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360A -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360A
KR20100066360A KR1020090113272A KR20090113272A KR20100066360A KR 20100066360 A KR20100066360 A KR 20100066360A KR 1020090113272 A KR1020090113272 A KR 1020090113272A KR 20090113272 A KR20090113272 A KR 20090113272A KR 20100066360 A KR20100066360 A KR 20100066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fluid
guid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535B1 (ko
Inventor
카즈토 토시마
미네오 키노시타
타다아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6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미소 차압 작동형의 체크밸브에 있어서, 밸브체(1)의 개방 상태에서의 진동을 방지하여 정음화를 도모한다.
본체 조인트(10) 내에 밸브자리부재(20), 밸브체(1)를 배열 설치하고, 밸브체(1)를 밸브자리부재(20)와 스토퍼부(104)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밸브체(1)를 원판부(14)와 제1 가이드부(11), 제2 가이드부(12) 및 제3 가이드부로 구성한다. 밸브체(1)의 제2 가이드부(12)의 하단에 사면(12a)을 형성한다. 제3 가이드부의 하단에도 마찬가지의 사면을 형성한다. 밸브자리부재(20)의 밸브 포트(21)로부터 흐르는 유체에 의해 제2 가이드부(12)의 사면(12a)과 제3 가이드부의 사면에 힘을 가하여, 밸브체(1)를 가이드부(11)와 반대측으로 가압한다. 이 유체에 의한 가압력으로 제2 가이드부(12)와 제3 가이드부를 밸브실(103)의 내벽(103a)에 가압하면서 밸브체(1)를 슬라이딩 운동시킨다.
체크밸브, 밸브실, 내벽, 유체가압수단, 경사면, 만곡면, 양력, 정음화

Description

체크밸브{CHECK VALVE}
본 발명은 유체의 힘으로 밸브 개방 상태로 하고 밸브체의 자중에 의해 밸브 폐쇄 상태로 하는 저차압 작동형의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사이클의 회로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체크밸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체크밸브는 유체의 순방향의 흐름에 의해 밸브 개방 상태가 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역방향의 흐름에 의해 밸브 폐쇄 상태로 하여 유로를 폐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이 체크밸브로서는 일반적으로 밸브 폐쇄 상태를 확실하게 하고 설치 자세의 자유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밸브체를 스프링으로 가압하도록 한 것과, 밸브 개방시의 밸브 개방 압력 손실을 작게하기 위해서 밸브체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없애 밸브체의 자중에 의해 밸브 폐쇄 상태로 하는 `미소 차압 작동형`의 것이 있다. 최근, 환경에 대한 배려나 에너지 절약, 및 저소음화의 요구가 많아 `미소 차압 작동형`의 체크밸브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미소 차압 작동형`의 차압 밸브로서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 63-37873호 공보(특허문헌 1) 및 일본 특허 공개 2008-223927호 공보(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것은 밸브체가 원판형상의 원판부를 구비하고, 이 원판부는 씰면이 유체의 흐름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항력계수가 매우 크고, 저차압에서도 밸브가 개방되기 쉬운 것이다. 그러나 저차압에서 작동하는 점에서 밸브체와 본체의 클리어런스에서 진동하여 이음(異音)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의 것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서, 밸브체의 무게중심을 이동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시키고, 밸브체를 이동방향과 수직인 축 둘레에 회전시켜, 홀더와의 마찰력 및 클리어런스의 삭제에 의해 정음화(靜音化)를 실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 63-3787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8-223927호 공보
특허문헌 2의 것은 정음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해도, 밸브체를 기울일 정도의 무게중심을 편심시키게 되면 유체의 압손이 커지고, 이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저차압에서도 밸브 개방되기 쉽고, 또한 대유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정음성이 얻어지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의 체크밸브는, 원판부와 이 원판부의 외주로부터 돌출시킨 복수의 가이드부를 가지는 밸브체를, 파이프 내에 설치된 밸브자리부와 스토퍼부 사이에 내측으로 삽입하고,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의해 상기 원판부의 외주에 유체의 통로를 형성한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의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한 힘을 받아 상기 밸브체를 유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유체가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체크밸브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체크밸브로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밸브자리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체크밸브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체크밸브로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반경방향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청구항 4의 체크밸브는, 원판부와 이 원판부의 외주로부터 돌출시킨 복수의 가이드부를 가지는 밸브체를, 파이프 내에 설치된 밸브자리부와 스토퍼부 사이에 내측으로 삽입하고,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의해 상기 원판부의 외주에 유체의 통로를 형성한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의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유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유체가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체크밸브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체크밸브로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방향측면에 형성된 날개형 만곡면에 의해 상기 유체로부터 양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체크밸브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크밸브로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이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자리부측의 바닥면에 형성된 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체크밸브에 의하면 밸브 개방시에 인접하는 가이드부 사이의 통로에 의해 대유량이 얻어진다. 또한 유체가압수단이 유체의 흐름에 의한 힘을 받아 밸브체를 유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밸브체의 편측이 파이프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밸브체가 이동한다. 그 결과 밸브체가 파이프에 반복 충돌할 때의 충돌음이 없어져 정음성이 얻어진다.
청구항 2 또는 3의 체크밸브에 의하면 청구항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 다.
청구항 4의 체크밸브에 의하면 밸브 개방시에 인접하는 가이드부 사이의 통로에 의해 대유량이 얻어짐과 아울러 유체가압수단이 유체의 압력을 받아 밸브체를 유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밸브체의 편측이 파이프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밸브체가 이동한다. 그 결과 밸브체가 파이프에 반복 충돌할 때의 충돌음이 없어져 정음성이 얻어진다.
청구항 5의 체크밸브에 의하면 청구항 4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6의 체크밸브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5의 효과에 더해, 유량이 적을 때에 양력을 받기 쉽다. 그 결과 리프트량이 작을 때의 정음성에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상하」의 개념은 도면에서의 상하에 대응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체크밸브의 일부 종단면, 도 2는 제1 실시예의 체크밸브의 밸브체(1)의 평면도, 도 3은 밸브체(1)의 측면도이며, 도 3(A), (B), (C)는 도 2의 A, B, C방향에서 각각 본 도면이다.
이 체크밸브는 「파이프」로서의 본체 조인트(10)와, 「밸브자리부」로서의 밸브자리부재(20) 및 밸브체(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조인트(10)는 원통형의 스트레이트관의 양측을 축관하여 직경이 작은 도입관부(101)와 도출관부(102)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중앙부에 직경이 큰 밸브실(103)을 형성한 것이다. 또 이 본체 조인트(10)의 축관에 의해 도출관부(102)와 밸브실(103)의 경계 부분에 스토퍼 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자리부재(20)에는 중앙에 밸브 포트(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자리부재(20)는 밸브실(103) 내에서 도입관부(101)측에 배치되어, 코킹부(10a)에 의해 코킹 고착되어 있다. 또 밸브실(103)의 내면과 밸브자리부재(20) 사이는 O링(3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1)는 밸브자리부재(20)와 스토퍼부(104) 사이에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다.
밸브체(1)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이 밸브체(1)는 3개의 가이드부(11, 12, 13)와, 원추형상의 원판부(14)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1, 12, 13)는 원판부(14)의 주위에 형성되고, 그 일부가 원판부(14)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12, 13)가 밸브실(103)의 내주면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하여 안내됨으로써 밸브체(1)는 밸브자리부재(20)와 스토퍼부(104)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원판부(14)의 원추의 바닥면부의 주위는 씰면(14a)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유체가 흐르지 않는 경우, 또는 도출관부(102)로부터 유체가 역유입하는 경우에는 밸브체(1)는 밸브자리부재(20)에 착좌하여 씰면(14a)이 밸브 포트(21)를 닫는다. 한편, 유체의 흐름이 순방향이 되어, 도입관부(101)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면 밸브 포트(21) 내의 유체의 압력이 밸브체(1)의 반대측 즉 밸브실(103)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그리고 양 압력의 차압에 의해 밸브체(1)는 밸브자리부재(20)로부터 이간하여 밸브실(103) 내를 이동하고, 밸브체(1)의 가이드부(11, 12, 13)의 단부가 스토퍼부(104)에 맞닿아 밸브체(1)는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이 때 유체는 원판부(14)의 외주로부터 인접하는 가이드부(11, 12), 가이드 부(12, 13), 가이드부(13, 11) 사이를 통과하여 도출관부(102)로 흐른다. 즉, 인접하는 가이드부의 사이에 의해 원판부(14)의 외주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가이드부(11, 12, 13)는 밸브자리부재(20)측의 단부가 서로 상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가이드부(11)는 밸브자리부재(20)측에 산형으로 돌출되도록 양측에 사면(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12)는 제1 가이드부(11)측을 향한 1개의 사면(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3 가이드부(13)는 제2 가이드부(12)와 반대측에서 제1 가이드부(11)측을 향한 1개의 사면(13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11, 12, 13)는 도 2에 도시한 선(P)과 밸브체(1)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경면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A), (B), (C)에 굵은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유체의 흐름이 생긴다. 도 3(D)는 일례로서 사면(12a)에 대한 흐름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사면(13a 및 11a, 11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간단히 「사면」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흐름 중에 사면이 있으면 그 사면에는 사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F)을 받는다. 힘(F)은 흐름방향으로 작용하는 항력(D)과,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양력(L)의 합성력으로서 나타난다. 가이드부(11)의 사면(11a, 11b)에는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힘의 양력(L)이 작용하여, 가이드부(11)의 양력은 제로가 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2) 및 가이드부(13)에는 각각 양력(L12와 L13)이 작용한다. 사면(12a)과 사면(13a)은 수압(受壓) 면적과 경사각도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밸브 체(1)에 작용하는 양력(L12)과 양력(L13)의 합성력(L1)은 가이드부(12)와 가이드부(13)를 등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밸브체(1)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1)는 도 2에 흰색 화살표(L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방향(본체 조인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밸브체(1)의 편측, 즉, 제2 가이드부(12)와 제3 가이드부(13)가 밸브실(103)의 내벽(103a)(본체 조인트(10)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밸브체(1)가 이동하고, 밸브체(1)가 진동하지 않아 정음성이 얻어진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가이드부(12)와 제3 가이드부(13)의 각 사면(12a, 13a)이 청구항의 유체가압수단에 상당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밸브체(2)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밸브체(2)는 4개의 가이드부(21, 22, 23, 24)와 원추형상의 원판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예는 밸브체가 상이할 뿐이며, 본체 조인트(10), 밸브자리부재(20) 등 밸브체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 가이드부(21)와 제2 가이드부(22)는 동일한 방향으로 면을 향하게 한 사면(21a, 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3 가이드부(23)와 제4 가이드부(24)는 제1 가이드부(21) 및 제2 가이드부(22)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사면(21a, 22a)과 반대측에 면을 향하게 한 사면(23a, 2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21, 22, 23, 24)는 도 4(A)에 도시한 선(P)과 밸브체(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경면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면 3(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가이드부(21, 22, 23, 24)의 각각의 사면(21a, 22a, 23a, 24a)에 의해 제1 가이드부(21), 제2 가이드부(22), 제3 가이드부(23) 및 제4 가이드부(24)에 각각 양력(L21, L22, L23, L24)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2)는 도 4(A)에 흰색 화살표(L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방향(본체 조인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밸브체(2)의 편측(가이드부(22, 24))이 밸브실(103)의 내벽(103a)(본체 조인트(10)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밸브체(2)가 이동하고, 밸브체(2)가 진동하지 않아 정음성이 얻어진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21, 22, 23, 24)의 각 사면(21a, 22a, 23a, 24a)이 청구항의 유체가압수단에 상당한다.
도 5는 제3 실시예의 밸브체(3)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밸브체(3)는 제1 실시예의 밸브체(1)의 변형예이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밸브체(1)와 동일한 부위는 밸브체(1)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밸브체(3)는 원판부(14)의 씰면(14a)의 내측의 바닥면에 돌기(31)를 형성한 것이며, 이 돌기(31)의 사면(31a)에 작용하는 양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순방향 흐름의 유량이 적을 때, 밸브체(3)는 밸브자리부재(20)로부터 약간 리프트하는데, 이와 같이 리프트량이 작을 때, 밸브체(3)의 전면에 위치하는 돌기(31)의 사면(31a)에 의해 유체의 압력을 받고, 밸브체(3)는 도 5의 흰색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방향(본체 조인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유량이 적을 때에 양력을 받기 쉽다. 그 결과 리프트량이 작을 때의 정음성에 효과가 있다. 대유량시에 가이드부에 의해 가압력을 얻는 효과를 저감시키지 않기 위해서, 돌기(31)의 높이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이 좋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각 사면 외에 돌기(31)의 사 면(31a)도 청구항의 유체가압수단에 상당한다.
상기 제3 실시예의 돌기(31) 및 사면(31a)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실시예, 이하의 제5 내지 제8 실시예에 적용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도 6은 제4 실시예의 밸브체(4)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밸브체(4)도 제1 실시예의 밸브체(1)의 변형예이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밸브체(1)와 마찬가지의 부위는 밸브체(1)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밸브체(4)는 원판부(14)의 씰면(14a)의 내측에 오목부(41)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41)의 바닥면을 사면(41a)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이 사면(41a)에 작용하는 양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밸브체(4)는 도 6(A), (B)의 흰색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방향(본체 조인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유량이 적을 때에 양력을 받기 쉽다. 그 결과 리프트량이 작을 때의 정음성에 효과가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의 경우, 씰면(14a)의 평면 연마가 곤란하지만, 이 제4 실시예에서는 씰면(14a)의 평면 연마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각 사면 외에 오목부(41)의 사면(41a)도 청구항의 유체가압수단에 상당한다.
상기 제4 실시예의 오목부(41) 및 사면(41a)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실시예, 이하의 제5 내지 제8 실시예에 적용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도 7은 제5 실시예의 밸브체(5)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밸브체(5)는 3개의 가이드부(51, 52, 53)와 원추형상의 원판부(54)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51, 52, 53)는 원판부(54)의 주위에 형성되고, 그 일부가 원판부(54)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52)와 제3 가이드부(53)에는 제1 가이드부(51)와 반대측에 날개형 만곡면(52a, 5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51, 52, 53)는 도 7(A)에 도시한 선(P)과 밸브체(3)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경면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7(B)에 굵은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52)와 제3 가이드부(53)의 날개형 만곡면(52a, 53a)에 의해 만곡된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52) 및 제3 가이드부(53)에 대해서 각각 L52, L53으로 나타낸 양력이 발생한다. 양력(L52와 L53)이 작용하여 밸브체(5)에 합성력(L5)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5)는 도 7(A)에 흰색 화살표(L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방향(본체 조인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밸브체(5)의 편측(가이드부(52, 53))이 밸브실(103)의 내벽(103a)(본체 조인트(10)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밸브체(5)가 이동하고, 밸브체(5)가 진동하지 않아 정음성이 얻어진다. 또한 제5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3 가이드부(52, 53)의 날개형 만곡면(52a, 53a)이 청구항의 유체가압수단에 상당한다.
도 8은 제6 실시예의 밸브체(6)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밸브체(6)는 3개의 가이드부(61, 62, 63)와 원추형상의 원판부(64)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61, 62, 63)는 원판부(64)의 주위에 형성되고, 그 일부가 원판부(64)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62)와 제3 가이드부(63)는 상단측이 제1 가이드부(61) 측에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가이드부(61)측에 경사면(62a, 6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61, 62, 63)는 도 8(A)에 도시한 선(P)과 밸브체(6)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경면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B)에 굵은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62)와 제3 가이드부(63)의 경사면(62a, 63a)에 의해 제1 가이드부(61)측에 경사진 유체의 흐름이 형성된다. 이 유체의 힘에 의해 제2 가이드부(62)와 제3 가이드부(63)에는 각각 L62, L63으로 나타낸 양력이 발생한다. 양력(L62와 L63)이 작용하여 밸브체(6)에 합성력(L6)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6)는 도 8(A)에 흰색 화살표(L6)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방향(본체 조인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밸브체(6)의 편측(가이드부(62, 63))이 밸브실(103)의 내벽(103a)(본체 조인트(10)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밸브체(1)가 이동하고, 밸브체(6)가 진동하지 않아 정음성이 얻어진다. 또한 제6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3 가이드부(62, 63)의 경사면(62a, 63a)이 청구항의 유체가압수단에 상당한다.
도 9는 제7 실시예의 밸브체(7)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밸브체(7)는 3개의 가이드부(71, 72, 73)와 원추형상의 원판부(74)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71, 72, 73)는 원판부(74)의 주위에 형성되고, 그 일부가 원판부(74)의 외주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72)와 제3 가이드부(73)는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에 걸쳐 점차 두꺼워지고, 제1 가이드부(71)측에 경사면(72a, 7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71, 72, 73)는 도 9(A)에 도시한 선(P)과 밸브체(7)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경면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B)에 굵은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72)와 제3 가이드부(73)의 경사면(72a, 73a)에 의해 제1 가이드부(71)측에 경사진 유체의 흐름이 형성된다. 이 유체의 힘에 의해 제2 가이드부(72)와 제3 가이드부(73)에는 각각 L72, L73으로 나타낸 양력이 발생한다. 양력(L72와 L73)이 작용하여 밸브체(7)에 합성력(L7)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7)는 도 9(A)에 흰색 화살표(L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방향(본체 조인트(1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밸브체(7)의 편측(가이드부(72, 73))이 밸브실(103)의 내벽(103a)(본체 조인트(10)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밸브체(1)가 이동하고, 밸브체(7)가 진동하지 않아 정음성이 얻어진다. 또한 제7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3 가이드부(72, 73)의 경사면(72a, 73a)이 청구항의 유체가압수단에 상당한다.
도 10은 제8 실시예의 밸브체(8)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밸브체(8)는 제1 실시예의 밸브체(1)의 변형예이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밸브체(1)와 동일한 부위는 밸브체(1)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밸브체(8)는 제1 가이드부(11)에 선스프링(81)을 부착한 것이다. 선스프링(81)은 제1 가이드부(11)보다 약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밸브실(103)의 제1 가이드부(11)측의 내벽(103a)을 가압한다. 이 선스프링(81)의 가압은 제2 가이드부재(12) 및 제3 가이드부재(13)에 의한 가압력을 보조한다. 특히 소유량일 때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또한 이 선스프링(81)의 하중은 밸브체(8) 자체가 자중으로 밸브 개방되도록, 가이드부재(12, 13)를 내벽(103a)에 누름으로써 생기는 마찰력을 밸브체(8)의 질량의 1/2정도로 억제하도록 설정한다.
가이드부재의 수는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유체가압수단도 가이드부에 형성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체크밸브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체크밸브의 밸브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밸브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밸브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밸브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밸브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밸브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밸브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밸브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밸브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밸브체
11, 12, 13…가이드부
14…원판부
12a, 13a…사면(유체가압수단)
10…본체 조인트(파이프)
20…밸브자리부재(밸브자리부)
104…스토퍼부

Claims (6)

  1. 원판부와 이 원판부의 외주로부터 돌출시킨 복수의 가이드부를 가지는 밸브체를, 파이프 내에 설치된 밸브자리부와 스토퍼부 사이에 내측으로 삽입하고,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의해 상기 원판부의 외주에 유체의 통로를 형성한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의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체의 흐름에 의한 힘을 받아 상기 밸브체를 유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유체가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밸브자리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반경방향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4. 원판부와 이 원판부의 외주로부터 돌출시킨 복수의 가이드부를 가지는 밸브체를, 파이프 내에 설치된 밸브자리부와 스토퍼부 사이에 내측으로 삽입하고, 인접 하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의해 상기 원판부의 외주에 유체의 통로를 형성한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의 밸브 개방시에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유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유체가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방향측면에 형성된 날개형 만곡면에 의해 상기 유체로부터 양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압수단이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자리부측의 바닥면에 형성된 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KR1020090113272A 2008-12-09 2009-11-23 체크밸브 KR101159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13051A JP4806442B2 (ja) 2008-12-09 2008-12-09 逆止弁
JPJP-P-2008-313051 2008-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60A true KR20100066360A (ko) 2010-06-17
KR101159535B1 KR101159535B1 (ko) 2012-06-25

Family

ID=4234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272A KR101159535B1 (ko) 2008-12-09 2009-11-23 체크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06442B2 (ko)
KR (1) KR101159535B1 (ko)
CN (1) CN10174945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170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만도 체크밸브
KR20190044172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만도 체크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9467B (zh) * 2010-08-28 2012-09-26 朱爱萍 大流量喷水织布机单向阀
JP5335016B2 (ja) * 2010-12-21 2013-11-0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弁構造体および該弁構造体を備えた逆止弁
CN104675475B (zh) * 2012-06-29 2017-09-29 常州科普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能快速实施润滑的柴油机的润滑油路及其工作方法
CN104675474B (zh) * 2012-06-29 2017-10-31 常州科普动力机械有限公司 能使机油快速泵出并快速实施润滑的柴油机的润滑油路
CN103291977A (zh) * 2013-06-03 2013-09-11 太仓长鸿工程塑胶有限公司 一种单由令逆止阀
CN104405937A (zh) * 2014-11-18 2015-03-11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燃油泵的止回阀结构
WO2017064796A1 (ja) * 2015-10-15 2017-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逆止弁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AU2018390558A1 (en) * 2017-12-19 2020-03-12 Q.E.D. Environmental Systems, Inc. Poppet valve for fluid pum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6275A (ja) * 1981-09-14 1983-03-17 Hitachi Ltd 逆止弁
CN1016893B (zh) * 1985-08-26 1992-06-03 三菱电机株式会社 配有整体式单向阀的制冷系统
JP2001304442A (ja) * 2000-04-25 2001-10-31 Chiyoda Kucho Kiki Kk 逆止弁及び該逆止弁を用いた冷媒ブリッジ回路
JP2002156059A (ja) * 2000-11-20 2002-05-31 Fujitsu General Ltd 逆止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170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만도 체크밸브
KR20190044172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만도 체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535B1 (ko) 2012-06-25
JP4806442B2 (ja) 2011-11-02
CN101749459B (zh) 2012-11-07
CN101749459A (zh) 2010-06-23
JP2010138927A (ja)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535B1 (ko) 체크밸브
US20060021661A1 (en) Check valve
JP5677574B2 (ja) 閉止体を備えるピストンポンプのバルブ
EP2196681A1 (en) Accumulator
JP2018204786A (ja) 調整可能な減衰力を有する振動ダンパ
JP6218858B2 (ja) ピストン絞りを備えたシリンダピストンユニット
EP1098108A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08082491A (ja) 緩衝器のバルブ構造
US9556859B2 (en) Piston pump for delivering fluids, and corresponding assembly process for a piston pump
US8393447B2 (en) Vibration damper with amplitude-selective damping force
JP4842862B2 (ja) 逆止弁
JP2018150952A (ja) 圧力緩衝装置
JP2012021567A (ja) バルブ構造
JP6271767B2 (ja) 減衰装置
JP6760176B2 (ja) 圧縮機
CN103180610A (zh) 用于输送流体的活塞泵和相应的汽车制动设备
JP2020067173A (ja) ハイドロストッパ付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6462997B2 (ja) 液圧式車両ブレーキ装置用のピストンポンプ弁、および、液圧式車両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7120627A (ja) 緩衝器のバルブ構造および緩衝器
JP4839201B2 (ja) 緩衝器のバルブ構造
US3059665A (en) Two-way check valve for pumps and the like
WO2013031426A1 (ja) 電磁ポンプ
JPH0716044U (ja) オイルダンパ
JP5608590B2 (ja) プランジャポンプ
JP6625000B2 (ja) 圧力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