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54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의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의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546A
KR20100050546A KR1020107004983A KR20107004983A KR20100050546A KR 20100050546 A KR20100050546 A KR 20100050546A KR 1020107004983 A KR1020107004983 A KR 1020107004983A KR 20107004983 A KR20107004983 A KR 20107004983A KR 20100050546 A KR20100050546 A KR 20100050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ackets
timer
target bas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 이유 던칸 호
프란세스코 그릴리
마사토 키타죠에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시된다. 사용자 장비(UE)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게이트웨이로부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된 후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UE에 대한 포워딩된 패킷들을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UE로 전송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포워딩된 패킷들을 UE로 전송할 수 있고 타이머가 만료된 후 새로운 패킷들을 UE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의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 {IN-ORDER DATA DELIVERY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2007년 8월 6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IN-ORDER DATA DELIVERY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인 미국 임시특허출원 번호 60/954,300호에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은 그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참조에 의해 명백히 본원에 통합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handover) 동안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통신 컨텐트, 예를 들어 목소리,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messaging), 방송 등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이러한 무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 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직교 FDMA(OFDMA) 시스템들, 및 단일-반송파(single-carrier) FDMA(SC-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임의의 수의 UE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임의의 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이동통신일 수 있고, UE가 시스템에 대해 이동할 때 소스(source) 기지국으로부터 타겟(target)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 소스 기지국은 UE로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시스템은 또는 UE로 전송할 새로운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미전송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시스템으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올바른 순서로 그리고 가능한 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이곳에서 제시된다. UE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UE에 대한 패킷들을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forwarding)할 수 있다. 포워딩된 패킷들은 전송 중인 패킷들뿐만 아니라 아직 UE로 전송되지 않은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또한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타겟 기지국은, 게이트웨이로부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switching)된 후에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는 고정된 값 또는 구성가능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값들은 다양한 인자(factor)들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타이머는 (i) UE에 대한 제 1의 새로운 패킷을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자마자 또는 (ii) 데이터 경로의 스위칭의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시작된다.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UE로 전송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가 만료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포워딩된 패킷들을 UE로 전송할 수 있고,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새로운 패킷들을 UE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포워딩된 패킷들과 새로운 패킷들의 UE로의 순차적인 이송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엔티티들에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UE의 핸드오버에 대한 콜 흐름(call flow)들의 두 가지 예들을 도시한다.
도 5는 핸드오버 동안 UE에 대한 패킷들의 포워딩을 도시한다.
도 6은 핸드오버 동안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7은 핸드오버 동안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을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핸드오버 동안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9는 핸드오버 동안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기지국 및 UE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곳에서 제시되는 기술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 예를 들어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들은 종종 서로 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이벌브드 UTRA(Evolved UTRA; 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ltra Mobile Broadband; 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벌루션(Long Term Evolution; LTE)는 다운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에서 SC-FDMA를 사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다음 릴리스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 명명된 조직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라 명명된 조직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명확화를 위해, 이러한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이 LTE에 대해서 아래에서 제시되며, LTE 용어가 아래 설명에서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LTE 시스템일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이벌브드(evolved) 노드 B(eNB)들 및 3GPP에 의해 제시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단지 두 개의 eNB들(120 및 122) 및 하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시스템 구조 진화(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 게이트웨이(130)가 도 1에서 도시된다. eNB는 UE들과 통신하는 고정국(fixed station)일 수 있고, 노드 B,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eNB는 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와 같이 전통적인 기지국들을 통해 향상된 기능(enhanced functionality)을 제공할 수 있다. eNB의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은 다수의(예를 들면, 3개의) 보다 작은 영역들로 파티셔닝(partitioning)될 수 있다. 3GPP에서, "셀(cell)"이라는 용어는 eNB의 최소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에서 서빙(serving)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가리킬 수 있다. 3GPP2에서, "섹터(sector)"라는 용어는 기지국의 최소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에서 서빙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을 가리킬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셀에 대한 3GPP 개념이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된다.
eNB들(120 및 122)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이러한 X2 인터페이스는 논리 또는 물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eNB들(120 및 122)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SAE 게이트웨이(130)와 통신할 수 있다. SAE 게이트웨이(130)는 데이터 서비스들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보이스-오버-아이피(Voice-over-IP; VoIP), 비디오, 메시징 등을 지원할 수 있다. SAE 게이트웨이(130)는 또한, 액세스 게이트웨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SAE 게이트웨이(130)는 코어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140)(예를 들어, 인터넷)와 연결(couple)될 수 있고, 코어/데이터 네트워크(140)와 연결되는 다른 엔티티들(예를 들어, 리모트 서버들 및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다. eNB들(120 및 122) 및 SAE 게이트웨이(130)의 기능들은, 공중이 이용가능한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 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라 명명된 3GPP TS 36.300에서 제시된다.
UE(110)는 다운링크(downlink) 및 업링크(uplink)를 통해서 eNB(120) 및/또는 eNB(122)와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eNB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가리키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eNB로의 통신 링크를 가리킨다. UE(110)는 고정되거나 이동가능할 수 있고, 또한 이동국, 단말,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국(station) 등으로 불릴 수 있다. UE(110)는 셀룰러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handheld device), 랩탑 컴퓨터, 무선 전화기 등일 수 있다.
도 2는 LTE에서 사용자 평면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들(200)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평면은, eNB(120 또는 122)일 수 있는 서빙 eNB를 통해 UE(110) 및 SAE 게이트웨이(130) 간에 트래픽 데이터를 전달한다. 각각의 엔티티는 또 다른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프로토콜 스택을 유지한다. 각각의 프로토콜 스택은 전형적으로 네트워크 층(L3), 링크 층(L2), 및 물리 층(L1)을 포함한다. UE 및 SAE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층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및/또는 다른 프로토콜들에 대한 보다 상위층의 데이터는 IP 패킷들로 캡슐화(encapsulated)될 수 있고, 이러한 IP 패킷들은 서빙 eNB를 통해 UE 및 SAE 게이트웨이 간에 교환될 수 있다.
링크 층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에 전형적으로 의존한다. LTE에서 사용자 평면에 대하여, UE에 대한 링크 층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무선 링크 제어(RLC), 및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l; MAC)에 대한 3개의 서브층들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서빙 eNB에서 종료(terminated)된다. 더욱이 UE는 물리 층에서 E-UTRA 무선-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빙 eNB와 통신한다. 서빙 eNB는 링크 층 및 물리 층에 대한 기술-의존 인터페이스 및 IP를 통하여 SAE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엔티티에서 프로토콜 스택은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를 포함한다. 송신 경로에서, 각각의 층/서브층은 다음 상위 층/서브층으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들을 수신할 수 있고 다음 하위 층/서브층에 대하여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들을 생성할 수 있다. 주어진 층/서브층으로부터 전송된 PDU는 다음 하위 층/서브층에서 수신된 SDU일 수 있다. 주어진 층/서브층에 대하여, 이러한 층에 대한 SDU들 및 PDU들 간에 일대일 매핑(one-to-one mapping)이 존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수신 경로에서, 각각의 층/서브층은 다음 하위 층/서브층으로부터 PDU들을 수신할 수 있고 다음 상위 층/서브층에 SDU들을 제공할 수 있다. 링크 층에서 프로토콜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PDCP, RLC 및 MAC의 기능들은, 상기 3GPP TS 36.300 및 공중이 이용가능한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Radio Interface Protocol Architecture"라 명명된 3GPP TS 25.301에서 제시된다. PDU 또는 SDU는 또한 패킷이라 불릴 수도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할 때, UE(110)는 SAE 게이트웨이(130)와의 데이터 교환들을 위해 eNB(120)과 초기에 통신할 수 있다. UE(110)는 이동가능할 수 있고 eNB(120)로부터 eNB(122)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핸드오버에 대하여, eNB(120)는 소스 eNB라 불릴 수 있고, eNB(122)는 타겟 eNB라 불릴 수 있다. 핸드오버 후에, UE(110)는 SAE 게이트웨이(130)와의 데이터 교환들을 위해 eNB(122)와 통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전에는 eNB(120)가 UE(110)에 대해 서빙 eNB일 수 있고, 핸드오버 후에는 eNB(122)가 UE에 대해 서빙 eNB일 수 있다.
도 3은 소스 eNB(120)로부터 타겟 eNB(122)로 UE(110)의 핸드오버에 대한 콜 흐름(300)의 예를 도시한다. 소스 eNB는 UE에 대한 측정 프로시저(measurement procedure)들을 구성할 수 있고(단계 1), UE는 소스 eNB로 측정 리포트들을 전송할 수 있다(단계 2). 소스 eNB는 UE를 핸드오버(HO)하기로 결정할 수 있고(단계 3), 타겟 eNB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송출(issue)할 수 있다(단계 4). 타겟 eNB는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를 수행할 수 있고 UE의 핸드오버를 수락할 수 있다(단계 5). 그 후 타겟 eNB는 핸드오버 요청 애크(Acknowledgement; Ack) 메시지를 소스 eNB로 복귀시킬 수 있다(단계 6). 그 후 소스 eNB는 핸드오버 명령(command) 메시지를 UE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7).
핸드오버 전에, 소스 eNB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단계 A) 데이터를 UE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B). 단계 7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 후, 소스 eNB는 UE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를 타겟 eNB로 포워딩할 수 있다(단계 C 및 단계 D). 포워딩된 데이터는 전송 중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UE로 아직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 예를 들어 전송되었으나 UE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eNB는 소스 eNB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단계 E).
단계 7에서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자마자, UE는 소스 eNB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타겟 eNB로 동기화될 수 있다. UE는 타겟 eNB로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고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uplink timing advance)를 획득하기 시작할 수 있다(단계 8). 타겟 eNB는 UE에 대한 리소스 할당 및 타이밍 어드밴스(TA)에 응답할 수 있다(단계 9). 일단 UE가 타겟 eNB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UE는, UE에 대한 핸드오버 프로시저가 완료됨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확인(confirm) 메시지를 타겟 eNB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0).
타겟 eNB는 UE가 eNB를 변경했음을 MME/SAE 게이트웨이에 알리는 핸드오버 완료(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11). 그 후 MME/SAE 게이트웨이는 UE에 대한 데이터 경로를 소스 eNB로부터 타겟 eNB로 스위칭(switching)할 수 있다(단계 G). MME/SAE 게이트웨이는 또한, 핸드오버 완료 애크(Ack) 메시지를 타겟 eNB로 복귀시킬 수 있다(단계 12). 타겟 eNB는 UE의 성공적인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리소스 해제(release resource) 메시지를 소스 eNB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3). 리소스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소스 eNB는 UE에 대한 리소스들을 해제할 수 있다(단계 14).
단계 11에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MME/SAE 게이트웨이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소스 eNB로 계속 전송할 수 있다(단계 F). 소스 eNB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타겟 eNB로 계속해서 포워딩할 수 있다(단계 H). 단계 11에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E/SAE 게이트웨이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타겟 eNB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I). 타겟 eNB는 소스 eNB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 및 MME/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UE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J).
도 4는 소스 eNB(120)로부터 타겟 eNB(122)로의 UE(110)의 핸드오버에 대한 콜 흐름(40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MME 및 SAE 게이트웨이는 분리된 엔티티들이다. 콜 흐름(400)의 단계 1 내지 단계 7은 도 3에서의 콜 흐름(300)의 단계 1 내지 단계 7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단계 7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 후 소스 eNB는, 소스 eNB에서 UE에 대하여 PDCP에 대한 송신기 및 수신기 상태를 반송(convey)할 수 있는 SN 상태 전송(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8). 상태 정보는 (i) 소스 eNB에서 순차적으로(in sequence) 수신된 마지막 PDCP SDU의 PDCP 시퀀스 수(sequence number; SN) 및 (ii) UE로 전송할 데이터를 위해 사용될 다음 PDCP SN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eNB는 UE에 대한 PDCP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 상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콜 흐름(400)의 단계 9 내지 단계 11은 도 3에서의 콜 흐름(300)의 단계 8 내지 단계 1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단계 11에서 UE로부터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타겟 eNB는, UE가 eNB를 변경했음을 MME에 알리는 경로 스위치 요청(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MME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2). MME는 사용자 평면 업데이트(user plane update) 요청 메시지를 SAE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3).
그 후 SAE 게이트웨이는 UE에 대한 데이터 경로를 소스 eNB로부터 타겟 eNB로 스위칭할 수 있다(단계 F). SAE 게이트웨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엔드 마커(end marker)" 패킷들을 소스 eNB로 전송할 수 있고 그 후 소스 eNB 쪽의 리소스들을 해제할 수 있다(단계 14). 엔드 마커 패킷은 어떠한 사용자 데이터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소스 eNB로 전송된 데이터의 끝을 나타낼 수 있다. SAE 게이트웨이는 또한 사용자 평면 업데이트 응답(response) 메시지를 MME로 복귀시킬 수 있다(단계 15). MME는 경로 스위치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로 스위치 요청 애크 메시지를 타겟 eNB로 복귀시킬 수 있다(단계 16). 타겟 eNB는 UE의 성공적인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리소스 해제 메시지를 소스 eNB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7). 리소스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소스 eNB는 UE에 대한 리소스들을 해제할 수 있다(단계 18).
핸드오버 전에, 소스 eNB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단계 A) 이러한 데이터를 UE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B). 단계 7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 후, 소스 eNB는 UE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를 타겟 eNB로 포워딩할 수 있고(단계 C 및 단계 D), 타겟 eNB는 포워딩된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단계 E). 데이터 경로를 타겟 eNB로 스위칭하는 동안, 소스 eNB는 하나 이상의 엔드 마커 패킷들을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단계 14). 소스 eNB는 UE에 대한 데이터를 타겟 eNB로 계속 포워딩할 수 있고(단계 G) UE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포워딩되었을 때 엔드 마커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단계 H). 타겟 eNB는 소스 eNB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 및 MME/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UE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J).
도 3 및 도 4는 소스 eNB로부터 타겟 eNB로의 UE의 핸드오버를 위한 콜 흐름의 두 가지 예들을 도시한다. UE의 핸드오버는 또한 다른 콜 흐름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핸드오버 동안 다운링크에서 UE에 대한 패킷들(예를 들어, PDCP SDUs)의 포워딩을 도시한다. 핸드오버 전에, SAE 게이트웨이는 UE에 대한 패킷들을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eNB로 전송할 수 있다(도 4의 단계 A). 소스 eNB는 이러한 패킷들을 버퍼링, 처리 및 UE로 전송할 수 있다(도 4의 단계 B). 핸드오버 동안의 어떤 포인트에서, UE에 대한 데이터 경로는 소스 eNB로부터 타겟 eNB로 스위칭된다(도 4의 단계 F). 이 포인트로부터 계속하여, SAE 게이트웨이는 UE에 대한 패킷들을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eNB로 전송할 수 있다(도 4의 단계 I). SAE 게이트웨이는 UE에 대한 패킷들을 소스 eNB 및 타겟 eNB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 그리고 핸드오버 이후, 소스 eNB는 UE로 아직 전송되지 않은 UE에 대한 몇몇 패킷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소스 eNB는 이러한 패킷들을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eNB로 포워딩할 수 있다(도 4의 단계 D 및 G).
타겟 eNB는 UE에 대한 패킷들을 소스 eNB뿐만 아니라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타겟 eNB는 이러한 패킷들을 SAE 게이트웨이 및 소스 eNB로부터 비순차적으로(out of order) 수신할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대한 추가적인 지연 때문이다. 도 5에서 도시된 예에서, 패킷들은 패킷 a가 최초 패킷이고 패킷 g가 마지막 패킷이 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타겟 eNB는, 패킷들 a, b, c, 및 d에 앞서 패킷들 e, f, 및 g를 소스 eNB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동안 그리고 핸드오버 이후 타겟 eNB는, UE로의 패킷들의 순차적인 이송에 대해 책임이 있을 수 있다. 타겟 eNB는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패킷들을 전송하기 전에 소스 eNB로부터 포워딩된 모든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타겟 eNB가 제 1 패킷 e를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때 타겟 eNB는, UE로 패킷 e를 송신하기 전에 소스 eNB로부터 포워딩된 패킷들이 더 이상 없다는 것을 어떻게든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타겟 eNB는, 마지막 패킷이 언제 소스 eNB로부터 수신될 것인지를 알지 못할 수 있다. 도 3의 콜 흐름(300)에서 소스 eNB는, 모든 패킷들이 포워딩될 때까지 UE에 대한 패킷들을 타겟 eNB로 계속 포워딩한다. 타겟 eNB는 UE에 대한 마지막 패킷이 소스 eNB에 의해 언제 포워딩되었는지 알지 못한다. 도 4의 콜 흐름(400)에서 소스 eNB는, UE에 대한 모든 패킷들이 타겟 eNB로 포워딩되었음을 나타내는 엔드 마커(end marker)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엔드 마커 패킷은 송신하는 동안 손실될 수 있고 타겟 eNB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타겟 eNB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UE로 전송하기 전에 소스 eNB로부터의 UE에 대한 패킷들을 얼마나 오랫동안 기다려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겟 eNB는 UE에 관하여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처음으로 "감지(hear)"할 때 이러한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고, 이러한 감지는 도 3의 단계 G 또는 도 4의 단계 F에서의 데이터 경로 스위칭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는 다음의 이벤트(event)들 중 하나에 기초하여 시작될 수 있다:
·타겟 eNB가 UE에 대한 제 1 패킷을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때,
·예를 들어 도 3의 단계 12에서처럼, 타겟 eNB가 핸드오버 완료 애크 메시지를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때,
·예를 들어 도 4의 단계 16에서처럼, 타겟 eNB가 경로 스위치 요청 애크 메시지를 MME로부터 수신할 때, 또는
·임의의 상기 이벤트들 중 최선(最先)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도 3의 단계 12에서의 핸드오버 완료 애크 메시지 및 도 4의 단계 16에서의 경로 스위치 요청 애크 메시지는, 소스 eNB로부터 타겟 eNB로의 데이터 경로 스위칭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두 가지 예시적인 메시지들로 고려될 수 있다. 데이터 경로 스위칭의 완료는 또한 다른 방식들로 타겟 eNB로 반송(convey)될 수 있다.
도 3에서, 타겟 eNB는 핸드오버 완료 애크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가까운 시점에 UE에 대한 제 1 패킷을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게 될 것이지만 S1 인터페이스의 비동기적인(asynchronous) 특성 때문에 이러한 두 가지 아이템들을 상이한 순서들로 수신할 수 있다. 도 4에서, 타겟 eNB는 패킷 스위치 요청 애크 메시지를 MME로부터, 이로부터 가까운 시점에 UE에 대한 제 1 패킷을 SAE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게 될 것이다. 도 3의 단계 G 및 도 4의 단계 F에서의 데이터 경로 스위칭을 완료하기 위해 가변적인 양의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데이터 경로 스위칭의 완료 후에 타이머를 시작함으로써, 가변적인 경로 스위칭 지연(delay)이 회피될 수 있고, 이것은 보다 짧은 타이머 값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타이머가 언제 시작될 수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타이머는 적응될 수 있고 패킷 지연 및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타이머 값은 다음의 인자들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1. 소스 eNB 및 타겟 eNB 간 X2 인터페이스상에서 경험되는 부하,
2. 소스 eNB 및 SAE 게이트웨이 간 S1 인터페이스, 타겟 eNB 및 SAE 게이트웨이 간 S1 인터페이스상에서 경험되는 부하,
3. 과거에 경험된 것,
4. 종전의 핸드오버들에서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들을 소스 eNB로부터 수신하는데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렸는지 여부, 예를 들어 중앙값, 평균값, 분산 등,
5. 셀 특정 인자(cell specific factor)들, 예를 들어 셀 크기, 시스템 대역폭,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들 등의 함수,
6. 무선 베어러(bearer) 특정 인자들, 예를 들어 지연 요구, 최대 비트 레이트(maximum bit rate; MBR), 보장 비트 레이트(guaranteed bit rate; GBR) 등의 함수 및
보통의 TCP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용인될 수 있는 전형적인 최대 지연.
인자 1에 대하여, 보다 긴 타이머 값이 X2 인터페이스 상의 보다 높은 부하에 대해 사용될 수 있고,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보다 긴 타이머 값은 소스 eNB로부터 포워딩된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해 보다 긴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인자 2에 대하여, 보다 긴 타이머 값이 소스 eNB 및 SAE 게이트웨이 간 S1 인터페이스 상의 보다 높은 부하에 대해 사용될 수 있고,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보다 혼잡한(congested) S1 인터페이스는, 패킷들이 소스 eNB에 도달하고 최종적으로 타겟 eNB로 도달하는데 보다 긴 시간이 걸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인자 3 및 인자 4에 대하여, 소스 eNB로부터 타겟 eNB로의 UE들의 종전 핸드오버들에 대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 값이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핸드 오버에 대하여, 타겟 eNB는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이 소스 eNB로부터 언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겟 eNB는,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이 타이머의 만료 후에 수신된 경우 그 패킷을 폐기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는 타이머가 너무 짧게 설정되었음을 나타낼 것이다. 역으로,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이 타이머가 만료되기 훨씬 전에 수신된 경우, 타이머가 너무 길게 설정된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이후의 핸드오버들에 대해 타이머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인자 5에 대하여, 셀 특정 인자들은 S1 인터페이스 상의 지연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것은 차례로 패킷들의 포워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단일한 타이머 값이 타겟 eNB로 핸드오버된 모든 UE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상이한 타이머 값들이 상이한 소스 eNB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하나의 타이머 값은 각각의 소스 eNB에 대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또 다른 설계에서는, 상이한 타이머 값들이 트래픽 데이터 또는 트래픽 흐름(flow)들의 상이한 유형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것들은 흐름들에 대한 무선 베어러들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상기 인자 6). 예를 들어, 보다 짧은 타이머 값이 지연-민감(delay-sensitive) 데이터를 갖는 흐름들(예를 들어 VoIP)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고, 보다 긴 타이머 값이 지연-내성(delay-tolerant) 데이터(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다운로드)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스 eNB로부터 포워딩된 패킷들의 손실을 회피하거나 감소시키기는 동안 가능한 한 타이머에 의해 시작된 지연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타이머 값이 하나 이상의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몇몇의 인자들이 위에서 제시되고, 다른 인자들 또한 타이머 값을 선택하는데 고려될 수 있다. 상이한 값들이 상이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프로파일(profile)들에 대하여 타이머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Qos 프로파일은 지연 요구, 스루풋(throughput) 요구, 우선권, 및/또는 데이터 핸들링 파라미터(handling parameter)들과 연관(associate)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타이머 값은 다음과 같이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 식(1)
여기서 D(k)는 k번째 핸드오버에 대하여 소스 eNB에 의해 타겟 eNB로 포워딩된 마지막 패킷의 지연이고,
T(k)는 k번째 핸드오버 후의 타이머 값이고,
ΔUP은 타이머 값을 조정하기 위한 업 스텝(up step)이고 ΔDN은 다운 스텝(down step)이다.
업 스텝 및 다운 스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 식(2)
여기서 Q는 타이머의 만료 전에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들이 수신된 핸드오버들의 비율(percentage)이다.
ΔDN은 ΔUP의 작은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Q=99%인 경우, ΔDNUP/99이다. ΔUP의 값은 컨버전스 레이트(convergence rate) 및 잔여 측정 오차(residual estimation error) 간 트레이드오프(tradeoff)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ΔUP의 보다 큰 값은 보다 신속한 컨버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ΔUP의 보다 작은 값은 보다 작은 잔여 측정 오차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식 (1)에 도시된 설계에서, 타이머 값은 타겟 eNB로의 각각의 핸드오버에 대하여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소스 eNB로부터 포워딩된 마지막 패킷의 지연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초과하는 경우, 타이머 값은 ΔUP의 보다 큰 업 스텝만큼 증가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타이머 값이 ΔDN의 보다 작은 다운 스텝만큼 감소된다. 핸드오버들의 Q 퍼센트는 마지막 패킷이 타이머 값 내에서 포워딩되도록 하고 핸드오버들의 100-Q 퍼센트는 마지막 패킷이 타이머 값 이후에 포워딩되도록 하는 포인트로 타이머 값이 컨버징(converging)하게 된다. Q는, 핸드오버들에서 원하는 패킷 손실 성능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고 80, 90, 95, 99 또는 어떤 다른 값과 같을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타겟 eNB는 (i)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소스 eNB로부터 수신된 모든 패킷들을 UE로 전송하고 (ii)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소스 eNB로부터 수신된 모든 패킷들을 폐기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타이머의 구현과 타겟 eNB의 동작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타겟 eNB는 타이머가 만료된 후라도 패킷들을 소스 eNB로부터 계속 수신할 수 있고, SAE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제 1 패킷이 타겟 eNB에 의해 UE로 아직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UE로 이러한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타이머가 만료된 후라도 SAE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제 1 패킷이 타겟 eNB에 의해 UE로 전송될 때까지, 타겟 eNB는 소스 eNB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UE로 계속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제시된 기술들은 핸드오버 동안 임의의 층 또는 서브층에서 임의의 프로토콜에 대하여 타겟 eNB로부터 UE로의 패킷들의 순차적인 이송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들은 PDCP SDU들, IP 패킷들 등의 순차적인 이송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핸드오버 동안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을 위한 프로세스(600)의 설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600)는 타겟 기지국, 예를 들어 타겟 eNB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UE의 핸드오버에 참여할 수 있다(블록 612). 블록(612)은, 도 3 또는 도 4에서 타겟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를 위해 수행되는 태스크(task)들 또는 몇몇의 다른 태스크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게이트웨이로부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된 후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블록 614). 게이트웨이는 SAE 게이트웨이, GGSN, PDSN 등일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UE에 대한 포워딩된 패킷들을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블록 616). 포워딩된 패킷은, 게이트웨이에 의해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소스 기지국에 의해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된 패킷일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또한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블록 618). 새로운 패킷은 게이트웨이에 의해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되었지만 소스 기지국으로는 전송되지 않은 패킷일 수 있다. 포워딩된 새로운 패킷들은 PDCP SDU들, IP 패킷들, 또는 몇몇의 다른 유형의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UE로 전송할 수 있다(블록 620).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포워딩된 패킷들을 UE로 전송할 수 있고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새로운 패킷들을 UE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설계에서,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 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폐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어떠한 새로운 패킷들도 UE로 전송되지 않은 경우,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 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UE로 전송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될 더 이상의 어떠한 패킷들도 없음을 나타내는 엔드 마커 패킷을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타겟 기지국은 엔드 마커 패킷을 수신하자마자 타이머를 종료할 수 있고 타이머를 종료한 후 UE로 새로운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블록(614)에서,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에 대해 고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타겟 기지국은 (i) 소스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 간 제 1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ii) 소스 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간 제 2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iii) 타겟 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간 제 3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iv) 다른 UE들의 종전 핸드오버들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들에 대한 정보, (v) UE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QoS 프로파일, 및/또는 (vi)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에 대한 구성가능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또한 예를 들어 식(1)에서 도시된 것처럼, 다른 UE들의 종전 핸드오버들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들의 지연들에 기초하여 타이머에 대한 이러한 값을 동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데이터 경로의 스위칭을 개시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데이터 경로의 스위칭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614)에 대하여, 타겟 기지국은 (i) 제 2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ii) UE에 대한 제 1의 새로운 패킷을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자마자, (iii) (i) 및 (ii)의 이벤트들 중 앞선 것이 발생하자마자, 또는 (iv) 어떤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자마자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 1 메시지는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메시지는 핸드오버 완료 애크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 1 메시지는 또한 경로 스위치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메시지는 경로 스위치 요청 애크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시지 및 제 2 메시지는 또한 다른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핸드오버 동안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을 위한 장치(700)의 설계를 도시한다. 장치(700)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UE의 핸드오버에 참여하기 위한 모듈(712), 게이트웨이로부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된 후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한 모듈(714), UE에 대한 포워딩된 패킷들을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모듈(716),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모듈(718), 및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UE로 전송하기 위한 모듈(720)을 포함한다.
도 8은 핸드오버 동안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800)의 설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800)는 U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UE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UE의 핸드오버 전에 패킷들을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블록 812). UE는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블록 814). UE는 핸드오버 후에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 816). 게이트웨이로부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된 후에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UE에 대한 포워딩된 패킷들을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UE로 전송할 수 있다. UE는 타이머의 만료 전에는 포워딩된 패킷들을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타이머의 만료 후에는 새로운 패킷들을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핸드오버 동안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900)의 설계를 도시한다. 장치(900)는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UE의 핸드오버 전에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912),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914), 및 핸드오버 후에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916)을 포함하고, 여기서 타겟 기지국은 타이머의 만료 전에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UE로 전송한다.
도 7 및 도 9의 모듈들은 프로세서들, 전기적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전기적 컴포넌트들, 논리 회로들, 메모리들 등,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타겟 eNB/기지국(122) 및 UE(110)의 설계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러한 설계에서, eNB(122)는 T개의 안테나들(1034a 내지 1034t)을 구비하고, UE(110)는 R개의 안테나들(1052a 내지 1052r)을 구비하며, 여기서 일반적으로 T≥1 및 R≥1이다.
eNB(122)에서,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020)는 하나 이상의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소스(101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020)는, 이러한 UE가 데이터 심볼들을 획득하도록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딩 방법(coding scheme) 및 변조 방법에 기초하여 각각의 UE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면, 인코딩, 인터리빙(interleaving), 및 변조)할 수 있다. TX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프로세서(1030)는 모든 UE들에 대한 데이터 심볼들을 파일럿 심볼들을 이용하여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할 수 있고, 멀티플렉싱된 심볼들을 처리(예를 들어, 프리코딩(precoding))할 수 있고, T개의 변조기들(MODs; 1032a 내지 1032t)로 T개의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10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서 개별적인 출력 심볼 스트림을,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를 위하여 처리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1032)는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획득하기 위해 출력 샘플 스트림을 더 처리(예를 들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upconverting))할 수 있다. 변조기들(1032a 내지 1032t)로부터의 T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각각 T개의 안테나들(1034a 내지 1034t)을 통해서 송신될 수 있다.
UE(110)에서, 안테나들(1052a 내지 1052r)은 eNB(122)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들(DEMODs; 1054a 내지 1054r)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1054)는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 디지타이징(digitizing))할 수 있고,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기 위해 이러한 샘플들을 더 처리(예를 들어 OFDM을 위한 처리)할 수 있다. MIMO 검출기(1060)는 모든 R개의 복조기들(1054a 내지 1054r)로부터 수신된 심볼들 상에서 MIMO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070)는 검출된 심볼들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디코딩)할 수 있고 UE(110)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data sink; 1072)로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IMO 검출기(1060) 및 RX 데이터 프로세서(1070)에 의한 처리는 eNB(122)에서 TX MIMO 프로세서(103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020)에 의한 처리와 상호 보완적이다.
업링크에서, UE(110)에서는, 데이터 소스(1078)로부터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signaling)이 TX 데이터 프로세서(1080)에 의해 처리될 수 있고,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1082)에 의해 더 처리될 수 있으며, 변조기들(1054a 내지 1054r)에 의해 컨디셔닝될 수 있고, 안테나들(1052a 내지 1052r)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eNB(122)에서, UE(11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1034)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복조기들(1032)에 의해 컨디셔닝될 수 있으며, MIMO 검출기(1036)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038)에 의해 처리되어 UE(110)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1040 및 1090)은 각각 eNB(122) 및 UE(110)에서의 동작을 지시(direct)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040)는 도 6의 프로세스(600) 및/또는 이곳에서 제시된 기술들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구현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090)는 도 8의 프로세스(800) 및/또는 이곳에서 제시된 기술들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구현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1043 및 1092)은 각각 eNB(122) 및 UE(110)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scheduler; 1044)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고 스케줄링된 UE들을 위해 리소스들의 할당들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Comm) 유닛(1046)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소스 eNB(120) 및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SAE 게이트웨이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해야 한다. 설계 선호사항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재정렬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수반하는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인 순서로 제시하는 것이며,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구조에 제한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타입의 상이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를 통해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지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벌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곳의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제시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상에서는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곳의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제시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곳에서 제시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곳의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제시된 방법의 단계들 및 알고리즘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쉬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프로그램어블 ROM(EPROM), 전기적 삭제가능한 프로그램어블 ROM(EEPROM),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ROM(CD-ROM), 또는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프로세서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및 저장매체는 ASIC에 위치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정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 및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또는 특정 목적의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정 목적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로 적절히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파,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파,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는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이용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대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내용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개시내용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4)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소스 기지국(source base station)으로부터 타겟 기지국(target base station)으로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핸드오버(handover)에 참여하는 단계;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UE로의 데이터 경로(data path)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switching)된 후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UE에 대한 포워딩(forwarding)된 패킷들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상기 UE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UE에 대한 제 1의 새로운 패킷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자마자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의 상기 데이터 경로의 상기 스위칭을 개시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경로의 상기 스위칭의 완료를 나타내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또는 상기 UE에 대한 제 1의 새로운 패킷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자마자, 어느 쪽이든 먼저 발생하는 것에 따라,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handover complete messag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핸드오버 완료 애크(acknowledgement; 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경로 스위치 요청(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경로 스위치 요청 애크(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상기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만료 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어떠한 새로운 패킷들도 상기 UE로 전송되지 않은 경우 상기 타이머의 만료 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될 더 이상의 어떠한 패킷들도 없음을 나타내는 엔드 마커 패킷(end marker packet)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엔드 마커 패킷을 수신하자마자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를 종료한 후 상기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 및 상기 타겟 기지국 간 제 1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상기 소스 기지국 및 상기 게이트웨이 간 제 2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상기 타겟 기지국 및 상기 게이트웨이 간 제 3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머에 대한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UE들의 종전 핸드오버들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머에 대한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UE들의 종전 핸드오버들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들의 지연(delay)들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머에 대한 값을 동적으로(dynamically)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uality-of-service; QoS) 프로파일(profile)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머에 대한 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를 상기 선택된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이한 값들이 상이한 QoS 프로파일들에 대하여 상기 타이머를 위하여 사용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포워딩된 패킷들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상기 새로운 패킷들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service data units; SDUs)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패킷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6.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사용자 장비(UE)의 핸드오버에 참여하고,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된 후에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UE에 대한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상기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의 상기 데이터 경로의 스위칭을 개시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경로의 상기 스위칭의 만료를 나타내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또는 상기 UE에 대한 제 1의 새로운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자마자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고, 상기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상기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될 더 이상의 어떠한 패킷들도 없음을 나타내는 엔드 마커 패킷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엔드 마커 패킷을 수신하자마자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고, 상기 타이머를 종료한 후 상기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기지국 및 상기 타겟 기지국 간 제 1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상기 소스 기지국 및 상기 게이트웨이 간 제 2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상기 타겟 기지국 및 상기 게이트웨이 간 제 3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다른 UE들의 종전 핸드오버들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UE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머에 대한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사용자 장비(UE)의 핸드오버에 참여하기 위한 수단;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된 후에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
    상기 UE에 대한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상기 UE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의 상기 데이터 경로의 스위칭을 개시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 경로의 상기 스위칭의 만료를 나타내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또는 상기 UE에 대한 제 1의 새로운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자마자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상기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될 더 이상의 어떠한 패킷들도 없음을 나타내는 엔드 마커 패킷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엔드 마커 패킷을 수신하자마자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타이머를 종료한 후 상기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 및 상기 타겟 기지국 간 제 1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상기 소스 기지국 및 상기 게이트웨이 간 제 2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상기 타겟 기지국 및 상기 게이트웨이 간 제 3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다른 UE들의 종전 핸드오버들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UE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머에 대한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사용자 장비(UE)의 핸드오버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된 후에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에 대한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상기 UE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의 상기 데이터 경로의 스위칭을 개시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경로의 상기 스위칭의 만료를 나타내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또는 상기 UE에 대한 제 1의 새로운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자마자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상기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될 더 이상의 어떠한 패킷들도 없음을 나타내는 엔드 마커 패킷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엔드 마커 패킷을 수신하자마자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타이머를 종료한 후 상기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UE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소스 기지국 및 상기 타겟 기지국 간 제 1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상기 소스 기지국 및 상기 게이트웨이 간 제 2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상기 타겟 기지국 및 상기 게이트웨이 간 제 3 인터페이스 상의 부하, 다른 UE들의 종전 핸드오버들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포워딩된 패킷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UE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머에 대한 값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사용자 장비(UE)의 핸드오버 전에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후에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된 후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UE에 대한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상기 UE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후에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 전에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3.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의 사용자 장비(UE)의 핸드오버 전에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버 후에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UE로의 데이터 경로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된 후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UE에 대한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UE에 대한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타이머의 만료 전에 수신된, 포워딩된 패킷들을 임의의 새로운 패킷들에 앞서 상기 UE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 전에, 포워딩된 패킷들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의 만료 후에, 새로운 패킷들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07004983A 2007-08-06 2008-08-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의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 KR20100050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430007P 2007-08-06 2007-08-06
US60/954,300 2007-08-06
US12/185,939 US8594069B2 (en) 2007-08-06 2008-08-05 In-order data delivery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185,939 2008-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546A true KR20100050546A (ko) 2010-05-13

Family

ID=4007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983A KR20100050546A (ko) 2007-08-06 2008-08-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의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594069B2 (ko)
EP (1) EP2181558A1 (ko)
JP (1) JP2010536264A (ko)
KR (1) KR20100050546A (ko)
CN (1) CN101772975A (ko)
AU (1) AU2008283851A1 (ko)
BR (1) BRPI0815071A2 (ko)
CA (1) CA2693821A1 (ko)
MX (1) MX2010001452A (ko)
RU (1) RU2010108228A (ko)
TW (1) TW200915800A (ko)
WO (1) WO200902107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309A2 (ko) * 2010-05-27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방법
WO2012033316A2 (ko) * 2010-09-09 2012-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간 네트워크 제어 단일 라디오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WO2012043957A1 (ko) *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KR20140036246A (ko) * 2011-05-19 2014-03-2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엠프티 gre 패킷을 이용한 rat간 핸드오버 제어
KR20160021184A (ko) * 2013-06-18 2016-02-24 소니 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60045669A (ko) * 2013-08-23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의 rat들에 동시에 접속된 단말의 링크 실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3511A1 (fr) * 2006-10-27 2008-05-08 Fujitsu Limited Procédé de transfert et station de base
JP4838181B2 (ja) * 2007-03-19 2011-1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無線基地局
GB2448762B (en) * 2007-04-27 2009-09-30 Nec Corp Scheduliing information method and related communications devices
JP5414980B2 (ja) * 2007-08-28 2014-02-1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090109926A1 (en) * 2007-10-31 2009-04-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n-order delivery during handoff using a timer in mobile communications
WO2009099170A1 (ja) * 2008-02-08 2009-08-13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JP2011522488A (ja) 2008-05-30 2011-07-28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アクセス層再送の配信通知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169972B2 (en) * 2008-09-12 2012-05-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continuity of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686539B (zh) * 2008-09-26 2013-04-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去注册方法、室内基站和室内基站网关
KR101552303B1 (ko) * 2008-10-30 2015-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20100173636A1 (en) * 2009-01-06 2010-07-08 Mingshen Gao Method for improving frequency reuse utilizing synchronized downlink resources from adjacent cells
KR101521886B1 (ko) * 2009-01-23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티피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888675A (zh) * 2009-05-14 2010-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长期演进系统中跨基站切换方法及系统
CN101932010A (zh) * 2009-06-25 2010-1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确定上行反传结束时间的方法和装置
EP2750319B1 (en) * 2009-10-30 2016-07-2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relay node for communicating delivery of data packets to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01403A (ko) * 2010-03-08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패킷 포워딩 장치 및 방법
JP5052643B2 (ja) * 2010-04-21 2012-10-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CN102783212B (zh) * 2010-05-14 2016-02-17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切换流程的方法和装置
WO2011142628A2 (en) * 2010-05-14 2011-11-17 Lg Electronics Inc.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07860A1 (en) * 2011-10-27 2013-05-02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SERVICE INTERRUPTION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ALLS DUE TO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RAT) HANDOVER
US9596635B2 (en) * 2011-11-01 2017-03-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delay tolerant access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870700B2 (ja) * 2012-01-11 2016-03-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10560882B2 (en) * 2012-06-08 2020-02-1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rat transmission
US9578557B2 (en) * 2012-07-06 2017-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layed handover signalling in a mobile network
JP6163003B2 (ja) * 2013-05-09 2017-07-12 株式会社Nttドコモ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無線基地局
US9369409B2 (en) * 2013-08-12 2016-06-14 Nec Corporation End-to-end hitless protection in packet switched networks
US20150089382A1 (en) * 2013-09-26 2015-03-26 Wu-chi Feng Application context migration framework and protocol
JP6230859B2 (ja) * 2013-09-26 2017-11-15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US20150117399A1 (en) * 2013-10-29 2015-04-30 Qualcomm Incorporated Baton handover with receive diversity in td-scdma
JP6337461B2 (ja) * 2013-12-17 2018-06-0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内の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WO2015141012A1 (ja) * 2014-03-20 2017-04-0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5177846A1 (ja) * 2014-05-19 2015-11-26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システム
EP3142414B1 (en) * 2014-05-30 2018-1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rvice path changing method and device
US20160182286A1 (en) * 2014-12-19 2016-06-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provisioning non-real-time data
CN107690826B (zh) * 2015-03-20 2020-11-0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高频率无线接入的接入节点的终端特定集群
US11146993B2 (en) * 2015-11-27 2021-10-12 Nokia Technologies Oy Handover with postponed path switch
KR102419981B1 (ko) * 2016-02-19 2022-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시 데이터 전송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24173B2 (en) * 2016-02-24 2019-12-3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sharing bearer inform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JP6637617B2 (ja) * 2016-03-31 2020-01-29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側デバイス、およびユーザ端末
CN110995773B (zh) * 2016-05-24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QoS控制方法及设备
EP3534646B1 (en) 2016-11-04 2020-10-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end marker
BR112019009823A2 (pt) * 2016-11-16 2019-08-13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migração de dados e aparelho
WO2018152846A1 (zh) * 2017-02-27 2018-08-3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WO2019196012A1 (en) * 2018-04-10 2019-10-17 Zte Corporation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for 5g wireless networks
CN111132195B (zh) * 2019-12-19 2022-05-03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数据倒换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194060A (zh) * 2019-12-19 2020-05-22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1763B (fi) 1995-12-01 1998-08-14 Nokia Mobile Phones Ltd Siirrettävän tiedon koostumuksen säilyttäminen tukiaseman vaihdon yhte ydessä
JP3529621B2 (ja) * 1997-05-12 2004-05-24 株式会社東芝 ルータ装置、データグラム転送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6907245B2 (en) * 2000-12-04 2005-06-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offset threshold for diversity handover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965756B2 (en) * 2001-10-05 2005-11-15 Adtran, Inc. RF loopback test apparatus for data radio transceiver
US7065359B2 (en) * 2001-10-09 2006-06-20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bas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1472897A1 (en) * 2002-02-08 2004-11-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relocation or anchoring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DE60204867T2 (de) 2002-07-16 2006-05-18 Lucent Technologie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aketsortierung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netzwerk
KR100497524B1 (ko) * 2003-01-29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핸드오프 처리방법
JP2005012718A (ja) 2003-06-23 2005-01-13 Hitachi Ltd 移動体ipデータ通信システム
EP1507352B1 (en) * 2003-08-14 2007-01-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ime monitoring of packet retransmissions during soft handover
US7359353B2 (en) * 2004-04-21 2008-04-15 Motorola, Inc. Access network and method for improved inter-PDSN dormant mode handoff
US7668141B2 (en) * 2004-07-06 2010-02-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cket data loss in a wireless network
KR100678147B1 (ko) * 2005-01-05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arq 관련 타이머의제어 방법과 장치 및 그 시스템
US7567535B2 (en) * 2005-03-07 2009-07-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ink layer handoff
US8488552B2 (en) * 2005-10-17 2013-07-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wnlink solution for seamless and lossless cell change in a cellular system
KR101265643B1 (ko) * 2006-08-22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및 그 제어 방법
KR100790415B1 (ko) * 2006-09-2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핸드오버 히스토리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4695705B2 (ja) * 2007-02-28 2011-06-08 富士通株式会社 クラスタシステムおよびノード切り替え方法
JP4838181B2 (ja) 2007-03-19 2011-1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無線基地局
CN101766041B (zh) * 2007-07-27 2016-08-10 富士通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
CN102651892B (zh) * 2007-09-29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s1切换的下行及上行数据包转发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309A2 (ko) * 2010-05-27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방법
WO2011149309A3 (ko) * 2010-05-27 2012-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방법
US9125125B2 (en) 2010-05-27 2015-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WO2012033316A2 (ko) * 2010-09-09 2012-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간 네트워크 제어 단일 라디오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WO2012033316A3 (ko) * 2010-09-09 2012-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간 네트워크 제어 단일 라디오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WO2012043957A1 (ko) *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US9119126B2 (en) 2010-09-28 2015-08-25 Kt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therefor
KR20140036246A (ko) * 2011-05-19 2014-03-2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엠프티 gre 패킷을 이용한 rat간 핸드오버 제어
KR20160021184A (ko) * 2013-06-18 2016-02-24 소니 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60045669A (ko) * 2013-08-23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의 rat들에 동시에 접속된 단말의 링크 실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0001452A (es) 2010-03-10
JP2010536264A (ja) 2010-11-25
WO2009021074A1 (en) 2009-02-12
EP2181558A1 (en) 2010-05-05
CA2693821A1 (en) 2009-02-12
US8594069B2 (en) 2013-11-26
BRPI0815071A2 (pt) 2015-02-10
RU2010108228A (ru) 2011-09-20
CN101772975A (zh) 2010-07-07
TW200915800A (en) 2009-04-01
US20090061876A1 (en) 2009-03-05
AU2008283851A1 (en)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05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동안의 순차적인 데이터 이송
RU2709480C1 (ru) Эффективный механизм отбрасывания при развертывании небольших сот
US202101446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37306B2 (en) Layer 2 tunneling of data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84633B2 (ja) ハンドオフ中のデータパケットの順序配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155083B2 (en) Technique for configuring link layer entities for a handover
JP5323941B2 (ja) 同期外れ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86026A (ko) 서비스 데이터 유닛 폐기 타이머들
JP201153023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中のデータ損失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0011345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점대다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CN112136338A (zh) 无线通信装置和方法
US20170324674A1 (en) Active queue manage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59557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U2449504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порядоченной доставки пакетов данных при передаче обслужи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