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784A -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784A
KR20100066784A KR1020080125254A KR20080125254A KR20100066784A KR 20100066784 A KR20100066784 A KR 20100066784A KR 1020080125254 A KR1020080125254 A KR 1020080125254A KR 20080125254 A KR20080125254 A KR 20080125254A KR 20100066784 A KR20100066784 A KR 20100066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radix
skin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244B1 (ko
Inventor
나달수
임갑영
김소연
정한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2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2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우수하고, 과다 지질 생성으로 면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제거하여 면포로 인한 모공 막힘으로 유발될 수 있는 염증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드름을 예방하거나 뛰어난 효과로 개선할 수 있다.
여드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면포, 발효, 생약재

Description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controlling anti-acne and anti-comed}
본 발명은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 피지 분비 억제 효과 및 항염 효과를 가지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호르몬의 작용, 과도한 피지 분비, 세균의 감염 등에 의한 모피지선, 모낭 및 주변 조직의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여드름의 원인은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원인은 피지의 과다 분비이다. 피지는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물질로서 정상적인 양에서는 피부 외부의 유해 물질이 각질 세포 사이를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사춘기, 월경 전후, 임신 초기나 피임약 복용, 스트레스 등의 환경 하에서 인체는 정상 상태와는 다른 호르몬밸런스를 나타낸다. 이렇게 달라진 호르몬 밸런스는 피지선을 자극하게 되고 이것은 피지의 과다분비로 유도된다. 또한 유전적으로 피지분비가 많은 경우도 있으며 외부 기온의 변화 또는 잘못된 식습관에 따른 피부온도의 증가에 의해서도 증가될 수 있다.
두번째 원인은 모공의 감염이다. 과도하게 분비된 피지에는 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피부 표면의 pH를 높이고, 피부의 지질을 용해시켜 피부자체의 방어력을 저하시킨다. pH가 높아진 피부 표면에서는 여드름의 원인균이 증식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고 증식한 여드름균은 약해진 피부를 통해 화농성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증상에 따라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 과다 분비된 피지가 피지선 주변의 모공에 쌓이면서 면포를 형성하게 되는 면포성 여드름이다. 1단계 면포성 여드름은 여드름 병변으로는 초기의 가벼운단계이나 미용적으로는 좋지 않아 피부 고민이 된다. 이 단계에서는 잘 관리해주면 염증으로의 발전을 억제할 수도 있다. 2단계 구진성 여드름 단계에서는 여드름균이 번식되어 염증 반응이 생기면서 붉은 여드름이 나타나는데 이를 구진이라 하며 적절한 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 흉터가 생길 수 있다. 3단계 화농성 여드름에서는 붉은색 여드름의 염증 반응이 더 심해지면서 내부에 고름 주머니가 생기는데 이를 농포라 하며 이 단계에서는 치료 후에도 흉터가 남게 될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마지막 4단계 결절성 여드름은 고름 주머니가 피부 안에서 터져 여드름 환부 주변에 더 많은 염증을 유발시키는 단계로 손가락만한 덩어리가 생기는데 이를 결절이라 하며 염증이 진피까지 파고 들어간 시기로 전문적인 치료를 요하며 치료 시기도 장기화 될 수 있다.
여드름의 치료는 국소 제제 도포 요법 및 경구 약물 복용 요법과 최근 시행되고 있는 레이저 시술, 박피술 등 수술 요법이 있다.
국소 도포 요법은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작용 목적으로 아젤라익 애씨드(azelaic acid), 살리실산 등의 항균제를 사용하거나 면포 용해 작용을 위해 벤조일퍼록사이드(benzoyl peroxide) 등을 외용 연고 타입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아젤라익 애씨드는 제형화하기 어렵고 살리실산의 경우 국내에서는 방부제로 분류되어 제형 내 0.5%이상을 함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벤조일퍼록사이드의 경우 국내에서는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는 원료라는 문제가 있다.
경구 약물 복용 요법은 피지선의 기능 억제와 모낭벽 파괴 억제 목적으로 레티노이드, 부신피질 호르몬 등을 이용한다. 이들 제제는 과량 복용시 피부 발진, 피부 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있고 개인에 따라 알러지 현상이 유발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이미 발병, 진행된 여드름 및 기타 피부 질환의 문제는 효과의 속도나 경제성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할 때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외용제가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국내 특허공개번호 제2004-0056081호 참조>.
화장품의 단계에서 이러한 의학적인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물질은 많지 않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치료약에 비해 정상 피부의 손상이 적다는 것이 여드름 피부용 화장품의 특징이다. 그리하여 많은 식물추출물과 합성 물질들이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 특허를 받고 있으나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2005-0081564호, 제2005-0081550호, 제2005-0073027호, 제2005-0071275호 등>, 사용 후에 피부 각질이 일어나는 등 치료 효과와 함께 피부 부작용 또한 높아서 피부에 안전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효과를 보이는 제품은 많지 않다.
본 발명은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유발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능과 더불어 여드름 개선에 필수적인 피지분비를 조절하는 효능을 가지며, 광범위한 진행단계에 있는 여드름을 개선하는 효능을 가지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항균하는 용도, 피지 분비를 조절하는 용도, 면포 생성을 감소시키는 용도, 및 항염증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생약재 발효 추출물은 효모 또는 유산균에 생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효모는 Saccharomyces sp., Schizosaccharomyces sp., Torulopsis sp., Rhodotorula sp., 또는 Candida sp.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sp., Streptococcus sp., Leuconostoc sp., 또는 Bifidobacteria sp.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1차적으로는 피부 여드름 발생 및 피부 염증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성장 및 생장을 신속히 억제함으로써 그 효과를 나타내고, 2차적으로는 여드름 발생의 원인 중의 하나인 과잉 피지 분비를 억제하고 면포성 여드름을 소멸시킴으로써 여드름 피부를 개선한다. 또한 항염효과를 나타내어 여드름 피부를 개선한다.
본 발명의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감초, 고본, 곽향, 길경, 녹용, 당귀, 대추, 동충하초, 목향, 백복령, 백지, 사인, 사향초, 석류, 석창포, 송로버섯, 송이, 영지, 오약, 용담, 인삼, 작약, 정향, 조각자, 진피, 창출, 천산설연화, 천화분, 촉초, 행인, 홍삼, 산수유,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생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콩과(Legumis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그늘에 말려 약용 또는 차로서 이용하며, 신경통, 기침, 동맥경화, 배뇨곤란 등에 쓰인다.
상기 고본(Angelica tenuissima)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복통, 치통, 설사 등에 효능을 갖는다.
상기 곽향(Agastache rugosa)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위창병증, 발한, 해열, 건위 등에 쓰인다.
상기 길경(Platycodon gradiflorum)은 도라지과(Campan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후비인통, 치통구창 등에 쓰인다.
상기 녹용(Cervus nippon)은 사슴과(Cervidae)에 속하는 매화록이나 근연동물의 미골화된 풀을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간과 신을 보호하고 뼈와 근육을 강하게 한다.
상기 당귀(Angelica gigas)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뿌리로서 신체허약, 두통, 변비 등에 사용된다.
상기 대추(Zizyphus jujube)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자양, 강장, 해독, 진해, 진통에 쓰인다.
상기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는 매각균과(Hypocreaceae)에 속하며, 항암,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등에 쓰인다.
상기 목향(Aucklandia lappa)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뿌리로 곽란, 구역반위 등에 쓰인다.
상기 백복령(Poria cocos)은 잔나비걸상과(Polypooraceae)에 속하며 임력, 소갈, 설사 등에 쓰인다.
상기 백지(Angelica dahurica)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으로, 두통, 어지럼증, 구안와사 등에 쓰인다.
상기 사인(Amomum villosum)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 로 구토, 설사, 태동불안 등에 쓰인다.
상기 사향초(Thymus vulgalis)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두통, 우울증, 빈혈, 피로회복 등에 쓰인다.
상기 석류(Punica granatum)는 석류나무과(Punic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활엽소교목으로, 동맥경화, 설사, 무좀 등에 쓰인다.
상기 석창포(Acorus tatarinowii)는 천남성과(Araceae)에 속하며, 건망증, 화농성종양, 타박상 등에 쓰인다.
상기 송로버섯(Tuber melanosporum)은 자낭균류 서양송로과의 지하생 버섯으로 식용으로 쓰인다.
상기 송이(Tricholoma matsutake)는 담자균류 송이과의 버섯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혈액순환증진(손,발 저림, 허리와 무릎 시림 치료), 동맥경화, 심장병, 당뇨병, 고지혈증 등에 쓰인다.
상기 영지(Ganoderma lucidum)는 잔나비걸상과(Polypooraceae)에 속하는 영지초와 근연종의 자실체로, 동맥경화, 신경통, 암 등에 쓰인다.
상기 오약(Lindera strichnifolia)은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천태오약의 뿌리로, 방광냉기, 소변빈수, 백탁, 중풍중기 등의 효능을 갖는다.
상기 용담(Gentiana scabra)은 용담과(Gentian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창종, 간질, 회충, 습진 등에 쓰인다.
상기 인삼은 오가피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 혈액순환, 수족냉감, 기관지염 등에 쓰인다.
상기 작약(Paeonia albiflora)은 미나리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혈액순환 촉진, 진통, 진경 등에 쓰인다.
상기 정향(Eugenia caryophyllata)은 정향나무과(Myrt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에 속하는 정향수의 꽃봉우리를 말린 것으로, 반위, 입냄새 완화, 성기능 활성화 등에 쓰인다.
상기 조각자(Gleditsia sinensis)는 콩과(Reguminosae)에 속하는 조각자나무의 가시를 건조한 것으로, 종기, 살충 등에 쓰인다.
상기 진피(Citruunshiu)는 산초과(Ruraceae)에 속하는 귤이 성숙과실의 껍질을 건조한 것이다.
상기 창출(Atractylodes chinensis)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산주의 덩이줄기를 건조한 것으로, 중풍, 결막염, 고혈압, 현기증 등에 쓰인다.
상기 천산설련화(Saussurea involucrate)는 미나리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진통제, 창종, 강심제, 이뇨제 등으로 쓰인다.
상기 촉초(Zanthoxylum piperitum)는 산초과(Ruraceae)에 속하는 산초나무의 성숙한 과피로 복통, 설사, 구충작용, 피부습진 등에 쓰인다.
상기 행인(Prunus armeniaca)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살구나무의 성숙한 과실의 종자로서, 기침과 숨이 찬 것의 치료에 쓰인다.
상기 홍삼(Red gienseng)은 인삼을 증기로 쪄서 말린 것으로, 강심작용, 당뇨, 원기회복, 성기능 강화 등에 쓰인다.
상기 산수유(Corm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 열매의 육질을 건조한 것으로, 신농본초경에서는 간과 신장을 보하며 수렵고삽하는 효능이 있다고 전해지며, 현대 약리학적으로는 면역기능조절, 혈당강하, 소염, 항균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지한, 이뇨, 소종, 강장 등에 쓰인다.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각기, 황달, 간염 등에 쓰인다.
상기 은행(Ginkgo biloba)은 은행과(Gingkoaceae)에 속하는 다년생 활엽교목으로 심장통, 고혈압, 천식, 해수 등에 쓰인다.
상기 의이인(Coix lachryma-jobi var.ma-yuen)은 벼과(Gramineae)의 1년생 초본인 율무의 자인으로, 만성관절염, 폐손갈혈 등에 사용한다.
상기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은 치마버섯과에 속한다.
상기 황백(Phellodendron chinense)은 산초나무과(Rutaceae)에 속하는 황벽나무의 코르크층을 분리한 수간피로서, 명치에 생긴 질병의 치료에 쓰인다.
상기 비파엽(Eriobotrya japonica)은 장미과(Roosaceae)에 속하는 비파나무의 잎을 건조한 것으로, 만성기관지염, 해수, 구토 등에 쓰인다.
상기 알로에(Aloe ferox)는 나리과(R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항균, 항궤양, 항암 등에 쓰인다. 상기 율피(Castanea crenata)는 참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밤나무의 밤 속껍질로 수렴작용이 있다.
상기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는 자작나무과(Betulaceae)에 속하며 황달, 설사, 신장염, 폐결핵, 위염 등에 쓰인다.
상기 장미(Rosa hybrida)는 장미과(Rosaceae)에 관목성의 화목으로 관상용이나 향료용으로 쓰인다.
상기 강낭콩(Phaseolus vulgaris)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종기, 이뇨, 설사, 각기, 부종 등의 약용으로 쓰인다.
상기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느타리과에 속하며 활엽수의 고목에 군생하며 식용으로 쓰인다.
상기 능소화(Cammpsis grandiflora)는 능소화과(Bignoniaceae)에 속하는 덩굴식물로 어혈이나 혈열에 의한 질환치료 등에 쓰인다.
상기 백년초(Opuntia ficus)는 손바닥 선인장으로도 불리며, 피부질환, 류마티스, 화상치료 등에 쓰인다.
상기 빈랑자(Areaca catechu)는 야지나무과(Palmae)에 속하는 빈랑수의 열매를 말하며, 구충약, 권위약 등에 쓰인다.
상기 사철쑥(Artemisia capillaries)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일년성 초본으로 이뇨제나 황달에 쓰인다.
상기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는 대극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위염, 위궤양, 위암에 쓰인다.
상기 옥죽(Polygonatum officinale)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둥글레의 뿌리를 당뇨, 심근쇠약, 고지혈증 등에 사용한다.
상기 조구등(Incaria sinensis)은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며, 발작, 마비, 혈압강하 등에 쓰인다.
상기 질려자(Tribulus terrestirs)는 남가새과(Zypophyll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인 남가새의 과실로 안과질환에 자주 쓰인다.
상기 풍년화(Hamamellis japonica)는 아열대에 속하는 낙엽수인 위치 하젤(Witch Hazel)로 피부진정작용과 보호작용이 있다.
상기 피마자(Ricinus communis)는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인 아주까리의 성숙한 종자로, 사하제, 변비, 옴, 화상 등에 쓰인다.
상기 혈갈(Draconis resina)은 종려과(Palmae)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등본인 기린갈의 과실과 줄기에서 얻은 수지를 건조한 것으로, 출혈, 찰과상, 생리불순 등에 쓰인다.
상기 호과(Cucumis sativus)는 박과(Cucurbut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인 오이의 과실이다.
상기 호도(Juglans regia)는 가레나무과(Juglandaceae)에 속하는 호두나무의 종자로, 노인쇄약, 자궁출혈, 위산과다, 하복통, 급만성 임질 등에 쓰인다.
상기 호박(Cucurbita moschata)은 박과(Cucurut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식용, 천식치료 등에 쓰인다.
상기 호이초(Saxifraga stolonifera)는 범의귀과(Saxifrag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백일해, 화상, 동상 등에 쓰인다.
상기 홍화(Carthamus tinctorius)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 으로 부인병, 복통, 통경 등에 쓰인다.
상기 황정(Polygonatum sibiricum)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층층둥글레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으로, 당뇨에 쓰인다.
상기 감잎(Diospyroskaki)은 감나무과(Ebenaceae)에 속하는 감나무의 잎을 말려 약용으로 이용하며, 중풍, 고혈앞 등에 쓰인다.
상기 생약재들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생약재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증류수,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건조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약재로 시판되는 감초, 고본, 곽향, 길경, 녹용, 당귀, 대추, 동충하초, 목향, 백복령, 백지, 사인, 사향초, 석류, 석창포, 송로버섯, 송이, 영지, 오약, 용담, 인삼, 작약, 정향, 조각자, 진피, 창출, 천산설연화, 천화분, 촉초, 행인, 홍삼, 산수유,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또는 감잎을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환류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50∼100 ℃로 1∼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생약재들의 추출물을 추출한다. 그 다음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 회 이상씩 더 추출한 후, 추출액들을 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나 분무건조하여 건조추 출물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생약재 추출물들은 효모 또는 유산균에 첨가, 배양하여 최종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효모 또는 유산균의 기본 배지에 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미생물로 효모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감초, 고본, 곽향, 길경, 녹용, 당귀, 대추, 동충하초, 목향, 백복령, 백지, 사인, 사향초, 석류, 석창포, 송로버섯, 송이, 영지, 오약, 용담, 인삼, 작약, 정향, 조각자, 진피, 창출, 천산설연화, 천화분, 촉초, 행인, 홍삼, 산수유,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YM 배지)에 효모를 접종한 후,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30∼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효모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로 유산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감초, 고본, 곽향, 길경, 녹용, 당귀, 대추, 동충하초, 목향, 백복령, 백지, 사인, 사향초, 석류, 석창포, 송로버섯, 송이, 영지, 오약, 용담, 인삼, 작약, 정향, 조 각자, 진피, 창출, 천산설연화, 천화분, 촉초, 행인, 홍삼, 산수유,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MRS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24∼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생약재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의 여드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거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외용연고는 본 발명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바셀린 50∼97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5 중 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의 생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드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생약재 발효 추출물 제조
건조된 감초, 고본, 곽향, 길경, 녹용, 당귀, 대추, 동충하초, 목향, 백복령, 백지, 사인, 사향초, 석류, 석창포, 송로버섯, 송이, 영지, 오약, 용담, 인삼, 작약, 정향을 세절한 후 다시 호모믹서로 분쇄, 교반하여 미세 분말상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분말화된 생약을 다시 오토마이저(Atomizer, USA)로 분쇄하여 스크린(파이 0.8 ㎜, ROUND HALL)에 통과시켰다. 이 과정을 반복한 후 직경 0.3 ㎜의 스크린(ROUND HALL)에 통과시키고, 체(타일로 표준체, 200 메쉬)로 걸러 초미립 분말상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생약 분말을 1.5 L의 정제수에 3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탄소원, 질소원, 인산염, 무기염류, 미량영양성분 등을 기본 조성으로 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적절한 pH(5.0∼7.5)로 맞추었다.
상기 배양 배지에 Sacchromyces cerevisiae를 106 cells/mL로 생약 분말이 함유된 기본 배지에 접종하고,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3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발효액을 10,000 × g에서 30 분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가 제거된 최종 생약재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생약재 발효 추출물 제조
생약재가 조각자, 진피, 창출, 천산설연화, 천화분, 촉초, 행인, 홍삼, 산수유,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생약재 발효 추출물 제조
생약재가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감잎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생약재 추출물 제조
감초, 고본, 곽향, 길경, 녹용, 당귀, 대추, 동충하초, 목향, 백복령, 백지, 사인, 사향초, 석류, 석창포, 송로버섯, 송이, 영지, 오약, 용담, 인삼, 작약, 정향, 조각자, 진피, 창출, 천산설연화, 천화분, 촉초, 행인, 홍삼, 산수유,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을 건조하여 세절한 후, 추출 용매로 증류수를 넣어 생약재 추출물이 30 중량%가 되도록 추출하였다. 이를 3 일간 냉침한 후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0.2 ㎛ 필터로 여과하고, 살균효과를 위해 3 일간 UV 자외선을 쪼여 최종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형예를 제시하나, 하기 제형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
아래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4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형예 1은 여드름 피부 개선의 유효성분(하기 표 1의 C상)으로서 감초, 고본, 곽향, 길경, 녹용, 당귀, 대추, 동충하초, 목향, 백복령, 백지, 사인, 사향초, 석류, 석창포, 송로버섯, 송이, 영지, 오약, 용담, 인삼, 작약, 정향의 발효 추출물(실시예 1)을 배합시킨 것이고, 제형예 2는 조각자, 진피, 창출, 천산설연화, 천화분, 촉초, 행인, 홍삼, 산수유,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의 발효 추출물(실시예 2)을 배합시킨 것이고, 제형예 3은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감잎의 발효추출물(실시예 3)을 함유시킨 것이다. 또한, 비교제형예 1은 여드름 피부 개선의 유효성분을 전혀 포함시키지 않은 것이고, 비교제형예 2는 항균력에 대한 기준으로 삼을 표준물질로서, 여드름 치료제로 많이 사용하는 클린다마이신을 함유시킨 것이고, 비교제형예 3은 발효하지 않은 생약재추출물(비교예 1)을 함유시킨 것이다.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4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기 표 1의 A상의 성분들을 완전 용해시키고 별도의 용해조에서 B상의 성분들을 완전 용해시킨 다음, B상을 A상에 첨가하여 혼합가용화 시켰다. 여기에 C상의 성분들을 표 1에 기재된 배합비율에 따라 첨가하여 혼합 균일화 시킨 다음 여과시켜 본 조성물들을 제조하 였다.
구분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비교제형예3
A 탈이온수(Deionized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B 에탄올 5.0 5.0 5.0 5.0 5.0 5.0
PEG-60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0.4 0.4 0.4 0.4 0.4 0.4
향료(perfume) 0.04 0.04 0.04 0.04 0.04 0.04
C 실시예 1 5.0 - - - - -
실시예 2 - 5.0 - - - -
실시예 3 - - 5.0 - - -
비교예 1 - - - - 5.0 -
클린다마이신 - - - - - 5.0
[실험예 1: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의 조성으로 제조된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가지고 여드름 원인 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ATCC 6919: 배지-BHI 브로쓰(broth)>에 대하여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1)시험 균액 준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는 BHI 브로쓰에 접종하여 혐기 배양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2)희석 용액 준비
BHI 브로쓰(pH 6.8) 또는 LB 브로쓰(pH 4.5) 15ml에 상기 시험 균액을 0.15ml 첨가하여 잘 혼합한 것을 희석용액으로 사용하였다.
(3)시료 준비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원액 그대로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4)항균력 시험
1)96웰의 세포배양관(96well plate) 1번 행에 출발 농도에 맞도록 시료를 넣고 희석용액으로 총량을 200ul로 맞춘다. 나머지 웰들에는 희석용액 100ul씩을 넣는다.
2)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ul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 다시 100ul를 취하여 3번 행에 넣는 방식으로 이중 희석(double dilution)을 행한다.
3)32℃에서 24시간 및 48시간 정치 배양한 후 현탁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농도를 MIC(최소저지농도; 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값으로 결정한다. 만약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면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한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pH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제형예 1 5.6 <5ppm
제형예 2 5.3 <1ppm
제형예 3 5.2 <5ppm
비교제형예 1 5.7 *측정불가
비교제형예 2 5.5 <10ppm
비교제형예 3 5.7 <30ppm
제형예 1~ 3은 시험균에 대해 MIC 20 ppm 내지 1ppm의 항균력이 있었다. MIC에서 ppm농도가 적을수록 여드름균에 대해 유효한 물질이라고 할수 있다.
[실험예 2: 여드름 개선과 피지분비 감소 및 자극 유무의 시험]
여드름을 보유하고 있는 12명에게 상기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으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한 달간 사용하게 하였다. 여드름 개선 척도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그렇다’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12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여드름 소멸 시기는 소멸이 판독된 일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여드름 재발은 유무로 1개월 뒤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다. 피지 분비감소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그렇다’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12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피부자극의 유무는 (자극반응을 보인 명수)/(총 시험자수)로 보았다.
염증성 여드름
개선
면포성 여드름
소멸시기
여드름 재발 피지분비 감소 자극 유무
제형예 1 4.2 5일 4.0 1/12
제형예 2 4.5 2일 4.1 2/12
제형예 3 4.4 5일 4.0 1/12
비교제형예 1 2.1 13일 2.0 0/12
비교제형예 2 4.2 2일 4.1 9/12
비교제형예 3 3.0 10일 2.8 1/12
상기 표 3에 나타나듯이, 제형예 1 ~ 3은 비교제형예 1, 3 에 비해 여드름이 재발되지 않았고, 염증성 여드름 개선에 대해 평균 4점 이상, 면포성 여드름 소멸시기에 대해 평균 5일 이하, 피지분비 감소에 대해 평균 4점 이상을 획득하여, 여드름 개선에 대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항균력 표준물질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2의 경우, 제형예 1 ~ 3과 유사한 효능을 보이고 있으나, 사용함에 있어 나머지 다른 실험예들에 비해 자극이 강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 피부자극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자극 여부, 개선 속도, 개선 정도, 피지분비 감소정도 등 여러 가지 요소를 볼 때 생약재의 발효추출물이 여드름 피부의 환자에게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염증 개선 효과]
항염증 효과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로 평가하였다. 전기 추출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선, 마우스의 복강에서 채취한 대식세포에 최종농도가 500M이 되도록 아스피린을 첨가해 세포에 잔존하는 시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COX”) 활성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런 다음 전기 현탁액을 96웰의 세포배양관의 각 웰에 100㎕를 넣어 5% CO2와 37℃ 조건의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대식 세포를 용기 표면에 부착시켰다. 이어, 부착된 대식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한 후 이를 추출물의 효과 시험에 사용하였다. 전기 배양된 대식세포 5x104cell/㎖에 LPS를 1%(w/v)로 함유하는 RPMI 배지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유발하고 추출물을 100㎕처리하여 유리된 프로스타글란딘을 효소면역 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이때,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활성은 LPS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각각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의 차이를 100%로 설정하고, LPS와 시료를 함께 처리하여 감소된 프로스타글란딘의 백분율을 통하여 대조군과 비교,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효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블랭크(Blank) 100%
대조군(아스피린 처리군) 25.0%
제형예 1 32.8%
제형예 2 34.2%
제형예 3 39.2%
비교제형예 1 15.4%
비교제형예 2 24.2%
비교제형예 3 25.5%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결과 아스피린으로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제형예 1 ~ 3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발효되지 않은 생약재추출물(비교제형예 3)보다 제형예 1 ~3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생약재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는 감초, 고본, 곽향, 길경, 녹용, 당귀, 대추, 동충하초, 목향, 백복령, 백지, 사인, 사향초, 석류, 석창포, 송로버섯, 송이, 영지, 오약, 용담, 인삼, 작약, 정향, 조각자, 진피, 창출, 천산설연화, 천화분, 촉초, 행인, 홍삼, 산수유,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각 추출물은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가 Saccharomyces sp., Schizosaccharomyces sp., Torulopsis sp., Rhodotorula sp., 및 Candida s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Lactobacillus sp., Streptococcus sp., Leuconostoc sp., 및 Bifidobacteria s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항균하는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지 분비를 조절하는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포 생성을 감소시키는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 양화장수(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젤,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125254A 2008-12-10 2008-12-10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54A KR101652244B1 (ko) 2008-12-10 2008-12-10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54A KR101652244B1 (ko) 2008-12-10 2008-12-10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84A true KR20100066784A (ko) 2010-06-18
KR101652244B1 KR101652244B1 (ko) 2016-08-30

Family

ID=4236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254A KR101652244B1 (ko) 2008-12-10 2008-12-10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244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2420A (zh) * 2010-12-31 2012-07-11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一种抗衰老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771773A (zh) * 2012-07-20 2012-11-14 黄晓青 一种含有中药提取物的松露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02895398A (zh) * 2012-09-28 2013-01-30 陈政秀 一种治疗痤疮的中药膏及制备方法
KR101290795B1 (ko) * 2011-07-20 2013-07-29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유효성분이 증가된 발효 도라지 제조방법
KR101292944B1 (ko) * 2011-01-24 2013-08-02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101346740B1 (ko) * 2011-09-21 2014-01-02 보은군 대추의 열수 추출액을 포함하는 비피도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발효를 위한 배지
CN103655879A (zh) * 2013-11-27 2014-03-26 祝迈 一种治疗慢性湿疹的外用药
KR101521446B1 (ko) * 2013-09-04 2015-05-22 (주) 메디플랜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2410A (ko) * 2014-02-04 2015-08-13 안려은 세라마이드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08971A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이음코스메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0448A (ko) *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오비엠랩 피지 과다분비 또는 지루성 피부염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137044A (ko) * 2015-05-22 2016-11-30 주식회사 더삼점영 여드름 환자 치료용 식물추출물의 조성물
KR101716106B1 (ko) * 2016-04-18 2017-04-06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해조류 혼합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CN109528569A (zh) * 2019-01-07 2019-03-29 广州市拓瑞科技有限公司 具有细胞修护功能的皮肤调理组合物、细胞修护精华露及其制备方法
KR101969757B1 (ko) * 2018-07-30 2019-04-18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047459B1 (ko) * 2018-12-24 2019-11-21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WiKim0088
KR102215827B1 (ko) * 2019-10-24 2021-02-15 박성민 여드름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691125A (zh) * 2021-01-05 2021-04-23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护肤品
KR20210068206A (ko) * 2019-11-29 2021-06-09 최병길 천연물 혼합 숙성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2642B1 (ko) * 2021-01-19 2021-07-28 (주)더마랩 5가지 방향성 식물과 5가지 생약소재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607490A (zh) * 2022-10-12 2023-01-17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用于抑制皮脂腺类炎症的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4117700A4 (en) * 2020-03-13 2024-01-24 Medihelpline Co Ltd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HERBS EXTRACT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INHIBITION OF TLSP AND TREATMENT OR RELIEF OF INFLAMMATORY SKIN DISEASE AND US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199A (ko) 2019-12-06 2021-06-16 김경수 코르크참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444B1 (ko) * 2003-06-27 2006-06-07 신준식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20080094458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4457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444B1 (ko) * 2003-06-27 2006-06-07 신준식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KR20080094458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4457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2420A (zh) * 2010-12-31 2012-07-11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一种抗衰老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92944B1 (ko) * 2011-01-24 2013-08-02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101290795B1 (ko) * 2011-07-20 2013-07-29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유효성분이 증가된 발효 도라지 제조방법
KR101346740B1 (ko) * 2011-09-21 2014-01-02 보은군 대추의 열수 추출액을 포함하는 비피도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발효를 위한 배지
CN102771773A (zh) * 2012-07-20 2012-11-14 黄晓青 一种含有中药提取物的松露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02895398A (zh) * 2012-09-28 2013-01-30 陈政秀 一种治疗痤疮的中药膏及制备方法
KR101521446B1 (ko) * 2013-09-04 2015-05-22 (주) 메디플랜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CN103655879A (zh) * 2013-11-27 2014-03-26 祝迈 一种治疗慢性湿疹的外用药
KR20150092410A (ko) * 2014-02-04 2015-08-13 안려은 세라마이드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08971A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이음코스메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0448A (ko) * 2015-04-08 2016-10-18 주식회사 오비엠랩 피지 과다분비 또는 지루성 피부염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137044A (ko) * 2015-05-22 2016-11-30 주식회사 더삼점영 여드름 환자 치료용 식물추출물의 조성물
KR101716106B1 (ko) * 2016-04-18 2017-04-06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해조류 혼합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1969757B1 (ko) * 2018-07-30 2019-04-18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047459B1 (ko) * 2018-12-24 2019-11-21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WiKim0088
CN109528569A (zh) * 2019-01-07 2019-03-29 广州市拓瑞科技有限公司 具有细胞修护功能的皮肤调理组合物、细胞修护精华露及其制备方法
KR102215827B1 (ko) * 2019-10-24 2021-02-15 박성민 여드름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8206A (ko) * 2019-11-29 2021-06-09 최병길 천연물 혼합 숙성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4117700A4 (en) * 2020-03-13 2024-01-24 Medihelpline Co Ltd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HERBS EXTRACT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INHIBITION OF TLSP AND TREATMENT OR RELIEF OF INFLAMMATORY SKIN DISEASE AND USE THEREOF
CN112691125A (zh) * 2021-01-05 2021-04-23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护肤品
KR102282642B1 (ko) * 2021-01-19 2021-07-28 (주)더마랩 5가지 방향성 식물과 5가지 생약소재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607490A (zh) * 2022-10-12 2023-01-17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用于抑制皮脂腺类炎症的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244B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24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7939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6694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2678A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4457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092176A1 (zh) 一种美白抗皱中药组合物及其混合提取物和应用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268A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1484887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245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6708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6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175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21752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1754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5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5446A (ko)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614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8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