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116A -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와 이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와 이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116A
KR20100051116A KR1020107007131A KR20107007131A KR20100051116A KR 20100051116 A KR20100051116 A KR 20100051116A KR 1020107007131 A KR1020107007131 A KR 1020107007131A KR 20107007131 A KR20107007131 A KR 20107007131A KR 20100051116 A KR20100051116 A KR 2010005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rrier
fixing
fasten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807B1 (ko
Inventor
스펜 빈케르트
우베 모트쉬
Original Assignee
아. 레이몽 에 씨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2104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5111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 레이몽 에 씨에 filed Critical 아. 레이몽 에 씨에
Publication of KR2010005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6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with an additional lock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further molded-in or embedded component, e.g. a ring with snap-in teeth molded i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4Details of locking-pins or split-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0Trim molding fastener
    • Y10T24/304Resilient metal type
    • Y10T24/307Sheet metal form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캐리어 부품(43)과 부착 부품(3)을 연결하기 위해 브래킷 부품(1)과 고정 부품(2)이 제공된다. 고정 부품(2)은 브래킷 부품(1)에 비해 변위될 수 있다. 브래킷 부품(1)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캐리어 부품(43)의 가장자리 영역으로서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에 인접하는 그런 가장자리 영역을 수용하는 캐리어 부품 수용부(20, 21)를 포함한다. 최종 장착 배치 구조에서는, 고정 부품(2)이 삽입되되, 고정 핀(33)은, 다시 노출되는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 내로 밀어 넣어지면서 브래킷 부품(1)을 고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단지 브래킷 부품(1) 및 고정 부품(2)의 변위로만 실행될 수 있으면서 간단하게 제어되는 장착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와 이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DEVICE FOR FASTENING A CONNECTOR PIECE TO A CARRIER PIECE AND FASTENING ARRANGEMENT HAVING SUCH A DEVICE}
본 발명은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정 장치들은 예컨대 볼트와 상호 작용하면서 캐리어 부품 내에서 고정되는 케이지 너트(cage nut)의 형태로, 또는 부착 부품을 통과하여 안내되고 캐리어 부품과 걸림 고정되는 이른바 클립의 형태로 공지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어셈블리는 각각의 구현예에 따라 연결 과정 중에 수작업으로 실시하기가 비교적 매우 복잡하고, 그리고/또는 통상적인 요건에 비해 비교적 낮은 인출력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착 과정의 정확한 실시를 제어하기가 항상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및 이런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에 있어서, 비교적 높은 인출력을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실행되고 정확한 실행으로 간단하게 제어되는 장착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정 장치 및 고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뿐 아니라, 상기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와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제9항의 특징들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경우, 브래킷 부품이 캐리어 부품 내에 형성되는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의 가장 자리 영역에 삽입됨으로써, 브래킷 부품과 캐리어 부품 사이에 매우 높은 인출력을 제공하는 매우 긴밀한 형상 잠금이 달성된다. 캐리어 부품을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배치 구조에서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에 브래킷 부품과 반대로 변위 가능한 고정 부품에 형성되는 고정 핀을 배치함으로써 형상 잠금부으로부터 브래킷 부품이 의도와 달리 변위되는 점이 차단되며, 더욱이 고정 부품의 삽입된 배치 구조에서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고 고정 부품이 브래킷 부품을 고정하는 배치 구조를 바탕으로, 장착 과정의 적합한 실행을 매우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어셈블리의 경우 부착 부품과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특히 조립에 친화적인 사전 제조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추가 구현예 및 장점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적합한 추가 구현예 및 장점들은 도면과 관련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교시된다.
도 1은 부착 부품과; 상승된 사전 장착 위치에서 부착 부품에 연결되는 브래킷 부품과 고정 부품을 포함하는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브래킷 부품에 형성되는 블록킹 설부(blocking tongue)와 맞물리는 고정 부품의 블록킹 암(blocking arm)을 바라보면서, 사전 장착 위치에 위치하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정 부품의 스프링 암(spring arm)뿐 아니라, 브래킷 부품에 형성된 스프링 다리부(spring leg)를 바라보면서,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실시예를 일부분 절단된 단면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를 구비하여 형성된 캐리어 부품으로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브래킷 부품이 삽입되는 상기 캐리어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캐리어 부품에 삽입된 배치 구조로 브래킷 부품과 함께 도 4에 따른 배치 구조를 일부분 절단된 단면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삽입된 최종 장착 위치에 위치한 고정 부품과 함께 도 4 및 도 5에 따른 배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박판 스트립으로 제조되는 천공-굽힘 가공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브래킷 부품(1)과 경질 탄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고정 부품(2)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따른 고정 어셈블리의 경우, 부착 부품으로서 에어백 수용 부품(3)이 제공되되, 이 에어백 수용 부품에 제공되는 평평한 덮개 구간(4)과 이 덮개 구간에 대해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평한 바닥 구간(5)은 브래킷 부품(1)과 고정 부품(2) 사이에 배치된다. 덮개 구간(4)과 바닥 구간(5) 사이에서 에어백 수용 부품(3)은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된 수용 구간(6)을 포함한다. 또한, 수용 구간(6)은 덮개 구간(4)으로 향해 있는 자체 측면(2)에서 가장자리 측면에 배치되는 결합 웨브(7, 8)(binding web)를 포함하고, 이 결합 웨브는 덮개 구간(4)과 연결된다. 또한, 도 1로부터는, 에어백 수용 부품(3)이 내인열성이 매우 높은 유연한 직물로 형성된 에어백(9)을 둘러싸며, 이 에어백에 제공되는 말단 구간들은 덮개 구간(4)과 바닥 구간(5)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에어백 수용 부품(3)에는 잠금 장치로서 걸쇠 잠금 돌기(10, 11)(shackle locking lug)가 형성되어 있다. 걸쇠 잠금 돌기들은 덮개 구간(4)에 형성된 제1 브래킷 수용 리세스부(12)의 양측에 배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어셈블리에 대해 도 1에 도시한 사전 장착 위치에서는 브래킷 부품(1)에 형성되어 측면으로 외부 방향을 향해 돌출된 측면 걸쇠부(13, 14)를 후방에서 고정하며, 그에 반해 브래킷 부품(1)은 또한 바닥 구간(5)에 형성된 제2 브래킷 수용 리세스부(15)와 교차하며, 이때 경우에 따라 덮개 구간(4)과 바닥 구간(5)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백(9) 구간들 내에 제공되는 관통 리세스부들을 통과한다.
도 2는 브래킷 부품(1) 및 고정 부품(2)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로부터는, 브래킷 부품(1)이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는 제1 측벽부(16) 및 제2 측벽부(17)뿐 아니라, 이 측벽부들이 각각 직각으로 배향되어 상호 간에 연결되는 후벽부(18)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측면 플랩부(13, 14)(side flap)는 각각 브래킷 부품(1)의 두부 영역(19)(head range)에서 측벽부(16, 17)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측면 플랩부(13, 1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의 측벽부(16, 17)에는 캐리어 부품 수용부의 수용 슬릿부(20, 21)가 제공되되, 이 수용 슬릿부는 후벽부(18)로부터 이격되어 이 후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후벽부(18)의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자신의 개구측에서는 깔때기 형태로 확대되어 있다.
해당하는 수용 슬릿부(20, 21)의 측면 중 각각의 측면 플랩부(13, 14)의 맞은편 측면에서, 각각의 측벽부(16, 17)는 맞은편 측벽부(16, 17)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 구간(22, 23)을 포함하고, 이 선단 구간에는 각각 스프링 다리부(24, 2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스프링 다리부들은 후벽부(18)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 구간(22, 23)으로부터 후벽부(18)의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면으로는 측면 플랩부(13, 14)에 대해 각을 이루는 방식으로 배향된다. 그에 따라 스프링 다리부(24, 25)의 자유 단부들은 브래킷 부품(1)의 길이 방향으로 수용 슬릿부(20, 21)와 측면 플랩부(13, 14)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스프링 다리부(24, 25)는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선단 구간(22, 23)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의 자유 단부에서 기저부 영역(28)(foot range) 방향으로 만곡된다.
각각의 측벽부(16, 17)는 천공 따내기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블록킹 설부(26, 27)를 포함하되, 이 블록킹 설부들은 해당하는 수용 슬릿부의 측면으로서 해당하는 측면 플랩부(13, 14)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기 측면에 형성되는 두부 영역(19)과, 브래킷 부품(1)의 기저부 영역으로서 두부 영역(19)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기 기저부 영역(28) 사이에 배치된다. 블록킹 설부(26, 27)는 자신들이 형성되어 있는 측벽부(16, 17)로부터 맞은편 측벽부(16, 17)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측벽부(16, 17) 각각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다.
또한, 도 1에 따른 도해로부터, 각각의 측벽부(16, 17)는 기저부 영역(18)에서 두부 영역(1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늘어질 뿐 아니라 안쪽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삽입 설부(29, 30)(insertion tongue)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브래킷 부품(1)은 지지 플랩부(31)를 포함한다. 지지 플랩부(31)는 두부 영역(19)에서 후벽부(18)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후벽부(18)로부터 멀어지면서 직각으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된다.
고정 부품(2)은 평평한 덮개판(32)을 구비하여 형성되되, 이 덮개판의 측면으로서 브래킷 부품(1)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기 측면에는 중공 원통형 고정 핀(3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고정 핀(33)은 도 2에 따른 사전 장착 배치 구조에서 지지 플랩부(31)에 안착되되, 이 지지 플랩부의 자유 단부는 고정 핀(33)의 외부 윤곽의 형상에 부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판(32)에는, 마찬가지로 브래킷 부품(1)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벽부(16, 17) 사이에서는 각각의 측벽부(16, 17)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1 블록킹 암(34) 및 제2 블록킹 암(35)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탄성을 보유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블록킹 암(34, 35)은 덮개판(32)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 자유 단부에 블록킹 설부 홈부(36, 37)(blocking tongue groove)를 포함하며, 이 블록킹 설부 홈부 내에는 도 2에 따라 고정 부품이 상승된 사전 장착 위치에서 각각의 블록킹 암(34, 35)에 가장 가까이 인접하는 블록킹 설부(26, 27)가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고정 부품(2)은 브래킷 부품(1)의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게끔 차단된다. 또한, 도 2로부터는, 각각의 블록킹 설부 홈부(36, 37)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의 각각의 블록킹 암(34, 35)의 결합 영역에서 덮개판(32)에는 각각 잠금 해제 리세스부(38, 39)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되, 이 잠금 해제 리세스부는 블록킹 암(34, 35)에 작용하기 위한 공구의 삽입을 허용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실시예를 도 2에 따른 사전 장착 위치에서 일부분 절단된 단면과 함께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따른 도해로부터 지지 플랩부(31)가 측면 플랩부(13, 14)의 평면에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으로부터는, 각각의 블록킹 암(34, 35)이 덮개판(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 해제 경사부(40)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잠금 해제 경사부는 해당하는 잠금 해제 리세스부(38, 39)의 가장자리 측면에서부터, 해당하는 잠금 해제 리세스부(38, 39)의 연장부에서, 해당하는 잠금 해제 리스세부(38, 39)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으로 연장되며, 그럼으로써 덮개판(32)에 대해 직각으로 잠금 해제 리세스부(38, 39) 내에 삽입되는 공구가 강제적으로 잠금 해제 경사부(40)와 접촉하게 되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잠금 해제 경사부(40)의 단부로서 덮개판(32)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기 단부에서 각각의 블록킹 암(34, 35)은 당해 블록킹 암(34, 3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고정단(41)을 포함하되, 이 후방 고정단은 블록킹 설부의 홈부(36, 37)의 전방에 제공된다.
또한, 도 3으로부터, 고정 부품(1)은 블록킹 암(34, 35) 사이에 배치되고 덮개판(32)으로부터 직각으로 배향되면서 그 덮개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핀(42)을 구비하되, 이 중간 핀은 안내를 목적으로 브래킷 부품(1)의 후벽부(18)에 안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어셈블리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되, 이 도 4에 따른 배치 구조의 경우, 상기 고정 장치는, 본원에서는 자동차의 평평한 차체 박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캐리어 부품(43)에 제공되는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 내에 삽입된다.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는 비교적 극미한 초과 치수를 구비하여 브래킷 부품(1)의 외연부 형상에 부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로부터는, 수용 슬릿부(20, 21)와 에어백 수용 부품(3)의 바닥 구간 사이의 길이방향 이격 간격이 캐리어 부품(43)의 두께에 상응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고정 부품(2)은 도 4에 따른 배치 구조의 경우 브래킷 부품(1)에 비해 상승된 사전 장착 위치에 위치해 있다.
도 5는 도 1 및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어셈블리뿐 아니라,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장치를 일부분 절단된 단면과 함께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 5에 따른 배치 구조의 경우, 캐리어 부품(43)과 관련하여 도 4의 배치 구조에 비해 오프셋이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오프셋은, 캐리어 부품(43)의 가장자리 영역으로서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에 인접하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이 수용 슬릿부(20, 21) 내에 배치되고, 수용 슬릿부들(20, 21)을 깊이 방향으로 적합하게 치수화할 뿐 아니라, 블록킹 암(34, 35)의 배치 구조를 적합하게 치수화함으로써, 수용 슬릿부들(20, 21)의 단부 영역으로서 후벽부(18)에 인접하고 밀폐된 상기 단부 영역에서 가장자리 영역이 정지할 시에, 캐리어 부품(43)의 가장자리 영역은 블록킹 암(34, 35)에 인접하며, 이 블록킹 암(34, 35)은, 블록킹 설부(26, 27)와 블록킹 설부 홈부(36, 37) 간의 맞물림이 풀릴 때까지 브래킷 부품(1)의 후벽부(18) 방향으로 이동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로부터는, 브래킷 부품(1)이 캐리어 부품(43)에 삽입된 배치 구조와 관련하여 고정 부품(2)의 고정 핀(33)이 삽입 이후 다시 개방된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의 연장부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로부터는, 각각의 다리부(24, 25)가 캐리어 부품(43)의 측면으로서 브래킷 부품(1)의 기저부 영역(28)을 향해 있는 상기 측면에 안착되고,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어셈블리 내지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장치가 가해지는 인출력을 바탕으로 도 5에 따른 배치 구조에서 의도와 다르게 변위되지 않도록 다시 고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사전 장착 위치와는 다르게 삽입된 최종 장착 위치에 위치하는 고정 부품(2)과 함께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장치뿐 아니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어셈블리 및 캐리어 부품(43)의 배치 구조를 일부분 절단된 단면과 함께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최종 장착 위치는, 도 5에 따른 배치 구조로부터 출발하여, 이후 블록킹 암(34, 35)이 개방됨과 동시에 고정 부품(2)의 덮개판(32) 상에 브래킷 부품(1)의 길이 방향으로 압력 힘이 가해지며, 그에 따라 덮개판(32)이 에어백 수용 부품(3)의 덮개 구간(4)에 안착될 때까지 고정 부품(2)이 브래킷 부품(1)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달성된다. 최종 장착 위치에서 블록킹 설부(26, 27)는 블록킹 암(34, 35)의 후방 고정단(41)을 후방에서 고정하며, 그에 따라 삽입된 최종 장착 위치에서 고정 부품(2)을 고정한다.
또한, 고정 핀(33)은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를 통과하여,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의 가장자리 영역으로서 수용 슬릿부(20, 21) 내에 삽입된 가장자리 영역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안착되며, 그럼으로써 이후 도 6에 따른 배치 구조로부터 도 4 내지 도 5에 따른 배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고정 어셈블리 또는 고정 장치의 변위가 고정 부품(2)의 삽입된 최종 장착 위치에서 고정 핀(33)에 의해 차단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어셈블리가 캐리어 부품(43)에서 고정된다.
브래킷 부품(1)의 블록킹 설부(26, 27)뿐 아니라, 고정 부품(2)의 블록킹 암(34, 35)에 형성되는 후방 고정단(41) 간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고정 부품(2)의 덮개판(32)에 제공되는 잠금 해제 리세스부(38, 39)를 통해서 예컨대 두 갈래의 포크 형태의 공구나, 2개의 핀 모양 부재를 통과시킬 수 있되, 이 공구 또는 핀 모양 부재는 블록킹 암(34, 35)의 잠금 해제 경사부(40) 상에서 활주된 후에 블록킹 암(34, 35)을 브래킷 부품(1)의 후벽부(18)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후방 고정이 해제된 후에는 고정 부품(2)을 다시 상승된 사전 장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전 장착 위치에서 고정 핀(33)은 다시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로부터 인출되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어셈블리 또는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 장치는 다시 도 4에 따른 배치 구조로 변위되되, 스프링 다리부(24, 25)의 자유 단부의 단부측 휨부에 의해 본질적으로 무저항성 활주가 보장되며, 그에 따라 캐리어 부품(43)으로부터 탈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9)

  1. 캐리어 부품(43)에 부착 부품(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로서,
    상기 캐리어 부품(43)에 형성되는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에 삽입될 수 있는 브래킷 부품(1)으로서, 상기 캐리어 부품(43)의 가장자리 영역으로서 상기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에 인접하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20, 21)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품(3)에 상기 캐리어 부품(43)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상기 브래킷 부품(1)과,
    상기 브래킷 부품(1)과 연결될 뿐 아니라, 상기 브래킷 부품(1)에 비해 변위될 수 있는 고정 부품(2)으로서, 고정 핀(33)을 구비한 상기 고정 부품(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 핀(33)은, 상기 캐리어 부품(43)이 상기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20, 21) 내에 삽입되는 배치 구조에서, 상기 캐리어 부품 리세스부(44) 내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브래킷 부품(1)이 상기 캐리어 부품(4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부품(1)은 상호 간에 맞은편에 위치하는 2개의 측벽부(16, 17)를 포함하고, 이 측벽부들은 상기 고정 부품(2)으로 향해 있는 두부 영역(19)에서 캐리어 부품 수용부로서 각각 수용 슬릿부(20, 21)를 포함하며, 이 수용 슬릿부들은 상기 해당하는 측벽부(16, 17)의 가장자리 측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벽부(16, 17)의 단부로서 상기 두부 영역(19)에 위치하는 단부들에는 측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측벽부(16, 17)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되는 측면 플랩부(13, 1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영역(19) 내에는, 상기 측벽부(16, 17)에 대해 직각으로, 그리고 상기 수용 슬릿부(20, 21)에 대해서는 경사져서 배향되는 스프링 다리부(24, 2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부품(1)의 후벽부(18)로서 상기 측벽부(16, 17)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후벽부에는 지지 플랩부(31)가 형성되되, 이 지지 플랩부는 상기 후벽부(18)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되며, 상기 후벽부(18)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 단부로 상기 고정 핀(33) 근처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33)은 상기 고정 부품(2)의 덮개판(3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2)은 상기 덮개판(3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킹 암(34, 35)을 포함하고, 이 블록킹 암은 상기 브래킷 부품(1)에 형성되는 블록킹 설부(26, 27)와 상호 작용하면서, 상승된 사전 장착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삽입된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고정 부품(2)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2)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리세스부(38, 39)를 포함하고, 이 잠금 해제 리세스부를 통해서는 상기 해당하는 블록킹 설부(26, 27)와 상기 또는 각각의 블록킹 암(34, 35)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또는 각각의 블록킹 암(34, 35)에 작용하는 공구가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브래킷 부품(1)과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잠금 장치(10, 11)를 구비한 부착 부품(3)과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어셈블리.
KR1020107007131A 2007-11-08 2008-10-02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와 이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KR101127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3291A DE102007053291A1 (de) 2007-11-08 2007-11-08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Anbauteiles an einem Trägerteil sowie Befestigungsanordnung mit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DE102007053291.3 2007-11-08
PCT/EP2008/008354 WO2009059668A1 (de) 2007-11-08 2008-10-02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anbauteiles an einem trägerteil sowie befestigungsanordnung mit einer dertigen 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116A true KR20100051116A (ko) 2010-05-14
KR101127807B1 KR101127807B1 (ko) 2012-03-23

Family

ID=4021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131A KR101127807B1 (ko) 2007-11-08 2008-10-02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와 이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42460B2 (ko)
EP (1) EP2217815B1 (ko)
JP (1) JP5031904B2 (ko)
KR (1) KR101127807B1 (ko)
CN (1) CN101842602B (ko)
BR (1) BRPI0820189B1 (ko)
DE (1) DE102007053291A1 (ko)
ES (1) ES2496173T3 (ko)
HK (1) HK1144000A1 (ko)
WO (1) WO2009059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2511B2 (ja) * 2010-06-21 2014-10-08 株式会社ニフコ クランプ
JP5613330B2 (ja) * 2011-06-24 2014-10-2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5927021B2 (ja) * 2012-04-26 2016-05-25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US8857084B2 (en) 2013-05-20 2014-10-14 Gary Courter Mobile advertising displays
DE102013008467B4 (de) * 2013-05-21 2017-03-23 Trw Automotiv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gefalteten Gassack
DE102014101119A1 (de) * 2014-01-30 2015-07-30 Illinois Tool Works Inc. Befestigungsclip
DE102015213143A1 (de) * 2015-07-14 2017-01-19 Volkswagen Ag Befestigungs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Anbauteils
CN107089213B (zh) * 2017-03-21 2019-03-08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乘员侧安全气囊固定结构
CN110663150B (zh) 2017-06-09 2021-04-16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安装缆线的吊架的支撑件
US10927977B2 (en) * 2018-08-28 2021-02-23 Ofs Fitel, Llc Concealed safety fasteners for communication lines
US11271378B2 (en) * 2018-12-28 2022-03-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holding cables
US11268635B2 (en) 2018-12-28 2022-03-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holding cables
US10668878B1 (en) * 2019-02-08 2020-06-02 Franklin Fastener Company Wrap bracket with attached push-on nu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123Y2 (ko) * 1987-12-02 1992-07-15
US5507610A (en) 1994-07-27 1996-04-16 Emhart Inc. Refusable fastener including a pin and grommet
JP2001063364A (ja) 1999-08-31 2001-03-13 Neoex Lab Inc 止め具
JP3961406B2 (ja) * 2002-11-19 2007-08-22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固着具
DE10349449B3 (de) * 2003-10-23 2005-06-30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Befestigungselement zur Verbindung eines Bauteils mit einem Trägerbauteil
ES2246118B1 (es) 2004-01-26 2007-03-16 I.T.W. España, S.A. Pieza de union entre un panel y un soporte.
JP2006007933A (ja) * 2004-06-24 2006-01-12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カーテンシールドエアバッグのガーニッシュ用クリップ
JP2006088985A (ja) * 2004-09-27 2006-04-06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FR2882114B1 (fr) 2005-02-17 2008-06-20 Raymond Et Cie Soc En Commandi Rivet metallique a fixation demontable
JP4756219B2 (ja) * 2007-09-21 2011-08-24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用トリムのためのトリム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03454A (ja) 2011-01-27
US20120085874A1 (en) 2012-04-12
WO2009059668A1 (de) 2009-05-14
EP2217815A1 (de) 2010-08-18
CN101842602A (zh) 2010-09-22
KR101127807B1 (ko) 2012-03-23
US8342460B2 (en) 2013-01-01
CN101842602B (zh) 2013-09-18
JP5031904B2 (ja) 2012-09-26
ES2496173T3 (es) 2014-09-18
BRPI0820189A2 (pt) 2016-08-09
HK1144000A1 (en) 2011-01-21
DE102007053291A1 (de) 2009-05-20
BRPI0820189B1 (pt) 2018-08-07
EP2217815B1 (de)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807B1 (ko) 캐리어 부품에 부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와 이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US7900953B2 (en) Two stage high retention fastener
EP1832791B1 (en) A fixture
US11261898B2 (en) Fastening clip
JP3894006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US4667979A (en) Cushioning member for the interior of an automotive vehicle
US8850671B2 (en) Clip and attaching structure
TW200836660A (en) Sheet attaching instrument
JP5760737B2 (ja) ドアトリム
JP4642566B2 (ja) クリップ
JP4441759B2 (ja) 長尺体固定具
CN114341509A (zh) 固定件
KR101049656B1 (ko) 고정구
KR20080003675U (ko) 커넥터하우징
JP2010052731A (ja) 特に、エアバッグ装置のアレスタストラップを固定するためのファスナ
JP7406954B2 (ja) 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
JPH11129832A (ja) ルーフモール用クリップ
JP4698072B2 (ja) クリップ、クリップ付き自動車部品及び回転式アシストグリップ
JP7165544B2 (ja) 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
JPH0719054Y2 (ja) 埋込型照明器具の固定具
KR20100120511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5076644A (ja) クリップ
JP3829039B2 (ja) クリップ
JPH0537623Y2 (ko)
KR20230122911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