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528A - 열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 - Google Patents

열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528A
KR20100061528A KR1020107007819A KR20107007819A KR20100061528A KR 20100061528 A KR20100061528 A KR 20100061528A KR 1020107007819 A KR1020107007819 A KR 1020107007819A KR 20107007819 A KR20107007819 A KR 20107007819A KR 20100061528 A KR20100061528 A KR 20100061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thermoplastic polymer
fibers
backing layer
tex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043B1 (ko
Inventor
페터 그리나에우스
올리버 슈타우덴마이어
슈테판 크렘져
홀거 ??라인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706286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7062865B4/d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61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 D04H1/6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at spaced points or lo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8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 D04H1/645Impregnation followed by a solidification proces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 D04H1/645Impregnation followed by a solidification process
    • D04H1/65Impregnation followed by a solidification process using mixed or composit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orientated, e.g. in parallel (anisotropic flee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filaments or yarns secured together by chemical or thermo-activatable bonding agents, e.g. adhesives, applied or incorporated in liquid or solid form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텍스타일 산업에서 가용성 심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부드러운 이층 접착성 구조가 도포되는 부직포 패브릭 캐리어 층을 포함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에 관한 것이다. 열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은 제조하기가 쉽고 저렴하며 양호한 신축성, 양호한 접착 강도, 양호한 촉감 및 좋은 외관과 같은 우수한 특성으로 특징지어지며,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a) 사용 가능한 캐리어 층을 제조하는 단계, b)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캐리어 층의 선택된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바인더를 건조시키고 선택적으로 교차결합시키기 위해 그리고 열가소성 폴리머를 캐리어 층의 표면 위에 또는 표면과 함께 소결시키기 위해 단계(b)에서 얻어지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캐리어 층을 열처리하는 단계.

Description

열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THERMOFUSIBLE TEXTILE FABRIC}
본 발명은 특히 텍스타일 산업에서 가용성 심지(interlining)로 유용하며, 텍스타일 소재로 구성되고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층(two-layered) 결합 화합물 구조를 지지하는 배킹 층(backing ply)을 가지는 열가용성 시트 소재에 관한 것이다.
심지는 의류의 눈에 띄지 않는 골격이다. 심지는 의류가 착용자에게 잘 맞도록 하고 최적의 착용감을 주도록 한다. 적용하기에 따라서, 심지는 가공성을 증대시키고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의류를 안정화시킨다. 의류 외에도, 이러한 기능들은 산업용 텍스타일 용도들, 예를 들어 가구, 실내장식 및 가정용 텍스타일들에서도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심지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은 유연성(softness), 탄력성, 촉감, 세탁과 케어 내구성(wash and care durability), 및 사용되는 배킹 소재에 적합한 마모 저항성이다.
심지는 부직포, 직물, 니트, 또는 유사한 텍스타일 시트 소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재들에는 대개 결합 화합물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데, 이에 의해 심지는 상부 패브릭에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가용성 심지). 이와 같이 심지는 상부 패브릭에 라미네이팅된다. 이러한 다양한 텍스타일 시트 소재들은 그 제조방법에 따라 상이한 특성들을 가진다. 직조 패브릭들은 경사와 위사의 방향으로 실/사(threads/yarns)로 구성되고, 니트는 루프 구조에 의해 텍스타일 시트 소재 안으로 연결된 실/사로 구성된다. 부직포는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적으로 결합된 파이버 웹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된 개개의 파이버들로 구성된다.
기계적으로 결합된 부직포의 경우, 파이버 웹은 파이버들의 기계적인 얽힘(interlacing)에 의해 결속된다. 이는 니들링(needling) 기법을 사용하거나 물이나 증기의 분사에 의한 얽힘 기법을 사용한다. 니들링은, 상대적으로 변하기 쉬운(labile) 촉감을 가지기는 하지만, 유연한 제품들을 제공하며 따라서 이 기술은 단지 특수한 틈새시장의 심지용으로 확립되었다. 게다가, 기계적 니들링은 일반적으로 50g/m2를 초과하는 평량(basis weight)을 요구하는데, 이는 다수의 심지 적용 제품용으로는 너무 무겁다.
물 분사에 의해 결속되는 부직포는 낮은 평량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편평하고 탄력성이 부족하다.
화학적으로 결합된 부직포의 경우, 파이버 웹이 침지법(impregnating), 분사법(spraying) 또는 기타 통상적인 적용 방법에 의해 바인더(예컨대 아크릴레이트 바인더)로 처리되고 뒤이어 경화된다. 바인더는 부직포를 형성하기 위해 파이버들을 함께 결합시키지만, 바인더가 파이버 웹에 광범위하게 분포되고 복합 재료에서와 같이 파이버들을 전체에 함께 접착시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뻣뻣한 제품이 얻어진다. 촉감/유연성의 변화는 파이버의 혼용이나 바인더의 선택에 의해 완전히 상쇄되지는 않는다.
열적으로 결합된 부직포는 심지로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캘린더(calender)나 뜨거운 공기에 의해 결속된다. 부직포 심지에 대한 현재의 표준 기술은 포인트 형 캘린더 결속법(pointwise calender consolidation)이다. 여기서 파이버 웹은 일반적으로 이 공정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파이버들로 구성되고, 파이버의 융점 근처의 온도에서 캘린더에 의해 결속되며, 캘린더의 하나의 롤은 포인트 조각(point engraving)을 가진다 이러한 포인트 조각은 예컨대 64포인트/1cm2로 구성되고 12%의 씨일링 표면(sealing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포인트 배열이 없다면, 심지는 평탄하게 결속될 것이고 촉감이 부적절하게 깔깔할 것이다.
텍스타일 시트 소재들을 제조하기 위한 위의 공정들은 공지이며 교본 및 특허 문허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심지에 도포되는 결합 화합물은 열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대개 열가소성 폴리머들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결합 화합물을 도포하는 기술은 파이버 시트 소재 위의 별개의 공정에서 시행된다. 결합 화합물 기술로서 분말 포인트(powder point), 페이스트 프린팅(paste printing), 더블 포인트(double point), 살포(sprinkling), 핫멜트(hotmelt) 공정들이 알려져 있고 특허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더블 포인트 코팅은 케어링 처리(caring treatment) 후 상부 패브릭에 대한 접착성의 관점에서 현재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더블 포인트는 하부 포인트와 상부 포인트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이층 구조를 가진다. 하부 포인트는 기초 소재 안으로 침투하고 결합 화합물 역류(strike-back)에 대한 저지층으로 작용하고 상부 포인트 입자들을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통상적인 하부 포인트들은 예를 들어 바인더로 구성된다. 사용된 화학적 성질에 따라, 하부 포인트는 기초 소재에서의 고정뿐만 아니라 결합 화합물 역류의 방지를 위한 저지층으로서 기여한다. 본래 이층 복합물에서 주요 접착 성분이며 하부 포인트 위에 분말로서 살포되는 것은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된 상부 포인트이다. 살포 후, 분말의 과잉 부분(하부 층의 포인트들 사이의)은 다시 흡입된다. 뒤이은 소결(sintering) 후에, 상부 포인트는 하부 포인트에 (열적으로) 결합되고 상부 패브릭에 대한 접착 물질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심지의 의도된 목적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포인트들이 프린트되고/되거나 결합 화합물의 양 또는 포인트 패턴의 배열이 변화된다. 포인트들의 대표적인 개수는 예를 들어, 9g/m2의 부가물(add-on)의 CP 110 또는 11g/m2의 부가율을 가지는 CP 52이다.
열가소성 상부 포인트 소재가 먼저 살포되어야 하고 결합 화합물의 포인트들 사이의 과잉 부분이 다시 흡입되어야 하며 다시 흡입하는 것은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더블 포인트 기술은 상당한 기계장치와 투자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만약 이러한 공정이 충분한 정도로 수행되지 않거나 또는 전혀 수행되지 않으면, 심지와 상부 패브릭간 라미네이트에서 용융 후에 원하지 않는 깔깔한 촉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탈락된 폴리머 입자들로 인하여 상부 패브릭이 더럽혀질 수 있고 저지층이 없기 때문에 내부층의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페이스트 프린팅도 또한 널리 사용된다. 이 기술에서, 수분산액은 일반적으로 80㎛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입자 형태의 열가소성 폴리머들, 증점제 및 유동 조절제로부터 준비되고 뒤이어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공정에 의해 보통 포인트들 형태로 된 배킹 층에 페이스트 형태로 도포된다. 프린팅된 배킹 층은 그 후에 건조 공정을 거친다. 결합 화합물을 도포하기 위한 페이스트 프린팅은 결합 성능 측면에서 그리고 저지층의 부재로 인한 결합 화합물 역류라는 점에서 더블 포인트 공정보다 우수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특히 텍스타일 산업에서 가용성 심지로서 사용되고 매우 우수한 촉감과 시각적 특성들 및 상부 패브릭에 대한 매우 높은 결합력을 가지며 게다가 제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모든 특징들을 가지는 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텍스타일 산업에서 가용성 심지로 유용하며, 텍스타일 소재로 구성되고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층 결합 화합물 구조를 지지하는 배킹 층을 가지는 열가용성 시트 소재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a) 배킹 층을 제공하는 단계,
b)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의 액체-기반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의 수분산액/페이스트를, 배킹 층의 선택된 면적의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바인더를 건조시키고 선택적으로 교차결합시키기 위해 그리고 상기 바인더를 지지하는 배킹 층의 표면에/과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를 소결시키기 위해 단계(b)로부터 얻어지고 혼합물을 지지하는 배킹 층을 열처리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열가용성 시트 소재는 높은 결합 강도를 가진다. 놀랍게도, 사실상 결합 화합물의 역할을 하는 열가소성 폴리머 및 바인더로 구성된 결합 포인트는 전술한 더블 포인트 기술의 결합 화합물 포인트에 필적할 만한 결합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더블 포인트 경우와 달리, 본 발명의 더블 포인트는 단일 단계의 공정에서 도포해질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가 분말 형태가 아니라 바인더가 섞인 혼합물의 형태로 도포해지기 때문에, 더블 포인트 공정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공정은 탈락된 과잉 또는 폴리머 입자로 인한 오염이나 원하지 않은 들러붙음과 같은 문제가 전혀 없다. 게다가 비용이 많이 들고 불편한 흡입 공정이 필요 없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가용성 시트 소재는 제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다.
배킹 층에 사용될 소재들, 바인더 및 열가소성 폴리머는 각각의 의도된 적용 분야 및/또는 특정한 품질 요건들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원하는 목적에 적합한 물질들의 조합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킹 층은 텍스타일 소재, 예를 들어 직조 패브릭, 또는 니트 패브릭 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킹은 부직포 패브릭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다른 텍스타일 소재들의 실(threads)이나 사(yarns)뿐만 아니라 부직포 패브릭은 인조 파이버들이나 천연 파이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되는 인조 파이버들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재생 셀루로오스 및/또는 바인더 파이버들이고 천연 파이버들은 양모나 면 파이버들이다.
인조 파이버들은 크림프를 부여할 수 있거나(crimpable), 크림프가 있고(crimped)/있거나 크림프가 없는(uncrimped) 스테이플 파이버들(staple fibers), 크림프를 부여할 수 있거나, 크림프가 있고/있거나 크림프가 없는 직접 방사 연속 필라멘트 파이버들(directly spun continuous filament fibers), 및/또는 멜트블로운(meltblown) 파이버들과 같은 유한한 파이버들(finite fibers)을 포함할 수 있다.
배킹 층은 단일 또는 다중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심지로 특히 적합한 파이버는 6.7 dtex 이하의 파이버 선형 밀도를 가지는파이버이다. 큰 선형 밀도는 상당한 파이버 강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파이버 선형 밀도는 1.7 dtex의 영역이나, 1 dtex 미만의 선형 밀도를 가지는 미세파이버들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바인더는 아크릴레이트,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SBR, NBR 및/또는 폴리우레탄 타입의 바인더일 수 있다.
실제적인 결합 화합물의 역할을 하는 열가소성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코)폴리에스테르-기반, (코)폴리아미드-기반, 폴리올레핀-기반, 폴리우레탄-기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기반의 폴리머들 및/또는 그들의 조합(혼합물들 및 사슬 성장 부가 코폴리머들)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폴리머의 양에 대한 사용된 바인더의 양의 비율 및 배킹 층의 습윤성 변화를 통해 매우 강하게 결합되고 마모 저항력이 있는 제품들을 얻을 수 있고 기모된 직물들에 대응할 수 있는 표면들을 가지는 매우 유연성 있는 부직포 패브릭을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의 비율이 높으면 매우 높은 박리 저항력을 얻을 수 있다. 용액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입자 열가소성 폴리머의 표면을 변경함으로써, 그의 바인더 매트릭스 안으로의 혼입이 달라질 수 있다. 바인더 매트릭스의 다른 성분들에 의한 입자 표면들의 점유가 커지면 획득할 수 있는 결합력에 악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수분산액의 형태 또는 페이스트의 형태의 액체-기반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바인더 및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인트 패턴으로 배킹에 도포된다. 이는 소재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보장한다. 포인트 패턴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결코 포인트 패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선 형태로, 줄무늬 형태로, 망이나 격자 형의 구조 형태로, 직사각형이나 다이아몬드 또는 타원의 포인트 형태로 등과 같이, 어떠한 형태로든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텍스타일 소재로부터 배킹 층을 제공하는 단계,
b)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배킹 층의 선택된 면적의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
c) 바인더를 건조시키고 선택적으로 교차결합시키기 위해 그리고 상기 바인더를 지지하는 배킹 층의 표면에/과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를 소결하기 위해 단계(b)로부터 얻어지고 혼합물을 지지하는 배킹 층을 열처리하는 단계.
부직포 패브릭은 앞서 설명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부직포 패브릭을 형성하기 위하여 파이버 웹의 파이버들을 결합하는 것은 기계적으로 달성되거나(종래의 니들링, 물 분사 기술), 바인더에 의해 또는 열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로 프린팅되는 동안에 배킹 층은 추가적으로 바인더 처리되고 결속되기 때문에, 보통의 부직포 패브릭 강도는 프린팅 전의 배킹 층에 사용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부직포 패브릭이 촉감 요건을 만족하기만 한다면, 부직포 패브릭에 요구되는 보통의 강도는 값싼 파이버 원재료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공정 관리도 또한 단순화될 수 있다. 분산액에서의 바인더는 폴리머 입자들이 배킹 층에 고정되도록 돕는다.
스테이플 파이버들이 사용될 때, 파이버 웹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롤러 카드(card)로 스테이플 파이버들을 카딩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서는 랜덤 래핑(random lapping)이 바람직하지만, 부직포 패브릭의 특정 특성들이 가능하게 될 때 및/또는 다중-층 파이버 구조들을 원할 때, 길이 방향 및/또는 폭방향 래핑의 조합들 및/또는 한층 더 복잡한 롤러 카드 배열들도 또한 가능하다.
텍스타일 소재 또는 부직포 패브릭으로 제조된 배킹 층은 프린팅 장치에서 직접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분산액으로 프린팅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프린팅 공정이 더 일관성이 있도록 프린팅 전에 배킹 층을 텍스타일 조제들로 습윤시키거나 원하는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팅을 위한 혼합물은 분산의 형태로 존재한다.
사용되는 분산액은 바람직하게 다음을 포함한다:
아크릴레이트,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SBR, NBR 및/또는 폴리우레탄 타입의 교차결합 또는 교차결합 가능한 바인더들;
o 증점제(thickeners)(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폴리아크
릴레이트들 및 그의 염들),
o 분산제(dispersants),
o 습윤제(wetting agents),
o 유동 조절제(flow control agents),
o 촉감 개선제(hand modifiers)(예를 들어 실리콘 화합물들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들) 및/또는
o 충전제(fillers)와 같은 조제들(auxiliaries); 및
결합 화합물의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들.
열가소성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입자들의 형태로 존재한다. 놀랍게도, 텍스타일 배킹 층이 입자들, 바인더 및, 몇몇 경우에는, 추가적인 성분들의 분산에 의해 프린팅되므로, 바인더는 굵은 입자들로부터 분리되고 굵은 입자들은 결합 영역의 상부면에, 예를 들어 포인트 표면에 더 많이 머무르게 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바인더는, 배킹 층 안에 고정되는 것과 배킹 층을 결합하는 것 외에, 굵은 입자들을 결합시킨다. 동시에, 입자들과 바인더의 부분적인 분리는 배킹 층의 표면에서 발생한다. 바인더가 소재 안으로 깊게 침투하는 반면, 입자들은 표면에 축적된다. 그 결과, 폴리머의 굵은 입자들은 바인더 매트릭스로 결합되지만, 동시에 부직포 패브릭의 표면의 폴리머 입자들의 자유 면적은 상부 패브릭에 대한 직접적인 접착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블 포인트와 유사한 구조가 개발되었지만, 공지의 더블 포인트 공정에서 이러한 구조를 제조하는 것과는 다르게, 오직 단일 공정 단계가 요구되고 게다가 과잉 분말의 흡입에 의한 값 비싸고 불편한 제거가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이층의 결합 화합물 포인트들은 먼저 도포된 층이 저지층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결합 화합물의 역류가 적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결합 포인트는 더블 포인트와 유사하며 또한 이러한 긍정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명백히, 여기에 설명된 방법은 결합 포인트에 저지층을 그 자리에서 형성하는 결과를 낳으며, 열가소성 폴리머의 역류가 효과적으로 저지되고, 그 결과 제품의 긍정적 특성들이 향상된다.
입자들의 크기는 프린팅될 면적에 따라, 예를 들어 결합 포인트의 원하는 사이즈에 따라, 결정된다. 포인트 패턴의 경우, 입자 직경은 0μ 내지 500μ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원칙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입자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분포를 가지며, 즉, 입자 크기들의 분포 범위를 늘 가진다. 입자 크기의 범위들은 각각 주요 부분들(main fractions)이다. 입자 크기는 원하는 도포율(application rate), 포인트 크기 및 포인트 분포에 매칭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바인더들은 그래스전이온도(Tg)가 변할 수 있지만, 부드러운 제품용으로 유리전이온도가 10℃ 미만인 "부드러운" 바인더들이 통상적으로 선호된다. 조제들은 페이스트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절한 바인더들은 심지의 촉감을 넓은 범위로 변화시킬 수 있다.
프린팅 공정 후에, 바인더를 건조시키고 선택적으로 교차결합시키기 위해 그리고 열가소성 폴리머를 결합 층과 배킹 층의 표면, 특히 부직포 패브릭의 표면, 위에/과 소결하기 위해 소재를 열처리한다. 이어서 소재는 감겨진다.
열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의 바람직한 용도의 하나는 텍스타일 산업에서의 심지로서의 사용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의 용도는 이 용도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덮개를 씌운 가구, 강화된 좌석 구조, 시트 커버와 같은 가정용 텍스타일들의 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및 자동차 인테리어, 신발 구성요소, 위생/의료 분야의 가용성 및 신축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와 같은 다른 용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제, 텍스타일 산업에서 가용성 심지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의 예를 사용하여 일반성을 잃지 않고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사용된 테스트 방법들:
아래에서 설명할 예시적 예들을 자체 제조한 포플린(poplin) 타입의 상부 패브릭에 용융하는 것이 140℃에서 12초 동안 연속적인 가압으로 행해졌다. 박리 저항력은 DIN54310 또는 DIN EN ISO 6330에 따라 측정된다. 박리 저항력 테스트에서, 상부 패브릭과 심지 사이의 접착성이 강하여 테스트가 수행되는 동안 박리가 완료되기 전에 심지가 찢어지는 경우, 박리 저항력 값을 "sp"로 나타낸다. 원칙적으로 접착성이 심지의 내부 강도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이는 목표로 삼는 최대값이다.
결합 화합물 역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외부의 상부 패브릭과 심지로 이루어진 내부 샌드위치는 전술한 설정들에 따른 용융 프레스를 거친다. 내부 층의 접착력이 낮을수록 결합 화합물 역류가 줄어든다.
제1 실시예
35g/m2의 평량을 가지며, 1.7 dtex 38mm 폴리에스테르(PET) 파이버 100%로 구성된 파이버 웹은 롤러 카딩된다. 이 파이버 웹은 매끄러운 롤 측의 결합 온도가 표준 공정에 비하여 5℃ 낮은 캘린더에서 221℃의 온도에서 포인트 결속된다. 이로 인해 부직포 패브릭은 더 큰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부직포 패브릭에 약하게 결합된 파이버 웹은 그 다음에 110 포인트/cm2의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장치를 통과하고 18 g/m2의 (건조) 추가물(add-on)을 가진 바인더-폴리머 분산액에 의해 포인트로 프린팅된다. 프린팅된 부직포 패브릭은 벨트 건조기에서 175℃로 건조되고 바인더는 교차결합을 하고 폴리머 입자들이 그 위에 함께 소결된다.
바인더-폴리머 분산액은 다음의 조성을 가진다:
그래스전이온도(Tg)가 -12℃인 자기-교차결합 부틸/에틸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분산: 12부
코폴리아미드 분말(입자 직경이 0 내지 160μ이고 용융 범위가 약 115℃인): 24부
습윤제 a//n/i: 1부
증점제: 3부
물: 60부
제2 실시예
20g/m2의 평량을 가지며, 1.7 dtex 38mm의 나일론-6 파이버 50%와 1.7 dtex 34mm의 폴리에스테르(PET) 파이버 50%로 구성되는, 롤러 카딩된 파이버 웹은 20 bar의 수압에서 노즐 스트립을 통해 미리 습윤되고, 잔여 수분 함유량이 45%가 되도록 과량의 수분은 제거된다. 낮은 압력 때문에, 수류 엉킴 결속(hydroentanglement consolidation)에 비해 결속은 매우 약하다. 매우 부드러운 부직포 패브릭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 파이버 웹은 그 다음에 110 포인트/cm2의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장치를 통과하고 9 g/m2의 추가물을 가진 바인더-폴리머 분산액에 의해 포인트로 프린팅된다. 프린팅된 부직포 패브릭은 벨트 건조기에서 175℃로 건조되고 바인더는 교차결합을 하고 폴리머 입자들이 그 위에 함께 소결된다.
바인더-폴리머 분산액은 다음의 조성을 가진다:
그래스전이온도(Tg)가 -28℃인 자기-교차결합 부틸/에틸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분산: 9부
코폴리아미드 분말(입자 직경이 60 내지 130μ이고 용융 범위가 약 110℃인): 27부
습윤제 a//n/i: 1부
분산제: 2부
증점제: 2부
물: 59부
제3 실시예
40g/m2의 평량을 가지며, 스펀본드 공정에 의해 방사된 나일론-6으로 구성된 랜덤-적층(random-laid) 필라멘트 웹은 먼저 콜렉팅 벨트(collecting belt)에 적층된 후 유연한 스펀본드를 형성하기 위해 190℃에서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한 쌍의 롤을 통해 포인트 결합된다. 유연한 스펀본드는 37 포인트/cm2의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장치를 통과하고 16 g/m2의 추가물을 가진 바인더-폴리머 분산액에 의해 포인트로 프린팅된다. 프린팅된 부직포 패브릭은 그 뒤에 벨트 건조기에서 175℃로 건조되고 바인더는 교차결합을 하고 폴리머 입자들이 그 위에 함께 소결된다.
바인더-폴리머 분산액은 다음의 조성을 가진다:
그래스전이온도(Tg)가 -18℃인 자기-교차결합 부틸/에틸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분산: 7부
그래스전이온도(Tg)가 -10℃인 자기-교차결합 부틸/에틸 아크릴레이트 바인더 분산: 7부
코폴리아미드 분말(입자 직경이 80 내지 200μ이고 용융 범위가 약 120℃인): 32부
습윤제 a//n/i: 1부
분산제: 2부
증점제: 1부
물: 50부
예시적 실시예들대로 제조된 텍스타일 시트 소재들의 제품 특성들이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2는 제1 실시예의 텍스타일 시트 소재와 열적으로 결합된 비교예 사이의 비교를 보여준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시트 소재들은 높은 기계적 강도, 높은 신도 및 높은 박리 저항력과 연관된 우수한 마모 저항성을 가진다는 것이 표들에 기재된 값들로부터 명백하다.

Claims (12)

  1. 특히 텍스타일 산업에서 가용성 심지로 유용하며, 텍스타일 소재로 구성되고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층 결합 화합물 구조를 지지하는 배킹 층(backing ply)을 가지는 열가용성 시트 소재에 있어서,
    a) 상기 배킹 층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상기 배킹 층의 선택된 면적의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바인더를 건조시키고 선택적으로 교차결합시키기 위해 그리고 상기 바인더를 지지하는 상기 배킹 층의 표면에/과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를 소결시키기 위해 상기 단계(b)로부터 얻어지고 혼합물을 지지하는 상기 배킹 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질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시트 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소재는 부직포 패브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시트 소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패브릭은 크림프를 부여할 수 있거나(crimpable), 크림프가 있고(crimped)/있거나 크림프가 없는(uncrimped) 스테이플 파이버들(staple fibers), 크림프를 부여할 수 있거나, 크림프가 있고/있거나 크림프가 없는 직접 방사 연속 필라멘트 파이버들(directly spun continuous filament fibers),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재생 셀루로오스로 구성된 멜트블로운(meltblown) 파이버들, 및/또는 바인더 파이버들 및/또는 양모나 면 파이버와 같은 천연 파이버들과 같은 유한한 파이버들(finite fiber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시트 소재.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들의 파이버 선형 밀도는 6.7 dtex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코)폴리에스테르-기반, (코)폴리아미드-기반, 폴리올레핀-기반, 폴리우레탄-기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기반의 폴리머들 및/또는 상기 폴리머들의 조합(혼합물들 및 사슬 성장 부가 코폴리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입자들의 형태로 상기 혼합물 안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은 500㎛ 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레이트,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SBR, NBR 및/또는 폴리우레탄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와 바인더의 혼합물은 분산액의 형태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은 증점제, 분산제, 습윤제, 유동 조절제, 촉감 개선제 및/또는 충전제와 같은 조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은 스크린 프린팅 공정에 의해 도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인더와 열가소성 폴리머의 혼합물 또는 분산액은 포인트들의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포된 패턴으로 상기 배킹 층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소재.
KR1020107007819A 2007-11-09 2008-11-10 열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 KR101217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3914.4 2007-11-09
DE102007053914 2007-11-09
DE102007062865A DE102007062865B4 (de) 2007-11-09 2007-12-21 Textiles fixierbares Flächengebilde
DE102007062865.1 2007-12-21
EP08008246.4 2008-04-30
EP08008246 2008-04-30
DE202008013239 2008-10-08
DE202008013239.8 2008-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528A true KR20100061528A (ko) 2010-06-07
KR101217043B1 KR101217043B1 (ko) 2012-12-31

Family

ID=4062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819A KR101217043B1 (ko) 2007-11-09 2008-11-10 열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54144B2 (ko)
EP (1) EP2207925B1 (ko)
JP (1) JP2011503372A (ko)
KR (1) KR101217043B1 (ko)
CN (1) CN101849057B (ko)
BR (1) BRPI0820305A2 (ko)
ES (1) ES2405547T3 (ko)
PL (1) PL2207925T3 (ko)
WO (1) WO20090598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2865B4 (de) * 2007-11-09 2009-10-15 Carl Freudenberg Kg Textiles fixierbares Flächengebilde
CN102220687B (zh) * 2011-04-27 2012-11-28 嘉兴学院 一种服装用不易钻绒的多功能无纺衬里布
DE102011112267A1 (de) 2011-09-02 2013-03-07 Carl Freudenberg Kg Fixiereinlage
DE102012009055B4 (de) * 2012-05-08 2015-06-03 Carl Freudenberg Kg Thermisch fixierbares Flächengebild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Einlagestoff zur Fixierung an einem Oberstoff
US9380893B2 (en) * 2014-01-13 2016-07-05 Ronie Reuben Thermally insulating stretchable down feather shee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10182656B2 (en) 2015-04-13 2019-01-22 Steelcase Inc. Seating components with laminated bonding material
MX2020004227A (es) * 2017-10-27 2020-07-22 Freudenberg Carl Kg Estructura plana termicamente fijable.
DE102019106995A1 (de) * 2019-03-19 2020-09-24 Carl Freudenberg Kg Thermisch fixierbares textiles Flächengebilde
WO2020263996A1 (en) * 2019-06-27 2020-12-30 Bemis Associates, Inc. Methods of bonding a textile
DE102022105897A1 (de) 2022-03-14 2023-09-14 Carl Freudenberg Kg Thermisch fixierbares Flächengebilde mit biologisch abbaubarer Haftmass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8790A (en) * 1961-05-26 1966-01-11 Johnson & Johnson Nonwoven fabric containing polyolefin fibers bonded together with a mixture of polyolefin and acrylic resins
GB1379660A (en) 1972-05-23 1975-01-08 Johnson & Johnson Nonwoven fabric and sanitary napkin comprising it
DE2351405C3 (de) * 1973-10-12 1979-05-17 Kufner Textilwerke Kg, 8000 Mue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seitig heiBsiegelfahigen Vlieses
JPS5742114A (en) * 1980-08-26 1982-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producing ceramic electronic part
DE3049036C2 (de) * 1980-12-24 1984-09-13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Verfahren zum gleichzeitigen, kontinuierlichen Verfestigen und Beschichten eines Vliesstoffes
DE3404545C2 (de) 1984-02-09 1986-02-13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üllvliesstoff-Laminates
FR2672313B1 (fr) * 1991-02-05 1993-04-30 Picardie Lainiere Procede de fabrication d'entoilages thermocollants, entoilage thermocollant.
US5403640A (en) * 1993-08-27 1995-04-04 Reichhold Chemicals, Inc. Textile coat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605739A (en) * 1994-02-25 1997-02-25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laminates with improved peel strength
EP0675183B1 (de) 1994-03-30 1997-08-27 KUFNER TEXTILWERKE GmbH Verfahren zum rasterförmigen Beschichten von Flächengebilden mit Schmelzklebern
JPH093781A (ja) * 1995-06-20 1997-01-07 Japan Vilene Co Ltd 接着布
JP3649353B2 (ja) * 1995-08-23 2005-05-18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接着芯地
JP3184442B2 (ja) 1995-11-29 2001-07-09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接着芯地及びこれを用いた衣服
DE69826306T2 (de) * 1997-10-31 2005-02-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eenah Gekreppte vliesstoffe und einlage
DE10240926B4 (de) * 2002-09-02 2007-10-25 Carl Freudenberg Kg Fixiereinlag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5030484B4 (de) * 2005-06-28 2007-11-15 Carl Freudenberg Kg Elastischer Vliesstoff,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KR100869902B1 (ko) 2007-01-26 2008-11-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관리 시스템 환경에서의 장애 및 성능정보 통합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DE102007062865B4 (de) * 2007-11-09 2009-10-15 Carl Freudenberg Kg Textiles fixierbares Flächengebil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9801A3 (de) 2009-09-11
KR101217043B1 (ko) 2012-12-31
JP2011503372A (ja) 2011-01-27
EP2207925A2 (de) 2010-07-21
CN101849057B (zh) 2014-01-15
ES2405547T3 (es) 2013-05-31
WO2009059801A2 (de) 2009-05-14
BRPI0820305A2 (pt) 2015-05-19
EP2207925B1 (de) 2013-03-20
US20100272912A1 (en) 2010-10-28
US8354144B2 (en) 2013-01-15
CN101849057A (zh) 2010-09-29
PL2207925T3 (pl)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043B1 (ko) 열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
KR101254127B1 (ko) 가용성 텍스타일 패브릭
KR20100080606A (ko) 셀룰로스 섬유를 포함하는 수류교락된 생성물의 제조 방법
EP0896645A2 (en) Durable spunlaced fabric structures
JPS633993B2 (ko)
KR20200111629A (ko) 열 가용성 텍스타일 시트 재료
JP5145239B2 (ja) 固着可能な芯地材料
JP5517085B2 (ja) 接着芯地
US20010000585A1 (en) Durable, absorbent spunlaced fabric structures
DE102009010995A1 (de) Thermisch fixierbares Flächengebilde
CN106232897B (zh) 热熔粘合性幅料及其制备方法
GB2319265A (en) A high durability non-woven fabric
TWI411715B (zh) 可用熱固定的布材
Patel et al. Nonwoven technology
CN113263790B (zh) 一种功能性复合面料及其制备方法
JPH108311A (ja) 接着芯地
CZ16409U1 (cs) Textilní stěrka
KR20130099266A (ko) 열 가용성 인터페이싱과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