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888B1 -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888B1
KR101484888B1 KR20140055353A KR20140055353A KR101484888B1 KR 101484888 B1 KR101484888 B1 KR 101484888B1 KR 20140055353 A KR20140055353 A KR 20140055353A KR 20140055353 A KR20140055353 A KR 20140055353A KR 101484888 B1 KR101484888 B1 KR 10148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ed
fermentation
medicinal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832A (ko
Inventor
김형만
김호정
김진준
박선규
최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14005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8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4Ganoder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매실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oxidation activity}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를 설명하는 이런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체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유라디칼에 의해서 피부가 노화된다는 자유라디칼 이론이 가장 타당성이 있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유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서, 인체 내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 즉, 자외선, 방사선, 배기가스, 담배연기, 스트레스 등의 외부적 요인과 체내의 미토콘드리아 및 백혈구의 대사과정에 의해서 생성되어, 다단계의 연쇄반응을 통하여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키게 된다.
피부 노화와 관련있는 자유라디칼의 대부부은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 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단일상태의 산소(Singlet oxygen) 등이 있다. 이들에 의해 일어나는 지질의 과산화는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히드(aldehyde) 및 에폭사이드(epoxide)의 다양한 활성 산소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 구조에 손상을 입힌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들은 암, 조직 손상,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Black HS, Photochemphotobiol. 46(2):213(1987)). 예를 들어, 세포를 구성하는 막지질의 과산화는 세포막의 구조와 유동성 변화, 세포질 물질의 투과성 증가, 라이소좀 효소의 누출, 막효소와 운반 단백질의 불활성화, 지질과 단백질의 공유 가교결합 생성, 단백질 사슬 절단, DNA 손상, 돌연변이 등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이들 반응 중 피부 구성 세포막의 과산화와 진피 구성 단백질들의 변형이 피부 노화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기성 생물체들은 이러한 산화제의 생성과 지질 과산화를 막기 위한 보호 기구를 갖고 있다. 이러한 보호 기구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 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catalase) 등의 효소와 토코페롤(tocopherol, vitamin E), beta-카로틴(carote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vitamin C) 및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들이 포함된다.
한편, 지금까지 알려진 피부 항노화 물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여 개발되었다. 첫째, 피부에 수분 공급, 둘째, 항산화 효능, 셋째, 피부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 넷째, 피부를 구성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주름의 생성 및 탄력 손실을 가속화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와 엘라스타아제의 화성 억제, 다섯째, 콜라겐 및 엘라크틴 합성의 촉진 등이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유라디칼형 산소 또는 활성 산소종은 피부 노화와 관련성이 크기 때문에 종래에는 화장료에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비타민 E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달성하려는 노력이 많이 있었으나, 화장료에 상기 성분들을 배합하는 경우 안전성(safety), 안정성(stability) 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항산화제로 BHT(2,6-di-tertibutyl-4-methylphenol), BHA(2-tert0butyl-4-methoxyphenol), PG(3,4,5-ter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 등의 물질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식생활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에 대해 소비자들이 거부감을 일으키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종래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는 50 ㎎/㎏/day 이상 섭취시 암이 유발된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을 심품 등의 천연소재에서 찾고자 하는 연구가 왕성하게 수행되었지만 대부분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항산화능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위에서 기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활성 산소 제거능이 우수한 제품 및 원료 개발의 필요성이 계속하여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발효라고 한다. 발효와 부패는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우리의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 하고, 악취가 나거나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 한다. 따라서, 한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면 한약재의 독성이 감소되거나, 저분자화되어 소화가 용이하거나, 피부에 도포시 경피흡수 등이 용이하게 되어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다.
또한 한약재들은 그 자체로도 약리 작용을 나타낼 수 있지만 발효를 통해 약리효과가 더욱 강화되거나 미생물의 대사에 의해 해로운 성분들이 만들어져 발효전의 한약재에 없던 새로운 약리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효를 통해 각 약재의 약리효과를 더욱 강화시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더욱 향상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및 인삼동충하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에 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약재에 곰팡이(fungi)를 접종하고 고체발효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약재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와 그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약재 추출물은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및 인삼동충하초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약재 발효 추출물은 상기 약재 추출물을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에 접종 및 배양하여 수득되거나, 시판되는 약재 자체나 분쇄물에 곰팡이를 첨가하여 고체발효시켜 수득되는 2차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발효 한약재 개발을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인삼동충하초 등의 발효액이 각각의 추출물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및 인삼동충하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예로부터 감초를 백약의 독을 푸는 약재로 모든 처방에 거의 감초로 사용하였다. 감초는 약의 독을 푸는 만큼 처방약을 온화하게 하고 그만큼 약을 무디게 만드는 작용도 한다(본초강목). 감초의 리쿠라시드의 진경작용, 항염작용, 항궤양작용은 위십이지장 궤양 등을 치료할 수 있다.
상기 계피(Cinnamomum cassia)는 녹나무과의 사철푸른 교목이며 그 껍질을 말려서 사용한다. 예로부터 땀내기약, 열내림약, 진통약, 허한을 따뜻하게 보하는 약으로 사용해왔다. 계피는 오히려 땀을 멎게 한다고 하며, 열을 내리고 몸살 등의 통증을 풀어주는 효곽가 있다고 한다. 방향성건위약으로 쓰며, 계피유 제조 원료로 쓰이며, 식료품의 향료로도 쓰인다.
상기 교본(Angelica tenuissima)은 산형과의 다년생 식물로 높이 약 30∼80 ㎝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강하다. 돌반향, 승나물이라는 다른 이름이 있다. 고본에는 프로쿠마린과 정유가 들어있고, 그 주요성분은 3-부틸 프타라이드(3-butyl phthalide), 신디라이드(cndilide)이다. 근(根)에는 정유 1.5 %가 함유되어 있다. 발표산한, 거풍지통의 효능이 있다. 풍한두통, 두정통, 한습복통, 설사, 산하, 풍습통양, 두통목종, 골동(骨疼) 및 봄여름의 상한, 양증두통에 쓰인다.
상기 고삼(Sophora angustifolia)은 콩과의 높이 약 1 m에 이르는 다년생 초본이다. 잎 모양이 회화나무(괴화)와 비슷하여 지괴, 수괴, 야괴라는 별명이 있다. 가을에 뿌리를 캐어 씻어 말린다. 맛이 쓰지만 인삼과 같은 효과가 있다하여 고삼이라 한다. 한의에서 뿌리를 건위약, 이뇨약, 해열약, 진통약, 살충약으로 황달, 배뇨곤란, 옴, 습진, 마른버짐 등에 사용한다. 오래 복용하면 좋은 강장약이 된다고 한다. 여성의 성기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고 한다. 완화약, 가래약으로 기관지염, 폐결핵에 쓰고, 호흡흥분약으로 쓰는데 씨티진이 주요인으로 보인다. 악성종양을 치료할 때는 달여서 사용한다. 황달과 열성질병, 선병에도 쓰며, 두통, 류마티스, 축농증에도 사용한다. 뿌리로 만든 고약은 트리코모나스질염, 습진, 신경성피부염에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뿌리와 줄기, 잎을 가루내거나 달여서 피부살충약 또는 농작물의 살충약으로 사용한다.
상기 구기자(Lycium chinese)는 가지과의 길이 4 m에 이르는 덩굴성 관목이다. 이 식물의 열매는 구기자이고, 그 뿌리는 지골피라고 한다. 줄기껍질을 구가라한다. 간기능 개선 및 동맥경화 예방약으로 쓸 수 있다. 눈이 좋아진다는 것은 간기능이 좋아지므로 눈이 밝아진다는 것이다. 오래 먹으면 뼈를 튼튼하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흰머리를 검게하고 눈을 밝게 하며 추위와 더위도 타지 않고 오래산다는 말이 있다. 구기자와 산수유를 적량 섞어서 쓰면 양사를 일으키는 작용이 매우 강하므로 젊은 총각이 먹으면 곤란할 수 있다고 한다. 지골피는 강장제로 쓰이며, 지골피 술을 담그기도 한다. 잎과 가지치기를 할 때 나오는 잎가지를 모아 디오스게닌을 추출하면 부채마로 만든 동맥경화증 치료제보다 더 뚜렷한 효과가 있다.
상기 녹두(Phaseolus radiatus)는 콩과의 한해살이 초본으로 높이 30∼60 ㎝이다. 잎은 4 개의 난형인쪽잎이 모여서 된 겹잎이다. 이뇨약, 해열약, 해독약으로 단독, 아강, 주독, 곽란 등에 사용한다.
상기 대추(Zizyphus jujube)는 싹이 난다고 하여 일본에서는 하아(夏芽)라고 한다. 열매추출액은 이뇨작용이 있으며 고혈압 환자에게 혈압강하 효과가 있다. 무기염류들은 빈혈을 치료하나느데 도움을 준다. 대추는 항 알레르리 성분이 있어서 기관지 천식을 비롯한 내분비질병, 정신병 등에 좋다. 예로부터 감초와 함께 대추는 해독약, 완화약으로 사용해왔고, 신경안정제로 불명증을 치료하고, 건우, 해독제로 사용되었다. 강장약, 기침, 곪긴데, 온몸이 아플 때, 과민성자반증 등에도 효력이 있다.
상기 독활(Aralia continentalis)은 오갈피나무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멧두릅의 뿌리이다. 10 세기 이전에는 독활의 병명을 강활이라 하였고, 강활과 독활의 기원식물이 혼동되어 사실상 같은 약재를 썼던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10 세기 이후에는 강활과 독활을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독활은 강활보다 진통효과는 크지만 바람을 내보내는 효과는 못하여 강활과 독활을 함께 써서 효과를 보았다는 자료도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땃두릅의 뿌리를 독활로 쓰고 중국에서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바디나물속의 식물의 뿌리를 우미독활로 땃두릅의 뿌리를 구안독활로 쓰고 있다. 발한, 구풍, 진통약으로 관절염, 감기, 부기, 두통, 치통, 신경통, 류마티스, 피부가려움증 등에 사용한다. 척수신경근염(좌골신경통 등)에도 사용한다.
상기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는 육좌균과의 식물로 겨울철에 곤충(린시목에 속하는 Hepialus armoricanus Oberthur)의 유충 또는 누에에 침입하여 그 속에서 자라 균핵이 생기고, 여름철에 머리부분에서 곤봉보양의 자실체(길이 3∼4 ㎝)가 돋는다. 겨울에는 벌레만 보이지만 여름에는 풀모양의 자실체가 생기기 때문에 동충하초라고 한다. 죽은 유충과 거기에 붙은 자실체를 함께 말려 약으로 사용한다. 물추출물은 모르모트의 떼낸 기관지를 뚜렷이 확장하며, 아드레날린의 작용을 세게 한다. 투끼의 떼낸 심장, 자궁활평근을 억제한다. 마취한 개에게 정맥주사하면 혈압을 뚜렷히 낮추지만 근육과 배안에 주사하면 뚜렷하지 않다. 동의에서는 폐와 신을 돕고 피를 멈추며 가래를 삭힌다고 하여 강장, 진정, 진해약으로 사용한다. 병으로 몸이 약해진 때, 기침, 각혈, 폐결핵, 다한, 빈혈, 양위, 유정, 허리아픔 등에 사용한다.
상기 매실(Prunus mume)은 선열매를 따서 연기를 쏘여 검개 해 말린 것을 오매라 한다. 열매살에는 레몬산, 사과산, 포도주산, 호박산, 시토스테롤, 올레아놀산, 세틸알콜, 씨에는 아미그달린이 있다. 열매는 레몬산의 원료로 쓴다. 오매는 설사멎이, 열내림약, 기침약, 가래약, 배아픔, 구토, 설사 등에 쓴다.
상기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는 모란과의 관목으로 각지에서 꽃보기나 약초로 심는다. 진정 진경약으로 자율신경부조에 쓰이며, 해열, 진통, 항염제로 쓰이며, 월경불순, 허리아픔, 관절통 등에 사용한다. 목단피와 복숭아씨(도인)를 함께 쓰면 항염작용과 혈액순화개선 효과가 높아진다.
상기 목향(Inula Helenium)은 녹이 50∼150 ㎝에 이르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가래약, 건위약, 이뇨약, 발한약으로 기관지염, 폐결핵 등 여러 가지 호흡기 질병에 사용한다. 또한 구토, 설사, 복통, 위카타르, 위산부족과 감기에도 사용한다.
상기 반하(Pinellia ternate)는 천남성과의 15∼30 ㎝되는 다년생 초본의 구근이다. 반하는 초여름에 그 잎이 지기 때문에 반하라 한다. 예로부터 한의에서는 구토를 멈추는 약으로 사용하였다. 구토약, 진경약, 가래삭힘약으로써 위하수, 임신구토, 구토, 기침, 어지러움증, 두통, 급성위염, 인후통 등에 사용한다. 위산과다를 억제하기 위하여 반하와 진피를 함께 사용한다.
상기 방풍(Poria cocos)은 벌목한지 3∼4 년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자란 균핵이다. 흔히 땅속 25∼50 ㎝에 있다. 직경 약 30∼50 ㎝의 덩어리이고 속이 흰 것을 백복령, 속이 분홍빛을 띠는 것을 적복령이라 한다. 이뇨작용을 통한 부기를 제거하고, 피로를 회복하며, 위 등 체내에 물이 고인 것을 제거하는데 사용해 왔다. 위하수에 효과가 있으며 입맛을 좋게 한다. 근육경련과 어지럼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상기 복분자(Rubus chingii)는 나무딸기로 미감하다. 신정을 보호하며 여자의 잉태를 돕고 모발을 검게 하며 눈을 밝게도 한다. 주증해서 사용하며, 봉류(멍석딸기)도 효력이 있다(본초강목).
상기 세신(Asarum Sieboldii)은 쥐방울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발한해열약으로 풍한으로 오는 두통, 감기 등에 사용한다. 은단을 만드는데도 들어간다.
상기 승마(Cimicifuga dahurica)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이 식물의 약효는 상행하므로 승(升)이라 하고, 그 모양이 역삼과 비슷하게 생겨서 승마라 한다. 고혈압 초기의 치료제로 두통, 수면장애, 어지럼증, 심장통 등에 사용한다. 고혈압 3기에는 효과가 없다고 한다. 예부터 해열, 반한, 진통, 항염, 해독작용을 들어 감기약으로 사용해왔다. 편도선염, 구내염 등에도 사용한다. 동속의 식물인 C. racemosa의 뿌리를 유럽에서는 신경통, 류마치스의 진통진정약으로 사용한다.
상기 신이(Magnolia liliflora)는 꽃봉오리에 정유(시트랄, 오이게놀, 찌네올, 카비콜), 피넨, 카프론산 등이 있다. 신이는 두통, 코막힘, 축농증, 비염, 어지럼증, 감기 등에 쓰인다. 또한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기억력 증진에도 좋다.
상기 약쑥(Artemisia vularis)은 높이 0.8∼1 m 되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한의에서 수렴성 지혈약, 진통약으로 자궁출혈, 복통, 혈변이 있을 때 쓰며, 강장보혈약으로도 사용한다. 마른잎을 비벼서 겉면의 털을 모아 뜸뜨는데 사용한다. 뜸쑥은 6 월 초순에 채취한 것이 좋다. 약쑥은 월경이 고르지 못할 때, 유산시킬 때, 임신중독 때, 자궁섬유종에 사용한다. 신선한 잎은 벌레나 뱀에 물린데 짓찧어 붙이기도 한다.
상기 우슬(Achyranthes bidentata)은 줄기마다 소의 무릎 같다 해서 쇠부릎이라 한다. 근경을 캐어서 말린 것을 우슬이라 하고, 신경통이나 보약, 부인병에 쓴다.
상기 울금(Curcuma longa)은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줄기는 고깔 모양이거나 가지친 둥근 기둥 모양이고, 꺽은 면은 감색이다. 한의에선 방향성 건위약이나 통경약으로 쓰며, 코피, 토혈, 혈뇨 등에 사용한다. 쿠르쿠민과 정유를 분리하여 방향성 건위약, 이뇨약, 해열약, 소화제, 급만성 담낭염 치료약, 담도염약, 카타르성황달약, 담석증, 급성간염약에 사용한다.
상기 인삼(Panax gienseng)은 오갈피나무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인삼은 예로부터 보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적게는 2∼10 g, 많게는 15∼35 g을 한번에 달여서 먹기도 한다. 인삼을 구급약으로 쓸 경우에는 12∼35 g의 인삼을 물에 달여서 먹거나, 인삼주사(물 1 ㏄에 0.57 g의 인삼 포함) 2∼4 ㏄를 근육 또는 정맥에 주사하여 기진한 사람을 깨어나게 할 수 있다. 특히, 인삼과 부자를 잘 배합하여 허탈에 구급약으로 사용한다. 인삼을 심장 혈관계 질환에 사용하여 저혈압 또는 고혈압을 고치고, 심장영양장애, 심장동맥경화, 협심증에도 사용한다. 적은량은 혈압을 높이고 많은양은 혈압을 낮춘다. 인삼은 당뇨병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또 신경쇠약, 정신병 등에도 효과가 있다. 무기력증이나 위, 소화기 계통의 무력증에 효과가 있으며, 음위증 등 기력이 약해진 증세에 효과가 있다.
상기 참마의 근경은 산약(Dioscorea japonica)으로, 서여라고도 한다. 약으로도 좋지만 보조식품으로서도 아주 훌륭한 민초이다. 예로부터 병후회복, 전신쇠약, 비위허약, 피로회복 등의 보약제로 써왔고, 특히 병약자들과 노인들의 보약으로도 애용되어 왔다. 많은 영양 성분을 함유한 자양강장제이다. 민간에서는 야뇨증, 유정, 식은땀에 사용한다.
상기 전초(Rubia akane)는 눈을 밝게 하고 사기와 충독을 없애며, 냉온이 심하지 않게 한다. 열매껍질에 정유(주성분 디펜텐-디엘-리모넨, 시트로렐랄 등), 배운맛 성분인 산솔 화합물, 히페린, 불포화지방산아미드 등이 있고, 열매에는 경련독인 크산톡신, 마비성분인 크산톡신산, 캄파스테롤 등이 있다. 열매의 매운 맛은 국소마비작용이 있다. 산솔은 구충작용이 있고, 여러 가지 병원성 세균에 대한 억균작용이 있다. 소염, 항균, 진통 작용을 들어 위장염, 위확장 등에 쓸 수 있다. 또한 목욕료로써 신경통이나 류마티스에 사용한다.
상기 천화분(Trichosantes Kirilowii)은 하늘타리는 박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뿌리를 천화분, 과루근이라 하며, 가을에 캐서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린다. 뿌리가루는 눈처럼 희기 때문에 천화분이라고 한다. 동의에서는 주로 천화분을 청열지갈작용과 음이 허하고 진액이 부족할 때 사용한다. 항염작용을 이용하여 황달에 다려먹기도 한다. 뿌리에는 생진, 지갈, 강화, 윤조, 배농, 소종의 효능이 있다 하여 열병으로 인한 구갈, 소갈-당뇨병, 황달, 폐조해혈, 옹종, 치루를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열매는 소염, 진해, 거담약으로 추위로 인한 폐병, 기침과 변비, 천식, 협심증에 사용한다. 동의에서는 윤폐, 윤장, 화담, 산결의 효능이 있다 하여 담열해수, 흉비, 결흉, 폐위해혈, 소갈, 황달, 변비, 초기의 옹종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열매껍질은 윤폐, 화담, 이기, 관흉의 효능이 있다하여 담열해수, 인통, 흉통, 토혈, 비출혈, 당뇨병, 변비, 옹창종독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씨는 윤폐, 윤장, 화담의 효능이 있다하여 담열해수, 조결변비, 옹종, 유소를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상기 치자(Gardenia jasminoides)는 꼭두서니과의 상록관목의 열매이다. 치자는 식료품이나 옷감의 물감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소염, 진정, 이뇨, 해혈, 지혈약으로 염증, 출혈, 심근염, 토혈, 각혈, 황달에 쓰인다. 민간에서는 열매가루와 황백가루를 밀가루와 식초로 개어서 타박상, 찢긴 상처에 바른다.
상기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는 넝쿨 뻗는 박주가리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한의에서는 오래전부터 보약으로써 병후쇠약, 신경쇠약, 학질 등에 사용했다. 특히, 남성의 성기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상기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약 1 m에 이른다. 뿌리가 노란색이어서 황금이라 한다. 총 프라보노이드를 분리하여 급성 및 만성 간염, 담낭염에 쓰인다. 뿌리의 알콜 추출액은 혈압강하제, 진정제로 고혈압, 심장혈관신경증, 신경계통의 기능장애, 수면장애와 심계항진에 쓰인다. 예로부터 염증약, 해열약으로 폐와 대장 등의 화를 제거하는데 쓰인다.
상기 인삼동충하초는 인삼에 동충하초를 접목시킨 것으로 인삼의 효능과 동충하초의 효능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상기 약재들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재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증류수,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건조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약재로 시판되는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또는 인삼동충하초를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환류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50∼100 ℃로 1∼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약재들의 추출물을 추출한다. 그 다음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 회 이상씩 더 추출한 후, 추출액들을 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나 분무건조하여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약재 추출물들은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에 첨가, 배양하여 최종 약재 발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재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의 기본 배지에 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재 발효 추출물은 시판되는 약재 자체 또는 절편, 분말화하여 곰팡이(fungi)를 접종하고 고체발효하여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Saccharomyces boulardi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confus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brevi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피더스균은 Bifidobacterium breve,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infanti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곰팡이는 차가버섯(Inonnotus-obliquus), 동충하초균류(Cordyceps sinensis, Paecilomyces japonica),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등의 약용 버섯류의 곰팡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미생물로 효모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및 인삼동충하초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YM 배지)에 효모를 접종한 후,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30∼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효모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로 유산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및 인삼동충하초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MRS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24∼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로 비피더스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및 인삼동충하초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BL 배지)에 비피더스균을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혐기배양 조건을 유지하면서 24∼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비피더스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로 곰팡이(fungi)를 사용할 경우에는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및 인삼동충하초 자체 또는 절편, 분말화한 분쇄물 각각에 곰팡이를 1∼10 중량%로 접종하고, 18∼25 ℃, 습도 60∼70 %에서 60 일간 고체발효시켜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한약 발효 추출액들은 DPPH를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능 측정을 실시하였을 때, 일반적인 약재 추출물들과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약재 발효 추출액들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한 후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어떤 부작용의 발생 없이 피부에 안전하며, 피부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약재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거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외용연고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바셀린 50∼97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감초, 계피, 고본, 고삼, 구기자, 녹두, 대추, 독활, 동충하초, 매실, 목단피, 목향, 반하, 방풍, 백복령, 복분자, 세신, 승마, 신이, 약쑥, 우슬, 울금, 인삼, 참마, 천초, 천화분, 치자, 하수오, 황금 및 인삼동충하초를 구입하여 분쇄한 각각의 분쇄물 100 g을 정제수나 80 % 메탄올 3 L에 각각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추출기에서 3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100 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 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각각의 건조 중량을 얻었다. 하기 표 1은 추출용매에 따른 약재 100 g 당 추출물의 건조중량을 나타낸 것이다.
약재 80% 메탄올 정제수
감초 8.3 g 7.9 g
계피 7.9 g 7.6 g
고본 8.5 g 8.1 g
고삼 8.5 g 8.2 g
구기자 9.7 g 9.1 g
녹두 6.8 g 6.5 g
대추 10.2 g 9.3 g
독활 8.8 g 8.1 g
동충하초 6.6 g 6.1 g
매실 6.5 g 6.0 g
목단피 9.1 g 8.5 g
목향 9.5 g 9.2 g
반하 11.2 g 9.8 g
방풍 7.4 g 6.7 g
백복령 8.5 g 7.8 g
복분자 10.7 g 10.1 g
세신 6.5 g 5.9 g
승마 7.5 g 6.8 g
신이 6.3 g 6.0 g
약쑥 8.1 g 7.5 g
우슬 6.2 g 5.5 g
울금 9.1 g 8.2 g
인삼 6.4 g 6.0 g
참마 10.8 g 10.2. g
천초 7.2 g 6.7 g
천화분 7.3 g 6.8 g
치자 5.9 g 5.0 g
하수오 8.6 g 8.1 g
황금 6.8 g 6.1 g
인삼동충하초 6.5 g 6.1 g
실시예 2∼31
80 %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기본배지인 YM 배지에 5 중량%로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약 105∼107 cells/mL의 농도로 5 중량%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효모 기본 배지(YM 배지)에 접종한 후,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그 뒤, 각각의 발효액 100 g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효모균체를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효모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효모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약재 발효액 건조중량 (g) 약재 발효액 건조중량 (g)
실시예 2(감초) 5.71 실시예 17(복분자) 5.98
실시예 3(계피) 6.13 실시예 18(세신) 5.89
실시예 4(고본) 6.11 실시예 19(승마) 5.83
실시예 5(고삼) 5.96 실시예 20(신이) 6.06
실시예 6(구기자) 6.05 실시예 21(약쑥) 6.12
실시예 7(녹두) 5.89 실시예 22(우슬) 5.87
실시예 8(대추) 6.11 실시예 23(울금) 5.89
실시예 9(독활) 5.87 실시예 24(인삼) 6.15
실시예 10(동충하초) 6.16 실시예 25(참마) 6.07
실시예 11(매실) 6.02 실시예 26(천초) 5.88
실시예 12(목단피) 6.18 실시예 27(천화분) 6.22
실시예 13(목향) 6.18 실시예 28(치자) 5.91
실시예 14(반하) 6.12 실시예 29(하수오) 6.11
실시예 15(방풍) 5.87 실시예 30(황금) 6.12
실시예 16(백복령) 6.10 실시예 31(인삼동충하초) 6.25
실시예 32∼61
80 %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유산균인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대한 기본배지인 MRS 배지에 5 중량%로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약 105∼107 cells/mL의 농도로 5 중량%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유산균 기본 배지(MRS 배지)에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그 뒤, 각각의 발효액 100 g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를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유산균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유산균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약재 발효액 건조중량 (g) 약재 발효액 건조중량 (g)
실시예 32(감초) 5.73 실시예 47(복분자) 6.13
실시예 33(계피) 6.10 실시예 48(세신) 5.97
실시예 34(고본) 6.02 실시예 49(승마) 6.12
실시예 35(고삼) 5.88 실시예 50(신이) 5.97
실시예 36(구기자) 6.28 실시예 51(약쑥) 6.02
실시예 37(녹두) 5.91 실시예 52(우슬) 5.94
실시예 38(대추) 6.05 실시예 53(울금) 6.18
실시예 39(독활) 6.19 실시예 54(인삼) 6.09
실시예 40(동충하초) 6.11 실시예 55(참마) 612
실시예 41(매실) 5.97 실시예 56(천초) 5.99
실시예 42(목단피) 6.13 실시예 57(천화분) 6.09
실시예 43(목향) 5.92 실시예 58(치자) 5.95
실시예 44(반하) 5.96 실시예 59(하수오) 6.01
실시예 45(방풍) 5.95 실시예 60(황금) 5.96
실시예 46(백복령) 5.99 실시예 61(인삼동충하초) 6.19
실시예 62∼91
80 %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비피더스균인 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한 기본배지인 BL 배지에 5 중량%로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Bifidobacterium longum를 약 105∼107 cells/mL의 농도로 5 중량%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유산균 기본 배지(BL 배지)에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혐기배양 조건을 유지하면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그 뒤, 각각의 발효액 100 g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비피더스균체를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비피더스균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비피더스균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약재 발효액 건조중량 (g) 약재 발효액 건조중량 (g)
실시예 62(감초) 5.83 실시예 77(복분자) 5.96
실시예 63(계피) 6.08 실시예 78(세신) 6.18
실시예 64(고본) 6.13 실시예 79(승마) 6.14
실시예 65(고삼) 6.01 실시예 80(신이) 6.12
실시예 66(구기자) 6.17 실시예 81(약쑥) 5.98
실시예 67(녹두) 6.12 실시예 82(우슬) 6.07
실시예 68(대추) 6.22 실시예 83(울금) 6.07
실시예 69(독활) 5.93 실시예 84(인삼) 6.15
실시예 70(동충하초) 6.13 실시예 85(참마) 6.10
실시예 71(매실) 6.09 실시예 86(천초) 6.11
실시예 72(목단피) 6.02 실시예 87(천화분) 6.26
실시예 73(목향) 6.02 실시예 88(치자) 6.11
실시예 74(반하) 6.21 실시예 89(하수오) 5.89
실시예 75(방풍) 6.11 실시예 90(황금) 6.15
실시예 76(백복령) 5.91 실시예 91(인삼동충하초) 6.21
실시예 92∼119
상기 표 1에서 사용된 약재를 절편하여 곰팡이(fungi)를 5 중량%로 첨가하여 고체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각각이 약재 200 g을 절편으로 하여 일정한 습도하에서 Paecilomyces japonica를 5 중량%로 각각 접종하고 18∼25 ℃, 습도 60∼70 %에서 60 일간 발효시키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 100 g씩을 80% 메탄올 3L에 각각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1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곰팡이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곰팡이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약재 발효액 건조중량 (g) 약재 발효액 건조중량 (g)
실시예 92(감초) 7.52 실시예 106(복분자) 9.37
실시예 93(계피) 7.15 실시예 107(세신) 5.75
실시예 94(고본) 7.83 실시예 108(승마) 6.71
실시예 95(고삼) 7.74 실시예 109(신이) 5.62
실시예 96(구기자) 8.79 실시예 110(약쑥) 7.12
실시예 97(녹두) 6.12 실시예 111(우슬) 5.43
실시예 98(대추) 8.86 실시예 112(울금) 8.05
실시예 99(독활) 7.91 실시예 113(인삼) 5.43
실시예 100(매실) 5.77 실시예 114(참마) 9.36
실시예 101(목단피) 8.08 실시예 115(천초) 6.15
실시예 102(목향) 8.51 실시예 116(천화분) 6.23
실시예 103(반하) 9.91 실시예 117(치자) 5.38
실시예 104(방풍) 6.62 실시예 118(하수오) 7.72
실시예 105(백복령) 7.11 실시예 119(황금) 6.07
실험예 1. 자유라디칼 소거율
각각의 약재 자체와 상기 실시예 2 내지 119의 약재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험 시료는 각각의 약재 자체와 상기 실시예 2 내지 119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는 시그마사(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400 ㎛ 농도의 표준 DPPH 용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각각의 약재 자체와 상기 실시예 2 내지 119의 약재 발효 추출물과 기준물질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에 각각 에탄올을 가하여 200 ㎍/㎖의 농도로 시료를 만들었다. 그 다음, 상기 시료와 표준 DPPH 용액을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37 ℃에서 30 분간 반응시키고 5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 대신 약재 발효 추출물을 대신하여 에탄올을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내지 10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4043627573-pat00001
시료
(최종농도는 모두 0.005 %, 단 대조군은 제외)
자유라디칼 소거율 (%)
대조군 (무첨가) 0
YM 배지 9.5
MRS 배지 10.3
BL 배지 11.1
아스코르빈산 42.7
감초 약재 자체 30.8
실시예 2의 효모 발효 추출물 57.5
실시예 32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4.2
실시예 62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7.9
실시예 92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5.1
계피 약재 자체 35.2
실시예 3의 효모 발효 추출물 60.1
실시예 33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7.9
실시예 63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7.1
실시예 93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51.4
시료 자유라디칼 소거율 (%)
고본 약재 자체 31.2
실시예 4의 효모 발효 추출물 45.2
실시예 34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42.9
실시예 64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0.2
실시예 94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3.2
고삼 약재 자체 33.8
실시예 5의 효모 발효 추출물 57.3
실시예 35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5.1
실시예 65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9.3
실시예 9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7.2
구기자 약재 자체 38.9
실시예 6의 효모 발효 추출물 62.1
실시예 36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30.8
실시예 66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5.5
실시예 96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51.9
녹두 약재 자체 35.7
실시예 7의 효모 발효 추출물 51.2
실시예 37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0.3
실시예 67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2.2
실시예 97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5.9
대추 약재 자체 31.5
실시예 8의 효모 발효 추출물 45.9
실시예 38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41.2
실시예 68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3.7
실시예 98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39.8
독활 약재 자체 33.9
실시예 9의 효모 발효 추출물 55.7
실시예 39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4.2
실시예 69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0.1
실시예 99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7.3
동충하초 약재 자체 38.9
실시예 10의 효모 발효 추출물 62.7
실시예 40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60.7
실시예 70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9.6
매실 약재 자체 36.1
실시예 11의 효모 발효 추출물 55.4
실시예 41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6.3
실시예 71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0.6
실시예 100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7.7
목단피 약재 자체 31.1
실시예 12의 효모 발효 추출물 42.1
실시예 42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40.6
실시예 72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39.5
실시예 101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1.1
시료 자유라디칼 소거율 (%)
목향 약재 자체 34.8
실시예 13의 효모 발효 추출물 59.5
실시예 43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5.4
실시예 73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9.6
실시예 102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8.1
반하 약재 자체 31.9
실시예 14의 효모 발효 추출물 55.3
실시예 44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7.3
실시예 74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1.1
실시예 103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52.7
방풍 약재 자체 33.4
실시예 15의 효모 발효 추출물 59.5
실시예 45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5.2
실시예 75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7.5
실시예 104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6.6
백복령 약재 자체 30.5
실시예 16의 효모 발효 추출물 50.2
실시예 46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49.2
실시예 76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1.9
실시예 10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7.3
복분자 약재 자체 36.9
실시예 17의 효모 발효 추출물 65.1
실시예 47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61.1
실시예 77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5.8
실시예 106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57.4
세신 약재 자체 35.5
실시예 18의 효모 발효 추출물 47.5
실시예 48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47.3
실시예 78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2.1
실시예 107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3.1
승마 약재 자체 32.1
실시예 19의 효모 발효 추출물 43.2
실시예 49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42.2
실시예 79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0.9
실시예 108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1.1
신이 약재 자체 33.8
실시예 20의 효모 발효 추출물 55.2
실시예 50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0.9
실시예 80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7.1
실시예 109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9.9
약쑥 약재 자체 38.9
실시예 21의 효모 발효 추출물 58.3
실시예 51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5.1
실시예 81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7.6
실시예 110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55.5
시료 자유라디칼 소거율 (%)
인삼 약재 자체 38.9
실시예 24의 효모 발효 추출물 70.2
실시예 54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67.5
실시예 84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72.1
실시예 113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65.5
우슬 약재 자체 31.2
실시예 22의 효모 발효 추출물 47.6
실시예 52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45.9
실시예 82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1.3
실시예 111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39.4
울금 약재 자체 33.8
실시예 23의 효모 발효 추출물 51.3
실시예 53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3.2
실시예 83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0.1
실시예 112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55.9
참마 약재 자체 35.4
실시예 25의 효모 발효 추출물 59.4
실시예 55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5.6
실시예 85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0.3
실시예 114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52.6
천초 약재 자체 31.2
실시예 26의 효모 발효 추출물 49.5
실시예 56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45.2
실시예 86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0.6
실시예 11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3.2
천화분 약재 자체 37.3
실시예 27의 효모 발효 추출물 60.4
실시예 57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7.3
실시예 87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5.1
실시예 116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56.7
치자 약재 자체 35.1
실시예 28의 효모 발효 추출물 51.1
실시예 58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45.3
실시예 88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7.6
실시예 117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7.1
하수오 약재 자체 36.6
실시예 29의 효모 발효 추출물 55.2
실시예 59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53.8
실시예 89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48.6
실시예 118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45.3
황금 약재 자체 37.8
실시예 30의 효모 발효 추출물 61.2
실시예 60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60.3
실시예 90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57.8
실시예 119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59.5
시료 자유라디칼 소거율 (%)
인삼동충하초 약재 자체 38.5
실시예 31의 효모 발효 추출물 68.2
실시예 61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72.4
실시예 91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68.9
상기 표 6 내지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119에 따라 수득한 각 약재 발효 추출물들은 각각의 약재 자체나 기본배지 또는 기존에 알려진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빈산과 비교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모두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0 및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92의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1의 처방으로 피부 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20 비교예 1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 10 -
디에틸 세바케이트 8 8
경납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적량
바셀린 To 100 To 100
실시예 121 및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92의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2의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21 비교예 2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 1.0 -
스테아린산 15.0 15.0
세탄올 1.0 1.0
수산화칼륨 0.7 0.7
글리세린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122 및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92의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3의 처방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22 비교예 3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 0.2 -
에탄올 10.0 10.0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글리세린 5.0 5.0
1,3-부틸렌글리콜 6.0 6.0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123 및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92의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4의 처방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23 비교예 4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 0.1 -
와셀린 2.0 2.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적량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5.0 5.0
에탄올 3.2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18.0
수산화칼륨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124 및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92의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5의 처방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24 비교예 5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 0.5 -
글리세린 5.0 5.0
프로필렌글리콜 4.0 4.0
폴리비닐알코올 15.0 15.0
에탄올 8.0 8.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125 및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92의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6의 처방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25 비교예 6
감초 곰팡이 발효 추출물 5.0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하이루론산나트륨수용액 (1%) 5.0 5.0
에탄올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0.1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험예 2. 항노화 효과
감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노화 효과를 다음과 같이 검증하였다.
각 실험군 당 생후 15 내지 20 주령의 무모 생쥐(Hairless mouse) 20 마리씩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모 생쥐의 등 부위에 자외선 조사기(UV simulator, US)를 이용하여 2mJ/㎠의 조사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주당 2 회의 빈도로 4 주 동안 실시함으로써 생쥐의 피부에 광노화를 유발시켰다. 그 후, 실시예 120 내지 125의 감초 발효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의 화장료를 무모 생쥐 등 부위의 한쪽면에 1 일 2 회, 2 주간 적당량 도포해 주고, 다른 한쪽 면에는 비교를 위해 감초 발효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를 도포해주었다. 이때, 실시예 124 및 비교예 5의 팩은 도포한 후 15 분 후 떼어내었다. 2 주 후에 노화 완화 효과를 육안으로 상대비교하여 관찰한 후, 뚜렷한 효과, 효과있음, 차이없음의 3 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7에 나타내었다.
구분 뚜렷한 효과 (명) 효과있음 (명) 차이없음 (명)
실시예 120 6 8 6
실시예 121 3 9 8
실시예 122 3 10 7
실시예 123 4 7 9
실시예 124 3 8 9
실시예 125 2 9 9
상기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0 내지 125에 따라 제조한 감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는 피시험자 20 명 중에서 최소 10 명 이상에 대하여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많은 양의 감초 발효 추출물이 적용된 실시예 120과 감초 발효 추출물이 적용되지 않은 비교예 1의 비교실험에서는 70 %가 항노화 효과를 보이고, 피부내에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감초 발효 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항산화 기능의 항노화 화장료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매실의 효모, 유산균, 비피더스균 또는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추출물은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Saccharomyces boulardii,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confus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brevis, Bifidobacterium breve,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infanti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균의 배양시 매실을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추출물은 매실에 차가버섯(Inonnotus-obliquus), 동충하초균류(Cordyceps sinensis, Paecilomyces japonica),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및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곰팡이(fungi)를 접종하고 고체발효하여 수득되는 발효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5353A 2014-05-09 2014-05-09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5353A KR101484888B1 (ko) 2014-05-09 2014-05-09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5353A KR101484888B1 (ko) 2014-05-09 2014-05-09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922A Division KR20080094459A (ko) 2007-04-20 2007-04-20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832A KR20140068832A (ko) 2014-06-09
KR101484888B1 true KR101484888B1 (ko) 2015-01-22

Family

ID=5112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5353A KR101484888B1 (ko) 2014-05-09 2014-05-09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774B1 (ko) * 2018-12-14 2020-07-0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옷솔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079A (ja) * 1995-03-03 1996-09-17 Sanki Shoji Kk プルーン葉茶とその飲料及び抽出液乾固物
JPH11235192A (ja) * 1998-02-24 1999-08-31 Kyowa Hakko Kogyo Co Ltd テトラヒドロクルクミン類の製造方法
JP2003306442A (ja) * 2002-04-17 2003-10-28 Ishikawa Tennen Yakko Busshitsu Kenkyu Center 抗酸化能と免疫賦活能とを有する製剤と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079A (ja) * 1995-03-03 1996-09-17 Sanki Shoji Kk プルーン葉茶とその飲料及び抽出液乾固物
JPH11235192A (ja) * 1998-02-24 1999-08-31 Kyowa Hakko Kogyo Co Ltd テトラヒドロクルクミン類の製造方法
JP2003306442A (ja) * 2002-04-17 2003-10-28 Ishikawa Tennen Yakko Busshitsu Kenkyu Center 抗酸化能と免疫賦活能とを有する製剤と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832A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61B1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5224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52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357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7939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7960B1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62B1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5012A (ko)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66694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2568B1 (ko) 미생물에 의한 생약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1019239A2 (ko)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080094455A (ko)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6725B1 (ko)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44B1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175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1754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1752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614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8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5606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77359B1 (ko) 선옥균을 이용한 두피 및 머리카락관리용 조성물
KR101456056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