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380A -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380A
KR20100051380A KR1020080110529A KR20080110529A KR20100051380A KR 20100051380 A KR20100051380 A KR 20100051380A KR 1020080110529 A KR1020080110529 A KR 1020080110529A KR 20080110529 A KR20080110529 A KR 20080110529A KR 20100051380 A KR20100051380 A KR 2010005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hicle
tail
bumper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550B1 (ko
Inventor
이정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5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차량의 배기가스가 범퍼커버(B)에 매설된 하우징(20)을 진동시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20)과 테일파이프(P) 사이에 연결부재(30)를 설치하고 이러한 연결부재(30)를 백빔(50)에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고정한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차량, 범퍼, 내장, 테일트림, 연결부재

Description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A INSERT TYPE TAIL-TRIM ASSEMBLY FOR BUM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파이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의한 진동이 흡수될 수 있도록 범퍼커버에 내장된 테일트림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하우징과 테일파이프 사이에 연결부재를 추가하고, 이러한 연결부재를 백빔에 고정한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들어 범퍼커버에 장착되는 테일트림이 디자인적인 수려함 때문에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테일트림은 차량의 외관 향상을 위해 디자인적인 요소는 물론, 내식성 및 배기가스의 열기에 의한 손상 방지를 위해 내열성을 갖추어야 하는 바, SUS재질이 적용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범퍼커버(B)의 하단부에는 차량의 엔진 연소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을 위해 테일파이프(P)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배기가스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테일파이프(P)와 하우징(20)은 어느 정도의 오버랩되어 있었고, 주행 중 테일파이프(P)가 상하좌우로 진동시 하우 징(20)에 접촉되어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어느 정도 갭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테일파이프(P)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하우징(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러한 하우징(20)의 일단부에는 테일트림(10)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차량의 외관 향상은 물로 배기가스의 배출구 역할도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는 테일파이프(P)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먼저 하우징(20)의 내측벽을 진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은 강성이 크지 않은 범퍼커버(B)를 통해 차체에 전달되어 결국 실내 뒷좌석의 소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범퍼커버 하단부 내지 사이드부에 별도의 브라켓을 적용하기도 했으나, 이는 부재 및 체결 개소의 증가로 중량 및 원가, 그리고 부품수의 상승을 가져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테일파이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에 의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하우징과 테일파이프 사이에 설치하고, 연결부재를 강성이 뛰어난 백빔에 고정하여 배기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차체 진동 및 소음 문제를 개선한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는 차량의 범퍼커버에 내장된 개구부에 장착되어 테일파이프에서 배설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단부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테일트림; 테일파이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먼저 접하고 이러한 배기가스를 하우징으로 유도하기 위해 테일파이프와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배기가스의 유로가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를 강성 재질인 차량의 백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결부재와 상기 하우징은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배기가스에 의한 차체 진동 및 소음 발생이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커버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장착되는 하우징(20)에는 차량의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외관 형성을 위해 테일트림(10)이 결합되고,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연결부재(30)가 위치한다. 연결부재(30)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차량의 백빔(50)에 고정부재(40)를 매개로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커버(B)의 하단부에는 테일파이프(P)가 내장되는데, 이러한 테일파이프(P)에서 차량의 엔진 연소에 의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테일파이프(P)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30)는 배기가스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테일파이프(P)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일파이프(P)와 오버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30)는 테일파이프(P)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의 분사각도를 고려하여 일정한 길이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부재(30)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하우징(20)을 통과하고, 배기가스 배출구 역할을 하는 테일트림(10)을 통하여 차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연결부재(30)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차량의 내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재(30)는 하우징(20)과 오버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부재(30)는 강성이 우수한 백빔(50)에 고정부재(40)로 용접 또는 볼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배기가스는 먼저 연결부 재(3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고, 이러한 배기가스에 의한 진동은 하우징(20)에 전달되기 전에 고정부재(40)를 통하여 백빔(50)에 흡수된다. 따라서, 진동에 의한 차체의 소음 문제가 개선된다. 이러한 고정부재(40)는 별도의 브라켓 형태일 수 있고, 백빔(50)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는 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부재(30)를 하우징(20)과 일정한 간격(W) 이격시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0)를 하우징(20)과 이격시키는 경우, 배기가스에 의해서 발생된 진동은 하우징(20)으로 전달되지 않고, 고정부재(40)를 통해 백빔(50)으로만 전달되므로 진동 및 진도에 따른 소음 문제가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의 연결부재(30)는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오버랩되게 설치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0)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의 A-A 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테일트림 20: 하우징
30: 연결부재 40: 고정부재
50: 백빔 B: 범퍼커버
P: 테일파이프

Claims (3)

  1. 차량의 범퍼커버(B)에 내장된 개구부에 장착되어 테일파이프(P)에서 배설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 일단부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테일트림(10);
    테일파이프(P)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먼저 접하고 이러한 배기가스를 하우징(20)으로 유도하기 위해 테일파이프(P)와 상기 하우징(20)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배기가스의 유로가 형성된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를 강성 재질인 차량의 백빔(5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삽입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0)의 타단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삽입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하우징(20)은 일정한 간격(W)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삽입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KR1020080110529A 2008-11-07 2008-11-07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KR101020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529A KR101020550B1 (ko) 2008-11-07 2008-11-07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529A KR101020550B1 (ko) 2008-11-07 2008-11-07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380A true KR20100051380A (ko) 2010-05-17
KR101020550B1 KR101020550B1 (ko) 2011-03-09

Family

ID=4227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529A KR101020550B1 (ko) 2008-11-07 2008-11-07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5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8648B2 (en) 2013-04-18 2016-05-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ective shield to reduce exhaust soot and condensate deposition
US9346350B2 (en) 2013-04-18 2016-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ush and sub-flush protective shields to reduce exhaust soot and condensate deposition
US9536040B2 (en) 2013-04-18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designing an exhaust assembly for a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20200100510A (el) * 2020-08-24 2022-03-09 Αλεξανδρος Πχακαντζε Κυκλικο συστημα εξατμισης-διαχυτ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441Y1 (ko) * 1996-10-04 1999-03-20 정몽규 자동차의 머플러용 테일트림부 장착구조
KR100461076B1 (ko) 2001-08-30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트림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8648B2 (en) 2013-04-18 2016-05-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ective shield to reduce exhaust soot and condensate deposition
US9346350B2 (en) 2013-04-18 2016-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ush and sub-flush protective shields to reduce exhaust soot and condensate deposition
US9536040B2 (en) 2013-04-18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designing an exhaust assembly for a vehicle
US9670821B2 (en) 2013-04-18 2017-06-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ective shields to reduce exhaust soot and condensate de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550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478B1 (ko) 차량용 리어범퍼 어셈블리 및 테일트림 커버
KR101209732B1 (ko) 차량 배기 파이프용 테일 트림 어셈블리
EP1582713B1 (en) Vehicle exhaust system support structure
JP5131037B2 (ja) 外気導入ダクト及びその取付構造
KR101020550B1 (ko) 차량의 범퍼 내장형 테일트림 어셈블리
JP5569175B2 (ja) 車両のエンジンカバー構造
JP6757944B2 (ja) エンジンの排気消音装置
CN110953039B (zh) 车辆用消声器
US7617909B2 (en) Muffler
JP4546880B2 (ja) 水保持用排気管
JP2009013902A (ja) 内燃機関の排気系に接続される消音器
JP2009180138A (ja) 内燃機関の排気系に接続される消音器
JP6915409B2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2007091129A (ja) バンパー一体型マフラー構造
JP2013047068A (ja) 車両後部構造
JP2010048234A (ja) 吸気ダクト
RU2746428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глушитель и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отражатель
KR101382278B1 (ko) 차량용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JP4449025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6668777B2 (ja) 車両の遮熱構造
JP5281951B2 (ja) オイルパンの保護カバー取付構造
KR102407680B1 (ko) 자동차 소음기용 드레인 튜브
JP2011102079A (ja) 車両用ディフューザ構造
JP6092639B2 (ja) 消音器
JP2007090914A (ja) バンパー一体型マフラ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