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803A - 모듈식의 부유하는 선박 포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식의 부유하는 선박 포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803A
KR20100054803A KR1020107003391A KR20107003391A KR20100054803A KR 20100054803 A KR20100054803 A KR 20100054803A KR 1020107003391 A KR1020107003391 A KR 1020107003391A KR 20107003391 A KR20107003391 A KR 20107003391A KR 20100054803 A KR20100054803 A KR 20100054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artition wall
pedestal
walls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546B1 (ko
Inventor
더스틴 이멜
커티스 다운스
Original Assignee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3619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5480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4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longitudinal movement of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설계자가 원하는 배치의 포트 조립체를 개발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진입부재, 연장부재 및 칸막이벽을 포함한다. 상기 진입부재는 진입영역을 갖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연장부재의 전장으로 연장되는 받침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재의 대향되는 단부들에서 개방된다. 칸막이벽들이 원하는 위치들에서 상기 진입부재 및/또는 연장부재들 상에 위치되어 선박수용 받침대들의 전방단부들의 윤곽을 갖도록 한다.

Description

모듈식의 부유하는 선박 포트 조립체 {MODULAR FLOATING WATERCRAFT PORT ASSEMBLY}
관련된 출원들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07년 8월 16일자로 출원되고 모듈식의 부유하는 선박 조립체로 표제된 미합중국 가특허출원 제60/956,215호, 2008년 5월 22일자로 출원되고 모듈식의 부유하는 선박 포트 조립체로 표제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2/125,539호 및 2008년 5월 22일자로 출원되고 선박 포트 및 리프트들에 대한 사용을 위한 롤러로 표제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2/125,206호들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인용한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개인용의 소형 선박을 위한 부유하는 도크(floating docks) 또는 포트(port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인용의 선박을 위한 모듈식의 포트 시스템(modular port system)에 관한 것이다.
부유하는 선박 포트들 및 리프트(lifts)들을 제조하는 제조업자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존 획득가능한 선박 포트/리프트들의 설계로 인하여 정박지(marina)의 포트/리프트 영역을 주문화(customization)할 수 있는 능력은 제한된다. 포트를 포함하는 정박지 또는 도크들의 소유자들은 도크 제조업자들에게 상기 정박지 또는 도크들이 다른 배치(configulations)들로 쉽게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융통성을 점점 더 추구한다. 따라서, 상기 정박지의 포트/리프트 영역의 설계에서 보다 더 큰 주문화를 허용하는 선박 포트/리프트 모듈(port/lift module)을 갖기를 희망한다.
간단히 언급하면, 설계자가 원하는 배치의 포트 조립체를 개발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선박 포트 시스템은 진입부재(entry member), 연장부재(extension member) 및 칸막이벽(bulkhead)을 포함한다.
상기 진입부재는 전방단부, 후방단부, 측면들, 바닥표면 및 상부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진입부재는 상기 진입부재의 상부표면 내에 진입영역(entrance section)을 갖는 받침대(cradle)를 한정한다. 진입롤러(entrance roller)가 상기 진입영역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진입부재는 상기 포트가 물에 부유되는 경우( 및 선박이 상기 진입부재 상에 수용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진입영역의 후방에 탑재된 상기 진입롤러가 수면 또는 수면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진입부재에는 표식표면(marking surface)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표식표면은 상기 진입부재의 후방단부에 위치되며, 하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경사져서 상기 포트가 측면에서 그리고 후방에서 보여지는 경우에 상기 표식표면이 가시화되도록 한다. 상기 표식표면들에는 식별을 위한 표식(indicia) 또는 시인성 강화제(visibility enhancers)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인성 강화제들은 광반사요소(light reflective elements) 또는 발광요소(light emitting elements)들이 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전방단부, 후방단부, 측면들, 바닥표면 및 상부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재의 상부표면 내에는 연장받침대(extension craddle)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재의 연장받침대는 상기 연방부재의 총 길이로 연장되며, 이는 상기 연장부재의 전방단부들과 후방단부들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진입부재 및 연장부재들은 직렬로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수의 진입부재 및 연장부재들이 단일의 포트 시스템 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포트 시스템은 단일의 진입부재; 일렬로 결합된 하나의 진입부재와 하나의 연장부재; 두부-대-두부(head-to-head)로 결합된 2개의 진입부재들; 한 쌍들이 병렬로 결합되는, 일렬로 결합된 진입부재와 연장부재들의 쌍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진입부재 및 연장부재들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칸막이벽은 전장칸막이벽(full bulkhead) 또는 소형칸막이벽(small bulkhead)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장칸막이벽은 실질적으로 포트부재(port member)의 폭으로 연장되는 크기이다. 이는 상부표면, 전방표면, 후방표면, 측부표면들 및 바닥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표면은 상기 포트의 상부표면에 실질적으로 상호보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포트부재의 상부표면 상에 놓여지도록 한다.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후방표면은 하방으로 경사지는, 대체로 U-자형부(U-shaped portion)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외측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벽들로 이루어지는 선수수용영역(bow receiving area)을 한정하여 상기 선수수용영역이 개인용의 선박의 선수의 형태와 유사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소형칸막이벽은 상기 포트부재들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소형칸막이벽에는 그의 바닥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기둥(posts)들이 제공되며, 상기 포트부재는 상기 칸막이벽의 기둥들을 수용하는 기둥구멍(post holes)들을 포함한다. 상기 소형칸막이벽은 밧줄이 고정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여 상기 소형칸막이벽이 포트에 밧줄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개인용의 소형 선박을 위한 부유하는 도크 또는 포트, 특히 개인용의 선박을 위한 모듈식의 포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롤러들과 연결요소(connecting elements)들을 갖는 포트진입부재(poer entry member)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포트진입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포트진입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포트진입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포트진입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롤러들이 제거된 상태의 상기 포트진입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들은 각각 도 6의 A-A, B-B, C-C 및 D-D선들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상기 포트진입부재의 단면도들이며, 여기에서 빗금친 영역은 공동 또는 중공의 영역이다.
도 7은 상기 포트진입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포트진입부재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9는 포트연장부재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포트연장부재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포트연장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포트연장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포트연장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포트부재들에 대하여 사용되기 위한 전장칸막이벽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전장칸막이벽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전장칸막이벽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전장칸막이벽의 바닥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들은 상기 전장칸막이벽의 대체설계(alternative design)의 후방 사시도, 바닥쪽에서 본 사시도, 평면도 및 저면도들이다.
도 19는 상기 포트부재들에 대하여 사용되기 위한 소형칸막이벽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소형칸막이벽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소형칸막이벽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소형칸막이벽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소형칸막이벽의 저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소형칸막이벽의 바닥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a 내지 도 25c들은 각각 상기 소형칸막이벽의 대체설계의 바닥쪽에서 본 사시도, 상방 사시도 및 측면도들이다.
도 26a 내지 도 26b들은 도 18 내지 도 23들 및 도 24a 내지 도 24c들의 칸막이벽들 사이의 크기를 갖는 제2의 대안의 소형칸막이벽들의 상부 사시도 및 저면도들이다.
도 27a 및 도 27b들은 각각이 일렬로 서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진입부재의 전방에 소형칸막이벽과 상기 연장부재의 전방에 전장칸막이벽이 제공된 진입부재와 연장부재의 사시도 및 측면도들이다.
도 28a 내지 도 28f들은 상기 포트부재들 및 칸막이벽들의 몇몇 가능한 다른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9a 내지 도 29d들은 도크부재들로 조립되거나 또는 연결되는 상기 포트부재들의 가능한 배치들의 평면도들이다.
도면들의 여러 번호들을 통하여 대응하는 참조번호들이 사용될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로 드는 방법으로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목적이 아니다. 이 상세한 설명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것을 명백하게 가능하게 하며, 여러 구체예들, 적용예들, 변형예들 및 본 발명의 사용을 설명하며, 본 발명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그 응용에 있어서 제조의 상세한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된 구성요소들의 배열 또는 도면들에 나타낸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들이 가능하며, 여러 방법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구문 및 의미들이 제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는 것 역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개인용의 선박 포트 시스템(10)(도 26a)은 포트진입부재(20), 연장부재(220), 전장칸막이벽(300) 및 소형칸막이벽(350, 350', 350")들을 포함한다. 도 26a에 나타낸 상기 소형칸막이벽은 칸막이벽(350")이다. 상기 포트부재(20, 220)들 및 칸막이벽(300, 350, 350', 350")들은 모두 플라스틱으로부터 주조될 수 있으며, 중공(속이 빈 것)들이다. 따라서, 이들은 부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포트부재(20, 220)들은 임의의 칸막이벽들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재들은 도 27a 내지 도 27f들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수의 배치들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의 예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고 그리고 도 28a 내지 도 28d들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크 조립체들로 조립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선박 포트 시스템(10)이 개인용 선박(personal watercraft ; PWCs)에 대한 용도로 기술되기는 하였으나, 상기 포트 시스템(10)은 또한 소형 보트(boats)들을 포함하여 다른 선박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트진입부재(20)를 도 1 내지 도 8들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포트진입부재(20)는 상부표면(22), 측벽(24)들, 전방단부벽(26), 후방단부(28) 및 바닥표면(30)들을 포함한다. 상기 포트진입부재(20)는 보다 높은 건현(freeboard)를 제공하도록 주조되어 상기 포트부재 상에 정박되는 PWC가 물 밖에 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비록, 상기 포트부재(20)가 보다 높은 건현을 갖기는 하나, 상기 포트부재의 전체 높이(즉, 상기 측벽들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포트부재가 연결될 수 있는 도크부재들의 높이와 동일하다(도 28a 내지 도 28d들을 참조하시오).
상기 상부표면(22)은 포트입구(port entry)의 후방에서 받침대(32), 상부데크표면(upper deck surfaces)(34)들 및 경사진 입구(entrance) 또는 램프영역(ramp section)(37)을 한정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데크표면(34)들은 상기 받침대(32)의 외측측면들 아래로 약간 후퇴되어 있다. 상기 데크표면(34)들에는 마찰증강패드(traction enhancing pads)(35)(도 1)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데크표면에는 표면가공영역(textured areas)(35a)(도 6)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드(35)들은 상기 데크(34)의 중앙영역을 따라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받침대(32)의 길이의 약 절반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물론, 상기 패드(35)들은 필요에 따라 더 짧거나 또는 더 길게 될 수 있다. 다수의 통로(channels)(33)들이 대체로 상기 포트부재(20)의 상기 측벽(24)들에 대각방향으로 상기 상부데크표면(34)들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상기 받침대(32)는 하방으로 그리고 내측으로 통로(38)에로 경사지는 한 쌍의 벽(36)들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통로는 상기 포트진입부재(20)의 상기 전방단부로부터 상기 진입영역(37)의 전방단부 쪽으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받침대벽(36)들의 경사는 대체로 선박의 선체(hull)의 선저구배(dead rise)에 대응한다. 2008년 5월 22일자로 출원되고 "선박 포트 및 리프트들에 대한 사용을 위한 롤러"로 표제된, 공동계류중이며,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인용되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2/125206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보다 많은 수의 선박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대벽(36)의 경사는 통상의 선박의 선체 선저구배 각도들의 중앙값(median)에 대응한다. 도 6a의 단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로(38)의 바닥은 대체로 편평하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3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지 않으며, 오히려 대체로 수평이다.
다수의 롤러소켓(roller sockets)(40)들이 상기 받침대벽(36)들 내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소켓(40)들은 쌍(즉, 상기 받침대벽(36)들 각각에 대하여 하나씩 그리고 서로에 대해 정렬된 2개의 소켓들)으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소켓(40)들은 상기 받침대(32)의 길이를 따라 최전방의 소켓이 상기 전방벽(26)의 약간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균일하게 이격되도록 나타내어졌다. 상기 롤러소켓(40)들은 롤러(50)들을 수용한다. 상기 롤러소켓(40)들은 바람직하게는 바로 앞서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2/125206호에서 규정한 바와 같은 그의 설명에 따라 성형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참조로 인용한다. 게다가, 상기 롤러(50)들은 바람직하게는 바로 앞서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2/125206호에서 기술된 롤러들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참조로 인용한다. 특히, 상기 롤러(50)들은 굴대(axles)(56)를 가지며, 상기 소켓(40)들은 굴대수용통로(axle receiving channels)(48)들을 갖는다. 상기 소켓의 굴대수용통로(48)들 및 상기 롤러의 굴대(56)들은 상기 롤러(50)들이 상기 소켓(40)들 내로 억지끼워맞춤이 되도록 하는 크기이다. 따라서, 상기 롤러는 필요에 따라 그리고 도구들의 사용 없이 상기 소켓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소켓(44)들로부터 롤러(50)들을 제거하는 능력은 상기 포트부재(20, 220)들을 포함하는 상기 도크와 포트 조립체들을 배치(또는 재배치)하는 능력을 증강시킨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롤러(50)들은 상기 받침대벽(36) 상에서 잘 연장된다. 실제로, 대략적으로 상기 롤러의 절반은 상기 받침대벽(36)들 상에 존재한다.
상기 포트부재는 한 쌍의 구멍(51)(도 2)들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최전방의 롤러소켓으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이격된 상기 받침대벽(36) 내에 형성된다. 상기 구멍(51)들은 그들의 바닥들에서 폐쇄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배수포트(drainage ports)(51a)들이 제공된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멍(51)들은 상기 구멍(51)들의 원주(circumference)가 상기 구멍(51)의 바닥 쪽으로 감소되도록 약간 만곡된 벽을 갖는다. 비록 상기 구멍(51)들이 하방으로 만곡되는 벽을 갖긴느 하나, 상기 구멍(51)들은 필요에 따라 대체로 원통형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멍(51)들은 원하는 임의의 다각형의 형상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포트부재(20)는 상기 구멍(51)의 약간 전방에 그리고 상기 최전방의 롤러소켓(40)의 약간 뒤에 위치되는 한 쌍의 기둥구멍(53)들을 포함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구멍(53)들은 상부영역(upper section)(53a)과 하부영역(lower section)(53b)을 갖는다. 상기 하부영역(53b)은 상방으로 그리고 내측으로 테이퍼진 측벽(tapering side wall)(53c)을 갖는다. 즉, 상기 하부영역(53b)의 직경은 상기 두 개의 기둥구멍 단면(53a 및 53b)들 사이의 연결점에서 보다 상기 포트부재(20)의 바닥에서 더 크다. 상기 기둥구멍의 상부영역(53a)은 상기 하부영역(53b) 보다 직경이 더 크며, 따라서 상기 두 개의 기둥구멍 영역들의 연결점에서 숄더(shoulder)(53d)가 형성된다. 상기 숄더(53d)에서의 상기 기둥구멍(53)의 직경은 교각기둥(pier post)이 상기 구멍(53)을 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고 수준이 변화함에 따라 또는 상기 포트부재(20)에서의 파랑작용(wave action)에 대응하여 상기 교각기둥에 대해 수면 상에서 상기 포트부재(20)가 부침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크기이다. 상기 기둥구멍(53)들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둥들의 형태에 대응하여 대체로 원통형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상기 기둥구멍(53)들이 상기 교각기둥이 그를 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고 상기 포트 조립체가 위치되는 물의 수심에서의 변화들에 대응하여 수준들이 변화함에 따라 또는 파랑작용을 수용하도록 상기 포트부재가 상기 교각기둥에 대해 수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크기 및 형상들인 한, 상기 기둥구멍(53)들은 다른 배치들(즉, 사각형, 삼각형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진입영역(37)은 상기 포트부재(20)의 후방에서 상당히 넓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진입영역의 후방에서 상기 진입영역은 실질적으로 상기 포트부재의 폭의 80%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상기 진입영역은 표면(57)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으로 경사지는 표면(54)들(도 2)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표면(57)은 램프표면(ramp surface)(54)의 외측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외측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경사진다. 도 3 및 도 4에서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방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경사진 표면(57)은 상기 포트부재가 측면 또는 후방에서 보여지는 경우에 가시적이다. 따라서, 상기 표면(57)은 수면으로부터 보트에 탄 사람들에 대하여 가시적이다(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표면(57)은 로고(logo) 또는 다른 상품마크(branding marks)(M)들을 위치시키는 위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표면(57)은 반사요소, 광 또는 식별을 위한 표식(일련의 포트들에 대한 포트 번호들 등과 같은)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면(54)들은 상기 받침대(32) 내로 유도하는 램프를 한정한다. 실제로, 상기 표면(54)들은 외측부(54a) 및 내측부(54b)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부(54b)의 내측 또는 측방경사는 상기 외측부(54a)의 내측 또는 측방경사 보다 더 크며, 상기 내측부(54b)들은 통로(58)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통로(58)는 상기 진입영역의 후방모서리(back edge)로부터 전방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진입영역의 길이로 연장된다.
하나의 컷아웃(cut-out)(60)(도 6)이 상기 포트진입부재의 상기 후방모서리(28) 내에 형성된다. 상기 컷아웃(60)은 상기 후방모서리, 상기 포트진입영역(37) 및 상기 진입통로(58)의 폭에 대해 대체로 중심에 위치된다. 경사진 표면(62)들이 상기 컷아웃(60)의 대향되는 측면들 상에 형성된다. 굴대수용홈(64)들은 상기 표면들 내에 형성된다. 롤러(66)(도 4)가 상기 컷아웃(60) 내에 탑재된다. 굴대(68)는 상기 롤러(66)를 통하여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굴대수용홈(64)들 내에 수용된다. 하나의 플레이트(plate)(70)가 상기 홈(64)들을 덮어서 상기 굴대가 상기 홈들 내에 유지되도록 한다(그리고 그에 따라 상기 롤러(66)가 상기 컷아웃(60) 내에 유지되도록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66)는 상기 롤러의 직경이 상기 롤러의 외측단부로부터 중심쪽으로 감소되도록 가변되는 직경을 갖는다. 그의 중심에서, 상기 롤러(66)는 상기 롤러(66)를 좌반구 및 우반구들로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홈(66a)을 포함한다. 상기 진입영역(37)의 상기 벽(54)들의 길이 및 후방 경사는 상기 포트부재(20)가 비어 있는 경우(즉, 상기 포트부재 상에 선박이 없는 경우)에, 상기 롤러(66)가 수면 또는 그 아래에 존재하도록 한다. 진입영역의 후단부(즉, 상기 포트부재의 상기 모서리(28)가 수면 또는 그 아래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롤러(66)가 수면 또는 그 아래에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포트부재(20) 상으로 PWC를 구동시키기가 보다 용이하다.
다른 롤러소켓(70)(도 6)이 상기 진입영역(37)과 상기 받침대(36)의 연결점에 위치된다. 상기 롤러소켓(70)은 각각 상기 포트부재(20)과 상기 받침대 및 진입영역 통로(38 및 58)들의 폭에 대해 중심에 위치된다. 상기 롤러소켓(70)은 대체로 평면에서 직사각형이다. 하나의 숄더(72)(도 6a)가 상기 소켓의 대향되는 측면들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굴대수용홈(74)이 각 숄더 내에 형성된다. 상기 소켓(70)은 또한 배수구멍(76)을 포함한다. 굴대 상의 롤러(77)(도 2)가 상기 소켓(70) 내에 탑재된다. 상기 롤러는 상기 포켓 숄더(72)들에 고정되는 플레이트(80)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상기 롤러(77)는 실질적으로 상기 롤러(66)과 동일하며, 따라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포트부재(20)의 상기 측벽(24)들과 상기 전방단부벽(26)은 다수의 통로(82)들을 포함하며, 이들 통로들은 상기 포트의 측벽(24)들의 높이에 대체로 수직이다. 두 개의 포트부재(20)들이 측면-대-측면(side-to-side)으로(나란히) 연결되는 경우 또는 상기 포트부재(20)가 도크부재에 인접하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부재들의 상기 통로(82)들이 대체로 정렬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통로(82)들은 인접하는 부재들 사이에 배수구들을 형성하여 물이 상기 포트부재(20)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각 측벽(24)은 또한 손파지영역(hand hold area)(84)(도 1)을 포함한다. 상기 손파지영역(84)들은 상기 측벽(24)들 내에 대체로 사다리꼴의 요부(trapezoidal recesses)들에 의해 한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손파지영역(84)은 상기 포트부재의 전방 근처에 형성되고 그리고 두 번째의 것은 상기 포트부재 받침대영역(cradle section)의 전방단부 근처에 형성된다. 상기 손파지영역(84)들은 상기 포트부재가 물에 설치되거나 또는 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 사람들이 상기 포트부재를 들어올리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멍(86)이 각 손파지영역(84) 상에 형성된다. 상기 구멍(86)들은 상기 포트부재(20)에 부착되어야 할 밧줄걸이(cleat)를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 밧줄걸이의 장소에는 밧줄(rope) 또는 밧줄고리(rope loop)가 또한 상기 포트부재(2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구멍(86)들에 매여질 수 있다. 밧줄 또는 밧줄고리가 상기 포트부재에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계속해서 상기 밧줄은 상기 구멍(86)을 통하여 통과되고, 그리고 매듭(knots)들이 상기 구멍의 대향되는 측면들 상에서 밧줄에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측벽(24)들 및 상기 전방벽(26)은 연결자소켓(connector sockets)(88)들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자소켓들은 연결자(connectors)(90)들을 수용하며, 상기 연결자들 2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자(90)들은 상기 연결자소켓(88)들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자소켓들 및 상기 연결자들은 실질적으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5281055호들에 나타내고 그리고 기술된 것과 동일한 것이나, 미합중국 특허 제7243608호에 나타내고 그리고 기술된 것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들 특허들 둘 다로부터의 상기 연결자들의 설명을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인용한다. 대체로, 상기 연결자는 협폭영역(narrower section)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둥글납작한 단부(bulbous ends)들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자는 대체로 "개뼈(dog bone)"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연결자 단부들은 상기 연결자들이 상기 연결자소켓(88)의 바깥으로 수평으로 당겨지는 것에 저항할 수 있는 한 임의의 다른 원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자는 앞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7243608호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단일의 조각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연결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90c)에 의해 연결되는 상단부(90a) 및 하단부(90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결자소켓은 통로(88c)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소켓부(upper and lower socket portions)(88a,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연결자소켓(88)들이 상기 포트부재(20)의 후단부에서 상기 후방손파지영역(84)의 후방으로 그리고 상기 전방벽의 중앙에서 위치된다. 이들 연결자소켓들은 단지 상기 포트의 상기 바닥에서 소켓들을 가지며, 따라서 두 포트부재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포트부재를 도크부재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 연결자소켓들은 덮개(covers), 캐노피(canopies), 저장박스(storage boxes), 가로등주(light poles) 등과 같은 부속물(accessories)들을 상기 포트부재(20)에 고정시키도록 제공된다.
상기 포트부재(20)의 상기 바닥(30)(도 7 및 도 8)은 미합중국 특허 제7069872호에서 나타내고 그리고 기술된 포트의 바닥과 어느 정도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참조로 인용한다. 상기 바닥(30)은 실질적으로 포트바닥(30)의 전장으로 상기 포트바닥(30)의 중앙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통로(92)를 포함한다. 여러 간격으로 이격되는 원뿔-형의 자국(cone-shaped indentations)(94)들이 상기 통로(92) 내에 형성된다. 교차통로(cross-channel)(96)가 상기 연장통로(92)를 가로질러 그리고 그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교차통로(96)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장통로(92) 보다 더 짧다. 다수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요부(98)들이 상기 연장통로(92)의 대향되는 측면들 상에 형성된다. 상기 직사각형의 요부(98)들은 대체로 상기 롤러소켓(40)들의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요부들은 내측으로 약간 경사지는 측벽 및 단부벽들을 갖는다. 게다가, 상기 상부표면(98a)은 상기 내측단부로부터 상기 외측단부에로 경사져서 상기 통로(92)에 근접하는 상기 요부의 상기 단부벽이 상기 포트 측벽(24)에 근접하는 상기 요부의 상기 단부벽 보다 더 짧아지도록 한다. 한 쌍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요부(100a,b)들이 상기 포트의 데크 표면(34)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요부(100a,b)들은 요부(100b)(이는 전방 또는 요부(100a))가 요부(100a) 보다 더 길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유사하다. 상기 요부(100a,b)들은 대체로 수직의 단부벽들을 갖기는 하나, 그러나, 상기 측벽들은 내측으로 약간 경사져서 요부(100a,b)들의 대향되는 측벽들이 상기 요부의 바닥에서 보다 상기 요부의 상부에서 서로 근접하도록 한다. 상기 요부(100a,b)들은 상기 요부(100a,b)들의 상기 상부표면(102a)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다수의 통로(102)들을 포함한다. 상기 통로(102)들은 대체로 균등하게 이격되고 그리고 상기 요부들의 상기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통로(102)들의 상부들은 상기 포트부재(20)의 상기 상부표면(22)에 접촉하거나 또는 아래로 약간 이격되며, 따라서 상기 포트 상부표면(22)에 대한 약간의 지지를 제공한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요부(104)들의 별도의 쌍이 상기 포트부재(20)의 상기 전방단부 근처의 상기 연장통로(92)의 대향되는 측면들 상에 위치된다. 상기 요부(104)들은 대체로 상기 최전방의 롤러소켓(40)들과 구멍(51)들 아래 및 상기 기둥구멍(53)들 사이에 위치된다. 측방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요부(106)들의 별도의 쌍이 상기 진입영역(37)의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포트바닥은 개별적으로 측방으로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ribs)들 또는 용마루(ridges)(108a,b)들을 포함한다. 상기 용마루(108a,b)들은 일련의 상자들을 형성한다. 상기 상자들의 일부는 단일요부들을 감싸고, 일부는 다중의 요부들을 감싸고 그리고 일부는 어떠한 요부들도 감싸지 않는다. 일련의 상기 용마루들이 상기 연장통로(92)와 상기 교차통로(96)의 윤곽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상기 포트바닥(30)은 경사진 벽(110)을 포함하며, 이는 하부표면(112)을 인도한다. 상기 경사진 벽(110) 및 하부표면(112)들은 상기 포트측벽(24)들 및 단부모서리(28)들과 결합하여 상기 진입영역(37) 아래에서 상기 포트내에(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대된 중공영역(hollow section)을 형성한다. 이러한 확대된 중공영역은 상기 포트부재(20)에 대한 입구에서 증가된 부력을 위하여 제공된다. 선박이 상기 포트부재 내에 받쳐지는 경우, 모터 및 따라서 상기 선박의 가장 무거운 부분이 상기 선박의 후방에 있게 되고, 그리고 그에 따라 상기 진입영역(37) 위 또는 근처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이 확대된 중공영역은 상기 선박의 가장 무거운 부분에 대한 증가된 부력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포트부재(20)는 중공이며, 따라서 부유되며 선박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표면(30) 내의 여러 요부들은 상기 포트부재에 별도의 안정성을 제공하여 예를 들면 작은 파도들에 대응하는 상기 포트부재의 흔들림(rocking)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상기 포트연장부재(220)를 도 9 내지 도 13들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포트연장부재(2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진입부재(20)와 유사하며, 따라서 아주 상세하게 기술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연장부재(220)는 상부표면(222), 측벽(224)들, 전방벽(226), 후방벽(228) 및 바닥표면(230)들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표면(222)은 상기 진입부재(20)의 상기 받침대(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받침대(232)를 포함하나, 그러나, 연장포트(extension port)의 상기 받침대(232)는 상기 연장부재(220)의 전장으로 연장된다(그리고 상기 연장부재의 상기 전방벽 및 후방벽들을 밖으로 개방한다). 상기 받침대(232)가 상기 받침대(32) 보다 더 길기 때문에, 상기 받침대(232)는 보다 많은 롤러소켓(240)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상기 롤러소켓(40)들과 동일하다. 상기 받침대(232)의 어느 하나의 면 상에서, 상기 연장부재(220)는 데크표면(234)들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의 전방단부에서, 상기 연장부재(220)는 구멍(251)들 및 기둥구멍(253)들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224)들 및 전방벽(226)들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트진입부재(20)의 상기 측벽(24)들 및 전방벽(26)과 동일하며, 따라서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벽(228)은 대체로 V-자형이다. 즉, 직선의 또는 편평한 바닥을 갖기보다는, 상기 전방벽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벽의 바닥모서리들은 대체로 상기 후방벽의 상기 상부모서리들에 평행하다. 도 10 및 도 11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바닥(extension bottom)은 하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경사지는 표면(250) 및 하방으로 그리고 내측으로 경사지며 대체로 편평한 표면(254)에 의해 분리되는 표면(252)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면(250, 252, 254)들은 후방표면(228)과 함께 확대된 중공영역을 한정하여 상기 포트연장부재(220)의 후방에서의 부력을 더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전방벽, 후방벽 및 측벽들에서 연결자소켓(288)들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자소켓(288)들은 상기 진입부재(20)의 상기 소켓(88)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연장부재들은 일렬로 또는 측면-대-측면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장부재는 진입부재의 전방에 연결되어 연장된, 일렬의 포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포트 시스템은 상기 포트부재(20, 220)들 상에 위치될 수 있는 2개의 칸막이벽들을 포함한다. 제1칸막이벽은 전장칸막이벽(300)이고, 제2칸막이벽은 보다 작은 칸막이벽(350, 350', 350")이다. 상기 전장칸막이벽(300)은 근본적으로 상기 포트부재에 고정되어야 할 것으로 의도된다. 비록 이것이 제거될 수는 있으나, 빈번하게 제거될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보다 작은. 절반의 칸막이벽(350, 350', 350")은 정기적으로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전장칸막이벽(300)(도 14 내지 도 17)은 상부표면(302), 측부표면(304)들, 전방표면(306), 후방표면(308) 및 바닥표면(310)들을 포함한다.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포트부재(20, 200)들의 폭과 동일한 폭 및 상기 진입부재(20)의 전방 또는 상기 연장부재(220)의 최전방 롤러소켓(240)의 2개의 롤러소켓(40)들을 덮기(cover)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상부표면은 대체로 편평하고, 그리고 상기 상부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통로(311)를 포함한다. 기둥구멍(312)은 상기 상부표면으로부터 상기 바닥표면까지를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기둥구멍(312)들은, 두 포트부재들의 어느 하나의 위에 위치되는 경우에, 각각 상기 포트진입부재 또는 연장부재의 상기 기둥구멍(53, 253)들에 정렬되도록 하여 상기 칸막이벽(300) 상에 위치된다. 상기 기둥구멍(53, 253)에 대하여야 마찬가지로, 상기 기둥구멍(312)들은 상부영역(312a) 및 직경이 보다 작은 하부영역(312b)들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상부영역(312a)의 바닥에 숄더(312c)가 형성된다. 연결자소켓(314)들이 상기 칸막이벽의 전방과 측방들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자소켓(314)들은 형상에 있어서 상기 연결자소켓(88)들과 동일하며, 그 위에 위치되는 경우에 진입부재(20) 또는 연장부재(220)의 전방 및 측방 연결자소켓들과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비록 상기 칸막이벽(300)이 대체로 편평한 상부표면(302)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상기 상부표면은 상기 표면이 전부 편평하지는 않도록 하는 변형들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표면의 일부에 저장격실(storage compartment)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격실은 상기 상부표면(302) 상에 융기된 영역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후방표면(308)은 상기 칸막이벽(300)의 외측단부들에서 대체로 수직의 벽영역(wall sections)(320)들을 갖는다. 이들 수직의 벽영역들은 상기 진입부재 및 연장부재(20, 220)들의 상기 데크표면(34, 234)들의 폭과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벽영역(320)들은 역시 하방으로 경사지는 대체로 U-자형 영역(U-shaped portion)(326))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외측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벽(324)들로 한정되는 대체로 V-자형 영역(V-shaped section)(322)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벽(324)들은 수직면 및 수평면 둘 다에서 경사진다. 상기 V-자형 영역(322)의 상기 경사진 형상은 PWC 등과 같은 선박의 선수의 형상과 유사하다.
상기 칸막이벽(300)의 상기 바닥표면(310)은 상기 포트진입부재(20) 및 연장부재(220)들의 상기 상부표면(22, 222)들에 상호 보완적으로 형상화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표면은 외측의 대체로 수평인 표면(330)들을 가지며, 이들은 상기 진입부재(20) 및 연장부재(220)들의 상기 데크표면(34, 234)들 위에 가로놓이도록 하는 크기이다. 상기 데크표면(34, 234)들이 상기 받침대벽(36, 236)들의 외측단부들 아래에 있기 때문에, 상기 칸막이벽(300)은 상기 외측표면(330)들의 내측모서리(inner edge)로부터 상방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경사지는 표면(332)을 갖는다. 표면(334)들은 상기 표면(332)들의 상기 내측모서리로부터 대각으로 내측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표면(334)들은 상기 받침대벽(36, 236)들의 경사 및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경사 및 형상을 갖는다. 상기 경사진 표면(334)들의 내측단부들은 리브(336)에 의해 연결되며, 이 리브는 대체로 상기 받침대 통로(38)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상화된다.
사용에 있어서, 상기 전장칸막이벽(300)은 상기 부재(20, 220)들의 상기 전방단부(26, 226)들과 같은 높이의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전방단부와 함께 포트부재(상기 진입부재(20) 또는 상기 연장부재(220)들 중의 어느 하나) 상에 위치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바닥표면(330)은 상기 포트부재들의 상기 상부표면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된다. 따라서, 상기 리브(336)가 상기 받침대 통로(38)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표면(330 및 334)들은 대체로 상기 포트부재(20, 220)들의 대응하는 표면(34, 234 및 36, 236)들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포트부재 상에의 상기 칸막이벽(300)의 맞춤(fit)은 상기 포트부재(20, 200)들의 상기 기둥구멍(53, 253)들에 대한 상기 칸막이벽의 기둥구멍(312)들의 정렬 및 상기 포트부재의 연결자소켓(88, 288)들에 대한 상기 연결자소켓(314)들의 정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칸막이벽(300)은 연결자(90)들의 수단에 의하여 상기 포트부재(20, 220)들에 고정된다. 다른 포트부재(20, 220)에 연결되어야 하는 것이 상기 칸막이벽(300)을 갖는 상기 포트부재이거나 또는 도크부재에 연결되어야 하는 것이 상기 포트부재인 경우, 전장연결자(full connector)(90)(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장의 개뼈 형상의 연결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포트부재가 그 자체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계속해서 절반연결자(half connect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포트부재 또는 도크부재들에 부속물들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벽(300)의 상기 바닥표면(330)은 상기 포트부재의 상기 상부표면(22, 222)들에 인접하게 놓여진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벽 아래에 놓여지는 상기 롤러소켓들은 그들 안에 어떠한 롤러들도 가져서는 안되며; 달리 상기 롤러들은 상기 포트부재 상에의 상기 칸막이벽을 위치시키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벽의 바닥표면(330)에는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덮여지는 상기 롤러들을 수용할 수 있는 홈들이 제공된다. 이는 상기 전장칸막이벽(300)의 설치에 따라 상기 롤러들을 제거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벽에 근접하는 상기 롤러들은 필요한 경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포트에는 상기 소켓을 덮어씌우는 위치(place) 내로 억지끼워맞춤(snap)되는 덮개판(cover plate)(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의 전장칸막이벽(300")을 도 18a 내지 도 18e들에 나타내었다. 상기 칸막이벽(300(도 14 내지 도 17)과 상기 칸막이벽(300')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선박의 선수를 수용하는 상기 V-자형 영역(322')의 형상 또는 배치이다. 도 18c 및 도 18d들에서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박 선수수용영역(322')은 보다 좁은 내측영역(322b) 내로 인도하는 제1영역 또는 진입영역(322a)을 포함한다. 만곡영역(curved portion)(326')이 상기 내측영역(322b)들의 단부들을 연결한다. 상기 진입영역(322a)은 한 쌍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벽(324a)들로 한정되고 그리고 상기 내측영역(322b)은 한 쌍의 보다 가파르게 각이 진 벽(324b)들로 한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내측영역 벽(324b)들은 상부영역(327a) 및 하부영역(327b)들로 한정된다. 상기 내측영역(327b+은 보다 수직방향으로 지향되며, 여기에서 상기 상부영역(327a)은 상기 칸막이벽(300')의 상기 데크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막대(bar)(325)가 상기 만곡영역(326)의 바로 전방의 상기 내측영역(322b)들의 벽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게다가,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데크표면에는 가공된 표면(textured surface)이 제공된다.
상기 소형칸막이벽(350)을 도 19 내지 도 24들에 나타내었다. 상기 칸막이벽(350)은 쉽게 제거되도록 의도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이는 상기 전장칸막이벽(300) 보다 더 작으며, 상기 받침대(32, 232)의 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상기 칸막이벽(350)은 대체로 편평한 상부표면(352), 후방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전방표면(354), 측부모서리(356)들, 후방표면(358) 및 바닥표면(360)들을 갖는다. 구멍(361)들이 상기 상부표면(352)으로부터 상기 바닥표면(360)까지 상기 칸막이벽을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구멍(361)들은 고정자(fasteners)(볼트, 나사 등과 같은)를 수용하여 원하는 경우 상기 칸막이벽(350)을 상기 포트부재(20, 220)들에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손잡이부재(handle member)(362)가 상기 상부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된다. 상기 손잡이부재는 그의 기저부(base)에서 상기 칸막이벽 상부표면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폭(front-to-back width)의 대략 절반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폭을 갖는다. 상기 손잡이부재의 전방표면은 대체로 상부의 대체로 수직인 영역(364a)와 상기 칸막이벽의 상부표면(352)에 부합하도록 만곡되는 하부영역(364b)들을 갖는다. 상기 손잡이부재의 후방표면은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후방표면(358)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부재/칸막이벽 후방표면(358)은 그의 외측모서리들로부터 내측으로 그리고 그의 상부모서리들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만곡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면(358)은 PWC 등과 같은 선박의 선수의 형상과 유사하여 PWC 선수를 수용하도록 한다. 도 2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방표면은 상당히 좁혀져서 상기 후방표면의 바닥에서 상기 후방표면이 상기 포트부재들의 상기 롤러소켓(40)들 사이에서 들어맞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표면은 필수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설부(tongue)를 형성한다. 도 19 및 도 22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박 선수를 수용하는 상기 후방표면(358)은 상당히 길이가 길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포트부재(20, 220)들의 최전방의 롤러들 사이의 대략 중간의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의 상단에서, 상기 손잡이부재(362)는 구멍(370)을 포함한다. 상기 구멍(370)은 상기 손잡이부재 상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재를 파지하고 그리고 상기 칸막이벽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원호상 컷아웃(arced cutouts)(372)들이 상기 측부모서리(356)들 내에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벽(350)의 폭은 이것이 상기 포트부재들의 상기 기둥구멍(53, 353)들을 덮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컷아웃(372)들은 상기 포트부재의 기둥구멍(53, 253)들과 정렬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기둥구멍들이 상기 칸막이벽(350)에 의해 덮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컷아웃(372)들은 상기 기둥구멍들을 통하여 통과하는 상기 기둥들을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둥구멍들을 갖는 상기 칸막이벽의 결합은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포트부재 상에서 제자리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상기 칸막이벽(300)의 상기 바닥표면과 유사하게. 상기 바닥표면(360)은 상기 포트부재(20, 220)들의 상기 받침대(32, 232)들에 상호보완되도록 형상화된다. 상기 바닥표면은 상기 데크표면(34, 234)들의 상부 상에 놓여지는 소형의 편평한 표면(374)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표면의 대부분은 내측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표면(376)들에 의하여 한정된다. 상기 칸막이벽(300)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소형칸막이벽은 그의 중앙에서 리브(378)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포트부재의 받침대 통로(38)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상화되고, 그리고 이는,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포트부재(20, 220)들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받침대 통로 내에 수용된다. 상기 경사지는 표면들은 상기 받침대 표면(36, 236)들의 경사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경사를 갖는다. 상기 칸막이벽(350)이 상기 포트부재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경사진 표면(376)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포트부재(20, 220)들의 상기 구멍(51, 251)들 내에 수용되도록 위치되고, 크기를 가지며 또한 형상화되는 한 쌍의 기둥(380)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380)들은 형상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재의 구멍(51, 251)들과 대체로 유사하다. 상기 기둥(380)들과 상기 구멍(51, 251)들 둘 다는 평면에 있어서 대체로 원형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상기 기둥(380)들은, 상기 기둥(380)들이 상기 부재(20, 220)들의 상기 구멍(51, 251)들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한, 필요한 경우, 다른 형상들(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등)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롤러포켓(40)들에 상호보완적인 크기와 형상들이며, 상기 칸막이벽(350)이 상기 포트부재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롤러포켓(40)들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경사진 표면(376)들 내에 요부(381)들을 포함한다. 상기 요부(381)들은 상기 롤러소켓(40)들의 만곡된 표면에 유사하게 만곡된 표면을 가져 상기 칸막이벽(350)이 포트부재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롤러(50)의 상단부분이 상기 요부(381)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포트부재 상에 상기 칸막이벽(350)을 위치시키는 데에는 롤러(50)들이 상기 포트부재로부터 제거되어야 함을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칸막이벽(350)이 상기 포트부재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최전방의 소켓(40)들 내의 상기 롤러(50)들은 상기 칸막이벽의 요부(381)들에 의해 내포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장칸막이벽(300)은 유사한 요부들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둥(381)의 상기 구멍(51, 251)들에로, 그리고 상기 컷아웃(372)들의 지지기둥들에의 결합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이유들로 상기 칸막이벽(350)이 상기 포트부재로부터 보다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칸막이벽이 부주의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포트부재에 묶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밧줄이 밧줄의 한쪽 끝에서 상기 손잡이의 구멍(370) 또는 상기 칸막이벽(350)의 모서리 구멍(361)들 중의 하나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밧줄의 다른 한쪽 끝에서 상기 밧줄은 상기 손파지영역(84)들 중의 하나의 상기 구멍(86)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소형칸막이벽의 다른 구체예를 도 25a 내지 도 25c들에 나타내었다. 상기 칸막이벽(350')은 상기 칸막이벽(3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이는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보다 좁으며, 따라서, 상부의 편평한 표면(352')은 손잡이영역(362')의 전방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벽(350')의 전방은 대체로 수직이며, 상기 손잡이의 전방표면(364')과 상기 칸막이벽의 본체의 상기 전방(354')들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칸막이벽(35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폭은 상기 칸막이벽(350')이 상기 포트부재(20, 220)의 임의의 상기 롤러(50)들을 덮지 않도록 하는 크기이다. 따라서, 상기 바닥표면(360')의 상기 경사진 표면(376')은 상기 칸막이벽(350)의 롤러수용공동(381) 등과 같은 공동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칸막이벽(350')이 상기 칸막이벽(350) 보다 작기 때문에, 이는 더 가벼울 것이며, 따라서 상기 포트부재(20, 220)의 통상적인 사용 동안에 상기 포트부재(20, 220)들로부터 제거하기가 더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소형칸막이벽(350, 350')들은 언급한 바와 같이 그들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길이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동일하다. 상기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길이는 상기 칸막이벽의 길이가 상기 두 개의 칸막이벽(350, 350')들 사이의 길이들 사이가 되도록 하여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칸막이벽은 상기 손잡이영역(362, 362')의 전방에서 일부 편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나, 그러나, 이러한 편평한 표면은 상기 칸막이벽(350)의 상기 표면(352)과 마찬가지로 길지는 않을 수 있다.
다른 대안의 소형칸막이벽(350")을 도 26a 내지 도 26b들에 나타내었다. 상기 칸막이벽(350")은 크기에서 상기 칸막이벽(350)과 칸막이벽(350') 사이이며, 상기 소형칸막이벽(350, 350')들 둘 다와 공통성을 갖는다. 상기 칸막이벽(350")은 상기 소형칸막이벽(35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길이를 갖는다. 그에 따라, 상기 칸막이벽(350")가 포트부재(20, 220) 상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칸막이벽(350")은 상기 포트부재 상의 최전방의 롤러들을 덮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벽(350)과 유사하게, 상기 바닥(360")에는 상기 포트부재(20, 220)들의 상기 롤러포켓(40, 240)들과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포켓(381")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공통성의 관점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350")의 상기 바닥(360")은 상기 칸막이벽(350)의 상기 바닥(360)과 동일하다. 이는 도 26b과 도 23의 비교에서 알 수 있다. 상기 칸막이벽(350')과 유사하게, 상기 칸막이벽(350")은 편평한 전방표면(364") 및 근본적으로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후방모서리로부터 상기 칸막이벽의 길이로 연장되는 후방표면(358")들을 갖는다. 도 26a와 도 25b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벽 후방표면(358")은 보다 길고 그리고 보다 낮은 경사를 갖는다. 실제로, 상기 칸막이벽 후방표면(358")은 하부영역(358a)과 상부영역(358b)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영역(358a)은 상기 상부영역(358a) 보다 더 급격한 경사를 가지며, 또한 실제로, 상기 하부영역(358a)의 경사는 대체로 상기 칸막이벽(350)의 상기 후방표면의 경사에 대체로 대응한다. 보다 얕은 상기 후방표면(358")은 상기 칸막이벽에 대한 보다 긴 선수수용영역을 한정한다. 이는 상기 칸막이벽이 보다 다양한 선박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칸막이벽(350')와 유사하게, 상기 칸막이벽(350")은 상기 칸막이벽(350) 보다 더 좁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벽(350")은 교각기둥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들 상에 컷아웃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칸막이벽(350")이 상기 포트부재(20, 220) 상에 위치되고 그리고 또한 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어느 정도 더 쉽게 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감소된 측면-대-측면의 폭으로 인항, 상기 칸막이벽(350")은 도 2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켓(381")들을 수용하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들을 갖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두 가지 형태들의 포트부재들(진입부재(20) 및 연장부재(220))의 사용은 선박 포트(watercraft ports)들이 여러 방법들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7a 내지 도 27b들은 일렬로 연결된 진입부재(20)와 연장부재(220)들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연장부재(220)에는 전장칸막이벽(300)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진입부재(20)에는 소형칸막이벽(350")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치는 2개의 선박이 일렬의 포트 조립체 상에 일렬로 계류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1선박(또는 전방선박)이 상기 포트 조립체 상으로 올라가는 것(또는 전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형칸막이벽(350")이 경로 밖으로 들릴 수 있으며, 계속해서 상기 선박이 상기 전방위치 내로 상기 일렬의 포트 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소형칸막이벽이 상기 진입부재(20) 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제2선박(또는 후방선박)이 상기 포트 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소형칸막이벽이 상기 포트진입부재(20)에 묶여지는 경우, 그 다음에, 상기 선박이 상기 포트 조립체에서 내려지는 경우, 상기 소형칸막이벽이 물에 부유되도록 하여 상기 칸막이벽이 손실될 염려가 없도록 한다. 비록 이러한 배치가 하나의 연장부재(220)를 나타내기는 하나,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연장부재들이 일렬로 진입부재(20)와 연결되어 원하는 길이의 포트 조립체를 만들 수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배치들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재가 단독으로 상기 소형칸막이벽(350')(도 28a) 또는 상기 전장칸막이벽(300)(도 28b)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b(및 도 28d)들에 나타낸 배치에 있어서, 상기 부재(220) 내의 상기 전장칸막이벽은 도 2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칸막이벽으로 대체될 수 있다. 두 개의 진입부재(20)들이 칸막이벽 없이, 하나의 소형칸막이와 함께, 두 개의 소형칸막이들과 함께(도 28e), 또는 두 개의 전장칸막이들과 함께(도 28f) 두부-대-두부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진입부재들이 칸막이벽들 없이 또는 단지 하나의 소형칸막이벽과 함께 두부-대-두부로 함께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치는 상기 포트 조립체 상으로 선박이 구동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계속해서 전방 방향으로 상기 포트 조립체에서 내릴 수 있다. 이는 선박의 정비에 유리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28e들에 있어서, 상기 포트 조립체들을 그 자체로 나타내었다. 도 28a 내지 도 28e들에 나타낸 상기 포트 조립체들은 소형칸막이벽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소형칸막이벽(350')을 사용하고 있다. 다른 소형칸막이벽(350, 350")들 중 어느 하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칸막이벽(350')은 도 2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벽들 두 개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을 추가로 갖는다. 상기 두 소형칸막이벽(350")들은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면-대-면(face-to-face)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d들에 있어서, 상기 포트 조립체들은 포트 배치(port configuration)에 연결되거나 또는 그의 일부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9a 내지 도 29d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포트부재들이 두부-대-두부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전장칸막이벽(300)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칸막이벽(300)의 상부표면이 도크 표면의 일부로 되어 상기 포트들에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한다. 실제로, 도 2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크 조립체로의 트랩(gangway)이 상기 조립체의 도크부재에 연결되기 보다는 상기 전장칸막이벽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관점으로부터의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화들이 앞서의 구성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앞서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들에 나타난 모든 구성요소들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한하는 개념이어서는 안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면, 비록 상기 포트 시스템이 PWC들에 대해 사용되는 것으로 기술되기는 하였으나, 마찬가지로 다른 선박들에 대하여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형칸막이벽(350)은 상기 칸막이벽(350)이 상기 포트의 받침대의 전폭(full width)로 연장되지 않도록 보다 더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350)은 한 쌍의 롤러들 중의 상기 롤러들의 단지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재에 대한 상기 칸막이벽의 위치 및 상기 포트부재에 대한 상기 롤러들의 위치에 따라, 상기 칸막이벽(350)은 어떠한 롤러들도 덮지 않을 수 있다.

Claims (36)

  1. 상부표면, 바닥표면, 측부표면들, 전방표면 및 후방표면들; 상기 전방표면의 적어도 일부 내에 형성되며, 한 쌍의 대향하는 내측으로 경사지는 벽들로 한정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벽들을 따라 위치되는 다수의 롤러소켓들과 상기 롤러소켓들 내에 수용되는 롤러들; 및 상기 포트에 탑재가능한 별도의 칸막이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중앙을 따라 연장되는 받침대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통로가 상기 경사지는 벽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후단부에 진입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진입영역이 상기 받침대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는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포트가 물에 부유하는 경우에 수준에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되는 상기 진입영역에 대하연 입구를 한정하는 후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가 상기 램프의 길이방향의 중앙 쪽으로 내측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램프벽들로 한정되고; 상기 램프벽들 각각이 외측영역과 내측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영역이 상기 외측영역 보다 더 큰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영역의 후단부에 컷아웃과 상기 진입영역의 상부의 전방단부에 제2롤러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가 상기 컷아웃 및 상기 제2롤러소켓 내에 탑재되는 제2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컷아웃과 제2롤러소켓들이 상기 포트의 상기 측면들 사이에서 대체로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 내에 탑재되는 상기 롤러가 상기 포트가 수중에 부유하는 경우에 수준이나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상기 포트의 전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받침대가 상기 포트의 상기 전방단부와 상기 후방단부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이 전장칸막이벽이고; 상기 칸막이벽이 실질적으로 상기 포트부재의 폭으로 연장하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부표면, 전방표면, 후방표면, 측부표면들 및 바닥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표면이 실질적으로 상기 포트상부표면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상화되어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포트상부표면 상에 놓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상기 받침대의 대향하는 측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데크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벽 바닥표면이 상기 포트 데크표면들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포트의 상기 받침대 벽들에 대응하는 내측으로 경사지는 표면들을 갖는 편평한 표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실질적으로 상기 받침대의 길이로 연장되는 통로를 포함하고; 받침대 통로가 상기 칸막이벽의 경사지는 표면들 사이를 따라 연장되고; 리브가 상기 받침대 통로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의 후방표면이 하방으로 경사지는 대체로 U-자형 부분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외측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벽들을 포함하는 선수수용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선수수용영역이 개인용의 선박의 선수의 형태와 유사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포트에 제거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상기 포트의 상기 전방단부에 가까운 상기 상부표면 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부표면, 전방표면, 측부표면들, 후방표면 및 바닥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표면이 상기 포트 받침대 상부표면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상화되고; 상기 후방표면이 선박선수수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선수수용영역이 선박의 선수에 유사하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바닥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벽의 기둥이 상기 포트 상부표면의 구멍 내에 수용되도록 하는 크기 및 위치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칸막이벽이 한 쌍의 롤러들 중의 적어도 일부의 롤러들을 덮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칸막이벽의 하부표면 내에 요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요부들은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포트 상에 놓여지는 경우에 상기 롤러들과 정렬되도록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롤러들을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상부표면 상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의 편평한 상부 표면이 상기 손잡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전방표면이 상기 칸막이벽의 전방표면과 같은 높이를 이루고; 그리고 상기 손잡이와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전방표면들은 함께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기 칸막이벽의 전방단부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을 상기 포트에 고정시키는 밧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19. 전방단부, 후방단부, 측면들, 바닥표면 및 상부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표면이 한 쌍의 대향하는 내측으로 경사지는 벽들과 진입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가 진입부재의 전방에서 개방되고, 상기 진입영역이 상기 진입부재후방에서 상기 받침대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진입부재가 상기 진입부재의 상기 측면들과 전방에 위치되는 연결자소켓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입부재;
    전방단부, 후방단부, 측면들, 바닥표면 및 상부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표면이 한 쌍의 대향하는 내측으로 경사지는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가 상기 연장부재의 전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받침대가 상기 연장부재의 상기 전방 및 후방에서 개방되고,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연장부재의 상기 측면들, 전방 및 후방들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위치되는 연결자소켓들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포트부재들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벽; 및
    두 포트부재들의 정렬된 연결자소켓들 내에 수용되어 상기 포트부재들을 함께 연결하는 연결부재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에 의하여 상기 진입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재 및 상기 칸막이벽들이 일렬로 및/또는 측면-대-측면으로 함께 연결되어 원하는 조합 및 배치의 포트 조립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이 전장칸막이벽이고; 상기 칸막이벽이 실질적으로 상기 포트부재의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부표면, 전방표면, 후방표면, 측부표면들 및 바닥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표면이 실질적으로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포트의 상부표면 상에 놓여지도록 상기 포트의 상부표면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상기 받침대의 대향하는 측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데크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벽의 바닥표면이 상기 포트의 데크표면들의 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편평한 표면들과 상기 포트의 상기 받침대의 벽들에 대응하는 내측으로 경사지는 표면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실질적으로 상기 받침대의 길이로 연장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통로가 상기 칸막이벽의 경사지는 표면들 사이를 따라 연장되고; 리브가 상기 받침대 통로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 후방표면이 하방으로 경사지는 대체로 U-자형 부분에 의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외측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경사지는 벽들을 포함하는 선수수용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선수수용영역이 개인용 선박의 선수의 형상과 유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포트에 제거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상기 포트의 전방단부 근처의 상기 상부표면 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부표면, 전방표면, 측부표면들, 후방표면 및 바닥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표면이 상기 포트 받침대 상부표면에 상호보완적으로 형상화되고; 상기 후방표면이 선박선수수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선수수용영역이 선박의 선수와 유사하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바닥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벽 기둥이 상기 포트 상부표면 구멍 내로 수용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칸막이벽이 적어도 한 쌍의 롤러들을 덮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칸막이벽 하부표면 내에 요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요부들은 상기 롤러들과 정렬되도록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포트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롤러들을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상부표면 상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을 상기 포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밧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시스템.
  29. 상부표면, 바닥표면, 측부표면들, 전방표면 및 후방표면;
    한 쌍의 대향하는 내측으로 경사지는 벽들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상부표면의 적어도 일부 내에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벽들을 따라 위치되는 복수의 받침대 롤러소켓들과 상기 롤러소켓들 내에 수용되는 롤러들;
    상기 받침대의 후방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는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는 상기 포트가 물에 부유되는 경우 그리고 선박이 상기 포트 받침대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수준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되는 입구를 진입영역에 한정하는 후방단부를 갖는 진입영역;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램프의 길이방향의 중앙 쪽으로 내측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램프벽들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램프벽들 각각은 외측영역과 내측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영역은 상기 외측영역보다 더 큰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영역의 후방단부에 컷아웃과 상기 컷아웃 내에 탑재되는 후방롤러들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롤러는 상기 포트가 물에 부유하는 경우에 그리고 선박이 상기 포트 받침대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수준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영역의 상부의 전방단부에 램프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가 상기 램프 롤러소켓 내에 탑재되는 램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33. 상부표면, 바닥표면, 측부표면들, 전방표면 및 후방표면;
    한 쌍의 대향하는 내측으로 경사되는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상부표면의 적어도 일부 내에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벽들을 따라 위치되는 다수의 받침대롤러소켓들과 상기 받침대롤러소켓들에 수용되는 롤러들;
    상기 받침대의 후방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는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는 한 쌍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표면들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포트가 적어도 하나의 표식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식표면은 상기 포트가 측면 및 후방에서 보여지는 경우에 상기 표식표면이 가시화되도록 상기 램프의 경사진 표면들의 외측모서리들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경사지는 상기 포트의 후방단부에의 진입영역;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표면 상에 식별을 위한 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표면 상에 시인성 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강화제가 광반사요소들 또는 발광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하는 선박 포트.
KR1020107003391A 2007-08-16 2008-08-14 선박용 모듈식 부유 포트 조립체 KR101314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621507P 2007-08-16 2007-08-16
US60/956,215 2007-08-16
US12/125,539 US7918178B2 (en) 2007-08-16 2008-05-22 Modular floating watercraft port assembly
US12/125,206 US20090044739A1 (en) 2007-08-16 2008-05-22 Rollers For Use With Watercraft Ports and Lifts
US12/125,539 2008-05-22
US12/125,206 2008-05-22
PCT/US2008/073149 WO2009038912A1 (en) 2007-08-16 2008-08-14 Modular floating watercraft por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803A true KR20100054803A (ko) 2010-05-25
KR101314546B1 KR101314546B1 (ko) 2013-10-04

Family

ID=4036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391A KR101314546B1 (ko) 2007-08-16 2008-08-14 선박용 모듈식 부유 포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7918178B2 (ko)
EP (1) EP2188172B1 (ko)
JP (1) JP5296076B2 (ko)
KR (1) KR101314546B1 (ko)
CN (1) CN101808890A (ko)
AR (2) AR067961A1 (ko)
AU (1) AU2008302597B2 (ko)
BR (1) BRPI0815481A2 (ko)
CA (1) CA2696396C (ko)
CL (2) CL2008002393A1 (ko)
MX (1) MX2010001843A (ko)
PL (1) PL2188172T3 (ko)
RU (1) RU2466054C2 (ko)
WO (2) WO20090389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412B1 (ko) * 2013-03-06 2014-07-16 허두회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78957C (en) * 2008-09-16 2016-11-22 Dustin Imel Small watercraft boatlift
US9051035B2 (en) * 2008-09-16 2015-06-09 E-Z-Dock, Inc. Bench system for small watercraft boatlift
US8292547B2 (en) * 2009-04-24 2012-10-23 Wave Armor, L.L.C. Floating dock, connection system, and accessories
KR101282772B1 (ko) 2011-08-03 2013-07-05 한국과학기술원 선박의 선형을 고려한 능동형 롤링 펜더
BR112014008466A2 (pt) * 2011-10-10 2017-04-25 E-Z Dock Inc elevador de embarcação, e, caminho de ferro para um elevador de embarcação
NO334669B1 (no) * 2011-12-09 2014-05-12 Akvadesign As Flyteelement og framgangsmåte for å tildanne et oppdriftssystem
US8821066B1 (en) * 2012-06-28 2014-09-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hock mitigating universal launch and recovery system
WO2014031074A1 (en) * 2012-08-23 2014-02-27 Keppel Offshore & Marine Ltd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RU2529124C1 (ru) * 2013-08-31 2014-09-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 -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Родемос" Плавучая парковочная платформа
US9139270B2 (en) * 2013-10-03 2015-09-22 James Pirtle System for refloating grounded vessels
US9051039B1 (en) * 2014-02-11 2015-06-09 Rm Industries, Inc. Trolling motor stand
RU2546362C1 (ru) * 2014-03-25 2015-04-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ихооке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дульн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US10112689B2 (en) * 2014-08-07 2018-10-30 John Richard Parker Watercraft positioning system
CN105756030A (zh) * 2016-02-24 2016-07-13 许昌义 提高船闸通航效率的方法及滚动船
CN106395696B (zh) * 2016-08-31 2018-11-13 安徽省无为县航运总公司新元船舶修造分公司 一种船舶维修用液压式抬升装置
US10315738B2 (en) 2016-11-30 2019-06-11 E-Z-Dock, Inc. Small watercraft launch
US10300996B2 (en) * 2017-03-13 2019-05-28 Cellofoam North America, Inc. Self-adjusting drive-on floating dock
HK1247515A2 (zh) * 2018-05-10 2018-09-21 Torro Ltd 擺動式碼頭
US11305841B1 (en) * 2019-03-12 2022-04-19 Benjamin S. Haas Trench and plate boat hull system
CN110406628B (zh) * 2019-04-30 2021-03-26 康郦 模块化、快速拆装重组式舰船内装结构
US11904990B2 (en) 2020-09-02 2024-02-20 Innovative Outdoor Solutions, Inc. Floating drive-on pontoon port
US11828322B2 (en) * 2020-10-19 2023-11-28 Bruce Nelson Attachable loading ramp for modular floating vessel platforms
CN112744326B (zh) * 2021-02-24 2022-04-12 博雅工道(北京)机器人科技有限公司 牵拉组件及带有该组件的拼接平台
EP4368490A1 (fr) * 2022-11-10 2024-05-15 Ocea Interface flottante molle pour faciliter la mise à l'eau et la récupération d'un objet flottant ou submerg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2736A (en) * 1923-12-13 1926-02-09 Mcphail Duncan Stuart Roller bearing
US5281055C1 (en) 1992-07-17 2001-08-14 Marine Floats Inc Floating dock
US5941660A (en) * 1997-03-03 1999-08-24 Rueckert; David Modular watercraft support structure
US5855180A (en) * 1997-05-02 1999-01-05 Cello-Foam Na, Inc. Tilting dry dock for small watercraft
US6006687A (en) * 1998-01-21 1999-12-28 Marine Floats, Inc. Modular floating boat lift
US7293522B1 (en) * 2003-10-29 2007-11-13 Hydrohoist International, Inc. Roller assembly for floating dock
US7137896B2 (en) * 2003-12-08 2006-11-21 Jungho Park Multi-roller ball for constant velocity joints
KR101298991B1 (ko) * 2004-02-06 2013-08-26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부유식 드라이브 온 선박 도크
US7243608B2 (en) 2004-12-22 2007-07-17 E-Z-Dock,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docks
US7225751B2 (en) * 2005-06-01 2007-06-05 David Rueckert Connecting link assembly and socket arrangement for assembly of floating drive-on dry docks
US7481175B2 (en) * 2006-01-20 2009-01-27 Joseph Dickman Floating dock
UA16800U (en) * 2006-03-20 2006-08-15 Oleksandr Ivanovych Hrinenko Vess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412B1 (ko) * 2013-03-06 2014-07-16 허두회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8172A1 (en) 2010-05-26
CA2696396C (en) 2012-04-17
US20090044739A1 (en) 2009-02-19
MX2010001843A (es) 2010-03-11
JP2010536634A (ja) 2010-12-02
CA2696396A1 (en) 2009-03-26
EP2188172A4 (en) 2013-05-15
EP2188172B1 (en) 2014-12-17
CL2008002392A1 (es) 2009-01-09
US7918178B2 (en) 2011-04-05
WO2009154642A2 (en) 2009-12-23
US20090044740A1 (en) 2009-02-19
AU2008302597B2 (en) 2011-11-03
CL2008002393A1 (es) 2009-01-09
RU2466054C2 (ru) 2012-11-10
KR101314546B1 (ko) 2013-10-04
CN101808890A (zh) 2010-08-18
PL2188172T3 (pl) 2015-06-30
JP5296076B2 (ja) 2013-09-25
BRPI0815481A2 (pt) 2015-12-15
AU2008302597A1 (en) 2009-03-26
AR067961A1 (es) 2009-10-28
RU2010109746A (ru) 2011-09-27
WO2009154642A3 (en) 2010-03-11
WO2009038912A1 (en) 2009-03-26
AR067960A1 (es)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4803A (ko) 모듈식의 부유하는 선박 포트 조립체
US7225751B2 (en) Connecting link assembly and socket arrangement for assembly of floating drive-on dry docks
US5540169A (en) Pontoons and pontoon vessel
CN101115654B (zh) 船坞系统、浮船坞模块、连接器和船坞模块与盖的结合体
US6179525B1 (en) Floating dock section
US7481175B2 (en) Floating dock
US5460114A (en) Float for dock construction
US4768456A (en) Modular float
US5641242A (en) Apparatus for storing a boat
JP2010536634A5 (ko)
CA2389842A1 (en) Modular dock system
JP2014532005A (ja) 調整可能な腹盤木を有する乗り入れ式船舶リフト
US6138599A (en) Buoyant walkway module for a boatlift
US7117809B2 (en) Floating dry dock for light watercrafts
KR100577901B1 (ko)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JPS60112909A (ja) 係船装置
US20080282958A1 (en) Foam filled watercraft float with rollers
MX2014006877A (es) Sistema de muelle flotante.
KR20060134556A (ko) 조립식 보트
CA2463306C (en) Floating dry dock for light watercrafts
AU640470B2 (en) Improvements to underwater viewing water craft
US20230144630A1 (en) Paddlecraf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00183375A1 (en) Light transmissive dock deck surface
CA2328022C (en) Floating dock section
JPS6343887A (ja) マツト状安定浮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