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412B1 -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412B1
KR101420412B1 KR1020130024189A KR20130024189A KR101420412B1 KR 101420412 B1 KR101420412 B1 KR 101420412B1 KR 1020130024189 A KR1020130024189 A KR 1020130024189A KR 20130024189 A KR20130024189 A KR 20130024189A KR 101420412 B1 KR101420412 B1 KR 101420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
hinge
water
buoyanc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두회
Original Assignee
허두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두회 filed Critical 허두회
Priority to KR102013002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5/00Mechanisms for lifting ships vertically
    • E02C5/02Mechanisms for lifting ships vertically with float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에 띄워 사용하는 수상선착장에서 보트나 헬기를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상선착장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상선착장을 형성하는 빔프레임의 일측을 절개하여 리프트프레임으로 형성하되, 빔프레임과 리프트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경첩을 체결하여 리프트프레임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한 후, 보트가 진입할 때에는 상기 경첩을 통해서 리프트프레임을 회동시켜 수중에 잠수시키고, 보트가 진입하면 부력유닛의 작동으로 리프트프레임이 상승하여 실질적으로 보트를 빔프레임의 상부로 안착시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선착장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상선착장용 리프트{lift of a floating house}
본 발명은 수상에 띄워 사용하는 수상선착장에서 보트나 헬기를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상선착장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상선착장을 형성하는 빔프레임의 일측을 절개하여 리프트프레임으로 형성하되, 빔프레임과 리프트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경첩을 체결하여 리프트프레임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한 후, 보트가 진입할 때에는 상기 경첩을 통해서 리프트프레임을 회동시켜 수중에 잠수시키고, 보트가 진입하면 부력유닛의 작동으로 리프트프레임이 상승하여 실질적으로 보트를 빔프레임의 상부로 안착시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선착장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선착장이나 수상가옥은 호수나 강 등에 띄운 상태에서 레져샵을 운영하거나 다양한 연구소, 판매소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수중선착장의 중요한 구성은 보트나 헬기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수중선착장은 지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으로 구분할 때, 지지프레임의 일측을 완전히 절단한 상태에서 그 내측 보트스페이스로 보트를 수용시켜 보트가 흐르는 물살에 의해서 떠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이는 흔들리는 물살에 의해서 보트가 지지프레임과 잦은 마찰을 가져오고, 도색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단 보트스페이스를 형성하는 리프트를 체결하여 보트가 들어올 경우에는 리프트가 하향하여 수중에 위치하다가, 보트가 보트스페이스 내에 진수되면 리프트로 들어올려 지지프레임에 안착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식도 완전하지는 못하여 잦은 가동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겨울철의 경우 리프트를 상승시키는 모터에 무리가 가서 파손되는 경우도 있으며, 작동과 조작이 복잡하여 사용자가 잦은 수리를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본 발명은 수상에 띄워 사용하는 수상선착장에서 보트나 헬기를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상선착장용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수상선착장을 형성하는 빔프레임의 일측을 절개하여 리프트프레임으로 형성하되, 빔프레임과 리프트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경첩을 체결하여 리프트프레임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한 후, 보트가 진입할 때에는 상기 경첩을 통해서 리프트프레임을 회동시켜 수중에 잠수시키고, 보트가 진입하면 부력유닛의 작동으로 리프트프레임이 상승하여 실질적으로 보트를 빔프레임의 상부로 안착시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선착장용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선착장용 리프트는, 수상에 부양시켜 사용하는 수상선착장(100)의 빔프레임(10)과; 상기 빔프레임(10)의 일측을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절단된 리프트면(K)과 면접하는 프레임면(P)에 경첩(71)을 통해서 연결시킬 때, 상기 빔프레임(10)에 체결시킨 리프트프레임(19); 리프트프레임(19)이 끼워지는 공간부가 되는 빔프레임(10)의 리트프스페이스(72); 리프트프레임(19)의 저면에 고정되는 부력탱크(81)와 상기 부력탱크(81)의 내측으로 공기를 필요시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컴프레셔(82)로 이루어진 부력유닛(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리프트프레임(19)이 경첩(71)을 통해서 접혀져 수중으로 잠수시키고, 리프트스페이스(72) 내로 진입하는 헬기나 보트(73)를 부력을 통해서 리프팅시킨다.
또한 본 발명 수상선착장용 리프트에 따른,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연결시키는 경첩(71)은, 면접면의 상부에 체결하되, 상기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하향하며 테이퍼지게 절개시킨 절단부(75)를 형성하여 리프트프레임(19)이 경첩(71)을 통해서 절첩되기 용이하도록 하고 :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연결시키는 경첩(71)은,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테이퍼지게 절개하여 형성하되, 상기 프레임면(P)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테이퍼면(76)과 대응프레임면(77)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진 테이퍼면(76)의 끝단에 경첩(71)을 체결하여 대응프레임면(77)의 끝단과 연결시키며 :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연결시키는 경첩(71)은 하부에 형성하여 수직한 단면인 수직리프트면(78)과 수직프레임면(79)으로 면접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 수상선착장용 리프트에 따른, 부력유닛(80)은, 에어 컴프레셔(82)와 부력탱크(81)를 연통시키는 연결호스(84)를 형성할 때, 부력탱크(81)의 저면을 관통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하고, 일측에 밸브의 단락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85)를 형성하여 물의 유입과 유출이 필요시 가능하도록 하며, 부력탱크(81)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체크밸브(86)나 흡입관(91)을 통해 공기의 유출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고 : 에어컴프레셔(82)의 모터 회동력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흡입력을 전달하는 별도의 흡입관(91)을 부력탱크(81)의 일측에 결합시며, 물의 유입시 공기를 빠른 속도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리프트프레임이 별도의 동력을 통해서 부상하는 것이 아니고 유입되는 공기에 따른 부력으로 상승하기에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동작이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리프트프레임이 완벽하게 수직 상승하는 구조가 아니고 경첩을 통해서 일측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운동을 하여 보트를 리프팅시키기에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리프트 작동이 단순하고, 작동을 유도하는 구성이 간단하며, 에어 컴프레셔의 작동과 물과 공기의 부력차를 이용하여 리프팅시키기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상선착장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으로 지붕프레임이 결합된 수상선착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트가 수상선착장에 장착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경첩 체결구조의 형태를 도시한 일 실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첩 체결구조의 형태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첩 체결구조의 형태를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부력유닛에 흡입관을 결합시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수상선착장에서 사용되는 보트나 헬기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도 1 내지 7에서처럼, 본 발명은 수상에 부양시켜 사용하는 수상선착장(100)의 빔프레임(10)이 있고, 상기 빔프레임(10)의 일측을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절단된 리프트면(K)과 면접하는 프레임면(P)에 경첩(71)을 통해서 연결시킬 때, 상기 빔프레임(10)에 체결시킨 리프트프레임(19)이 있으며, 리프트프레임(19)이 끼워지는 공간부가 되는 빔프레임(10)의 리트프스페이스(72)가 있다. 또한 리프트프레임(19)의 저면에 고정되는 부력탱크(81)와 상기 부력탱크(81)의 내측으로 공기를 필요시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컴프레셔(82)로 이루어진 부력유닛(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리프트프레임(19)이 경첩(71)을 통해서 접혀져 수중으로 잠수시키고, 리프트스페이스(72) 내로 진입하는 헬기나 보트(73)를 부력을 통해서 리프팅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수상에 부양시킨 수상선착장(100)에 보트(73)나 헬기를 안전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10)과 지붕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 수상선착장(100)이나 수상안전가옥의 지지프레임(10)의 일측을 절단한 리프트프레임(19)을 가진다. 이 리프트프레임(19)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고, 지지프레임(19)의 일측 모서리나 변부분에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리프트프레임(19)은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모서리부분이 아닌 일측 변부위에 형성하여 보다 안전하게 장착된다.
상기 리프트프레임(19)은 일정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절단되며, 보트(73)나 헬기가 안착될 수 있는 크기면 족하다. 이 리프트프레임(19)과 지지프레임(10)이 절개되어 서로 면접하는 면접면을 본 발명의 도시된 도 4의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데, 리프트프레임(19)측의 면접면을 리프트면(K)이라 칭하고, 지지프레임(10)측의 면접면을 프레임면(P)이라 칭한다. 이들은 면접한 상태에서 그 면접부분에 경첩(71)이나 힌지로 서로 연결되는데, 본 발명에서 이는 아주 중요한 작동을 한다. 일단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리프트프레임(19)이 경첩(71)을 통해서 접혀져 수중으로 가라앉는다. 경첩(71)을 통해서 회동하여 사실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후 리프트프레임(19)이 없는 빈 공간부인 지지프레임(10)의 리프트스페이스(72)에는 보트가 진입을 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본 발명의 리프트프레임(19)의 하단에 고정된 부력탱크(81)의 내측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리프트프레임(19)은 부력을 받아 상승하게 된다. 상기 리프트프레임(19)은 경첩(71) 기준으로 회동을 하여 상기 보트(73)의 바닥을 상승시켜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형태로 정박이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는 간단한 에어 컴프레셔(82)의 작동을 통해서 리프트프레임(19)을 상승시키는 운동으로 보트(73)를 수중의 상부로 부양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프트프레임(19)과 지지프레임(10)의 결합을 달성하는 경첩(71)의 체결방식을 3가지 형태로 제안한다. 모두 구조적으로 서로 다른 형태이지만, 안전하게 리프트프레임(19)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먼저 도시된 도 4에서와 같이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연결시키는 경첩(71)은, 면접면의 상부에 체결하되, 상기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하향하며 테이퍼지게 절개시킨 절단부(75)를 형성하여 리프트프레임(19)이 경첩(71)을 통해서 절첩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전술된 것처럼 본 발명의 리프트프레임(19)을 절개한 부분이 리프트스페이스(72)가 되고, 이 리프트스페이스(72)에 리프트프레임(19)을 끼워 넣게 되면, 지지프레임(10)과 리프트프레임(19)은 면접하게 된다. 이 면접부분을 형성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의 경우 수직 절단되는 것이 아니고, 지지프레임(10)의 하단부분을 테이퍼지게 절단하여 제거하는 테이퍼진 프레임면(P)을 형성한다. 이에 대응되는 리프트면(K)도 테이퍼지게 절단하여 그 절단된 일부를 제거한 형태의 테이퍼진 리프트면(K)을 형성한다. 이렇게 테이퍼지게 절단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0)과 리프트프레임(19)은 면접면에서 서로 면접촉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선접촉이 정확하다. 바로 이 부분에 본 발명의 경첩을 체결하여 하단에서 작용되는 부력에 의해서 리프트프레임(19)이 회동 작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절단된 면은 회동작동을 하는데, 장애를 가져오지 않도록 구조적인 대응구조를 갖추고 있어서 작동이 용이하다.
이와는 달리 도시된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연결시키는 경첩(71)은,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테이퍼지게 절개하여 형성하되, 상기 프레임면(P)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테이퍼면(76)과 대응프레임면(77)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진 테이퍼면(76)의 끝단에 경첩(71)을 체결하여 대응프레임면(77)의 끝단과 연결시킨다. 즉, 지지프레임(10)과 리프트프레임(19)의 면접면인 리프트면(K) 프레임면(P)을 대응되게 절단하는 것이다. 사선으로 절단을 하되, 상기 지지프레임(10)측인 프레임면(P)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절단을 한다. 사실상 지지프레임(10)이 리프트프레임(19)의 리프트면(K)을 가려 상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겹쳐 위치시키는 것이다. 지지프레임(10)의 프레임면(P)의 끝단에 경첩(71)을 체결하고, 대응되는 부분은 리프트면(K)의 끝단에 체결하여 견고히 결합시킨다.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된 경첩(71)의 작동에 따라 수중에서 회동하여 본 발명의 리프트프레임(19)은 승하강 리프팅 작동을 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경첩은 다음과 같다. 즉,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연결시키는 경첩(71)은 하부에 형성하여 수직한 단면인 수직리프트면(78)과 수직프레임면(79)으로 면접되게 하는 것이다.
아주 간단하게 수직하게 절단하여 수직된 수직리프트면(78)과 수직프레임면(79)의 하단에 경첩(71)을 체결한다. 도시된 것처럼 전술된 제1, 2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을 하여 보트(73)를 상승시키지만, 그 결합되는 구조면에서만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상기 부력유닛(80)은, 에어 컴프레셔(82)와 부력탱크(81)를 연통시키는 연결호스(84)를 형성할 때, 부력탱크(81)의 저면을 관통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하고, 일측에 밸브의 단락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85)를 형성하여 물의 유입과 유출이 필요시 가능하도록 하며, 부력탱크(81)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체크밸브(86)나 흡입관(91)을 통해 공기의 유출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리프트프레임(19)은 금속재나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 리프트프레임(19)이나 지지프레임(10)은 사실상 물에 가라앉게 되는데, 특별히 부력체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부양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부력탱크(81)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리프트프레임(19)을 수중 위로 부양시킨다.
즉, 리프트프레임(19)의 하단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부력탱크(81)를 장착한다. 이 부력탱크(81)에는 도시된 에어 컴프레셔(82)의 연결호스(84)가 결합되어 부력탱크(81)의 하단과 연통시키고 있다. 만일 에어 컴프레셔(82)에서 고압의 공기가 부력탱크(81)의 내측으로 유입되면 상기 부력탱크(81)의 내측은 공압으로 가득차 부력이 발생된다. 바로 이 힘이 직립되어 있던 리프트프레임(19)을 상승시켜 상부의 보트(73)나 헬기를 부양시킨다.
이에 반하여 만일 부력탱크(81)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게 되면, 상기 리프트프레임(19)은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하향하여 수중에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경첩(71)에 의해서 그 끝단이 지지프레임(10)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흔들리는 물살에 떠 내려가지 않는다. 결국 본 발명은 간단한 부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헬기나 보트(73)를 리프트프레임(19)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공기를 빼주는 방식이 2가지로 제안되는 데, 제1체크밸브(86)를 이용하는 방법과 별도의 흡입관(91)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먼저 리프트프레임(19)이 수중으로 가라 앉기 위한 작동으로는 부력탱크(81)의 밸브(85)를 개방하여 물의 유입을 허용하고, 제1실시예의 제1체크밸브(86)도 개방하여 동일한 량만큼의 공기도 빼주게 된다. 부력탱크(81)는 물로 가득차서 그 무게에 의해서, 리프트프레임(19)을 수중으로 가라앉도록 하며,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실시예인 흡입관(91)의 경우 부력탱크(81)의 밸브(85)를 개방하여 물의 유입을 허용하고, 제2실시예의 흡입관(91)을 통해서 고속으로 내측의 공기를 빼준다. 속도가 빠른 제2실시예의 경우 보트(73)가 리프트스페이스의 외측에서 정박을 한 상태로 오랜 시간 기다리는 것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인 제1체크밸브(86)의 경우, 밸브(85)는 개방되어 유입되는 물의 량만큼 제1체크밸브(86)를 통해서 공기를 빼주어야 리프트프레임(19)이 수중으로 내려가 보트를 리프트스페이스 내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는 작동에는 아무런 하자가 없지만, 물이 부력탱크(81)의 내측에 가득찰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물이 개방된 제1체크밸브(86)를 통해 부력탱크(8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반하여 흡입관(91)을 사용하는 방식은 공기를 빨리 흡입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부력탱크(81)의 내측의 공기를 빼주고, 그 빼주는 속도만큼 부력탱크(81) 내측의 물의 유입속도가 빨라지기에 보트(73)가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제1실시예인 제1체크밸브(85)는 물론 흡입관(91)을 모두 형성하여 혹시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면 예비적인 차원으로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실시도 가능하다.
그럼 상기 부력유닛(80)에 흡입관(91)을 형성한 실시예의 작동의 원리를 도시된 도 7을 통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상기 부력유닛(80)에는, 에어컴프레셔(82)의 모터 회동력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흡입력을 전달하는 별도의 흡입관(91)을 부력탱크(81)의 일측에 결합시며, 물의 유입시 공기를 빠른 속도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에어컴프레셔(82)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축적하여 압축시키는 장치이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공기를 흡입시키는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에어컴프레셔(82)를 통해서 강하게 에어를 배출시켜 진공을 발생시키게 되면, 다른 방향으로 연통된 흡기관(91)에는 진공에 따른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 흡입력을 이용하여 부력탱크(81) 내의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다.
그럼 본 발명의 이러한 작동의 상황을 도 3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우선 보트(73)가 수상선착장(100)에 진입을 시도하게 되면, 본 발명의 밸브(85)가 개방된다. 밸브(85)는 에어를 통해서 개방시키는 방법과 자력을 통해서 개방시키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개방은 물을 부력탱크(81)의 내측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이동을 가져온다. 이때 중요하게는 부력탱크(81)의 상부에 연통된 별도의 제1실시예의 제1체크밸브(86)도 개방되어 부력탱크(81) 내측의 에어를 빼주게 된다. 에어는 빠지면서 하단의 물은 계속해서 부력탱크(81)의 내측으로 유입되기에 스스로 리프트프레임(19)은 하향하여 직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실시예의 흡입관(91)도 마찬가지이다. 에어컴프레셔(82)에서 작용되는 흡입력으로 고속으로 부력탱크(81) 내측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되는 량만큼 고속으로 부력탱크(81)의 내측에는 물이 유입될 것이고, 이에 따라 리프트프레임(19)은 하향하여 직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보트(73)는 지지프레임(10)의 리프트스페이스(72) 공간으로 이동을 하고 엔진이 꺼지게 되면, 상기 에어 컴프레셔(82)는 작동을 한다. 에어컴프레셔(82)에서 고압의 공기가 부력탱크(81)의 내측으로 충진되는 것이다. 이때 밸브(85)는 개방되고 제1체크밸브(86)는 차단되어 공기는 부력탱크(81) 내측으로 유입되지만 탱크에 차있던 물은 밸브(85)를 통해서 배출된다. 일정량이 빼출되고 나서는 밸브(85)가 차단되어 공압으로 가득차게 된다. 공기가 충진되면 부력이 상승하고, 상기 부력탱크(81)의 부력에 의해서 리프트프레임(19)은 상승을 한다. 이 상승운동이 보트(73)를 상승시켜 보다 안정된 정박이 가능하게 된다.
10; 빔프레임 K; 리프트면
P; 프레임면 19; 리프트프레임
72; 리프트스페이스 81; 부력탱크
80; 부력유닛 82; 에어컴프레셔
84; 연결호스 85; 밸브
86; 제1체크밸브

Claims (6)

  1. 수상에 부양시켜 사용하는 수상선착장(100)의 빔프레임(10)과;
    상기 빔프레임(10)의 일측을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절단된 리프트면(K)과 면접하는 프레임면(P)에 경첩(71)을 통해서 연결시킬 때, 상기 빔프레임(10)에 체결시킨 리프트프레임(19);
    리프트프레임(19)이 끼워지는 공간부가 되는 빔프레임(10)의 리트프스페이스(72);
    리프트프레임(19)의 저면에 고정되는 부력탱크(81)와 상기 부력탱크(81)의 내측으로 공기를 필요시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컴프레셔(82)로 이루어진 부력유닛(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리프트프레임(19)이 경첩(71)을 통해서 접혀져 수중으로 잠수시키고, 리프트스페이스(72) 내로 진입하는 헬기나 보트(73)를 부력을 통해서 리프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연결시키는 경첩(71)은, 면접면의 상부에 체결하되, 상기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하향하며 테이퍼지게 절개시킨 절단부(75)를 형성하여 리프트프레임(19)이 경첩(71)을 통해서 절첩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연결시키는 경첩(71)은,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테이퍼지게 절개하여 형성하되, 상기 프레임면(P)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테이퍼면(76)과 대응프레임면(77)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진 테이퍼면(76)의 끝단에 경첩(71)을 체결하여 대응프레임면(77)의 끝단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선착용 리프트.
  4. 제1항에 있어서,
    리프트면(K)과 프레임면(P)을 연결시키는 경첩(71)은 하부에 형성하여 수직한 단면인 수직리프트면(78)과 수직프레임면(79)으로 면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부력유닛(80)은, 에어 컴프레셔(82)와 부력탱크(81)를 연통시키는 연결호스(84)를 형성할 때, 부력탱크(81)의 저면을 관통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하고;
    일측에 밸브의 단락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85)를 형성하여 물의 유입과 유출토록 하며;
    부력탱크(81)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체크밸브(86)나 흡입관(91)을 체결하여 공기의 유출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6. 제5항에 있어서,
    부력유닛(80)에 체결된 흡입관(91)은, 에어컴프레셔(82)의 모터 회동력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흡입력을 전달하는 별도의 흡입관(91)을 부력탱크(81)의 일측에 결합시며, 물의 유입시 공기를 빠른 속도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KR1020130024189A 2013-03-06 2013-03-06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KR101420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189A KR101420412B1 (ko) 2013-03-06 2013-03-06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189A KR101420412B1 (ko) 2013-03-06 2013-03-06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412B1 true KR101420412B1 (ko) 2014-07-16

Family

ID=5174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189A KR101420412B1 (ko) 2013-03-06 2013-03-06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4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291A (ja) * 1993-02-15 1994-08-3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引込み押出し装置
KR200352592Y1 (ko) 2004-02-14 2004-06-09 신현구 보트용 조립식 정박장치
KR20100054803A (ko) * 2007-08-16 2010-05-25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모듈식의 부유하는 선박 포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291A (ja) * 1993-02-15 1994-08-3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引込み押出し装置
KR200352592Y1 (ko) 2004-02-14 2004-06-09 신현구 보트용 조립식 정박장치
KR20100054803A (ko) * 2007-08-16 2010-05-25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모듈식의 부유하는 선박 포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073B2 (en) Boat lift
US9604709B2 (en) Boat lift
US9199704B2 (en) Floatable dry docks
US5549070A (en) In-water dry dock system
JP2015536871A (ja) 格納可能なスラスタユニットの水中部分の取り外しおよび/または取り付け方法
KR101420412B1 (ko) 수상선착장용 리프트
CA23708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rawing fluid into a helicopter bucket
KR101818319B1 (ko) 바지선의 측면을 활용한 석션파일 기초구조물 분리 진수, 조립, 거치방법
US5114273A (en) Offshore platform pollution containment device
CN104986302B (zh) 一种轮船防侧翻沉船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WO2018175934A1 (en) Boat lift
CN107207077B (zh) 提供稳定的工作平台的方法及其船只
KR102322893B1 (ko)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WO2005105568A1 (ja)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JP2001214884A (ja) 揚排水ポンプ設備、及び、ポンプ
FR2755661A1 (fr) Dispositif de mise hors de l'eau de bateaux
EP4217264A1 (en) Anchor system of or for marine vessels and anchors for such
KR101302206B1 (ko)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KR200453349Y1 (ko) 선박 접안 시설물
CN211571843U (zh) 一种布置在坐底式海工平台上的取水装置
KR200435207Y1 (ko) 잠수정과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수중 부유물
CN208377019U (zh) 一种水上浮动平台
KR102087355B1 (ko) 해상 이동형 상가 장치
CN114933237B (zh) 一种用于投放水下设备的自动开锁装置及其控制方法
CN212506351U (zh) 一种填海造陆用沉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