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765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765B1
KR100737765B1 KR1020060041401A KR20060041401A KR100737765B1 KR 100737765 B1 KR100737765 B1 KR 100737765B1 KR 1020060041401 A KR1020060041401 A KR 1020060041401A KR 20060041401 A KR20060041401 A KR 20060041401A KR 100737765 B1 KR100737765 B1 KR 100737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ulsive force
key
electromagnet
tactile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765B1/ko
Priority to US11/729,475 priority patent/US2008001859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into a haptic signal, e.g. usin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4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각 지원 기술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위치 변화를 제공하고,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진동 발생 또는 특정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촉각 발생부와, 상기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위치 입력부와, 상기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기 실행된 프로그램(Program)의 설정에 의해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촉각 발생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영구 자석과 전류 제어에 의한 전자석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위치 이동이 있을 경우, 상기 위치 이동에 대한 반발력 또는 진동을 적은 전력 소모 또는 작은 실장 면적의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촉각 장치, 전자석, 진동 제공 모드, 반발력 제공 모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APTIC SUPPORT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지원 장치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발생 장치와 반발력 제공 모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발생 장치와 진동 제공 모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지원 장치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지원 장치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촉각 지원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 키(Key) 하부에 내장된 영구자석과 전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사람의 오각 중 하나인 촉각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식은 키 패드(Key Pad)를 이용한 방식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터치 인식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입력을 받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그리고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받아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입력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터치 스크린 방식은 직관적이기는 하나 휴대시, 상기 터치 스크린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슬라이드(Slide) 또는 바(Bar)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경우, 상기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여야 입력으로 인정되는 키 패드 방식과 달리 외부의 단순 자극으로도 오 입력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물론 오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입력을 잠시 중지(Pause)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하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입력 방식 또한 현재까지는 실제 음성 인식 능력이 현재까지의 다른 입력 수단을 대체할 수준까지 발전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른 입력 방식이 존재하나 현재까지는 상기 키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식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상기 키패드 또한, 과거의 단순한 버튼 입력 방식을 벗어나 조이스틱(joystick) 동작 방식과 같은 방식의 내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가 사용되어 일반적인 입력 버튼 또는 게임과 같은 특정 부가서비스를 위한 입력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조이스틱(joystick)동작 방식의 내비게이션 키는 상기 게임 목적으로 사용될 시, 전동 모터가 부착되어 사람의 오각 중 하나인 촉각을 위한 진동(Vibration)을 전달하는 기능도 추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는 촉각을 지원하기 위한 기존의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입력버튼(101)이 눌려짐에 따라 입력감지장치(105, 106)가 상기 눌림을 감지하고, 만약, 진동발생이 필요할 경우 구동기(Actuactor)(110)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고 레버 암(Lever Arm)(115)을 통해 상기 발생한 진동이 상기 입력버튼으로 전달된다.
진동을 발생하는 상기 구동기(110)는 압전 방식(Piezo-electirc). 모터(Motor) 방식, 가동 자석(Moving Magnetic) 방식 등, 여러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모두 진동만을 전달한다. 즉, 조이스틱 동작 방식의 내비게이션 키에 적용시, 진동만이 전달 가능하여 입력방향으로 입력을 방해하는 힘(이하 반발력이라 칭한다.)을 전달할 수 없다.
도 1b)는 모터를 x축(125), y축에 각각 연결하여 진동과 반발력을 제공하는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모터를 2개 사용하는 경우는 전력소모가 크고, 넓은 실장 면적이 필요하다.
즉,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현재까지의 촉각기술은 일반적으로 특정 모드에서 고정된 키에 부착된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단순 진동만을 제공하고 360°로 움직이는 키에 대해서도 위치 이동에 따른 반발력을 작은 실장 면적만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등,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력에 대한 피드백(Feedback)을 시각적인 효과뿐 아니라 다양한 촉각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적인 효과를 작은 실장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위치 변화를 제공하고,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진동 발생 또는 특정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촉각 발생부와, 상기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위치 입력부와, 상기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기 실행된 프로그램(Program)의 설정에 의해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촉각 발생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발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키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키를 둘러싸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 주 위를 둘러싸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발생할 촉각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한 촉각 발생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촉각 발생 구동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상기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서 필요한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 작은 실장 면적으로도 촉각 발생이 가능한 촉각 발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지원 장치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촉각 발생부(26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위치변 화를 위치 입력부(220)로 제공하고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의 전자석에 자기장을 발생시켜 내부의 영구자석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촉각을 발생한다. 상기 촉각 발생부(260)는 상기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진동 제공 모드, 반발력 제공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촉각 발생부(260)의 내부 구조 및 세부 동작 과정은 하기 도 3, 4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위치 입력부(220)는 상기 촉각 발생부(260)로부터 위치 변화가 감지될 경우, 상기 위치 변화에 따른 인터럽트(Interrrupt)를 발생하고, 상기 위치 변화 정보와 함께 제어부(21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인터럽트를 상기 위치 입력부(220)로부터 제공받으면, 반발력을 제공할 것인지, 진동을 제공할 것인지 결정한다. 상기 반발력 제공 모드 또는 진동 제공 모드를 판단하는 기준은 상기 제어부(21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Program)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10)에서 게임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있을 때, 상기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게임 프로그램은 먼저 상기 게임상의 특정 캐릭터(Character)가 벽에 충돌하여 진동 발생이 필요한 경우인지, 상기 캐릭터가 진흙 속에서 이동하는 관계로 상기 캐릭터의 진행 방향에 따른 반발력 생성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촉각 발생부(26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구동부(240)로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제어부(210)로부터 상기 촉각 발생부(260) 구동에 대한 지시와 제어 정보(힘을 발생시키는 방향, 발생 지속시간 등)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촉각 발생부(260)를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구동한다.
저장부(250)는 상기 제어부(210)에서 구동되는 상기 게임 프로그램과 같은 특정 프로그램 또는 상기 특정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지금까지 상기 촉각 발생부(260)를 구동하기 위한 지원 장치를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이제, 상기 촉각 발생부(260)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발생 장치와 반발력 제공 모드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촉각 발생 장치는 키에 부착된 영구 자석(300)과 상기 영구 자석(300)에 반발력을 주기 위한 전자석(301~308)으로 구성된다.
상기 촉각 발생 장치는 제어부(210)로부터 제어정보가 구동부(240)에 입력되면,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제어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석(301~308) 중 특정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여 반발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키의 진행 방향(상부 방향)과 가장 근접한 전자석(307)과 인접한 두 개의 전자석(306, 308)에 각각 전류를 공급해 자기장을 형성케 하여 상기 키의 진행 방향(상부 방향)으로의 입력을 방해하는 반발력을 발생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발생 장치와 진동 제공 모드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촉각 발생 장치는 키에 부착된 영구 자석(400)과 상기 영구 자석(400)에 반발력을 주기 위한 전자석(401~408)으로 구성된다.
상기 촉각 발생 장치는 제어부(210)로부터 제어정보가 구동부(240)에 입력되 면,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제어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석(401~408) 중 특정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여 반발력을 제공한다. 상기 영구 자석(400)과 전자석(401~408)은 상기 도 3의 영구 자석(300)과 전자석(301~308)과 동일하다.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촉각 발생 장치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다수 개의 전자석(401~408)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키에 부착된 영구자석(400)과의 반발력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360°어느 방향으로든지 상기 키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210)는 상기 키 특정 방향(좌측 상부 방향 )과 근접한 전자석(408)과 인접한 두 개의 전자석(401, 407)이 먼저 서서히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키를 상기 특정 방향(좌측 상부 방향)과 반대 방향(우측 하부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영구 자석(400)이 중앙에 오면 순차적으로 다음 인접한 두 개의 전자석(402, 406)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서서히 자기장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가장 먼저 자화된 전자석 3 개(408, 401, 407)는 자기장을 최대가 되게 한다. 상기 키가 중앙을 지나 상기 특정 방향(좌측 상부 방향)과 반대 방향(우측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처음 3 개의 전자석(408, 401, 407)의 자기장은 소멸시킨다.
이후, 상기 반대 방향(우측 하부 방향)과 가장 근접한 전자석(404)과 인접 전자석(403, 405)에 서서히 자기장을 생성시켜 다시 상기 반대 방향(우측 하부 방향)의 반대 방향인 상기 특정 방향(좌측 상부 방향)으로 상기 키를 다시 이동시킨다.
즉, 상기 키가 특정 방향으로 접근할 경우,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과 가까운 전자석에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키를 밀어내고, 상기 키가 밀려 나와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다시 상기 반대 방향과 가까운 전자석에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키를 상기 특정 방향으로 다시 밀어낸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 진동이 발생한다.
상기 도 3의 반발력 제공 모드와 도 4의 진동 제공 모드를 제어하는 촉각 지원 장치의 동작 과정은 하기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지원 장치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부(210)는 저장부(250)에서 독출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의 선택 또는 초기 설정에 의해 510단계에서 상기 촉각 발생 장치는 동작을 시작한다.
이후, 위치 입력부(220)는 520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촉각 발생부(260) 키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경우, 5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의 위치 변화를 알리는 인터럽트와 위치 변화 정보를 상기 제어부(21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210)의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인터럽트와 위치 변화 정도를 제공받으면 530단계에서 반발력 제공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 검사한다.
만약, 상기 530단계에서 반발력 제공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제어부(210)는 54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위치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키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반발력은 상기 제어부(210)가 구동부(240)로 자기 장을 발생할 전자석의 구분자와 전류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구동부(240)가 상기 정보에 의해 해당 전자석에 해당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210)는 560단계로 진행하여 실행중인 사용자의 상기 프로그램 종료와 같은 촉각 발생 장치의 구동 중지 요청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약, 상기 560단계에서 상기 촉각 발생 장치의 구동 중지 요청이 있는 경우, 57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촉각 발생 장치의 구동을 중지한다.
만약, 상기 560단계에서 상기 촉각 발생 장치의 구동 중지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520단계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530단계에서 반발력 제공 모드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210)는 535단계로 진행하여 진동 제공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 검사한다.
만약, 상기 535단계에서 진동 제공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제어부(210)는 55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촉각 발생 장치를 진동 제공 모드로 동작하게 한다. 진동 발생은 상기 제어부(210)가 상기 구동부(240)로 자기장을 발생할 전자석의 구분자와 전류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구동부(210)가 상기 정보에 의해 해당 전자석에 해당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이후, 상기 560단계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535단계에서 진동 제공 모드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오류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상기 제어부(210)는 537단계로 진행하여 오류처리(예를 들어, 오류메시지 출력 또는 오류 무시)를 수행한 후 상기 520단계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정리하면, 상기 키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촉각 발생 장치는 상기 제어부(210)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의해 반발력 또는 진동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거나 사용자의 상기 촉각 발생 장치의 동작 중단 요구가 있을 때까지 반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촉각 지원 장치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6은 상기 촉각 지원 장치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예시하고 있다. 촉각 발생 장치는 특정 키(610) 하부에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의 상기 특정키(610)의 동작이 있을 경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전자석의 자기장을 조절하여 반발력 또는 진동을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영구 자석과 전류 제어에 의한 전자석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위치 이동이 있을 경우, 상기 위치 이동에 대한 반발력 또 는 진동을 적은 전력 소모 또는 작은 실장 면적의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위치 변화를 제공하고,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진동 발생 또는 특정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촉각 발생부와,
    상기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위치 입력부와,
    상기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기 실행된 프로그램(Program)의 설정에 의해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촉각 발생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프로그램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독출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발생부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키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키를 둘러싸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주변을 감싸는 다수 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촉각 발생부의 다수 개의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에 전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발생부는 상기 구동부의 제공 전류에 의해 상기 다수 개의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에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입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발생부는 상기 구동부의 제공 전류에 의해 상기 다수 개의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에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입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고 상기 키가 상기 반발력에 의해 뒤로 밀려난 후, 자기장을 발생시켜 다시 상기 키가 밀려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입력부는 상기 촉각 발생부로부터의 상기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변화에 따른 인터럽트와 위치 변화 정도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발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키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키를 둘러싸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 주위를 둘러싸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발생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에 제공받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입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발생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에 제공받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입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고 상기 키가 상기 반발력에 의해 뒤로 밀려난 후, 다시 상기 키가 밀려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을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켜 제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발생할 촉각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한 촉각 발생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촉각 발생 구동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는,
    상기 위치변화에 따른 인터럽트와 위치 변화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화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발생할 촉각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은,
    기 실행된 프로그램의 설정에 의해 진동 발생 또는 반발력 발생 중 하나를 결정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키의 일부분에 영구자석을 둘러싸고 상기 영구자석 주위를 다수 개의 전자석으로 둘러싼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촉각 발생 구동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 개의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에 전류를 흘려 발생한 자기장과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장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입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촉각 발생 구동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 개의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에 전류를 흘려 발생한 자기장과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장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입력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고 상기 키가 상기 반발력에 의해 뒤로 밀려난 후, 다시 상기 키가 밀려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을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켜 제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41401A 2006-05-09 2006-05-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0737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01A KR100737765B1 (ko) 2006-05-09 2006-05-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
US11/729,475 US20080018592A1 (en) 2006-05-09 2007-03-29 Apparatus and method for haptic support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01A KR100737765B1 (ko) 2006-05-09 2006-05-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765B1 true KR100737765B1 (ko) 2007-07-10

Family

ID=3850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01A KR100737765B1 (ko) 2006-05-09 2006-05-09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18592A1 (ko)
KR (1) KR100737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63A1 (ko) * 2013-06-21 2014-12-24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자기장을 이용하여 촉감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2179B1 (fr) * 2009-02-17 2011-03-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ffichage de donnees pour automobile
US8310350B2 (en) * 2009-09-29 2012-11-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ounting apparatus for a haptic surface
US8310349B2 (en) * 2009-09-29 2012-11-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aptic surface with mechanical buttons
KR20130007738A (ko) * 2011-07-11 2013-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입력장치
CN102880297A (zh) * 2011-07-14 2013-01-1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键盘
US20140125471A1 (en) * 2012-11-05 2014-05-08 Advanced Input Devices, Inc. Haptic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US10022622B2 (en) 2014-04-21 2018-07-17 Steelseries Aps Programmable actuation inputs of an accessory and methods thereof
US20180363544A1 (en) * 2014-09-29 2018-12-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haft driven engine accessories
CN104409263B (zh) * 2014-11-11 2017-05-2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扩展按键及一种移动终端
AU2016408327B2 (en) * 2016-05-27 2019-10-17 Razer (Asia-Pacific) Pte. Ltd. Input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n inpu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a
US11394385B1 (en) * 2016-09-20 2022-07-19 Apple Inc. Input device having adjustable input mechanisms
US10698489B1 (en) 2018-04-03 2020-06-30 Apple Inc. Compact pivoting inpu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963A (ja) 2004-05-07 2005-11-17 Fujitsu Component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2691B1 (en) * 2000-09-28 2007-02-27 Immersion Corporation Directional inertial tactile feedback using rotating masses
KR100774067B1 (ko) * 2003-01-20 2007-11-06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포인팅 디바이스
US20060267933A1 (en) * 2005-05-25 2006-11-30 Li Chong Tai Eliminating mechanical spring with magnetic for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963A (ja) 2004-05-07 2005-11-17 Fujitsu Component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63A1 (ko) * 2013-06-21 2014-12-24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자기장을 이용하여 촉감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8592A1 (en)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7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촉각 지원 장치 및 방법
US10365720B2 (en) User interface impact actuator
CN108027659B (zh) 电子设备的力反馈表面
US102750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non-input locations
EP3306449B1 (en) Linear vibrator providing localized and generalized haptic feedback
JP5529663B2 (ja) 入力装置
US20170108931A1 (en) Multiple mode haptic feedback system
JP5668076B2 (ja) 電子デバイスにおける触覚帯域を増加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1024460A1 (ja) 入力装置
US200300582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ity for an LCD touchscreen
WO2011024462A1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80316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피드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070200A (ko)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기능 제어 방법
KR20100067985A (ko)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장치
CN101523329A (zh) 多模触觉反馈系统
KR20110061227A (ko) 햅틱디바이스
US20100283331A1 (en) Vibration generation module capable of generating inertial and impact vibrations
KR100980855B1 (ko) 이종 액츄에이터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기기 및 그제공방법
JP2000056923A (ja) 入力装置
CN114911348A (zh) 触感增强机构、显示面板、电子设备和触感增强方法
JP2011187087A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KR100907411B1 (ko) 다중 접촉 입력 장치를 활용한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0957001B1 (ko) 자력을 이용한 햅틱 피드백 제공모듈, 햅틱 피드백 제공모듈을 갖는 휴대기기 및 그 제공방법
KR20090122571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입력 피드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2005063150A (ja) 座標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