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007A -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007A
KR20010008007A KR1020000064962A KR20000064962A KR20010008007A KR 20010008007 A KR20010008007 A KR 20010008007A KR 1020000064962 A KR1020000064962 A KR 1020000064962A KR 20000064962 A KR20000064962 A KR 20000064962A KR 20010008007 A KR20010008007 A KR 20010008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skin
water
mineral powder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철
Original Assignee
신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철 filed Critical 신재철
Priority to KR102000006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8007A/ko
Publication of KR2001000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0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토양정수법에 의해 정수되어진 자연수에 자연식물성의 쑥원료 및 광물분체가 첨가되어지는 세안 및 전신맛사지용 세정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세정수는 피부 노폐물의 배출을 촉진함으로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나타내며 은은한 쑥향이 지속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사용시 더욱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A MANUFACTURE METHODE OF CLEANING WATER FOR SKIN}
본 발명은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 활성화를 통해 피부의 노폐물 배출을 촉진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얼굴세안 또는 전신마사지용으로 사용시 지속적으로 깨끗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정수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오랫동안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지니고 싶은 것은 모든 인간의 공통된 소망일 것이다.
그러나, 자동차 매연 등 각종 공해환경속에 살고있는 인간의 피부는 습진, 피부염 등 여러가지 질병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외부 노출이 가장 많은 얼굴의 경우 주름살 방지를 위하여 각종 화장용 비누나, 맛사지 크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사용되는 화장용 비누, 크림, 로션 등과 같은 화장용 제품들은 주로 이들의 구성성분중의 하나로서 오렌지, 과일류, 요구르트 또는 바이오세라믹 등을 선택적으로 배합하여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품들은 살균과 신진대사 작용, 유화작용, 친유성 또는 보습성 등의 약화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가 곤란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정작용 및 유연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고, 피부 노화방지효과가 미흡하며, 또한 피부의 보습성 및 매끄러운 감촉 등에 있어서도 만족할 만한 효능을 갖추지 못한 것이었다.
근래, 얼굴의 기미, 검버섯, 주근깨 및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하여 화장용 제품에 타아르색소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광물유 또는 안료과 같은 성분 들을 배합하여 시판하고 있으나, 이러한 성분들은 피부에 유해한 정도로 자극성이고, 피부를 위축시키고, 신진대사를 불량하게 하며, 멜라닌색소를 침착시키기도 하고, 멜라닌색소를 비정상적으로 증식시키기도 하는 등의 유해한 작용으로 피부의 노화현상을 오히려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연 식물성의 세정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제조된 세정수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서 인체내의 노폐물을 체외로 방출시켜 인체의 자연생리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노화를 방지시킬수 있으며 한층 윤기있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정수 제조방법은,
구기자나무 뿌리를 통과하는 토양정수법에 의해 경도 25∼40, 수소이온농도 5.8∼8.5범위의 액제를 얻는 과정;
상기에서 얻어진 액제에 생쑥 발효액을 첨가하는 과정;
상기 생쑥 발효액이 첨가된 액제에 복수성분의 광물분체를 5∼10중량%로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특징요소에서와 같이 구기자나무 뿌리를 통과하며 정수된 자연수에 식물성 원료인 생쑥 발효액을 첨가하게 되는데 각 성분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기자는, 정력강장, 성인병 예방과 치료, 시력보호, 피부미용, 정신집중력 향상, 청혈작용 등 그 효능이 인정되어 한방의 필수약제 뿐만 아니라 현대 의학계의 드링크제 원료로 널리 쓰이고 있다.
또한, 그 뿌리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흡착하는 작용을 수행함으로 자연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예로부터 구기자 뿌리가 담구어진 물을 마시면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인진쑥은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소, 미네랄, 비타민, 칼슘, 카로틴등을 함유하고 있어, 장과 위, 수족을 따뜻하게 하고 튼튼하게 하는데 애용되었고, 시력을 보호해 주며 감기예방, 양질의 섬유소가 많이 함유되어 대변의 고통과 콜레스테롤 배출을 크게 도와주어 피부미용, 세포활성화, 체질개선 등 광범위하게 수많은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특성을 갖는 식물성 재료를 이용하여 피부에 유익한 세안용 또는 전신 맛사지용 세정수를 제조하는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이루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먼저, 오염되지 않은 맑고 깨끗한 산속에서 솟아나는 물로서 구기자나무 뿌리를 통과하면서 지표 50cm 미만의 미생물지대를 통과하여 흐르는 자연수(미네랄이 풍부한 지표수)를 모체로 한다. 이러한 토양정수법에 의해 철, 동, 수은 등의 불순물이 걸러진 자연수는 경도 25∼40의 상태를 이루게 되며, 수소이온농도(PH)는 음용수의 규격기준인 5.8∼8.5 범위를 만족해야 한다.
그리고, 원적외선의 방사효과 및 게르마늄이 함유되어있어 신진대사 촉진기능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광물로서 견운모, 석영, 옥 및 곱돌을 고르게 파쇄하여 미세분말 상태로 만들어서, 일정 비율로 상기 자연수에 약 5∼10중량% 로 혼합시킨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혼합 조성물에 생쑥 또는 생인진쑥 발효액을 0.05∼0.1중량% 첨가함으로서 완성된 세정수를 얻을 수 있게된다.
상기 생쑥 또는 생인진쑥 발효액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일정용량의 용기 바닥에 먼저 견운모를 깔아 발효과정에서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위에 흙설탕과 생쑥을 순차적으로 쌓으며, 이러한 순서로 해서 다수의 층을 형성한 발효용기를 땅속에서 6개월동안 보관하게 되면 옅은 흑초록계통의 색을 갖는 생쑥 발효액을 얻을 수 있게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서는 발효과정을 돕기 위하여 물을 미량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생인진쑥 발효액을 첨가하는 대신에 생인진쑥을 가마솥에 넣어서 중불로 2∼3시간 달여서 얻은 액을 2∼5중량%로 첨가시키거나, 또는 찬물에 생쑥을 장시간 저장하여 우러난 액을 첨가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액이 우러나고 남은 생쑥은 음지에서 다시 건조시킨 후 온열기 등에서 통증완화용 쑥찜질 재료로 사용되어지게 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와 같이 구기자 나무뿌리를 통과시키는 토양정수법에 의해 철, 동, 수은 등의 불순물이 걸러진 자연수을 얻고, 여기에 옥, 견운모, 곱돌, 또는 석영분말들을 약 10∼15중량% 로 혼합시킨다.
그리고, 생쑥을 절단하여 약 1∼2주간 상기 자연수에 침지시키면, 자연수에 혼합되어져 있는 광물입자에 의해 쑥이 부패되는것이 방지되는 가운데 미세한 쑥입자가 검출되어지는 생쑥액 세정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제조된 생쑥 발효액 또는 생쑥입자가 함유된 본 발명의 세정수는, 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액제화 되어 일반 화장품 용기에 담겨져 사용 되며, 이 외에도 스프레이식 또는 샤워코롱식 등으로 사용 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안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루 대략 3∼4회 정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사용횟수는 각 개인별 피부특성 및 날씨의 건조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해야하며, 상기 세정수를 전신에 바르고자 하는 경우에는 목욕후 온몸에 맛사지하듯 발라줌으로서 피부를 더욱 부드럽게 해줄 수 있게된다.
일예로, 건조성피부를 갖는 실험자를 대상으로 2∼3주 동안 지속적으로 본 발명의 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안을 하도록 한 결과, 은은한 쑥향이 일정시간 지속됨과 아울러 원적외선 방사에 따른 피부의 모공확장방지 및 노폐물 배출을 촉진시켜 얼굴을 더욱 윤기있고 부드럽게 해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목욕이나 샤워후 본 발명의 세정수를 사용하여 전신맛사지를 하게되면, 세정수에 함유되어있는 쑥성분이 피부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외에도, 세정수를 이용한 전신맛사지를 수행하게 되면 세정수에 함유된 쑥발효액의 효과로 인해 피부노화에 따른 악취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세포 활성화를 통해 검버섯이나 기미발생 등의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수를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용하게 되면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시켜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그 작용이 부작용 없이 진행됨으로 질병예방에도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됨을 알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세정수 제조방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은, 피부 노폐물의 배출을 촉진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함과 아울러 은은한 쑥향이 지속될 수 있는 세안 및 전신맛사지용 세정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세정수를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사용시 더욱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세안 또는 전신맛사지용의 세정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1) 자연수를 구기자나무 뿌리를 통과시키는 토양정수법에 의해 경도 25∼40, 수소이온농도 5.8∼8.5범위의 액제를 얻는 과정;
    (2) 상기에서 얻어진 액제에 생쑥성분이 함유된 액을 일정량 첨가하는 과정;
    (3) 상기 생쑥액이 첨가된 액제에 복수성분의 광물분체를 5∼10중량%로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쑥액은 0.05∼0.1중량%로 첨가되되,
    일정용량의 발효용기 바닥에 광물분체를 깔아 발효과정에서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광물분체 위에 흙설탕과 생쑥을 순차적으로 쌓는 단계;
    상기와 동일한 순서로 연속되는 다수의 층이 형성되어진 발효용기를 6개월 이상 땅속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진 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쑥 발효액을 얻기위하여 미량의 물이 발효용기내에 첨가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쑥액은 2∼5중량%로 첨가되되,
    생쑥을 가마솥에 넣어서 중불로 2∼3시간 달여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물분체는 견운모, 석영, 옥 및 곱돌을 분말상태로 고르게 파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KR1020000064962A 2000-11-02 2000-11-02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KR20010008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962A KR20010008007A (ko) 2000-11-02 2000-11-02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962A KR20010008007A (ko) 2000-11-02 2000-11-02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007A true KR20010008007A (ko) 2001-02-05

Family

ID=1969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962A KR20010008007A (ko) 2000-11-02 2000-11-02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800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566A (ko) * 2001-03-02 2002-09-10 조천호 피부개선제용 조성물
KR20020081639A (ko) * 2001-04-20 2002-10-30 신동근 피부미용 및 노화방지용 분말
KR20030087505A (ko) * 2002-05-10 2003-11-14 장성환 한방 땀띠 분의 조성 방법
KR20030091021A (ko) * 2002-05-24 2003-12-01 정종문 세라믹 및 자몽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조성물
KR100844373B1 (ko) * 2007-07-26 2008-07-08 박형희 강화 사자발약쑥 진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952687B1 (ko) * 2009-06-11 2010-04-13 김수정 황토를 이용한 지장수의 제조방법
KR101484887B1 (ko) * 2014-05-09 2015-01-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5B1 (ko) * 2014-05-09 2015-01-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6B1 (ko) * 2014-05-09 2015-01-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48A (ko) * 1993-03-22 1994-10-17 이운규 한약재를 이용한 미용 세안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48A (ko) * 1993-03-22 1994-10-17 이운규 한약재를 이용한 미용 세안포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566A (ko) * 2001-03-02 2002-09-10 조천호 피부개선제용 조성물
KR20020081639A (ko) * 2001-04-20 2002-10-30 신동근 피부미용 및 노화방지용 분말
KR20030087505A (ko) * 2002-05-10 2003-11-14 장성환 한방 땀띠 분의 조성 방법
KR20030091021A (ko) * 2002-05-24 2003-12-01 정종문 세라믹 및 자몽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조성물
KR100844373B1 (ko) * 2007-07-26 2008-07-08 박형희 강화 사자발약쑥 진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952687B1 (ko) * 2009-06-11 2010-04-13 김수정 황토를 이용한 지장수의 제조방법
KR101484887B1 (ko) * 2014-05-09 2015-01-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5B1 (ko) * 2014-05-09 2015-01-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6B1 (ko) * 2014-05-09 2015-01-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US20130344178A1 (en) Natural shampoo using herbal medicine mature decoction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hair loss and stimulating hair growth,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6473996B (zh) 一种控油焕肤祛痘修复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20120033377A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KR100787105B1 (ko) 미용마사지황토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308B1 (ko)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08007A (ko)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CN104825347A (zh) 一种医用生物美白袪斑敷料及其制备方法
CN105434279A (zh) 一种三七按摩膏及其制备方法
KR101223683B1 (ko) 동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
CN106333918A (zh) 凹凸棒晒后修护面霜
KR101554598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조성물
CN105342966A (zh) 含有日本医蛭的护肤保湿霜及其制备方法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33380B1 (ko)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5076B1 (ko)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1685895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9938A (ko) 제올라이트와 천연식물 추출물로 배합한 미용 피부건강 팩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0787A (ko)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및 그 제조방법
CN105943442A (zh) 元宝乌发油
KR100549547B1 (ko) 황토 미용팩 조성물
KR101027447B1 (ko) 전복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4056B1 (ko) 건강 개선을 위한 천연성의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기능성 샴푸제 및 화장제
CN106190660A (zh) 一种蜂胶皂及其制备方法
KR101949713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가 있는 한방비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