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626A -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 Google Patents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626A
KR20100062626A KR1020080121345A KR20080121345A KR20100062626A KR 20100062626 A KR20100062626 A KR 20100062626A KR 1020080121345 A KR1020080121345 A KR 1020080121345A KR 20080121345 A KR20080121345 A KR 20080121345A KR 20100062626 A KR20100062626 A KR 20100062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ransfer
dye
hea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450B1 (ko
Inventor
민경원
Original Assignee
코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4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02Heating or cooling of ink or ink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전사체에 염색되는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을 위한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는 하부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피전사체가 유입되어 다시 하부영역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피전사체를 가열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와; 상기 피전사체가 본체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피전사체에 전사된 염료로부터 발생한 승화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배기부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다시 배출하여 보열공간의 온도편차가 최소화 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피전사물에 전사된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이 이루어지는 보열공간의 온도분포가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고착 및 발색을 위하여 고착장치에 요구되는 온도 제어 또는 온도의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열공간이 실질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전사, 발색, 고착, 보열, 수축, 열분포

Description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DYESTUFFS AGER HAVING EXPANDED SPACE KEEPING HEAT FOR IMAGE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전사체에 염색되는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을 위한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방법은 열전사(Heat Transfer) 또는 승화전사(Sublimation Transfer) 방식으로, 가압롤러 등을 이용하여 피전사체상에 그림 또는 무늬, 도안등을 전사시키기 위하여 중간 전사매체에 담지된 화상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가압롤러 방식과 판형 전사방식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인쇄방식은 중간 전사매체 등과 같은 별도의 수단을 요구하고, 가열 및 가압 등을 을 동시적으로 실행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설비의 복잡성 등과 연속적인 일관 온라인 염색공정을 방해하는 장애요인의 존재 등과 같이 작업 및 생산성 등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피전사체에 염료로 형상을 형성시키는 전사부와 원하는 형상으로 전사된 염료를 고착 및 발색시키기 위한 고착부를 각각 구성하여, 전사부를 통해 피전사체에 염료를 분사시키는 방식으로 의도하는 형상을 전사시키고, 고착부를 통해 형상이 전사된 피전사체를 가열하여 전사된 염료가 피전사체에 고착 및 발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가압식 전사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비가압식 전사장치는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을 위하여 별도의 고착장치가 구비되어 연속적인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 경우, 고착 및 발색을 위한 피전사체의 가열시 열손실을 최소화 하고, 피전사체로 균일한 열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피전사체가 가열되는 공간(즉, 보열공간)이 수직터널 형태로 이루어지는 기술이 알려진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직터널 방식의 보열공간이 구비된 경우,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하여 상부에 배기부가 구비되고 있는데, 고온의 공기도 함께 상기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고 있다. 이 경우, 보열공간은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의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고착 및 발색을 위한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그리고, 보열공간에서 선회하게되는 피전사체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하여 하부영역이 개구되어 있는데, 이 공간(개구부)를 통하여, 대류현상에 의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하부로 유입되는 경우, 보열공간은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의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고착 및 발색을 위한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더욱이 상부에 배기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더욱 온도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열공간 내에 열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정상적인 고착 및 발색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한편, 고착 및 발색을 위하여 보열공간에 체류하여야 하는 시간이 더 요구되 는 염색물의 경우 보열공간을 통과하게 되는 길이를 늘이거나 이송속도를 감소시켜야만 한다. 더욱이 보열공간의 열분포도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보열공간의 길이를 더 길게 늘이거나 피전사체의 이송속도를 더욱 감소시킬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설비적인 측면 또는 생산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게 된다.
또한, 고착 및 발색을 위한 온도의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염료의 발색 및 고착 상태가 요구되는 상태로 이루어지기 어렵고, 열효율에 있어서도 불리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피전사물에 전사된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이 이루어지는 보열공간의 온도분포가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고착 및 발색을 위하여 고착장치에 요구되는 온도 제어 또는 온도의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고착장치의 보열공간이 실질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피전사체에 전사된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염색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보열공간의 실질적 확장으로 피전사체에 전사된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을 위한 체류시간이 증가하도록 하여 적은 열효율로 염색을 위한 고착 및 발색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피전사물에 전사된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이 이루어지는 보열공간의 온도분포가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는 하부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전사부에 의해 염색이 이루어진 피전사체가 하부영역으로 유입되어 상부영역에서 선회하여 다시 하부영역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피전사체의 일 이상의 면을 가열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와; 피전사체가 본체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본체 내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방향전환롤러와; 피전사체에 전사된 염료로부터 발생한 승화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본체의 내부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배기부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다시 배출하여 보열공간의 온도편차가 최소화 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배기부는 방향전환롤러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부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본체 내부의 보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 또는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배기부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하부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 내부의 상부 영역에는 외부의 공기를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하나 이상의 외기 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외기 공급부는 방향전환롤러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외기 공급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 또는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롤러는 본체의 상,하부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롤러의 상부 위치에는 필터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전사물에 전사된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이 이루어지는 보열공간의 온도분포가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착 및 발색을 위하여 고착장치에 요구되는 온도 제어 또는 온도의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착장치의 보열공간이 실질적으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피전사체의 고착 및 발색을 위한 이송거리를 실질적으로 확장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전사체에 전사된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염색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열공간의 실질적 확장으로 피전사체에 전사된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을 위한 체류시간이 증가하도록 하여 적은 열효율로 염색을 위한 고착 및 발색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염색을 위한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피전사물에 전사된 염료의 고착 및 발색이 이루어지는 보열공간의 온도분포가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착장치(100)의 구성에 관한 일 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착장치(100)는 내부에 보열공간(101)이 구비되고, 하부가 개구된 본체(100a)를 갖는다. 상기 본체(100a)의 내부 보열공간(101)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피전사체(1)를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110)가 구비된다.
이 경우, 본체(100a)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방향전환롤러(121)가 구비되어 피전사체(1)가 상기 고착장치 본체(100a)의 하부로 유입되어 본체(100a)의 내부 상부영역으로 이송된 후, 다시 선회하여 본체(100a)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110)는 피전사체(1)가 본체(100a)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피전사체(1)를 가열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피전사체(1)가 본체(100a)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의 위치와 배출되는 방향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피전사체(1)를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향전환롤러(121)는 피전사체(1)의 이송방향 전환을 위하여 고착장치 본체(100a)의 내부 상부영역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피전사체(1)의 초기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향전환롤러(121)는 양단부가 이송가이드(121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착장치 본체(100a)의 상부에는 배기부(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부(150)는 흡기장치(105)에 연결되어 피전사체(1)가 가열될 때, 염료에서 발생하는 승화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기장치(105)는 집진장치(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배기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기부(150)는 내부에 유로(151)가 형성되는 본체(150a)가 덕트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부(150)는 방향전환롤러(12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내부의 온도가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멍(1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멍(152)은 외기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되는 방향과 상응하도록 배기부 본체(150a)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멍(152)은 온도 분포에 따라 배출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고착장치 본체(100a)의 내부 공기는 히터(110)에 의해 가열되어 상승되므로 고착장치 본체(100a)의 하부 영역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부에 배기부(150)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승되는 공기와 더불어 배기부(150)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므로 개구된 고착장치 본체(100a)의 하부 영역으로 외부의 공기가 더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된 고착장치 본체(100a)의 하부 영역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보열공간(101)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보열공간(101)의 온도가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된 고착장치 본체(100a)의 하부 영역에는 배기부(1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한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기부(160)는 본체(160a)가 방향전환롤러(12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고착장치 본 체(100a) 내부의 보열공간(10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 측방향 또는 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162)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에 배치되는 배기부(1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뿐만 아니라 보열공간(101)의 공기 중 일부를 함께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열공간(101)에서는 하부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상부에 위치되는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하부영역으로 이동하게 되어 실제 보열되는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배기부 본체(160a) 상방향으로 상기 본체(16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멍(16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질적인 보열영역의 확장이 더욱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부 본체(160a)에 형성되는 구멍(162)은 외부공기의 흡입, 보열공간(101)에 위치하는 공기의 흡입 또는 외부공기와 보열공간(101)에 위치하는 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온도 분포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110)와 방향전환롤러(121) 사이의 공간에는 차단판(130)이 구비되어 히터(110)로부터 발생한 열이 상부영역으로 이동하여 상부영역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방향전환롤러(121)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차단판(130)에 의해 상기 히터(110)로부터 발생한 열이 상부영역으로 집중되는 것과 더불어 방향전환롤러(121)로 복사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더불어 차단판(130)에 의해 대류에 의해 상부영역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과 방향전환롤러(121)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a)의 상부 영역에는 외기 공급부(140)가 더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본체(100a)의 상부영역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외기 공급부(140)는 유입된 외부 공기가 배기부(150)를 통해 다시 배출되면서 본체(100a) 내부의 상부영역에서 대류현상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외기 공급부(140)는 블로어 등과 같은 공급장치(104)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기 공급부(140)는 상기 배기부(150)와 대면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배기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외기 공급부(140)는 차단판(130)이 위치하는 하부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온도가 상승된 내부 공기와 함께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배기부(150)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기 공급부(140)는 내부에 유로(141)가 형성되는 본체(140a)가 덕트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외기 공급부(140)는 방향전환롤러(12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고착장치 본체(100a)의 내부로 배출될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멍(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멍(142)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기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도록 외기 공급부 본체(140a)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멍(142)은 차단판(130)이 위치하는 하부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도록 외기 공급부 본체(140a)의 하부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멍(142)은 외부공기가 공급되는 영역 또는 공급되는 영역의 온도 분포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기부(150)는 차단판(130)의 상부영역에서 외기 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대류현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기 공급부(140)와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예와 달리, 상기 배기부(150)와 외기 공급부(140)는 본체(100a)의 상부영역의 상승된 온도의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기부(150)와 외기 공급부(140)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a)의 상부영역에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배기부(15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배기부(150)의 하부 영역에 외기 공급부(140)가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a)의 상부영역에 외기 공급부(140)와 배기부(150)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영역에 배치된 외기 공급부(140)의 하부 영역에는 다른 일 배기부(150)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영역에 배치된 배기부(150)의 하부 영역에는 다른 일 외기 공급부(140)가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외기 공급부(140)를 통해 차단판(130)이 배치된 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외기 공급부(140)의 하부 영역에는 경사판(131)이 더 구비되어 공급되는 외부 공기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향이 전환된 외부 공기는 방향전환롤러(121)를 향하거나, 또는 차단판(130) 상부 영역을 따라 선회하여 배기부(150)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판(131)은 일 단부가 상기 차단부(130)의 상부에 접하거나 또는 인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기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 외부 공기는 차단판(130)의 상부영역에서 대류하여 배기부(150)로 배출되면서 방향전환롤러(121)의 주외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물론 방향전환롤러(121)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판(13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단부가 고착장치 본체(100a) 내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판(130)은 본체(100a) 내측면과 접한 단부의 일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공간(131,132)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공간(131,132)은 차단판(130)의 하부 영역에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국부적으로 채류하여 보열공간(101)의 온도 분포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간(131,132)이 형성되는 위치는 히터(110)의 위치 또는 크기 및 발열량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공간(131,132)은 온도가 상승된 공기의 유로로 작용하여 상승된 공기가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보열공간(101)의 온도분포를 최대한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착장치(100)는 상기 방향전환롤러(121)의 상부 위치에 필터부(1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170)는 승화가스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이물질을 흡착하여, 이물질에 의해 피전사체(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외기 공급부(140)를 통해 외부 공기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로 인해 피전사체(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170)는 공기의 흐름이 최대한 방해되지 않도록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는 거름망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착장치(100)는 본체(100a)의 어느 일 측에 제어부(102)가 일체로 구비되어 히터(110)의 작동, 방향전환롤러(121)의 이동 또는 공급장치(104)와 흡기장치(10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착장치(100)는 본체(100a)의 어느 일 측에 공급장치(104) 및 흡기장치(105)가 구비되는 공간(103)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예들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고착장치(100)는 전사장치(10)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연속된 염색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사장치(10)는 염료를 이용하여 피전차체(1)에 형상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종래에 알려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착장치(100)는 전사장치(10)와 일체로 구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부(11)로부터 공급되는 피전사 체(1)는 전사부(12)를 거치면서 피전사체(1)의 일 면에 형상이 전사된다. 그리고, 상기 피전사체(1)는 회수부(13)에 의해 권취되어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상이 전사된 피전사체(1)는 방향전환롤러(121)의 이동에 의해 고착장치(100)의 보열공간(101)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고착장치(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롤러(122)와 가이드 롤러(123)에 의해 형상이 전사된 면이 오염되지 않도록 유입 및 배출되도록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고착장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착장치의 일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고착장치의 일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착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배기부의 구성에 관한 일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착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기부의 구성에 관한 일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착장치의 외기 공급부의 구성에 관한 일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배기부와 외기 공급부의 배치상태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착장치의 차단판의 구성에 관한 일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착장치가 구비된 전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전사장치 11 ... 공급부
12 ... 전사부 13 ... 회수부
100 ... 고착장치 110 ... 히터
121 ... 방향전환롤러 122 ... 지지롤러
123 ... 가이드 롤러 130 ... 차단판
140 ... 외기 공급부 150,160 ... 배기부
170 ... 필터부

Claims (7)

  1. 하부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사부에 의해 염색이 이루어진 피전사체가 하부영역으로 유입되어 상부영역에서 선회하여 다시 하부영역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피전사체의 일 이상의 면을 가열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와;
    상기 피전사체가 본체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본체 내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피전사체에 전사된 염료로부터 발생한 승화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배기부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다시 배출하여 보열공간의 온도편차가 최소화 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방향전환롤러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본체 내부의 보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 또는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방향전환롤러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하부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상부 영역에는 외부의 공기를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하나 이상의 외기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공급부는 방향전환롤러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 또는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롤러는 본체의 상,하부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롤러의 상부 위치에는 필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KR1020080121345A 2008-12-02 2008-12-02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KR101012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345A KR101012450B1 (ko) 2008-12-02 2008-12-02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345A KR101012450B1 (ko) 2008-12-02 2008-12-02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26A true KR20100062626A (ko) 2010-06-10
KR101012450B1 KR101012450B1 (ko) 2011-02-08

Family

ID=4236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345A KR101012450B1 (ko) 2008-12-02 2008-12-02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5444B2 (en) 2015-09-17 2019-06-11 Kostech, Inc. Prin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178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설 교환기의 무선통화 회선카드간의 메시지 교환방법
KR200256178Y1 (ko) 2001-08-20 2001-12-13 양옥선 원단 건조장치
KR100579230B1 (ko) * 2004-10-13 2006-05-12 코스테크 주식회사 수직 터널식 비가압 전사장치
KR100629655B1 (ko) * 2005-05-10 2006-10-04 (주) 경일테크 양면 전사가 된 원단을 비 가압식으로 건조시키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5444B2 (en) 2015-09-17 2019-06-11 Kostech, Inc. Pri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450B1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6472B2 (ja) 加熱装置、加熱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158234A1 (en) Device for blowing gas into a face of traveling strip material
CN103206845B (zh) 一种用于烘箱的气室及烘箱
CA2677975C (en) Burner arrangement
KR101012450B1 (ko) 보열공간이 확장된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KR102664183B1 (ko) 응력 패턴 약화 효과가 있는 곡면 유리 강화 장치
JP5793914B2 (ja) 幅可変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ンターオーブン
KR101039615B1 (ko) 전사장치용 염료 고착장치
KR20120083193A (ko) 막 도공기
US20140109619A1 (en) Bi-Axial Cooling System And Method
KR20110007045A (ko) 기판처리장치
US9624120B2 (en) Method for improving an air circulation and a way for heating air in a glass tempering oven
KR100996005B1 (ko) 기판 열처리 장치 및 노즐 부재
CN102393133B (zh) 一种可调节横截面温差的新型干燥结构
KR101075353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101796489B1 (ko) 고속 dtp 설비의 건조기용 열풍 건조노즐
CN211142511U (zh) 出气机构以及复式定型装置
JP7052769B2 (ja) 熱風乾燥炉及び鋼管の乾燥方法
EP3849815B1 (en) A dryer for an inkjet printer
KR101348815B1 (ko) 그라비아 인쇄기용 공기공급모듈
TWM592504U (zh) 用於印刷的烘乾機之分流導風結構
CN216659323U (zh) 一种用于数码喷墨打印机的水冷装置及其数码喷墨打印机
CN211734180U (zh) 玻璃钢化对流炉
CN219405902U (zh) 一种避免过热影响打印效果的数码喷墨打印固化系统
JP4022120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