10%; 에틸 바닐린 9.15%; 헤리오트로핀(heliotropine) 5.40%; 리나롤 5.50%; 에틸 말톨 3.50%; 글리세린 31.00%; 프로필렌글리콜 8.19%; 주정 3.00%로 구성된 초콜릿 향 키베이스 0.2%, ⅱ) 헵틸 알데하이드 9.0%; 벤즈알데하이드 5.0%; 알데하이드 C-14 9.0%; 알데하이드 C-18 4.0%; 에틸 락테이트 9.0%; 디아세틸 8.0%; 주정 19.0%; 프로필렌글리콜 16.0%; 글리세린 20.0%; 캐러멜 색소 1.0%로 구성된 초콜릿 향 키베이스 15.0%; ⅲ) 에틸 말톨 3.0%, ⅳ) 에틸 바닐린 0.2%, ⅴ) 프로필렌글리콜 71.6%, ⅵ) 글리세린 10.0%로 구성된 향미제(한미향료화학(주))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향미제 성분은 예를 들어 탕약 성분인 기초 한약을 기준으로 0.1 ~ 0.5 %(v/v), 바람직하게는 0.2 ~ 0.4 5(v/v)의 배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향미제 성분이 이보다 적으면, 원하는 향미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이보다 많으면 원하는 향미 효과가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실시예 1 : 가감시평탕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항-알레르기 효과 및 소아의 발열 등에 효능이 있는 가감시평탕을 조제하였다. 우선, 시호, 창출(당삽주의 뿌리), 지모, 석고, 황금 각 10 g; 백복령 6 g; 반하, 적작약, 계지, 후박, 진피, 감초 각 4g; 오매 3g를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7,400 ㎖를 가하여 4,600 ㎖(1,660 g)의 가감시평탕(2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200g, 자일리톨 330g, 초콜릿 향의 향미제(한미향료화학(주)) 1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 : 가미용담사간탕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포진바이러스에 의하여 유발되는 베체트병에 효능이 있는 가미용담사간탕을 조제하였다. 시호 8g; 감초, 활석 각 6g; 용담초, 택사, 황금, 백작약, 백복령, 감국, 목단피, 생지황 각 4g; 당귀 및 치자 각 2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7,000 ㎖를 가하여 4,600 ㎖(1,680 g)의 가미용담사간탕(3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480g, 크림 향의 향미제(한미향료화학(주)) 2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3 : 가미진간식풍탕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중풍과 같은 척수 신경 세포에 효능이 있는 가미진간식풍탕을 조제하였다. 우슬, 건지황, 대자석 각 12g; 백작약, 현삼, 천문동, 구판, 용골, 모려 각 7g; 금은화, 적소두, 수우각 각 6g; 목단피 5g; 죽엽, 연교, 지유, 패모, 지실 각 4g; 인진, 대황, 맥아, 천련자 각 3g; 감초 1.5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8,400 ㎖를 가하여 4,600 ㎖(2,690 g)의 가미진간식풍탕(2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200g, 자일리톨 360g, 크림 향의 향미제 2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4 : 가미형방지황탕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항-알레르기 효과, 해열, 진통 및 소염에 효능이 있는 가미형방지황탕을 조제하였다. 숙지황, 백복령, 택사, 지모 각 8g; 녹용, 형개, 방풍, 강활, 독활, 차전자, 신곡, 맥아 각 4g을 혼합한 뒤, 정제수 18,000 ㎖를 가하여 10,800 ㎖(3,840 g)의 가미형방지황탕(6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420g, 초콜릿 향의 향미제 3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5 : 귀룡탕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어린의 성장 발육을 촉진하고, 피로 회복, 갱년기 장애 개선 및 당뇨 등에 효능이 있는 귀룡탕을 조제하였다. 당귀신, 구기자, 밀자황기, 용안육 각 8g; 녹용, 석곡, 산약, 목향, 산사, 사인, 나복자, 백출(초), 백복령 각 4g; 오미자 2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16,000 ㎖를 가하여 10,800 ㎖(4200 g)의 귀룡탕(6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540g, 초콜릿 향의 향미제 2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6 : 동아평위산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만성 식체에 효능이 있는 동아평위산을 조제하였다. 창출 8 g; 진피 6 g; 후박, 산사, 신곡, 맥아 각 4 g; 감초 3g; 동아아교 8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15,000 ㎖를 가하여 10,000 ㎖(2460 g)의 동아평위산(6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540g을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7 : 보중익기탕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기허에 의한 발열 증상을 치료하는데 효능이 있는 보중익기탕을 조제하였다. 황기 6 g; 인삼, 백출, 감초 각 4 g; 당귀신, 진피 각 2 g; 승마, 시호 각 1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11,500 ㎖를 가하여 9,000 ㎖(1,440 g)의 보중익기탕(6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420g, 캐러멜 향의 향미제((주)코시스) 3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8 : 보혈성장탕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보혈 및 어린이 성장에 효능이 있는 보혈성장탕을 조제하였다. 백출, 백복령, 산약, 황기 각 8 g; 인삼, 황정, 맥문동, 택사 각 6 g; 당귀, 백작약, 구기자 4 g; 녹용, 사인, 감초, 목단피 각 2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9,000 ㎖를 가하여 5,500 ㎖(2,280 g)의 보혈성장탕(3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200g, 자일리톨 180g, 초콜릿 향의 향미제 12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9 : 쌍금증장탕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안하종 뇌종양 등에 효능이 있는 쌍금증장탕을 조제하였다. 백작약 10 g; 창출 8 g; 우슬, 모과 각 6 g; 황기, 당귀, 천궁, 숙지황, 곽향, 반하, 감초, 후박, 진피, 생강, 대추 각 4 g; 육계 3 g; 녹용 2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8,800 ㎖를 가하여 5,500 ㎖(2,370 g)의 쌍금증장탕(3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200g, 자일리톨 210g, 초콜릿 향의 향미제 12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고, 냉장 보관하였다.
실시예 10 : 성장대보탕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소아의 성장 및 기억력 증진에 효능이 있는 성장대보탕을 조제하였다. 맥문동, 의이인 각 6 g; 천문동, 산약, 오미자, 행인(초), 마황 각 4 g; 녹용 2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15,000 ㎖를 가하여 10,800 ㎖(2,040 g)의 성장대보탕(6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540g, 캐러멜 향의 향미제 2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1 : 성장보중익기춘방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냉방병(음서)에 효능이 있는 성장보중익기춘방을 조제하였다. 황기 6 g; 인삼, 백출, 감초 각 4 g; 녹용, 당귀신, 진피, 소엽, 박하, 형개, 천궁, 방풍, 시호 각 2 g; 승마 1.5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15,800 ㎖를 가하여 10,800 ㎖(2,250 g)의 성장보중익기춘방(6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420g, 캐러멜 향의 향미제 3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2 : 성장생진보혈탕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보혈 및 소화 장애 해소에 효능이 있는 성장생진보혈탕을 조제하였다. 당귀, 백작약, 숙지황, 생지황, 적복령 각 4 g; 지각, 진피, 치자, 소자, 패모 각 3 g; 녹용, 사인, 목향 각 2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15,000 ㎖를 가하여 10,800 ㎖(2,460 g)의 성장생진보혈탕(6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720g, 크림 향의 향미제 24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실시예 13 : 성장지황탕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소아의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및 뼈 발육을 촉진시키는 성장지황탕을 조제하였다. 숙지황 10 g; 산약, 산수유, 산사 각 6 g; 백복령, 목단피, 택사, 신곡, 맥아, 진피 각 4 g; 인삼, 백출, 자감초, 목향, 녹용 각 2 g; 황연 1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8,400 ㎖를 가하여 5,500 ㎖(1,890 g)의 성장지황탕(3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200g, 자일리톨 330g, 초콜릿 향의 향미제 12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4 : 자황백호탕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식욕 부진, 소갈증 등에 효능이 있는 자황백호탕을 조제하였다. 석고 60 g; 생지황 16 g; 지모 8 g; 독활, 방풍 각 4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12,300 ㎖를 가하여 9,600 ㎖(5,520 g)의 자황백호탕(60첩 분량)을 조제하 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420g, 초콜릿 향의 향미제 24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5 : 총명귀룡탕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어린이의 두뇌 발육 촉진, 집중력 향상 및 감기 예방 등에 효능이 있는 총명귀룡탕을 조제하였다. 당귀신, 구기자, 밀자황기, 용안육 각 8 g; 석곡, 산약, 목향, 산사, 사인, 나복자, 백출(초), 백복령 각 4 g; 녹용 3 g; 오미자, 석창포 각 2 g; 원지 1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9,000 ㎖를 가하여 5,500 ㎖(2,160 g)의 총명귀룡탕(3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200g, 자일리톨 380g, 초콜릿 향의 향미제 12 ㎖를 가한 뒤, 80 ㎖ 단위로 포장하였다.
실시예 16 : 총명오가평위산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어린이의 두뇌 발육 등에 효능이 있는 총명오가평위산을 조제하였다. 창출 8 g; 진피, 오가피 각 6 g; 후박, 산사, 신곡, 맥아 각 4 g; 녹용, 감초 각 3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15,800 ㎖를 가하여 10,800 ㎖(2,520 g)의 총명오가평위산(6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400g, 자일리톨 600g, 초콜릿 향의 향미제 2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한 뒤, 80 ㎖ 단위로 포장하였다.
실시예 17 : 평위산가용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복부 팽만감 해소, 식용 증진, 구역질 해소에 효능이 있는 평위산가용을 조제하였다. 창출 8 g; 진피 6 g; 녹용, 후박, 산사, 신곡, 맥아 각 4 g; 감초 3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22,000 ㎖를 가하여 15,000 ㎖(3,700 g)의 평위산가용(10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660g, 자일리톨 900g, 초콜릿 향의 향미제 5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8 : 화반탕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해독 및 열독 해소 효능이 있는 화반탕을 조제하였다. 갱미 20 g; 석고 15 g; 생지황 10 g; 지모 6 g; 수우각 5 g; 현삼 4 g; 감초 3 g을 각각 혼합한 뒤, 정제수 7,600 ㎖를 가하여 4,600 ㎖(1,890 g)의 화반탕(30첩 분량)을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200g, 자일리톨 120g, 크림 향의 향미제 10 ㎖를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고, 냉장 보관하였다.
실시예 1~18에서 각각 조제한 탕약 성분인 매스킹 한약의 조성이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표 1. 매스킹 탕약 조성
실시예 기초한약(g) 기초한약(㎖) 프럭토올리고당(g) 자일리톨(g) 향미제(㎖)
1 1660 4600 200 330 10*
2 1680 4600 400 480 20**
3 2690 4600 200 360 20**
4 3840 10800 400 420 30*
5 4200 10800 400 540 20*
6 2460 10000 400 540 -
7 1440 9000 400 420 30***
8 2280 5500 200 180 12*
9 2370 5500 200 210 12*
10 2040 10800 400 540 20***
11 2250 10800 400 420 30***
12 2460 10800 400 720 24**
13 1890 5500 200 330 12*
14 5520 9600 400 420 24*
15 2160 5500 200 300 12*
16 2520 10800 400 600 20*
17 3700 15000 660 900 50*
18 1890 4600 200 120 10**
* : 초콜릿 향
** : 크림 향
*** : 캐러멜 향
실시예 19 : 평위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 한약인 평위로를 조제하였다. 창출 8 g; 진피 6 g; 후박, 산사, 신곡, 맥아 각 4 g; 감초 3 g을 각각 혼합하고 1차 가열하여 추출한 뒤, 정제수 15,000㎖를 가하여 가열, 냉각하여 19,000 ㎖(1,320 g)의 평위로(40첩 분량)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1,000 g, 자일리톨 500 g을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0 : 야수신방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 한약인 야수신방로를 조제하였다. 숙지황 16 g, 산약, 산수유 각 8 g; 백복령, 목단피, 택사 각 6 g; 지모, 황백, 천문동, 패모, 진피 각 4 g을 각각 혼합하고 1차 가열하여 추출한 뒤, 정제수 15,000㎖를 가하여 가열, 냉각하여 19,000 ㎖(1,320 g)의 야수신방로(30첩 분량)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1,000 g, 자일리톨 500 g을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1 : 향사온비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 한약인 향사온비로를 조제하였다. 창출 8 g; 후박, 진피, 곽향, 향부자, 사인, 초과, 산사, 맥아, 건강, 초두구, 적복령 각 4 g; 목향, 감초 각 2 g을 각각 혼합하고 1차 가열하여 추출한 뒤, 정제수 15,000㎖를 가하여 가열, 냉각하여 19,000 ㎖(1,680 g)의 향사온비로(30첩 분량)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1,000 g, 자일리톨 500 g을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2 : 가미이사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 한약인 가미이사로를 조제하였다. 금은화 12 g; 생지황, 부평초 각 8 g; 반하, 창이자 각 6 g; 당귀, 천궁, 백작약, 진피, 적복령, 형개, 선퇴, 방풍 각 4 g; 황금(주초), 박하, 감초 각 3 g을 각각 혼합하고 1차 가열하여 추출한 뒤, 정제수 15,000㎖를 가하여 가열, 냉각하여 19,000 ㎖(1,620 g)의 가미이사로(20첩 분량)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1,000 g, 자일리톨 500 g을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실시예 23 : 보중익기춘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 한약인 보중익기춘로를 조제하였다. 황기 6 g; 인삼, 백출, 감초 각 4 g; 소엽, 박하, 형개, 당귀신, 진피, 천궁, 방풍, 시호 각 2 g; 승마 1.5 g 각각 혼합하고 1차 가열하여 추출한 뒤, 정제수 15,000㎖를 가하여 가열, 냉각하여 19,000 ㎖(1,420 g)의 보중익기춘로(40첩 분량)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1,000 g, 자일리톨 500 g을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4 : 도적강기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 한약인 도적강기로를 조제하였다. 생지황 12 g; 목통 8 g; 과루인, 현삼, 택사, 백복령 각 6 g; 형개, 방풍, 전호, 강활, 독활 각 4 g을 각각 혼합하고 1차 가열하여 추출한 뒤, 정제수 15,000㎖를 가하여 가열, 냉각하여 19,000 ㎖(1,920 g)의 도적강기로(30첩 분량)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1,000 g, 자일리톨 500 g을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5 : 지황백호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 한약인 지황백호로를 조제하였다. 석고 60 g; 영지 6 g; 건지황, 지모, 인동, 연교, 서목태, 목근피 각 4 g; 현삼, 황연, 황백, 금은화, 천화분, 우방자, 과루인, 치자, 박하, 형개, 방풍, 강활, 독활 각 2 g을 각각 혼합하고 1차 가열하여 추출한 뒤, 정제수 19,000㎖를 가하여 가열, 냉각하여 19,000 ㎖(5,800 g)의 지황백호로(50첩 분량)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1,000 g, 자일리톨 500 g을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6 : 양위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증류 한약인 양위로를 조제하였다. 백출 6 g; 대조 3.6 g; 백복령, 곽향, 당귀 각 3 g; 목향, 빈랑, 자감초 각 2.4 g; 용안육, 백작약, 모려, 진피, 사인, 산사, 신곡, 맥아, 후박, 계지, 초과 각 1.6 g; 생강 1.2 g을 각각 혼합하고 1차 가열하여 추출한 뒤, 정제수 15,000㎖를 가하여 가열, 냉각하여 19,000 ㎖(2,230 g)의 양위로(50첩 분량)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프럭토올리고당 1,000 g, 자일리톨 500 g을 가하여 향기 한약(매스킹 한약)을 조제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하기 표 2에서는 실시예 19 ~ 26을 통해서 조제된 매스킹 증류 한약의 조성 을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다.
표 2. 매스킹 증류 한약 조성
실시예 기초 한약(g) 기초 한약(㎖) 프럭토올리고당(g) 자일리톨(g)
19 1320 19000 1000 500
20 2100 19000 1000 500
21 1680 19000 1000 500
22 1620 19000 1000 500
23 1420 19000 1000 500
24 1920 19000 1000 500
25 5800 19000 1000 500
26 2230 19000 1000 500
실시예 27 : 옐로우 평위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프럭토올리고당을 2,000 g 사용하고, 한약에 색채를 부여하기 위해서 칼라 진피 120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황색 평위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28 : 레드 야수신방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프럭토올리고당을 2,000 g 사용하고, 한약에 색채를 부여하기 위해서 칼라 추출 오미자 60 g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적색 야수신방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29 : 스칼렛(scarlet)보라색 향사온비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프럭토올리고당을 2,000 g 사용하고, 한약에 색채를 부여하 기 위해서 칼라 추출 산사 300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주홍색(스칼렛) 향사온비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30 : 골드 가미이사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프럭토올리고당을 2,000 g 사용하고, 한약에 색채를 부여하기 위해서 칼라 추출 금은화 120 g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금색 가미이사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31 : 그린(green) 보중익기춘로
본 실시예에서는 프럭토올리고당을 2,000 g 사용하고, 한약에 색채를 부여하기 위해서 칼라 추출 소엽 35 g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녹색 보중익기춘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32 : 오렌지 지황백호로의 조제
본 실시예에서는 프럭토올리고당을 2,000 g 사용하고, 한약에 색채를 부여하기 위해서 칼라 추출 치자 10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오렌지색 지황백호로를 조제하였다.
하기 표 3에서는 실시예 27 ~ 32를 통해서 조제된, 칼라가 부여된 매스킹 증류 한약의 조성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표 3. 매스킹 색채 증류 한약 조성
실시예 기초 한약(g) 기초 한약(㎖) 프럭토올리고당(g) 자일리톨(g)
27 1320 19000 2000 500
28 2100 19000 2000 500
29 1680 19000 2000 500
30 1620 19000 2000 500
31 1420 19000 2000 500
32 5800 19000 2000 50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라면 상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점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Claims (6)

  1. 한약재로부터 조제된 기초 한약에 프럭토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이 배합되어 있는 한약 조성물로서, 상기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럭토올리고당 7 ~ 180 중량부, 상기 자일리톨 5 ~ 4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럭토올리고당과 상기 자일리톨은 4:1 ~ 1:2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있는 한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한약은 탕약이며, 상기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프럭토올리고당 7 ~ 30 중량부, 자일리톨 7 ~ 30 중량부가 배합되어 있는 한약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럭토올리고당과 상기 자일리톨은 2:1 내지 1:2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한약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한약을 기준으로 0.1 ~ 0.5 %(v/v)의 향미제를 더욱 포함하는 한 약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한약은 증류 한약이고, 상기 기초 한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프럭토올리고당 15 ~ 180 중량부, 자일리톨 5 ~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럭토올리고당과 상기 자일리톨은 4:1 내지 2:1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한약 조성물.
KR1020080134044A 2008-12-26 2008-12-26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한약 조성물 KR20100076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44A KR20100076112A (ko) 2008-12-26 2008-12-26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한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44A KR20100076112A (ko) 2008-12-26 2008-12-26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한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12A true KR20100076112A (ko) 2010-07-06

Family

ID=4263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044A KR20100076112A (ko) 2008-12-26 2008-12-26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한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61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787A (zh) * 2015-12-25 2016-05-04 名臣健康用品股份有限公司 草本植物苎麻根和羊蹄根提取物在口腔护理产品中的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787A (zh) * 2015-12-25 2016-05-04 名臣健康用品股份有限公司 草本植物苎麻根和羊蹄根提取物在口腔护理产品中的应用
CN105534787B (zh) * 2015-12-25 2018-05-04 名臣健康用品股份有限公司 草本植物苎麻根和羊蹄根提取物在制备口腔护理产品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88089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CN1961700A (zh) 绿茶硬糖及其制备方法
CN100577024C (zh) 赤藓糖醇的夹心巧克力
JP6463504B2 (ja) 発毛促進、脱毛緩和及び改善、血糖調節、胃腸障害の症状緩和及び改善用健康補助食品
CN107279446A (zh) 一种槟榔胶质嚼片
CN105941816A (zh) 一种具有保健功效的青钱柳口香糖
CN109699774A (zh) 一种海藻糖青汁粉及其制作方法
CN105056096A (zh) 补肾活血通络酒及其制备方法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2919499A (zh) 一种无糖保健口香糖
KR20190057618A (ko) 한방 홍시 젤리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2919496A (zh) 一种无糖保健口香糖
CN102835534A (zh) 一种复方人参黑银杏果仁夹心巧克力的制备方法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464540A (zh) 一种缓解口腔及咽喉不适的喷雾剂及其制备方法
KR20100076112A (ko)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한약 조성물
CN104026491B (zh) 绿豆洁齿香口咀嚼片及其生产方法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02763759A (zh) 一种黑大蒜口香糖
CN107343556A (zh) 一种人参山药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
CN104938730A (zh) 一种百香果甜茶
CN101156640B (zh) 一种葛香糖及其配制方法
KR20170014329A (ko) 당나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07801830A (zh) 不含胶基可食用的牙齿口腔清洁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