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977B1 -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977B1
KR102043977B1 KR1020190062792A KR20190062792A KR102043977B1 KR 102043977 B1 KR102043977 B1 KR 102043977B1 KR 1020190062792 A KR1020190062792 A KR 1020190062792A KR 20190062792 A KR20190062792 A KR 20190062792A KR 102043977 B1 KR102043977 B1 KR 10204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hole
hull
sleeve tub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현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오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오션텍 filed Critical (주)코리아오션텍
Priority to KR102019006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977B1/ko
Priority to PCT/KR2020/005984 priority patent/WO2020242076A1/ko
Priority to EP20789435.3A priority patent/EP3770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06Emptying the contents of sunken, stranded, or disabled vessels, e.g. by engaging the vessel; Underwater collecting of buoyant contents, such as liquid, particulate or gaseous contents, escaping from sunken vessels, e.g. using funnels, or tents for recovery of escaping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453Drills for trepanning with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8Drills combined with tool parts or tools for performing additional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4Plain cutters, i.e. having essentially a cylindrical or tapered cutting surface of substantial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5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박이 침몰, 좌초되거나 각종 해양시설이 재난사고를 당하였을 때 현장에서 유류탱크의 선체를 천공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유체를 신속히 배출하기 위한 자존유 배출장치의 설치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슬리브관의 선단에 선체를 천공하는 커터링을 형성하고, 슬리브관의 외주면에 탄성작용으로 입출하는 탄성체결수단을 구성하여 선체를 천공함과 동시에 슬리브관을 장착이 한번에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편의성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Rresidual oil emission device in sunken ships formed by perforation cutter}
본 발명은 침몰선박의 기름탱크에 압축공기 또는 온수를 공급하여 잔존유를 배출하도록 선체를 천공함과 동시에 바로 장착할 수 있는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과 선박 간의 충돌, 재질불량, 파공 등과 같은 해상사고 발생에 의해 선박이 침몰되거나 좌초되는 경우 해양으로의 기름유출, 화학제품의 유출 등(이하 '기름유출'이라함) 대형 해양오염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서는 신속한 시간에 유류탱크의 철판을 천공하여 안전한 방법으로 유류를 배출하여 선박 이외의 장소로 옮겨주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에 선박의 해난사고 발생시 선박의 기름탱크의 일측에 구멍을 내고 펌프관을 삽입한 후, 개구된 구멍을 별도의 플랜지와 가스켓으로 막은 후 일일이 여러개의 볼트를 끼워서 밀폐작업을 수행하였던바, 이는 촌각을 다투는 비상시 펌프 설치에 따른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배출관의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기름유출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및 경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845072호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에 의하면, 선박 내부의 기름을 배출함에 있어 이중관 형태의 배출장치를 미리 제작하여 규격화한 상태로 정부(국민안전처, 해양안전경비서, 해양시설, 해양환경관리공단 등)에 상시 비치토록 하고 침몰선박이 발생하였을 시 선체에 일정크기의 천공을 한 후 본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장치를 삽입 조립하는 원터치식 배출장치로 논 리턴 후킹(Non return hooking)으로 장착 되고, 이어서 잠금너트를 수동식(또는 자동식)으로 간단히 돌려주기만 하면 유류 배출장치가 유류탱크의 외벽면에 양호한 밀폐상태로 고정이 되어 신속한 시간에 장치를 설치하여 안전하게 각종 유류나 화학제품 등 유체를 선체 밖으로 배출 처리할 수 있게 하거나 탱크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선체를 부양할 수 있도록 밸브와 연결된 외부관 내부에 밸브와 연결된 내부관을 이중으로 설치한 본체부 하부에 슬리브관을 나사부에 의해 나사결합하고, 상기 슬리브관의 측면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잠금너트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잠금너트의 하부에는 고정와셔와 가스켓을 차례로 삽입하고 슬리브관의 하단측에는 요입부를 요입형성하여 그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고 삽입방향으로 경사면을 갈고 피스톤링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선체철판의 설치구멍에 슬리브관을 삽입할 시 상기 피스톤링의 외향탄력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삽입과 걸림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본 출원인에 의한 기술로서 해양시설 및 군함 등 해양에서 운항하는 선박이 침몰시 최 단시간 안에 선체를 천공하고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는 작용 및 그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었으나 선체철판의 설치구멍에 슬리브관을 삽입함에 있어서 삽입 및 걸림작용이 용이하도록 슬리브관의 요입부에 피스톤링이 결합된 채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구멍의 직경이 피스톤링 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조상 슬리브관의 삽입작용시 피스톤링이 설치구멍의 입구에 걸림되는 문제로 인해 억지끼움하는 작업이 어렵고 많은 힘이 소요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슬리브관을 요입하기 위해 선체를 천공하는 작업이 선행된 후 장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수중 작업이 번거롭고, 특히 장착전까지 천공에서 잔존유가 유출하게 되어 수중을 오염시키게 되고 작업자에게 해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KR 10-1845072 (B1, 2018. 04. 03)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선박이 침몰, 좌초되거나 각종 해양시설이 재난사고를 당하였을 때 현장에서 선박 유류탱크에 공기를 주입하여 유체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잔존유 배출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선체를 천공함과 동시에 장착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잔존유가 천공에서 유출될 우려가 없고 설치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여 시공편의성이 향상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압축공기를 유류탱크로 주입하여 잔존유를 배출하하도록 유류탱크 선체(100)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슬리브관(10)과, 상기 슬리브관(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선체(100)를 천공(101)하는 커터링(30)과, 상기 슬리브관(10)을 천공(101)에 장착 고정시키는 탄성체결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커터링(30)에 의해 선체(100)를 천공함과 동시에 천공(101)의 내외측에서 탄성체결수단(20)으로 슬리브관(10)을 장착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리브관(10)은 천공장치(200)와 결합하도록 외주면에 나사결합부(11)가 형성된 상부본체(12)와, 상기 상부본체(12)의 하부에 연장되어 탄성체결수단(20)이 설치되도록 복수의 작동공(13) 및 상기 작동공(13)과 직교되는 핀홀(14)이 형성된 슬리브삽입부(15)와, 상기 슬리브삽입부(15)의 하부 선단에 커터링(30)이 조립되도록 슬리브삽입부(15)의 직경에서 내측방향으로 단턱지도록 내입되게 형성되는 커터조립부(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관(10)은 내측에 유체흡입밸브(2)의 흡입관(2a)이 삽입되어 관통되기 위한 중공부(17)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부(11)에 측방향에서 압축공기주입밸브(2)가 체결되는 체결공(18)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8)과 연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중공부(17)의 외측으로 분사홀(19)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7)의 상부 내주면에는 유체흡입밸브(2)가 나사조립되도록 나사조립부(17a)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8)의 내주면에 압축공기주입밸브(2)가 나사조립되기 위한 나사체결부(18a)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체결수단(20)은 복수의 작동공(13)에 힌지 결합되어 탄성 입출작동하는 복수의 걸림작동편(21)과, 상기 걸림작동편(21)과 작동공(13)의 사이로 개재되어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22)와, 상기 걸림작동편(21)이 천공(101) 선체(100) 내측에서 걸림되면 선체(100) 외측에서 잠금하여 고정시키도록 상부본체(12)의 나사결합부(11)에 조립되는 잠금너트(23)와 패킹(2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작동편(21)은 작동공(13)의 핀홀(14)에 핀으로 체결하여 힌지 작동하도록 하부에 힌지공(21a)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작동공(13)의 상부에 걸림되어 가변 작동을 제한하면서 작동공(13)에서 빠짐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걸이구(21b)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 타측에 천공(101) 단부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면(21c)이 형성되고, 타측 중간부위에 탄성스프링(22)이 내입되어 탄지하는 탄성지지홈(21d)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터링(30)은 슬리브관(10)의 커터조립부(16)에 결합하도록 상부 내주면에 나사연결부(31)가 형성되고, 하단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커터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커터홈(31) 하부 선단에 복수의 커터날(33)이 하향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에 의하면, 선체의 천공에 장착 고정작업을 위해 슬리브관으로 선단에 커터링이 구성되고, 외주면으로 탄성작용에 의해 입출되는 걸림작동편을 구성함에 따라 천공작업과 장착 및 고정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져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천공시 커터링으로 절개판이 밀폐된 구조에서 후속 밸브 설치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아주 편리한 작업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1)는 유체흡입밸브(2)와 압축공기주입밸브(3)가 장착되며 유류탱크 선체(100)를 천공하여 관통시키도록 구비되는 슬리브관(10)과, 상기 슬리브관(10)으로 형성되며 선체(100)의 천공(101)에 슬리브관(10)을 장착 및 고정시키는 탄성체결수단(20)과, 상기 슬리브관(10)의 하부 선단에 선체(100)를 천공(101)하도록 결합되는 커터링(30)을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관(10)은 천공장치(200)와 결합하도록 외주면에 나사결합부(11)가 형성된 상부본체(12)가 형성되고, 상부본체(12)에 하향 연장되며 탄성체결수단이 설치되도록 복수의 작동공(13) 및 상기 작동공(13)과 직교되는 핀홀(14)이 형성되는 슬리브삽입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삽입부(15)의 하부 선단에 커터링(30)이 조립되도록 슬리브삽입부(15)의 직경에서 내측방향으로 내입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되는 커터조립부(1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관(10)은 내측에 유체흡입밸브(2)의 흡입관(2a)이 삽입되어 관통되기 위한 중공부(17)가 형성되고, 나사결합부(11)에 측방향에서 압축공기주입밸브(2)가 체결되는 체결공(18)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8)과 연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중공부(17)의 외측으로 분사홀(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17)의 상부 내주면에는 유체흡입밸브(2)가 나사조립되도록 나사조립부(17a)가 형성되고, 체결공(18)의 내주면에 압축공기주입밸브(2)가 나사조립되기 위한 나사체결부(18a)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결수단(20)은 슬리브관(10)의 슬리브삽입부(15)를 선체(100)의 천공(101)으로 진입시킨 후 슬리브관(10)을 천공(101)으로 고정시키도록 복수의 작동공(13)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작동편(21)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작동편(21)의 탄지작동 위해 걸림작동편(21)과 작동공(13)의 사이로 개재되어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22)이 형성되며, 성기 걸림작동편(21)에 의해 슬리브삽입부(10)가 천공(101) 내측에서 걸림되면 선체(100) 외측에서 잠금하여 고정시키도록 상부본체(12)의 나사결합부(11)에 결합되는 잠금너트(23)와 패킹(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작동편(21)은 작동공(13)의 핀홀(14)에 핀으로 체결하여 힌지 작동하도록 하부에 힌지공(21a)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작동공(13)의 상부에 걸림되어 가변 작동을 제한하면서 작동공(13)에서 빠짐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걸이구(21b)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 타측으로 천공(101) 단부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면(21c)이 형성되고, 타측 중간부위에 탄성스프링(22)이 내입된 구조로 탄지하도록 탄성지지홈(21d)이 형성된다.
한편, 슬리브삽입부(15)의 작동공(13)의 상측에는 걸림작동편(21)의 걸이구(21d)가 걸림되어 작동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테(13a)가 하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링(30)은 선체(100)에 천공(101)을 형성함과 동시에 슬리브관(10)의 슬리브삽입부(15)를 바로 삽입한 후 장착하는 동작이 연이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슬리브관(10)의 하부 선단에 일체로 결합하게 형성되며, 슬리브관(10)의 커터조립부(16)에 결합하도록 상부 내주면에 나사연결부(31)가 형성되고, 하단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커터홈(32)이 형성되고 커터홈(32) 하부 선단에 복수의 커터날(33)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커터링(30)을 슬리브관(10)의 하단에 일체 결합한 후, 슬리브관(10)을 나사결합부(11)를 천공장치(200)와 연결하게 되면 슬리브관(10)이 회동하면서 커터링(30)이 유류탱크의 선체(100)를 천공(101)한 후 슬리브삽입부(15)를 삽입하여 탄성체결수단(20)에 의해 슬리브관(10)을 장착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유체흡입밸브(2)와 압축공기주입밸브(3)는 유량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역지밸브(4)가 포함되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천공커터가 형성된 잔존유 배출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사고로 침몰된 선박의 유류탱크 선체 부위를 천공(101)과 동시에 슬리브관(10)을 바로 삽입하여 장착하도록 슬리브관(10)의 선단부에 커터링(30)이 일체 결합된 구조이며, 천공장치(200)에 슬리브관(10)의 상부를 일체로 체결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천공장치(200)의 회동샤프트(201)와 슬리브관(50)의 나사결합부(11)를 나사 조립함으로써 연결 장착은 간단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슬리브관(10)의 하부측 슬리브삽입부(15)는 외주면 방사상으로 내외방향으로 걸림작동편(21)이 입출 작동하는 탄성체결수단(20)이 조립되고, 슬리브삽입부(15)의 하부측 커터조립부(16)에는 커터링(30)이 일체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천공장치(200)에 슬리브관(10)을 결합된 상태로 유류탱크의 선체(100)에 천공장치(200)를 고정시킨 후 작동시키게 되면 슬리브관(10)이 회동하면서 커터링(30)이 선체(100)를 천공(101)하게 된다.
상기 커터링(30)에 의한 천공(101)이 이루어지고 나면 슬리브관(10)을 천공(101) 내측으로 진입되도록 삽입하게 되며, 이때 슬리브삽입부(15)가 천공(101)으로 삽입되면서 탄성체결수단(20)의 걸림작동편(21)이 천공(101)을 통과함과 동시에 천공(101) 내측에서 걸림되게 되며, 잠금너트(23)를 걸림작동편(21)의 반대측 외부 선체(100)에서 체결함으로써 슬리브관(10)을 견고한 고정상태로 장착이 완료된다.
여기서 걸림작동편(21)은 하측이 핀홀(14)에 힌지 결합된 구조에서 상측이 탄성스프링(22)에 의해 하향 테이퍼지는 경사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천공(101)을 내입시 걸림작동편(21)이 천공(101)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압되면서 슬리브삽입부(15)의 작동공(13)으로 인입되고, 천공(101)을 통과한 후 걸림작동편(21)이 탄성스프링(22)의 탄성작용에 의해 인출되면서 걸림면(21c)이 천공(101)의 내측면으로 걸림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터링(30)에 의한 천공(101)시 선체(100)의 절개판(102)이 천공(101)의 내측으로 내입되면서 밀폐된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유체가 슬리브관(10)을 선체(100)에 천공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관(10)의 장착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천공장치(200)는 해체하게 되며, 유체흡입밸브(2)와 압축공기주입밸브(3)로 간단히 조립하게 되며, 이때 커터링(30)의 내측으로 천공(101)되면서 절개된 절개판(102)이 내입되어진 밀폐된 상태에서 유체흡입밸브(2)를 장착시 흡입관(2a)이 삽입되면서 절개판(102)을 밀어서 제거해줌과 동시에 유체흡입밸브(2)를 상부본체(12) 중공부(17)의 나사조립부(17a)에 나사 조립함으로써 유체가 유출됨이 없이 설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선체(100)의 천공(101)으로 천공과 동시에 슬리브관(10)의 장착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제1,2제어밸브(20,30)의 제어함에 따라 본체(10)의 외부관(12)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여 유류탱크 내부에 유체가 강제적으로 상부에서 밀어내리는 고압공기의 압력을 받게되면서 잔존유가 흡입관(11)을 통해 외부에 별도 구비되는 회수탱크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잔존유 배출장치
10:슬리브관 11:나사결합부 12:상부본체 13:작동공
13a:걸림테 14:핀홀 15:슬리브삽입부 16:커터조립부
17:중공부 17a:나사조립부 18:체결공 18a:나사체결부
19:분사홀
20:탄성체결수단 21:걸림작동편 21a:힌지공 21b:걸이구
21c:걸림면 21d:탄성지지홈
22:탄성스프링 23:잠금너트 24:패킹
30:커터링 31:나사연결부 32:커터홈 33:커터날
2:유체흡입밸브 2a:흡입관 3:압축공기주입밸브
4:역지밸브
100:선체 101:천공 102:절개판
200:천공장치

Claims (6)

  1. 압축공기를 유류탱크로 주입하여 잔존유를 배출하도록 유류탱크 선체(100)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슬리브관(10)과, 상기 슬리브관(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선체(100)를 천공(101)하는 커터링(30)과, 상기 슬리브관(10)을 천공(101)에 장착 고정시키는 탄성체결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관(10)은 천공장치(200)와 결합하도록 외주면에 나사결합부(11)가 형성된 상부본체(12)와, 상기 상부본체(12)의 하부에 연장되어 탄성체결수단(20)이 설치되도록 복수의 작동공(13) 및 상기 작동공(13)과 직교되는 핀홀(14)이 형성된 슬리브삽입부(15)와, 상기 슬리브삽입부(15)의 하부 선단에 커터링(30)이 조립되도록 슬리브삽입부(15)의 직경에서 내측방향으로 단턱지도록 내입되게 형성되는 커터조립부(16)로 구성되며,
    상기 커터링(30)에 의해 선체(100)를 천공과 동시에 천공(101)의 내외측에서 탄성체결수단(20)으로 슬리브관(10)을 장착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관(10)은 내측에 유체흡입밸브(2)의 흡입관(2a)이 삽입되어 관통되기 위한 중공부(17)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부(11)에 측방향에서 압축공기주입밸브(2)가 체결되는 체결공(18)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8)과 연통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중공부(17)의 외측으로 분사홀(19)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7)의 상부 내주면에는 유체흡입밸브(2)가 나사조립되도록 나사조립부(17a)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8)의 내주면에 압축공기주입밸브(2)가 나사조립되기 위한 나사체결부(18a)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체결수단(20)은 복수의 작동공(13)에 힌지 결합되어 탄성 입출작동하는 복수의 걸림작동편(21)과,
    상기 걸림작동편(21)과 작동공(13)의 사이로 개재되어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22)와,
    상기 걸림작동편(21)이 천공(101) 선체(100) 내측에서 걸림되면 선체(100) 외측에서 잠금하여 고정시키도록 상부본체(12)의 나사결합부(11)에 조립되는 잠금너트(23)와 패킹(2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작동편(21)은 작동공(13)의 핀홀(14)에 핀으로 체결하여 힌지 작동하도록 하부에 힌지공(21a)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작동공(13)의 상부에 걸림되어 가변 작동을 제한하면서 작동공(13)에서 빠짐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걸이구(21b)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 타측에 천공(101) 단부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면(21c)이 형성되고,
    타측 중간부위에 탄성스프링(22)이 내입되어 탄지하는 탄성지지홈(21d)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터링(30)은 슬리브관(10)의 커터조립부(16)에 결합하도록 상부 내주면에 나사연결부(31)가 형성되고,
    하단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커터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커터홈(32) 하부 선단에 복수의 커터날(33)이 하향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KR1020190062792A 2019-05-28 2019-05-28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KR10204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92A KR102043977B1 (ko) 2019-05-28 2019-05-28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PCT/KR2020/005984 WO2020242076A1 (ko) 2019-05-28 2020-05-07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EP20789435.3A EP3770057B1 (en) 2019-05-28 2020-05-07 Apparatus for discharging residual oil of sunken ship having perforated cutter form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92A KR102043977B1 (ko) 2019-05-28 2019-05-28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466A Division KR102156419B1 (ko) 2019-10-11 2019-10-11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977B1 true KR102043977B1 (ko) 2019-11-12

Family

ID=6857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792A KR102043977B1 (ko) 2019-05-28 2019-05-28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770057B1 (ko)
KR (1) KR102043977B1 (ko)
WO (1) WO202024207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076A1 (ko) *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KR20210111093A (ko)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KR102556618B1 (ko) 2022-11-29 2023-07-20 주식회사 해양기술이앤지 침몰선 잔존유 회수용 천공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980A (ko) * 2016-07-07 2018-01-17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4110A (en) * 1977-06-15 1981-08-18 Frances K. Divelbiss Apparatus for transfer of fluent materials from one container to another
ATE490166T1 (de) * 2004-02-26 2010-12-15 Saipem S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basiskonstruktion auf einer wandfläche am meeresgrund
KR101301713B1 (ko) * 2011-10-19 2013-08-30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선박용 천공기를 겸한 잔존유 제거 장치
NO335267B1 (no) * 2012-10-05 2014-10-27 Miko Marine As Penetrerings- og fluidoverføringsanordning
KR101669588B1 (ko) * 2015-01-14 2016-10-27 (주)코리아오션텍 수중 천공장치, 이를 운용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침몰선박의 잔존유 제거장치
KR102043977B1 (ko) * 2019-05-28 2019-11-12 (주)코리아오션텍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980A (ko) * 2016-07-07 2018-01-17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KR101845072B1 (ko) 2016-07-07 2018-04-03 (주)코리아오션텍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076A1 (ko) *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KR20210111093A (ko)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침몰선의 유류 이적장치
KR102556618B1 (ko) 2022-11-29 2023-07-20 주식회사 해양기술이앤지 침몰선 잔존유 회수용 천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0057A1 (en) 2021-01-27
WO2020242076A1 (ko) 2020-12-03
EP3770057B1 (en) 2023-06-07
EP3770057A4 (en) 2021-08-18
EP3770057C0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977B1 (ko)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KR101301713B1 (ko) 선박용 천공기를 겸한 잔존유 제거 장치
KR102156419B1 (ko) 천공커터가 형성된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장치
RU2335620C2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для подачи химического реагента, встроенный в извлекаемый скважинный клапан-отсекатель
CA2294010C (en) Casing annulus remediation system
KR101845072B1 (ko)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NO342274B1 (no) Ventiltrehette for et undervanns ventiltre samt en fremgangsmåte for installering av en ventiltrehette
NO312312B1 (no) Anordning ved brönnpumpe
WO2017078655A1 (en) Emergency salvage of a blown out oceanic oil well
NO325323B1 (no) Bronnhodesammenstilling for a injisere et fluid
US20120306198A1 (en) Mechanical-hydraulic subjection sectioned coupler, to seal wells for oil or gas
US5931444A (en) Internal tank car valve with safety lock
NO20140332A1 (no) Kuttesammenstilling og fremgangsmåte for kutting av kveilerør
EP2288471B1 (en) Method of creating an underwater cutting zone, and related plugging devices and methods
WO2015199547A1 (en) Drilling fluid sheargun
KR100748173B1 (ko) 가스배관 연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WO2008115167A1 (en) Retievable oil and/or gas well blowout preventer
US9856716B2 (en) Pressure release assembly for casing of drilling rig
KR101384120B1 (ko)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미관 시일 장치
KR101724088B1 (ko) 천공기의 파일럿 드릴 이탈방지장치
KR20240081282A (ko) 침몰선 잔존유 회수용 천공기
US20150090462A1 (en) Fluid vent assembly and method of venting fluid
KR200305706Y1 (ko) 시멘트몰타르 유출방지를 위한 락볼트 고정마개장치
CN108756813B (zh) 一种井下安全阀打开工具
KR102556618B1 (ko) 침몰선 잔존유 회수용 천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