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582A -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 - Google Patents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582A
KR20100066582A KR1020107010370A KR20107010370A KR20100066582A KR 20100066582 A KR20100066582 A KR 20100066582A KR 1020107010370 A KR1020107010370 A KR 1020107010370A KR 20107010370 A KR20107010370 A KR 20107010370A KR 20100066582 A KR20100066582 A KR 20100066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ilter element
wall
outlet port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344B1 (ko
Inventor
다카시 사이토
준 오노
다카시 요시다
요지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게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게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게힌
Publication of KR2010006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7Means to treat or clean gaseous fuels or fuel systems, e.g. removal of tar, cracking, reforming or enri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천장벽(5), 바닥벽(6) 및 둘레벽(7)으로 이루어지고, 그 천장벽(5)에 기체 입구 포트(20) 및 기체 출구 포트(21)를 설치한 트랩 하우징(3)과, 천장벽(5)과 바닥벽(6) 사이에 유지되고, 내부가 기체 입구 포트(20)에 연통하며, 외주면이 트랩 하우징(3)의 내부 공간(8)을 통해 기체 출구 포트(21)에 연통하는 필터 엘리먼트(4)를 구비하는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에 있어서, 트랩 하우징(3)을,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1개의 횡방향 중심선(X)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하고, 필터 엘리먼트(4)와, 트랩 하우징(3) 내로 개구하는 기체 출구 포트(21)의 출구 포트 상류부(21a)를, 횡방향 중심선(X) 상에서 상호 대향하는 둘레벽(7)의 제1 및 제2 측벽부(7a, 7b)에 각각 근접시켜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소형이면서 필터 엘리먼트로부터 기체 출구까지의 횡방향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액체 포착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LIQUID TRAP DEVICE FOR GAS}
본 발명은, 천장벽, 이에 대향하는 바닥벽, 그리고 이들 천장벽과 바닥벽 사이를 연결하는 둘레벽으로 이루어지고, 그 천장벽에 기체 입구 포트 및 기체 출구 포트를 설치한 트랩 하우징과, 상기 천장벽과 바닥벽 사이에 유지되고, 내부가 상기 기체 입구 포트에 연통하며, 외주면이 트랩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기체 출구 포트에 연통하는 필터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 입구 포트로부터 상기 기체 출구 포트를 향하여 흐르는 기체가 필터 엘리먼트를 통과할 때, 그 기체에 포함되는 액체를 필터 엘리먼트에 의해 포착하도록 한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천연 가스를 연료로 하는 엔진을 구비하는 자동차에서는, 천연 가스를 압축 저장한 연료 탱크를 탑재하고, 엔진의 작동 시에는, 그 연료 탱크로부터 도출한 고압의 기체 연료를 소정 압력으로 감압하여 엔진에 공급한다. 천연 가스를 연료 탱크에 압축 저장할 때에는, 천연 가스의 압축에 사용하는 압축기 내의 윤활 오일이, 압축되는 연료에 다소라도 혼입되게 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 내의 기체 연료를 엔진에 공급할 때에는, 그 기체 연료로부터 혼입 액체를 포착할 필요가 있다. 상기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는, 이와 같이 기체로부터 혼입 오일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0558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의 액체 포착 성능을 저하시키는 하나의 원인으로서, 필터 엘리먼트에 포착되어 그 외주면에 배어 나온 액체가 필터 엘리먼트를 통과한 기체의 흐름에 실려 기체 출구로 나가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액체 포착 성능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필터 엘리먼트에 포착되어 그 외주면에 배어 나온 액체가 기체의 흐름에 실려 기체 출구에 도달할 때까지, 그 액체를 낙하시킬 필요가 있지만, 그것을 위해서는 필터 엘리먼트로부터 기체 출구까지의 횡방향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에서는, 트랩 하우징을, 그 내부의 필터 엘리먼트와 대략 동심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이 트랩 하우징의 상단벽의 외주부에 기체 출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로부터 기체 출구까지의 횡방향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트랩 하우징을 충분히 대직경으로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어,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의 대형화가 부득이하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이면서 필터 엘리먼트로부터 기체 출구까지의 횡방향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액체의 포착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장벽, 이에 대향하는 바닥벽, 그리고 이들 천장벽과 바닥벽 사이를 연결하는 둘레벽으로 이루어지고, 그 천장벽에 기체 입구 포트 및 기체 출구 포트를 설치한 트랩 하우징과, 상기 천장벽과 바닥벽 사이에 유지되고, 내부가 상기 기체 입구 포트에 연통하며, 외주면이 트랩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기체 출구 포트에 연통하는 필터 엘리먼트를 구비하는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에 있어서, 트랩 하우징을,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1개의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와, 트랩 하우징 내에 개구하는 상기 기체 출구 포트의 출구 포트 상류부를, 상기 횡방향 중심선 상에서 상호 대향하는 상기 둘레벽의 제1 및 제2 측벽부에 각각 근접시켜 배치한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에 더하여, 필터 엘리먼트 내에 개구하는 상기 기체 입구 포트의 입구 포트 하류부를 천장벽의 하면으로부터 필터 엘리먼트 내로 돌출시켜 유입 안내관을 구성한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에 더하여, 상기 출구 포트 상류부를 상기 천장벽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에 돌출시켜 유출 안내관을 구성하고, 이 유출 안내관의 주위에 기체가 고이는 고임부를 형성한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필터 엘리먼트 및 유출 안내관이, 트랩 하우징의 둘레벽의 상기 횡방향 중심선 상에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벽부에 각각 근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트랩 하우징의 형상을 합리적으로 이용하여, 필터 엘리먼트와 유출 안내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필터 엘리먼트로부터 배어 나오고 있던 액체가, 필터 엘리먼트를 통과한 기체에 실리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기체가 기체 출구 포트까지의 긴 거리를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액체는 기체로부터 분리되고 낙하하게 되어, 기체 출구 포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트랩 하우징의 컴팩트화와 액체 포착 성능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유입 안내관을 필터 엘리먼트 내로 돌출시킴으로써, 필터 엘리먼트 내에 유도된 기체를 필터 엘리먼트 내의 전체에 확산시켜, 필터 엘리먼트 전체에서 여과시키게 되어, 필터 엘리먼트의 국부 포화를 막을 수 있고, 그 결과, 필터 엘리먼트의 내용(耐用)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액체의 포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액체 포착 성능의 향상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유입 안내관이 필터 엘리먼트 내로 돌출함으로써, 기체 입구 포트의 하방 개구단과 기체 출구 포트의 하방 개구단 사이의 상하 방향의 거리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필터 엘리먼트로부터 기체 출구 포트를 향하는 기체로부터의 액체의 분리, 낙하를 촉진시킬 수 있어, 액체 포착 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트랩 하우징의 둘레벽에 부착된 액체가 기체 흐름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지는 일이 있더라도, 천장벽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유출 안내관의 주위에 기체가 고이는 고임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체의 흐름은 상기 둘레벽의 부착 액체를 내버려 둔 채 상기 고임부를 피하도록 방향을 바꾸어, 유출 안내관을 향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둘레벽의 부착 액체가 유출 안내관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하여, 기체 출구 포트로의 유출을 막을 수 있고, 이것도 액체 포착 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를 구비하는 엔진의 기체 연료 공급 계통도이다.(제1 실시예)
도 2는 상기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의 확대 측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3은 도 2의 화살표 3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예)
도 4는 도 2의 화살표 4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예)
도 5는 도 2의 화살표 5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제1 실시예)
도 6은 도 3의 6-6선의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7은 도 3의 7-7선의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8은 도 6의 8-8선의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9는 도 5의 9-9선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도 1에서, 연료 탱크(F)에는 천연 가스가 기체 연료로서 압축 저장된다. 이 연료 탱크(F) 내의 고압의 기체 연료는, 그 압력을 소정값까지 감압하도록 고압 도관(1)을 통하여 압력 조절기(R)에 보내진다. 압력 조절기(R)는, 보내진 고압 연료의 압력을 소정 압력까지 감압하고, 그것을 저압 도관(2)을 통하여 엔진(E)의 연료 분사 밸브(I)에 공급하는 것으로, 그 기체 연료에 혼입된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 저압 도관(2)의 도중에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T)가 설치된다.
이하,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T)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도 7에서,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T)는, 트랩 하우징(3)과, 이 트랩 하우징(3) 내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필터 엘리먼트(4)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한다. 트랩 하우징(3)은, 천장벽(5), 이에 대향하는 바닥벽(6), 그리고 이들 천장벽(5)과 바닥벽(6) 사이를 연결하는 둘레벽(7)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예에서는, 천장벽(5)과 둘레벽(7)이 합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일체 성형되고, 그 내부에 필터 엘리먼트(4)를 내장한 후, 둘레벽(7)의 하단면에,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의 바닥벽(6)이 초음파 용착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랩 하우징(3)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1개의 횡방향 중심선(X)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트랩 하우징(3)의 둘레벽(7)에서, 상기 횡방향 중심선(X) 상에서 상호 대향하는 양 벽부를 제1 및 제2 측벽부(7a, 7b)라고 부르고, 상기 횡방향 중심선(X)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양 벽부를 제3 및 제4 측벽부(7c, 7d)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렇게 하여, 제1 측벽부(7a)는, 상기 횡방향 중심선(X) 상에 중심 축선(Y1)을 두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 측벽부(7b)는 상기 횡방향 중심선(X)과 직교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제3 및 제4 측벽부(7c, 7d)는 상기 횡방향 중심선(X)과 평행한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트랩 하우징(3)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상기 횡방향 중심선(X)을 따르는 변을 긴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에서, 그 한쪽의 짧은 변을, 2개의 긴 변에 연결되는 반원으로 치환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원통의 상기 필터 엘리먼트(4)는, 상기 횡방향 중심선(X) 상에서 상기 중심 축선(Y1)보다 반원통형의 제1 측벽부(7a)측으로 치우치게 한 오프셋 축선(Y2)을 중심으로, 천장벽(5)과 바닥벽(6)의 사이에서 유지된다. 그 유지 구조를 다음에 설명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벽(5)의 하면에는, 상기 오프셋 축선(Y2)의 주위에 환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부 위치 결정 돌기(10)와, 이들 상부 위치 결정 돌기(10)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환형의 상부 시일 돌기(11)가 형성되고, 이들 상부 위치 결정 돌기(10)에 필터 엘리먼트(4)의 상단부 내주면을 끼워 맞추어, 상부 시일 돌기(11)를 필터 엘리먼트(4)에 박히게 한다. 또한, 환형 배열의 복수의 상부 위치 결정 돌기(10)를, 연속한 환형 돌기로 치환할 수도 있다.
한편, 바닥벽(6) 상에는 필터 엘리먼트(4)를 밑에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12)가 배치된다. 이들 바닥벽(6)과 지지대(12)는, 상기 오프셋 축선(Y2) 상에서 상호 끼워 맞춰지는 위치 결정 돌기(13) 및 위치 결정 구멍(14)을 각각 구비하고 있고, 이들의 끼워맞춤에 의해 지지대(12)는 상기 오프셋 축선(Y2) 상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게 된다. 이 지지대(12)의 상면에는, 상기 오프셋 축선(Y2) 상에 중심을 두는 원형의 하부 위치 결정 돌기(15)와, 이 하부 위치 결정 돌기(15)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환형의 하부 시일 돌기(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하부 위치 결정 돌기(15)를 필터 엘리먼트(4)의 하단부 내주면에 끼워 맞추어, 하부 시일 돌기(16)를 필터 엘리먼트(4)에 박히게 한다. 이렇게 하여, 원통형의 필터 엘리먼트(4)는, 상기 오프셋 축선(Y2)을 중심으로 천장벽(5)과 바닥벽(6) 사이에서 지지되며, 필터 엘리먼트(4)의 상하 양단면의 기밀이 유지된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에서, 천장벽(5)에는, 상기 저압 도관(2)의 상류측(2a)을 필터 엘리먼트(4) 내로 연통시키는 기체 입구 포트(20)와, 필터 엘리먼트(4) 주위의 트랩 하우징(3)의 내부 공간(8)을 상기 저압 도관(2)의 하류측(2b)에 연통시키는 기체 출구 포트(21)가 설치된다. 기체 입구 포트(20)는, 트랩 하우징(3)을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상기 횡방향 중심선(X)(도 8 참조) 상에 배치되고 일단이 제2 측벽부(7b)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평 방향의 입구 포트 상류부(20a)와, 상기 오프셋 축선(Y2) 상에서 상기 입구 포트 상류부(20a)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되고, 천장벽(5)의 하면으로부터 필터 엘리먼트(4) 내로 돌출하는 입구 포트 하류부(20b)로 구성되고, 필터 엘리먼트(4) 내로 돌출되는 이 입구 포트 하류부(20b)의 부분이 유입 안내관(22)으로 된다. 필터 엘리먼트(4) 내로 돌출하는 유입 안내관(22)의 돌출 길이는, 필터 엘리먼트(4)의 전체 높이의 1/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 포트 상류부(20a)의 외방 돌출단에는 상기 저압 도관(2)의 상류측(2a)이 접속된다.
기체 출구 포트(21)는, 상기 입구 포트 상류부(20a)의 일측 상방에 있으며 입구 포트 상류부(20a)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일단이 제2 측벽부(7b)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평 방향의 출구 포트 하류부(21b)와, 이 출구 포트 하류부(21b)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되고, 천장벽(5)의 하면으로부터 트랩 하우징(3)의 내부 공간(8)으로 돌출하는 출구 포트 상류부(21a)로 구성되며, 천장벽(5)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출구 포트 상류부(21a)의 돌출 부분이 유출 안내관(24)으로 된다. 여기서 특별히 유의해야 할 점은, 상기 출구 포트 상류부(21a), 즉 유출 안내관(24)이, 둘레벽(7)의 평판형의 제2 측벽부(7b)와, 마찬가지로 평판형의 제3 측벽부(7c) 또는 제4 측벽부(7d)로 둘러싸이는 모퉁이부에서 천장벽(5)에 형성된 오목부(23) 내에 배치되고, 유출 안내관(24)의 하단 개방면이 오목부(23)의 개방 하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측벽부(7a)에 근접 배치되는 필터 엘리먼트(4)와 상기 유출 안내관(24) 사이의 횡방향 거리를 트랩 하우징(3) 내에서 최대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 안내관(24)을 둘러싸는 상기 오목부(23)의 부분은, 기체가 고이는 고임부(23a)로 된다.
도 5 및 도 9에서, 상기 바닥벽(6)에는, 너트(25a)를 매설한 복수의 보스(25)가 형성되고, 이들 보스(25)를 볼트(27)에 의해 브래킷(26)에 고정함으로써, 트랩 하우징(3)이 브래킷(26)에 지지된다.
바닥벽(6)의 하면에는, 방사형의 리브(28)를 남기고 복수의 얕은 오목부(29)가 형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벽(7)의 제2 측벽부(7b)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30)가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측벽부(7c, 7d)의 외면에는, 허니컴형의 리브(31)를 남기고 복수의 얕은 오목부(32)가 형성된다. 이들 리브(28, 30, 31) 및 얕은 오목부(29, 32)에 의해, 트랩 하우징(3)의 경량화와 내압 강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력 조절기(R)에 의해 소정 압력까지 감압된 기체 연료가 기체 입구 포트(20)에 유입되면, 그 기체 연료는, 유입 안내관(22)에 의해 필터 엘리먼트(4) 내에 유도되고, 필터 엘리먼트(4)에서 여과된다. 즉 기체 연료에 혼입된 오일이 필터 엘리먼트(4)에 의해 포착된다. 필터 엘리먼트(4)에서 여과된 기체 연료는, 유출 안내관(24)으로부터 기체 출구 포트(21) 및 저압 도관(2)을 거쳐 엔진(E)의 연료 분사 밸브(I)로부터 분사된다.
이 동안, 유입 안내관(22)을 필터 엘리먼트(4) 내로 깊게 돌출시킴으로써, 필터 엘리먼트(4) 내에 유도된 기체 연료는, 필터 엘리먼트(4) 내에서 전체적으로 확산되어 필터 엘리먼트(4) 전체에서 여과되게 되어, 필터 엘리먼트(4)의 국부 포화를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필터 엘리먼트(4)의 내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4)에서 여과된 기체 연료는, 기체 출구 포트(21)의 유출 안내관(24)을 향한다. 그런데, 필터 엘리먼트(4)와 유출 안내관(24)은, 트랩 하우징(3)의 둘레벽(7)의 상기 횡방향 중심선(X) 상에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벽부(7a, 7b)에 각각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유출 안내관(24)은, 제2 측벽부(7b)와, 제3 측벽부(7c) 또는 제4 측벽부(7d) 사이의 모퉁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횡방향 중심선(X)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트랩 하우징(3)의 형상을 합리적으로 이용하여, 필터 엘리먼트(4)와 유출 안내관(24)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4)로부터 배어 나오는 오일이, 필터 엘리먼트(4)를 통과한 기체 연료에 실리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기체 연료가 유출 안내관(24)까지의 긴 거리를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오일은 기체 연료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게 되어, 유출 안내관(24)으로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트랩 하우징(3)의 컴팩트화와 액체 포착 성능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입 안내관(22)이 필터 엘리먼트(4) 내로 깊게 돌출하고 있고, 유출 안내관(24)이 상기 유입 안내관(22)의 근원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 안내관(22)의 하방 개구단과 유출 안내관(24)의 하방 개구단 사이의 상하 방향의 거리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필터 엘리먼트(4)로부터 유출 안내관(24)을 향하는 기체 연료로부터의 오일의 분리 및 낙하를 촉진시킬 수 있어, 액체 포착 성능의 향상에 기여한다.
필터 엘리먼트(4)로부터 유출 안내관(24)을 향하는 기체 연료가 둘레벽(7)에 충돌함으로써, 오일이 둘레벽(7)에 부착되어 분리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 둘레벽(7)에 부착된 오일이, 뒤이어 유출 안내관(24)을 향하는 기체 연료의 흐름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지는 경우가 있더라도, 천장벽(5)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유출 안내관(24)의 주위에 기체가 고이는 고임부(23a)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체 연료의 흐름은 둘레벽(7)의 부착 오일을 내버려 둔 채 상기 고임부(23a)를 피하도록 방향을 바꾸어, 유출 안내관(24)을 향하게 되고, 따라서 둘레벽(7)에 부착된 오일이 유출 안내관(24)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하여, 기체 출구 포트(21)로의 유출을 막을 수 있어, 이것도 액체 포착 성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기체 연료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한 오일은 바닥벽(6)의 상면에 저류된다. 필터 엘리먼트(4)는, 바닥벽(6) 상에 배치되는 지지대(12)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4)가 바닥벽(6)의 상면에 저류된 오일에 잠기는 일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는 일 없이,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T·····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
X·····횡방향 중심선
3·····트랩 하우징
4·····필터 엘리먼트
5·····천장벽
6·····바닥벽
7·····둘레벽
7a····제1 측벽부
7b····제2 측벽부
8·····내부 공간
20····기체 입구 포트
20b···입구 포트 하류부
21····기체 출구 포트
21a···출구 포트 상류부
22····유입 안내관
24····유출 안내관

Claims (3)

  1. 천장벽(5), 이에 대향하는 바닥벽(6), 그리고 이들 천장벽(5)과 바닥벽(6) 사이를 연결하는 둘레벽(7)으로 이루어지고, 그 천장벽(5)에 기체 입구 포트(20) 및 기체 출구 포트(21)를 설치한 트랩 하우징(3)과, 상기 천장벽(5)과 바닥벽(6) 사이에 유지되고, 내부가 상기 기체 입구 포트(20)에 연통하며, 외주면이 트랩 하우징(3)의 내부 공간(8)을 통해 상기 기체 출구 포트(21)에 연통하는 필터 엘리먼트(4)를 구비하는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로서,
    트랩 하우징(3)을,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1개의 횡방향 중심선(X)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4)와, 트랩 하우징(3) 내로 개구하는 상기 기체 출구 포트(21)의 출구 포트 상류부(21a)를, 상기 횡방향 중심선(X) 상에서 상호 대향하는 상기 둘레벽(7)의 제1 및 제2 측벽부(7a, 7b)에 각각 근접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4) 내로 개구하는 상기 기체 입구 포트(20)의 입구 포트 하류부(20b)를 천장벽(5)의 하면으로부터 필터 엘리먼트(4) 내로 돌출시켜 유입 안내관(22)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 상류부(21a)를 상기 천장벽(5)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8)으로 돌출시켜 유출 안내관(24)을 구성하고, 이 유출 안내관(24)의 주위에 기체가 고이는 고임부(23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
KR1020107010370A 2007-11-07 2008-10-20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 KR101197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89977A JP4970216B2 (ja) 2007-11-07 2007-11-07 気体用液体トラップ装置
JPJP-P-2007-289977 2007-11-07
PCT/JP2008/068979 WO2009060711A1 (ja) 2007-11-07 2008-10-20 気体用液体トラッ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582A true KR20100066582A (ko) 2010-06-17
KR101197344B1 KR101197344B1 (ko) 2012-11-05

Family

ID=4062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370A KR101197344B1 (ko) 2007-11-07 2008-10-20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06477B2 (ko)
EP (1) EP2213868B1 (ko)
JP (1) JP4970216B2 (ko)
KR (1) KR101197344B1 (ko)
CN (1) CN101855441B (ko)
CA (1) CA2703690C (ko)
PL (1) PL2213868T3 (ko)
WO (1) WO2009060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26174A2 (en) * 2011-06-30 2014-05-07 Donaldson Company, Inc. Crankcase ventilation filter cartridges and assemblies
EP2848296B1 (en) 2012-05-10 2019-07-03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Air dryer with oil separator
CN107224786B (zh) * 2012-07-02 2019-12-20 纳博特斯克汽车零部件有限公司 油分离器和具有空气干燥器和油分离器的系统
JP6052966B2 (ja) 2012-08-31 2016-12-27 株式会社ニッキ 気体用フィルタ装置
JP6772293B2 (ja) * 2016-04-07 2020-10-21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ガスパネルに実装される半導体製造工程用ガスフィルタ
CN110115484B (zh) * 2018-02-06 2021-11-0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料理机
CN109058009B (zh) * 2018-07-12 2020-09-11 安徽匠桥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燃料系统的主动放泄液体捕集器
CN109058000B (zh) * 2018-07-12 2021-04-23 南京禹智智能科技有限公司 燃料系统的主动放泄液体捕集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3990A (en) * 1923-08-07 louis
US2672853A (en) * 1952-04-18 1954-03-23 Joseph L Dunnigan Sealed cooling system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2884089A (en) * 1956-07-09 1959-04-28 Staley Res And Dev Co Air line separator
JPS5266111A (en) * 1975-11-27 1977-06-01 Aisan Ind Co Ltd Tar removing device for the liquefied petroleum gas engine
JPS52117715A (en) 1976-03-25 1977-10-03 Kihara Seisakusho Automatic seedling dropper for transplanter
JPS52117715U (ko) * 1976-07-09 1977-09-07
JPS53117826U (ko) * 1977-02-26 1978-09-19
JPS59127807A (ja) 1983-01-13 1984-07-23 Nissan Motor Co Ltd 電磁ソレノイド
JPS59127807U (ja) * 1983-02-16 1984-08-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ブロ−バイガス還元装置
JPH03124950A (ja) * 1989-10-06 1991-05-28 Nippon Carbureter Co Ltd Lpg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H0452517U (ko) * 1990-09-10 1992-05-06
DE19645666A1 (de) * 1996-11-06 1998-05-07 Mann & Hummel Filter Filtereinsatz
JP2000205050A (ja) * 1999-01-13 2000-07-25 Toyota Motor Corp 気体燃料車
US6883321B2 (en) * 2003-04-25 2005-04-26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Filter assembly for exhaust gases
JP4638329B2 (ja) * 2005-11-09 2011-02-23 株式会社ケーヒン 気体用液体トラップ装置
JP4535458B2 (ja) * 2006-07-18 2010-09-01 ヤンマー株式会社 ブリー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3868A4 (en) 2012-04-11
JP4970216B2 (ja) 2012-07-04
JP2009114996A (ja) 2009-05-28
EP2213868B1 (en) 2012-12-12
CN101855441B (zh) 2013-06-05
CA2703690A1 (en) 2009-05-14
CA2703690C (en) 2013-03-19
PL2213868T3 (pl) 2013-06-28
US20100269460A1 (en) 2010-10-28
KR101197344B1 (ko) 2012-11-05
CN101855441A (zh) 2010-10-06
US8206477B2 (en) 2012-06-26
EP2213868A1 (en) 2010-08-04
WO2009060711A1 (ja)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344B1 (ko) 기체용 액체 트랩 장치
US9919246B2 (en) Filter device with releasably securable end cap and sealing arrangement
JP4395124B2 (ja) 気体用液体トラップ装置
US9677507B2 (en) Oil separator
US8534266B2 (en) Oil separator for gas-powered combustion engines
JP6318987B2 (ja) 燃料供給装置
JP4638329B2 (ja) 気体用液体トラップ装置
US20070089382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Filter Therefor
US9957931B2 (en) Suction filter and fuel supplying device
JP5263245B2 (ja) 燃料フィルタ
US8469008B2 (en) Return fuel diffusion device and fuel guide
KR102468898B1 (ko) 액체 필터 및 액체 필터를 포함한 탱크 필터 시스템
JP2009127610A (ja) 燃料フィルタ
JP2011021517A (ja) セジメンタ
KR20130114914A (ko) 캐니스터의 수분유입방지장치
JP5154312B2 (ja) ポンプ装置
JP2015190423A (ja) 燃料供給装置
JP5342480B2 (ja) 気体用液体トラップ装置
JP6036575B2 (ja) 燃料フィルタ装置
JP2024011415A (ja) 気体燃料用液体トラップ装置
CN112648043B (zh) 一种汽车及其发动机和油气分离器
JP5754408B2 (ja) 燃料噴射装置
KR100979838B1 (ko) 밀봉가스켓을 포함하는 연료 여과기
CN102135050B (zh) 燃气发动机的调节器
EP2341233A1 (en) Gas engine reg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