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138A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3138A KR20100063138A KR1020107009370A KR20107009370A KR20100063138A KR 20100063138 A KR20100063138 A KR 20100063138A KR 1020107009370 A KR1020107009370 A KR 1020107009370A KR 20107009370 A KR20107009370 A KR 20107009370A KR 20100063138 A KR20100063138 A KR 201000631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ding
- door
- elevator
- side panel
- hoistw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장 측에서 발생한 화재가 승강로를 통해서 다른 층에 연소(延燒)하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왼쪽 도어(101))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측의 면을 구성하는 승강장 측 패널(131)과, 승강장 측 패널(131)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측의 면을 구성하는 승강로 측 패널A(136)과, 승강장 측 패널(131)과 승강로 측 패널A(136)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창(110)을 구비한다. 유리창(110)은 승강장 측 유리(111)와 중간필름(112)과 승강로 측 유리(1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왼쪽 도어(101))는 유리창(110)의 아래쪽에 용융된 중간필름(112)의 낙하물을 받아들이는 받이금구A(121)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乘降場) 측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내화(耐火)유리와 강화유리를 접착시트로 합체시킨 합판유리(laminated glass)를 합판유리의 주변에 마련한 불연성의 완충재로 고정한 엘리베이터의 유리창이 부착된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유리에 상기와 같은 합판유리를 이용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측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측의 화염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昇降路) 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내화유리에 의해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어느 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강화유리와 함께 용융된 접착시트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측으로 늘어져 발화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통해서 다른 층이 연소(延燒)하는 것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측의 면을 구성하는 승강장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측의 면을 구성하는 승강로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연(可燃)부재와, 상기 가연부재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용융된 상기 가연부재의 낙하물을 받아들이는 받이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가연부재는 판상(板狀)의 투광(透光)부재이고,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는 한 쌍의 창구멍을 가지며, 상기 가연부재를 상기 가연부재의 두께방향에서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창구멍에 배치한다.
상기 투광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측에 배치되는 승강장 측 투광재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측에 배치되는 승강로 측 투광재와, 상기 승강장 측 투광재와 상기 승강로 측 투광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아울러, 상기 승강장 측 투광재와 상기 승강로 측 투광재를 접착하는 중간필름을 가지며, 상기 받이부재는 용융된 상기 중간필름을 받아들인다.
상기 받이부재는 상기 투광부재의 상기 두께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상기 투광부재의 폭방향으로 신장(伸張)하고 있다.
상기 받이부재는 신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U'자 모양 또는 'N'자 모양을 형성한다.
상기 받이부재는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의 내면과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의 내면에 접합하고 있다.
상기 받이부재는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의 내면과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의 내면 중 어느 한쪽에 접합하고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복수의 상기 받이부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받이부재는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상기 투광부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투광부재의 바닥면의 일부를 지지하고, 아울러, 상기 일부를 제외한 상기 투광부재의 상기 바닥면을 상기 받이부재에 대면(對面)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장 측 투광재와 상기 승강로 측 투광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지지한다.
상기 받이부재는 상단에 상기 지지부를 가진다.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창구멍보다 아래쪽에서 상기 투광부재의 상기 두께방향을 향하여 상기 중간필름의 앞까지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지지부로서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가연부재인 중간필름(접착시트)이 용융되어 늘어진 경우라도,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내부의 받이부재가 용융된 중간필름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용융된 중간필름의 발화에 의해 승강로를 통해서 다른 층이 연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형태 1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2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3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 4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실시형태 4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2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3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 4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실시형태 4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실시형태 1.
내화성능이 요구된 경우, 유리창이 부착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에는 합판유리가 이용되어, 합판유리의 중간필름(112)의 발화에 대한 대책이 과제가 된다.
실시형태 1에서는 가열에 의해 용융된 중간필름(112)의 발화를 막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구조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측에서 본 정면도(아래쪽 도면)와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위쪽 도면)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용 도어이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는 왼쪽 도어(101)와 오른쪽 도어(102)가 좌우로 개폐하는 양쪽열림방식의 도어이거나, 왼쪽 도어(101)와 오른쪽 도어(102)가 같은 방향으로 연동하여 개폐하는 한쪽열림방식의 도어이다. 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는 1매 도어라도 상관없다. 도 1의 평면도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가 양쪽 열림 타입인 경우의 왼쪽 도어(101)와 오른쪽 도어(102)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왼쪽 도어(101)와 오른쪽 도어(102)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왼쪽 도어(101)와 오른쪽 도어(102)에는 각각 중앙에 유리창(110)(투광부재, 가연부재)이 설치되어 있다.
유리창(110)은 상부장착금구(金具)A(141), 하부장착금구A(146) 및 측부장착금구(149)로 이루어지는 유리고정 프레임(114)에 의해 각 도어에 장착되어 있다.
왼쪽 도어(101)와 오른쪽 도어(102)의 승강로 측은 승강로 측 패널A(136)와 승강로 측 패널B(137)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로 측 패널A(136)는 유리고정 프레임(114)과 패널판(138)으로 구성되어 있다.
왼쪽 도어(101)와 오른쪽 도어(102)는 외부 및 내부가 대략 동일 또는 대략 좌우 대칭인 구조를 하고 있다.
이하, 왼쪽 도어(101)를 예로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오른쪽 도어(102)의 내부 구조는 왼쪽 도어(101)의 내부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1의 A-A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위쪽이 승강로 측이고, 아래쪽이 승강장 측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창(110)은 승강장 측 유리(111)와 중간필름(112)과 승강로 측 유리(113)의 3층 구조를 이루는 판상의 합판유리이다.
승강장 측 유리(111)(승강장 측 투광재)는 승강장 측에 배치된 판상의 강화유리(내압(耐壓)유리)(승강장 측 투광재)이고, 승강로 측 유리(113)는 승강로 측에 배치된 판상의 내열유리(내화유리)(승강로 측 투광재)이다. 또, 중간필름(112)은 승강장 측 유리(111)와 승강로 측 유리(113)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승강장 측 유리(111)와 승강로 측 유리(113)를 접착하는 시트이다.
이와 같은 합판유리를 이용함으로써, 화재시나 지진시 등에 유리창(110)이 비산(飛散)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여, 이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단, 승강장 측에 내열유리를 배치하고, 승강로 측에 강화유리를 배치해도 된다.
또, 유리창(110)(승강장 측 유리(111), 승강로 측 유리(113))은 유리제가 아니고, 그 외의 투광부재(예를 들면, 아크릴)라도 된다.
왼쪽 도어(101)는 승강장 측의 면을 구성하는 승강장 측 패널(131)과 승강로 측의 면을 구성하는 승강로 측 패널A(136)이 서로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동(空洞)을 가지고 있다. 승강장 측 패널(131)의 내면과 승강로 측 패널A(136)의 내면은 떨어져 있다.
승강장 측 패널(131)과 승강로 측 패널A(136)은 1쌍의 창구멍(115)을 가지며, 유리창(110)을 유리창(110)의 두께방향에서 사이에 두고, 유리창(110)을 1쌍의 창구멍(115) 부분에 배치하고 있다. 유리창(110)은 승강장 측 패널(131)과 승강로 측 패널A(136)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유리창(110)의 좌우 양측은 불연성의 측부 완충재(159)로 보호되어 있다.
왼쪽 도어(101)는 상자 모양 내부에 장착된 측부보강금구(169)에 의해, 일그러지지 않도록 보강되어 있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의 B-B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오른쪽이 승강장 측이고, 왼쪽이 승강로 측이다.
왼쪽 도어(101)의 내부에는 유리창(110)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화재시 등에 용융되어 늘어져 떨어진 중간필름(112)을 받아들이는 받이금구A(121)(받이부재)가 구비된다.
받이금구A(121)는 유리창(110)의 폭방향을 향하여 신장하고 있는 막대 모양을 형성한다. 유리창(110)의 폭방향은 유리창(110)의 두께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며, 도 1 및 도 2의 횡방향이고, 도 3의 앞에서 안쪽을 향한 방향이다. 도 3은 받이금구A(121)의 신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받이금구A(121)의 폭방향은 받이금구A(121)의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유리창(110)의 두께방향이고, 도 3의 횡방향이다.
받이금구A(121)의(신장방향의) 길이는 유리창(110)의 폭 이상이다. 받이금구A(121)가 유리창(110)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받이금구A(121)는 유리창(110)의 어느 위치로부터 늘어져 떨어진 중간필름(112)이라도 받아들일 수 있다.
또, 받이금구A(121)는 왼쪽 도어(101)의 폭과 동일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신장방향의 양단이 왼쪽 도어(101)의 좌우 양측에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중간필름(112)이 받이금구A(121)를 신장방향으로 타고 가서 받이금구A(121)의 양단으로부터 늘어져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받이금구A(121)는 승강장 측 측부(121a)와 승강로 측 측부(121b)와 바닥부(121c)를 가지고, 상부에서 개구한 종단면 'U'자 모양('J'자 모양, 오목 모양, 횡방향의 'C'자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받이금구A(121)가 종단면 'U'자 모양을 형성하여 승강장 측과 승강로 측에 벽을 가지고, 승강장 측과 승강로 측을 닫은 홈 모양을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중간필름(112)이 받이금구A(121)의 승강장 측 및 승강로 측으로부터 늘어져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받이금구A(121)는 종단면 'H'자 모양이나 종단면 'V'자 모양 등을 형성하여 승강장 측과 승강로 측에 벽을 형성해도 된다.
바닥부(121c)는 유리창(110)의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둔 아래쪽에서 판상을 형성하고, 유리창(1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유리창(110)의 폭방향으로 신장하며, 유리창(110)의 바닥면과 대면하여 중간필름(112)을 받아들인다.
승강장 측 측부(121a)는 유리창(110)의 폭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판상을 형성하고, 바닥부(121c)의 승강장 측의 측변에서부터 위쪽으로 신장하고 있다.
승강로 측 측부(121b)는 유리창(110)의 폭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는 판상을 형성하고, 바닥부(121c)의 승강로 측의 측변에서부터 위쪽으로 신장하고 있다.
받이금구A(121)는 승강장 측 측부(121a)의 외면에서 승강장 측 패널(131)의 내면에 접합되고, 승강로 측 측부(121b)의 외면에서 승강로 측 패널A(136)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왼쪽 도어(101)는 또한 받이금구A(121)와 같은 형상 또는 유사한 형상의 받이금구B(122)(받이부재)를 구비한다. 받이금구B(122)는 받이금구A(12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며, 받이금구A(121)와 받이금구B(122)는 상하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받이금구A(121)의 아래쪽에 받이금구B(122)를 구비함으로써, 받이금구A(121)로부터 빠져 떨어져 버린 용융된 중간필름(112)을 받이금구B(122)로 받아들일 수 있다.
받이금구A(12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받이금구B(122)는 하나라도 되고 복수라도 상관없다. 또, 왼쪽 도어(101)는 받이금구B(122)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패널판(138), 상부보강금구A(161), 상부장착금구A(141), 하부장착금구B(147) 및 하부장착금구A(146)는 승강로 측 패널A(136)를 구성한다.
패널판(138)은 승강로 측 패널A(136)의 베이스가 되어 있고, 상부보강금구A(161)는 상부보강금구B(162)와 함께 왼쪽 도어(101)의 상부를 보강하고 있으며, 상부장착금구A(141), 하부장착금구B(147) 및 하부장착금구A(146)는 유리고정 프레임(114)를 구성하여 유리창(110)을 창구멍(115) 부분에 고정하고 있다. 또, 하부보강금구(166)는 왼쪽 도어(101)의 하부를 보강하고 있다.
하부장착금구A(146)는 유리창(110)의 바닥면과 대략 같은 높이에서 승강로 측으로부터 승강장 측을 향하여 중간필름(112)의 앞까지 신장하고 있고(지지부(146a), 돌출부), 승강로 측 유리(113)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다. 유리창(110)의 상하는 불연성의 상부 완충재(151)와 하부 완충재(156)로 보호되며, 하부장착금구A(146)는 하부 완충재(156)를 통하여 승강로 측 유리(113)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다.
하부장착금구A(146)의 승강장 측을 향한 선단과 승강장 측 패널(131)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틈새(119)가 형성되고, 유리창(110)의 바닥면(승강장 측 유리(111)와 중간필름(112)과의 부분)과 받이금구A(121)의 바닥부(121c)가 틈새(119)를 통해서 대면하고 있다. 그리고, 용융된 중간필름(112)은 틈새(119)로부터 받이금구A(121)의 바닥부(121c)로 늘어져 떨어진다.
유리창(110)의 중간필름(112)의 아래쪽에 틈새(119)를 형성함으로써, 용융된 중간필름(112)은 받이금구A(121)로 늘어져 떨어지기 때문에, 용융된 중간필름(112)이 유리고정 프레임(114)에 체류하여 발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받이금구A(121)로 늘어져 떨어진 중간필름(112)이 발화해도 중간필름(112)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내부에서 연소한다.
이것에 의해, 어느 층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여 유리창(110)의 중간필름(112)이 용융되어도, 용융되어 발화한 중간필름(112)이 승강로에 떨어지지 않아, 승강로를 통해서 다른 층이 연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이하와 같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에 대해 설명했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는 승강장 도어 패널의 일부에 유리창(창구멍(115))을 구비하고, 내열유리와 비내열유리를 조합한 합판유리(유리창(110))가 유리창에 장착되어 있다. 또, 합판유리는 화재가 생기는 승강장 측에 비내열유리가 위치하고, 비가열 측인 승강로 측에 내열유리가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비내열유리의 소실과 함께 합판유리의 중간필름도 소실한다. 그리고, 중간필름이 용융되어 비가열면 측(승강로 측)으로 늘어져 발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는 유리의 고정 보강부(유리고정 프레임(114))의 하측에 종단면 'C'형(혹은, 종단면이 'C'형과 유사한 형상)의 부재(받이금구A(121))를 구비한다. 유리고정 프레임(114)의 하측에 설치한 부재는 개구 측이 도어 상면을 향하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는 이면판(裏面板)(승강로 측 패널A(136))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화재시에 용융된 중간필름(112)을 종단면 'C'형의 부재로 받아들이고, 또한, 이면판에 의해 만들어진 막다른 통로에 의해, 중간필름(112)이 발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중간필름(112)이 만일 발화해도 중간필름(112)의 화염이 이면판에 의해 도어 이면으로 나가지 않기 때문에, 다른 층으로의 연소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는 유리의 고정 보강부(하부장착금구A(146))와 승강장 도어 패널(승강장 측 패널(131))과의 사이에 틈새(119)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화재시에 용융된 중간필름(112)을 틈새(119)로부터 도어 이면으로 흘릴 수 있어, 중간필름(112)이 창부(유리고정 프레임(114))에 체류하여 발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과 다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형태에 대해 왼쪽 도어(10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설명을 생략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도 4는 실시형태 2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받이금구A(12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승강장 측 측부(121a)와 승강로 측 측부(121b)와 바닥부(121c)를 가지고, 승강로 측 측부(121b)가 바닥부(121c)의 승강로 측의 측변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신장하며, 종단면 'N'자 모양(횡방향의 'Z'자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또, 받이금구A(12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승강장 측 측부(121a)의 외면에서 승강장 측 패널(131)의 내면에 접합되며, 승강로 측 측부(121b)의 외면에서 승강로 측 패널A(136)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받이금구A(121)는 승강장 측 측부(121a)와 하부장착금구A(146)(승강로 측 패널A(136)의 일부)에서 승강장 측과 승강로 측을 닫고 있다.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는 받이금구A(121)의 승강장 측과 승강로 측 중 적어도 한쪽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패널(승강장 측 패널(131), 승강로 측 패널A(136))에 의해 닫혀 있는 것을 특징 중 하나로 한다.
예를 들면, 받이금구A(121)는 종단면이 좌우 반대의 'L'자 모양을 형성하고, 받이금구A(121)의 승강장 측 측부(121a)와 승강로 측 패널A(136)에서 승강장 측과 승강로 측을 닫아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받이금구A(121)는 종단면이 'L'자 모양 또는 좌우 반대의 'N'자 모양을 형성하고, 승강장 측 패널(131)과 받이금구A(121)의 승강로 측 측부(121b)에서 승강장 측과 승강로 측을 닫아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받이금구A(121)는 종단면이 횡선(橫線) 모양(횡방향의 'I'자 모양)을 형성하고, 승강장 측 패널(131)과 승강로 측 패널A(136)에서 승강장 측과 승강로 측을 닫아도 된다.
또, 받이금구A(121)는 승강장 측 측부(121a)가 승강장 측 유리(111)의 바닥면과 동일한 정도의 높이까지 신장하고 있고, 아울러, 승강장 측 측부(121a)의 상단부(지지부(121d))가 승강장 측에서부터 승강로 측을 향하여 중간필름(112)의 앞까지 돌출하고 있으며, 승강장 측 측부(121a)의 상단부에서 승강장 측 유리(111)의 바닥면을 하부 완충재(156)를 통하여 지지하고 있다. 단, 승강장 측 측부(121a)의 상단부는 승강장 측 유리(111)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으면, 승강로 측을 향하여 신장하고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는 받이금구A(121)의 상단부에서 유리창(110)의 바닥면의 일부(중간필름(112)을 제외함)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 중 하나로 한다.
왼쪽 도어(10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받이금구A(121)와 동일한 형상 또는 유사한 형상의 받이금구B(122)를 받이금구A(121)보다 아래쪽에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이금구B(122)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종단면이 'U'자 모양을 형성해도 된다. 또, 받이금구A(121)가 실시형태 1과 같이 종단면 'U'자 모양을 형성하고, 받이금구B(122)가 실시형태 2와 같이 종단면 'N'자 모양을 형성해도 된다. 또, 왼쪽 도어(101)는 받이금구B(122)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효과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고, 용융되어 늘어져 떨어진 중간필름(112)을 받이금구A(121)로 받아들임으로써, 용융된 중간필름(112)이 승강로에 떨어져 다른 층이 연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과 다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형태에 대해 왼쪽 도어(10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설명을 생략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도 5는 실시형태 3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받이금구A(121)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승강장 측 측부(121a)와 승강로 측 측부(121b)와 바닥부(121c)를 가지고, 종단면 'U'자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받이금구A(121)는 승강장 측 측부(121a)가 승강장 측 패널(131)의 내면에 접합되고, 바닥부(121c)가 유리창(110)의 두께 정도의 폭을 가지며, 승강로 측 측부(121b)가 승강로 측 패널A(136)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지 않다.
받이금구A(121)는 실시형태 1과 같이 바닥부(121c)가 승강장 측 패널(131)로부터 승강로 측 패널A(136)까지의 폭을 가지지 않아도 되고, 바닥부(121c)가 적어도 중간필름(112)의 연직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실시형태 3에 따른 효과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고, 용융되어 늘어져 떨어진 중간필름(112)을 받이금구A(121)로 받아들임으로써, 용융된 중간필름(112)이 승강로에 떨어져 다른 층이 연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3과 다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형태에 대해 왼쪽 도어(10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설명을 생략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하다.
<실시예 1>
도 6은 실시형태 4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4에서의 왼쪽 도어(101)는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3과 같이 유리창(110)을 승강장 측 패널(131) 측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유리창(110)을 승강로 측 패널A(136) 측에 배치하고 있다.
왼쪽 도어(101)는 승강장 측 패널(131)이 유리창(110)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승강장 측으로부터 승강로 측을 향하여 중간필름(112)의 앞까지 신장하고 있으며(지지부(131a), 돌출부), 승강장 측 유리(111)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다.
또, 받이금구A(121)는,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상단에서 유리창(110)의 바닥면을 지지해도 된다. 즉, 받이금구A(121)는 승강로 측 측부(121b)가 승강로 측 유리(113)의 바닥면과 동일한 정도의 높이까지 신장하고 있고, 아울러, 승강로 측 측부(121b)의 상단부(지지부)가 승강로 측으로부터 승강장 측을 향하여 중간필름(112)의 앞까지 돌출하며, 승강로 측 유리(113)의 바닥면을 지지해도 된다.
또, 받이금구A(121)는,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승강장 측과 승강로 측 중 한쪽만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00)의 패널(승강장 측 패널(131), 승강로 측 패널A(136))의 내면에 접합해도 된다. 즉, 받이금구A(121)는 승강장 측 측부(121a)가 승강장 측 패널(131)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실시예 2>
도 7은 실시형태 4에서의 왼쪽 도어(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4에서의 왼쪽 도어(101)는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3과 같이 유리창(110)을 승강장 측 패널(131) 측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유리창(110)을 승강장 측 패널(131)과 승강로 측 패널A(136)와의 중간에 배치하고 있다. 왼쪽 도어(101)는 도 7과 같은 유리창(110) 부분에서 좁아진 모래시계 모양이 아니고, 승강장 측 패널(131)과 승강로 측 패널A(136)과의 간격이 유리창(110)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직방체를 형성해도 된다.
왼쪽 도어(101)는 승강장 측 패널(131)(지지부(131a))이 승강장 측 유리(111)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아울러, 승강로 측 패널A(136)을 구성하는 하부장착금구A(146)(지지부(146a))가 승강로 측 유리(113)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다.
또, 받이금구A(121)는,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상단에서 유리창(110)의 바닥면을 지지해도 된다. 즉, 승강장 측 패널(131)과 승강로 측 패널A(136)이 유리창(1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대신에, 받이금구A(121)의 승강장 측 측부(121a)가 상단부(지지부)에서 승강장 측 유리(111)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아울러, 받이금구A(121)의 승강로 측 측부(121b)가 상단부(지지부)에서 승강로 측 유리(113)의 바닥면을 지지해도 된다. 이 때, 받이금구A(121)의 승강장 측 측부(121a)는 승강장 측 유리(111)의 바닥면과 동일한 정도의 높이까지 신장하고 있고, 아울러, 승강로 측을 향하여 중간필름(112)의 앞까지 신장하고 있다. 또, 받이금구A(121)의 승강로 측 측부(121b)는 승강로 측 유리(113)의 바닥면과 동일한 정도의 높이까지 신장하고 있고, 아울러, 승강장 측을 향하여 중간필름(112)의 앞까지 신장하고 있다.
실시형태 4에 의한 효과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고, 용융되어 늘어져 떨어진 중간필름(112)을 받이금구A(121)로 받아들임으로써, 용융된 중간필름(112)이 승강로에 떨어져 다른 층이 연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00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101 왼쪽 도어,
102 오른쪽 도어, 110 유리창,
111 승강장 측 유리, 112 중간필름,
113 승강로 측 유리, 114 유리고정 프레임,
115 창구멍, 119 틈새,
121 받이금구A, 121a 승강장 측 측부,
121b 승강로 측 측부, 121c 바닥부,
121d 지지부, 122 받이금구B,
131 승강장 측 패널, 131a 지지부,
136 승강로 측 패널A, 137 승강로 측 패널B,
138 패널판, 141 상부장착금구A,
146 하부장착금구A, 146a 지지부,
147 하부장착금구B, 149 측부장착금구,
151 상부 완충재, 156 하부 완충재,
159 측부 완충재, 161 상부보강금구A,
162 상부보강금구B, 166 하부보강금구,
169 측부보강금구.
102 오른쪽 도어, 110 유리창,
111 승강장 측 유리, 112 중간필름,
113 승강로 측 유리, 114 유리고정 프레임,
115 창구멍, 119 틈새,
121 받이금구A, 121a 승강장 측 측부,
121b 승강로 측 측부, 121c 바닥부,
121d 지지부, 122 받이금구B,
131 승강장 측 패널, 131a 지지부,
136 승강로 측 패널A, 137 승강로 측 패널B,
138 패널판, 141 상부장착금구A,
146 하부장착금구A, 146a 지지부,
147 하부장착금구B, 149 측부장착금구,
151 상부 완충재, 156 하부 완충재,
159 측부 완충재, 161 상부보강금구A,
162 상부보강금구B, 166 하부보강금구,
169 측부보강금구.
Claims (12)
- 엘리베이터 승강장(乘降場) 측의 면을 구성하는 승강장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昇降路) 측의 면을 구성하는 승강로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연(可燃)부재와,
상기 가연부재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용융된 상기 가연부재의 낙하물을 받아들이는 받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연부재는 판상(板狀)의 투광(透光)부재이고,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는 한 쌍의 창구멍을 가지며, 상기 가연부재를 상기 가연부재의 두께방향에서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창구멍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측에 배치되는 승강장 측 투광재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측에 배치되는 승강로 측 투광재와, 상기 승강장 측 투광재와 상기 승강로 측 투광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아울러, 상기 승강장 측 투광재와 상기 승강로 측 투광재를 접착하는 중간필름을 가지며,
상기 받이부재는,
용융된 상기 중간필름을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재는,
상기 투광부재의 상기 두께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상기 투광부재의 폭방향으로 신장(伸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재는 신장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U'자 모양 또는 'N'자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재는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의 내면과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의 내면에 접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재는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의 내면과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의 내면 중 어느 한쪽에 접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복수의 상기 받이부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받이부재는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3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상기 투광부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투광부재의 바닥면의 일부를 지지하고, 아울러, 상기 일부를 제외한 상기 투광부재의 상기 바닥면을 상기 받이부재에 대면(對面)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장 측 투광재와 상기 승강로 측 투광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재는 상단에 상기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측 패널부와 상기 승강로 측 패널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창구멍보다 아래쪽에서 상기 투광부재의 상기 두께방향을 향해서 상기 중간필름의 앞까지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지지부로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7/073564 WO2009072202A1 (ja) | 2007-12-06 | 2007-12-06 | エレベータ乗場ドア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3138A true KR20100063138A (ko) | 2010-06-10 |
KR101203759B1 KR101203759B1 (ko) | 2012-11-21 |
Family
ID=4071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09370A KR101203759B1 (ko) | 2007-12-06 | 2007-12-06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2239223B1 (ko) |
JP (1) | JP5188509B2 (ko) |
KR (1) | KR101203759B1 (ko) |
CN (1) | CN101878177B (ko) |
HK (1) | HK1148722A1 (ko) |
WO (1) | WO20090722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20116266A (fi) | 2011-12-13 | 2013-06-14 | Kone Corp | Eristetty hissin tason ovi |
EP3210927B1 (en) * | 2014-10-20 | 2020-09-16 | Hitachi, Ltd. | Elevator apparatus |
US10683697B2 (en) | 2018-06-08 | 2020-06-16 | Ep Acquisition, Inc. | Fire-rated sliding glass elevator door |
EP3659958B1 (en) * | 2018-11-29 | 2021-01-13 | Otis Elevator Company | Column-integrated step for elevator systems |
US11512524B1 (en) | 2019-07-22 | 2022-11-29 | Ep Acquisition, Inc. | Fire-rated elevator door frame and transom flush with door |
GB2627477A (en) * | 2023-02-23 | 2024-08-28 | Focus Dgi Ltd | Vision panel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239888B (en) * | 1990-01-13 | 1994-02-23 | Furse Lifts Limited | Lift door assembly |
JP2512337B2 (ja) * | 1990-04-27 | 1996-07-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の窓付き扉 |
JPH06144760A (ja) * | 1992-11-02 | 1994-05-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用窓付扉 |
JP3248670B2 (ja) * | 1996-06-28 | 2002-01-21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防火合わせガラス板の取付構造 |
DE10003661A1 (de) * | 2000-01-28 | 2001-08-09 | Berthold Pesch | Türblatt für Aufzüge |
DE20006159U1 (de) * | 2000-04-04 | 2000-07-06 | AMFT Ritschel GmbH, 85521 Riemerling | Rahmenblatt |
JP2006124040A (ja) * | 2004-10-26 | 2006-05-18 | Fujitec Co Ltd | エレベータのガラス窓付きドア |
-
2007
- 2007-12-06 KR KR1020107009370A patent/KR1012037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12-06 CN CN200780101724.3A patent/CN101878177B/zh active Active
- 2007-12-06 EP EP20070850180 patent/EP2239223B1/en active Active
- 2007-12-06 JP JP2009544536A patent/JP5188509B2/ja active Active
- 2007-12-06 WO PCT/JP2007/073564 patent/WO200907220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
- 2011-03-22 HK HK11102828.1A patent/HK1148722A1/xx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3759B1 (ko) | 2012-11-21 |
EP2239223A1 (en) | 2010-10-13 |
EP2239223A4 (en) | 2013-10-30 |
JPWO2009072202A1 (ja) | 2011-04-21 |
CN101878177A (zh) | 2010-11-03 |
JP5188509B2 (ja) | 2013-04-24 |
HK1148722A1 (en) | 2011-09-16 |
CN101878177B (zh) | 2013-08-07 |
WO2009072202A1 (ja) | 2009-06-11 |
EP2239223B1 (en) | 2015-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3759B1 (ko)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
JP2502182B2 (ja) | エレベ―タ―乗場ドア装置 | |
TW491809B (en) | Elevator door and door hanger device | |
SK3622001A3 (en) | Fire door with a doorframe surrounding said door | |
CN102711922A (zh) | 火灾避难逃离装置 | |
KR101870568B1 (ko) | 엘리베이터 도어의 투광장치 | |
EP3237800B1 (en) | Light panel | |
FR2610311A1 (fr) | Porte d'ascenseur coupe-feu | |
JP2019060229A (ja) | 防火戸 | |
JP2000302361A (ja) | 耐火エレベータシャフトドア | |
KR200476513Y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 |
KR20110100818A (ko) | 엘리베이터 도어 | |
JP4674974B2 (ja) | エレベータ乗場の扉装置 | |
JPWO2003016193A1 (ja) | エレベータの乗場戸 | |
JP4430079B2 (ja) | 防火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の乗り場ドア装置 | |
JP2020528037A (ja) | エレベータの手挟み防止用安全装置 | |
KR102612545B1 (ko) | 방음터널 화재확산을 차단하는 화재확산차단 시스템 | |
JP5554474B2 (ja) | 避難経路構造 | |
JPH08312262A (ja) | 防火戸の下部案内装置 | |
JPH07100222A (ja) | 避難階段 | |
KR20240015209A (ko) | 차열스크린 2중 방화셔터 | |
JP2022054300A (ja) | ドア | |
JP2005201012A (ja) | エレベータ乗場の防火防煙装置 | |
KR20240136880A (ko) | 화재안전 방음벽 | |
KR20240020973A (ko) | 방화 스크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