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446B1 -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446B1
KR101521446B1 KR1020130106250A KR20130106250A KR101521446B1 KR 101521446 B1 KR101521446 B1 KR 101521446B1 KR 1020130106250 A KR1020130106250 A KR 1020130106250A KR 20130106250 A KR20130106250 A KR 20130106250A KR 101521446 B1 KR101521446 B1 KR 10152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cne
inflammatory skin
skin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933A (ko
Inventor
정원철
이선희
김지은
나창수
박수연
Original Assignee
(주) 메디플랜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메디플랜,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 메디플랜
Priority to KR102013010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4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82Staphylococcus
    • Y10S435/883Staphylococcus aure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82Staphylococcus
    • Y10S435/884Staphylococcus epidermid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피추출물, 석류피추출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성 피부에 대한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존에 비해 여드름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Compostion for treating acne comprising extracts from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Punica granatum or Rhus javanica}
본 발명은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의 발병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 외에 체내 호르몬 분비의 변화로 인한 활발한 피지 생성, 모낭 피지선의 비정상적인 각질화(hyperkeratinization)로 인한 모공의 폐쇄, 여드름균의 활성화 및 여드름균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염증반응의 네 가지 주요 원인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다. 따라서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항안드로겐제, 항염제로 작용하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항균효과가 있는 레조시놀, 유황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와 항생효과가 있는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클린다마이신 및 머크로라이드 등에 의한 여드름균 활성 억제 방법과 레티노익산 등의 비타민 A 유도체를 이용한 치료법 등이 여드름 치료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여드름 치료 방법은 효능이나 피부 안전성 측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호르몬제의 사용은 표피의 생장억제나 호르몬 남용 등의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고, 레티노익산과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은 기형아 출산, 피부 자극, 접촉성 피부염 발병 등의 우려가 있으며, 클린다마이신 등의 항생물질은 내성균의 출현, 알러지 반응, 광과민 반응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여드름 치료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꾸준하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것이어서 상기 문제점을 지닌 여드름 치료 방법은 단기간의 사용이나 한정된 범위 내의 사용만 가능할 뿐이었다. 최근에는 식물을 비롯한 천연자원으로부터 상기 부작용들을 줄이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강력한 항여드름균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들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석류피 추출물이 피부 미용 효과 및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보고되었으나(한국특허 제10-2003-0065703, 참조), 화피 및 염부수백피의 추출물이 여드름균에 대해 강한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좋다는 사실은 여태까지 보고된 바 없고,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의 추출물으로부터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여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치료용 조성물, 개선용 식품 및 화장료로 사용하는 기술은 개시된 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의 추출물의 유효 성분을 분리 및 동정하고, 여드름 발병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 및 임상 연구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효과를 보유하여 여드름 치료 및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염부수백피 추출물의 중량비는 2: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염부수백피 추출물의 중량비는 2: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유분을 감소시키고, 피부 수분을 감소시키며, 피부 홍반 면적을 감소시키며, 피부의 모공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염부수백피 추출물의 중량비는 2: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여드름"이란 피부 속에서 분비된 피지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피부 속에 쌓인 것을 말한다. 여드름의 원인인 여드름균은 호지성(lipophilic) 성질을 띠고 있으므로 피지가 없이는 거의 발육할 수가 없기 때문에, 여드름균의 증식은 지질이 많은 곳에 한정되고 있다. 여드름을 유발하는 주요 균주는 P. aeruginosa, P. epidermis, S. aureus, P. ovale, 및 P. acnes 등이 있으며, 이들 균주는 주로 피부에 각종 트러블 및 체취 발생, 여드름을 발생시켜 피부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드름 및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및 개선 조성물의 항균활성을 평가하는 타겟균주로써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 기재된 여드름균 혹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여드름은 염증성 피부 질환에 속하는데, "염증성 피부 질환"이란 피부 상피 내에 일련의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자극 요인들로 인해 가려움, 부종, 홍반 또는 벗겨짐 등과 같은 일련의 임상적 징후와 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하며, 염증성 피부질환으로는 여드름 외에도 여드름양 발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화피"는 화목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자작나무 및 만주자작나무의 수피로 宋代《開寶本草》에 최초로 수록되었으며 화목피라고도 한다. 화피는 화피는 청열, 해독, 리습, 소종, 거담, 지해 등의 효능이 있어 열독, 황달, 유옹, 폐풍독, 옹절매독, 피부 발진, 급성편도선염, 폐염, 신염, 치주염, 외상감염, 요로감염, 만성기관지염, 장염, 이질, 간염, 방광염, 설사, 기천, 습진, 양진, 옹절종독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로 염증성질환이나 피부질환에 많이 응용된다. 《東醫寶鑑》에 기록되어 있는 화피가 포함된 처방 중에서 화피음자와 화피산은 창양과 옹저에 사용되어 화피가 주로 피부의 염증 치료에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에서 "석류피"는 석류과에 속하는 석류나무의 뿌리, 줄기 또는 가지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장을 수렴하고 지혈하며 구충하는 효능이 있으며 설사, 혈변, 탈항, 활정, 자궁출혈, 백대하, 충으로 인한 복통 개선을 치료하며, 세균성 이질과 각종 감염성 염증을 치료한다. 석류피의 성분 중 알칼로이드인 펠레티에린, 이소펠레티에린, 프로세우도 펠레티에린 등이 조충작용발휘하며, 적리균을 비롯한 일연의 미생물에 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염부수백피"는 옻나무과 식물 염부목의 코르크층을 제거한 나무 껍질로 붉나무수피와 같은 기원으로 부스럼을 씻는 작용이 있으며, 혈리, 종독, 창개, 악창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여드름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여드름 치료제에 비하여 부작용이 없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우수한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여드름 발병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최소저해 농도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CaCo-2(인간 장관상피 세포)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HC11(마우스 유방상피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천연 추출물 제조
1.1 재료
본 발명에서 사용한 화피 국산, 화피 중국산, 석류피 국산, 염부수백피 국산 시료는 ㈜ 한약사랑(한국)으로부터 구입하였다.
1.2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한 화피, 석류피, 염부수백피 추출물은 알코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1) 에탄올 추출물
건조시킨 한약재를 파쇄하여 건조 중량의 10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거름망으로 거른 후 회수하였으며, 본 공정을 2회 반복하여 1차적으로 여과된 추출액을 획득하였다. 1차적으로 여과된 70% 에탄올 추출액은 다시 5μm 여과지(Advantec,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40℃에서 5배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추출물은 -80℃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만들어 -20℃에서 냉동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2) 열수 추출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열수추출법을 사용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한약재를 파쇄하여 한약재 중량의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된 액은 거름망으로 거른 후 회수하였으며, 이와 같은 공정을 2회 반복하여 1차적으로 여과된 열수 추출액을 획득하였다. 1차적으로 여과된 열수 추출액은 다시 5μm 여과지(Advantec,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40℃에서 5배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추출물은 -80℃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만들어 -20℃에서 냉동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1.3 추출물 분류
추출 방법에 따라 화피 국산 에탄올추출물(BKE: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in Korea-70% EtOH extract), 화피 국산 열수추출물(BKW: Betula platyphylla var.japonica in Korea-hot water extract), 화피 중국산 에탄올추출물(BCE: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inChina-70% EtOH extract), 화피 중국산 열수추출물(BCW: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in China-hot water extract), 석류피 국산 에탄올추출물(PGE: Punica granatum in Korea 70% EtOH extract), 염부수백피 국산 에탄올추출물(RJE: Rhus javanica in Korea-70% EtOH extract), 염부수백피 국산 열수추출물(RJW: Rhus javanica in Korea-hot water extract)로 나누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출물 분류
추출물 구분 기호
화피(국산) 에탄올 추출물 BKE
화피(국산) 열수 추출물 BKW
화피(중국산) 에탄올 추출물 BCE
화피(중국산) 열수 추출물 BCW
석류피(국산) 에탄올 추출물 PGE
석류피(국산) 열수 추출물 PGW
염부수백피(국산) 에탄올 추출물 RJE
염부수백피(국산) 열수 추출물 RJW
항균 활성 측정
2.1 균주 배양
본 발명에서 사용한 균주는 피부에 염증을 유발시키는 균주로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대장균 (Escherichia coli, KCTC 2571) 은 NB/NA배지에서 37℃ 호기성 상태로, 슈도모나스 에어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KCTC 1637)은 NB/NA배지에서 25℃ 호기성 상태로,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은 YMB/YMA배지에서 37℃ 호기성 상태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은 RCMB/RCM배지에서 37℃ 혐기성 상태로 각각 배양하였다.
2.2 항균 활성 측정
각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토를 위하여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assay)를 사용하였다. 활성이 가장 우수한 시간대의 각 균주 현탁액 (106 CFU/ml)을 제조하여 각 균주의 고체배지에 각각 100ul씩 분주하여 멸균된 삼각봉을 이용하여 도말하였다. 도말 후 건조된 배지에 멸균된 8 mm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ADVANTEC, Japan)를 올려 추출물을 분주하여 각 균주 배양 조건에 맞추어 배양하였다. 그 후 디스크 주위의 성장 저지환(clear zone)의 형성 유무를 확인 및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S. epidermidis, S. aureus, P, acnes 균에 대하여 모든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석류피 에탄올 추출물과 염부수백피 에탄올 추출물이 현저하게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도1 참조).
2.3 최소 저해 농도(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평가
각 추출물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 농도 실험은 Andrew 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균 농도를 106 CFU/ml이 되도록 조절하여 튜브에 50 ul씩 분주한 후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50 ul, 액체 배지 900 ul 처리하여 각각의 배양 조건에서 배양한 후 미생물 증식여부를 확인 및 균 배양액의 탁도를 측정하여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다.
피부 상재균이나 피부 상태에 따라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S.epidermidis, S.aureus, 여드름 유발균인 P.acnes, E.coli 균을 대상으로 화피 추출물은 국내산 및 중국산 모두 에탄올 추출물의 MIC 값이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화피 국산 추출물은 화피 중국산 추출물보다 최소 저해농도가 더 낮게 나타나서, 디스크 확산법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S.epidermidis, S.aureus, 여드름 유발균인 P.acnes, E.coli 균에 대한 MIC 측정 결과 석류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이 우수한 MIC 농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염부수백피 에탄올 추출물과 석류피 에탄올 추출물이 낮은 MIC 농도를 나타내었다(도2 참조).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세포 독성
여드름에 대한 개선 효능을 가진 화장품으로 개발한 스킨, 세럼 및 클렌징 폼의 상피 세포에 대한 독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대하여, CaCo-2(인간 장관상피 세포)세포는 웰 당 2×10⁴세포, HC11(마우스 유방상피세포) 세포는 웰 당1×10⁴세포를 접종하였고, 하룻밤 동안 37℃, 5% CO₂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다음 날에, 약물을 처리하고 다시 하룻밤 동안 배양한 뒤, MTS 용액을 웰당 20ul 첨가하였다. 4시간 동안 37℃, 5% CO₂조건에서 배양한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스킨 및 세럼 모두 상피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었다. 클렌징 폼의 경우는 1000ug/ml의 높은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났지만(CaCo-2: 도 3참조, HC11:도4 참조), 이러한 결과는 클렌징 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제(detergent) 성분에 의한 효과로 추정할 수 있다.
화피 추출물 복합제 화장품의 여드름에 대한 임상적 효능
4.1 연구 대상
임상연구 모집 공고를 통하여 2012년 10월부터 2013년 3월까지 동신대학교 부속순천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에 내원하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전문의 및 전문수련의의 진료 후 안면 여드름으로 진단된 만 18세에서 35세의 여드름 환자 중에서 선정기준에 모두 적합하며 제외기준에 해당되는 사항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임상연구에 들어가기 전 피험자에게 임상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을 한 후 피험자 동의서에 서명한 환자들만을 연구에 참여시켰다. 연구 참여자 67명 중 스크리닝 탈락자 7명을 제외한 시험 대상자들의 성별 분포는 대조군의 경우 남자 12명(40.0%), 여자 18명(60.0%)이었고 시험군의 경우 남자 9명(30.0%), 여자 21명(70.0%)이었으며 평균연령은 대조군이 21.17세, 시험군이 21.8세로 양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66). 이 밖에 교육 정도, 결혼여부, 식이습관, 운동습관, 흡연여부, 음주습관, 병용약물 복용력, 그리고 질병력 모두 양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연구에 참여하게 된 60명 중 중도탈락 11명을 제외한 49명이 8주간 임상시험 계획서에 따라 임상연구를 종료하였다.
4.2 연구방법
임상시험에 사용된 제품은 ㈜메디플랜에서 제조한 시제품을 사용하였으며 피험자는 화피추출물 시험군과 대조군 중 1개 군에 무작위 배정되어 피험자 번호를 부여받았다. 이중눈가림을 유지하기 위해 동일한 모양으로 포장되었고 선정된 대상 피험자는 무작위 배정에 따라 두 군 중의 한 군에 첫 번째 방문일 순서대로 낮은 번호부터 할당되었다.
4.2.1 시험제품
① 명칭: 추출물 복합체(화피추출물:석류피추출물:염부수백피추출물=2:1:1)를 포함한 화장품
② 제형: 폼클렌징 170㎖, 화장수 100㎖, 앰플 30㎖ 등 3종
③ 원료제품의 분량은 하기의 표 2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폼 클렌저(Foam Cleanser)의 조성
구분 성분 함량(중량%)
그룹1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벌집 왁스(Bees Wax)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3.5
3.8
6.6
5.4
1.5
2.0
그룹2 아쿠아(Aqua)
화피 복합 추출물(Medi Plan Extract)
라우라미드 디에탄올라민(Lauramide DEA)
EDTA
1,2-펜탄디올(Pentanediol)/황금추출물/
목단피추출물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Glyoerin
23.1
3.0
1.8
0.1
2.0

3.5
8.0
그룹3 아쿠아(Aqua)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15.0
4.4
그룹4 화산재(제주도 스코리아)
황토(Yellow Ocher)
2.0
1.0
그룹5 Olive oil PEG-7 Esters
Sodium PEG-7 Oil Carboxylate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Sodium Cocoyl Apple Aminoacids)
자몽씨오일(Grapefruit Seed Oil)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3.0
5.0
5.0

0.2
0.1
총량 100
토너(toner)의 조성
구분 성분 함량(중량%)
그룹1 에탄올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글리오에릴 카프레이트(Glyoeryl Caprate)
트리에틸 구연산염(Trienthyl Citrate)
2.0
1.0
1.0
1.0
그룹2 아쿠아(Aqua)
쟁탄검(Xanthan Gum)
D-판테놀(D-Panthenol)
1,3-부틸렌 글라이콜(1,3-Butylene Glycol)
Allantoine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
어성초 추출물
화피 복합 추출물(Medi Plan Extract)
1,2-펜탄디올(Pentanediol)/황금추출물/
목단피추출물
78.98
0.02
1.0
2.0
0.1
0.9
3.0
7.0
2.0
총량 100
앰플(ampule)의 조성
구분 성분 함량(중량%)
그룹1 에탄올
글리오에릴 카프레이트(Glyoeryl Caprate)
4-테르피네올(4-Terpineol)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3.0
1.0
0.5
1.0
그룹2 아쿠아(Aqua)
쟁탄검(Xanthan Gum)
알로에 베라 겔(Aloe Vera Gel)
카보머(Carbomer)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
베타인(Betaine)
D-판테놀(D-Panthenol)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
EDTA-2NA
54.24
0.05
10.0
0.01
2.0
3.0
3.0
3.0
0.1
그룹3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
그룹4 쿠퍼트리펩타이드(Copper Tripeptide-1)
백차 발효 추출물
화피 복합 추출물(Medi Plan Extract)
1,2-Pentanediol/황금추출물/목단피추출물
2.0
5.0
10.0
2.0
총량 100
4.2.2 대조제품
① 명칭: 대조군
② 제형: 폼클렌징 170㎖, 화장수 100㎖, 앰플 30㎖ 등 3종
③ 원료제품의 분량: 화피추출물 복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4.2.3 사용량 및 사용방법
1) 사용량
8주간 폼클렌징 170㎖, 화장수 200㎖ 및 앰플 60㎖을 사용하였다.
2) 사용방법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세안시에 폼클렌징을 사용하였다. 세안 후, 토너를 적당량 얼굴에 바른 후 앰플은 여드름 부위에만 도포하였다.
4.3 평가 항목
4.3.1 유효성 평가
1) 1차 유효성 평가
가) 여드름 중증도 시스템(GAGS, Global Acne Grading System)
여드름 중증도 시스템(GAGS)는 안면부위, 가슴 및 등 부위를 모피지선 단위(Pilosebaceous units)의 표면적 분포 및 밀도에 따라 6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하며, 각 구간마다 고유의 인자(factor)를 부여한 후 병변 부위에 따라 점수(Local score)를 주어 전체 점수(Global score)에 반영하고 등급을 정하여 평가하였다.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전문의 및 전문수련의 2인이 0주와 4, 8주 총 3회 평가하였다. 각 구간의 고유 인자 및 전체 점수는 다음과 같다(표 5 및 표6).
여드름 중증도 시스템(GAGS)
위치(Location) 인자(Factor)
Ⅰ. 이마(Forehead) 2
Ⅱ. 오른쪽 볼(Right cheek) 2
Ⅲ. 왼쪽 볼(Left cheek) 2
Ⅳ. 코(Nose) 1
Ⅴ. 턱(Chin) 1
Ⅵ. 흉부(Chest) 및 등 상단(upper back) 3
Local score=Location factor x Grade (0-4)*
*Grade*: 0(No lesions), 1(≥ one comedone), 2(≥ one papule)
3(≥ one pustule), 4(≥ one nodule)
GAGS의 글로벌 스코어(Global Score)
0 없음(None)
1~18 낮음(Mild)
19~30 보통(Moderate)
31~38 심각함(Severe)
> 39 매우 심각함(Very Severe)
나) 평가 결과
대상자들의 글로벌 스코어 수치에 대한 기저치(before)는 대조군이 28.37, 시험군이 28.23으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35). 제품사용 4주 후의 글로벌 스코어 수치는 대조군이 28.17, 시험군이 20.93으로 기저치에 비해 각각 0.20 및 7.3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어 4주간의 변화량이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 제품사용 전 후를 군별로 비교한 결과, 시험군에서만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각각 p=0.541, p=0.000).
기저치의 차이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도 4주 변화치에 대한 양군의 평균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00). 제품사용 8주 후에는 대조군이 26.57, 시험군이 15.93을 나타내 각각 1.80 및 12.30의 감소를 보여 양군 모두에서 제품사용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각각 p=0.001, p=0.000). 그러나 시험군에서의 감소치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00). 기저치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도 양군에서의 8주간의 평균치 변화가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표 7).
글로벌 스코어 수치의 평균 분포
측정 변수
(Evaluation variable)

대조군 시험군 p-수치a
p-수치b
평균±표준편차
글로벌스코어 (ITT set)
(n=30 vs. 30)






베이스라인 28.37±6.043 28.23±6.64 0.935
4주 후 28.17±6.00 20.93±6.539 0.000 0.000

차이점c -0.20±1.77 -7.30±5.53 0.000
p-수치d 0.541 0.000
8주후 26.57±5.61 15.93±7.71 0.000 0.000

차이점e -1.80±2.66 -12.30±6.15 0.000
p-수치d 0.001 0.000
a: 대조군과 시험군의 비교: p-수치 by Student’s t-test
b: 대조군과 시험군의 비교: p-수치 by ANCOVA (adjustment with baseline)
c: 4주 후 - baseline
d: 각 군 내에서의 비교: p-수치 by paired t-test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8주 후의 글로벌 스코어 수치가 기저치에 비해 감소한 사람과 감소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을 각 군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감소자의 비율이 대조군에서는 66.7%, 시험군에서는 93.3%를 보여 시험군에서의 감소자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24)(표 8).
글로벌 스코어 감소체(Decreaser) 비율의 분석
구분 감소체 a 비-감소체
(Non-Decreaser)
p-수치
ITT set 대조군 20 (66.7) 10 (33.3) 0.024
시험군 28 (93.3) 2 (6.7)
2) 2차 유효성 평가
가) 피부 유분 및 수분 측정(Skin-O-Met)
피험자들은 시험부위를 흐르는 물에 세정한 후 최소 30분간 항온항습(온도 22±2℃, 습도 40~60%)이 유지되는 곳에서 피부안정을 취한 후 진행하였다. 안면 부위 중 이마의 미간에서 1㎝ 올라온 부위를 측정하고 측정은 Skin-O-Mat (SM815, CK electronics, Germany)를 사용하여 전용 프로그램 (MPA5, CK electronics, Germany)으로 분석하였다. 측정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번 측정 시 2회 연속하고 0주와 4, 8주 총 3회 측정하였다.
나) 유분 수치 변화의 검정
대상자들의 유분 수치에 대한 기저치는 대조군이 81.53, 시험군이 86.32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27). 제품사용 4주 후의 유분 수치는 대조군이 53.65, 시험군이 52.65로 기저치에 비해 각각 27.88 및 33.6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어, 양군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양군 모두 p=0.000). 그러나 양군에서의 변화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493). 기저치의 차이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도 4주 변화치에 대한 양군의 평균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626). 제품사용 8주 후에는 대조군이 49.37, 시험군이 47.15를 나타내 기저치에 비해 각각 32.17 및 40.3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어 제품사용 전후의 변화가 양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양군 모두 p=0.000), 그 감소량이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441). 기저치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 8주간의 평균치 변화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32)(표 9).
유분 수치 변화의 평균 분포
측정변수 대조군 시험군 p-수치a p-수치b
평균±표준편차
글로벌스코어
(ITT set)
(n=30 vs. 30)
베이스라인 81.53±30.82 86.32±43.84 0.627
4주 후 53.65±25.34 52.65±36.46 0.902 0.626
차이점c -27.88±33.58 -33.67±31.24 0.493
p-수치d 0.000 0.000
8주 후 49.37±21.05 47.15±11.49 0.607 0.532
차이점e -32.17±33.40 -40.37±47.35 0.441
p-수치d 0.001 0.000
다) 수분 수치 변화의 검정
대상자들의 수분 수치에 대한 기저치는 대조군이 50.16, 시험군이 48.69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92). 제품사용 4주 후의 수분측정 수치는 대조군이 51.09, 시험군이 41.55를 나타내 대조군에서는 0.93의 증가를 보였고, 시험군에서는 7.14의 감소를 보여 4주간의 변화량이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22), 제품사용 전후를 군별로 비교한 결과에서도 시험군에서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관찰되었다(p=0.011). 기저치의 차이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도 4주 변화치에 대한 양군의 평균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02). 한편, 제품사용 8주 후에는 대조군이 49.73, 시험군이 47.15를 나타내 기저치에 비해 각각 0.43 및 1.54의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각각 p=0.848, p=0.573). 기저치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 8주간의 평균치 변화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400)(표 10).
수분 수치 변화의 평균 분포
측정변수 대조군 시험군 p-수치a p-수치b
평균±표준편차
글로벌스코어
(ITT set)
(n=30 vs. 30)
베이스라인 50.16±10.52 48.69±10.60 0.592
4주 후 51.09±10.01 41.55±12.03 0.001 0.002
차이점c 0.93±11.97 -7.14±14.45 0.022
p-수치d 0.672 0.011
8주 후 49.73±9.69 47.15±11.49 0.350 0.400
차이점e -0.43±12.08 -1.54±14.84 0.750
p-수치d 0.848 0.573
라) 피부 홍반 및 모공 측정
피험자들은 시험부위를 흐르는 물에 세정한 후 최소 30분간 항온항습(온도 22±2℃, 습도 40~60%)이 유지되는 곳에서 피부안정을 취한 후 진행하였다. 피부측정기기인 Dermavision은 교차편광, 평행편광, UV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 방법은 실험자의 턱을 턱 받침대에 갖다 댄 후, 이마를 붙이고 모니터상에 보이는 수직선을 얼굴중앙에 일치시킨 후 촬영한다. 0주와 4, 8주 총 3회 측정하였다.
마) 홍반 정상 면적 수치 변화의 검정
대상자들의 홍반 정상 면적 수치에 대한 기저치는 대조군이 72.99, 시험군이 75.53으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04). 제품사용 4주 후의 홍반 정상 면적 수치는 양군 모두 72.67로 기저치에 비해 각각 0.32 및 2.8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시험군의 경우만 경계상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77). 그러나 기저치의 차이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는 4주 변화치에 대한 양군의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371). 제품사용 8주 후에는 대조군이 72.92, 시험군이 73.68을 나타내 각각 0.07 및 1.85의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971 및 p=0.361). 기저치의 차이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도 8주 간의 평균치 변화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51)(표 11).
홍반 정상 면적 수치 변화의 평균 분포
측정변수 대조군 시험군 p-수치a p-수치b
평균±표준편차
글로벌스코어
(ITT set)
(n=30 vs. 30)
베이스라인 72.99±20.15 75.53±17.45 0.604
4주 후 72.67±20.04 72.67±15.72 0.999 0.371
차이점c -0.32±10.36 -2.86±8.55 0.305
p-수치d 0.866 0.077
8주 후 72.92±22.49 73.68±18.24 0.887 0.551
차이점e -0.07±9.93 -1.85±10.93 0.511
p-수치d 0.971 0.361
바) 모공 수 수치 변화의 검정
대상자들의 모공 수 수치에 대한 기저치는 대조군이 4648.27, 시험군이 4672.33으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34). 제품사용 4주 후의 모공 수 수치는 대조군이 4826.63, 시험군이 4793.47로 기저치에 비해 각각 178.37 및 121.1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양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각각 p=0.001 및 p=0.034). 그러나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p=0.445), 기저치의 차이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도 4주 변화치에 대한 양군의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465). 제품사용 8주 후에는 대조군이 4906.73, 시험군이 4801.37을 나타내 각각 258.47 및 129.03의 증가를 보였으며 양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각각 p=0.000 및 p=0.017). 기저치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 8주간의 평균치 변화는 경계상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70)(표 12).
모공 수 수치 변화의 평균 분포
측정변수 대조군 시험군 p-수치a p-수치b
평균±표준편차
글로벌스코어 (ITT set)
(n=30 vs. 30)
베이스라인 4648.27±451.08 4672.33±436.12 0.834
4주 후 4826.63±495.02 4793.47±466.80 0.790 0.465
차이점c 178.37±278.25 121.13±297.92 0.445
p-수치d 0.001 0.034
8주 후 4906.73±459.04 4801.37±443.94 0.370 0.070
차이점e 258.47±261.20 129.03±279.99 0.069
p-수치d 0.000 0.017
사) Skindex 29
한국어판 Skindex 29를 사용하여 0주, 4주 및 8주에 총 3회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아) Skindex 29 수치 변화의 검정
대상자들의 Skindex29 수치에 대한 기저치는 대조군이 59.37, 시험군이 59.53으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76). 제품사용 4주 후의 Skindex29 수치는 대조군이 55.50, 시험군이 54.70으로 기저치에 비해 각각 3.87 및 4.8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어, 대조군에서는 경계상의 유의성을 나타냈고(p=0.082) 시험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3). 그러나 변화량에 대한 양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p=0.714). 기저치의 차이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도 4주 변화치에 대한 양군의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714). 제품사용 8주 후에는 대조군이 50.73, 시험군이 52.70을 나타내 각각 8.63 및 6.83의 감소를 보였고, 양군 모두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관찰되었다(각각 p=0.000 및 p=0.002). 그러나 기저치를 보정한 ANCOVA 분석 결과에서 8주간의 평균치 변화는 양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70)(표 13).
측정변수 대조군 시험군 p-수치a p-수치b
평균±표준편차
글로벌스코어
(ITT set)
(n=30 vs. 30)
베이스라인 59.37±20.32 59.53±22.26 0.976
4주 후 55.50±20.11 54.70±22.86 0.886 0.714
차이점c -3.87±11.76 -4.83±8.25 0.714
p-수치d 0.082 0.003
8주 후 50.73±19.91 52.70±21.55 0.715 0.507
차이점e -8.63±11.37 -6.83±10.74 0.531
p-수치d 0.000 0.002
4.3.2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서는 시험에 사용한 제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품 사용 전과 사용 8주 후에 활력 징후 측정, 혈액학적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기간 내내 하기 표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부작용과 이상반응을 평가하였다.
임상 시험 스케줄
기간 스크리닝 치료 기간
방문 -14 1±7 28±7 56±7
1차 2차 3차 4차
Subject agreement O
Basic examination O
Physical examination O O
Vital sign O O O O
Examination of disease / drug history O
Decision of inclusion / exclusion criteria O
Criteria for discontinuance / drop out O O
Clinical pathology examination O O
Visual evaluation O O O
Photograph facial picture O O O
Measure of skin Sebum O O O
Measure of skin moisture O O O
Measure of skin erythema O O O
Measure of skin pores O O O
Prescription of experimental/control cosmetics O
Examination of concurrent medication history O O
Examination of adverse event O O
Product compliance test O O
Questionnaire assessment O O
8주간의 연구기간 동안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활력징후, 혈액학적 검사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부작용과 이상반응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시험제품과 대조제품은 인체에 안전한 제품으로 판단되었다.
4.4 통계분석
본 실시예 3의 결과 분석을 위하여 엑셀(Excel) 프로그램 및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 version 19.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의 유의성을 위하여 유의수준 0.05를 설정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적 방법은 시제품 사용 전후에 따른 변화 양상에 대하여 Paired t-test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시험군, 대조군 간의 비교는 ANCOVA, Student' t-test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동맥내, 피내, 경피, 근육내, 복강내, 정맥내, 피하, 경구 및 비내 투여 경로를 포함하여 다양한 경로에 의해 인간이나 동물에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10ng/㎏~10㎎/㎏, 바람직하게는 약 80~400ng/㎏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인 화피추출물, 석류피추출물 및 염부수백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2 g 또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인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6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화피, 석류피 및 염부수백피의 추출물은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단, 하기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스킨)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1.0 중량%
1,3-부틸렌글리콜................................5.2 중량%
올레일알코올....................................1.5 중량%
에탄올..........................................3.2 중량%
폴리솔베이트 20.................................3.2 중량%
벤조페논-9......................................2.0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중량%
글리세린........................................3.5 중량%
향..............................................미량
방부제..........................................미량
정제수..........................................미량
[제형예 2]
밀크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 중량%
글리세린.........................................5.1 중량%
프로필렌글리콜...................................4.2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3.0 중량%
유동파라핀.......................................4.6 중량%
트리에탄올아민...................................1.0 중량%
스쿠알란.........................................3.1 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2.5 중량%
폴리솔베이트 60..................................1.6 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1.6 중량%
프로필파라벤.....................................0.6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1.5 중량%
향...............................................미량
방부제...........................................미량
정제수...........................................미량
[제형예 3]
영양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2.0 중량%
글리세린.........................................4.0 중량%
바셀린...........................................3.5 중량%
트리에탄올아민...................................2.1 중량%
유동파라핀.......................................5.3 중량%
스쿠알란.........................................3.0 중량%
밀납.............................................2.6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5.4 중량%
*110폴리솔베이트 60..............................3.2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1.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3.1 중량%
향...............................................미량
방부제...........................................미량
정제수...........................................미량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예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염부수백피 추출물의 중량비는 2: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염부수백피 추출물의 중량비는 2: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유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수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홍반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모공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2.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및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 화피 추출물: 석류피 추출물: 염부수백피 추출물의 중량비는 2: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30106250A 2013-09-04 2013-09-04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KR10152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250A KR101521446B1 (ko) 2013-09-04 2013-09-04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250A KR101521446B1 (ko) 2013-09-04 2013-09-04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33A KR20150027933A (ko) 2015-03-13
KR101521446B1 true KR101521446B1 (ko) 2015-05-22

Family

ID=5302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250A KR101521446B1 (ko) 2013-09-04 2013-09-04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240A (ko) 2017-02-15 2018-08-23 김권이 항노화 폼 클렌징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10B1 (ko) * 2020-04-07 2020-11-13 (주)코스알엑스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442A (ko) * 2003-09-22 2005-03-28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20100066784A (ko) * 2008-12-10 2010-06-18 (주)아모레퍼시픽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1221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케이알셀코리아 붉나무, 지모, 가죽나무 추출물과 그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442A (ko) * 2003-09-22 2005-03-28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100562077B1 (ko) * 2003-09-22 2007-04-12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피부보호, 피부 트러블 방지, 피부 유해균 성장억제, 여드름 예방 및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20100066784A (ko) * 2008-12-10 2010-06-18 (주)아모레퍼시픽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1221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케이알셀코리아 붉나무, 지모, 가죽나무 추출물과 그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240A (ko) 2017-02-15 2018-08-23 김권이 항노화 폼 클렌징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33A (ko) 201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ristaki et al. Aloe vera: a plant for many uses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EP1841404A1 (en) Skin-condition improving composition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20150297651A1 (en) Living body healing accelerator
JP2013501779A (ja) 天然抽出物含有組成物
KR101225114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7834A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 재생용 조성물
KR101521446B1 (ko) 화피, 석류피 또는 염부수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KR10133068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16930A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3890A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20060102621A (ko)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KR20120077889A (ko) 송엽 또는 송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60057183A (ko)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20741A (ko) 감 껍질, 감 과육, 감잎 및 고욤잎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90150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6870B1 (ko)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