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893B1 -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 Google Patents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893B1
KR102322893B1 KR1020200026190A KR20200026190A KR102322893B1 KR 102322893 B1 KR102322893 B1 KR 102322893B1 KR 1020200026190 A KR1020200026190 A KR 1020200026190A KR 20200026190 A KR20200026190 A KR 20200026190A KR 102322893 B1 KR102322893 B1 KR 102322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oil
hull
fresh water
tempor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093A (ko
Inventor
권기생
권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Priority to KR102020002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89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06Emptying the contents of sunken, stranded, or disabled vessels, e.g. by engaging the vessel; Underwater collecting of buoyant contents, such as liquid, particulate or gaseous contents, escaping from sunken vessels, e.g. using funnels, or tents for recovery of escaping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23B39/06Equipment f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45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 B67D7/3254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using a pressurised liquid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 bulk of the liquid to be transferred

Abstract

본 발명은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침몰선으로부터 기름유출을 방지코자 유류 이적 작업을 함에 있어서 안전하고 신속한 천공 및 이적 작업이 가능한 수단을 구비코자 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구체적인 수단으로 선체(100)에 직교되게 설치 구성되어, 일측에 청수(F2)가 공급되는 공급관(22)과 타측에 기름(F1)이 흡입되는 흡입관(23)이 형성된 슬리브(2)와, 슬리브(2) 내부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슬리브(2)에서 선체(100)를 향해 돌출 시 선체(100)를 천공하는 천공수단(3)과, 천공된 선체(100)의 하부에 청수(F2)를 공급하는 공급호스(41)가 공급관(22)에 내입되도록 구성되어, 연료탱크(101) 내부의 기름(F1)을 청수(F2)의 압력과 비중차로 상승시키는 청수공급수단(4)과, 청수(F2)에 의해 상승하는 기름(F1)을 연통된 슬리브(2)의 하부로 흡입하여, 슬리브(2)의 흡입관(23)를 통하여 선체(100) 외부로 이적시키도록 구성된 기름흡입수단(51)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하나의 슬리브 본체에 천공수단, 기름 잔량과 기름 이적수단이 모두 통합되어 있으므로 설치와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비숙련공도 작업하기 용이한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Oil transfer device of the sunken ship}
본 발명은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침몰선으로부터 기름유출을 방지코자 유류이적(油類移積) 작업을 함에 있어서 안전하고 신속한 천공 잔존유량 확인 및 이적 작업이 가능한 일체형 수단을 구비코자 한 것이다.
선박의 해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발생 초기에 침몰선으로부터 유류이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지연되어 기름이 유출되면 인근 해수욕장, 어장, 발전소, 취수구 등이 산재한 연안으로 기름이 확산되어 재난적 수준의 해양오염이 발생하게 된다.
한번 발생된 기름 및 유성혼합물 등의 오염원은 정화되는데 수년이 걸리는 만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침몰선으로부터 유류를 이적하는 공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에는 천공수단을 별도로 구비하고, 기름 이적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였으며 천공과정에 있어서도 이적수단이 기름흡입공과 유체삽입공을 별도로 구성하여야 하였으므로, 작업공정도 복잡하여 숙련된 작업자를 필요로 했었다.
유류 이적과 관련한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01713호(2013년 08월 30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패킹에 의해 수밀 되도록 자석으로 피착물에 부착되며 부착판과, 부착판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유도관과, 유도관에 결합되는 제차단밸브와, 제차단밸브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자석에 의해 피착물에 부착되는 상기 부착판은 베이스판의 아래쪽으로 자석내입홈을 형성하여 자석을 매립하고, 자석내입홈의 양측으로는 트랙형의 패킹내입홈을 형성하여 패킹을 내입 고정한 선박용 천공기를 겸한 잔존유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에 축직각방향으로 더 설치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설치한 제차단밸브와, 상기 제차단밸브와 결합되는 펌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천공기를 겸한 잔존유 제거 장치가 공고되어 있다.
또 다른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2000년 제1845072호(2018년04월03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상부 제어밸브와 연결된 내부관 외부에 공간부a가 형성되도록 외측 제어밸브와 연결된 외부관이 형성되어 이중관체 구조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에 접속되며 외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슬리브관,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며 잠금너트 및 잠금너트 하부에 차례로 구성되는 고정와셔와 가스켓, 상기 슬리브관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입부, 상기 요입부에 내입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하부 삽입방향으로 경사면a을 갖는 금속재의 피스톤링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체철판에 형성된 설치구멍D 안으로 상기 슬리브관의 단부와 피스톤링이 삽입되어 밀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관은 외부관 하부에 슬리브관이 결합되었을 때 슬리브관 밖으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관의 하단부 외측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홈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내의 비상유체배출장치가 공고되어 있다.
추가로 다른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43977호(2019년 11월 12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를 유류탱크로 주입하여 잔존유를 배출하도록 유류탱크 선체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슬리브관과, 상기 슬리브관의 하부에 결합되어 선체를 천공하는 커터링과, 상기 슬리브관을 천공에 장착 고정시키는 탄성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관은 천공장치와 결합하도록 외주면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연장되어 탄성체결수단이 설치되도록 복수의 작동공 및 상기 작동공과 직교되는 핀홀이 형성된 슬리브삽입부와, 상기 슬리브삽입부의 하부 선단에 커터링이 조립되도록 슬리브삽입부의 직경에서 내측방향으로 단턱지도록 내입되게 형성되는 커터조립부로 구성되며, 상기 커터링에 의해 선체를 천공과 동시에 천공의 내외측에서 탄성체결수단으로 슬리브관을 장착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가 공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을 실무에 적용함에 있어서, 바다의 탁도가 높아 시야가 극히 제한되거나 조류가 심한 경우 잠수부가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름을 흡입함에 있어서 연료탱크에 하부로 길게 연장된 관을 통해 기름을 흡입하고 연료탱크 내압을 맞추기 위해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식을 썼으나, 별도의 공기를 주입해야하는 경우 수심이 깊으면 추가 장비를 구비하기 어려웠고 하부로 길게 연장된 관을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며 선체의 기울기에 따라 기름이 흡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면서도 폐쇄된 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KR 10-1301713 B1 (2013년 08월 30일) KR 10-1845072 B1 (2018년 04월 03일) KR 10-2043977 B1 (2019년 11월 12일)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침몰선으로부터 기름유출을 방지코자 유류 이적 작업을 함에 있어서 장치를 보다 간소화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에도 주위 환경에 작업이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전하고 신속한 천공, 기름 탱크내의 잔존유량 확인 및 이적 작업이 가능한 수단을 구비코자 한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선체에 직교되게 설치 구성되어, 일측에 청수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타측에 기름이 흡입되는 흡입관이 형성된 슬리브와, 슬리브 내부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슬리브에서 선체를 향해 돌출 시 선체를 천공하는 천공수단과, 천공된 선체의 하부에 청수를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공급관에 내입되도록 구성되어, 연료탱크 내부의 기름을 청수의 압력과 비중차로 상승시키는 청수공급수단과, 청수에 의해 상승하는 기름을 연통된 슬리브의 하부로 흡입하여, 슬리브의 흡입관를 통하여 선체 외부로 이적시키도록 구성된 기름흡입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공수단은 슬리브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모터와, 승강모터에 이송스크류로 연동되어 승강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 천공모터와, 천공모터에 축설되어, 천공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선체를 천공하는 드릴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리브가 가운데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작업자가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판의 테두리가 슬리브보다 높게 상향 돌출되는 기립차단벽과, 고정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선체에 부착토록 하는 가설장치고정부로 구성되어 슬리브의 주위에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상부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가설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설장치에 설치되어 가설장치 내부로 맑은 물을 공급하여 가설장치 내부의 탁도를 낮추어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탁도감소수단과, 가설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와, 가설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설장치의 내부정보를 영상으로 기록하거나 외부로 전달하는 카메라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청수 또는 해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기를 구비하여 잠수하거나 또는 수면까지 연결되는 공기공급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비 구성이 간소화되고, 하나의 슬리브 본체에 천공수단, 잔존유량 측정과 이적수단이 모두 통합되어 있으므로 설치와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비숙련공도 작업하기 용이하다.
추가로 가설장치를 이용하면 이적장치의 설치가 용이해짐은 물론 탁토가 높거나 조류가 강해도 주위 환경과 상관없이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가 적용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천공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잔량확인수단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적과정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며,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어 해석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에 직교되게 설치 구성되어, 일측에 청수(F2)가 공급되는 공급관(22)과 타측에 기름(F1)이 흡입되는 흡입관(23)이 형성된 슬리브(2)와, 슬리브(2) 내부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슬리브(2)에서 선체(100)를 향해 돌출 시 선체(100)를 천공하는 천공수단(3)과, 천공된 선체(100)의 하부에 청수(F2)를 공급하는 공급호스(41)가 공급관(22)에 내입되도록 구성되어, 연료탱크(101) 내부의 기름(F1)을 청수(F2)의 압력과 비중차로 상승시키는 청수공급수단(4)과, 청수(F2)에 의해 상승하는 기름(F1)을 연통된 슬리브(2)의 하부로 흡입하여, 슬리브(2)의 흡입관(23)를 통하여 선체(100) 외부로 이적시키도록 구성된 기름흡입수단(51)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공수단(3)은 슬리브(2)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모터(31)와, 승강모터(31)에 이송스크류(32)로 연동되어 승강모터(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 천공모터(33)와, 천공모터(33)에 축설되어, 천공모터(33)의 회전력에 의해 선체(100)를 천공하는 드릴(35)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리브(2)가 가운데에 고정되는 고정판(61)과, 작업자가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판(61)의 테두리가 슬리브(2)보다 높게 상향 돌출되는 기립차단벽(62)과, 고정판(61)의 하부에 형성되어 선체(100)에 부착토록 하는 가설장치고정부(63)로 구성되어 슬리브(2)의 주위에 안전한 작업공간(65)을 확보하고, 상부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가설장치(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설장치(6)에 설치되어 가설장치(6) 내부로 맑은 물을 공급하여 가설장치(6) 내부의 탁도를 낮추어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탁도감소수단(66)과, 가설장치(6)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67)와, 가설장치(6)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설장치(6)의 내부정보를 영상으로 기록하거나 외부로 전달하는 카메라(68)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해저에 가라앉은 침몰선으로부터 유류연료 등의 기름(F1)이 새어나와 해양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선체(100)와 연료탱크(101)를 천공하고, 연료탱크(101) 내부의 기름(F1)을 이적해야한다.
그러므로 작업 효율성이 높은 기술이 요구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본체인 슬리브(2)에 천공수단(3)과 이적수단(4,5)을 모두 구비토록 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몰된 선체(100)에 슬리브(2)가 슬리브고정부(21)에 의해 직교되도록 부착된다.
슬리브고정부(21)는 슬리브(2)에 고정되며, 슬리브(2)와 선체(100) 사이에 개재되어 선체(100)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슬리브자성체(21-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자성체(21-1)는 전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장치의 크기와 무게를 고려하여 온오프(on-off)식 영구자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슬리브고정부(21)를 슬리브자성체(21-1) 대신 플랜지와 스터드볼트(도면 미도시)로 구성하여, 슬리브(2)의 하단에 결합된 플랜지를 선체(100)에 스터드볼트로 고정토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고정부(21)를 슬리브자성체(21-1) 대신 진공패드(도면 미도시)로 구성하여, 슬리브(2)의 하단에 고정된 진공패드를 선체(100)에 밀착시켜 압력차로 고정시킬 수 있다.
선체(100)에 고정되는 슬리브(2)의 내부에는 천공수단(3)이 승강되도록 구성한다.
슬리브(2)에서 선체(100)를 향하는 하부로 천공수단(3)이 돌출될 때 천공수단(3)의 하단에서 회전하는 드릴(35)에 의해 약 7~15mm 정도의 철판으로 이루어진 선체(100)를 천공하는 것이다.
천공수단(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선체(100)가 부착되지 않는 반대쪽의 슬리브(2) 타단으로 승강모터(31)가 슬리브(2)에 설치된다.
승강모터(31)에서 하향되게 축설되는 이송스크류(32)의 끝단에 자유회전되도록 천공모터(33)가 결합되며, 승강모터(31)와 천공모터(33)의 사이에는 슬리브(2)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암나사공(25)이 개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모터(31)의 회전에 따라 이송스크류(32)도 동일한 회전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송스크류(32)의 나사선과 암나사공(25)이 서로 암수 결합되어 회전하므로 승강모터(31)와 천공모터(33)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천공모터(33)에는 회전축에 선체(100) 천공용 드릴(35)이 축설되어 있다.
상기 승강모터(31)와 천공모터(33)는 수중 작업용이므로 별도의 유압라인(36)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승강모터(31) 또는 천공모터(33)에 유압이 공급되어 회전하는 경우, 승강모터(31) 또는 천공모터(33)가 공회전하거나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모터는 슬리브(2)의 내측에 형성된 역회전방지면(24)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승강모터(31)의 회전에 의해 천공모터(33)가 하강하게 되면, 천공모터(33)가 회전을 시작해 축설 결합된 드릴(35)도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하강하는 드릴(35)은 슬리브(2)가 부착된 선체(100)에 닿게 되면서 선체(100)의 금속판을 뚫게 되며, 선체(100)에 형성된 연료탱크(101)까지 뚫어서 연료탱크(101) 내부의 기름(F1)이 슬리브(2)로 노출되도록 한다.
선체(100)에 천공이 완료되면 승강모터(31)는 다시 역회전을 하여 천공모터(33)를 상승시켜 천공모터(33)에 축설된 드릴(35)이 슬리브(2)에 관통 형성된 공급관(22)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한다.
연료탱크(101)에는 에어벤트와 측심관 등이 연통되게 선체에 설치되어 있어 침몰선에 해수가 유입될 가능성도 있을 수 있으며, 연료탱크(101)의 기름 잔량을 확인 후 이적작업을 하는 것이 현장에서 정확한 작업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를 천공한 직후에 슬리브(2)에 형성된 공급관(22)를 통해 잔량확인수단(7)을 삽입하여 연료탱크(101) 내부의 기름과 연료탱크(101)에 유입된 해수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잔량확인수단(7)으로는 하단부에 호스체크밸브(72)가 설치된 투명호스(71)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호스(71)를 공급관(22)를 통해 삽입할 때는 호스체크밸브(72)가 열려서 호스 내부에 기름 높이(oil level) 내지 물의 높이(water level)만큼 기름 내지 물이 차오르게 되고, 연료탱크(101)의 바닥까지 내려간 투명호스(71)를 공급관(22)에서 다시 인출할 때는 호스체크밸브(72)가 잠겨 기름 내지 물이 호스 내부에 그대로 남도록 꺼낼 수 있어 연료탱크(10)의 기름 내지 물의 양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로 투명호스(71)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눈금선(73)이 형성하면 수중에서 작업자가 쉽게 높이를 계량할 수 있게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의 공급관(22)로 청수공급수단(4)인 공급호스(41)가 내입되며, 공급관(22)에는 호스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 유체가 들어가거나 또는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체크밸브(도면 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하부의 공급펌프(42)와 연동되는 공급호스(41)는 선체(100)의 연료탱크(101) 하부까지 내려가도록 투입된다.
공급호스(41)의 분출부가 연료탱크(101)의 하부까지 하강하면 공급펌프(42)로부터 청수(F2)를 공급하여 연료탱크(101) 하부에서부터 청수(F2)가 차오르도록 한다.
추가로 작업자가 공금펌프와 공급호스(41) 사이에 개재된 밸브(V)를 수동으로 여닫을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되는 청수(F2)는 바지선과 같은 수상의 작업선 등의 외부에 준비된 별도의 물을 끌어와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해수를 바로 끌어와서 사용할 수도 있다.
공급펌프(42)로 해수를 공급하여 사용한다면 장비를 간소화하고,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연료탱크(101)에 청수(F2)가 공급되면, 청수(F2)보다 비중이 가벼운 기름(F1)은 청수(F2)와 섞이지 않고 청수(F2)보다 높은 위치로 분리되어 뜨게 된다.
청수(F2)가 충분히 공급되면 기름(F1)은 계속 상승하여 선체(100)에 천공된 부분까지 차오를 것이고, 이때 슬리브(2)에 구성된 기름흡입수단(51)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에 별도로 수집하게 된다.
기름흡입수단(51)은 연료탱크(101)에 천공된 부분과 연통된 슬리브(2)를 통해 기름(F1)이 흡입되며, 보다 자세히 표현하면 공급호수의 외측면과 슬리브(2)의 내측면 사이로 흡입되는 것이며, 흡입력은 전술한 청수(F2)에 의한 기름(F1) 상승과 후술할 흡입펌프(52)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슬리브(2)로 흡입된 기름(F1)은 슬리브(2)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관(23)와, 상기 흡입관(23)에 연통되어 형성된 흡입관체(51)로 이송되게 된다.
흡입관체(51)에는 흡입펌프(52)가 형성되어, 기름흡입수단(51)의 흡입력을 더해주며 흡입관(23)와 흡입펌프(52) 사이의 개재되도록 흡입관체(51)에 밸브(V)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흡입밸브(V)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슬리브(2)의 공급관(22)로부터 투입된 공급호스(41)의 직경만큼 청수(F2)가 공급되고, 슬리브(2)의 흡입관(23)에 결합된 흡입관체(51)의 직경만큼 기름(F1)이 흡입되므로, 공급호스(41)의 직경과 흡입관체(51)의 단면적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청수(F2) 공급량과 기름(F1) 흡입량을 동일하게 유지하면 연료탱크(101) 내부의 압력이 변하지 않으므로, 연료탱크(101) 내부의 압력차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의 청수공급수단(4)과 기름흡입수단(51)을 포함하는 이적수단(4,5)과, 천공수단(3)이 슬리브(2)에서 모두 이루어지므로 이적장치(1)의 설치가 쉽고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가설장치(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설장치(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를 가운데에 고정되는 고정판(61)과, 작업자가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판(61)의 테두리가 슬리브(2)보다 높게 상향 돌출되는 기립차단벽(62)과, 고정판(61)의 하부에 형성되어 선체(100)에 부착토록 하는 가설장치고정부(63)로 구성되어 슬리브(2)의 주위에 안전한 작업공간(65)을 확보하고, 상부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64)를 더 포함한다.
이적 작업 시 조류의 흐름을 저항을 최소화하여 흘려보내기 위해서는 조류의 저항을 적게 받는 호형의 형상이 유리하므로, 고정판(61)은 개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기립차단벽(6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판(61)은 하부에 중량자성체(63-1)가 고정판(61)의 둘레방향으로 설치되어, 중량자성체(63-1)가 선체(100)에 부착됨에 따라 가설장치(6)가 선체(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중량자성체(63-1)는 무게와 크기를 고려하여 착탈식 자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 무게추(6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기립차단벽(62)의 상부는 필요시 덮개를 덮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폐쇄하지 않고 개구토록 개구부(64)를 형성하여 작업하는 잠수부가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
서해와 같이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탁도(濁度)가 높을 경우 작업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작업이 쉽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이적 작업을 하는 가설장치(6) 내부의 탁도를 낮추도록 가설장치(6)에 설치되어 가설장치(6) 내부 하측에 맑은 물을 공급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별도의 청수 공급관과 같은 탁도감소수단(6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탁도감소수단(66)은 수면 위에 준비된 작업선으로부터 별도의 깨끗한 물을 공급 받아 가설장치(6)의 내부 작업공간(65)의 하부부터 채워 넣으면, 탁도가 높은 해수는 가설장치(6)의 개구부(64)를 통해 밀려 빠져나가 가설장치(6) 내부의 물은 투과율이 높아지므로 시야가 넓게 확보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추가로 야간에 작업을 하거나 수면이 깊어 빛이 해저까지 제대로 도달하지 못해 작업자가 잠수복에 조명장치(67)을 부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가설장치(6) 내부에 별도의 조명장치(67)을 추가로 설치해두면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라 빛의 밝기가 달라지지 보다 밝은 환경에서 이적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높아진다.
필요에 따라 작업과정을 녹화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가설장치(6) 내부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관찰코자 하는 경우에는 가설장치(6)의 내부에 방수 카메라(68)을 설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정보를 보내거나 또는 방수 카메라(68)에 자체적으로 파일화하여 저장해둘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설장치(6)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적장치(1)를 비롯한 구비장치가 가설장치(6)에 포함되어 있어서 선체(100)에 설치하기가 보다 쉬워지는 것이다.
가설장치고정부(63)에 의해 자력으로 가설장치(6)만 선체(100)에 부착해도 이적장치(1)가 함께 선체(100)에 부착되므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천공수단(3)에 의한 천공작업, 이적수단(4,5)에 의한 이적 작업을 진행하기 쉽게 된다.
가설장치(6)의 크기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설장치고정부(63)을 이루는 중량자성체(63-1)의 개수를 개략 80개 정도로 설계하였으며, 중량자성체(63-1)는 개당 50kg의 부착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가설장치고정부(63)을 제외한 가설장치(6)의 무게는 대략 500kg에 이르므로, 가설장치(6)의 총 무게는 중량자성체(63-1)의 무게를 포함하여 약 4.5톤이 되므로, 충분한 고중량으로 선체(10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천공작업 시 선체(10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게 되어 안정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작업환경이 해저에서 탁도가 심하거나 너무 어두운 경우 가설장치(6)의 탁도감소수단(66)을 이용하여 가설장치(6) 내부 작업공간(65)의 시야를 맑게 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가설장치(6)의 조명장치(67)을 추가로 켜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작업환경의 해저 조류가 강해서 작업자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천공 및 이적 작업시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또는 부착된 장치를 흔드는 등의 문제를 기립차단벽(62)에 의해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저의 주위 환경요소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천공 작업과 이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선체(100)와 이적장치(1) 사이 또는 선체(100)와 가설장치(6) 사이에 수밀 내지 완충을 위해 패킹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나 패킹을 더 구비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선체 101:연료탱크
1:이적장치
2:슬리브 21:슬리브고정부 21-1:슬리브자성체
22:공급관 23:흡입관 24:역회전방지면 25:암나사공
3:천공수단 31:승강모터 32:이송스크류 33:천공모터 34:천공모터설치대
35:드릴 36:유압라인
4:청수공급수단 41:공급호스 42:공급펌프
5:기름흡입수단 51:흡입관체 52:흡입펌프
6:가설장치 61:고정판 62:기립차단벽 63:가설장치고정부 63-1:중량자성체
63-2:무게추 64:개구부 65:작업공간 66:탁도감소수단 67:조명장치 68:카메라
7:잔량확인수단 71:투명호스 72:호스체크밸브 73:눈금선
F1:기름 F2:청수
V:밸브

Claims (4)

  1. 선체(100)에 직교되게 설치 구성되어, 일측에 청수(F2)가 공급되는 공급관(22)과 타측에 기름(F1)이 흡입되는 흡입관(23)이 형성된 슬리브(2);
    슬리브(2) 내부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슬리브(2)에서 선체(100)를 향해 돌출 시 선체(100)를 천공하는 천공수단(3);
    천공된 선체(100)의 하부에 청수(F2)를 공급하는 공급호스(41)가 공급관(22)에 내입되도록 구성되어, 연료탱크(101) 내부의 기름(F1)을 청수(F2)의 압력과 비중차로 상승시키는 청수공급수단(4);
    청수(F2)에 의해 상승하는 기름(F1)을 연통된 슬리브(2)의 하부로 흡입하여, 슬리브(2)의 흡입관(23)를 통하여 선체(100) 외부로 이적시키도록 구성된 기름흡입수단(51);
    슬리브(2)가 가운데에 고정되는 고정판(61)과, 작업자가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판(61)의 테두리가 슬리브(2)보다 높게 상향 돌출되는 기립차단벽(62)과, 기립차단벽(62)의 상부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64)로 이루어져 슬리브(2)의 주위에 안전한 작업공간(65)을 확보하도록 구성된 가설장치(6);
    가설장치(6)에 설치되어 가설장치(6) 내부로 맑은 물을 공급하여 가설장치(6) 내부의 탁도(濁度)를 낮추어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탁도감소수단(66);
    가설장치(6)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67);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천공수단(3)은
    슬리브(2)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모터(31);
    승강모터(31)에 연동되어 승강모터(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슬리브(2)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 천공모터(33);
    천공모터(33)에 축설되어 천공모터(33)의 회전력에 의해 선체(100)를 천공하는 드릴(35);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00026190A 2020-03-02 2020-03-02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KR102322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190A KR102322893B1 (ko) 2020-03-02 2020-03-02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190A KR102322893B1 (ko) 2020-03-02 2020-03-02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093A KR20210111093A (ko) 2021-09-10
KR102322893B1 true KR102322893B1 (ko) 2021-11-10

Family

ID=7777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190A KR102322893B1 (ko) 2020-03-02 2020-03-02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693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침몰 선박 유류 이적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973B1 (ko) 2004-02-25 2004-08-05 한국해양연구원 침몰선의 액체물질 원격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182B1 (ko) * 2003-07-28 2005-08-22 송유천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KR101301713B1 (ko) 2011-10-19 2013-08-30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선박용 천공기를 겸한 잔존유 제거 장치
KR20160021552A (ko) * 2014-08-18 2016-02-26 (주)코리아오션텍 침몰선박 내의 유체 제거장치
KR101845072B1 (ko) * 2016-07-07 2018-04-03 (주)코리아오션텍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KR102043977B1 (ko) 2019-05-28 2019-11-12 (주)코리아오션텍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973B1 (ko) 2004-02-25 2004-08-05 한국해양연구원 침몰선의 액체물질 원격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093A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83970A (en) Apparatus for underwater oil well drilling
EP1513723B1 (en) Subsea oil collector
US7661905B2 (en) Suction pile installation method and suction pile for use in said method
JP5870460B2 (ja) 水中の油及びガス収集システム
US9221522B2 (en) Vent cap system for a suction pile
US3703207A (en) Subsea bunker construction
US9458595B2 (en) Heavy duty vent cap system for a suction pile
KR102322893B1 (ko)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US9868492B1 (en) Tool assembly for installing a suction pile
KR20160021552A (ko) 침몰선박 내의 유체 제거장치
US9909274B2 (en) Wind turbine parts handling method and device
US3421579A (en) Underwater completion
US5114273A (en) Offshore platform pollution containment device
US3556210A (en) Deep sea well drilling structure
US8888407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sealing and/or securing a borehole
US4510985A (en) Stacked open bottom temporary guide base for offshore drilling
US3426858A (en) Drilling
CA2825930C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ing subsea well trees
US202401250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ction anchor deployment with solid lid
US10024021B2 (en) Anchoring system
JPS5823045B2 (ja) 自沈式浮魚礁
JPS5824975Y2 (ja) 採水装置
JPS6348854Y2 (ko)
JPS5824976Y2 (ja) 採水装置
CN116118958A (zh) 一种深远海大型养殖装备坐底防吸附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