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268A -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268A
KR20190003268A KR1020170083925A KR20170083925A KR20190003268A KR 20190003268 A KR20190003268 A KR 20190003268A KR 1020170083925 A KR1020170083925 A KR 1020170083925A KR 20170083925 A KR20170083925 A KR 20170083925A KR 20190003268 A KR20190003268 A KR 20190003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organic solvent
car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186B1 (ko
Inventor
박정숙
이재혁
심재근
김미혜
Original Assignee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1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며, 부작용 없이 칸디다증 내지 어루러기를 예방 또는 보조적 치료 내지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바디워시용품 등의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육계, 어성초, 오배자, 오매, 지유 및 황련 각각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성물은 하수오, 청호, 정향 및 영릉향 각각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Cpmposition for care of dermatic disease comprinsing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며, 부작용 없이 칸디다증 내지 어루러기를 예방 또는 보조적 치료 내지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바디워시용품 등의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현대인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피부질환 중의 하나는 진균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이다. 이중 가장 흔한 무좀 및 비듬이 대표적인 피부 질환이다. 이들 질환은 대부분 쉽게 치료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겉으로 완치된 것처럼 보여도 쉽게 재발하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질환이기도 한다. 진균증은 표재성 진균증, 피하 진균증, 심부 진균증으로 나누어지며, 피부과에서 다루는 것은 표재성 진균증과 피하 진균증이며, 내과에서 주로 다루는 것은 심부 진균증과 피하 진균증이다. 표재성 진균증은 피부사상균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주를 이루며, 나머지가 칸디다 알비칸스 등에 의한 피부 칸디다증(candidiasis),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의한 어루러기(pityriasis versicolor)이다.
칸디다증은 진균의 일종인 칸디다에 의해 신체의 일부 또는 여러 부위가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 질환으로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 및 경과를 나타낸다. 칸디다는 사람에게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이지만, 인체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모든 사람에게 정상 진균총으로 존재하는 효모균류로서 과다 증식시에는 인체에 칸디다증(Candidiasis)을 유발한다. 칸디다증은 주로 면역이 저하된 사람에게서 감염을 일으키는 기회성 감염으로 어린아이부터 성인,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신피부 및 구강, 서혜부, 여성의 질에서 호발하며 심장, 간, 폐, 비장 및 신장까지 침입하여 숙주의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미국국립보건연구소(NIH)는 C. albicans가 병원내 감염균 서열4위를 차지하며 진균 감염으로는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후천성면역결핍환자, 암환자, 결핵환자, 당뇨병 환자 등 면역이 결핍된 소모성 질환자에게는 매우 치명적이다.
한편, 칸디다증은 표재성과 심재성 칸디다증으로 크게 나뉘며, 표재성 칸디다증에 대한 치료제로는 염산테르비나핀(외용), 미코나졸(MCZ), 플루코나졸(FLCZ), 이트라코나졸(ITCZ) 등이 있다. 이를 치료하는 약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거나, 그 범위가 넓어서 상당한 양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 해당 약물은 인체에 대한 부작용을 심하게 일으킬 수 있다. 한편, 가벼운 감염증에도 지속적으로 약품을 적용하다 보면 약재 내성의 증가로 추후 심한 감염증의 경우 치료가 어렵게 될 수도 있다.
표재성 칸디다증 중에서 피부 칸디다증의 원인균은 대부분이 칸디다 알비칸스이다. 또한, 어루러기(pityriasis versicolor)의 원인균은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초기에 이러한 원인균에 의한 질환을 예방하거나 예비적으로 치료하는 경우 이로 인한 추가적 감염을 통한 심각한 질환으로의 전환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약품 대부분이 전문 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에 의해야 하거나, 가벼운 감염증에는 자가적으로 대체할 소재가 거의 전무한 형편이다.
전세계적 인구의 70% 이상이 칸디다에 의한 감염 이력이 있고, 우리나라 여성 90% 이상이 칸디다 증식으로 인한 생식기 질환을 경험하고 있고, 청소년기 학생, 주부 등의 여성이 스트레스나 과로시 빈번하게 칸디다 감염 증식이 발생하여 삶의 질 저하 및 시간, 경제적 손실이 심각하며, 노인 및 면역저하 환자에게는 초기의 피부 칸디다증이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따라서 진균 감염을 예방하거나 이의 증식을 억제할 보조적 치료제 내지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전통 약재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일상 생활의 생활방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제품 형태로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손상을 예방함으로써 피부의 자연적인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피부 진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성분들도 함께 제공되어 제품화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18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24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4776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3282호
본 발명은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며, 부작용 없이 칸디다증 내지 어루러기를 예방 또는 보조적 치료 내지 치료할 수 있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바디워시용품에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육계, 어성초, 오배자, 오매, 지유 및 황련 각각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성물은 하수오, 청호, 정향 및 영릉향 각각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조건 개선을 위해 광금전초, 왕불유행 및 감송향 각각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질환은 피부 칸디다증(candidiasis) 또는 어루러기(pityriasis versicolor)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항진균성의 가능성이 있는 천연물질에 대한 여러 문헌정보들을 확인하였다. 개별적인 천연물에 대한 많은 실험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설계한 구상의 바탕위에서, 한의학적인 지식을 더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약재들에 대하여는 관련문헌이 없는 경우 스크리닝 차원에서 간단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관련문헌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실증 차원에서 간단한 스크리닝 실험을 진행하였다. 스크리닝의 결과와 한의학적 사상의 조화를 통해 천연물질의 조합을 구성하고, 이들의 조합에 대하여도 실질적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조합의 경우, 피부 상태의 개선에도 매우 효과가 좋을 뿐만 아니라, 피부 칸디다증 내지 어루러기 질환의 예방 내지 치료가 보다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리닝 결과와 한의학적 균형을 고려하여 육계, 어성초, 오배자, 오매, 지유 추출물을 기본적 구성으로 하고, 하수오, 청호, 정향, 영릉향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 기능활성을 위해, 광금전초, 왕불유행, 감송향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육계(cinnmomi Cortex Spissus)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한 상록향목인 육계나무(Cinnamomum loureirii) 또는 계피나무(cinnamomum cassia)의 수피를 건조한 것으로 8~10월 사이에 채취하여 음건한다. 신, 비, 방광경에 치유하고 통혈맥, 음담, 복통설사, 망양회탈 등에 사용된다. 육계는 녹나무과 (Lauraceae)에 속한 육계 cinnamomum cassia Presl의 수피로 정유 1~3.4%, 탄닌질 2~3%, 점액, 탄수화물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의 주성분은 계피알데히드 75~90%, 찐나밀아세타트, 페닐프로필아세타트, 실리찔알데히드 등이다. 신장, 비, 방광으로 들어가 인체의 양기를 보충시키고 비위를 따뜻하게 하며 차가운 기운을 몰아내고 혈맥을 잘 통하게 하여 땀내기약, 열내림약, 진통제 등으로 사용된다. 약리실험결과 육계는 건위작용, 항균작용 및 혈액순환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성초(Houttuyniae Herba)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학명은 Houttuynia Cordata 이고, 약모밀, 십약 등의 다른 이름이 있다. 어성초는 잎, 줄기, 뿌리 전체에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유의 독특한 냄새를 포함한 생리활성물질들이 신진대사를 도와 혈액을 맑게 하고 신장기능을 촉진시키며, 염증 증상과 체내 독소를 배설하는 등의 기능이 있어, 이미 3000여 년 전의 옛날부터 중국, 일본 등에서 민간약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한방에서 어성초는 고혈압, 변비증, 당뇨병, 해열, 종기, 해독, 관절염, 염증성 질환과 피부질환에 이용되고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전초에 정유성분인 데카노일아세트 알데히드, 메론, 미르센 등이 있는다. 이뇨작용, 진통작용, 지혈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혈관확장작용 및 소염작용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으로 예로부터 생약재로 널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삼백초와 더불어 유망 건강식품소재 가운데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해열, 해독, 폐렴, 말라리아, 수종, 백대하, 치질, 피부병 등의 치료와 항균, 이뇨, 진통, 지혈, 조직 재생 촉진 등의 작용에 쓰이며, 최근에는 항산화성 헬퍼 심플렉스 바이러스 타입 1(herper simplex virus type 1), 인간 면역결여 바이러스 타입 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에 대한 억제 효과, 항종양, 항백혈병, 고지혈 억제 효과, 카드뮴에 대한 독성억제효과, 브로모벤젠대사계에 미치는 어성초의 영향 등이 보고되었다.
오배자(Galla Rhois)는 오배자면충이 옻나무과의 붉나무(Rhus javanica L.)의 잎에 기생하여 만든 벌레집으로 문합(文蛤), 백충창(白蟲倉)이라고도 한다.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붉나무의 잎에 생긴 벌레집을 말려서 사용한다. 주요성분으로는 다량의 갈로탄닌(gallotannin), 수지, 지방,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에서 오배자의 '갈로탄닌(gallotannin)' 성분은 수렴 작용이 있다. 또한, 이질균, 녹농균 등에 항미생물 작용이 있으며, 간 기능 보호 작용과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에서 소화기도 출혈에 이 약물 15그램을 가자(訶子)와 배합하여 복용하자 유효한 반응을 보였고, 궤양성 결장염, 방사성 직장염, 유정, 폐결핵으로 인한 도한, 각혈, 이질, 자한, 당뇨병, 식도암, 치질, 화상, 조루, 야제(夜啼), 소아설사, 가을철에 유행하는 장염 등에 치료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타닌 성분을 50~60% 함유하고 있다.
오매(Mume Fructus)는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old et Zuccarini (장미과 Rosaceae)의 덜 익은 열매로서 연기를 쪼인 것이다. 열매로 구형에 가깝거나 납작한 구형이며, 길이 2~3cm, 지름 1.5~2cm이다. 바깥 면은 검은색~흑갈색이고, 주름이 있으며, 아랫쪽에는 원형의 열매꼭지 자국이 있다. 과핵은 매우 딱딱하고 타원형이며 황갈색이고 겉면에는 오목한 점이 많으며, 길이 1~1.4cm, 너비 1cm, 두께 0.5cm 가량이다. 씨는 납작한 달걀모양이고, 연한 노란색이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시다. 오매는 폐기를 수렴시켜 기침과 해수를 멎게하고 설사를 그치게 하며 진액 부족으로 인한 갈증에 사용하고 회충으로 인한 구토와 복통을 낳게 한다. 소화불량과 식용부진에도 효과가 있다. 매실나무의 꽃인 매화는 신경과민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안되며, 목 안에 이물질이 걸려 있는 것 같은 증상, 나력창독(癩歷瘡毒) 등에 효과가 있다. 오매의 약리작용으로 면역 증강작용, 항균 작용, 자궁경부암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지유(Sanguisorbae Radix)는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inne) 또는 장엽지유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쓴맛이 강하다. 지혈, 수렴, 해독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대장염, 이질, 설사, 토혈,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산구이소르비게닌(Sanguisorbigenin)이라는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으며, 탄닌, 우르솔산, 엘라그산, 포몰산 등의 성분을 가지고 있다. 한방에서 지유 추출액은 항염증 작용과 혈관 수축작용이 있다고 하여 지혈, 산후 출혈, 염증성 월경과다 등에 사용하고 있다.
황련은 바구지과 식물인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과 같은 속(屬) 식물 Coptis sp.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초겨울에 캐서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물에 씻어 햇볕이나 건조실에서 말린 다음 두드려 겉껍질을 없앤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심경(心經), 간경(肝經), 위경(胃經),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화(火)를 말끔히 제거하고 해독한다. 약리 실험에서 주요 성분인 베르베린이 장내 세균에 대한 항균 작용, 진정 및 진경(鎭驚) 작용, 항동맥경화 작용, 소염 작용, 이담(利膽) 작용, 췌장액 분비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열을 내리고 습(濕)을 제거하며 화(火)를 내리고 해독하며 혈(血)을 자양시키고 울결(鬱結)된 것을 풀어주며 경계(驚悸)를 진정시키고 회충을 없애며 눈을 밝게 하고 간기(肝氣)를 진정시키며 심(心)을 맑게 하고 위(胃)를 다스리며 장(腸)을 두텁게 하고 뼈를 단단하게 하며 기육(肌肉)을 튼실하게 하고 살충하는 효능을 가진다.
상기의 식물 추출물이 기본적 주요 기능을 담당하며, 하수오, 청호, 정향 및 영릉향은 몸의 기본적인 기능을 강화와 신체활성화를 담당한다.
하수오(Polygoni Multiflori Radix)는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여뀌과 Polygonaceae)의 덩이뿌리이다.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여 피곤함을 없애고, 살결을 곱게 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쇠약이나 불면증 같은 데에도 효과가 있다. 레시친, 옥시메칠안트라퀴논, 지방, 탄닌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레시친은 특히 내분비선을 자극하고, 성장발육과 동화작용을 촉진하는 동시에 우리 신체의 가장 중요영양소이며, 체내에서 꼭 필요로 하는 필수지방산의 원천이기도 하다.
청호(Artemisia apiacea Hance)는 국화과에 속하는 쑥의 한 종류로써 우리나라에서는 개사철쑥이라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중국 및 일본의 하천, 강변 및 해안가 등지에서 자생하며 그 종류는 350종 이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전통적으로 습진, 황달, 해열, 지열 및 진통에 효과가 있다. 청호는 쑥을 지칭하는 호(蒿) 중에 높은 것이라고 하였는데 오직 청호만이 호(蒿)라고 한다. 청호는 혈열을 꺼주어 학질과 여름더위로 인한 메스꺼움, 두통, 구토를 치료하고 허열로 인해 뼛골이 쑤시고, 미열이 나는 증상과 여름감기를 치료한다. 얼굴색을 좋게 하며 흰 머리카락을 검게 한다고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학질원충억제, 간디스토마억제, 혈압강하, 해열, 피부진균억제, 진해, 거담, 천식, 담즙분비, 면역조절작용 등이 보고 되었다.
정향(Caryophylli Flos)은 정향과에 속하는 정향나무의 꽃봉오리를 건조한 것으로 예로부터 온중강역, 온신조양의 효능으로서 건위약, 항균약, 항진균약으로서 쓰여왔다. 정향은 어두운 갈색이나 어두운 적색을 나타내고 길이 10 내지 18 mm의 화상과 그 위쪽에 두꺼운 꽃받침 4개 및 4개의 막질화변이 있는데 특이한 냄새가 강하고 맛고 강렬하며 나중에는 혀를 약간 마비시킨다. 유효성분은 정유인 유게놀 (eugenol), 아세틸유게놀 (acetyleugenol)등이 알려져 있고, 플라보노이드로서는 람네틴 (rhamnetin), 캠페롤 (kaempferol), 알칼로이드로서는 히게나민 (higenamine)을 함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갈로탄산 (galotanic acid), β-카리오필렌, 2-하이드록시 4,6-다이메톡시 5-메틸아세토페논 등을 함유한다. 정향의 약리작용으로는 상기와 같은 건위, 항균, 항진균 활성 외에도 자궁수축, 동물 적출장관 수축, 국소마취에 의한 진통, 아드레날린-길항작용이 있으며, 점막 자극, 거담 작용, 교원질 섬유의 생합성 촉진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정향의 약리효과에 대해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 (acetylcholine esterase)의 활성 억제 (Akinrimisi 등, West Afr. J. Pharmacol. Drug Res., 1975 2(2): 127-131), 항균 작용 (Ramanoelina 등, Arch. Inst. Pasteur Madagascar, 1987, 53(1): 217-226), 글루타치온 S-전이효소 (glutathione S-transferase) 유도를 통한 항암 활성 (Zheng 등, J. Nat. Prod., 1992, 55(7): 999-1003), MMLV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의 역전사효소 억제 활성 (Suthienkul 등, Southeast Asian J. Trop. Med, Public Health, 1993, 24(4): 751-755), 항경련 작용 (Pourgholami 등, J. Ethnopharmacol., 1999, 64(2): 167-171) 등이 보고되어 있다.
영릉향(Lysimachia foenum-graecum Hance)은 앵초과(Primulaceae)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7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겹잎으로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와서 작은 나비 모양의 꽃이 피며, 그 꽃이 풍한사로 인한 감기로 두통이 있을 때 쓰이며, 향기로 흉복부의 팽만 증상을 치료하며, 코막힘이나 치통에도 진통작용을 나타낸다. 유럽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도 분포하며 한방에서는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및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릉향은 앵초과(Primulaceae)에 속하며 전통적으로 감모두통, 흉복장만, 회충병 등의 한방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본초강목). 영릉향의 성분 동정 연구에 의하면 eugenol, methylchavicol 등의 화합물이 보고 되어 있다.
한편, 인체의 가장 큰 기관으로서 전체 인체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는 피부는 외부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인체 안으로 침입하려는 치명적인 많은 유해인자, 예를 들면,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으로 인해 피부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부에 주름, 탄력 손실 및 각질화 등이 발생한다.
피부의 노화는 크게 내인적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적 노화(extrinsic aging)로 대별된다(Cosmetics & Toiletories,111:31-37(1996)). 내인적 노화는 나이가 듦에 따라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점차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노화 현
상으로 임상학적으로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결이 거칠어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며 색소가 침착되는 특징이 있다(Arch Dermatol., 130:87-95(1994)). 외인적 노화는 자외선,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및 스트레스 등의 외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피부노화를 억제시키거나 진행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레티놀, 레티노이드,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및 토코페롤 등의 여러 가지 피부 보호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는 최종적인 제형에 있어서 역가가 떨어져 그 효능이 경미하고, 피부 자극이 심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조건 개선을 위하여 광금전초, 왕불유행 및 감송향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광금전초(Desmodii Herba)는 두과 식물인 광금전초(Desmodium styracifolium )의 전초로 약용부위는 지상부이다. 줄기는 원주형이고 길이는 1m정도이다. 황색으로 짧고 부드러운 털로 빽빽하게 덮여있고 질은 약간 빡빡하며 자른 면을 보면 가운데에 수(髓)가 있다. 잎은 호생이고 소엽은 1~3이며 원형~둥근 네모꼴이고 지름 2~4cm이며 앞 끝은 약간 오목하고 기부는 심장형~완만한 원형이다. 위 표면은 황록색~회록색이며 털이 없고 아래 표면은 회백색으로 단단하게 붙어있는 융모가 있다. 맛은 달고 싱거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성분은 Alkaloid, Flavonoid glycoside 등이고, 비뇨계 감염, 비뇨계 결석, 신염수종, 담낭염, 담결석, 소아감적, 옹종, 황달형간엽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왕불유행(Melandrii Herba)은 장구채 및 그 밖의 동속근연식물의 열매가 익었을 때 지상부를 건조한 것으로 줄기가 가늘고 볼록한 마디가 있으며 마디에서 가지와 잎이 마주 났고 길이는 20 ~ 40 cm이다. 풀냄새가 나고 맛은 조금 쓰며 씨는 처음에는 달다가 뒤에 쓰다. 한방에서는 활혈통경, 하유소종, 치부녀경폐의 효능이 있어 무월경, 유즙불통, 유옹종통, 금창출혈 등의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linarin, schaftoside, orientin, homooren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감송향은 전통적으로 위통, 위장경련, 흉복장만, 신경성 위장병, 구토, 두통, 각기 등에 사용된다. 감송향(Nardostachys jatamansi, NJ)은 몇몇 아시아 국가들에서 강장제, 자극제 및 항경련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간질, 병적 흥분, 심계 항진 및 경련을 치료하는데도 사용되어 왔다(Bagchi, A., 등, Planta Med., 57, 9697 (1991)). 야타만시산(Jatamansic acid) 및 야타만손 (Jatamansone)과 같은 다양한 세스퀴테르펜들(sesquiterpenes), 리그난, 및 네오리그난이 뿌리에 존재한다(Chatterji, A, 등,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Communication, vol. 5, pp 99-100 (1997); Arora, RB.,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vol. 51 (1965)). 감송향의 이기작용은 복통 및 흉복부가 창만하여 일어나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신경성위통과 두통에도 적용된다. 각기(脚氣)에는 물을 넣고 달여서 환부를 세척한다. 중추신경계통에 작용하여 힐초근(尉草根)과 같은 진정작용이 있다. 심장박동이 일정하지 않은 사람에게 심장박동 조절작용이 현저하며, 기관지, 소장, 대장, 자궁 등의 평활근 경련을 풀어준다. 향성으로 개위성비의 효능이 있기 때문에 위허한으로 인한 완복만통, 식욕부진등의 증을 다스린다. 또한 모든 향료와 합해 향료를 만든다. 감송향의 뿌리를 달인 물은 정신장애, 불면증, 혈액장애 및 순환계 장애에 사용되었으며(Uniyal, MR., 등, J. Res. Indian Med. 4, 83 (1969)), 감송향의 주요한 치료 성분은 향신경 활성 및 중추 신경계(CNS) 효과를 증진시키는 나도시논(nardosinone)이다(Li, p. 등, Journal of Pharmacology Science, 93, 122-125 (2003)). 또한, 감송향의 알콜 추출물은 티오아세트아마이드 유도 간 손상으로부터 쥐를 보호한다(Bagchi, A., 등).
한편, 본 발명의 추출용액은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데, 유기용매로는 저급 알콜,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저급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예시할 수 있으며,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생약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제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추출액의 농축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가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켜 비극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헥산, 에테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리하여 수득하도록 하고, 이를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선택된 천연물의 종류와 그 조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며, 부작용 없이 칸디다증 내지 어루러기를 예방 또는 보조적 치료 내지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디워시 용품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부담없이 활용되는 제품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Paper disc diffusion법에 의해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 작용을 테스트한 일부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테스트의 결과를 도표화한 것이다.
도 3은 Paper disc diffusion법에 의해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대한 항균 작용을 테스트한 일부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테스트의 결과를 도표화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 등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의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에 사용된 원료는 광주광역시 세화당 한약도매상에서 국가 규격품을 구입하였고 야채원료는 시중에 판매되는 야채를 구입하여 성상확인 및 세척후 40℃ 열풍 건조기에서 48h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개별 물질의 추출>
건조된 각 원료 600g을 정확히 칭량 한 후 원료의 약 10배의 70% 에탄올을 가한후 40℃ 수조에서 48h간 진탕한 후 Whatman No 2 여과하여 회전 진공 농축기(Heidolf, Geman)를 사용하여 농축한 후 - 20℃에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농축된 원료 1g을 10ml의 중류수에 녹인후 100mg/ml의 농도를 샘플로 사용하여 기본 ㅅ스크리닝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실험>
개별 물질들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테스트 하였다. 96 well plate에 시료를 EtOH로 각 농도별로 조제한 용액에 0.2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EtOH)를 일정량씩 가하였다. 10초간 진탕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약물은 L-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항산화효과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와 비교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DPPH free radical 소거작용을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비타민C가 가장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보여주었으나, 지유, 육계도 매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어성초, 황련, 청호, 오매의 항산화 효과도 우수하였다.
<세균배양>
Malassezia furfur (ATCC 12078, Pityrosporum)의 배양은 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에서 동결 건조된 균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yeast medium 배지(YM, containing Yeast extract ,Malt extract, Peptone, Dextrose, Agar, olive oil)에 접종하여 37℃에서 24h 5회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C. albicans(ATCC 18804, KCCM 50235)는 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에서 동결 건조된 균을 구입하여 사용 하였으며. yeast medium 배지(YM, containing Yeast extract ,Malt extract, Peptone, Dextrose, Agar, )에 접종하여 37℃에서 24h 5회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Paper disc diffusion법>
기본적인 스크리닝을 위해 Paper disc diffusion법을 사용하여 식물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해당균을 5회 계대 배양후 균 0.1g을 1x103 이 되도록 액체 배지로 희석하여 200를 YM 평판배지에 균일하게 도말하고 지름 8 mm paper disc에 시료를 50씩 2회 흡수시킨 후 평판배지위에 놓은 후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disc 주위에 나타난 억제환을 확인하여 항균성을 검색하였고 이들의 직경을 측정하여 추출물 mg당의 항균활성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최소저해농도 (minimal inhibitoryconcentration, MIC)는 한천배지 확산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각각의 물 추출물들을 0.45 membranefilter로 제균 시킨 후 시험균을 함유한 평판 배지위에 접종하여 37 ℃에서 6시간 배양한 후 육안으로 관찰 했을 때 비듬균이 증식되지 않는 농도를 MIC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들을 도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하여 효과가 잘 알려진 FLCZ와 대비하였을 때, 육계는 더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오배자, 청호, 황련도 의외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대하여는 육계가 가장 좋은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어성초, 하수오 오매, 지유, 오배자의 경우에도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공식적인 치료제인 FLCZ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으나, 육계, 어성초, 오매, 오배자도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개별물질들에 대한 항산화효과,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효과, 말아세지아 푸르푸르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한의학적 변증조화를 고려하여 추출물을 선정하였다. 육계는 가장 성질이 강한 것으로 이를 중심으로, 어성초, 오배자, 오매, 지유 및 황련이 기본적인 피부질환의 치료 내지 예방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고, 하수오, 청호, 정향 및 영릉향은 몸의 기본적인 기능을 강화와 신체활성화를 담당한다. 피부 활성화 등의 피부 조건 개선을 위해 광금전초, 왕불유행 및 감송향을 추가로 선택하였다. 이들 조합의 형태에 의한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개별 추출물의 조합비는 육계를 기준으로 절반의 양에서 8배까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성질이 강한 것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중 하나로 육계를 들 수 있다. 그외에도, 정향, 영릉향도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많이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으로는 어성초와 지유를 들 수 있으며,하수오, 청오, 오매는 그 중간 정도 사용하는 것이 한의학적으로 바람직하다.
<실시예 1>
육계 1을 기준으로 어성초4, 오배자 2, 오매 2, 지유 4 및 황련 2의 비율로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만들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더하여, 육계 1을 기준으로 하수오 2, 청호 2, 정향 1 및 영릉향 1의 비율로 에탄올 추출물을 추가하여 조성물을 만들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더하여 광금전초 2, 왕불유행 2 및 감송향 1의 비율로 에탄올 추출물을 추가하여 조성물을 만들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 더하여 광금전초 2, 왕불유행 2 및 감송향 1의 비율로 에탄올 추출물을 추가하여 조성물을 만들었다.
<항산화실험>
앞선 실험예의 방식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하여 항산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4가 상대적으로 실시예 1, 2에 비하여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광금전초, 왕불유행, 감송향의 조합이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실시예 2가 실시예 1과 대비할 때 항산화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으나, 실시예 1도 비타민C 대비 70% 이상의 효과를 보여주어 전체적으로 실시예의 조합은 항산화력이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항균성실험>
앞선 실험예의 방식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하여 간략한 방식인 Paper disc diffusion법을 시행하여 항균력을 테스트하였다.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력은 모든 실시예가 예상대로 FLCZ보다 우수한 결과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한편,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대하여도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실시예 2, 4의 경우 개별물질 테스트의 가장 좋은 결과인 육계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어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대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효과>
실시예들의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능을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EGCG는 항산화 물질로서 피부의 표피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5% 우레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가 들어있는 96-well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well 당 5,000세포가 되도록 넣고 80%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실시예 및 EGCG를 20 ㎍/㎖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세포 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나아제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약액의 콜라게나아제 생성정도를 측정하였다. 우선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그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well plate에 넣고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발색반응을 중지시시켰다. 색깔은 노란색을 띠게 되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생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흡광도를 405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처리군의 흡광도를 비처리군의 흡광도로 나누어 발현정도를 조사하였다.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높고 피부내의 콜라겐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 피부 탄력 감소가 저해되며 생성되는 주름의 양은 적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비처리군의 발현정도를 100으로 보았을 때, EGCG는 75%이었으며, 실시예 1은 45%로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사예 3, 4의 경우 66, 67정도로 매우 우수하였다. .
<엘라스티아제 활성억제효과>
실시예들의 엘라스티아제 활성 저해능을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Cannell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Cannell RJP, Kellan SJ, Owsianks AM, Walker JM.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1988;54(1):10-14). 기질로서 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에서 20분간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45nm에서 측정하였다. 즉, 각 시험용액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0.5㎖씩 시험관에 취하고, 50mM tris-HCl buffer(pH 8.6)에 녹인 porcine pancreas elastase(2.5U/㎖)용액 0.5㎖을 가한 후 기질로 50mM tris-HCl buffer(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0.5㎎/㎖)을 첨가하여 20분 간 반응시켜 측정하였다. 엘라스티아제(Elastase) 저해활성은 (1 - 처리군의 흡광도/무처리군의 흡광도)*100 과 같이 하여 구하였다.
무처리군의 저해율을 0%로 보았을 때, EGCG는 21%, 실시예 3, 4의 경우 35, 33%로 EGCG보다 더 우수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실시예1, 2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3, 4에 추가되는 광금전초, 왕불유행 및 감송향 추출물의 피부상태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5)

  1. 육계, 어성초, 오배자, 오매, 지유 및 황련 각각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수오, 청호, 정향 및 영릉향 각각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광금전초, 왕불유행 및 감송향 각각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은 피부 칸디다증(candidiasis) 또는 어루러기(pityriasis versicol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20170083925A 2017-06-30 2017-06-30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1986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925A KR101986186B1 (ko) 2017-06-30 2017-06-30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925A KR101986186B1 (ko) 2017-06-30 2017-06-30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68A true KR20190003268A (ko) 2019-01-09
KR101986186B1 KR101986186B1 (ko) 2019-06-05

Family

ID=6501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925A KR101986186B1 (ko) 2017-06-30 2017-06-30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1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706A (ko) 2020-08-05 2022-02-14 문공식 부재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센트
KR20220017712A (ko)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KR20220017701A (ko)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KR20220017709A (ko)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693B1 (ko) 2020-09-14 2022-05-16 (주)포메틱 대나무 줄기세포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762A (ko) 2000-12-14 2002-06-22 김광석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20030011731A (ko) * 2002-11-25 2003-02-11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100371858B1 (en) 2001-10-24 2003-02-12 Naturobiotech Co Lt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
KR20030033282A (ko) 2001-10-19 2003-05-01 (주)허벤텍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신남알데히드를 함유한 계피 추출물
KR20090127854A (ko) * 2009-10-23 2009-12-14 (주)아모레퍼시픽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73248B1 (ko) 2008-10-24 2010-07-3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피 비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067380A (ko) * 2015-12-08 2017-06-16 (주)셀바이오 광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762A (ko) 2000-12-14 2002-06-22 김광석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20030033282A (ko) 2001-10-19 2003-05-01 (주)허벤텍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신남알데히드를 함유한 계피 추출물
KR100371858B1 (en) 2001-10-24 2003-02-12 Naturobiotech Co Lt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
KR20030011731A (ko) * 2002-11-25 2003-02-11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100973248B1 (ko) 2008-10-24 2010-07-3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피 비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90127854A (ko) * 2009-10-23 2009-12-14 (주)아모레퍼시픽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67380A (ko) * 2015-12-08 2017-06-16 (주)셀바이오 광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706A (ko) 2020-08-05 2022-02-14 문공식 부재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센트
KR20220017712A (ko)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KR20220017701A (ko)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KR20220017709A (ko) 2020-08-05 2022-02-14 문공식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186B1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186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WO2011026267A1 (zh) 用于消炎消肿止痛的中草药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20160087113A (ko)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6725B1 (ko)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867514B1 (ko) 지초 비누의 제조방법
CN109288931A (zh) 一种治疗婴幼儿湿疹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127813A (zh) 一种治疗气血两虚型褥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669565A (zh) 一种含有甘草的天然抗菌沐浴液
KR20180087764A (ko)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2004323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2642582B1 (ko) 동백나무꽃, 쑥잎 및 영지버섯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