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200A -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200A
KR20100070200A KR1020080128818A KR20080128818A KR20100070200A KR 20100070200 A KR20100070200 A KR 20100070200A KR 1020080128818 A KR1020080128818 A KR 1020080128818A KR 20080128818 A KR20080128818 A KR 20080128818A KR 20100070200 A KR20100070200 A KR 20100070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vibration
haptic
incoming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389B1 (ko
Inventor
김보라
이은화
김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389B1/ko
Priority to CN200980150379.1A priority patent/CN102246122B/zh
Priority to EP09833606.8A priority patent/EP2359222A4/en
Priority to PCT/KR2009/007407 priority patent/WO2010071328A2/en
Priority to US12/640,694 priority patent/US20100148944A1/en
Publication of KR2010007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하는 착신용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착신용 진동 모터 설정 단계;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하는 햅틱용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햅틱용 진동 모터 설정 단계;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를 진동시키는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설정하는 샘플링 단계; 및 상기 샘플링 단계에서 설정된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 단계를 포함하는 햅틱 기능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은,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햅틱용 진동 모터와 착신용 진동 모터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특성에 따른 짧게 끊어지면서 가벼운 듯한 느낌의 촉각뿐만 아니라, 착신용 진동 모터의 부드럽고 무거운 느낌의 촉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 햅틱, 진동 모터, 진동 주파수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HAPTIC FUNCTION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햅틱 피드백이란, 로봇 팔(robot arm)의 원격 제어를 위한 구동력 피드백(force feedback) 기능이나, 소형 정보화 기기의 진동 기능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사용자의 촉각 및 피부 접촉에 기반한 정보의 표현 수단을 지칭한다. 최근에는 셀룰러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신 알림을 위한 진동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 조작시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신호 값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는 문자가 수신되거나 통화 요청(착신)이 있을 경우, 이를 알리는 방법들 중 하나로 진동 모드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진동 모드에서의 동작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는 진동 모터를 구비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이에 장착되는 진동 모터로는 동전 형(coin type)과 바형(cylinder or bar type) 모터들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동전형 혹은 바형 모터들은 단순히 착신 알림 기능만 제공하고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검색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풀 브라우징(full-browsing)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폰이 등장하면서, 키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 또한 터치 스크린에 가상의 키패드로 구현되고 있으며, 터치 스크린 키패드는 사용자가 접촉하는 지점을 감지하여 해당 지점에 할당된 신호 값을 입력하게 된다. 일반적인 버튼식 키패드는 돔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클릭 감 등을 제공함으로써 키패드 조작을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키패드의 키 배열에 익숙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확인하지 않더라도 입력된 숫자나 문자를 알 수 있다. 반면에, 터치 스크린에 구현된 키패드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돔 스위치와 같은 클릭 감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확인해야만 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 장치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에 햅틱 피드백 기능(이하, '햅틱 기능'이라 함)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시각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피드백 기능은 터치 스크린 조작시 진동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인형, 바형 진동 모터는 응답시간이 길어 햅틱 피드백 기능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서, 코인형, 바형 진동 모터가 잔진, 즉, 동작을 완료한 후, 동작이 완전히 멈추기까지 회전자 또는 진동자가 관성에 의해 동 작하는 시간이 길어, 빠른 속도로 연속된 키 입력이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는 조작한 키의 신호 값이 정확하게 입력되는지 여부를 촉각으로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응답시간을 짧게 개선한 진동 모터로서, 소모 전력이 낮고 신뢰도가 높은 선형 모터가 제안되어 있으나, 그 진동 패턴이 단순하여 선형 모터 단독으로는 풀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제공할 수 있는 햅틱 기능에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선형 모터들은 단순히 진폭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끌어 옮기기(drag), 신호 값 입력, 선택 명령 실행 등 터치 스크린을 통한 다양한 조작에 대하여 구별 가능한 촉각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는 터치 지속 시간의 길이나 끌어 옮기기 등 다양한 사용자의 조작 방식에 따라 변화된 진동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햅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하는 착신용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착신용 진동 모터 설정 단계;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하는 햅틱용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햅틱용 진동 모터 설정 단계;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를 진동시키는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설정하는 샘플링 단계; 및
상기 샘플링 단계에서 설정된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르게 설정되며, 상기 구동 단계에서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가 동시에 진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 샘플링 주파수는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와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로 설정된 단위 진동 패턴임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160~190Hz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320~450Hz, 즉,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는는 160~190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는 320~450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햅틱 진동용 모터로는 선형 모터(linear motor) 또는 압전 모터(piezoelectric motor)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은,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를 조합하여 햅틱 기능을 제공하게 되므로,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특성인 짧게 끊어지면서 가벼운 듯한 느낌의 촉각뿐만 아니라, 착신용 진동 모터의 부드럽고 무거운 느낌의 촉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풀 브라우징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함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때, 끌어 옮기기, 길게 누르기 등 조작 패턴에 따른 다양한 촉감의 햅틱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 각각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로 단위 진동 패턴을 샘플링함으로써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가 동기화되어, 서로 다른 두 진동 모터가 작동하더라도 그 진동 파형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진동 파형의 접합점에서 불연속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고주 파 신호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은, 일반적인 착신, 즉, 음성 통화 요구, 메시지 도착 등의 알림 기능에 이용되는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장착되는 햅틱용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요지가 있다. 이때,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에는 단위 진동 패턴을 반복하여 구동하게 되는데, 단위 진동 패턴의 길이는 두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를 유지함으로써 단위 진동 패턴의 접합점에서 파형의 불연속성으로 인한 고주파 성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번갈아가며 작동시키는 경우, 이들 두 진동 모터를 동기화시켜 서로 다른 두 진동 모터의 진동 파형이 그 접합점에서 서로 충돌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은,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 각각을 설정하는 단계, 이들 두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구동 샘 플링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 각각을 제공하고,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단말기 제조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짐에 유의한다. 즉, 단말기 제조 과정에서는, 실제 진동 주파수가 정해진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에 따라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 값이 설정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하는 때에는, 설정된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 값에 따라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는 것이다. 이때, "진동 주파수"라 함은 상기한 두 진동 모터들이 단말기 상에서 실제로 진동하는 주파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각 진동 모터들의 공진 주파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착신용 진동 모터의 경우 공진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서 진동할 경우, 그 진동력, 즉, 진폭이 급격히 저하되는 반면에, 햅틱용 진동 모터는 공진 주파수에서 진동하지 않더라도 착신용 진동 모터보다 더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햅틱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를 설치하는 단계이며, 일반적으로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의 진동 특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는 대략 160~190Hz의 범위에서 진동력이 급격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으며, 이 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착신 알림 등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문언적으로 표현하는데에 한계가 있지만 굳이 표현하자면,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진동은 비교적 부드럽고, 무거운 진동 촉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착신용 진동 모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성 통화 호출이나, 메시지 수신 등을 알리는 기능에 이용되며, 응답시간이 길어 햅틱 기능에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를 설치하는 단계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에 이용되는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특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는 대략 320~450Hz의 범위에서 진동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으며, 실제 햅틱 기능에 제공될 수 있는 정도의 진동력 또한 이러한 진동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된다.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비교할 때,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는 짧게 끊어지면서 가벼운 진동 촉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햅틱용 진동 모터는 선형 모터(linear motor)나 압전 모터(piezoelectric motor)가 이용되는데, 선형 모터 등은 응답시간이 짧아 사용자의 빠른 키 입력 동작에도 개별적인 조작에 따른 진동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비교할 때,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는 더 넓은 진동 주파수 범위에서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도 1과 도 2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즉,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는 대략 170Hz에 해당하는 공진 주파수에서 10Hz 정도만 벗어나더라도 그 진동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반면에,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는 340Hz 정도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면서도 320~450Hz의 진동 주파수 대역에서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서로 다른 두 진동 모터가 동시에 작동할 경우, 단위 진동 패턴의 접합점에서 파형의 불연속으로 인해 고주파 발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를 동시에 작동하면서,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를 동기화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의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각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로 샘플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의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한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는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 각각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는 대략 170Hz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며, 160~190Hz의 진동 주파수 범위에서 착신 알림에 충분한 정도의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또한,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는 대략 340Hz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지만, 320~450Hz의 주파수 범위에서도 햅틱 기능에 이용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앞서 살펴본 바 있다. 즉,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는 320~450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는 것으로도 충분한 진동 촉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반드시 그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할 필요는 없음에 유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진동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는 단위 진동 패턴의 경우, 그 길이는 각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때, 각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가 지나치게 큰 값일 경우, 햅틱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를 조절하여 단위 진동 패턴으로 설정될 공배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햅틱용 진동 모터가 공진 주파수에서 진동하지 않더라도 비교적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장착된 햅틱용 진동 모터의 실제 진동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샘플링 주파수가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 각각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가 되지 않으면, 'U'로 지시된 지점, 즉, 연속한 단위 진동 패턴의 접합점에서 파형의 연속성이 유지되지 못하여 고주파 성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살펴볼 때, 단위 진동 패턴으로 설정되는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들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두 진동 모터를 동시에 구동하는 햅틱 기능의 구현에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가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한다고 할 때, 그 2배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 대역, 즉, 320~450Hz의 주파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제 제품에 적용되어 동작할 때,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모터가 반드시 그 공진 주파수에서 진동할 필요는 없다.
도 4 내지 도 6은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인가한 때, 시간이 흐름에 따 라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 각각의 진폭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4는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의 진폭 변화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4의 'S'로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에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가 인가된 경우, 국부적으로 일정한 진폭의 진동 패턴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이러한 국부적인 진동 패턴을 이용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단위 진동 패턴을 불규칙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 재생하여 햅틱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폭 변화를 도시한다.
이러한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가 동시에 동작하는 진동 패턴은 도 7에 도시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조작에 따라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가 동시에 동작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고 있는 동안, 부드럽고 무거운 느낌의 진동 촉감과 짧게 끊어지면서 가벼운 느낌의 진동 촉감이 연속적으로 혹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 값을 다양하게 설정한다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는 형태, 즉, 끌어 옮기기 혹은 길게 누르기 등의 조작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다양한 느낌의 진동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설정된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 와 햅틱용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통해 예시된 진동 모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진동 모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흐름에 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 설정 및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단말기 제조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가 실제로 구동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짐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가 실제로 구동하는 과정의 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과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는 대기모드 상태이다.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면, 터치 스크린은 이를 감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는 단말기 제조과정에서 이미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320~450Hz 사이의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가 예시되고 있다. 다만, 단위 진동 패턴의 주기가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의 최소 공배수로 설정된다면, 상기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는 특정 대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가 발생되면, 해당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가 상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신호인지 판단하게 된다. 동시 구동 신호(또는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용/ 햅틱용 진동 모터는 동시에 또는 서로 번갈아가며 구동한 후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가 동시 구동 신호가 아니라면,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의 구동 신호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를 구동한 후 종료하거나, 다시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의 구동 신호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햅틱용 진동 모터를 구동한 후 종료하게 된다.
상기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가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의 구동 신호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판단되면, 다시 동시 구동 신호인지부터 재차 판단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170Hz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착신용 진동 모터가 예시하고 있지만, 실제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착신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착신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2배 또는 2 이상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언급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설정된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의 단위 진동 패턴 주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 각각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에 해당하는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샘플링 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아울러, 두 진동 모터를 조합하여 햅틱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모터만 동작시키거나, 두 진동 모터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샘플링된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에 따라서 예시된 진동 패턴과 다른 형태의 진동 패턴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에 이용되는 착신용 진동 모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에 이용되는 햅틱용 진동 모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착신용/햅틱용 진동 모터에서의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착신용 진동 모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햅틱용 진동 모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에 따른 진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햅틱 기능 제어 방법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하는 착신용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착신용 진동 모터 설정 단계;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하는 햅틱용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햅틱용 진동 모터 설정 단계;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를 진동시키는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설정하는 샘플링 단계; 및
    상기 샘플링 단계에서 설정된 구동 샘플링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단계에서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와 햅틱용 진동 모터가 동시에 진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 샘플링 주파수는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 의 진동 주파수와 상기 햅틱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의 공배수로 설정된 단위 진동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160~190Hz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320~450Hz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용 진동 모터의 진동 주파수는 170Hz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진동용 모터로는 선형 모터(linear motor) 또는 압전 모터(piezoelectric motor)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KR1020080128818A 2008-12-17 2008-12-17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KR10103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818A KR101030389B1 (ko) 2008-12-17 2008-12-17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CN200980150379.1A CN102246122B (zh) 2008-12-17 2009-12-10 用于便携式终端的触觉功能控制的方法
EP09833606.8A EP2359222A4 (en) 2008-12-17 2009-12-10 METHOD FOR CONTROLLING THE HAPTIC FUNCTIONS OF PORTABLE DEVICES
PCT/KR2009/007407 WO2010071328A2 (en) 2008-12-17 2009-12-10 Haptic function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s
US12/640,694 US20100148944A1 (en) 2008-12-17 2009-12-17 Haptic function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818A KR101030389B1 (ko) 2008-12-17 2008-12-17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200A true KR20100070200A (ko) 2010-06-25
KR101030389B1 KR101030389B1 (ko) 2011-04-20

Family

ID=4223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818A KR101030389B1 (ko) 2008-12-17 2008-12-17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48944A1 (ko)
EP (1) EP2359222A4 (ko)
KR (1) KR101030389B1 (ko)
CN (1) CN102246122B (ko)
WO (1) WO201007132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687A (ko) * 2013-10-22 2015-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속도 센서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7759B2 (en) 2009-09-30 2013-07-16 Apple Inc. Self adapting haptic device
US10013058B2 (en) 2010-09-21 2018-07-03 Apple Inc. Touch-based user interface with haptic feedback
US10120446B2 (en) 2010-11-19 2018-11-06 Apple Inc. Haptic input device
CN103870060B (zh) * 2012-12-13 2017-09-12 意美森公司 具有增加lra带宽的触觉系统
JP2014123293A (ja) * 2012-12-21 2014-07-03 Panasonic Corp 振動制御装置、電子機器、および振動制御方法
JP2014123292A (ja) 2012-12-21 2014-07-03 Panasonic Corp 振動制御装置、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および振動制御方法
US10126817B2 (en) 2013-09-29 2018-11-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reating haptic effects
WO2015047372A1 (en) 2013-09-30 2015-04-02 Pearl Capital Developments Llc Magnetic actuators for haptic response
US9317118B2 (en) 2013-10-22 2016-04-19 Apple Inc. Touch surface for simulating materials
CN105814510B (zh) 2013-12-10 2019-06-07 苹果公司 具有触觉响应的带体附接机构
KR102191968B1 (ko) * 2014-01-28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형용사를 이용한 진동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CN106489116B (zh) 2014-04-21 2019-08-16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多触摸输入设备的力的分配
DE102015209639A1 (de) 2014-06-03 2015-12-03 Apple Inc. Linearer Aktuator
EP3195088A2 (en) 2014-09-02 2017-07-26 Apple Inc. Haptic notifications
US10353467B2 (en) 2015-03-06 2019-07-16 Apple Inc. Calibration of haptic devices
AU2016100399B4 (en) 2015-04-17 2017-02-02 Apple Inc. Contracting and elongating materials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09161B2 (en) * 2015-08-21 2018-10-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driver with attenuation
US10566888B2 (en) 2015-09-08 2020-02-18 Apple Inc. Linear actuators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10039080B2 (en) 2016-03-04 2018-07-31 Apple Inc. Situationally-aware alerts
US10268272B2 (en) 2016-03-31 2019-04-23 Apple Inc. Dampening mechanical modes of a haptic actuator using a delay
US9870033B1 (en) 2016-08-30 2018-01-16 Apple Inc. Sensor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US10622538B2 (en) 2017-07-18 2020-04-14 App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haptic output and sensing a haptic input using a piezoelectric body
US10691211B2 (en) 2018-09-28 2020-06-23 Apple Inc. Button providing force sensing and/or haptic output
US10599223B1 (en) 2018-09-28 2020-03-24 Apple Inc. Button providing force sensing and/or haptic output
US11380470B2 (en) 2019-09-24 2022-07-05 Apple Inc. Methods to control force in reluctance actuators based on flux related parameters
US11977683B2 (en) 2021-03-12 2024-05-07 Apple Inc. Modular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localized haptic feedback using inertial actuators
US11809631B2 (en) 2021-09-21 2023-11-07 Apple Inc. Reluctance haptic engine for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613A (en) * 1995-12-01 1999-09-28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force signals for a force feedback device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US6864877B2 (en) * 2000-09-28 2005-03-08 Immersion Corporation Directional tactile feedback for haptic feedback interface devices
CN1582465B (zh) * 2001-11-01 2013-07-24 伊梅森公司 输入设备以及包含该输入设备的移动电话
JP2003236468A (ja) 2002-02-15 2003-08-26 Fujikura Ltd 振動発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244892A (ja) 2002-02-15 2003-08-29 Fujikura Ltd 振動発生方法及び振動モータ
CN1516326A (zh) * 2003-01-07 2004-07-28 总格实业股份有限公司 省电型手机振动装置
WO2006071449A1 (en) * 2004-11-30 2006-07-0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esonant device for generating vibrotactile haptic effects
JP5275025B2 (ja) * 2005-06-27 2013-08-28 コアクティヴ・ドライヴ・コーポレイション 触覚フィードバック用の同期式振動装置
KR100867408B1 (ko) * 2005-12-23 2008-11-06 한국과학기술원 촉감과 냉온감을 동시에 전달하는 촉감 디스플레이 장치
US7920694B2 (en) 2006-02-03 2011-04-05 Immersion Corporation Generation of consistent haptic effects
CN104063056B (zh) 2006-04-06 2018-04-20 意美森公司 用于增强的触觉效果的系统和方法
US20070265077A1 (en) * 2006-04-27 2007-11-15 Microsoft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peripheral devices
US20080100568A1 (en) * 2006-10-30 2008-05-01 Koch Paul B Electronic device providing tactile feedback
US7468573B2 (en) 2006-10-30 2008-12-23 Motorola, Inc.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US8749495B2 (en) * 2008-09-24 2014-06-10 Immersion Corporation Multiple actuation handheld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687A (ko) * 2013-10-22 2015-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속도 센서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389B1 (ko) 2011-04-20
WO2010071328A3 (en) 2010-09-23
EP2359222A4 (en) 2014-10-01
EP2359222A2 (en) 2011-08-24
CN102246122B (zh) 2015-03-25
CN102246122A (zh) 2011-11-16
US20100148944A1 (en) 2010-06-17
WO2010071328A2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3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JP5822023B2 (ja) 電子機器、振動発生プログラム、及び振動パターン利用システム
KR101642149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피드백 제어 방법 및 장치
JP5654114B2 (ja) タッチセンサを備えた電子機器
EP25022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haptic bandwidth in an electronic device
US8073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non-input locations
KR1011146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장치
JP6377373B2 (ja) 触覚フィードバックコールを同期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501146B2 (en) Electronic device
KR1007377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869562B1 (ko) 이동 단말에서 사운드 특성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 및 방법
JP2013257913A (ja) 記憶された効果を有する触覚フィードバックシステム
US1067116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ed location based driving of haptic actuators and related methods
JP2010055282A (ja) タッチパネル振動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
JP200720727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3477374A (zh) 振动控制
KR100731019B1 (ko) 터치스크린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이에 키입력을 하는 방법
KR101092895B1 (ko) 촉각정보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각정보의 제공방법
WO2013186841A1 (ja) 電子機器及び振動提供方法
CN108181988B (zh) 一种lra马达驱动芯片的控制方法以及装置
JP2004046548A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EP3462282B1 (en) Vibration-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JP2011095925A (ja) 入力装置
CN114510141A (zh) 振动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2003330617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