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885B1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4885B1 KR101484885B1 KR20140055339A KR20140055339A KR101484885B1 KR 101484885 B1 KR101484885 B1 KR 101484885B1 KR 20140055339 A KR20140055339 A KR 20140055339A KR 20140055339 A KR20140055339 A KR 20140055339A KR 101484885 B1 KR101484885 B1 KR 1014848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fermented
- fermentation
- lactobacillus
- medici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구등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 및 상처 치유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 및 상처 치유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한다. 또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 %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 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 건(tendon), 뼈 및 치아의 유기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데, 특히 뼈와 피부(지피)에 그 포함량이 높다. 대부분의 다른 체 구조물에서는 섬유상 봉입체로서 존재한다.
콜라겐은 비교적 약한 면역원인데, 콜라겐의 나선구조에 의한 잠재성 항원 결정인자의 차폐가 그 일부 원인이고, 이 나선구조는 또한 콜라겐이 단백질 분해에 대한 내성을 갖도록 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향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등, Ann NY Acad Sci, 1990).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1989). 또한 콜라겐은 상처치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손상된 상피에서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켜서 상처를 신속하고 흉터 없이 회복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콜라겐의 피부 보습 효과 및 상처 치유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화장품 또는 연고 등과 같은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제품들은 콜라겐 자체를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 물질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보습작용 또는 상처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기능 개선 및 상처치유의 기능을 나타낸다고 말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는 비타민 C,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발암증식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Cardinale G. 35 al, Adv. Enzymol., 41, p.425, 1974),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31370), 베툴린산(betulinic acid)(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08424), 클로렐라 추출물(일본공개특허공보 평9-40526,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36283,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작용)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기능 개선 또는 상처 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외용제 조성물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한편,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발효라고 한다. 발효와 부패는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우리의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 하고, 악취가 나거나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 한다. 따라서, 한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면 한약재의 독성이 감소되거나, 저분자화되어 소화가 용이하거나, 피부에 도포시 경피흡수 등이 용이하게 되어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다.
또한 한약재들은 그 자체로도 약리 작용을 나타낼 수 있지만 발효를 통해 약리효과가 더욱 강화되거나 미생물의 대사에 의해 해로운 성분들이 만들어져 발효전의 한약재에 없던 새로운 약리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 및 상처 치유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효를 통해 각 약재의 약리효과를 더욱 강화시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더욱 향상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에 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약재에 곰팡이(fungi)를 접종하고 고체발효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약재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발효를 통해 각 약재의 약리효과를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콜라겐 합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 및 상처 치유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약재 추출물은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약재 발효 추출물은 상기 약재 추출물을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에 접종 및 배양하여 수득되거나, 시판되는 약재 자체나 분쇄물에 곰팡이를 첨가하여 고체발효시켜 수득되는 2차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갖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유용한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동,식물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감잎 등의 발효액이 각각의 추출물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지한, 이뇨, 소종, 강장 등에 쓰인다.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각기, 황달, 간염 등에 쓰인다. 상기 은행(Ginkgo biloba)은 은행과(Gingkoaceae)에 속하는 다년생 활엽교목으로 심장통, 고혈압, 천식, 해수 등에 쓰인다. 상기 의이인(Coix lachryma-jobi var.ma-yuen)은 벼과(Gramineae)의 1년생 초본인 율무의 자인으로, 만성관절염, 폐손갈혈 등에 사용한다. 상기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은 치마버섯과에 속한다. 상기 황백(Phellodendron chinense)은 산초나무과(Rutaceae)에 속하는 황벽나무의 코르크층을 분리한 수간피로서, 명치에 생긴 질병의 치료에 쓰인다. 상기 비파엽(Eriobotrya japonica)은 장미과(Roosaceae)에 속하는 비파나무의 잎을 건조한 것으로, 만성기관지염, 해수, 구토 등에 쓰인다. 상기 알로에(Aloe ferox)는 나리과(R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항균, 항궤양, 항암 등에 쓰인다. 상기 율피(Castanea crenata)는 참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밤나무의 밤 속껍질로 수렴작용이 있다. 상기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는 자작나무과(Betulaceae)에 속하며 황달, 설사, 신장염, 폐결핵, 위염 등에 쓰인다. 상기 장미(Rosa hybrida)는 장미과(Rosaceae)에 관목성의 화목으로 관상용이나 향료용으로 쓰인다. 상기 강낭콩(Phaseolus vulgaris)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종기, 이뇨, 설사, 각기, 부종 등의 약용으로 쓰인다. 상기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느타리과에 속하며 활엽수의 고목에 군생하며 식용으로 쓰인다. 상기 능소화(Cammpsis grandiflora)는 능소화과(Bignoniaceae)에 속하는 덩굴식물로 어혈이나 혈열에 의한 질환치료 등에 쓰인다. 상기 백년초(Opuntia ficus)는 손바닥 선인장으로도 불리며, 피부질환, 류마티스, 화상치료 등에 쓰인다. 상기 빈랑자(Areaca catechu)는 야지나무과(Palmae)에 속하는 빈랑수의 열매를 말하며, 구충약, 권위약 등에 쓰인다. 상기 사철쑥(Artemisia capillaries)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일년성 초본으로 이뇨제나 황달에 쓰인다. 상기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는 대극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위염, 위궤양, 위암에 쓰인다. 상기 옥죽(Polygonatum officinale)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둥글레의 뿌리를 당뇨, 심근쇠약, 고지혈증 등에 사용한다. 상기 조구등(Incaria sinensis)은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며, 발작, 마비, 혈압강하 등에 쓰인다. 상기 질려자(Tribulus terrestirs)는 남가새과(Zypophyll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인 남가새의 과실로 안과질환에 자주 쓰인다. 상기 풍년화(Hamamellis japonica)는 아열대에 속하는 낙엽수인 위치 하젤(Witch Hazel)로 피부진정작용과 보호작용이 있다. 상기 피마자(Ricinus communis)는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인 아주까리의 성숙한 종자로, 사하제, 변비, 옴, 화상 등에 쓰인다. 상기 혈갈(Draconis resina)은 종려과(Palmae)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등본인 기린갈의 과실과 줄기에서 얻은 수지를 건조한 것으로, 출혈, 찰과상, 생리불순 등에 쓰인다. 상기 호과(Cucumis sativus)는 박과(Cucurbut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인 오이의 과실이다. 상기 호도(Juglans regia)는 가레나무과(Juglandaceae)에 속하는 호두나무의 종자로, 노인쇄약, 자궁출혈, 위산과다, 하복통, 급만성 임질 등에 쓰인다. 상기 호박(Cucurbita moschata)은 박과(Cucurut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식용, 천식치료 등에 쓰인다. 상기 호이초(Saxifraga stolonifera)는 범의귀과(Saxifrag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백일해, 화상, 동상 등에 쓰인다. 상기 홍화(Carthamus tinctorius)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으로 부인병, 복통, 통경 등에 쓰인다. 상기 황정(Polygonatum sibiricum)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층층둥글레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으로, 당뇨에 쓰인다. 상기 감잎(Diospyroskaki)은 감나무과(Ebenaceae)에 속하는 감나무의 잎을 말려 약용으로 이용하며, 중풍, 고혈앞 등에 쓰인다.
상기 약재들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재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증류수,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건조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또는 감잎을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환류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50∼100 ℃로 1∼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약재들의 추출물을 추출한다. 그 다음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 회 이상씩 더 추출한 후, 추출액들을 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나 분무건조하여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약재 추출물들은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에 첨가, 배양하여 최종 약재 발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재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의 기본 배지에 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재 발효 추출물은 시판되는 약재 자체 또는 절편, 분말화하여 곰팡이(fungi)를 접종하고 고체발효하여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Saccharomyces boulardi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confus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brevi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피더스균은 Bifidobacterium breve,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infanti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곰팡이는 차가버섯(Inonnotus-obliquus), 동충하초균류(Cordyceps sinensis, Paecilomyces japonica),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등의 약용 버섯류의 곰팡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미생물로 효모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YM 배지)에 효모를 접종한 후,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30∼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효모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로 유산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MRS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24∼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로 비피더스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BL 배지)에 비피더스균을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혐기배양 조건을 유지하면서 24∼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비피더스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로 곰팡이(fungi)를 사용할 경우에는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 자체 또는 절편, 분말화한 분쇄물 각각에 곰팡이를 1∼10 중량%로 접종하고, 18∼25 ℃, 습도 60∼70 %에서 60 일간 고체발효시켜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재 발효 추출액들은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일반적인 약재 추출물들과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약재 발효 추출액들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한 후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어떤 부작용의 발생 없이 피부에 안전하며, 매우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및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약재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거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외용연고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바셀린 50∼97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황기, 어성초, 은행, 의이인, 치마버섯, 황백, 비파엽, 알로에, 율피, 자작나무, 장미, 강낭콩, 느타리버섯, 능소화, 백년초, 빈랑자, 사철쑥, 예덕나무, 옥죽, 조구등, 질려자, 풍년화, 피마자, 혈갈, 호과, 호도, 호박, 호이초, 홍화, 황정 및 감잎을 구입하여 분쇄한 각각의 분쇄물 200 g을 정제수나 80 % 메탄올 3 L에 각각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추출기에서 3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100 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 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각각의 건조 중량을 얻었다. 하기 표 1은 추출용매에 따른 약재 100 g 당 추출물의 건조중량을 나타낸 것이다.
약재 | 80% 메탄올 | 정제수 |
황기 | 6.2 g | 5.5 g |
어성초 | 6.7 g | 6.1 g |
은행 | 4. g | 3.8 g |
의이인 | 8.7 g | 7.6 g |
치마버섯 | 8.6 g | 7.8 g |
황백 | 6.2 g | 5.3 g |
비파엽 | 5.1 g | 4.3 g |
알로에 | 8.6 g | 8.1 g |
율피 | 3.5 g | 2.8 g |
자작나무 | 5.5 g | 4.6 g |
장미 | 4.3 g | 3.6 g |
강남콩 | 14.2 g | 11.7 g |
느타리버섯 | 7.9 g | 6.5 g |
능소화 | 4.3 g | 3.7 g |
백년초 | 6.6 g | 5.2 g |
빈랑자 | 5.4 g | 4.6 g |
사철쑥 | 4.7 g | 4.0 g |
예덕나무 | 6.3 g | 5.3 g |
옥죽 | 5.1 g | 4.1 g |
조구등 | 4.8 g | 3.3 g |
질려자 | 6.2 g | 5.0 g |
풍년화 | 4.3 g | 3.5 g |
피마자 | 13.9 g | 11.1 g |
혈갈 | 4.1 g | 3.1 g |
호과 | 5.2 g | 4.5 g |
호도 | 6.3 g | 5.1 g |
호박 | 7.6 g | 6.1 g |
호이초 | 3.2 g | 2.4 g |
홍화 | 4.2 g | 3.1 g |
황정 | 7.7 g | 5.1 g |
감잎 | 3.1 g | 2.6 g |
실시예 2∼32
80 %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기본배지인 YM 배지에 5 중량%로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약 105∼107 cells/mL의 농도로 5 중량%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효모 기본 배지(YM 배지)에 접종한 후,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그 뒤, 각각의 발효액 100 g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효모균체를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효모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효모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약재 | 발효액 건조중량 (g) | 약재 | 발효액 건조중량 (g) |
실시예 2(황기) | 6.11 | 실시예 18(사철쑥) | 6.13 |
실시예 3(어성초) | 6.20 | 실시예 19(예덕나무) | 6.08 |
실시예 4(은행) | 5.97 | 실시예 20(옥죽) | 5.97 |
실시예 5(의이인) | 5.99 | 실시예 21(조구등) | 6.25 |
실시예 6(치마버섯) | 6.05 | 실시예 22(질려자) | 6.10 |
실시예 7(황백) | 6.13 | 실시예 23(풍년화) | 6.02 |
실시예 8(비파엽) | 5.98 | 실시예 24(피마자) | 5.99 |
실시예 9(알로에) | 6.16 | 실시예 25(혈갈) | 5.86 |
실시예 10(율피) | 6.05 | 실시예 26(호과) | 6.19 |
실시예 11(자작나무) | 6.02 | 실시예 27(호도) | 5.77 |
실시예 12(장미) | 6.01 | 실시예 28(호박) | 6.00 |
실시예 13(강남콩) | 5.99 | 실시예 29(호이초) | 6.08 |
실시예 14(느타리버섯) | 6.01 | 실시예 30(홍화) | 5.95 |
실시예 15(능소화) | 6.12 | 실시예 31(황정) | 5.92 |
실시예 16(백년초) | 5.99 | 실시예 32(감잎) | 6.14 |
실시예 17(빈랑자) | 6.00 |
실시예 33∼63
80 %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유산균인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대한 기본배지인 MRS 배지에 5 중량%로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약 105∼107 cells/mL의 농도로 5 중량%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유산균 기본 배지(MRS 배지)에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그 뒤, 각각의 발효액 100 g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를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유산균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유산균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약재 | 발효액 건조중량 (g) | 약재 | 발효액 건조중량 (g) |
실시예 33(황기) | 6.06 | 실시예 49(사철쑥) | 6.08 |
실시예 34(어성초) | 6.24 | 실시예 50(예덕나무) | 5.99 |
실시예 35(은행) | 6.01 | 실시예 51(옥죽) | 5.82 |
실시예 36(의이인) | 5.83 | 실시예 52(조구등) | 6.03 |
실시예 37(치마버섯) | 6.11 | 실시예 53(질려자) | 6.02 |
실시예 38(황백) | 5.06 | 실시예 54(풍년화) | 5.91 |
실시예 39(비파엽) | 6.06 | 실시예 55(피마자) | 6.09 |
실시예 40(알로에) | 6.04 | 실시예 56(혈갈) | 6.11 |
실시예 41(율피) | 5.97 | 실시예 57(호과) | 6.12 |
실시예 42(자작나무) | 6.13 | 실시예 58(호도) | 5.90 |
실시예 43(장미) | 6.01 | 실시예 59(호박) | 6.17 |
실시예 44(강남콩) | 5.94 | 실시예 60(호이초) | 6.13 |
실시예 45(느타리버섯) | 6.04 | 실시예 61(홍화) | 6.08 |
실시예 46(능소화) | 6.06 | 실시예 62(황정) | 6.05 |
실시예 47(백년초) | 6.10 | 실시예 63(감잎) | 6.05 |
실시예 48(빈랑자) | 6.01 |
실시예 64∼94
80 %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비피더스균인 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한 기본배지인 BL 배지에 5 중량%로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Bifidobacterium longum를 약 105∼107 cells/mL의 농도로 5 중량%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유산균 기본 배지(BL 배지)에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혐기배양 조건을 유지하면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그 뒤, 각각의 발효액 100 g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비피더스균체를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비피더스균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비피더스균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약재 | 발효액 건조중량 (g) | 약재 | 발효액 건조중량 (g) |
실시예 64(황기) | 5.98 | 실시예 80(사철쑥) | 6.02 |
실시예 65(어성초) | 6.02 | 실시예 81(예덕나무) | 6.15 |
실시예 66(은행) | 6.12 | 실시예 82(옥죽) | 5.78 |
실시예 67(의이인) | 6.02 | 실시예 83(조구등) | 6.20 |
실시예 68(치마버섯) | 5.82 | 실시예 84(질려자) | 6.08 |
실시예 69(황백) | 6.00 | 실시예 85(풍년화) | 5.99 |
실시예 70(비파엽) | 6.04 | 실시예 86(피마자) | 6.03 |
실시예 71(알로에) | 6.10 | 실시예 87(혈갈) | 6.03 |
실시예 72(율피) | 6.88 | 실시예 88(호과) | 6.03 |
실시예 73(자작나무) | 6.21 | 실시예 89(호도) | 6.01 |
실시예 74(장미) | 6.15 | 실시예 90(호박) | 6.12 |
실시예 75(강남콩) | 6.00 | 실시예 91(호이초) | 6.06 |
실시예 76(느타리버섯) | 6.10 | 실시예 92(홍화) | 6.00 |
실시예 77(능소화) | 6.04 | 실시예 93(황정) | 6.16 |
실시예 78(백년초) | 6.05 | 실시예 94(감잎) | 6.03 |
실시예 79(빈랑자) | 6.08 |
실시예 95∼125
상기 표 1에서 사용된 약재를 절편하여 곰팡이(fungi)를 5 중량%로 첨가하여 고체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각각이 약재 200 g을 절편으로 하여 일정한 습도하에서 Paecilomyces japonica를 5 중량%로 각각 접종하고 18∼25 ℃, 습도 60∼70 %에서 60 일간 발효시키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 100 g씩을 80% 메탄올 3L에 각각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1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곰팡이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곰팡이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약재 | 발효액 건조중량 (g) | 약재 | 발효액 건조중량 (g) |
실시예 95(황기) | 5.84 | 실시예 111(사철쑥) | 4.22 |
실시예 96(어성초) | 6.31 | 실시예 112(예덕나무) | 5.89 |
실시예 97(은행) | 4.17 | 실시예 113(옥죽) | 4.83 |
실시예 98(의이인) | 8.78 | 실시예 114(조구등) | 4.63 |
실시예 99(치마버섯) | 7.88 | 실시예 115(질려자) | 5.77 |
실시예 100(황백) | 5.85 | 실시예 116(풍년화) | 4.11 |
실시예 101(비파엽) | 4.80 | 실시예 117(피마자) | 11.34 |
실시예 102(알로에) | 7.99 | 실시예 118(혈갈) | 3.78 |
실시예 103(율피) | 3.34 | 실시예 119(호과) | 4.90 |
실시예 104(자작나무) | 5.12 | 실시예 120(호도) | 5.93 |
실시예 105(장미) | 4.03 | 실시예 121(호박) | 6.21 |
실시예 106(강남콩) | 12.31 | 실시예 122(호이초) | 3.11 |
실시예 107(느타리버섯) | 7.31 | 실시예 123(홍화) | 3.34 |
실시예 108(능소화) | 4.13 | 실시예 124(황정) | 7.13 |
실시예 109(백년초) | 6.12 | 실시예 125(감잎) | 2.82 |
실시예 110(빈랑자) | 5.12 |
실험예 1.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80% 메탄올을 이용하여 수득한 각각의 약재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2 내지 125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효과를 실험하였다. 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Ⅰ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110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최종농도가 0.005 %가 되도록 각각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 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대조군)와 비타민 C를 최종농도 0.005 %가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합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성량은 UV 흡광도로 측정하고, 콜라겐 생성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생성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6 내지 10에 정리하였다.
시료 | 콜라겐 생성량 | 증가율 (%) | |
대조군 (무첨가) | 1.118±0.030 | - | |
YM 배지 (최종농도 0.005 %) | 1.202±0.031 | 107.51 | |
MRS 배지 (최종농도 0.005 %) | 1.215±0.041 | 108.68 | |
BL 배지 (최종농도 0.005 %) | 1.223±0.043 | 109.39 | |
황기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46±0.056 | 120.40 |
실시예 2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31±0.043 | 154.92 | |
실시예 33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12±0.040 | 144.19 | |
실시예 64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07±0.078 | 143.74 | |
실시예 9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814±0.055 | 152.25 | |
어성초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293±0.077 | 115.65 |
실시예 3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74±0.067 | 149.73 | |
실시예 34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583±0.049 | 141.59 | |
실시예 65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45±0.045 | 147.14 | |
실시예 96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589±0.034 | 142.13 | |
은행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71±0.078 | 122.63 |
실시예 4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82±0.037 | 159.39 | |
실시예 35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07±0.025 | 143.74 | |
실시예 66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56±0.057 | 157.07 | |
실시예 97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666±0.056 | 149.02 | |
의이인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45±0.040 | 120.30 |
실시예 5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598±0.067 | 142.93 | |
실시예 36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534±0.024 | 137.21 | |
실시예 67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56±0.067 | 148.12 | |
실시예 98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645±0.076 | 147.14 | |
치마버섯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284±0.045 | 114.85 |
실시예 6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45±0.045 | 147.14 | |
실시예 37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60±0.048 | 148.48 | |
실시예 68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583±0.056 | 141.59 | |
실시예 99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687±0.048 | 158.50 | |
황백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02±0.049 | 116.46 |
실시예 7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78±0.071 | 150.09 | |
실시예 38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05±0.047 | 143.56 | |
실시예 69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45±0.073 | 156.08 | |
실시예 100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691±0.060 | 151.16 |
시료 | 콜라겐 생성량 | 증가율 (%) | |
비파엽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78±0.041 | 123.26 |
실시예 8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27±0.038 | 145.23 | |
실시예 39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73±0.069 | 158.59 | |
실시예 70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871±0.098 | 167.35 | |
실시예 101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81±0.037 | 159.30 | |
알로에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61±0.073 | 121.74 |
실시예 9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02±0.038 | 152.24 | |
실시예 40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90±0.040 | 151.16 | |
실시예 71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26±0.048 | 154.38 | |
실시예 102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09±0.068 | 152.86 | |
율피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89±0.046 | 124.24 |
실시예 10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72±0.046 | 158.50 | |
실시예 41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805±0.076 | 161.45 | |
실시예 72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49±0.056 | 156.44 | |
실시예 103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06±0.066 | 152.59 | |
자작나무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33±0.041 | 119.23 |
실시예 11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77±0.056 | 150.00 | |
실시예 42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804±0.034 | 161.36 | |
실시예 73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09±0.066 | 152.86 | |
실시예 104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596±0.043 | 142.75 | |
장미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04±0.040 | 116.61 |
실시예 12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883±0.064 | 168.43 | |
실시예 43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800±0.073 | 161.00 | |
실시예 74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14±0.080 | 153.31 | |
실시예 10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78±0.087 | 159.03 | |
강남콩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68±0.062 | 122.36 |
실시예 13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56±0.064 | 157.07 | |
실시예 44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90±0.030 | 160.11 | |
실시예 75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88±0.031 | 150.98 | |
실시예 106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50±0.058 | 156.53 | |
느타리버섯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400±0.060 | 125.22 |
실시예 14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61±0.055 | 157.51 | |
실시예 45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834±0.072 | 164.04 | |
실시예 76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39±0.073 | 155.55 | |
실시예 107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902±0.063 | 170.13 | |
능소화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71±0.059 | 122.63 |
실시예 15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83±0.070 | 150.54 | |
실시예 46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99±0.038 | 151.97 | |
실시예 77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34±0.049 | 150.89 | |
실시예 108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831±0.048 | 155.10 | |
백년초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274±0.051 | 113.95 |
실시예 16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24±0.060 | 154.20 | |
실시예 47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29±0.038 | 154.65 | |
실시예 78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71±0.082 | 149.55 | |
실시예 109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20±0.034 | 153.85 |
시료 | 콜라겐 생성량 | 증가율 (%) | |
빈랑자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69±0.036 | 122.45 |
실시예 17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71±0.050 | 158.41 | |
실시예 48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08±0.052 | 157.77 | |
실시예 79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12±0.030 | 144.18 | |
실시예 110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54±0.048 | 156.89 | |
사철쑥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71±0.060 | 122.63 |
실시예 18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808±0.071 | 161.72 | |
실시예 49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70±0.037 | 158.31 | |
실시예 80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80±0.052 | 159.93 | |
실시예 111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30±0.089 | 150.27 | |
예덕나무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274±0.048 | 113.95 |
실시예 19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25±0.075 | 145.35 | |
실시예 50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567±0.047 | 140.16 | |
실시예 81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24±0.037 | 145.26 | |
실시예 112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72±0.036 | 158.50 | |
옥죽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38±0.038 | 119.68 |
실시예 20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571±0.048 | 140.52 | |
실시예 51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72±0.040 | 149.55 | |
실시예 82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31±0.068 | 145.89 | |
실시예 113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07±0.062 | 152.68 | |
조구등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87±0.040 | 124.06 |
실시예 21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58±0.069 | 148.30 | |
실시예 52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83±0.038 | 159.48 | |
실시예 83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09±0.048 | 143.92 | |
실시예 114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641±0.033 | 146.78 | |
질려자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401±0.055 | 125.31 |
실시예 22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70±0.071 | 158.31 | |
실시예 53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25±0.048 | 154.29 | |
실시예 84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800±0.097 | 161.00 | |
실시예 11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876±0.081 | 167.80 | |
풍년화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38±0.037 | 119.68 |
실시예 23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06±0.061 | 152.59 | |
실시예 54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71±0.052 | 158.41 | |
실시예 85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99±0.082 | 151.97 | |
실시예 116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50±0.048 | 156.53 | |
피마자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277±0.055 | 114.22 |
실시예 24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591±0.053 | 142.31 | |
실시예 55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45±0.064 | 156.08 | |
실시예 86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67±0.057 | 149.11 | |
실시예 117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501±0.072 | 134.26 | |
혈갈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40±0.036 | 119.86 |
실시예 25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834±0.066 | 164.04 | |
실시예 56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35±0.035 | 155.19 | |
실시예 87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887±0.059 | 168.78 | |
실시예 118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41±0.052 | 155.72 |
시료 | 콜라겐 생성량 | 증가율 (%) | |
호과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61±0.052 | 121.74 |
실시예 26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56±0.038 | 148.12 | |
실시예 57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20±0.030 | 153.85 | |
실시예 88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87±0.051 | 159.84 | |
실시예 119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565±0.063 | 139.98 | |
호도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222±0.034 | 109.30 |
실시예 27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72±0.039 | 149.55 | |
실시예 58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38±0.072 | 146.51 | |
실시예 89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01±0.058 | 152.15 | |
실시예 120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803±0.071 | 161.27 | |
호박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60±0.074 | 121.65 |
실시예 28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745±0.024 | 156.08 | |
실시예 59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40±0.062 | 146.69 | |
실시예 90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02±0.064 | 152.24 | |
실시예 121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779±0.055 | 159.12 | |
호이초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39±0.066 | 119.77 |
실시예 29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00±0.037 | 143.11 | |
실시예 60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83±0.042 | 150.54 | |
실시예 91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68±0.070 | 149.19 | |
실시예 122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649±0.075 | 147.50 | |
홍화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72±0.035 | 122.72 |
실시예 30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70±0.026 | 149.37 | |
실시예 61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86±0.054 | 159.75 | |
실시예 92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56±0.079 | 157.07 | |
실시예 123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649±0.076 | 147.50 | |
황정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237±0.046 | 110.64 |
실시예 31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558±0.055 | 139.36 | |
실시예 62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607±0.047 | 143.74 | |
실시예 93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631±0.069 | 145.89 | |
실시예 124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665±0.053 | 148.93 | |
감잎 (최종농도 0.005 %) |
실시예 1의 추출물 | 1.319±0.057 | 117.98 |
실시예 32의 효모 발효 추출물 | 1.666±0.059 | 149.02 | |
실시예 63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 1.703±0.043 | 152.33 | |
실시예 94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 1.742±0.047 | 155.81 | |
실시예 12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882±0.055 | 168.34 | |
비타민 C (최종농도 0.0005 %) | 1.528±0.075 | 136.67 |
상기 표 6 내지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125에 따라 수득한 각 약재 발효 추출물들은 실시예 1에서 80% 메탄올을 이용한 추출물과 비교하여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량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전혀 정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안하면 기존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인 비타민 C와 비교할 때 섬유아세포에서 매우 강력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농도에 따른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된 인간유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95의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0.5 %, 0.05 %, 0.005 %, 0.0005 %로 조절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시료 | 적용농도 (%) | 멜라닌 생성량 | 저해율 (%) |
대조군 (무첨가) | - | 1.118±0.030 | - |
실시예 95의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 | 최종농도 (0.0005%) | 1.613±0.048 | 144.28 |
최종농도 (0.005%) | 1.814±0.055 | 162.25 | |
최종농도 (0.05%) | 1.870±0.044 | 167.26 | |
최종농도 (0.5%) | 1.994±0.069 | 178.80 | |
비타민 C | 최종농도 (0.0001%) | 1.528±0.075 | 172.00 |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은 배양된 인간유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이 단일물질이 아니고 혼합물질임에도 불구하고 단일물질인 비타민 C와 같은 농도에서 동등 이상의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가지며, 본 발명의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은 0.05 % 농도 이상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강력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주름 개선제나 상처치유제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6 및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95의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1의 처방으로 피부 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구분 | 실시예 126 | 비교예 1 |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0 | - |
디에틸 세바케이트 | 8 | 8 |
경납 | 5 | 5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 6 | 6 |
벤조산 나트륨 | 적량 | 적량 |
바셀린 | To 100 | To 100 |
실시예 127 및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95의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2의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 | 실시예 127 | 비교예 2 |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 | 1.0 | - |
스테아린산 | 15.0 | 15.0 |
세탄올 | 1.0 | 1.0 |
수산화칼륨 | 0.7 | 0.7 |
글리세린 | 5.0 | 5.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3.0 |
방부제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실시예 128 및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95의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3의 처방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 실시예 128 | 비교예 3 |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 | 0.2 | - |
에탄올 | 10.0 | 10.0 |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 1.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0.2 | 0.2 |
글리세린 | 5.0 | 5.0 |
1,3-부틸렌글리콜 | 6.0 | 6.0 |
향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실시예 129 및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95의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4의 처방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 실시예 129 | 비교예 4 |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 | 0.1 | - |
와셀린 | 2.0 | 2.0 |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 0.8 | 0.8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 1.2 | 1.2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적량 | 적량 |
프로필렌글리콜 | 5.0 | 5.0 |
에탄올 | 3.2 | 3.2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18.0 | 18.0 |
수산화칼륨 | 0.1 | 0.1 |
색소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실시예 130 및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95의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5의 처방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구분 | 실시예 130 | 비교예 5 |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 | 0.5 | - |
글리세린 | 5.0 | 5.0 |
프로필렌글리콜 | 4.0 | 4.0 |
폴리비닐알코올 | 15.0 | 15.0 |
에탄올 | 8.0 | 8.0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 1.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0.2 | 0.2 |
향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실시예 131 및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95의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6의 처방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구분 | 실시예 131 | 비교예 6 |
황기 곰팡이 발효 추출물 | 5.0 | - |
프로필렌글리콜 | 10.0 | 10.0 |
글리세린 | 10.0 | 10.0 |
하이루론산나트륨수용액 (1%) | 5.0 | 5.0 |
에탄올 | 5.0 | 5.0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1.0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0.1 | 0.1 |
향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실험예 3. 콜라겐 합성에 의한 상처치유 효과
5주령 웅성 랫트(rat)를 이용하여 절개창에 있어서 상처부위의 재생의 질과 양을 잘 반영하는 장력강도법을 사용하여 창상치유 효과를 시험하였다.
먼저, 랫트의 등 부위의 털을 제거한 후 메스로 절개하고 절개부위를 봉합하였다. 상기 실시예 127 및 비교예 2의 크림을 매일 1 회 6 일간 절개 부위에 투여하였다. 투여 6 일 후 실험에 이용한 랫트를 도살하고 창상부위의 피부를 적출하여 철창선에 직교하는 폭 1 ㎝의 피부편을 개체마다 3 표본씩 만든 후, 잘력측정기(rheometer)로 파열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인장강도(Tensil strength, g/㎝)를 재생된 콜라겐 섬유의 강도의 지표로 하였다. 인장강도의 증가율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에탄올만을 적용한 대조군의 인장강도를 100 %로 하여 상대적 강도로써 나타내었다. 상기 강도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7에 정리하였다.
구분 | 인장강도 (g/㎝) | 증가율 (%) |
실시예 127 | 549 | 100 |
비교예 2 | 671 | 122 |
실험예 4. 주름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127 및 비교예 2의 크림을 이용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패널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먼저, 35∼50 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30 명을 15 명씩 2 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비교예 2의 크림을, 2군은 실시예 127의 크림을 안면부에 1 일 1 회 3 개월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3 개월 후 피부주름의 개선정도를 피실험자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피실험자의 피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 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8에 나타내었다.
구분 | 개선 없음 | 약간의 개선 | 상당한 개선 |
실시예 127 | 2 | 7 | 6 |
비교예 2 | 7 | 7 | 1 |
상기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7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증진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 조구등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발효추출물은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Saccharomyces boulardii,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confus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brevis, Bifidobacterium breve,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longum 및 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균의 배양시 조구등을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조구등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발효추출물은 조구등에 차가버섯(Inonnotus-obliquus), 동충하초균류(Cordyceps sinensis, Paecilomyces japonica),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및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곰팡이(fungi)를 접종하고 고체발효하여 수득되는 발효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55339A KR101484885B1 (ko) | 2014-05-09 | 2014-05-09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55339A KR101484885B1 (ko) | 2014-05-09 | 2014-05-09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8921A Division KR101437939B1 (ko) | 2007-04-20 | 2007-04-20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6148A KR20140066148A (ko) | 2014-05-30 |
KR101484885B1 true KR101484885B1 (ko) | 2015-01-22 |
Family
ID=5089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55339A KR101484885B1 (ko) | 2014-05-09 | 2014-05-09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488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4384B1 (ko) * | 2019-01-28 | 2020-02-06 |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 lm101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136346B1 (ko) * | 2019-12-23 | 2020-07-22 |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 한국인 영유아 유래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 lm101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8007A (ko) * | 2000-11-02 | 2001-02-05 | 신재철 |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
KR20030020908A (ko) * | 2003-02-24 | 2003-03-10 | 이재학 |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
KR20050071298A (ko) * | 2003-12-31 | 2005-07-07 | 양상수 | 다기능성 발효 마사지 팩 |
-
2014
- 2014-05-09 KR KR20140055339A patent/KR1014848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8007A (ko) * | 2000-11-02 | 2001-02-05 | 신재철 |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
KR20030020908A (ko) * | 2003-02-24 | 2003-03-10 | 이재학 |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
KR20050071298A (ko) * | 2003-12-31 | 2005-07-07 | 양상수 | 다기능성 발효 마사지 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6148A (ko) | 2014-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7939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56052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84884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652244B1 (ko) |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566820B1 (ko) |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889605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80094459A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456040B1 (ko) |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23573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85012A (ko) |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10117876A (ko) | 항산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차 발효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 |
KR101484887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56042B1 (ko) |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40062456A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84886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80094456A (ko) |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00066708A (ko) |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84885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00066754A (ko) |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521753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456064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56056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521752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521754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456050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