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729A -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729A
KR20100061729A KR1020107007938A KR20107007938A KR20100061729A KR 20100061729 A KR20100061729 A KR 20100061729A KR 1020107007938 A KR1020107007938 A KR 1020107007938A KR 20107007938 A KR20107007938 A KR 20107007938A KR 20100061729 A KR20100061729 A KR 20100061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energy storage
coil element
current collecting
storag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629B1 (ko
Inventor
올리비에 꼬몽트
파브리스 르 드리앙
필리쁘 만도
Original Assignee
밧츠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밧츠캅 filed Critical 밧츠캅
Publication of KR2010006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06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35Storage cell or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단부에 전류 수집 섹션을 갖는 원통형 코일 부재(10)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1)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자신의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섹션을 방사상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현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에 의해 획득된 저장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KING ELECTRIC ENERGY STORAGE ASSEMBLIES}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일반적인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장치 및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는 컨덴서(즉, 2개의 전극 및 절연체를 포함하는 패시브(passive) 시스템), 또는 수퍼컨덴서(즉, 적어도 2개의 전극, 전해질 및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리튬 배터리형의 배터리(즉, 애노드, 캐소드 및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해액을 포함하는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1)를 제조하는 프로세스가 알려져 있다.
그러한 저장 어셈블리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2개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을 포함하는 원통형 코일 요소를 포함한다. 전극 및 격리판은 각각 하나 이상의 중첩된 판을 포함한다.
각 전극은 코일 요소의 각 단부에 턴(turn)의 형태로 전류 수집 섹션을 형성하도록 코일 요소의 각각의 단부에 오버슛(overshoot)한다. 따라서, 2개의 수집 섹션은 코일 요소의 2개의 대향 단부에 각각 배열된다.
각 수집 섹션은 그 자유 단부에 의해,
- 코일 요소를 수용하는 속이 빈 원통형 케이싱의 일 단부를 고립시키는 커버에 직접, 또는
- 커버에 연결된 중간 연결 편에 연결되어 용접되도록 의도된다.
상기 설명을 통해, 초점은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가 커버에 직접 용접되는 경우에 특히 대부분 맞춰진다. 그러나, 야기된 문제점 및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해법은 커버로의 섹션의 단부의 용접 또는 커버에 연결된 중간 편에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수집 섹션의 단부와 그 관련 커버 사이에 사용되는 용접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빔으로 생성된 용접 레이저이다.
커버 상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용접 레이저의 품질 및 재현 가능성은 아래의 파라미터와 주로 관련된다:
- 레이저 빔의 품질의 제어,
- 수집 섹션의 단부와 용접될 커버의 균일성과 두께의 제어,
- 수집 섹션의 단부와 커버 사이의 접촉의 제어.
현재 주어진 바와 같은 투명도에 의한 용접의 품질은 두께가 20과 50 미크론 사이에 있는 코일의 수집 섹션의 단부에 비해 커버가 견고하다(일반적으로 두께가 2 내지 3 ㎜이고 용접 영역에서 0.5와 1 ㎜ 사이이다)는 사실로 인해 악화된다.
이러한 두께의 차가 코일의 수집 섹션의 단부 상으로의 커버의 레이저 용접하는 동안 열 전달에 대한 주요 역할을 하며: 커버가 용융되기 시작하자마자, 커버의 용융된 부분이 수집 섹션의 단부 상에 녹아 커버(30)와 수집 섹션의 단부 사이의 열 흡수의 주요한 차이로 인해 수집 섹션의 단부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수집 섹션의 단부와 커버 사이의 열악한 접촉 품질 및/또는 용접을 따른 수집 섹션의 단부의 가변적인 두께가:
- 저장 어셈블리의 직렬 저항의 상승을 초래하는 용접 재료의 부족과 관련된 열악한 용접 품질,
- 저장 어셈블리의 밀봉의 손실을 초래하는 용접의 재가열 동안 기포를 생성하는 수집 섹션의 단부와 커버 사이에 가스의 포집 또는 용접의 융점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커버 상에 홀의 생성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 상에 커버를 용접하는 동안 저장 어셈블리의 밀봉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의 전기적 및 기계적 품질을 향상시키는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으로 제공된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는 턴에 함께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 및 적어도 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코일 요소를 포함하며, 각 전극은 상기 코일 요소의 각각의 축의 단부에서 돌출하여 전류 수집 섹션을 형성하고, 그 위에서 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편이 용접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코일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고립시키고,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섹션의 자신의 단부로의 방사상의 코팅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수집 섹션의 단부를 방사상으로 코팅하는 사실은 수집 섹션의 단부의 편평도를 향상시키므로, 수집 섹션의 단부와 커버나 중간 연결 편 사이의 접촉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실제로, 주변에서 중앙을 향해 수집 섹션의 단부를 방사상으로 코팅하는 경우에, 수집 섹션의 부분들은 코팅이 완료되면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있어,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편평도를 저하시켜, 그에 따라 수집 섹션의 단부와 커버나 중앙 연결 편 사이의 접촉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물론, 전류 수집이라고 하는 편은 수집 섹션의 단부와 커버 사이의 중간 편일 수 있거나(수집 편은 이 경우에 커버에서 분리된다) 커버의 부분일 수 있다(수집 편은 이 경우에 커버와 수집 편이 단일 요소를 형성하도록 커버와 견고하게 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비제한적인 양태는 이하이지만,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진다:
-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코팅은 크러싱(crushing)에 의해 획득된다.
-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전체 표면에 걸쳐 실행된다.
-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40)의 적용에 의해 실행된다.
- 상기 코일 요소(10)는 상기 롤러(40)에 관한 상대적인 병진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여기된다.
- 상기 롤러(40)와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 사이의 접촉 표면은 상기 단부의 반경보다 작다.
-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전체 표면에 대한 상기 롤러(40)의 적어도 1회의 통과를 포함한다.
-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 상에서 상기 롤러(40)의 적어도 2회의 통과 시에 완료되고, 매 통과 시마다 상기 턴(101)은 1.5 ㎜ 미만의 높이로 코팅된다.
- 상기 회전 운동의 속도는 분당 400회 초과, 바람직하게는 분당 400과 1,600회 사이,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당 800과 1,300회 사이이다.
- 상기 롤러(40)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를 0.5 ㎜와 3 ㎜ 사이의 높이로 코팅한다.
-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은 적어도 0.1 ㎜의 연속적인 턴 상에 하나의 턴의 덮개를 생성하도록 코팅된다.
- 한편으로, 상기 원통형 코일 요소(10)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여기되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롤러(40)는 상기 코일 요소(10)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된다.
- 한편으로 상기 롤러(40)의 지지부는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원통형 코일 요소(10)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 및 상기 롤러(40)에 관한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된다.
- 한편으로 상기 코일 요소(10)는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롤러(40)는 상기 코일 요소(10)에 관한 회전 운동 및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된다.
-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이 코팅되면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외부를 경사지도록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측벽(104)을 자신의 자유 단부의 레벨로 크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상기 롤러(4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볼을 포함한다.
- 상기 롤러(40)는 상기 섹션의 단부의 반경을 따라 거리 d만큼 이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다른 영역을 코팅하기 위해, 거리 d를 초과하여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이동된다.
- 상기 롤러(40)는 서로에 관하여 각을 이루어 오프셋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각 롤러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전체 표면과 접촉하며, 연속적인 각 롤러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와 미리 접촉하는 롤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코팅 높이를 증가시킨다.
- 상기 코팅 단계는:
- 상기 코일 요소의 턴의 에지를 외부로 지향시키는 상기 턴의 에지의 준비 단계, 및
- 상기 코일 요소의 베이스로부터 지향된 턴의 에지를 크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사하게 앞서 설명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사하게 턴에 함께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 및 적어도 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코일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 전극은 상기 코일 요소의 각각의 축의 단부에서 돌출하여 전류 수집 섹션을 형성하고, 그 위에서 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편이 용접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코일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고립시키고, 상기 장치는 상기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자신의 단부로의 방사상의 코팅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사하게 턴에 함께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 및 적어도 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코일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각 전극은 상기 코일 요소의 각각의 축의 단부에서 돌출하여 전류 수집 섹션을 형성하고, 그 위에서 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편이 용접되게 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코일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고립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섹션이 자신의 단부에 방사상으로 코팅되고, 상기 턴은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코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 상에 커버를 용접하는 동안 저장 어셈블리의 밀봉 손실을 제한할 수 있는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및 그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의 전기적 및 기계적 품질을 향상시키는 프로세스 및 그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횡단면을 따라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상이한 요소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코일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코일 요소의 코팅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코일 요소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대체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순전히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드러나고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보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 및 프로세스의 다른 실시예들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들 다른 도 1 내지 5에서, 동등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어셈블리(1)는 케이싱(20) 내부에 놓이는 코일 요소(10) 및 2개의 커버(30)를 포함한다.
코일 요소(10)는 턴(turn)(101) 내에 함께 감긴 시트의 스택으로 구성되어, 원통형 코일을 형성한다. 특히, 코일 요소(10)는 하나 이상의 시트로 각각 구성되는 하나(또는 하나 이상)의 격리판 및 2개의 전극을 포함한다.
각 전극은 코일 요소(10)의 각 단부에서 턴(102, 103)의 형태로 전류 수집 섹션을 형성하도록 코일 요소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전류 수집 시트"라고 하는 각 전극의 시트가 코일 요소(10)의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한다.
따라서, 코일 요소(10)는 그 대향 단부의 각각에서 수집 섹션(102, 103)을 포함한다.
케이싱(20)이 코일 요소(10)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케이싱은 형상이 원통형이고 2개의 단부에서 개방된다.
커버들(30)이 케이싱(20)의 2개의 단부를 폐쇄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각 커버(30)는:
-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 상에 직접 커버(30)를 용접함으로써, 또는
-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에 용접되는 중간 편에 커버(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코일 요소(10)의 각각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설명하는 동안,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이 커버(30)에 직접 용접되는 경우에 더욱 초점을 맞춘다.
중간 연결편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커버(30) 상에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레이저 용접에 앞서, 본 발명은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를,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으로부터 전류 수집 섹션의 주변까지, 방사상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단계는 도 3에 특히 도시된다.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까지의 턴(101)의 코팅은 턴이 늘어나기 어렵게 하므로 코팅 공구가 지나가면 코팅되는 경향이 있다. 역으로, 상기 섹션의 단부의 주변에서 중앙까지의 턴(101)의 코팅은 코팅 공구가 지나가면 턴(101)이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까지의 방사상 코팅의 이점은 여러 가지이다.
특히, 그러한 코팅은 아래와 같은 코일 요소(10)를 생성한다:
- 단부의 편평도가 향상된다,
- 단부의 재료의 양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 각 단부의 표면에 홀이 몇 개 없다.
이것이 제조된 저장 어셈블리(1)의 실링 손실을 제한하고,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에서 커버(30)의 용접의 전기적 및 기계적 품질을 향상시킨다.
유리하게도,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코팅은 압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압착에 의한 코팅의 이점은, 특히 거칠기를 증가시키는, 재료의 분리를 초래할 수 있는 마찰에 의한 턴(101)의 코팅에 비해,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편평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 상으로의 커버(30)의 용접은 일반적으로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반경을 따라 실행된다. 제조 프로세스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코팅 단계는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전체 표면에 대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0)와 전류 수집 섹션(102, 103) 사이의 접촉은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표면의 어느 점에서 최적으로 된다. 유사하게, 용접은, 이 용접이 실행되는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반경에 무관하게, 동일한 품질을 갖는다.
코팅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그 장치는 코일 지지 요소(50), 롤러(40) 및 롤러 지지부(60)를 포함한다.
코일 지지 요소(50)는 샤프트(501)를 포함하고, 샤프트(501)의 일 단부(502)가 제1 구동 수단(503)에 연결되어 샤프트(501)을 세로축에 대해 회전시킨다.
구동 수단(503)은 예컨대, 모터를 포함하며, 모터의 출력 샤프트는 코일 지지 요소(50)의 샤프트(501)의 단부(502)에 위치하는 리드되는 피니언(506)에 스트랩(505)에 의해 연결되는 리드하는 피니언(504)을 포함한다. 구동 수단(503)은 물론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타입일 수 있다.
샤프트(501)의 타 단부는 코일 요소(10)를 수용하기 위한 동축 맨드릴(mandrel)(507)에 고정되어, 그 회전축이 샤프트(501)의 세로축에 동축이 된다.
따라서, 코일 요소의 지지 수단(50)이 그 회전축에 대해 코일 요소(1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롤러(40)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대칭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러(40)는 섹션(102)의 단부의 턴(101)을 코팅하도록 수집 섹션(102)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예컨대, 금속성의 회전 볼을 포함한다. 회전 볼은 코일 요소(10)와 회전 볼이 접촉할 때 마찰에 의해 회전 볼을 회전으로 구동시키는 코일 요소(10)의 속도에 회전 볼의 속도를 적응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회전 볼의 다른 이점은, 마모가 롤러와 수집 섹션의 단부 사이의 접촉면에 집중되는 고정된 롤러와 반대로, 볼의 마모가 볼의 표면 위에 균일하게 분포한다는 것이다.
롤러 지지부(60)는 롤러(40)를 대칭의 중심에 대해 회전하게 하면서 유지하도록 의도된 슬레드(sled)(602)와 밀접한 컵(601)을 포함한다.
슬레드(602)는 코일 요소(10)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에 따르는 제1 슬라이드(603)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레드(602)는 유사하게, 코일 요소(10)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에 따르는 제2 슬라이드(604)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슬라이드(603, 604)를 따른 슬레드(602)의 슬라이딩은 모터와 같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타입의 제2 구동 수단(605)에 의해 보증된다.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의 코팅은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 상에 중앙에서 주변으로 롤러(40)의 도포에 의해 달성된다. 롤러(40)는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의 레벨에서 턴(101)을 압축하여 코팅하기 위해 적용된다.
이를 위해, 코일 요소(10)가 맨드릴(507)에 고정되고, 맨드릴이 회전축에 대해 회전 구동된다.
회전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분당 400회보다 빠르다. 실제로, 코일 요소(10)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의 턴(101)의 코팅의 품질이 더 좋아진다. 그러나, 과도한 속도는 장치 및 특히 롤러(40)의 조기 노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코일 요소(10)의 회전 속도가 분당 400과 1600회 사이가 바람직하고, 분당 800과 1300회 사이가 더욱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슬레드(602)는 제2 구동 수단에 의해 제2 슬라이드(604)를 따라 병진 운동되어, 롤러(40)의 대칭 중심이 코일 요소(10)의 회전축과 일치하게 된다.
슬레드(602)는 그 후 제2 구동 수단(605)에 의해 제1 슬라이드(603)를 따라 병진 운동되어, 롤러(40)가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롤러(40)와 접촉하고 있는 수집 섹션(102)의 단부의 턴(101)이 코팅된다.
유리하게도, 롤러(40)와 전류 수집 섹션(102) 사이의 접촉면은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의 반경보다 작다. 이것이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 상으로의 롤러(40)의 각 패스(pass)에서의 코팅의 효과를 증가시킨다.
제2 구동 수단(605)은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제2 슬라이드(604)를 따라 슬레드(602)를 병진 운동시킨다.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는 이 방법으로 코팅되어 적어도 0.1㎜의 연속적인 턴(101) 상에 하나의 턴(101)의 커버링(covering)을 생성한다.
롤러(40)가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의 전체 표면을 지나가면, 제2 구동 수단(605)은 롤러(40)를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에서 멀리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슬라이드(603)를 따라 슬레드(602)를 병진 운동시킨다.
코팅 단계는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의 표면 상으로의 롤러(40)의 하나의 패스에서 또는 여러 개의 패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 상으로의 롤러(40)의 제2 패스는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의 표면을 더욱 조밀하게 만들어, 커버(30)와 수집 섹션의 단부 사이에서 이후에 실행되는 용접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와 달리, 롤러(40)의 2 이상의 패스가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의 표면 상에 생성될 수 있다.
각 패스에서,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가 바람직하게는 패스당 0.5㎜와 3㎜ 사이의 높이로 코팅된다. 실제로, 패스당 0.5㎜ 미만의 높이로의 섹션(102)의 단부의 코팅은 아래의 이유 중 하나로 턴들을 균일하게 코팅하지 못한다:
- 한편으로, 코일 요소의 권선의 불균일성이 코팅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 다른 한편으로, 0.5㎜ 미만의 높이로의 코팅은 턴들의 탄성 한계를 초과하지 못한다.
결국, 0.5㎜ 미만의 높이로의 코팅은 수집 섹션의 단부 상에 롤러의 적어도 하나의 제2 패스를 필요로 한다. 또한, 패스당 3㎜를 초과하는 높이로의 코팅은 턴들이 수집 섹션의 단부에서 파손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코팅이 수집 섹션의 단부 상에 롤러의 패스당 0.5와 3㎜ 사이의 높이로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집 섹션 단부는 2개의 패스에서 코팅되고, 각 패스는 1.5㎜ 미만의 높이로 턴들을 코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치의 일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한편으로는, 원통형 코일 요소가 자신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운동에 의해 여기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롤러가 코일 요소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된다. 그러나, 코일 요소가 롤러에 대한 병진 운동 및 상대 회전에 의해 여기되는 장치의 다른 변형이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변형(도시하지 않음)에서, 롤러 지지부가 고정되고, 원통형 코일 요소가 롤러에 대한 병진 운동 및 회전 축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여기된다. 장치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코일 요소는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롤러는 코일 요소에 대한 회전 운동 및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된다.
전류 수집 섹션(102)의 단부가 코팅되면, 장치는 전류 수집 섹션의 외부를 경사지게 하기 위해, 전류 수집 섹션(102)의 측벽(104)을 그 자유 단부의 레벨로 크러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이 외부 코팅된 턴(101)(즉, 수집 섹션의 단부의 주변에 위치하는 턴)이 코일 요소(10)의 풋프린트(footprint)를 넘어가지 않도록 방지한다. 또한, 주변 턴(101)의 내부를 향한 이러한 폴딩(folding)이, 용접에 의해 제어하기 어려운 영역인 커버(30)의 에지로부터 멀리 이들 턴을 이동시킴으로써, 이후의 용접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대향하는 수집 섹션의 단부의 코팅이 그 후 동일한 프로세스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재료 측면에서 여기에 설명한 신규의 사상 및 이점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상 설명한 장치 및 프로세스에 대해 여러 가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결과적으로, 이 타입의 모든 변형은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바와 같은, 발명의 주제어를 형성하는 모듈의 범위 내에 통합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코일 요소의 다른 실시예도 실현 가능하다. 특히, 코일 요소는 2 이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바로 위로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용접에 관하여 기재된 해법은 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간 편(piece)으로의 섹션의 단부의 용접과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롤러는 섹션의 단부의 반경을 따라 거리 d만큼 이격된 복수의 회전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회전 볼은 수집 섹션의 단부의 다른 영역을 코팅하기 위해, 거리 d를 초과하여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이것은 각 단부에 대한 코팅 단계의 지속기간을 단축시킨다.
하나의 변형으로서, 롤러는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고 오프셋되는 복수의 회전 볼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볼은 전류 소집 섹션의 단부의 전체 표면과 접촉하며, 각 연속적인 롤러는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와 이미 접촉하고 있는 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수집 섹션의 단부의 접촉 높이를 증가시킨다.
마지막으로, 코팅 단계는:
- 코일 요소의 턴의 에지를 외부를 향해 지향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턴의 에지의 준비 단계, 및
- 코일 요소의 베이스로부터 지향된 턴의 에지를 크러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들 단부의 각각에서 코팅 휠이 작동할 수 있게 하는 대칭 그립에 요소를 유지시킴으로써 동일한 요소의 2개의 대향 면 상에 동시에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히 입증된다.
1 :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10 : 코일 요소
30 : 커버
40 : 롤러
101 : 턴
102, 103 : 전류 수집 섹션

Claims (40)

  1. 턴(101)에 함께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 및 적어도 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코일 요소(10)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1)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로서, 각 전극은 상기 코일 요소의 각각의 축의 단부에서 중첩하여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을 형성하고, 그 위에서 커버(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편이 용접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커버(30)는 상기 코일 요소(10)를 수용하는 케이싱(20)을 고립시키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자신의 단부로의 방사상의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코팅은 크러싱(crushing)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전체 표면에 걸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40)의 적용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일 요소(10)는 상기 롤러(40)에 관한 상대적인 병진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애니메이트되는(anim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롤러(40)와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 사이의 접촉 표면은 상기 단부의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전체 표면에 대한 상기 롤러(40)의 적어도 1회의 통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 상에서 상기 롤러(40)의 적어도 2회의 통과 시에 완료되고, 매 통과 시마다 상기 턴(101)은 1.5 ㎜ 미만의 높이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9.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운동의 속도는 분당 400회 초과, 바람직하게는 분당 400과 1,600회 사이,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당 800과 1,300회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0)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를 0.5 ㎜와 3 ㎜ 사이의 높이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은 적어도 0.1 ㎜의 연속적인 턴 상에 하나의 턴의 덮개를 생성하도록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상기 원통형 코일 요소(10)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여기되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롤러(40)는 상기 코일 요소(10)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3.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상기 롤러(40)의 지지부는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원통형 코일 요소(10)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 및 상기 롤러(40)에 관한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4.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상기 코일 요소(10)는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롤러(40)는 상기 코일 요소(10)에 관한 회전 운동 및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이 코팅되면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외부를 경사지도록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측벽(104)을 자신의 자유 단부의 레벨에서 크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0)는 상기 섹션의 단부의 반경을 따라 거리 d만큼 이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다른 영역을 코팅하기 위해, 거리 d를 초과하여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0)는 서로에 관하여 각을 이루어 오프셋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각 롤러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전체 표면과 접촉하며, 연속적인 각 롤러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와 미리 접촉하는 롤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코팅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 상기 코일 요소의 턴의 에지를 외부로 지향시키는 상기 턴의 에지의 준비 단계, 및
    - 상기 코일 요소의 베이스로부터 지향된 턴의 에지를 크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프로세스.
  20. 턴(101)에 함께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 및 적어도 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코일 요소(10)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로서, 각 전극은 상기 코일 요소의 각각의 축의 단부에서 중첩하여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을 형성하고, 그 위에서 커버(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편이 용접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커버(30)는 상기 코일 요소(10)를 수용하는 케이싱(20)을 고립시키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자신의 단부에서의 방사상의 코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코팅은 크러싱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22.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코팅 수단은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를 전체 표면에 걸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23.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수단은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를 가압하여 코팅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코팅 수단은 상기 롤러(40)에 관한 상대적인 병진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코일 요소(10)를 여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25.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롤러(40)와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 사이의 접촉 표면은 상기 단부의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26.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수단은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의 전체 표면에 걸쳐 상기 롤러(40)가 적어도 1회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코팅 수단은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 상에서 상기 롤러(40)가 적어도 2회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매 통과 시마다 상기 턴(101)은 1.5 ㎜ 미만의 높이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28.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운동의 속도는 분당 400회 초과, 바람직하게는 분당 400과 1,600회 사이,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당 800과 1,300회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29.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0)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102, 103)의 단부를 0.5 ㎜와 3 ㎜ 사이의 높이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0.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수단은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을 코팅하여, 적어도 0.1 ㎜의 연속적인 턴 상에 하나의 턴의 덮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1.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상기 원통형 코일 요소(10)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여기되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롤러(40)는 상기 코일 요소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2.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상기 롤러의 지지부(60)는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원통형 코일 요소(10)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 및 상기 롤러(40)에 관한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3.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상기 코일 요소(10)는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롤러(40)는 상기 코일 요소(10)에 관한 회전 운동 및 병진 운동에 의해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4.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수단은 코일 지지 요소(50)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지지 요소(50)는 샤프트(501)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일 단부(502)는 상기 샤프트(501)의 회전을 위해 제1 구동 수단(503)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 단부는 상기 코일 요소(10)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동축 맨드릴(50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5. 청구항 23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롤러 지지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지지부(60)는 상기 롤러(40)를 수용하는 슬레드(602)와 밀접한 컵(601)을 포함하며, 상기 슬레드(602)는 상기 코일 요소(10)의 회전축에 평행한 병진 운동에 따라서 제1 슬라이드(603)를 따라, 그리고 상기 코일 요소(10)의 회전축에 수직인 병진 운동에 따라서 제2 슬라이드(604)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7.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0)는 상기 섹션의 단부의 반경을 따라 거리 d만큼 이격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다른 영역을 코팅하기 위해, 거리 d를 초과하여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8.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40)는 서로에 관하여 각을 이루어 오프셋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각 롤러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의 전체 표면과 접촉하며, 연속적인 각 롤러는 상기 전류 수집 섹션의 단부와 미리 접촉하는 롤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코팅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39. 턴(101)에 함께 감겨진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 및 적어도 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코일 요소(10)를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로서, 각 전극은 상기 코일 요소의 각각의 축의 단부에서 중첩하여 전류 수집 섹션을 형성하고, 그 위에서 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편이 용접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코일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고립시키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류 수집 섹션이 자신의 단부에 방사상으로 코팅되고, 상기 턴은 상기 수집 섹션의 단부의 중앙에서 주변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세스에 의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
KR1020107007938A 2007-09-13 2008-09-12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26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6424 2007-09-13
FR0706424A FR2921195B1 (fr) 2007-09-13 2007-09-13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nsambles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PCT/EP2008/062131 WO2009034164A1 (fr) 2007-09-13 2008-09-12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nsembles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729A true KR20100061729A (ko) 2010-06-08
KR101526629B1 KR101526629B1 (ko) 2015-06-05

Family

ID=3964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938A KR101526629B1 (ko) 2007-09-13 2008-09-12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628877B2 (ko)
EP (1) EP2198438B1 (ko)
JP (1) JP5341091B2 (ko)
KR (1) KR101526629B1 (ko)
CN (1) CN101809694B (ko)
AU (1) AU2008297076B2 (ko)
CA (1) CA2698701C (ko)
ES (1) ES2398003T3 (ko)
FR (1) FR2921195B1 (ko)
HK (1) HK1144216A1 (ko)
IL (1) IL204430A (ko)
PL (1) PL2198438T3 (ko)
RU (1) RU2453011C2 (ko)
UA (1) UA99835C2 (ko)
WO (1) WO2009034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0594B1 (fr) 2011-01-13 2013-01-18 Batscap Sa Ensemble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a element empile en accordeon
FR2979472B1 (fr) 2011-08-29 2013-08-23 Batscap Sa Connecteur dispose entre deux ensembles de stockage d'energie
FR2979473B1 (fr) 2011-08-29 2013-08-16 Batscap Sa Ensemble de stockage d'energie longue duree a piece de connexion intermediaire
FR3011128B1 (fr) * 2013-09-25 2015-10-3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realisation d'un faisceau electrochimique d'un accumulateur au lithium
JP2017107814A (ja) * 2015-12-11 2017-06-1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4101B1 (ko) * 2023-10-17 2024-02-06 (주)금양 원통형 배터리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7274A (en) * 1963-03-14 1966-03-01 Western Electric Co Method of making extended foil capacitors
FR2094491A5 (ko) * 1970-06-23 1972-02-04 Accumulateurs Fixes
DE2325985A1 (de) * 1973-05-22 1974-12-12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taktflaechen auf den stirnseiten eines elektrischen wickelkondensators
FR2603736A1 (fr) * 1986-09-05 1988-03-11 Dupuy Michel Procede et dispositif pour souder entre elles et sans apport de metal les spires de la bordure de chaque feuille metallique d'un condensateur bobine
SU1609345A1 (ru) * 1988-06-23 1994-05-15 Е.А. Браташ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денсатора рулонного типа и эпоксидный компаунд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417560B1 (ko) * 1995-09-27 2004-04-2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젤리롤형고용량2차전지
JP3707109B2 (ja) * 1995-09-27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JP3470470B2 (ja) * 1995-09-27 2003-11-25 ソニー株式会社 円筒形二次電池
US6456484B1 (en) * 1999-08-23 2002-09-2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WO2001024206A1 (en) * 1999-09-30 2001-04-05 Asahi Glass Company, Limited Capacitor element
JP3260349B2 (ja) * 2000-06-05 2002-0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用封止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JP2002083739A (ja) * 2000-09-07 2002-03-22 Honda Motor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3845283B2 (ja) 2001-09-11 2006-1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円筒型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における電極巻回体と集電板とのレーザ溶接用治具
US6813139B2 (en) * 2001-11-02 2004-11-02 Maxwell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 having carbon powder electrodes
CN1309105C (zh) * 2003-12-24 2007-04-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卷式电化学元件用极板组和电池
CN100334769C (zh) * 2004-05-28 2007-08-29 日本无公害电池研究所 二次电池
KR100599710B1 (ko) * 2004-07-28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차 전지제조 방법
JP5004452B2 (ja) * 2005-03-31 2012-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US7238453B2 (en) * 2005-04-25 2007-07-03 Ferro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with mixed salts
WO2007122894A1 (ja) * 2006-03-23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14580A (ru) 2011-10-20
RU2453011C2 (ru) 2012-06-10
JP2010539697A (ja) 2010-12-16
US20110020695A1 (en) 2011-01-27
AU2008297076A1 (en) 2009-03-19
HK1144216A1 (en) 2011-02-02
EP2198438A1 (fr) 2010-06-23
AU2008297076B2 (en) 2013-10-24
ES2398003T3 (es) 2013-03-13
JP5341091B2 (ja) 2013-11-13
CN101809694A (zh) 2010-08-18
KR101526629B1 (ko) 2015-06-05
CA2698701C (fr) 2016-01-19
FR2921195B1 (fr) 2009-11-06
UA99835C2 (uk) 2012-10-10
CN101809694B (zh) 2016-05-04
US8628877B2 (en) 2014-01-14
EP2198438B1 (fr) 2012-12-12
FR2921195A1 (fr) 2009-03-20
PL2198438T3 (pl) 2013-04-30
IL204430A (en) 2014-07-31
CA2698701A1 (fr) 2009-03-19
WO2009034164A1 (fr)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1729A (ko) 전기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43675B1 (ko)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1204598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극 제조용 도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제조 방법
JP5961624B2 (ja) バッテリー電極、及びバッテリー電極の製造方法
US7709146B2 (en) Bipolar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352576A (zh) 电极组装体以及电极组装体的制造方法
WO2014041588A1 (ja) 電子部品の電極帯のレーザー光線による切断方法とその装置
EP4098392A1 (en) Welding method of battery cover plate
RU26271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варки трением с перемешиванием устройства накоп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EP2554320A1 (en) Resistance welded structure, resistance welding method, welded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4833446A (zh) 电池全激光焊接制造方法
JPH097560A (ja) 密閉電池の封口溶接方法
KR20230076745A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US20180175359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chemical bundle for a metal-ion accumulator comprising metal foam at the ends of foils
JP6586868B2 (ja) 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
EP4333142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to which laser welding is applied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220168905A (ko) 전지 포밍 지그
WO2024110841A1 (en) Bead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 power storage device, machine provided with said beading unit and relative beading method
CN116014218A (zh) 一种无摩擦侧压法全极耳电池卷芯压平装置及压平方法
JPS62244575A (ja) 成形肉盛溶接による部材製作方法
JPS60207245A (ja) 扁平形電池の製造方法
JPH05314957A (ja) 電池の封口方法
JP2017111919A (ja) 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電極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