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123A -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123A
KR20100063123A KR1020107008741A KR20107008741A KR20100063123A KR 20100063123 A KR20100063123 A KR 20100063123A KR 1020107008741 A KR1020107008741 A KR 1020107008741A KR 20107008741 A KR20107008741 A KR 20107008741A KR 20100063123 A KR20100063123 A KR 2010006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car
pressure change
time
tim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204B1 (ko
Inventor
게이고 야마모토
마사지 이이다
도시야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승객에 대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압 제어 장치(104)는 송풍기나 에어 컴프레서 등의 기압 조정 장치(105)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한다. 기압 제어 장치(104)는 발착시 제어부(121)가 출발층으로부터 출발시의 시간대인 제1기(또는 도착층으로의 도착시)에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크게 변화시키고, 또 발착외 제어부(122)가 그 후의 제2기(또는 도착시까지의 시간)에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작게 변화시킨다. 이 2단계의 기압 제어에 의해, 승객은 짧은 시간 T1에 귀 뚫음을 촉구받고, 이 귀 뚫음에 의해 귀 막힘이 해소되고, 그 후, 도착층에 도착할 때까지 쾌적하게 엘리베이터칸(102)으로 승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ELEVATOR ATMOSPHERIC PRESSURE CONTROLLE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칸 하강시의 기압 제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있어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에서, 비제어시에는 비제어 패턴(201)과 같이 변화하는 승강 중인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직선 제어 패턴(2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변화율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승강 속도가 커져도, 기압 변화율(시간에 대해 기압이 변화하는 비율)이 비제어시보다 완만하게 된다.
또, 비특허 문헌 1에서는, 귀 막힘(clogging of ear)과 기압 변화율의 관계성은 희박하다고 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5-11988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8-81162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후나이 기요시, 하야시 요시카츠, 코이즈미 다카유키, 츠지우치 노부타카, 오카모토 미츠하루, 「초고속 엘리베이터 주행시의 이폐감(耳閉感)과 고막 거동 해석」, 일본 기계 학회, 승강기ㆍ유희 시설 등의 최근의 기술과 진보 기술 강연회 강연 논문집, 2004년 1월 21일, pp27-30
이 때문에, 종래의 기압 제어 방법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시에 일어나는 승객의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크게 완화시킬 수 없다고 생각된다.
또, 엘리베이터의 승강 도중에, 침 삼킴 등에 의한 귀 뚫음(draw air in ear)을 행하여 일시적으로 귀 막힘을 완화시켜도, 일정 시간 경과했을 때에 다시 승객이 귀 막힘을 느낀다고 하는 것이 염려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승객에 대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는, 상승 중인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감압하거나 하강 중인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가압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압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이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소정의 제1 시간대에 소정의 제1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제1 기압 변화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소정의 제2 시간대에 소정의 제2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제2 기압 변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출발시 시간대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도착층에 도착했을 때에 끝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도착시 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이고, 상기 제2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시간대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2 시간대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발시 시간대인 상기 제1 시간대의 시간 길이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이동하기 시작하고 나서 상기 도착층까지 내는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시간 길이 이하이고, 상기 도착시 시간대인 상기 제1 시간대의 시간 길이는 감속하기 시작한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최고 속도로부터 정지하기까지 필요한 시간 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제2 기압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제1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이동하는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출발층으로부터 상기 도착층까지의 평균 속도로 상기 제1 시간대의 시간 길이 동안에 이동하는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승객이 이관(耳管)을 개구(開口)하는 기압 변화량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하강할 때의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승할 때의 상기 제1 기압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인 제1 기압 변화율은 상기 제2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인 제2 기압 변화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조정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조정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인 상기 제1 기압 변화율은 상기 엘리베이터 기압 조정 장치의 조정 성능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내압 성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기압 변화율의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기압 변화부는 상기 출발층과 상기 도착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는, 추가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소정의 제3 시간대에 소정의 제3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제3 기압 변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출발시 시간대이고, 상기 제3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도착층에 도착했을 때에 끝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도착시 시간대이고, 상기 제2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출발시 시간대 후부터 상기 도착시 시간대 전까지의 중간 시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이고, 상기 제2 기압 변화량은 상기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고 나서 이폐감을 느끼기 시작할 때까지의 기압 변화량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이고, 상기 제3 기압 변화량은 상기 출발층과 상기 도착층의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변화량인 전체 기압 변화량으로부터 상기 제1 기압 변화량과 상기 제2 기압 변화량을 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승 중인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감압하거나 하강 중인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가압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압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이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출발시 시간대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도착층에 도착했을 때에 끝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도착시 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를 발착시(發着時) 시간대로 하고, 상기 발착시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발착시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발착시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를 발착외(發着外) 시간대로 하고, 상기 발착외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발착외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2단계 기압 변화부와; 상기 출발시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출발시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고, 상기 도착시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도착시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출발시 시간대 후로부터 상기 도착시 시간대 전까지의 시간대를 중간 시간대로 하고, 상기 중간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중간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3단계 기압 변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출발층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도착층에 기초하여, 상기 2단계 기압 변화부와 상기 3단계 기압 변화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승강 중인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제1 기압 변화량과 제2 기압 변화량의 2단계로 가감압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승객에 대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0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칸 하강시의 기압 제어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0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00)의 엘리베이터칸(102)은 균형추(106)와 함께 현가 로프(suspension rope; 108)에 매달려져, 권상기(107)가 현가 로프(108)를 감아올림으로써 승강로(101) 내를 승강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9; 도시 생략)는 권상기(107)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02)을 승강 또는 정지하고, 또 엘리베이터칸(102)의 도어를 개폐 제어한다.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은 엘리베이터칸(102)에 장착된 송풍기나 에어 컴프레서 등의 기압 조정 장치(105)에 의해 가압 및 감압되어 컨트롤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00)는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하는 기압 제어 장치(10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층 빌딩에 마련된 고층의 엘리베이터(100)에서는 저층계(低層階; 예를 들어 1층)과 고층계(예를 들어 최상층) 사이에 고저차가 크기 때문에, 승강 중인 엘리베이터칸(102) 내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이 크다. 그리고, 승객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큰 기압 변화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중에 귀 막힘을 느낀다. 예를 들어 1층과 최상층의 사이를 다른 층에 멈추지 않고 직통으로 왕래하는 엘리베이터(100)에 있어서, 승객은 1층의 기압 Pd와 최상층의 기압 Pt의 기압차에 의해, 최상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103a)으로부터 엘리베이터칸(102)에 탑승하고 나서 엘리베이터칸(102)이 1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하강 중 및 1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103b)으로부터 엘리베이터칸(102)에 탑승하고 나서 엘리베이터칸(102)이 최상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상승 중에 귀 막힘을 느낀다.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은 「귀 울림」 또는 「이폐감」이라 불리며, 귀의 고막이 외이(外耳; 고막의 바로 앞)측 기압과 중이(中耳; 고막의 안쪽)측 기압의 기압차에 의해 외이측 또는 중이측으로 팽창하는 것에 의해 느껴지는 것이다. 인간(또는 동물)은 엘리베이터의 승강 중 외에, 비행기의 이착륙시나 열차가 터널에 진입할 때 등, 주위 기압의 변화량이 클 때에 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느낀다.
이하,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이폐감」이라 한다.
이폐감은 중이와 비강(鼻腔)을 연결하고 있는 이관을 개구하고 비강으로부터 중이에 외기(外氣)를 받아 들여서, 중이측의 기압과 외이측의 기압의 밸런스를 잡음으로써 해소된다.
이폐감의 해소에는 사람이 의식적으로 이관을 개구하는 「능동적인 이관의 개구」와 자동적으로 이관이 개구하는「수동적인 이관의 개구」가 있다.
「능동적인 이관의 개구」는 타액(침)을 삼키거나 하품함으로써 행해지며, 일반적으로 「귀 뚫음」이라 불린다.
「수동적인 이관의 개구」는 중이측의 기압이 외이측의 기압보다 큰 경우, 즉 주위의 기압이 내려간 경우에 중이측과 외이측의 기압차에 의해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개인차는 있으나, 사람은 주위의 기압이 「저」로부터 「고」로 변화하는 경우(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하강시)에는 기압의 변화량이 2400Pa(파스칼) ~ 4800Pa 정도에 도달하면 이폐감이 증대하기 때문에, 귀 뚫음에 의한 능동적인 이관의 개구를 행하여 이폐감을 해소한다. 또, 주위의 기압이 「고」로부터 「저」로 변화하는 경우(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상승시)에는 기압의 변화량이 2000Pa 정도에 도달하면 수동적인 이관의 개구가 일어나 이폐감이 해소된다.
또한, 기압은 고저차 100m(미터)당, 약 1200Pa 변화하기 때문에, 능동적인 이관의 개구가 행해지는 기압의 변화량 2400Pa는 200m 정도 아랫쪽으로 이동했을 때 기압의 변화량에 상당하고, 수동적인 이관의 개구가 일어나는 기압의 변화량 2000Pa는 167m 정도 윗쪽으로 이동했을 때 기압의 변화량에 상당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능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능 구성에 대해, 도 2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기압 제어 장치(104)는 2단계 제어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이동 중(상승 중, 하강 중)의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칸(102) 내 승객의 이폐감을 완화시킨다.
2단계 제어부(120; 2단계 기압 변화부)는 소정의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따라서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함으로써, 상승 중인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2단계로 감압함과 아울러, 하강 중인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2단계로 가압한다. 예를 들어 기압 조정 장치(105)는 엘리베이터칸(102)에 장착된 송풍기나 에어 컴프레서이고, 2단계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의 2단계 제어 패턴(210)으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가감압한다.
또, 기압 제어 장치(10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도시 생략)나 메모리(기억 기기; 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기압 제어 장치(104)의 메모리에는 소정의 2단계 제어 패턴(210)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 2단계 제어부(120)는 CPU를 이용하여 기압 조정 장치(105)로의 전력의 공급량이나 공급 시간을 조정하거나,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명령 신호를 출력하여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한다.
2단계 제어부(120)는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이하, 출발시 시간대로 함)에, 소정의 출발시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기압 조정 장치(105)에 가감압시키는 발착시 제어부(121; 제1 기압 변화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또, 2단계 제어부(120)는 출발시 시간대 후부터 엘리베이터칸(102)이 도착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대, 즉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중에 있어서 출발시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이하, 출발외 시간대로 함)에 소정의 출발외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기압 조정 장치(105)에 가감압시키는 발착외 제어부(122; 제2 기압 변화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출발시 시간대(제1 시간대의 일례), 출발시 기압 변화량(제1 기압 변화량의 일례) 및 출발시 기압 변화율(제1 기압 변화율의 일례)은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해 나타난다. 출발시 기압 변화율은 출발시 시간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이다
또, 출발외 시간대(제2 시간대의 일례), 출발외 기압 변화량(제2 기압 변화량의 일례) 및 출발외 기압 변화율(제2 기압 변화율의 일례)은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해 나타난다. 출발외 기압 변화율은 출발외 시간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을 말한다.
출발시 시간대, 출발시 기압 변화량, 출발시 기압 변화율, 출발외 시간대, 출발외 기압 변화량 및 출발외 기압 변화율은 일정 값으로 정해져도 되고, 엘리베이터칸(102)의 양정(楊程; 승강 고저차)에 따라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저층계(예를 들어 1층 플로어)과 고층계(예를 들어 전망 플로어)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엘리베이터(100)에서는 이들의 값이 일정 값으로 정해져 있다. 엘리베이터칸(102)의 양정에 따라 이들의 값을 정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4에서 설명한다.
2단계 제어 패턴(210)에는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에 이용되는 2단계 제어 패턴(210)과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에 이용되는 2단계 제어 패턴(210)이 있고, 양쪽의 2단계 제어 패턴(210)이 미리 정해져, 기압 제어 장치(104)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2단계 제어부(12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9)로부터 엘리베이터칸(102)의 이동 방향(상승 또는 하강)을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한 정보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에 따른 2단계 제어 패턴(210)을 선택하여 메모리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발착시 제어부(121) 및 발착외 제어부(122)는 2단계 제어부(120)가 선택한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따라서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가감압시킨다.
또한, 출발층 및 도착층은 편도의 것이다. 예를 들어 1층으로부터 최상층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1층이 출발층으로 되고 최상층이 도착층으로 된다. 또, 최상층으로부터 1층에 하강하는 경우에는, 최상층이 출발층으로 되고 1층이 도착층으로 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엘리베이터칸(102) 내 승객의 이폐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상세에 대해, 도 3 및 도 4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단위:초)을 나타내고 있고,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을 향하여 시간이 경과한다. 또, 세로축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단위:파스칼)을 나타내고 있고,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기압이 상승한다.
점 X는 엘리베이터칸(102)이 승강하기 시작할 때의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이고, 출발층 고도의 기압을 나타내고 있다. 점 Y는 엘리베이터칸(102)이 승강 종료시의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이고, 도착층 고도의 기압을 나타내고 있다.
선 L은 「제1기」로부터 「제2기」로 전환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점 Z, 점 W 및 점 V는 각각, 2단계 제어 패턴(210), 비제어 패턴(201) 및 일정 변화 패턴(203)과 선 L의 교차점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점 Z, 점 W 및 점 V는 2단계 제어 패턴(210), 비제어 패턴(201) 및 일정 변화 패턴(203)의 각각에 대해, 「제1기」의 종료 시점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우선 비제어 패턴(201) 및 일정 변화 패턴(203)에 대해 설명한다.
비제어 패턴(201)은 제어하지 않는 경우의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되고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은 엘리베이터칸(102)이 위치하는 고도의 기압과 거의 같은 기압이 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102)이 하강 중인 도 3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높아지고, 엘리베이터칸(102)이 상승 중인 도 4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낮아진다. 또, 비제어 패턴(201)은 엘리베이터칸(102)이 정지 상태로부터 가속하는 승강의 개시(시간축의 좌단측)와 엘리베이터칸(102)이 감속하는 승강 종료(시간축의 우단측)에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변화량이 작아진다.
일정 변화 패턴(203)은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까지의 평균 속도로 등속(等速) 승강한 경우의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일정 변화 패턴(203)은 일정한 변화율로 변화시킨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대해 설명한다.
2단계 제어 패턴(210)은 개시점이 점 X이고, 종료점이 점 Y이다. 즉,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출발층에 있어서는 출발층 고도의 기압으로 하고, 도착층에 있어서는 도착층 고도의 기압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승객이 엘리베이터칸(102)에 탑승할 때 또는 엘리베이터칸(102)으로부터 내릴 때에, 엘리베이터 승강장(103)의 기압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의 기압차에 의해 이폐감을 느낀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1기」와 「제2기」의 2단계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엘리베이터칸(102)이 하강 중인 도 3에서는 「제1기」와 「제2기」에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높게 하고, 엘리베이터칸(102)이 상승 중인 도 4에서는「제1기」와 「제2기」에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낮게 하고 있다.
「제1기(제1 시간대의 일례)」는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출발시 시간대를 나타내고, 「제2기(제2 시간대의 일례)」는 출발시 시간대 후부터 엘리베이터칸(102)이 도착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대인 출발외 시간대를 나타내고 있다.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1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변화량(제1 기압 변화량의 일례, 출발시 기압 변화량)이 「제2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변화량(제2 기압 변화량의 일례, 출발외 기압 변화량)보다 크다.
이하,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변화량을 단순히 기압 변화량으로 한다.
또,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은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량(엘리베이터칸(102)이 승강하는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의 변화량)보다 크다. 또한,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은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량(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까지의 평균 속도로 승강하는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의 변화량)보다 크다.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은 점 X가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과 점 Z가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된다.
동양(同樣)으로, 「제1기」에 있어서,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량은 점 X와 점 W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량은 점 X와 점 V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된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으로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02)이 하강 중인 도 3에서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은 능동적인 이관의 개구가 행해지는 2400Pa ~ 4800Pa 정도의 범위 내에서 정해진 값이고, 엘리베이터칸(102)이 상승 중인 도 4에서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은 수동적인 이관의 개구가 일어나는 2000Pa 정도의 값이다.
주위의 기압이 상승하는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시에는 수동적인 이관의 개구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제1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이 하강할 때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은 엘리베이터칸(102)이 상승할 때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보다 크게 설정된다.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고저차(양정)가 큰 경우, 승객은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중에 복수 회, 이관을 개구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고저차가 큰 경우,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에는 승객이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중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에 있어서 출발층으로부터의 기압 변화량이 「2400Pa, 3600Pa, 4400Pa, 5000Paㆍㆍㆍ」에 도달했을 때에 승객이 이관을 개구한다고 추정된 경우,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까지의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고저차가 400m이면,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상승량(전체 기압 변화량의 일례)이 4800Pa(100m당 1200Pa)로 되기 때문에,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에는 「4400Pa」이 설정된다. 4400Pa은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상승량(4800Pa) 이하의 기압 변화량에 있어서 승객이 이관을 개구한다고 추정된 최대의 기압 변화량이다.
단,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에,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이 설정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에,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보다 큰 값이 설정되어도 상관없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1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변화율(제1 기압 변화율의 일례, 출발시 기압 변화율)이 「제2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변화율(제2 기압 변화율의 일례, 출발외 기압 변화율)보다 크다.
이하,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변화율을 단순히 기압 변화율로 한다.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은 점 X와 점 Z를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제2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은 점 Z와 점 Y를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의 절대값으로 표시된다.
또,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은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율의 최대값 및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율보다 크다.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율의 최대값은 비제어 패턴(201)의 기울기의 최대값에 상당하고,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율은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울기에 상당한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율로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최대의 기압 변화율, 또는 이 최대의 기압 변화율에 가까운 기압 변화율을 나타낸다.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최대의 기압 변화율은 기압 조정 장치(105)의 가감압 성능이나 엘리베이터칸(102)의 내압 성능 등의 각 기기의 성능에 의해 정해진다.
단, 최대의 기압 변화율은 고막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상한으로 한다. 또,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에 최대의 기압 변화율이 설정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은 10초당 1500Pa로부터 3000Pa 정도의 기압 변화를 나타낸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1기」의 시간 폭(시간 길이)이 「제2기」의 시간 폭보다 짧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1기」의 시간 길이로서, 엘리베이터칸(102)이 이동하기 시작하고 나서 도착층까지 내는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시간 길이를 나타낸다.
단,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제1기」의 시간 길이는 이들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제1기」의 시간 길이는「제1기」의 기압 변화율로 「제1기」의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로서 정해진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고저차가 300m이고, 엘리베이터칸(102)의 최고 속도가 600m/분이고, 엘리베이터칸(102)의 가속도 및 감속도가 1.1m/s2인 경우,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하고 나서 도착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은 약 39초가 되고, 엘리베이터칸(102)이 최고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은 약 9초가 된다. 여기서,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이 2400Pa이고,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이 3000Pa/10초인 경우, 「제1기」로서 필요한 시간 길이는 8초가 되고, 「제2기」의 시간 길이는 나머지인 31초가 된다.
단, 「제1기」의 시간 길이를 고정하고, 「제1기」의 기압 변화량을 「제1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으로 「제1기」의 기압 변화율을 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제1기」의 기압 변화량 2400Pa에 대해 「제1기」의 시간 길이를 10초로 한 경우, 「제1기」의 기압 변화율은 2400Pa/10초가 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에 대응되고 있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에 대응되고 있다.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과 비제어 패턴(201)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의 비교에 대해,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P2」는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이고, 「P1」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승객이 이폐감을 느끼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이다. 이하, P2를 이관 개구 기압 변화량이라 하고, P1을 이폐감 기압 변화량이라 한다.
이관 개구 기압 변화량 P2 및 이폐감 기압 변화량 P1은 실험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최적값이다.
또,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이폐감 기압 변화량 P1만큼 변화시킨 기압을, 승객이 이폐감을 느끼는 이폐감 기압(204)으로 하여 점선으로 나타내고,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이관 개구 기압 변화량 P2만큼 변화시킨 기압을, 승객이 이관의 개구에 의해 이폐감을 해소하는 이관 개구 기압(205)으로 하여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승객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이 이폐감 기압(204)에 도달하고 나서 이관 개구 기압(205)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느낀다.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한 경우에 승객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는 시간을 「T1」로 나타내고, 비제어 패턴(201)의 경우에 승객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는 시간을 「T0」으로 나타낸다. 이하, T0, T1을 각각 이폐감 시간이라 한다.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1기」에,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율의 최대값보다 큰 기압 변화율로 이관 개구 기압 변화량 P2만큼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이폐감 시간 T1은 비제어 패턴(201)의 이폐감 시간 T0보다 단시간이 된다. 동양으로,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은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율보다 크기 때문에,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이폐감 시간 T1은 일정 변화 패턴(203)의 이폐감 시간(도시 생략)보다 단시간이 된다. 즉,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함으로써, 승객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는 시간을 짧게 하여 승객의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제1기」에 이관 개구 기압 변화량 P2만큼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제2기」의 시간대, 특히 엘리베이터칸(102)이 최고 속도로 승강하는 시간대에 승객이 이폐감을 느끼는 것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승차감의 엘리베이터(100)를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에 대응되고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에 대응되고 있다.
기압 제어 장치(104)가, 도 3 및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 꺾은 선 형상의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따라서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한 경우,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은 실제로 도 7 및 도 8의 2단계 제어 패턴(210)과 같이 곡선 형상으로 변화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은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의 평균 변화율을 말하고, 「제2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은 「제2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의 평균 변화율을 말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엘리베이터(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양정(승강 행정(行程))이 큰 엘리베이터(100)에서는 승강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많은 승객은 침 삼킴 등에 의한 귀 뚫음을 행함으로써 자발적으로 불쾌감을 완화시킨다. 그래서, 엘리베이터(100)의 기압 제어 장치(104)는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에 수반하는 기압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시킨다. 또, 기압 제어 장치(104)는 승객이 행하는 귀 뚫음의 타이밍을 고려하도록 기압 조정함으로써 승객에게 비교적 쾌적한 승차감을 준다.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또는 하강 중,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감압 또는 가압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조정하는 기압 조정 장치(105)와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하는 기압 제어 장치(104)를 갖는다.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에 따라서 변화하는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조정함으로써, 승객에게 가해지는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기압 제어 장치(104)는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하여 도착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제1기와 제2기의 두 개로 나누고,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상승 중 또는 하강 중,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에 대해 제1기와 제2기에서 다른 변화를 시킨다.
2종류의 변화로 차이를 둠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승객에게 가해지는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승객에게 침 삼킴 등에 의한 귀 뚫음을 촉구하는 시기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그 외의 시기에서의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 기압 제어 장치(104)는 제1기에서 변화하는 기압차를 제1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단위 시간당의 평균 변화량이, 제2기에서 변화하는 기압차를 제2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단위 시간당의 평균 변화량보다 커지는 2단계 제어 패턴(210)으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한 초기의 단계에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크게 변화시킴으로써, 빠른 단계에서 승객에게 침 삼킴 등에 의한 귀 뚫음을 촉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객이 귀 막힘을 느끼기 시작하고 나서 귀 뚫음을 행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져서, 승객이 불쾌하게 느끼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제2기에 들어가면, 변화하는 기압이 작기 때문에, 승객이 느끼는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은 작아져서 쾌적한 승차감이 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출발시 시간대(제1기)에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크게 변화시키는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대해 설명하였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도착시 시간대(제2기)에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크게 변화시키는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다른 사항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설명을 생략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양의 것으로 한다.
발착시 제어부(121; 제1 기압 변화부의 일례)는 엘리베이터칸(102)이 도착층에 도착했을 때에 끝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이하, 도착시 시간대로 함)에, 소정의 도착시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기압 조정 장치(105)에 가감시킨다.
발착외 제어부(122; 제2 기압 변화부의 일례)는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하고 나서 도착시 시간대 전까지의 시간대, 즉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중에 있어서 도착시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이하, 도착외 시간대로 함)에 소정의 도착외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기압 조정 장치(105)에 가감압시킨다.
도착시 시간대(제1 시간대의 일례), 도착시 기압 변화량(제1 기압 변화량의 일례) 및 도착시 기압 변화율(제1 기압 변화율의 일례)은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해 나타난다. 도착시 기압 변화율은 도착시 시간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을 말한다.
또, 도착외 시간대(제2 시간대의 일례), 도착외 기압 변화량(제2 기압 변화량의 일례) 및 도착외 기압 변화율(제2 기압 변화율의 일례)은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해 나타난다. 도착외 기압 변화율은 도착외 시간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을 말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실시 형태 1의 도 3에 대응되고 있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실시 형태 1의 도 4에 대응되고 있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상세에 대해, 도 9 및 도 10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2기(제1 시간대의 일례)」는 엘리베이터칸(102)이 도착층에 도착했을 때에 끝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도착시 시간대를 나타내고, 「제1기(제2 시간대의 일례)」는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하고 나서 도착시 시간대 전까지의 시간대인 도착외 시간대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제2기(제1 시간대, 도착시 시간대)」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제1기(제1 시간대, 출발시 시간대)」와 동양인 특징을 갖는다.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2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제1 기압 변화량의 일례, 도착시 기압 변화량)이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제2 기압 변화량의 일례, 도착외 기압 변화량)보다 크다.
또, 「제2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은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량보다 크고,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량보다 크다.
「제2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은 점 Z와 점 Y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량은 점 W와 점 Y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량은 점 V와 점 Y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된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으로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승객이 이폐감을 느끼기 시작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을 나타낸다.
단,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에, 승객이 이폐감을 느끼기 시작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이 설정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량에, 승객이 이폐감을 느끼기 시작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보다 작은 값이 설정되어도 상관없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2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으로서, 점 X와 점 Y의 기압차의 절대값(전체 기압 변화량)으로부터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을 뺀 값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제2기」의 기압 변화량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제1기」의 기압 변화량과 동양으로, 승객이 복수 회,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 이상의 값을 나타내도 된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2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율(제1 기압 변화율의 일례, 도착시 기압 변화율)이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율(제2 기압 변화율의 일례, 도착외 기압 변화율)보다 크다.
또, 「제2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은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율의 최대값 및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율보다 크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2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율로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최대의 기압 변화율, 또는 이 최대의 기압 변화율에 가까운 기압 변화율을 나타낸다.
단, 최대의 기압 변화율은 고막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상한으로 한다. 또, 「제1기」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기압 변화율에 최대의 기압 변화율이 설정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2기」의 시간 폭(시간 길이)이 「제1기」의 시간 폭보다 짧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2기」의 시간 길이로서, 감속하기 시작한 엘리베이터칸(102)이 최고 속도로부터 정지하기까지 필요한 시간 길이를 나타낸다.
단,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제2기」의 시간 길이는 이들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제2기」의 시간 길이는「제2기」의 기압 변화율로 「제2기」의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로서 정해진다.
단, 「제2기」의 시간 길이를 고정하고, 「제2기」의 기압 변화량을 「제2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으로 「제2기」의 기압 변화율을 정해도 된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 및 실시 형태 1의 도 5에 대응되고 있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 및 실시 형태 1의 도 6에 대응되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이폐감 시간 T1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으로, 비제어 패턴(201)의 이폐감 시간 T0보다 단시간이고, 일정 변화 패턴(203)의 이폐감 시간(도시 생략)보다 단시간이다. 즉, 2단계 제어 패턴(210)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함으로써, 승객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는 시간을 짧게 하여 승객의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제1기」에는 이폐감 기압 P1까지밖에 변화시키지 않으며, 또한 「제2기」는 엘리베이터칸(102)이 감속하기 시작하고 나서 시작된다. 이 때문에, 「제1기」의 시간대, 특히 엘리베이터칸(102)이 최고 속도로 승강하는 시간대에 승객이 이폐감을 느끼는 것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승차감의 엘리베이터(100)를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 및 실시 형태 1의 도 7에 대응되고 있다.
도 14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2단계 제어 패턴(21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 및 실시 형태 1의 도 8에 대응되고 있다.
기압 제어 장치(104)가 상기에서 설명한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따라서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한 경우,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은 실제로 도 13 및 도 14의 2단계 제어 패턴(210)과 같이 곡선 상에서 변화한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기압 제어 장치(104)에 대해 설명하였다.
기압 제어 장치(104)는 제1기에서 변화하는 기압차를 제1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단위 시간당의 평균 변화량이, 제2기에서 변화하는 기압차를 제2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단위 시간당의 평균 변화량보다 작아지는 2단계 제어 패턴(210)으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엘리베이터칸(102)이 도착층에 도착하기 전에 기압을 크게 변화시킴으로써, 승객에게 침 삼킴 등에 의한 귀 뚫음을 재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객이 귀 막힘을 느끼기 시작하고 나서부터 귀 뚫음을 행하기까지의 시간이 짧아져서, 승객이 불쾌하게 느끼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제1기에서는 변화하는 기압이 작기 때문에, 승객이 느끼는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은 작아져서 쾌적한 승차감이 된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기와 제2기의 2단계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대해 설명하였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제1기, 제2기 및 제3기의 3단계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3단계 제어 패턴(220)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02)의 양정이 크고, 승객이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중에 2회, 이관을 개구하는 경우에, 실시 형태 3에서는 제1기와 제3기에서 1회씩 이관을 개구시킨다.
이하,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와 다른 사항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설명을 생략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와 동양인 것으로 한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능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능 구성에 대해, 도 15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기압 제어 장치(104)는 3단계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3단계 제어부(130; 3단계 기압 변화부)는 소정의 3단계 제어 패턴(220)에 따라서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함으로써, 상승 중인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3단계로 감압함과 아울러, 하강 중인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3단계로 가압한다.
3단계 제어부(130)는 출발시 시간대에 소정의 출발시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기압 조정 장치(105)에 가감압시키는 출발시 제어부(131; 제1 기압 변화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또, 3단계 제어부(130)는 도착시 시간대에 소정의 도착시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기압 조정 장치(105)에 가감압시키는 도착시 제어부(133; 제3 기압 변화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또, 3단계 제어부(130)는 출발시 시간대 후부터 도착시 시간대 전까지의 시간대, 즉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중에 있어서 출발시 시간대와 도착시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이하, 중간 시간대로 함)에 소정의 중간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기압 조정 장치(105)에 가감압시키는 중간 제어부(132; 제2 기압 변화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출발시 시간대(제1 시간대의 일례), 출발시 기압 변화량(제1 기압 변화량의 일례) 및 출발시 기압 변화율(제1 기압 변화율의 일례)은 3단계 제어 패턴(220)에 의해 나타난다.
또, 중간 시간대(제2 시간대의 일례), 중간 기압 변화량(제2 기압 변화량의 일례) 및 중간 기압 변화율(제2 기압 변화율의 일례)는 3단계 제어 패턴(220)에 의해 나타난다. 중간 기압 변화율은 중간 시간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을 말한다.
또, 도착시 시간대(제3 시간대의 일례), 도착시 기압 변화량(제3 기압 변화량의 일례) 및 도착시 기압 변화율(제3 기압 변화율의 일례)은 3단계 제어 패턴(220)에 의해 나타난다.
2단계 제어 패턴(210)과 동양으로, 3단계 제어 패턴(220)에는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에 이용되는 3단계 제어 패턴(220)과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에 이용되는 3단계 제어 패턴(220)이 있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실시 형태 1의 도 3 및 실시 형태 2의 도 9에 대응되고 있다.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실시 형태 1의 도 4 및 실시 형태 2의 도 10에 대응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102) 내 승객의 이폐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상세에 대해, 도 16 및 도 17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3단계 제어 패턴(220)은 「제1기」, 「제2기」 및 「제3기」의 3단계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3단계 제어 패턴(220)은 엘리베이터칸(102)이 하강 중인 도 16에서는 「제1기」, 「제2기」 및 「제3기」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높게 하고, 엘리베이터칸(102)이 상승 중인 도 17에서는 「제1기」, 「제2기」 및 「제3기」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낮게 하고 있다.
「제1기(제1 시간대의 일례)」는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출발시 시간대를 나타내고, 「제3기(제3 시간대의 일례)」는 엘리베이터칸(102)이 도착층에 도착했을 때에 끝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도착시 시간대를 나타내고, 「제2기(제2 시간대의 일례)」는 출발시 시간대 후부터 도착시 시간대 전까지의 시간대인 중간 시간대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제1기」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제1기」에 상당하고,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제3기」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제2기」에 상당한다.
3단계 제어 패턴(220)은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제1 기압 변화량의 일례, 출발시 기압 변화량) 및 「제3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제3 기압 변화량의 일례, 도착시 기압 변화량)이 「제2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제2 기압 변화량의 일례, 중간 기압 변화량)보다 크다.
또, 「제1기」 및 「제3기」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기압 변화량은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량보다 크고,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량보다 크다.
「제1기」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기압 변화량은 점 X와 점 Z1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량은 점 X와 점 W1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량은 점 X와 점 V1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된다.
또, 「제2기」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기압 변화량은 점 Z1과 점 Z2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량은 점 W1과 점 W2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량은 점 V1과 점 V2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된다.
또, 「제3기」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기압 변화량은 점 Z2와 점 Y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량은 점 W2와 점 Y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량은 점 V2와 점 Y의 기압차의 절대값으로 표시된다.
또, 3단계 제어 패턴(220)은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으로서,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을 나타내고, 「제2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으로서,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고 나서 이폐감을 느끼기 시작할 때까지의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을 나타내고, 「제3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으로서, 점 X와 점 Y의 기압차의 절대값(전체 기압 변화량)으로부터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과 「제2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량을 뺀 값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제1기」의 기압 변화량 및 「제3기」의 기압 변화량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제1기」의 기압 변화량이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2단계 제어 패턴(210)의「제2기」의 기압 변화량과 동양으로, 승객이 복수 회,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 이상의 값을 나타내도 된다.
또, 3단계 제어 패턴(220)은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율(제1 기압 변화율의 일례, 출발시 기압 변화율) 및 「제3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율(제3 기압 변화율의 일례, 도착시 기압 변화율)이 「제2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율(제2 기압 변화율의 일례, 중간 기압 변화율)보다 크다.
「제1기」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기압 변화율은 점 X와 점 Z1을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제2기」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기압 변화율은 점 Z1과 점 Z2를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의 절대값으로 표시되고, 「제3기」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기압 변화율은 점 Z2와 점 Y를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의 절대값으로 표시된다.
또, 「제1기」 및 「제3기」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기압 변화율은 비제어 패턴(201)의 기압 변화율의 최대값 및 일정 변화 패턴(203)의 기압 변화율보다 크다.
또, 3단계 제어 패턴(220)은 「제1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율 및「제3기」에 있어서 기압 변화율로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최대의 기압 변화율, 또는 이 최대의 기압 변화율에 가까운 기압 변화율을 나타낸다.
단, 최대의 기압 변화율은 고막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상한으로 한다. 또, 「제1기」 및 「제3기」에 있어서 3단계 제어 패턴(220)의 기압 변화율에 최대의 기압 변화율이 설정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 3단계 제어 패턴(220)은 「제1기」의 시간 폭 및 「제3기」의 시간 폭이 「제2기」의 시간 폭보다 짧다.
또, 3단계 제어 패턴(220)은 「제1기」의 시간 길이로서, 엘리베이터칸(102)이 이동하기 시작하고 나서 도착층까지 내는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시간 길이를 나타내고, 「제3기」의 시간 길이로서, 감속하기 시작한 엘리베이터칸(102)이 최고 속도로부터 정지하기까지 필요한 시간 길이를 나타낸다.
단, 3단계 제어 패턴(220)의 「제1기」의 시간 길이 및 「제3기」의 시간 길이는 이들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제1기」의 시간 길이는 「제1기」의 기압 변화율로 「제1기」의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로서 정해지며, 「제3기」의 시간 길이는「제3기」의 기압 변화율로 「제3기」의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로서 정해진다.
단, 「제1기」의 시간 길이를 고정하고, 「제1기」의 기압 변화량을 「제1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으로 「제1기」의 기압 변화율을 정해도 되고, 「제3기」의 시간 길이를 고정하고, 「제3기」의 기압 변화량을 「제3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값으로 「제3기」의 기압 변화율을 정해도 된다.
도 18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6, 실시 형태 1의 도 5 및 실시 형태 2의 도 11에 대응되고 있다.
도 19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에 의한 이폐감을 느끼는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7, 실시 형태 1의 도 6 및 실시 형태 2의 도 12에 대응되고 있다.
도 18 및 도 19에 있어서, 「P4」는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고 나서 다시 이관을 개구할 때까지의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이고, 「P3」은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고 나서 다시 이폐감을 느낄 때까지의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이다. 이하, P4를 이관 개구 기압 변화량이라 하고, P3을 이폐감 기압 변화량이라 한다.
이관 개구 기압 변화량 P4 및 이폐감 기압 변화량 P3은 실험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최적값이다.
3단계 제어 패턴(220)의 1회째의 이폐감 시간 T11 및 2번째의 이폐감 시간 T12는 각각, 비제어 패턴(201)의 1회째의 이폐감 시간 T01 및 2회째의 이폐감 시간 T02보다 단시간이 된다. 또, 3단계 제어 패턴(220)의 1회째의 이폐감 시간 T11 및 2회째의 이폐감 시간 T12는 각각, 일정 변화 패턴(203)의 1회째의 이폐감 시간(도시 생략) 및 2회째의 이폐감 시간(도시 생략)보다 단시간이 된다. 즉, 3단계 제어 패턴(220)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함으로써, 승객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는 시간을 짧게 하여 승객의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3단계 제어 패턴(220)은 실시 형태 1이나 실시 형태 2와 동양으로, 「제2기」의 시간대, 특히 엘리베이터칸(102)이 최고 속도로 승강하는 시간대에 승객이 이폐감을 느끼는 것을 억제하여, 보다 쾌적한 승차감의 엘리베이터(100)를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하강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6, 실시 형태 1의 도 7 및 실시 형태 2의 도 13에 대응되고 있다.
도 21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02)의 상승 중 3단계 제어 패턴(220)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7, 실시 형태 1의 도 8 및 실시 형태 2의 도 14에 대응되고 있다.
기압 제어 장치(104)가 상기에서 설명한 3단계 제어 패턴(220)에 따라서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한 경우,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은 실제로 도 20 및 도 21의 3단계 제어 패턴(220)과 같이 곡선 상에서 변화한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기압 제어 장치(104)에 대해 설명하였다.
기압 제어 장치(104)는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을 출발하여 도착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제1기, 제2기 및 제3기의 세 가지로 나누고,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상승 중 또는 하강 중,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에 대해 제1기, 제2기 및 제3기에서 다른 변화를 시킨다.
3종류의 변화로 차이를 둠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승객에게 가해지는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승객에게 침 삼킴 등에 의한 귀 뚫음을 촉구하는 시기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그 외의 시기에서의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기압 제어 장치(104)는 제2기에서 변화하는 기압차를 제2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단위 시간당의 평균 변화량이, 제1기에서 변화하는 기압차를 제1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단위 시간당의 평균 변화량, 및 제3기에서 변화하는 기압차를 제3기의 시간 길이로 나눈 단위 시간당의 평균 변화량보다 작아지는 3단계 제어 패턴(220)으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승강 행정이 높은 엘리베이터에서, 승객은 2회 이상의 귀 뚫음을 행할 가능성이 있다. 출발층을 출발 직후(제1기) 및 도착층으로의 도착 직전(제3기)에 기압을 크게 변화시킴으로써, 승객에게 침 삼킴 등에 의한 귀 뚫음을 촉구하고, 중간부(제2기)의 기압 변화량을 작게 함으로써, 승객에 대해 귀 막힘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객이 귀 막힘을 느끼기 시작하고부터 귀 뚫음을 행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져서 승객이 불쾌하게 느끼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4에서는 엘리베이터(100)가 특정한 출발층과 도착층을 직통으로 승강하는 것이 아니라, 승객에게 지정된 출발층과 도착층을 승강하는 경우에, 승강하는 출발층과 도착층에 따른 2단계 제어 패턴(210) 또는 3단계 제어 패턴(220)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하는 기압 제어 장치(104)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실시 형태 1 ~ 실시 형태 3과 다른 사항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설명을 생략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 실시 형태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양인 것으로 한다.
2단계 제어부(120)의 발착시 제어부(121)는 승객에게 지정된 출발층과 승객에게 지정된 도착층의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변화량을 전체 기압 변화량으로서 산출하고, 산출한 전체 기압 변화량에 기초하여 2단계 제어 패턴(210)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출발시 시간대에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크게 변화시키는 발착시 제어부(121)는 복수의 2단계 제어 패턴(210) 중으로부터, 이용하는 2단계 제어 패턴(210)을 하나 선택한다.
승객에게 지정된 출발층은 승객이 엘리베이터 승강장(103)의 조작반에 대해 UP 호출 버튼 또는 DOWN 호출 버튼을 누른 층이고, 승객에게 지정된 도착층은 엘리베이터칸(102)에 탑승한 승객이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조작반에 대해 누른 버튼이 나타내는 층이다.
발착시 제어부(121)는 승객에게 지정된 출발층 및 승객에게 지정된 도착층의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9)로부터 입력한다.
또, 발착시 제어부(121)는 출발층의 기압과 도착층의 기압을 취득하고, 취득한 출발층의 기압과 도착층의 기압의 기압차의 절대값을 전체 기압 변화량으로서 산출한다. 출발층의 기압 및 도착층의 기압은 각 층의 고도에 있어서 기압으로서 미리 기압 제어 장치(104)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각 층에 설치된 기압계에 의해 계측되어도 된다.
또,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전체 기압 변화량에 따라 복수 정해지며, 기압 제어 장치(104)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전체 기압 변화량이 2400Pa 이상 3600Pa 미만인 경우에 이용하는 2단계 제어 패턴(A211), 전체 기압 변화량이 3600Pa 이상 4400Pa 미만인 경우에 이용하는 2단계 제어 패턴(B212) 등이 기압 제어 장치(104)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발착시 제어부(121)는 전체 기압 변화량이 2400Pa 이상 3600Pa 미만인 경우에는 2단계 제어 패턴(A211)을 이용하여 기압 조정 장치(105)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한다. 또, 발착시 제어부(121)는 전체 기압 변화량이 3600Pa 이상 4400Pa 미만인 경우에, 2단계 제어 패턴(B212)을 이용하여 기압 조정 장치(105)를 통해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2단계 제어 패턴(A211)의 출발시 기압 변화량에는 2400Pa가 설정되고, 2단계 제어 패턴(B212)의 출발시 기압 변화량에는 3600Pa가 설정되어 있다. 2400Pa는 승객이 1회째에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을 나타내고, 3600Pa는 승객이 2회째에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을 나타낸다.
발착시 제어부(121)는 선택한 2단계 제어 패턴(210)에 기초하여 출발시 시간대에 출발시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2단계 제어 패턴(210)의 출발외 기압 변화량은 전체 기압 변화량으로부터 출발시 기압 변화량을 뺀 값으로서 정해진다. 발착외 제어부(122)는 출발시 시간대의 경과 후에 출발외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한다.
또 예를 들어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단계 제어부(120)가 도착시 시간대에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크게 변화시키는 경우, 하나의 2단계 제어 패턴(210)이 준비되고, 이 2단계 제어 패턴(210)에는 도착외 기압 변화량과 도착시 기압 변화율이 설정되어 있다.
발착시 제어부(121)는 전체 기압 변화량으로부터 도착외 기압 변화량을 뺀 값을 도착시 기압 변화량으로서 산출하고, 또 도착시 기압 변화량을 도착시 기압 변화율로 나눈 값을 도착시 시간대의 시간 길이로서 산출한다. 또, 발착외 제어부(122)는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속도, 가속도 및 감속도, 또 출발층과 도착층의 고저차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102)이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에 도착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전체 승강 시간으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발착외 제어부(122)는 전체 승강 시간부터 도착시 시간대의 시간 길이를 뺀 시간을 도착외 시간대의 시간 길이로서 산출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속도, 가속도 및 감속도나 각 층의 고도가 기압 제어 장치(104)의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발착외 제어부(122)는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 개시시로부터 도착외 시간대의 시간 길이 동안에 도착외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고, 발착시 제어부(121)는 도착외 시간대의 종료 후부터 도착시 시간대의 시간 길이 동안에 도착시 기압 변화량만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또 예를 들어 출발층과 도착층의 조합(또는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까지의 승강층수)마다 미리 2단계 제어 패턴(210)이 준비되어 있고, 발착시 제어부(121) 및 발착외 제어부(122)는 승객이 지정한 출발층과 도착층의 조합(또는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까지의 승강층수)에 대응하는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켜도 된다.
3단계 제어부(130)는 2단계 제어부(120)와 동양으로, 전체 기압 변화량에 기초하여 3단계 제어 패턴(220)을 선택하고, 출발층과 도착층의 고저차에 기초하여 출발시 시간대, 중간 시간대 및 도착시 시간대의 시간 길이, 기압 변화량 및 기압 변화율을 산출하고, 또 출발층과 도착층의 조합(또는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까지의 승강층수)에 기초하여 3단계 제어 패턴(220)을 선택한다. 3단계 제어부(130)는 선택 또는 산출한 3단계 제어 패턴(220)에 따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또, 2단계 제어부(120)는 출발층과 도착층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출발시 시간대에 크게 기압 변화시키는 2단계 제어 패턴(210)과,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도착시 시간대에 크게 기압 변화시키는 2단계 제어 패턴(210)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된다. 2단계 제어부(120)는 선택한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따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이 경우, 2단계 제어 패턴(210)은 전체 기압 변화량, 출발층과 도착층의 고저차, 출발층과 도착층의 조합 또는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까지의 승강층수에 대응하여 정해져 있다.
이로 인해, 기압 제어 장치(104)는 출발층 및 도착층에 따른 적당한 2단계 제어 패턴(210) 또는 3단계 제어 패턴(220)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킬 수 있고, 승객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줄 수 있다.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5에서는 엘리베이터(100)가 승객에게 지정된 출발층과 도착층을 승강하는 경우에, 승강하는 출발층과 도착층에 따라, 2단계 제어 패턴(210)과 3단계 제어 패턴(220)을 전환하는 기압 제어 장치(104)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실시 형태 1 ~ 실시 형태 4와 다른 사항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설명을 생략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 실시 형태 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양인 것으로 한다.
도 22는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능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능 구성에 대해, 도 22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기압 제어 장치(104)는 2단계 제어부(120), 3단계 제어부(130) 및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를 구비한다.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는 승객에게 지정된 출발층과 승객에게 지정된 도착층의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변화량을 전체 기압 변화량으로서 산출하고, 전체 기압 변화량과 소정의 비교 변화량을 비교하여 전체 기압 변화량과 비교 변화량의 대소를 판정한다.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는 승객에게 지정된 출발층 및 승객에게 지정된 도착층의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9)로부터 입력한다.
또,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는 출발층의 기압과 도착층의 기압을 취득하고, 취득한 출발층의 기압과 도착층의 기압의 기압차의 절대값을 전체 기압 변화량으로서 산출한다.
또, 비교 변화량은 미리 정해지며 기압 제어 장치(104)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도 23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기압 제어 장치(104)의 기압 제어 방법에 대해, 도 23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기압 제어 장치(104)의 2단계 제어부(120), 3단계 제어부(130) 및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는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를 CPU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S110:전체 기압 변화량 산출 처리>
우선,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는 승객에게 지정된 출발층 및 도착층에 기초하여 전체 기압 변화량을 산출한다.
<S120:전체 기압 변화량 제1 판정 처리>
다음으로,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는 전체 기압 변화량과 제1 비교 변화량을 비교한다. 제1 비교 변화량은 기압 제어 장치(104)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값이고, 소정의 기압 변화량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교 변화량에는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는 1회째의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이 설정된다.
전체 기압 변화량이 제1 비교 변화량보다 작다고 판정한 경우,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기압 제어 장치(104)는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제어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은 엘리베이터칸(102)의 승강에 따라 비제어 패턴(201)으로 변화한다.
<S130:전체 기압 변화량 제2 판정 처리>
S120에 있어서, 전체 기압 변화량이 제1 비교 변화량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는 전체 기압 변화량과 제2 비교 변화량을 비교한다. 제2 비교 변화량은 2단계 제어부(120)가 기압 제어할지, 3단계 제어부(130)가 기압 제어할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값이고, 소정의 기압 변화량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교 변화량에는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는 2회째의 기압 변화량의 추정값이 설정된다.
<S140:2단계 기압 제어 처리>
S130에 있어서, 전체 기압 변화량이 제2 비교 변화량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2단계 제어부(120)는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따라서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이 때, 2단계 제어부(120)는 실시 형태 4와 같이, 출발층과 도착층에 기초하여 2단계 제어 패턴(210)을 특정하고, 특정한 2단계 제어 패턴(210)에 따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S150:3단계 기압 제어 처리>
S130에 있어서, 전체 기압 변화량이 제2 비교 변화량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3단계 제어부(130)는 3단계 제어 패턴(220)에 따라서 기압 조정 장치(105)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이 때, 3단계 제어부(130)는 실시 형태 4와 같이, 출발층과 도착층에 기초하여 3단계 제어 패턴(220)을 특정하고, 특정한 3단계 제어 패턴(220)에 따라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변화시킨다.
상기에서는 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140)가 판정한 전체 기압 변화량과 비교 변화량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기압 제어 장치(104)가 엘리베이터칸(102) 내의 기압을 비제어, 2단계 제어 또는 3단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단, 기압 제어 장치(104)는 전체 기압 변화량과 비교 변화량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비제어, 2단계 제어 또는 3단계 제어를 전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출발층과 도착층의 고저차, 출발층과 도착층의 조합 또는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까지의 승강층수에 대응하여 비제어, 2단계 제어 또는 3단계 제어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가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된다.
이로 인해, 기압 제어 장치(104)는 출발층 및 도착층에 따라 비제어, 2단계 제어 또는 3단계 제어 중 어느 하나의 기압 제어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승객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줄 수 있다.
100ㆍㆍㆍ엘리베이터, 101ㆍㆍㆍ승강로, 102ㆍㆍㆍ엘리베이터칸, 103, 103a, 103bㆍㆍㆍ엘리베이터 승강장, 104ㆍㆍㆍ기압 제어 장치, 105ㆍㆍㆍ기압 조정 장치, 106ㆍㆍㆍ균형추, 107ㆍㆍㆍ권상기, 108ㆍㆍㆍ현가 로프, 109ㆍㆍㆍ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20ㆍㆍㆍ2단계 제어부, 121ㆍㆍㆍ발착시 제어부, 122ㆍㆍㆍ발착외 제어부, 130ㆍㆍㆍ3단계 제어부, 131ㆍㆍㆍ출발시 제어부, 132ㆍㆍㆍ중간 제어부, 133ㆍㆍㆍ도착시 제어부, 140ㆍㆍㆍ전체 기압 변화량 판정부, 201ㆍㆍㆍ비제어 패턴, 202ㆍㆍㆍ직선 제어 패턴, 203ㆍㆍㆍ일정 변화 패턴, 204, 206ㆍㆍㆍ이폐감 기압, 205, 207ㆍㆍㆍ이관 개구 기압, 210ㆍㆍㆍ2단계 제어 패턴, 211ㆍㆍㆍ2단계 제어 패턴 A, 212ㆍㆍㆍ2단계 제어 패턴 B, 220ㆍㆍㆍ3단계 제어 패턴.

Claims (16)

  1. 상승 중인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감압하거나 하강 중인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가압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압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이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소정의 제1 시간대에 소정의 제1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제1 기압 변화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소정의 제2 시간대에 소정의 제2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제2 기압 변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출발시 시간대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도착층에 도착했을 때에 끝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도착시 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이고,
    상기 제2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2 시간대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발시 시간대인 상기 제1 시간대의 시간 길이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이동하기 시작하고 나서 상기 도착층까지 내는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시간 길이 이하이고,
    상기 도착시 시간대인 상기 제1 시간대의 시간 길이는 감속하기 시작한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최고 속도로부터 정지하기까지 필요한 시간 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제2 기압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제1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이동하는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출발층으로부터 상기 도착층까지의 평균 속도로 상기 제1 시간대의 시간 길이 동안에 이동하는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승객이 이관(耳管)을 개구(開口)하는 기압 변화량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하강할 때의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승할 때의 상기 제1 기압 변화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인 제1 기압 변화율은 상기 제2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인 제2 기압 변화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조정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조정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 기압의 평균 변화율인 상기 제1 기압 변화율은 상기 엘리베이터 기압 조정 장치의 조정 성능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내압 성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기압 변화율의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기압 변화부는
    상기 출발층과 상기 도착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는 추가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소정의 제3 시간대에 소정의 제3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제3 기압 변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출발시 시간대이고,
    상기 제3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도착층에 도착했을 때에 끝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도착시 시간대이고,
    상기 제2 시간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출발시 시간대 후로부터 상기 도착시 시간대 전까지의 중간 시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압 변화량은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는 기압 변화량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이고,
    상기 제2 기압 변화량은 상기 승객이 이관을 개구하고 나서 이폐감(耳閉感)을 느끼기 시작할 때까지의 기압 변화량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이고,
    상기 제3 기압 변화량은 상기 출발층과 상기 도착층의 고저차에 상당하는 기압 변화량인 전체 기압 변화량으로부터 상기 제1 기압 변화량과 상기 제2 기압 변화량을 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16. 상승 중인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감압하거나 하강 중인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가압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압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이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출발층을 출발했을 때에 시작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출발시 시간대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도착층에 도착했을 때에 끝나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시간대인 도착시 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를 발착시 시간대로 하고, 상기 발착시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발착시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발착시 시간대를 뺀 시간대를 발착외(發着外) 시간대로 하고, 상기 발착외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발착외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2단계 기압 변화부와,
    상기 출발시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출발시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고, 상기 도착시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도착시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중에 있어서 상기 출발시 시간대 후로부터 상기 도착시 시간대 전까지의 시간대를 중간 시간대로 하고, 상기 중간 시간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소정의 중간 기압 변화량만큼 변화시키는 3단계 기압 변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출발층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도착층에 기초하여, 상기 2단계 기압 변화부와 상기 3단계 기압 변화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기압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KR1020107008741A 2007-11-09 2007-11-09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KR101221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71829 WO2009060545A1 (ja) 2007-11-09 2007-11-09 エレベータ気圧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123A true KR20100063123A (ko) 2010-06-10
KR101221204B1 KR101221204B1 (ko) 2013-01-10

Family

ID=4062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741A KR101221204B1 (ko) 2007-11-09 2007-11-09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17153B2 (ko)
EP (1) EP2206671A4 (ko)
JP (1) JP5225286B2 (ko)
KR (1) KR101221204B1 (ko)
CN (1) CN101848851B (ko)
WO (1) WO2009060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1016A1 (en) * 2007-08-06 2009-02-12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Control for limiting elevator passenger tympanic pressure and method for the same
WO2010055543A1 (ja) * 2008-11-12 2010-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393253B2 (ja) * 2009-05-19 2014-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102414107B (zh) 2009-07-21 2014-11-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N103771221A (zh) * 2012-10-24 2014-05-07 通用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空气压力控制系统
JP5970362B2 (ja) * 2012-12-13 2016-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内圧力制御方法
JP5980705B2 (ja) * 2013-03-19 2016-08-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気圧制御装置
JP6086876B2 (ja) * 2014-02-07 2017-03-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CN103879847B (zh) * 2014-03-06 2015-11-25 同济大学 一种电梯轿厢内气压控制系统
JP6272118B2 (ja) * 2014-04-16 2018-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気圧制御装置付き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設定方法並びに製造方法
CN104098002B (zh) * 2014-04-25 2016-03-02 同济大学 一种电梯轿厢内的气囊式快速增减压控制系统
JP6272167B2 (ja) * 2014-07-16 2018-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内気圧制御装置
CN107207211A (zh) * 2014-11-24 2017-09-26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加压
WO2016189632A1 (ja) * 2015-05-25 2016-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6672720B (zh) * 2016-07-15 2020-04-0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轿厢气压的补偿方法
WO2018122942A1 (ja) * 2016-12-27 2018-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6952305B (zh) * 2017-03-24 2020-0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穿戴设备
CN110228744B (zh) * 2018-03-06 2021-10-19 富士达株式会社 气压控制模式的设定方法以及具备气压调整装置的电梯
JP2019178996A (ja) * 2018-03-30 2019-10-17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高所推定装置、高所推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20083544A (ja) * 2018-11-22 2020-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かご内気圧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7123000B2 (ja) * 2019-04-24 2022-08-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CN112393397B (zh) * 2020-11-16 2021-11-30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电梯井道通风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2270A (en) * 1984-07-16 1986-06-03 Vener Alvin S Smoke and fire protection system for elevators
ES2046617T3 (es) * 1989-09-22 1994-02-01 Inventio Ag Dispositivo para la ventilacion de cabinas de ascensor de marcha rapida.
HU212565B (en) * 1991-12-04 1996-08-29 Inventio Ag Equipment for the ventilation of the passanger compartment of high speed elevator cabins
US5354233A (en) * 1992-10-02 1994-10-11 Man-D-Tec, Inc. Emergency ventilation system for elevator cab
JP2896284B2 (ja) * 1993-02-04 1999-05-3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かご換気用ダクトのアクティブ騒音制御装置
JPH07112879A (ja) * 1993-10-18 1995-05-02 Shimizu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3630723B2 (ja) 1994-09-09 2005-03-23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建造物
US5718627A (en) * 1997-02-03 1998-02-17 Wicks; Edward A. System and method for smoke free elevator shaft
JPH10226477A (ja) * 1997-02-17 1998-08-2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かご内の気圧調整装置
US5834713A (en) * 1997-03-14 1998-11-10 Huang; Hsin-Tsung Fresh air supplying system for elevator
JP4023877B2 (ja) 1997-08-29 2007-12-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内気圧制御装置
JP4707218B2 (ja) * 2000-09-20 2011-06-22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US6616720B1 (en) * 2001-02-16 2003-09-09 William C. Smith Portable airborne contamina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a main and remote unit
JP4270812B2 (ja) * 2002-06-07 2009-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換気装置
TWI255900B (en) * 2003-07-03 2006-06-01 Nien-Chin Lee System of enhancing air quality used for buildings
US7059958B2 (en) * 2003-12-08 2006-06-13 Inventio Ag Elevator cabin with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WO2005121005A1 (ja) * 2004-06-11 2005-12-22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7762875B2 (en) * 2004-06-29 2010-07-27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Blower controller for elevator system
CN100538192C (zh) * 2004-07-30 2009-09-09 开利公司 室内气压管理
JP2005119882A (ja) * 2004-11-10 2005-05-1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と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建造物
CA2511411A1 (en) * 2005-07-05 2007-01-05 Canplas Industries Ltd. Foundation vent
US8712713B2 (en) * 2006-03-20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altitude of a mobile device
JP4597938B2 (ja) 2006-10-13 2010-12-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7886986B2 (en) * 2006-11-08 2011-02-15 Semco Inc. Building, ventilation system, and recovery device control
US20100015909A1 (en) * 2008-07-18 2010-01-21 Berry Bacharach Truss vent cover with selective size adjustability
US10371411B2 (en) * 2009-10-22 2019-08-06 Nortek Air Solutions, Llc Ceiling system with integrated equipment support structure
US20120096802A1 (en) * 2010-10-26 2012-04-26 Michael Davenport Positive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
US8365804B1 (en) * 2011-05-03 2013-02-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Portable inflatable protective part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67322A1 (en) 2010-10-21
US9017153B2 (en) 2015-04-28
WO2009060545A1 (ja) 2009-05-14
CN101848851B (zh) 2013-09-25
JP5225286B2 (ja) 2013-07-03
EP2206671A4 (en) 2014-01-22
KR101221204B1 (ko) 2013-01-10
JPWO2009060545A1 (ja) 2011-03-17
EP2206671A1 (en) 2010-07-14
CN101848851A (zh)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204B1 (ko) 엘리베이터 기압 제어 장치
KR101228249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539325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14825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圧力制御方法
KR10129603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06309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72167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内気圧制御装置
JP2014118220A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内圧力制御方法
CA2696165A1 (en) Control for limiting elevator passenger tympanic pressure and method for the same
JP395316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27463B1 (ko) 더블덱 엘리베이터
JP3630723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建造物
JPH10330050A (ja) エレベーターの気圧調整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気圧調整装置
JP2005119882A (ja) エレベータ装置と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建造物
JPH108718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96526B2 (ja) 気圧制御パターンの設定方法、および、気圧調整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WO2018122942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0073192A1 (en) Elevator control method
KR101179064B1 (ko) 엘리베이터의 기압 조정 방법
US20190100409A1 (en) Elevator pressu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