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368A - 형광 램프 - Google Patents

형광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368A
KR20100075368A KR1020090100762A KR20090100762A KR20100075368A KR 20100075368 A KR20100075368 A KR 20100075368A KR 1020090100762 A KR1020090100762 A KR 1020090100762A KR 20090100762 A KR20090100762 A KR 20090100762A KR 20100075368 A KR20100075368 A KR 20100075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ight emitting
layer
fluorescent lamp
emit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943B1 (ko
Inventor
유키하루 다가와
겐이치 히로세
노리타카 다케조에
신이치 엔도
Original Assignee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5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12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 H01J61/18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having a metallic vapour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H01J61/20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having a metallic vapour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mercury vapou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61/00Gas-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2261/02Details
    • H01J22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H01J2261/385Non-chemical aspects of luminescent layers, e.g. thickness profile, shape and distribution of luminescent coatings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발광관에 석영 유리를 사용하는 형광 램프로서, 자외선의 방사 특성이 높은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석영 유리제 발광관을 가지는 자외선 방사의 형광 램프에서, 상기 발광관의 광조사 방향의 배면측에 방전 공간측 표면에 형성된 석영 유리보다 연화점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유리층과, 이 유리층의 방전 공간측의 표면에 형성된 형광체층과, 유리층과 발광관 사이에 형성된 자외선 반사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형광 램프{FLUORESCENT LAMP}
이 발명은 자외광을 방사하는 형광 램프에 관한 것이다.
근년, 광촉매, 광의의 수지 경화, 제균(除菌), 미용, 의료 등의 용도에, 파장 300㎚ 부근의 자외광이 이용되고 있다. 이 용도의 광원에는, 파장 250~380㎚ 사이에 피크를 가지는 형광체를 가지는 자외선 방사형의 형광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 형광 램프는, 방전에 의해 단파장(예를 들면 200㎚ 이하)의 광을 생성하고, 이 단파장의 광으로부터 소정 파장 영역의 자외광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형광 램프의 발광관에는, 일반적으로, 소다 유리,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등의 이른바 경질 유리가 사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경질 유리는, 파장 250~380㎚의 자외광을 흡수하므로, 램프로부터의 방사광율이 저하하게 된다.
그래서, 발광관으로서 경질 유리가 아니라 석영 유리를 이용한 형광 램프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등에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발광관에 석영 유리를 이용하면, 자외광의 투과율이 높고, 효율적으로 광을 취출할 수 있다.
그런데, 형광 램프의 제조 공정에서는, 발광관을 구성하는 재료를 연화점 부근까지 온도 상승시켜 그 상태에서 형광체를 부착시킨다. 그런데, 석영 유리의 연 화점 온도는 1600℃ 근방의 고온이기 때문에, 이러한 고온까지 석영 유리를 가열시키면, 형광체가 열화되게 된다.
그 한편, 형광체가 열화되지 않는 온도, 예를 들면 900℃ 이하의 가열을 실시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그 경우는, 석영 유리와 형광체의 부착이 약해지고, 램프 점등 중에 형광체가 벗겨지게 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표 2008-50304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공표 2007-534128호 공보]
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광관에 석영 유리를 사용하는 형광 램프로서, 자외선의 방사 특성이 높은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발명은, 석영 유리제 발광관을 가지는 자외선 방사의 형광 램프에서, 석영 유리제 발광관을 가지는 자외선 방사형의 형광 램프에서, 상기 발광관의 광조사 방향의 배면측에 방전 공간측 표면에 형성된 석영 유리보다도 연화점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유리층과, 이 유리층의 방전 공간측의 표면에 형성된 형광체층과, 유리층과 발광관 사이에 형성된 자외선 반사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반사체는, 실리카 입자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는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유리층은, 붕규산 유리 분말 혹은 알루미노규산 유리 분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석영 유리제 발광관과 형광체층 사이에, 연화점이 석영 유리의 연화점보다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리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리층의 입자 표면이 연화되는 온도까지 상승시킴으로써, 형광체를 유리층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 유리층과 석영 유리도 유리층의 입자 표면이 연화함으로써, 석영 유리 표면과 부분적으로 용착함으로써 고착시킬 수 있다. 또, 자외선 반사체와 유리층 사이는, 유리층의 입자 표면이 연화되므로, 자외선 반사체 표면의 실리카나 알루미 나 입자와 유리층 사이를 고착할 수 있다. 자외선 반사체에 대해서는, 실리카졸의 소성에 의해, 입자 표면에 실리카 유리층이 생기고, 석영 유리와의 고착을 실행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유리층과 발광관 사이에 자외선 반사체를 가짐으로써, 형광체에서 발생한 자외선을 특정 방향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높은 방사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관련되는 형광 램프(이하, 단순히 「램프」라고도 한다)를 나타내며, (a)는 길이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b)는 (a)의 A-A단면도를 나타낸다.
형광 램프는 발광관(유리관)(1)으로 구성되어 있고, 발광관(1)의 외벽에는, 한 쌍의 띠 형상 전극(2)(2a, 2b)이, 발광관(1)의 길이 방향에 동일하게 신장하도록 배치된다. 전극(2)(2a, 2b)에는 보호막(3)이 덮인다. 발광관(1)의 내부에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해 엑시머 분자를 생성하기 위한 가스, 예를 들면, 크세논 가스가 100Torr 봉입되어 있고, 각각의 전극에 도시가 생략된 교류 전원이 접속되어 있고, 교류 전력이 공급되면, 발광관(1)을 구성하는 재료인 석영 유리를 개재시켜 발광관(1)의 내부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이 발생한다.
발광관(1)의 내벽에는, 단면 방향 약 반 둘레에 자외선 반사체(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자외선 반사체(4)는, 한쪽의 전극(2a)에 상당하는 위치와 다른 쪽의 전극(2b)에 상당하는 위치를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관(1)의 내벽 및 자외선 반사체(4)의 내면에는 유리층(5)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내면에는 형광 체층(6)이 원주 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유리층(5)과 형광체층(6)은 발광관(1)의 내주면 전역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외선 반사체(4)는 유리관(1)과 형광체층(6)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게 된다. 자외선 반사체(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광취출(光取出) 영역이 된다. 발광관(1)의 내부의 일단에는, 예를 들면 페이스트 형상의 시동 어시스트용 도전성 부재(7)가 도포되어 있다.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해 발생된 자외선, 예를 들면 파장 172㎚의 광은, 형광체층(6)을 자극함으로써 파장 250~380㎚의 자외광으로 변환되어 방사된다. 이 자외광은, 직접 혹은 자외선 반사체(4)에서 반사되어 램프 외부로 방사된다.
자외선 반사체(4)는, 실리카 입자(SiO2)와 그 이외의 입자, 예를 들면, 알루미나 입자(Al203)로 구성된다. 실리카 입자는, 방전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물질이기도 하므로 접착성(접착 강도)이라는 점에서 유용하다. 또, 알루미나 입자는 실리카 입자보다도 자외선을 반사하는 능력이 높은 점에서 이용된다. 따라서, 만일, 반사체(4)를 실리카 입자(SiO2)만으로 구성시키면, 자외선의 반사 기능이라는 점에서, 실리카 입자(SiO2)와 알루미나 입자(Al203)로 이루어지는 반사막에 대해 뒤떨어지게 되고, 또, 만일, 반사체(4)를 알루미나 입자(Al203)만으로 구성시키면, 발광관(1)과의 접착성이 저하하고, 알루미나 입자가 박리한다는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실리카 입자 이외의 입자는 알루미나 입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리카 입자보다도 자외선 반사 능력이 높은 입자이면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화 마그네슘, 불화 칼슘, 불화 리튬, 불화 나트륨, 불화 바륨, 불화 란탄, 불화 세륨, 산화 세륨, 산화 이트륨, 산화 마그네슘, 산화 칼슘 등의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방전 용기에의 접착성과 진공 자외광의 반사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기능을 아울러 가지는 한, 실리카 입자와 알루미나 입자에 추가해 상기 입자를 혼재시켜도 된다. 실리카 입자(SiO2)와 다른 입자의 혼합 비율은, 방전 용기의 접착성이라는 관점으로부터 실리카 입자를 30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다른 입자로서 알루미나 입자를 사용했을 경우는, 진공 자외광의 반사 기능이라는 관점도 고려해, 실리카 입자의 비율은 50~100중량% 미만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유리층(5)은 발광관(1)의 기재가 되는 석영 유리의 연화점(1600℃)보다 낮은 연화점을 가지는 유리가 사용된다. 특히, 연화점이 형광체의 소성 온도(400~900℃)의 범위에 있는 유리이고, 내열 충격성이 뛰어난 경질 유리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붕규산 유리(Si-B-O계 유리, 연화점 약 800℃), 알루미노규산 유리(Si-Al-O계 유리, 연화점: 약 900℃)가 적합하다.
형광체층(6)은, 예를 들면, 유로퓸부활붕산스트론튬(Sr-B-0: Eu(이하 SBE라고 칭한다.), 중심 파장 368㎚) 형광체, 세륨부활알루민산마그네슘란탄(La-Mg-Al-O: Ce(이하, LAM이라고 칭한다.), 중심 파장 338㎚(다만 broad) 형광체, 가드리늄, 프라세오듐부활인산란탄(La-P-0: Gd, Pr(이하, LAP: Pr, Gd라고 칭한다, 중심 파장 311nm) 형광체 등이 사용된다. 이들 형광체는, 모두 파장 250㎚ 미만의 영역의 자외광을 흡수해, 각각 가지는 중심 파장대의 자외선으로 변환한다.
전극은, 예를 들면, 은 또는 금, 알루미 테이프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띠 형상 전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선 형상의 전극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형광 램프는, 석영 유리제의 발광관(1)과 형광체층(6) 사이에, 연화점이 석영 유리의 연화점보다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리층(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리층(5)의 연화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형광체(형광체층(6)의 구성 재료)를 유리층(5)에 부착할 수 있다. 또, 유리층(5)과 석영 유리(1)의 고착도 유리층(5)의 연화 온도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리층(5)과 발광관(1) 사이에 자외선 반사체(4)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외선을 특정 방향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높은 방사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도 1(b)에 나타낸 형광 램프의 단면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1(b)에 나타낸 형광 램프는 형광체층(6)의 두께가 원주 방향과 거의 동일한 것에 대해, 도 2(a)에 나타낸 형광 램프는 형광체층의 두께가 원주 방향에서 변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형광체층(4)은, 자외선 반사체(4)가 존재하는 영역은 두꺼워지고 있고, 자외선 반사체(4)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즉, 광취출 영역에서는 얇아지고 있다.
이 구조의 이점은, 광취출 영역의 형광체층(6)을 얇게 함으로써, 자외선 반사체(4)에서, 반사된 자외선의 투과율을 올릴 수 있음과 더불어, 형광체층(6)에서,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해 발생된 자외선과, 파장 250~380㎚로 변환한 자외광을, 더할 수 있고 합계된 자외선 강도를 올릴 수 있다.
또, 도 2(b)에 나타낸 형광 램프는, 형광체층은 자외선 반사체(4)가 존재하 는 영역만 존재하고, 자외선 반사체(4)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즉 광취출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구조의 이점은, 광취출 영역의 형광체층(6)을 없앰으로써, 자외선 반사체(4)로, 반사된 자외선의 투과율을 올릴 수 있고, 도 2(a)의 경우보다, 제작이 용이한 것이다.
도 3도 도 1에 나타낸 형광 램프의 단면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형광 램프는 발광관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데 대해, 도 3에 나타낸 형광 램프는 발광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이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실시 형태는, 전체로서 편평 형상의 발광관이 된다.
발광관(1)의 한쪽의 외표면에 한쪽의 전극(2a)이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의 외표면에 다른 쪽의 전극(2b)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전극은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그물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형광 램프에서도, 발광관(1)의 내벽에 자외선 반사체(4)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 유리층(5)과 형광체층(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시동 어시스트 도전성 부재는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형광 램프는, 2개의 전극이 모두 발광관(1) 내에 존재하는 타입이다. 발광관(1)의 내면에는, 도 1에 나타낸 형광 램프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반사체(4), 유리층(5), 형광체층(6)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발광관(1)은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고, 단부에는 시일링판(11)이 장착되어 있고, 시일링판(11)을 관통해 필라멘트형의 전극(2)이 장착되어 있다.
통상, 발광관에는, 버퍼 가스로서 Ar을 주성분으로 하는 희가스와, 수은이 봉입된 저압 수은 방전을 실시하는 램프이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형광 램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형광 램프의 제조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1은 자외선 반사체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실리카 입자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는 졸겔액으로부터 현탁액을 만들고, 그 용액을 발광관용 재료의 내표면으로 흘림으로써 자외선 반사체를 만들 수 있다. 자외선 반사체의 두께는, 유하하는 회수나 현탁액이 흐르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컨트롤할 수 있다. 자외선 반사체를 형성한 후, 500~1000℃에서의 대기중 소성을 실행해, 자외선 반사체를 고착시킨다.
단계 2는 유리층을 생성하는 공정이다.
우선, 덩어리 형상의 유리를 세밀하게 부수어 볼밀에 넣는다. 분쇄된 유리 분말은 메쉬에 의해 입경을 분류하고, 예를 들면, 평균 입경이 0.5~10㎛(바람직하게는 1~5㎛)의 유리의 분말을 추출한다. 이 유리 분말을, 예를 들면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트산 부틸액과 중량비 1:4~1:10의 비율로 혼합해, 당해 혼합액을 알루미나 볼과 함께 볼밀에 의해 충분히 밀링하여 슬러리를 생성한다. 이하, 이 유리 분말을 분산시킨 슬러리를 「유리 슬러리」라고 칭한다. 다음에, 이 유리 슬러리를 발광관용 재료의 내표면에 도포한다. 발광관용 재료는, 한쪽의 단부에 2개의 배기관이 형성된 관이다. 이를 수직으로 유지해, 상기 유리 슬러리를 채운 용기의 액면에, 한쪽의 배기관을 넣고 슬러리를 흡인한다. 흡인된 유리 슬러리는, 발광관용 재 료의 내부에 충전되지만, 다른 쪽의 배기관으로부터 뽑아냄으로써 내표면에 도포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 슬러리의 점도나 도포 회수를 조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유리층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유리 슬러리의 두께는 1~30㎛의 범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의 자외광에 대해 높은 투과율을 얻기 위해, 유리층의 두께는, 후공정에서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리층에서의 자외선의 흡수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에, 유리 슬러리를 건조시킨다.
발광관용 재료에 장착된 2개의 배기관을 사용해 건조 질소 가스를 순환시킴으로써, 유리 슬러리에 포함되는 아세트산 부틸을 증발시킨다. 이 결과, 발광관용 재료의 내표면에 두께가 1~30㎛의 유리 분말이 퇴적된 층(유리층)이 형성된다. 또한, 건조에 이용하는 가스는 건조 공기이어도 된다. 그리고, 유리층을 소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유리관을 가열함으로써 유리 분말을 소성시키지만, 소성 조건은, 대기중에서, 약 500~1000℃, 시간으로서는, 최고 온도에서의 유지 시간으로 나타내면, 0.2~1시간이 된다. 상술한 붕규산 유리 분말이나 알루미노규산 유리 분말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600~900℃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소성 공정에 의해 입자끼리 결합함과 더불어, 유리관에 융착해, 유리층이 기재에 강력하게 결착한다. 또, 유리층이, 분말 상태라면, 형광체에서 발생한 자외선의 반사층으로서의 기능도 가진다. 또한, 유리층은, 용해 온도까지 온도 상승하지 않으므로 통상은 분말 형상을 유지하지만, 더욱 온도를 올려 용해시킨 상태로 해도 상관없다.
단계 3은 형광체를 발광관용 재료의 내면에 도포하는 공정이다.
형광체의 도포 방법은 단계 2와 마찬가지이고, 발광관 형성 재료를 수직으로 유지해, 형광체 슬러리를 채운 용기의 액면에, 배기관의 한쪽을 넣고, 한쪽의 배기관으로부터 흡인을 실시해, 형광체 슬러리를 빨아 올려 관내부에 형광체 슬러리를 충전하고, 그 후, 다른쪽의 배기관으로부터 뽑아 도포한다. 그 다음에, 형광체 슬러리를 건조시킨다. 발광관용 재료의 한쪽의 배기관 A로부터, 더 한쪽의 배기관으로, 건조 질소 가스를 흘림으로써, 형광체 슬러리에 포함되는 아세트산 부틸을 증발시킨다. 건조에 이용되는 가스는, 건조 공기이어도 된다. 또한, 형광체를 소성하는 공정이다. 발광관용 재료를 노에 넣고 소성한다. 소성 조건은, 대기중에서, 약 500~800℃이고, 최고 온도에서의 유지 시간으로 하여 0.2~1시간 가열한다. 이 소성 공정에서, 형광체층과 유리층의 경계면에서 유리의 극히 표면의 연화가 생겨 형광체가 유리층에 결착해, 결과적으로, 강고한 결합 상태가 얻어진다. 이 결과,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발광관 구성용 재료의 내표면 상에, 저연화점 유리 분말로 이루어지는 유리층, 형광체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대기중에서의 열화가 심한 형광체일 경우는, 대기중에서 니트로셀룰로오스가 소실하는 온도까지 온도 상승한 후, 비산화 분위기 내지 환원 분위기로 함으로써, 약 800도 정도까지의 가열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4는 희가스를 봉입해 시일링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배기관의 내면에 부착된 형광체층 및 유리층을 제거한 후, 한쪽의 배기관을 가열 시일링해, 다른쪽의 배기관에서 배기를 실시하고, 소정의 희가스(봉입물)를 봉입해 기밀 시일 링(팁 오프)한다. 이 결과, 기밀인 방전 공간이 형성된 형광 램프용의 발광관이 얻어진다.
봉입하는 희가스는, 예를 들면, 크세논(Xe), 크리프톤(Kr), 아르곤(Ar)이다. 도 4의 경우는, 배기시에, 수은도 동시에 봉입한다.
단계 5는 전극을 장착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서 형광 램프에 대해, 구체적인 수치예를 든다.
발광관의 전체 길이는 300~2000㎜의 범위로부터 선택되고, 예를 들면 1500㎜, 발광관의 두께 부분은 1~4㎜이고, 예를 들면 2㎜이다. 또, 형광체층의 평균 두께는 10~20㎛의 범위로부터 선택되고, 예를 들면, 15㎛이고, 형광체층과 발광관 사이에 형성된 저연화점 유리로 이루어지는 유리층의 두께는 1~30㎛의 범위로부터 선택되고 예를 들면 10㎛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형광 램프와 동일 형태의 램프를 램프 1, 도 3에 나타내는 형광 램프로부터 자외선 반사체(4)가 존재하지 않는 램프를 램프 2로 하고, 출사면에서의 상대 조도를 측정했다. 상대 조도는, 비교 램프에 대한 조도의 상대값을 사용한다.
도 6에 상대 조도값을 나타내, 도 7에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실험 결과에서, 자외선 반사체를 사용한 램프 1은 비교 램프에 대해 파장 300~340㎚에서 상대 조도값이 「4.4」이고, 파장 340~400㎚에서 상대 조도값이 「3.8」였다. 또, 형광체층만 설치된 램프 2는 비교 램프에 대해 파장 300~340㎜에서 상대 조도값이 「3.1」이고, 파장 340~400㎚에서 상대 조도값이 「2.6」였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발광 스펙트럼은 세로축에 비교 램프의 파장 340nm에서의 조도를 기준으로 한 상대값을 나타낸다. 자외선 반사체를 설치한 램프 1도 형광체층만의 램프 2도 모두 파장 340㎚부근에 피크를 가지고, 램프 1의 조도는, 램프 2의 조도와 비교해 현격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형광 램프는, 한 쌍의 전극이 모두 방전 공간의 외부에 위치된 것이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내부에 배치된 것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방전 공간 내에 전극을 배치할 경우는, 시일링 공정 전에 전극을 장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형광 램프는, 석영 유리제 발광관과 형광체층 사이에, 연화점이 석영 유리의 연화점보다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리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리층의 연화 온도로 가열시키는 것만으로 형광체를 유리층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 유리층과 석영 유리도 유리층의 연화 온도로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층과 발광관 사이에 자외선 반사체를 가지므로, 자외선을 특정 방향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높은 방사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형광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형광 램프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형광 램프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형광 램프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형광 램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광관 2 전극
3 보호막 4 자외선 반사체
5 유리층 6 형광체층

Claims (3)

  1. 석영 유리제 발광관을 가지는 자외선 방사형의 형광 램프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광조사 방향의 배면측에 방전 공간측 표면에 형성된 석영 유리보다도 연화점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유리층과, 이 유리층의 방전 공간측의 표면에 형성된 형광체층과, 유리층과 발광관 사이에 형성된 자외선 반사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실리카 입자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는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층은, 붕규산 유리 분말 혹은 알루미노규산 유리 분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램프.
KR1020090100762A 2008-12-24 2009-10-22 형광 램프 KR101373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6875 2008-12-24
JP2008326875A JP5663836B2 (ja) 2008-12-24 2008-12-24 蛍光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368A true KR20100075368A (ko) 2010-07-02
KR101373943B1 KR101373943B1 (ko) 2014-03-12

Family

ID=4257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762A KR101373943B1 (ko) 2008-12-24 2009-10-22 형광 램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63836B2 (ko)
KR (1) KR101373943B1 (ko)
TW (1) TWI5157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3761B2 (ja) * 2011-03-31 2014-06-2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光照射装置
JP5397455B2 (ja) * 2011-11-22 2014-01-22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希ガス蛍光ランプ
JP5861989B2 (ja) * 2012-04-04 2016-02-16 ウシオ電機株式会社 紫外線放射蛍光ランプ
JP6921557B2 (ja) * 2016-03-23 2021-08-18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放電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31268B2 (ja) * 2017-02-28 2021-02-17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放電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174A (en) * 1976-08-16 1978-03-03 Hitachi Ltd Ring-shaped f luorescent lamp
JPS60105160A (ja) * 1983-11-11 1985-06-10 Hitachi Ltd 螢光ランプ
JPS63955A (ja) * 1986-06-18 1988-01-05 Mitsubishi Electric Corp 蛍光ランプ
JPS6369138A (ja) * 1986-09-11 1988-03-29 Mitsubishi Electric Corp 蛍光ランプ
JPH07192690A (ja) * 1993-12-24 1995-07-28 Ushio Inc 蛍光管とその製造方法
JP2007173090A (ja) * 2005-12-22 2007-07-05 Ushio Inc 紫外線光源装置
JP4857939B2 (ja) * 2006-06-19 2012-01-1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放電ランプ
JP2008091139A (ja) * 2006-09-29 2008-04-1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DE102007026029B4 (de) * 2007-06-04 2017-01-26 Schott Ag Mischung, enthaltend Fluoreszenzfarbstoff und Haftmittel für den Fluoreszenzfarbstoff,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15762B (zh) 2016-01-01
JP2010153054A (ja) 2010-07-08
KR101373943B1 (ko) 2014-03-12
JP5663836B2 (ja) 2015-02-04
TW201025411A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943B1 (ko) 형광 램프
JP4421672B2 (ja) 蛍光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照明装置
KR20110097645A (ko) 형광 램프
JP5644039B2 (ja) 紫外線を放射する蛍光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81635B2 (ja) 蛍光ランプ
WO2012026247A1 (ja) 蛍光ランプ
JP3678203B2 (ja) ガラス組成物、保護層組成物、結着剤組成物、蛍光ランプ用ガラス管、蛍光ランプ、高輝度放電ランプ用外管及び高輝度放電ランプ
JP5223716B2 (ja) 低圧水銀ランプ
TWI493596B (zh) Fluorescent light
CN102214545A (zh) 荧光灯
JP2010205635A (ja) 希ガス蛍光ランプ
JP5712588B2 (ja) 蛍光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68976B2 (ja) 蛍光ランプ
JP2002083569A (ja) 蛍光ランプ及び高輝度放電ランプ
JP5915976B2 (ja) ロングアーク型放電ランプおよび光照射装置
JP2003288860A (ja) ランプ用結着剤組成物、蛍光ランプおよび高輝度放電ランプ
JP2008288132A (ja) 蛍光ランプ用塗料とそれを用いた塗膜及び塗膜の製造方法並びに蛍光ランプ
JP2006054204A (ja) 蛍光ランプ
JP2008288082A (ja)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