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044B1 -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044B1
KR101456044B1 KR1020130148276A KR20130148276A KR101456044B1 KR 101456044 B1 KR101456044 B1 KR 101456044B1 KR 1020130148276 A KR1020130148276 A KR 1020130148276A KR 20130148276 A KR20130148276 A KR 20130148276A KR 101456044 B1 KR101456044 B1 KR 10145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actobacillus
fermented
medicina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223A (ko
Inventor
김형만
김호정
박선규
김진준
최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14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0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어성초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인 항염효과가 뛰어나면서 피부에 안전하다.

Description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f kin trouble}
본 발명은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인 항염효과가 뛰어나면서 피부에 안전한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그 조성으로는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 형성을 위해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로는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뿐 아니라, 그 밖의 효능 및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 각종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bach. H. I., Contact Dermatitis, 6. 369-404, 1980).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및 땀, 화장품 성분 중의 지방산, 고급 알코올, 단백질 성분 등이 피부상에 존재하는 피부 상재균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염증 반응은 붉어짐(feeling of redness), 따끔거림(pricking feeling), 화끈거림(burning hotness), 팽윤(swelling), 조직의 변화와 같은 5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염증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형핵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며, 이처럼 증가된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 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조건 하에서는 염증 초기 상태가 지난 후 정상 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만성 염증이 일어나게 되어 더욱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염증에 관계되어진 피부 트러블의 형태인 아토피와 여드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토피는 심한 가려움증이 가증 특징적인데 피부에 자극을 하면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고, 자꾸 더 긁다보면 상처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세균감염(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이 일어나게 되어 염증이 일어나게 된다. 아토피의 문제 중에 중요한 인자의 하나는 이때 일어나는 2차 감염 및 초항원 독소이다. 아토피 환자의 80∼90 %는 피부에 황색포도상구균(Staphilococcus Aureus)과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의 감염이 있는데, 이때 Anit-Staphilococcus IgE가 만들어지며, 이에 의해 T-cell 반응을 자극하는 초항원 독소에 의해 유발되고 악화시키기도 한다. 황색포도상구균의 초항원 독소는 랑게르한스 세포내 항원제시세포를 통하여 T 임파구를 선택적으로 자극하여 인터루킨-1과 TNF-alpha를 생산하게 하고, 이들에 의해 자극된 T-cell에서 여러 가지 세포내 사이토카인이라는 독소를 분비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즉, 초항원 독소는 인터루킨-4와 인터루킨-5의 분비를 촉진하여 IFN-r의 분비는 저해하고, CLA의 수를 증가시켜 결국 IgE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두 번째로는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된 환자들이 포도상구균 독소에 대한 IgE 항체에 의하여 호염구에서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을 분비하게 하고, 이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이 악화된다.
따라서, 피부건조를 막기 위해 보습제의 사용이 자주 권장되는 것이고, 2차 감염 및 이로 인한 초항원 인자의 조절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즉, 아토피는 유전적 결함을 기본적인 병인으로 보지만, 여러 가지 외부적인 후천적 요소들에 의해 유발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아토피의 유발 악화인자로는 유전적 요인, 민감하고 건조한 피부, 대사적 요인, IgE의 과도한 생성, 자율신경계의 조절이상, 심리적인 요인, 자극적인 요인 등이 있다.
이렇듯 아토피는 결코 그 기전이 단순하지 않은 질환이다. 면역학적 관점에서도 하나의 면역학적 문제가 아닌 다양한 패턴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 예로, IgE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는 감마인터페론의 문제도 그 생성이 평균치보다 떨어져서 생기기도 하지만, 반대작용을 하는 인터루킨-4보다 작어서 생기기도 하고, 생성과정이 문제가 있어서 불완전한 인터페론의 생성으로 생기기도 하고,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정상이라 하더라도 인터페론의 자극에 민감도가 떨어져 생기는 경우도 발생한다.
한편, 여드름은 증상에 따라 크게 염증성 여드름 병변과 비염증성(면포성) 여드름 병변으로 나눌 수 있다.
염증성 여드름 병변은 면포에서부터 피지 물질이 빠져나와 주위 피부 조직에 염증 반응을 일으킨 것으로 염증으로 인해 붉은 색을 띄게 된다. 여드름 부의를 짜거나 누르거나 하게 되면 면포가 터져 염증성 여드름 병변으로 변하기 쉽고, 이 경우 여드름 흉터를 남길 위험이 커진다.
기본적으로 염증성 여드름 병변에는 구진(papule), 농포(pustule), 결절(nodule)의 세가지가 있다.
구진성 여드름(뻘건 여드름)은 다음과 같다. 의학용어로 작게 튀어나온 것을 구진이라고 하는데, 구진은 작고 딱딱한 붉은색의 병변으로 때때로 비염증성 여드름 병변과 여드름 병변의 중간 형태로 나타날 수 있고, 경미한 염증을 동반하므로 색조는 붉게 보이나 안에 농은 잡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래서 벌겋게 튀어나온 여드름을 구진성 여드름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앞서 말한 것처럼 염증이 생긴 여드름으로 염증의 정도에 따라 크기나 단단한 정도, 그리고 벌건 정도가 다르게 된다. 염증이 심할수록 더 크고 더 벌겋게 보이고 더 오래가는 경향이 있다. 염증이 덜 심한 것들은 아주 일부에서(약 7%) 그냥 사그러들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점차 더 염증이 심해지거나 고름집 여드름이 되기도 한다.
농포성 여드름(고름집 여드름)은 다음과 같다. 고름집(농포)이라고 하는 것은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후의 전장과 같다. 즉, 약간의 균, 죽은 조직과 함께 균을 없애는 백혈구들이 너무 많이 모여 있어 누런 고름으로 눈에 보이는 것이다. 농포는 구진과 비슷한 크기로 작고 둥그런 모양이지만, 안에 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구진과 다른 점이다. 농 안에는 박테리아 등의 세균이 있는 것이 아니며 피지 내에 있는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등의 성분에 의한 화학적 자극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난 결과이다. 고름집 여드름들 중 작고 주위에 덜 단단한 것들은 크고 주위가 단단한 것들보다 빠르게 없어진다.
그 다음, 결절성 여드름(덩어리 여드름)은 여드름의 가장 심한 형태로 크기가 크고 염증이 심하면서 다량의 농을 포함하고 있다. 결절은 면포 내의 내용물이 밖으로 빠져 나와 주변의 피부 조직에 면역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농을 형성하게 된다. 결절성 여드름은 상대적으로 피부 깊숙이 위치하며 통증을 동반할 수 있고, 다른 여드름 병변에 비해 치유 과정 중에 여드름 흉터를 남길 확률이 매우 높다.
이러한 다양한 염증 생성 과정의 핵심 물질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PLA2)라는 효소에 의해 세포막 지질로부터 전환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 아라키돈산은 다시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이하 'COX'로 약칭) 또는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s), 류코트리엔류(Leukotrienes)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Thomas, R.,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100, 1984).
최근,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 P(Substance P) 등의 신경 펩타이드나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Kinins) 등에 의해 또는 COX 경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이하 "PGE2'로 약칭)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과 통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항염제로서는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드키닌 길항제, COX 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제품에 포함시킬 때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발효라고 한다. 발효와 부패는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우리의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 하고, 악취가 나거나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 한다. 따라서, 한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면 한약재의 독성이 감소되거나, 저분자화되어 소화가 용이하거나, 피부에 도포시 경피흡수 등이 용이하게 되어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다.
또한 한약재들은 그 자체로도 약리 작용을 나타낼 수 있지만 발효를 통해 약리효과가 더욱 강화되거나 미생물의 대사에 의해 해로운 성분들이 만들어져 발효전의 한약재에 없던 새로운 약리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인 항염효과가 뛰어나면서 피부에 안전한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효를 통해 각 약재의 약리효과를 더욱 강화시켜 항염효과가 더욱 향상된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및 호이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트러블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에 약재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약재에 곰팡이(fungi)를 접종하고 고체발효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약재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발효를 통해 각 약재의 약리효과를 더욱 강화시켜 항염효과를 향사시켜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 및 그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약재 추출물은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및 호이초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약재 발효 추출물은 상기 약재 추출물을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에 접종 및 배양하여 수득되거나, 시판되는 약재 자체나 분쇄물에 곰팡이를 첨가하여 고체발효시켜 수득되는 2차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이 우수한 발효 한약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호이초 등의 발효액이 각각의 추출물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및 호이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약재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금은화(Lonicera japonica)는 꽃을 금은화, 줄기를 인동등이라 하며, 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고, 발열, dufehrguff, whdeher, 나력, 이하선염 등을 치료한다고 한다.
상기 사삼(Adenophora tetraphylla)은 초롱꽃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잔대 및 동속식물의 뿌리이며, 폐로 들어가 폐음을 보양하고 폐열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다. 뿌리의 추출물은 강장, 지혈작용, 해독작용이 있고, 폐경에 주로 작용하므로 폐를 맑게 하고 가래를 삭히고 갈증을 멈춘다. 또한 종기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중기(中氣)를 크게 보하고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여 위장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이 있어 비장과 위장의 허약부족을 다스리고 식욕부진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대변에 설사 기운이 있고 사지가 무력한 증상을 개선시키기도 한다.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 얼굴에 부종이 있는 증상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과로손상과 식은땀이 나고 갈증이 심한 증상에 응용하면 치료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높이 30∼50 ㎝의 다년생 풀로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축농증, 기관지염, 치루, 탈홍, 악창 등 갖가지 염증질환에 사용된다.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고 해독작용도 강력하며,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은 균모는 지름 1∼3 ㎝로 자루가 없고, 균모의 옆이나 등면의 일부로 기물에 부착하며 부채모양 또는 원형, 때로는 손바닥같이 갈라진다. 표면은 거친 털이 밀생하고 백-회색 또는 회갈색이다. 주름살은 백-회색이나 연한 연어살색 또는 자주색이며, 주변부는 세로로 갈라져 두 장씩 겹친 것처럼 보인다. 살은 가죽질이고 마르면 움치러들며, 물에 담그면 원상태로 된다. 치마버섯의 유래 다당체는 화상 및 상처에 치유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녹차(Camellia sinensis)는 차나무의 발효시키지 않은 어린 잎을 가열 및 수분 증발시켜 만들어지는 것이다. 고혈압, 당뇨 등의 성인병 예방에서 다이어트에 이르기까지 녹차의 효능은 일일이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상기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소나무비닐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서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는 버섯이다. 오래 전부터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위장기능 활성화에 많이 이용되었으며, 최근에 들어 일본의학계에 의해 상황버섯에는 양질의 다당체와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과 항암효과와, 또한 종양 저지율이 90 % 이상 달한다는 보고와 함께 특히 소화기암 "위암, 식도암, 십이장암, 결장암, 직장암, 간암"에 효과가 크다는 연구 발표가 있다.
상기 자소(Perilla frutescens)는 우리말로 차조기라고 부르며, 꽃풀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여러 지방에서 저절로 나서 자라기도 하고 밭에 심어 가꾸기도 한다. 줄기는 네모지고 잎이나 꽃 등이 들깨를 닮았다. 다만 줄기와 잎이 보랏빛이 나는 것이 들깨와 다르다. 자소는 감기에 잘 듣고, 오한으로 온몸이 쑤시고 콧물이 나오며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를 때 차조기 잎을 40∼50 g 달여 마시고 땀을 푹 내고 나면 개운해진다. 또한 기침, 가래, 인후염, 소화불량, 부스럼, 무좀, 불면증, 마비, 당뇨병, 요통 등의 여러 질병에 다양하게 쓰인다.
상기 저실자(Broussonetia papyrifera)는 뽕나무과에 속한 낙엽소목인 꾸지나무의 과실로서 간, 비, 신의 세 가지 장부에 음기를 보하는 작용이 있는 약재이다. 주로 신장을 더욱 튼튼하게 하고 간에 음기를 더하여 열을 내려 주며 눈을 밝게 해준다. 신장의 기운이 약하여 허리와 관절이 아픈 증상이나 간이 허약하여 눈이 침침하고 통증이 있는 증상에는 간을 보하여 증상을 치료하며, 두통과 현기증등에도 응용된다. 비장에 수분을 조절하는 기능을 강하시켜 수종을 치료하는데 양호한 효능을 나타낸다. 허하고 피로할 때 눈이 잘 보이지 않는데, 눈에 무언가가 씌인 듯하거나, 발기부전,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붓는데 등에 쓰인다.
상기 황련(Coptis chinensis)은 매자나무과의 산련풀(깽깽이풀)의 뿌리이다. 노란뿌리가 잇달아 있다하여 황련이라 한다. 요즈음은 미나리아재비과의 황련이 주로 소통되고 있는데, 주효성분 베르베린은 비슷한 것으로 알려진다. 소염제, 진정제로써 신경불안, 충혈 및 염증에 사용되며, 쓴맛 건위약으로 소화불량과 위염에도 사용된다. 또한 눈의 염증에는 황련을 달인물로 씻는다.
상기 갈근(Pueraria thunbergii)은 콩과의 다년생 넝쿨식물이다. 들이나 산에 자생하며 덩굴을 뻗으면서 자라는데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적갈색의 꽃을 피운다. 흔히 굵은 칡뿌리를 적당히 썰어 햇볕에 말린 것을 '갈근'이라 한다. 뿌리와 꽃은 발한해열약, 진경약으로 열병에 쓰이며, 갈증이 나고 머리가 아픈데, 감기로 머리와 목이 아플 때, 편도염, 급성중이염, 비염, 주사비 등에 쓰인다. 그리고 어혈을 풀고 상처가 아물게 하는데도 쓰인다. 잎은 고혈압으로 오는 두통과 이뇨약에 쓰인다. 시호 황금 석고와 배합하여 감기에 열나고 땀은 나지 않고 두통에 목이 당기는 증상을 치유한다.
상기 목련(Magnolia kobus)은 꽃봉오리를 따서 말린 것이다. 꽃봉오리에 정유(시트랄, 오이게놀, 찌네올, 카비콜,) 피넨, 카프론산 등이 있다. 두통, 코막힘, 축농증, 비염, 어지럼증, 감기 등에 쓰이며,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기억력증진에도 좋다.
상기 문형(Equisetum arvense)은 속새과의 식물로 논이나 밭둑 길가 어디서든 흔하게 발견되는 잡초이지만 약리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한약재 속새와 비슷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문형은 이뇨작용, 항염증작용, 지혈작용, 납중독에 납 제거작용이 있다. 또한 임상에서 심장 대상기능부전과 부종에 사용하여 뚜렷한 이뇨효과가 있고 부작용은 없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백화사설초(Hedyotis diffusa)는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일년생초본으로 키는 30 ㎝ 정도로 자라며 흰꽃이 핀다하여 백화, 대궁의 뱀의 혓바닥처럼 생긴 잎이 돋는다해서 사설초를 붙여 백화사설초라한다. 백화사설초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염증을 삭이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피를 잘 돌게 하고 통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상기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는 높이가 약 50∼100 ㎝가 되는 붓꽃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꽃이 둥글고 주황색 바탕에 검은 점으로 표범무늬가 있고, 잎의 모양이 부채같이 생겼다하여 범부채라 한다. 근경은 옆으로 뻗고 잎은 좌우로 서로 얼싸안아 어긋나오고, 양쪽으로 평편하게 부채살처럼 차례로 펼쳐난다. 한의에서는 소염약, 기침약으로 인후가 곪거나 아픈데, 편도선과 그 부위가 곪긴데 사용한다. 달여서 먹거나 뿌리줄기조각을 잎에 넣어 침으로 우려 삼키기도 한다. 산두근(새모래덩굴뿌리줄기)과 섞어서 가루롤 만들어 입안에 불어넣기도 한다. 민간에서는 뿌리줄기를 달여서 해열, 발한, 이뇨약으로, 요통, 류마치스, 위염, 치통, 자상, 탈구에 진통약으로, 독초에 중독되었거나 뱀에 물린데 독풀이 약으로 그리고 통경약으로, 진토제, 간질병약으로 사용한다.
상기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삼백초과의 높이가 15∼30 ㎝가 되는 다년생 초본이다. 하트모양의 잎이 호생하고 줄기 윗부분에 노란색의 작은꽃이 총생하다. 그 밑에 4 개의 흰꽃받침이 열십자모양으로 달린다. 소염약, 이뇨, 해독약으로써 임질과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염, 기관지염, 물고임, 무좀, 치루, 탈홍, 악창 등에 사용한다. 차처럼 달여서 매일 마시면 동맥경화증을 예방할 수 있다. 풍악과 축농증에도 달여서 먹는다.
상기 선복화(Inula Britannica)는 국화과의 다년생 풀로 높이가 30∼60 ㎝가 되며 여름에 노란 두상화가 핀다. 각지의 산기슭, 들판에서 자란다. 한의에서는 꽃을 오줌내기약, 기침가래약, 건위약으로 기침과 가슴이 답답하고 아픈데, 복수가 차는데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뿌리를 지혈약, 염증약으로 쓰며, 전초달인액을 치질에 쓰는데 효과가 좋다.
상기 앵두(Prunus tomentosa)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으로 높이가 약 3 m에 이른다. 잎은 타원형이고 톱니가 있다. 민간에서는 뿌리를 촌백충, 회충을 없애는 약으로 쓰며. 잎을 뱀독을 푸는 약으로도 사용한다.
상기 유근피(Ulmus davidiana)는 한자로는 느릅나무 유(楡) 또는 느릅나무 분(粉)으로 쓰며, 그 껍질을 유피(楡皮), 뿌리껍질을 유근피(楡根皮)라고 한다. 의학입문(醫學入門)에 따르면 독(毒)이 없고 수도(水道)를 통리(通利)하여 주고 종만(腫滿)을 소멸시켜 주고 대소변을 소통시켜 준다고 한다. 또한 위와 장의 사(邪)된 열기(熱氣)를 제거하여 주고 불면증을 다스리고 코고는 것을 치료하여 준다고 하여 옛부터 종창약으로 써왔다. 인산의학에서는 느릅나무보다 그 뿌리의 껍질에 종창을 다스리고 통증을 가라앉히는 약성이 있다고 보고, 이를 죽염과 함께 활용하여 염증으로 비롯된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데 이용하였다.
상기 적송(Pinus densiflora)은 춘양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고 해서 이름지어진 춘양목, 적송이라고도 한다. 질이 단단하고 낙엽송처럼 곧게 수직으로 성장한다.
상기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는 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높이가 약 60 ㎝이며, 가을에 뿌리를 캐서 뿌리를 다듬고 씻어 햇볕에 말린다. 한의에서 해열, 이뇨, 진정, 기침멎이, 지사, 항염증약으로써 호흡기질병(폐에 열이 있거나 땀을 많이 흘리고 입안이 마를 때), 폐결핵, 폐렴으로 인한 기침, 방광염으로 오줌이 적을 때, 소갈, 열이 있는 전염성질병 등에 사용한다.
상기 차전자(Plantago asiatica)는 높이가 약 50 ㎝에 이르는 질경이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6∼7 월에 잎사이에서 꽃대가 나오고 연한 풀색의 작은 꽃이 수상화서로 핀다. 길섶의 달구지 바퀴자국을 따라 많이 난다고 하여 차전초라고 한다. 그 씨를 차전자라 한다. 차전자는 열내림, 이뇨, 진해거담, 신경안정 등의 목적으로 처방에 넣는다. 차전자의 껍질을 변비약으로, 숙변제거제로 개발하여 비싼 값에 건강보조식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전자를 가루 내어 비슷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창이자(Xanthium sibiricum)는 높이 약 1∼1.5 m의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이다. 잎은 어긋나게 붙으며 줄기 끝에 수꽃이 붙고 그 아래 암꽃이 핀다. 각지의 들판, 길섶에 자생한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가시가 있다. 가을에 여문 열매를 따서 말린다. 열매는 항염작용, 배농작용, 사상균에 대한 억균작용이 있고, 강심효과가 있는 락톤 화합물이 있다. 뿌리는 이뇨작용, 물질대사촉진작용 등이 있으며, 뿌리의 알칼로이드 성분은 항암활성이 있다.
상기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는 높이 약 60∼80 ㎝의 꿀풀과 1 년생 초본이다. 한의에서 발한해열약, 진경약으로써 감기, 열나고 머리아플 때 쓰이며, 여러 가지 상처의 독이나 인후통, 눈충혈 등에 쓰인다.
상기 호이초(Saxifraga stolonifera)는 숲 속 물기 있는 바위 틈에 잘 자란다고 해서 바위취라 하고, 어린잎에 부드러운 털이 촘촘히 난 모습이 호랑이귀를 닮았대서 범의귀 또는 호이초(虎耳草)라고 하며, 활짝 핀 꽃이 한자의 큰 대자[大]를 닮았대서 대문자꽃이라고도 한다. 호이초(虎耳草)는 풍을 없애고 열을 내리며, 피를 맑게 하고 독을 풀어 주는 효능이 있다. 풍진과 습진, 중이염, 단독, 기침, 가래,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폐렴, 치질을 치료한다.
상기 약재들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재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증류수,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건조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또는 호이초를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환류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50∼100 ℃로 1∼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약재들의 추출물을 추출한다. 그 다음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 회 이상씩 더 추출한 후, 추출액들을 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나 분무건조하여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약재 추출물들은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에 첨가, 배양하여 최종 약재 발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재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의 기본 배지에 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재 발효 추출물은 시판되는 약재 자체 또는 절편, 분말화하여 곰팡이(fungi)를 접종하고 고체발효하여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Saccharomyces boulardi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confusus,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brevi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피더스균은 Bifidobacterium breve,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infanti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곰팡이는 차가버섯(Inonnotus-obliquus), 동충하초균류(Cordyceps sinensis, Paecilomyces japonica),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등의 약용 버섯류의 곰팡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생물로 효모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및 호이초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YM 배지)에 효모를 접종한 후,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30∼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효모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로 유산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및 호이초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MRS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24∼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로 비피더스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및 호이초의 1차 추출물이 각각 함유된 기본 배지(BL 배지)에 비피더스균을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혐기배양 조건을 유지하면서 24∼120 시간 동안 배양한다. 그 뒤,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비피더스균체를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로 곰팡이(fungi)를 사용할 경우에는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및 호이초 자체 또는 절편, 분말화한 분쇄물 각각에 곰팡이를 1∼10 중량%로 접종하고, 18∼25 ℃, 습도 60∼70 %에서 60 일간 고체발효시켜 각각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재 발효 추출액들은 PGE2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이용한 항염 효과 측정을 실시하였을 때 일반적인 약재 추출물들과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항염 효과의 피부 트러블 완화 기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약재 발효 추출액들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한 후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어떤 부작용의 발생 없이 피부에 안전하며, 매우 우수한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약재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의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거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외용연고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바셀린 50∼97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의 약재 발효 추출물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시판되는 금은화, 사삼, 어성초, 치마버섯, 녹차, 상황버섯, 자소, 저실자, 황련, 갈근, 목련, 문형, 백화사설초, 범부채, 삼백초, 선복화, 앵두, 유근피, 적송, 지모, 차전자, 창이자, 형개 및 호이초를 구입하여 분쇄한 각각의 분쇄물 100 g을 정제수나 80 % 메탄올 3 L에 각각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추출기에서 3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100 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 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각각의 건조 중량을 얻었다. 하 기 표 1은 추출용매에 따른 약재 100 g 당 추출물의 건조중량을 나타낸 것이다.
약재 80% 메탄올 정제수
금은화 7.6 g 6.9 g
사삼 8.0 g 7.2 g
어성초 6.7 g 6.1 g
치마버섯 8.6 g 7.8 g
녹차 6.1 g 5.3 g
상황버섯 9.1 g 8.2 g
자소 5.7 g 4.9 g
저질자 6.4 g 5.7 g
황련 7.3 g 6.5 g
갈근 6.8 g 6.0 g
목련 5.7 g 5.1 g
문형 6.1 g 5.3 g
백화사설초 7.5 g 6.7 g
범부채 5.9 g 5.2 g
삼백초 8.1 g 7.4 g
선복화 6.5 g 5.7 g
앵두 5.9 g 5.0 g
유근피 8.5 g 7.7 g
적송 6.7 g 5.9 g
지모 6.1 g 5.4 g
차전자 6.3 g 5.6 g
창이자 6.5 g 5.8 g
형개 7.2 g 6.5 g
호이초 3.2 g 2.4 g
실시예 2∼25
80 %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기본배지인 YM 배지에 5 중량%로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약 105∼107 cells/mL의 농도로 5 중량%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효모 기본 배지(YM 배지)에 접종한 후,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그 뒤, 각각의 발효액 100 g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효모균체를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효모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효모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약재 발효액의 건조중량 (g)
실시예 2(금은화) 6.10
실시예 3(사삼) 6.16
실시예 4(어성초) 6.20
실시예 5(치마버섯) 6.05
실시예 6(녹차) 5.89
실시예 7(상황버섯) 6.06
실시예 8(자소) 6.13
실시예 9(저질자) 6.06
실시예 10(황련) 6.08
실시예 11(갈근) 6.16
실시예 12(목련) 6.08
실시예 13(문형) 5.91
실시예 14(백화사설초) 6.14
실시예 15(범부채) 5.93
실시예 16(삼백초) 5.97
실시예 17(선복화) 6.09
실시예 18(앵두) 5.96
실시예 19(유근피) 6.12
실시예 20(적송) 6.05
실시예 21(지모) 5.99
실시예 22(차전자) 5.98
실시예 23(창이자) 6.02
실시예 24(형개) 5.99
실시예 25(호이초) 6.08
실시예 26∼49
80 %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유산균인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대한 기본배지인 MRS 배지에 5 중량%로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약 105∼107 cells/mL의 농도로 5 중량%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유산균 기본 배지(MRS 배지)에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그 뒤, 각각의 발효액 100 g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를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유산균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유산균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약재 발효액의 건조중량 (g)
실시예 26(금은화) 5.81
실시예 27(사삼) 6.11
실시예 28(어성초) 6.24
실시예 29(치마버섯) 6.11
실시예 30(녹차) 5.93
실시예 31(상황버섯) 6.12
실시예 32(자소) 6.19
실시예 33(저질자) 5.95
실시예 34(황련) 5.96
실시예 35(갈근) 5.93
실시예 36(목련) 6.13
실시예 37(문형) 5.86
실시예 38(백화사설초) 5.91
실시예 39(범부채) 5.95
실시예 40(삼백초) 5.93
실시예 41(선복화) 6.02
실시예 42(앵두) 6.11
실시예 43(유근피) 5.96
실시예 44(적송) 6.02
실시예 45(지모) 6.07
실시예 46(차전자) 6.03
실시예 47(창이자) 6.01
실시예 48(형개) 6.17
실시예 49(호이초) 6.13
실시예 50∼73
80 %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비피더스균인 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한 기본배지인 BL 배지에 5 중량%로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Bifidobacterium longum를 약 105∼107 cells/mL의 농도로 5 중량%의 각각의 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유산균 기본 배지(BL 배지)에 접종한 후, pH 6.5∼7.5, 온도 35∼38 ℃, 혐기배양 조건을 유지하면서 48 시간 배양하였다. 그 뒤, 각각의 발효액 100 g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비피더스균체를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비피더스균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비피더스균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약재 발효액의 건조중량 (g)
실시예 50(금은화) 6.17
실시예 51(사삼) 6.05
실시예 52(어성초) 6.08
실시예 53(치마버섯) 5.82
실시예 54(녹차) 5.99
실시예 55(상황버섯) 6.23
실시예 56(자소) 5.93
실시예 57(저질자) 6.14
실시예 58(황련) 6.17
실시예 59(갈근) 6.03
실시예 60(목련) 6.01
실시예 61(문형) 6.05
실시예 62(백화사설초) 6.13
실시예 63(범부채) 6.18
실시예 64(삼백초) 5.89
실시예 65(선복화) 6.12
실시예 66(앵두) 6.17
실시예 67(유근피) 5.89
실시예 68(적송) 5.94
실시예 69(지모) 6.11
실시예 70(차전자) 6.19
실시예 71(창이자) 5.98
실시예 72(형개) 6.16
실시예 73(호이초) 6.06
실시예 74∼97
상기 표 1에서 사용된 약재를 절편하여 곰팡이(fungi)를 5 중량%로 첨가하여 고체 발효시켰다.
구체적으로, 각각이 약재 200 g을 절편으로 하여 일정한 습도하에서 Paecilomyces japonica를 5 중량%로 각각 접종하고 18∼25 ℃, 습도 60∼70 %에서 60 일간 발효시키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 100 g씩을 80% 메탄올 3L에 각각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1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약재 곰팡이 발효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약재 곰팡이 발효 건조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약재 발효액의 건조중량 (g)
실시예 74(금은화) 6.92
실시예 75(사삼) 7.12
실시예 76(어성초) 6.31
실시예 77(치마버섯) 7.88
실시예 78(녹차) 5.57
실시예 79(상황버섯) 8.05
실시예 80(자소) 5.17
실시예 81(저질자) 5.83
실시예 82(황련) 6.52
실시예 83(갈근) 6.09
실시예 84(목련) 5.21
실시예 85(문형) 5.48
실시예 86(백화사설초) 6.56
실시예 87(범부채) 5.28
실시예 88(삼백초) 7.22
실시예 89(선복화) 5.76
실시예 90(앵두) 5.28
실시예 91(유근피) 7.63
실시예 92(적송) 6.05
실시예 93(지모) 5.42
실시예 94(차전자) 5.53
실시예 95(창이자) 5.76
실시예 96(형개) 6.43
실시예 97(호이초) 3.11
실험예 1.PGE2 생성 억제 효과
각각의 약재 자체와 상기 실시예 2 내지 97의 약재 발효 추출물의 항염 효과의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PEG2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는 COX-활성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Jeffrey, k. h., Anglea, S. W., Zoe, S., and Rhia C. M.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Prostaglandin E2: Effect of Antiinflammatory Drugs on Cyclooxygenase Activity and Prostanoid Expression, Analytical Biochemistry, 1999, 271, 18-28).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를 수차례 계대 배양한 후, 96-웰 프레이트에 1ㅧ105 개씩 넣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2 시간 배양하여, 각각의 약재 자체와 상기 실시예 2 내지 97의 약재 발효 추출물을 하기 표 6의 농도로 처리하고, 이때 인도메타신(indomethacin)도 비교균으로 함께 처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자극원으로 칼슘 이오노포머 A23187(Calcium Ionophore A23187)과 아라키돈산을 50 mM의 농도로 처리하여 37 ℃에서 5 분간 배양하였다.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lammonium bromide)를 최종 농도 0.25 %로 10 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용혈시키고, 상층액을 적당량 취하여 PGE2의 양을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함으로써 한약재 발효액의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내지 8에 나타내었다.
시료 PEG 증가 (pg/웰) 억제율 (%)
대조군 (음성대조군) - -
아라키돈산 (양성대조군) 219 -
인도메타신 (양성대조군) 14 93.6
YM 배지 195 11.0
MRS 배지 183 16.4
BL 배지 190 13.2
금은화 약재 자체 155 29.2
실시예 2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0 45.2
실시예 26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6 47.0
실시예 50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5 42.9
실시예 74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9 45.7
사삼 약재 자체 136 37.9
실시예 3의 효모 발효 추출물 105 52.1
실시예 27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02 53.4
실시예 51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10 49.8
실시예 7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95 56.6
어성초 약재 자체 139 36.5
실시예 4의 효모 발효 추출물 112 48.9
실시예 28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0 45.2
실시예 52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08 50.7
실시예 76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1 49.3
치마버섯 약재 자체 140 36.1
실시예 5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5 42.9
실시예 29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7 42.0
실시예 53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10 49.8
실시예 77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6 47.0
녹차 약재 자체 141 35.6
실시예 6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7 42.0
실시예 30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9 45.7
실시예 54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15 47.5
실시예 78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2 48.9
상황버섯 약재 자체 137 37.4
실시예 7의 효모 발효 추출물 102 53.4
실시예 31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99 54.8
실시예 55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04 52.5
실시예 79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07 51.1
자소 약재 자체 151 31.1
실시예 8의 효모 발효 추출물 130 40.6
실시예 32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2 44.3
실시예 56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1 44.7
실시예 80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8 46.1
저실자 약재 자체 142 35.2
실시예 9 효모 발효 추출물 127 42.0
실시예 33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2 48.9
실시예 57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1 44.7
실시예 81 곰팡이 발효 추출물 120 45.2
시료 PEG 증가 (pg/웰) 억제율 (%)
황련 약재 자체 145 33.8
실시예 10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7 42.0
실시예 34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7 46.6
실시예 58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0 45.2
실시예 82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1 49.3
갈근 약재 자체 140 36.1
실시예 11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2 44.3
실시예 35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5 47.5
실시예 59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09 50.2
실시예 83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7 46.6
목련 약재 자체 150 31.5
실시예 12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7 42.0
실시예 36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6 42.5
실시예 60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14 47.9
실시예 84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9 45.7
문형 약재 자체 153 30.1
실시예 13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7 42.0
실시예 37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4 47.9
실시예 61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34 38.8
실시예 8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26 42.5
백화사설초 약재 자체 139 36.5
실시예 14의 효모 발효 추출물 110 49.8
실시예 38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09 50.2
실시예 62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04 52.5
실시예 86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3 48.4
범부채 약재 자체 146 33.3
실시예 15의 효모 발효 추출물 116 47.0
실시예 39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2 44.3
실시예 63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4 43.4
실시예 87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6 47.0
삼백초 약재 자체 139 36.5
실시예 16의 효모 발효 추출물 115 47.5
실시예 40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3 48.4
실시예 64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6 42.5
실시예 88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1 49.3
선복화 약재 자체 143 34.7
실시예 17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5 42.9
실시예 41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7 42.0
실시예 65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17 46.6
실시예 89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21 44.7
앵두 약재 자체 147 32.9
실시예 18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3 43.8
실시예 42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0 49.8
실시예 66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19 45.7
실시예 90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22 44.3
시료 PEG 증가 (pg/웰) 억제율 (%)
유근피 약재 자체 135 38.4
실시예 19 효모 발효 추출물 104 52.5
실시예 43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09 50.2
실시예 67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97 55.7
실시예 91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03 53.0
적송 약재 자체 150 31.5
실시예 20의 효모 발효 추출물 114 47.9
실시예 44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0 45.2
실시예 68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2 44.3
실시예 92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25 42.9
지모 약재 자체 147 32.9
실시예 21의 효모 발효 추출물 120 45.2
실시예 45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9 41.1
실시예 69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14 47.9
실시예 93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7 46.6
차전자 약재 자체 147 32.9
실시예 22의 효모 발효 추출물 117 46.6
실시예 46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0 45.2
실시예 70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5 42.9
실시예 94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9 45.7
창이자 약재 자체 146 33.3
실시예 23의 효모 발효 추출물 118 46.1
실시예 47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9 45.7
실시예 71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6 42.5
실시예 95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20 45.2
형개 약재 자체 151 31.1
실시예 24의 효모 발효 추출물 117 46.6
실시예 48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20 45.2
실시예 72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22 44.3
실시예 96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25 42.9
호이초 약재 자체 141 35.6
실시예 25의 효모 발효 추출물 107 51.1
실시예 49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 112 48.9
실시예 73의 비피더스균 발효 추출물 117 46.6
실시예 97의 곰팡이 발효 추출물 113 48.4
상기 표 6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97에 따라 수득한 약재 발효 추출물은 각각의 약재 자체나 기본배지보다 높은 프로스타글란딘(PGE2) 억제율을 나타내어 COX-2 효소의 유도 작용 또는 활성 억제를 통한 항염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항염 및 항자극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이 뛰어나고 피부에 안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재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예들이다.
실시예 98 및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74의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9의 처방으로 피부 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74 비교예 1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 10 -
디에틸 세바케이트 8 8
경납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적량
바셀린 To 100 To 100
실시예 99 및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74의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0의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74 비교예 2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 1.0 -
스테아린산 15.0 15.0
세탄올 1.0 1.0
수산화칼륨 0.7 0.7
글리세린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100 및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74의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1의 처방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00 비교예 3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 0.2 -
에탄올 10.0 10.0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글리세린 5.0 5.0
1,3-부틸렌글리콜 6.0 6.0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101 및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74의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2의 처방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01 비교예 4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 0.1 -
와셀린 2.0 2.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적량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5.0 5.0
에탄올 3.2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18.0
수산화칼륨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102 및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74의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3의 처방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02 비교예 5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 0.5 -
글리세린 5.0 5.0
프로필렌글리콜 4.0 4.0
폴리비닐알코올 15.0 15.0
에탄올 8.0 8.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103 및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74의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4의 처방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03 비교예 6
금은화 곰팡이 발효 추출물 5.0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하이루론산나트륨수용액 (1%) 5.0 5.0
에탄올 5.0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0.1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험예 2. 항염 효과
상기 실시예 98에서 만들어진 화장료의 항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이용한 평가법(A. Crummey, G. P. Harper, E. A. Boyle and F. R. Mangan, Inhibitory of arachidonic acid-induced ear edema as a model for assessing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und. Agents and Actions, 1987, 20:69-76)을 이용하였다.
먼저, 마우스(Hairless mouse) 35 마리를 각 7 마리씩 나누고, 시료 적용 전 양쪽 귀를 에탄올로 깨끗이 세척한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기 실시예 46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0 %를 처리하는 비교군 및 아라키돈산만을 처리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여 마우스의 귀 두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98의 화장료를 처리하는 시료군과 비교예 1의 화장료, 인도메타신 1.0 %를 처리하는 비교군은 시료 20 ㎕를, 대조군에는 에탄올 20 ㎕를 1일 1회씩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였다. 마지막으로 도포하고 1 시간 경화 후, 좌측 귀에는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을 2 ㎎/ear씩 도포하고, 도포 1 시간 후 귀의 부종(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에 대하여 3 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처리군의 좌측 귀는 시료 자체에 의한 염증 유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만을 처리한 대조군을 기준으로 부종 억제 정도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측정하였다.
[수학식 1]
억제율 (%) =
Figure 112013109891736-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대조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아라키돈산 처리 구의 두께-아라키돈산 비처리 귀의 두께)이고, B는 시료 도포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시로 처리 귀의 두께-시료 비처리 귀의 두께)이다.
구분 농도 (%) 귀두께 (㎛) 억제율 (%)
시료처리전 시료처리후
시료균 실시예 98 - 355 541 22.5
비교군1 비교예 1 - 350 559 12.9
비교군2 인도메타신 1.0 357 497 41.7
대조군 아라키돈산 2 ㎎/ear 333 573 -
상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98의 화장료는 25.8 %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수치는 의약품 성분으로서 항염 효과가 매우 우수한 물질인 인도메타신보다 낮은 항염 효과지만, 화장료로서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어성초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추출물은 Saccharomyces cerevisiae(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일립소이드), Saccharomyces boulardii(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 Lactobacillus acidophilus(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Lactobacillus casei(락토바실러스 카제이), Lactobacillus bulgaricus(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Lactobacillus rhamnosus(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plantarum(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reuteri(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actobacillus confusus(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 Lactobacillus fermentum(락토바실러스 퍼멘툼), Lactobacillus brevis(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ifidobacterium breve(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ifidum(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Bifidobacterium longum(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및 Bifidobacterium infantis(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균의 배양시 어성초를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추출물은 어성초에 차가버섯(Inonnotus-obliquus), 동충하초균류(Cordyceps sinensis, Paecilomyces japonica),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및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곰팡이(fungi)를 접종하고 고체발효하여 수득되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48276A 2013-12-02 2013-12-02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76A KR101456044B1 (ko) 2013-12-02 2013-12-02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76A KR101456044B1 (ko) 2013-12-02 2013-12-02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229A Division KR101456061B1 (ko) 2007-07-02 2007-07-02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223A KR20130135223A (ko) 2013-12-10
KR101456044B1 true KR101456044B1 (ko) 2014-11-04

Family

ID=4998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276A KR101456044B1 (ko) 2013-12-02 2013-12-02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0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868A (ko) 2017-02-24 2018-09-03 주식회사 콧데 어성초 추출물의 배양액을 함유하는 쿠션 파운데이션 조성물.
KR102545060B1 (ko) * 2023-01-09 2023-06-20 주식회사 제이앤제이파머텍 천연소재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06829A3 (ko) * 2021-12-07 2023-08-03 주식회사 라피끄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위한 새싹인삼 잎 연화물을 신규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512B1 (ko) * 2015-07-31 2017-07-21 일동제약(주)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1643568A (zh) * 2020-06-30 2020-09-11 陕西功能食品工程中心有限公司 鱼腥草的发酵处理工艺及应用
KR102691268B1 (ko) * 2021-04-26 2024-08-05 한국식품연구원 어성초 잎 연화물을 신규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95B1 (ko) 2003-02-20 2005-10-10 갈상완 포도와 오이 혼합액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액상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075084A (ja) 2004-09-09 2006-03-23 Toyo Shinyaku:Kk セロリ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20060059930A (ko) * 2006-04-27 2006-06-02 유연실 기능성 마사지 팩 제조방법
KR100687468B1 (ko) 2005-08-30 2007-02-2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면역증강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새싹채소 발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95B1 (ko) 2003-02-20 2005-10-10 갈상완 포도와 오이 혼합액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액상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075084A (ja) 2004-09-09 2006-03-23 Toyo Shinyaku:Kk セロリ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100687468B1 (ko) 2005-08-30 2007-02-2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면역증강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새싹채소 발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59930A (ko) * 2006-04-27 2006-06-02 유연실 기능성 마사지 팩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868A (ko) 2017-02-24 2018-09-03 주식회사 콧데 어성초 추출물의 배양액을 함유하는 쿠션 파운데이션 조성물.
WO2023106829A3 (ko) * 2021-12-07 2023-08-03 주식회사 라피끄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위한 새싹인삼 잎 연화물을 신규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5060B1 (ko) * 2023-01-09 2023-06-20 주식회사 제이앤제이파머텍 천연소재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223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61B1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62B1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7960B1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6B1 (ko)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44B1 (ko)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357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6784A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068279B (zh) 一种含有中药添加剂的鳗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816725B1 (ko)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1417B1 (ko)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491415A (zh) 一种祛痘美白遮瑕霜及其制备方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104006A (zh) 一种冬虫夏草菌提取浓缩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52175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3870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101521754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4994B1 (ko) 제주 용암해수와 조릿대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1752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06614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8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