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071A -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071A
KR20100044071A KR1020090031660A KR20090031660A KR20100044071A KR 20100044071 A KR20100044071 A KR 20100044071A KR 1020090031660 A KR1020090031660 A KR 1020090031660A KR 20090031660 A KR20090031660 A KR 20090031660A KR 20100044071 A KR20100044071 A KR 2010004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image forming
opening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9815B1 (ko
Inventor
다쿠지 마츠모토
기요시 나가미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상 장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실과, 현상제를 자력(磁力)으로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 부재와, 평면 투시에서 현상제 유지 부재의 상방(上方)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갖는 칸막이벽과, 칸막이벽이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칸막이벽은 현상제 수용실의 격벽(隔璧)의 일부이며, 현상제 수용실과 현상제 유지 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현상 장치, 전사부, 잠상 형성부

Description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등에 잠상이 형성되고, 이 잠상을 현상제로 가시상화해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현상제는 현상 장치 내에 수용되어 있고, 현상 롤의 회전에 의해 잠상을 향해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현상제로서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할 때에는, 미리 복수의 자극이 형성된 자성 롤을 내포하는 현상 롤이 이용된다. 현상 롤은 자력에 의해 외주면에 캐리어를 끌어당겨서 유지하는 동시에, 캐리어와의 마찰로 대전한 토너를 반송한다.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한 현상 장치의 일례로서, 현상 장치의 사용 전에 현상제 저장실에 현상제가 저장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2006-276534호 공보 참조). 일본 공개특허 2006-276534호 공보의 현상 장치는, 현상제가 투입되는 현상제 수용실의 상방(上方)에 현상제 저장실이 설치되어 있고, 현상제 저장실의 현상제 수용실측에 형성된 현상제 투입구가 밀봉 부재로 막혀 있다. 그리고, 현상 장치의 사용 개시 전에 밀봉 부재를 분리하여 현상제 투입구를 개방함으로써, 현상제 저장실로부터 현상제 수용실에 현상제가 투입된다.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한 현상 장치의 다른 예로서, 현상 롤 둘레 상의 박층 형성 영역에서, 현상실과 현상제 수용실을 구획하는 벽에 개구부를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2008-15022호 공보 참조). 일본 공개특허 2008-15022호 공보의 현상 장치는, 측면 개구부로부터 프리셋 케이스 내에 현상제를 진입시켜, 박층 형성 영역에서의 현상제의 유동성을 상승시킴으로써, 박층 형성 영역에서 현상제에 작용하는 압력을 저감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 2006-276534호 공보 및 일본 공개특허 2008-1502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현상 장치는 모두, 저장된 현상제의 유동성을 좋게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현상제 유지 부재와 현상제 수용실의 칸막이벽이 평면 투시(透視)에서 상하로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 현상제 수용실 내에 정류(停留)하는 현상제의 양을 저감하는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실과, 현상제를 자력(磁力)으로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격벽의 일부이며, 상기 현상제 수용실과 상기 현상제 유지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평면 투시에서 상기 현상제 유지 부재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갖는 칸막이벽과,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현상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10)가 나타나 있다. 프린터(10)는 풀컬러 화상 또는 흑백 화상을 형성하는 디지털 프린터이며, 내부에 화상 처리 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처리 장치는 PC 등으로부터 보내져오는 화상 데이터에 화상 처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프린터(10) 내부의 상방에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11Y, 11M, 11C, 11K)가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흑(黑))의 각 색에 대응하는 부재의 부호에 Y, M, C, K을 부여해서 구별한다.
토너 카트리지(11Y, 11M, 11C, 11K)에는 각각 토너 공급로(13Y, 13M, 13C, 13K)의 일단(一端)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토너 공급로(13Y, 13M, 13C, 13K)는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고, 프린터(10)의 측면을 따라 하방측으로 향해진 배치로 되어 있지만, 도중 경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프린터(10)내부의 중앙에는 Y, M, C, K의 현상제에 대응하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2(12Y, 12M, 12C, 12K))이, 정면시(正面視)에서 비스듬히 오른쪽 하방(下方)을 향해서 서로 일부를 중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현상제는 비자성 타입의 토너와, 자성을 갖는 캐리어가 혼합된 것이다. 여기서, 토너 공급로(13Y, 13M, 13C, 13K)의 타단(他端)이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2Y, 12M, 12C, 12K)에 각각 접속되어 있어, 각 색의 토너가 각 화상 형성 유닛(1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12Y, 12M, 12C, 12K)의 상방에는 전사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전사부(14)는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6)와, 중간 전사 벨트(16)의 내측에 배치되고, 각 화상 형성 유닛(12Y, 12M, 12C, 12K)의 각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16)에 다중 전사시키는 4개의 1차 전사 부재로서의 1차 전사 롤(18Y, 18M, 18C, 18K)과, 중간 전사 벨트(16) 상에서 중첩된 토너상을 기록 용지(P)에 전사시키는 2차 전사 롤(20)을 갖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6)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로 구동되는 구동 롤(22)과, 중간 전사 벨트(16)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션 롤(24)과, 2차 전사 롤(20)과 대향 배치된 백업 롤(26)과의 사이에 일정한 장력으로 감겨있고, 구동 롤(22)에 의해, 도 1의 화살표 X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순환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1차 전사 롤(18Y, 18M, 18C, 18K)은 중간 전사 벨트(16)를 사이에 끼우고 각각의 화상 형성 유닛(12Y, 12M, 12C, 12K)의 후술하는 감광체(28(28Y, 28M, 28C, 28K))와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1차 전사 롤(18Y, 18M, 18C, 18K)은 급전 유닛(도시 생략)에 의해, 토너 극성과는 역(逆)극성(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정(正)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사 롤(20)도, 급전 유닛에 의해, 토너 극성과는 역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6)의 구동 롤(22)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의 외주면에는, 클리닝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클리닝 장치(30)는 클리닝 브러시(32) 및 클리닝 블레이드(34)를 구비하어 있고, 클리닝 브러시(32) 및 클리닝 블레이드(34)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6) 상의 잔류 토너나 지분(紙粉) 등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프린터(10)의 기록 용지(P)의 반송 경로와 반대측의 측면 근방에는, 프린터(10)의 각 부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제어 유닛(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2)의 하측에는, 대전된 감광체(28)의 표면에 각 색에 대응한 노광광(L(LY, LM, LC, LK))을 조사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유닛(40)이 설치되 어 있다.
노광 유닛(40)은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2Y, 12M, 12C, 12K)에 공통의 1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4개의 반도체 레이저(도시 생략)를 각 색의 색재(色材) 계조 데이터에 따라 변조하며, 이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노광광(LY, LM, LC, LK)을 계조 데이터에 따라 출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광 유닛(40)은 각 화상 형성 유닛(12)마다에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노광 유닛(40)은 직방체 형상의 프레임(38)으로 밀폐되어 있고, 내부에는 각 노광광(L)을 주주사 방향으로 주사하기 위한 f-θ렌즈(도시 생략) 및 폴리곤 미러(42)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38)의 상면(上面)에는, 4개의 노광광(LY, LM, LC, LK)을 각 화상 형성 유닛(12Y, 12M, 12C, 12K)의 감광체(28)를 향해서 출사하기 위한 글래스 윈도(44Y, 44M, 44C, 44K)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노광 유닛(40)의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노광광(LY, LM, LC, LK)은 f-θ렌즈를 통해서 폴리곤 미러(42)에 조사되고, 이 폴리곤 미러(42)에 의해 편향 주사된다. 폴리곤 미러(42)에서 편향 주사된 노광광(LY, LM, LC, LK)은 결상 렌즈 및 복수 매의 미러로 이루어지는 광학계(도시 생략)를 통해서 감광체(28) 상의 노광 포인트에, 비스듬히 하방(下方)으로부터 주사 노광된다.
한편, 노광 유닛(40)의 하측에는 기록 용지(P)가 수납된 급지 카세트(4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지 카세트(46)의 단부로부터 연직 방향 상방에는 기록 용지(P)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로(50)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 반송로(50)에는, 기록 용지(P)를 급지 카세트(46)로부터 송출하는 급지 롤(48)과, 기록 용지(P)를 1매씩 급지시키는 용지 분리 반송용의 롤 쌍(52)과, 중간 전사 벨트(16) 상의 화상의 이동 타이밍과 기록 용지(P)의 반송 타이밍을 맞추는 용지 선단 위치 맞춤 롤(5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급지 카세트(46)로부터 급지 롤(48)에 의해 순서대로 송출된 기록 용지(P)는 용지 반송로(50)을 경유하여,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용지 선단 위치 맞춤 롤(54)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6)의 2차 전사 위치까지 일단 반송되고, 정지된다.
2차 전사 롤(20)의 상방에는 정착 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60)는 가열된 가열 롤(62)과, 이 가열 롤(62)에 압접된 가압 롤(6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2차 전사 롤(20)에 의해 각 색의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P)는 가열 롤(62)과 가압 롤(64)의 압접부에서 열 및 압력에 의해 정착된다. 또한,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된 배출 장치의 일례로서의 배지 롤(66)에 의해, 프린터(10)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부(68)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토너상의 2차 전사 공정이 종료한 중간 전사 벨트(16)의 표면은 클리닝 장치(30)에 의해 잔류 토너나 지분 등이 제거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유닛(12)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상 형성 유닛(12M)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다른 각 색에 대응한 화상 형성 유닛(12Y, 12C, 12K)은 화상 형성 유닛(12)과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2M)의 각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부호 M을 생략해서 표시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12)은 화살표 A(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감광체(28)를 구비하고 있다. 감광체(28)의 주위에는, 감광체(28)의 표면에 접촉해서 감광체(28)를 한결같이 대전하는 대전 장치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72)과, 전술한 노광광(L)에 의해 감광체(28)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각 색의 현상제(토너)로 현상하는 현상부(70)와, 전사 후의 감광체(28)의 표면에 광을 조사해서 제전(除電)을 행하는 제전 장치의 일례로서의 이레이즈 램프(74)와, 제전 후의 감광체(28)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유닛(76)이 설치되어 있다.
대전 롤(72), 현상부(70), 이레이즈 램프(74), 및 클리닝 유닛(76)은 감광체(28)의 표면과 대향하고, 감광체(28)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대전 롤(72)은 현상부(70)의 후술하는 현상제 유지 부재로서의 현상 롤(78)보다 연직 방향 하측으로 배치되도록, 화상 형성 유닛(12)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전 롤(72)의 외주면에서 감광체(28)과 반대측에는, 대전 롤(72) 표면에 부착된 토너 등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79)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전 롤(72)은 도시를 생략한 통전 수단에 접속되어 있고, 화상 형성 시에 통전됨으로써 감광체(28) 표면을 대전시킨다.
현상부(70)는 화상 형성 유닛(12M)의 좌단부에 배치되고, 현상제(G)가 충전된 현상제 수용실(80)과, 현상제 수용실(80)의 우측에서 현상제 수용실(80)과 감광체(28) 사이에 설치된 현상실(82)과, 현상제 수용실(80) 및 현상실(82)의 하측에 설치되고, 현상제 수용실(8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G)를 교반(혼합)해서 현상실(82)에 반송하는 교반 반송실(84)을 갖고 있다.
현상제 수용실(80)은 감광체(28)측을 향해서 상부가 경사진 상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제 1 개구부(8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개구부(83)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내부에 미리 현상제(G)(도면 중의 선은 충전 후의 현상제의 상면 높이를 나타내고 있음)가 유입되어 충전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G)의 충전 후, 제 1 개구부(83)는 밀봉 부재(도시 생략)로 밀봉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실(80)과 현상실(82) 사이에는, 현상제 수용실(80)의 격벽의 일면을 구성하고, 현상제 수용실(80)과 현상실(82)을 구획하는 칸막이벽(8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벽(86)은 평면 투시, 즉 감광체(28)의 축에 교차하는 단면시(斷面視)에서 현상 롤(78)과 중첩되는 영역(SA)을 갖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벽(86)은 현상실(82)의 현상 롤(78)에 근접해서 경사진 경사부(86A)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부(86A)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폭이 현상 롤(78)의 길이 방향의 폭보다 짧은 제 2 개구부(8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개구부(88)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80)과 현상실(82)이 연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개구부(88)는 하측 가장자리부(88A)가, 현상 롤(78)의 회전 중심(O)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현상실(82)로부터 현상제 수용실(80)에의 현상제(G)의 유입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개구부(88)의 내부 영역은 부분적으로 영역(S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칸막이벽(86)의 제 2 개구부(88)보다 하측의 벽부(86B)는 경사부(86A) 의 경사각보다 중력 방향을 향해서 「Λ」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현상 롤(78)과의 간격이 경사부(86A)에 비해서 넓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상 롤(78)로부터 박리된 현상제(G)의 현상 롤(78)에의 재부착량이 저감한다.
또한, 현상제 수용실(80)은 칸막이벽(86)과 대향하고, 또한 화상 형성 유닛(12M)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벽(81)을 갖고 있다. 측벽(81)에는 현상제 수용실(80)의 단면적이 제 1 개구부(83)의 단면적보다 작아지는 축경부(縮徑部)로 되도록, 현상제 수용실(80)의 내측을 향해서 구부러진 축경부(81A)가 형성되어 있다. 축경부(81A)는 전술한 벽부(86B)의 「Λ」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보다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현상 장치 전체의 폭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3을 참조).
또한, 현상제 수용실(80)의 하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 3 개구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현상제 수용실(80)과 교반 반송실(84)은 제 3 개구부(87)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고, 현상제 수용실(80)에 충전(수용)되어 현상제 수용실(80) 내를 흘러내려간 현상제(G)는 제 3 개구부(87)를 통해서 교반 반송실(84)에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개구부(88)와 제 3 개구부(87)는, 미리, 각각 밀봉 부재(85A, 85B)로 밀봉되어 있고, 프린터(10)에의 화상 형성 유닛(12M)의 부착 전에, 밀봉 부재(85A, 85B)가 화상 형성 유닛(12M)의 한쪽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의 분리 동작에 따라, 각 개구부 부근에 정류(停留)하는 현상제(G)에 진동이 주어져서, 제 2 개구부(88) 및 제 3 개구부(87)로부터 현상제(G)가 낙하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반송실(84)은, 저면(底面)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된 칸막이벽(93)으로 구획되고, 제 1 교반로(84A)와 제 2 교반로(84B)의 2조(條)의 교반로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벽(93)의 양단부 위치에는 개구된 제 1 연통구(94)와 제 2 연통구(9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연통구(94)와 제 2 연통구(95)에 의해, 제 1 교반로(84A)와 제 2 교반로(84B)가 연통하고 있다.
제 1 교반로(84A)의 상면은 개구로 되어 있고, 제 3 개구부(87)가 배치되어 현상제 수용실(80)과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 2 교반로(84B)의 상면은 개구로 되어 있고, 상방에 현상 롤(78)이 배치되어 현상실(82)과 연통하고 있다.
제 1 교반로(84A)의 일단(一端)(도 2의 지면 깊이측)은, 제 2 교반로(84B)의 단면보다 외측을 향해서 돌출한 돌출부(90)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90)의 상면에는, 전술한 토너 공급로(13M)(도 1 참조)의 타단(他端)이 접속되는 토너 공급구(9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11M)의 토너가 토너 공급로(13M)를 흘러내려가, 화상 형성 유닛(12M)(현상부(7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교반로(84A)에는 제 1 교반 반송 부재(91)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교반 반송 부재(91)는 화상 형성 유닛(12M)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축부(91A)와, 제 1 축부(91A)의 주위에 설치된 나선 형상의 제 1 날개부(91B)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교반로(84B)에는 제 2 교반 반송 부재(92)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교반 반송 부재(92)는 화상 형성 유닛(12M)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축부(92A)와, 제 2 축부(92A)의 주위에 설치된 나선 형상의 제 2 날개부(92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축부(91A) 및 제 2 축부(92A)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 및 기어로 이루어지는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축부(91A)가 화살표 C 방향, 제 2 축부(92A)가 화살표 D 방향(화살표 C, D는 다른 방향)으로 각각 회전한다. 따라서, 교반 반송실(84) 내의 현상제(G)는 공급된 토너와 혼합되어, 각각 제 1 교반로(84A) 내, 및 제 2 교반로(84B) 내를 교반 혼합되면서 반송된다. 교반 반송실(84) 내의 현상제(G)는 제 1 교반로(84A)와 제 2 교반로(84B) 사이를 화살표 방향(도 5 참조)으로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실(82)은 하부가 제 2 교반로(84B)과 연통하고 있고, 감광체(28)측의 측벽에 제 4 개구부(9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실(82)은 감광체(28)의 길이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해서 화살표 B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7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실(82)은 층 규제 부재로서의 박층 형성 롤(97)이 설치되어 있다.
박층 형성 롤(97)은 현상 롤(78)의 회전 방향의 감광체(28)보다 상류측에서, 현상 롤(78)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현상 롤(78) 상의 현상제(G)의 통과량을 규제하여, 현상 롤(78) 상에 미리 결정된 두께의 현상제층(박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현상 롤(78)은 현상실(82)에 형성된 제 4 개구부(98)를 통해서 감광체(28)의 외주면과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78)은 현상실(82)에 고정된 자계 발생 수단으로서의 마그넷 롤(78B)과, 중공(中空) 원통 형상이고 마그넷 롤(78B)의 외주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통 형상의 회전체로서의 현상 슬리브(78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78)과 감광체(28) 사이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부여되어서 전계가 형성되어 있고, 현상시에 현상제(G) 중의 토너를 감광체(28)의 잠상을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78)의 마그넷 롤(78B)은 감광체(28)와 서로 마주하고 현상제(G)(도 6의 (a) 및 (b)에서는 도시 생략)를 유지하기 위한 현상 극부(S1)와, 현상 극부(S1)와 다른 극성이고 현상 극부(S1)의 현상제를 끌어당기는 반송 극부(N1)와, 현상 극부(S1)와 같은 극성이고 반송 극부(N1)에 끌어당겨진 현상제(G)를 박리시키는 박리 극부(S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 롤(78B)은 박리 극부(S2)와 같은 극성이고 제 2 교반 반송 부재(92)에 의해 반송된 현상제(G)를 흡인하는 흡인 극부(S3)와, 흡인 극부(S3)와 다른 극성이고 박층 형성 롤(97)에 의해 박층을 형성하기 위한 층 형성 극부(N2)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극부(S1)는 감광체(28)와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반송 극부(N1)는 현상 슬리브(78A)의 회전 방향에서의 현상 극부(S1)보다 하류측에서, 현상 롤(78)의 연직 방향의 가장 상측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박리 극부(S2)는 제 2 개구부(8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흡인 극부(S3)는 제 2 교반 반송 부재(92)와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층 형성 극부(N2)는 박층 형성 롤(97)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극부(N1)로부터 현상 극부(S1)를 향해서 자계(M1)가 형성되어 있 고, 반송 극부(N1)로부터 박리 극부(S2)를 향해서 자계(M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층 형성 극부(N2)로부터 현상 극부(S1)를 향해서 자계(M3)가 형성되고, 층 형성 극부(N2)로부터 흡인 극부(S3)를 향해서 자계(M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박리 극부(S2)와 흡인 극부(S3)가 같은 극성이기 때문에, 박리 극부(S2)와 흡인 극부(S3) 사이의 영역에서는, 박리 극부(S2)를 향하는 자계(M5)와 흡인 극부(S3)를 향하는 자계(M6)의 반발력에 의해, 현상 슬리브(78A) 상의 현상제(G)가 박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78)에서는 마그넷 롤(78B)에서의 반송 극부(N1), 박리 극부(S2), 흡인 극부(S3), 층 형성 극부(N2), 및 현상 극부(S1)의 지름 방향에, 각각 자속 밀도가 가장 높아지는 영역(B1, B4, B5, B2, B3)이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개구부(88)는 반송 극부(N1)로부터 박리 극부(S2) 사이의 영역과 대향하는 영역(SB)에 위치해 있고, 또한 박리 극부(S2)의 자속 밀도가 가장 높아지는 영역(B4)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개구부(88)는 영역(SB) 및 영역(B4)에 개구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개구 전체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12M)의 클리닝 유닛(76)은 클리닝 블레이드(73)와, 반송 부재(75)를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73)는 감광체(28)의 표면에 접촉각을 갖고 접촉하여, 전사 잔류 토너 등을 긁어낸다. 또한, 반송 부재(75)는 클리닝 블레이드(73)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클리닝 블레이 드(73)에 의해 긁어내진 전사 잔류 토너 등을 배(排)토너 박스(도시 생략)에 배출한다.
화상 형성 유닛(12M)의 감광체(28)보다도 하측에서, 대전 롤(72) 및 클리닝 롤(79)의 좌측에는 노광용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유닛(12M)의 저면에서, 이 노광용의 공간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노광용 개구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광광(LM)이 노광용 개구부(69)를 통해서 감광체(28) 표면에 조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는, 프린터(10) 내부에 화상 형성 유닛(12Y, 12M, 12C, 12K)이 부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일부 부재에 관해서는 부호를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각 화상 형성 유닛(12)의 축경부(81A)에, 이웃하는 화상 형성 유닛(12)의 반송 부재(75)가 설치된 부분의 우측벽(77)이 배치되고, 즉 인접하는 화상 형성 유닛(12)이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화상 형성 유닛(12)의 가로폭을 W1이라고 하고, 프린터(10)에 부착된 화상 형성 유닛(12Y, 12M, 12C, 12K) 전체의 가로폭을 W2라고 하면, W2<(4×W1)로 되어 있어, 단지 화상 형성 유닛(12)을 4개 병렬 배치한 것에 비하여, 수평 방향의 설치 스페이스가 작아져 있다.
다음으로, 프린터(10)의 화상 형성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도시 생략)에서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는, 또한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4색의 색재 계조 데이터로 변환되어, 노광 유닛(40)에 순서대로 출력된다. 노광 유닛(40)에서는, 각 색의 색재 계조 데이터에 따라 각 노광광(L)을 출사하여, 각 감광체(28)에 주사 노광을 행하고, 잠상(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28)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부(70)에 의해 각각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토너상(현상제 상)으로서 현재화(顯在化)되어 현상이 행해진다. 그리고, 각 화상 형성 유닛(12Y, 12M, 12C, 12K)의 감광체(28) 상에 순서대로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은, 4개의 1차 전사 롤(18Y, 18M, 18C, 18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6) 상에 순서대로 다중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16) 상에 다중 전사된 각 색의 토너상은 2차 전사 롤(20)에 의해, 반송되어 온 기록 용지(P) 상에 2차 전사된다. 그리고, 기록 용지(P) 상의 각 색의 토너상이 정착 장치(60)에 의해 정착되고, 정착 후의 기록 용지(P)는 배출 트레이(68)에 배출된다.
토너상의 전사 공정이 종료한 후의 감광체(28)의 표면은 클리닝 유닛(76)에 의해 잔류 토너나 지분 등이 제거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6) 상의 잔류 토너나 지분 등이 클리닝 장치(30)에 의해 제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의 (a)와 (b)에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유닛(12)과의 비교예로서, 화상 형성 유닛(200)이 나타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2)과의 비교 개소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유닛(200)의 일부의 구성 부재는 화상 형성 유닛(12)과 같은 부호를 부여해서 설명한다. 또한, 현상제(G)는 실제로는 미립(微粒)이며, 현상 롤(78)의 외주에서 곤두선 상태(bristle state)로 되는 것이지만, 이후에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곤두서기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직경의 동그라미 표시로 표시한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200)은 현상제(G)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실(202)과, 현상제 수용실로 흘러내린 현상제(G)를 교반 반송하는 교반 반송실(203)과, 교반 반송실(203)로부터 공급된 현상제(G)를 감광체(28) 표면에 반송해 현상을 행하는 현상실(204)이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실(202)과 현상실(204) 사이에는 칸막이벽(206)이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벽(206)은 현상 롤(78)에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지만, 개구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00)의 수송시의 흔들림 등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202)의 상부(예를 들면, 현상 롤(78)보다 상측)에 현상제(G)가 고여 있다고 한다. 이 현상제(G)의 덩어리를 현상제(GU)라고 한다.
계속해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200)을 프린터(10)(도 1 참조)에 설치했을 때, 현상제(GU) 중의 현상제(G)는 자체 중량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202) 내를 흘러내리고, 일부 현상제(G)는 칸막이벽(206)을 따라 흘러내린다. 따라서, 칸막이벽(206)이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흘러내리는 현상제(G)는 경사면에 정류하기 쉽다. 또한 여기서, 칸막이벽(206)이 현상 롤(78)에 근접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칸막이벽(206)을 따라 흘러내리고 있는 현상제(G)에는 현상 롤(78)의 자력이 작용한다.
현상제(G)에는 자성을 갖는 캐리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제(G)의 일 부는 현상 롤(78)을 향해서 끌어당겨져 유지되어, 칸막이벽(206) 상에 퇴적되어간다. 이 퇴적된 현상제(G)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202) 내가 서서히 막히기 때문에, 상방에 있는 현상제(G)가 교반 반송실(203)에 흘러내려가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교반 반송실(203)에서는 필요한 현상제(G)의 양이 부족하여, 감광체(28) 상의 잠상의 현상에 필요한 토너량이 부족하게 된다.
한편,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유닛(12)에서, 수송시의 흔들림 등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80)의 상부(예를 들면, 현상 롤(78)보다 상측)에 현상제(G)의 덩어리인 현상제(GU)가 있다고 한다.
계속해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12)을 프린터(10)(도 1 참조)에 설치했을 때, 현상제(GU) 중의 현상제(G)는 자체 중량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80) 내를 흘러내리고, 일부 현상제(G)는 칸막이벽(86)을 따라 흘러내린다. 따라서, 제 2 개구부(8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칸막이벽(206)이 경사면을 갖고 있어도 현상제(G)가 흘러내리기 쉽다. 또한 여기서, 칸막이벽(86)이 현상 롤(78)에 근접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칸막이벽(86)을 따라 흘러내리고 있는 현상제(G)에는 현상 롤(78)의 자력이 작용한다.
현상제(G)에는 자성을 갖는 캐리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제(G)의 일부는 현상 롤(78)을 향해서 끌어당겨진다. 그리고, 끌어당겨진 현상제(G)는 제 2 개구부(88)를 통해서 현상실(82) 내에 진입하고, 제 2 교반로(84B)에 낙하한다. 제 2 교반로(84B)에 낙하한 현상제(G)는 일부가 현상 롤(78)의 회전에 의해 현상에 이용되고, 나머지가 제 1 교반로에 순환 반송된다.
여기서, 제 2 개구부(88)는 반송 극부(N1)로부터 박리 극부(S2)까지의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SB)(도 6의 (a) 참조)이고, 또한 자속 밀도가 가장 높은 영역(B4)(도 6의 (b) 참조)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칸막이벽(86)을 따라 흘러내리고 있는 현상제(G)는 자계(M2)(도 6의 (a) 참조)에 의해 대부분이 현상 롤(78)에 끌어당겨지게 되고, 제 2 개구부(88)를 통해서 현상실(82) 내에 유입한다.
이렇게, 현상 롤(78)에 끌어당겨진 현상제(G)는, 그 대부분이 제 2 개구부(88)를 통해서 현상실(82)로 이동하기 때문에, 칸막이벽(86) 상에 현상제(G)가 퇴적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그리고, 현상제(GU)는 현상실(82)과 교반 반송실(84) 중 어느 한쪽에 낙하하여, 모두 현상에 이용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유닛(12)은 비교예의 화상 형성 유닛(200)(도 7의 (a) 및 도)에 비교하여, 현상제 수용실 내에 정류하는 현상제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9의 (a)에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유닛(12)의 제 2 실시예로서, 화상 형성 유닛(210)이 나타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2)과의 비교 개소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유닛(210)의 일부의 구성 부재는 화상 형성 유닛(12)과 같은 부호를 부여해서 설명한다. 또한, 현상제(G)는 실제로는 미립이고, 현상 롤(78)의 외주에서 곤두선 상태로 되는 것이지만, 이후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곤두서기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직경의 동그라미 표시로 표시한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210)은 현상제(G)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실(212)과, 현상제 수용실로부터 흘러내린 현상제(G)를 교반 반송하는 교반 반송실(213)과, 교반 반송실(213)로부터 공급된 현상제(G)를 감광체(28) 표면에 반송해 현상을 행하는 현상실(214)이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실(212)과 현상실(214) 사이에는 칸막이벽(216)이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벽(216)은 현상 롤(78)에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고, 칸막이벽(216)의 현상 롤(78)에 근접한 위치에는 개구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18)보다 하측의 칸막이벽(216)은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유닛(210)의 수송시의 흔들림 등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212)의 상부(예를 들면, 현상 롤(78)보다 상측)에 현상제(G)가 고여 있다고 한다. 이 현상제(G)의 덩어리를 현상제(GU)라고 한다.
화상 형성 유닛(210)을 프린터(10)(도 1 참조)에 부착했을 때, 현상제(GU) 중의 현상제(G)는 자체 중량에 의해 현상제 수용실(212) 내를 흘러내리고, 일부 현상제(G)는 칸막이벽(216)을 따라 흘러내린다. 여기서, 칸막이벽(216)이 현상 롤(78)에 근접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칸막이벽(216)을 따라 흘러내리고 있는 현상제(G)에는 현상 롤(78)의 자력이 작용한다.
현상제(G)에는 자성을 갖는 캐리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제(G)의 일부는 현상 롤(78)을 향해서 끌어당겨진다. 끌어당겨진 현상제(G)의 대부분은 개구부(218)를 통해서 현상실(214)에 유입하기 때문에, 현상제 수용실(212) 내가 현상제(G)로 막히기 어려워진다.
개구부(218)를 통해서 현상실(214)에 유입한 현상제(G)는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측으로 낙하하려고 한다. 여기서, 칸막이벽(216)의 개구부(218)보다 하측이 직선 형상이고, 현상 롤(78)과 칸막이벽(216)의 간격이 좁아져 있기 때문에, 개구 부(218)로부터 낙하하는 현상제(G)는 칸막이벽(216)과 현상 롤(78) 사이에 끼워져 압력을 받기 쉽다. 그러나, 칸막이벽(216)에 개구부(218)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현상제 수용실(212)에 정류하는 현상제(G)는 적다.
한편,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유닛(12)에서는, 칸막이벽(86)의 제 2 개구부(88)보다 하측이 경사부(86A)의 경사각보다 중력 방향을 향해서 구부러져 있고, 칸막이벽(86)과 현상 롤(78)의 간격(공간)이 넓어져 있다. 이 때문에, 제 2 개구부(88)로부터 낙하하는 현상제(G)는 칸막이벽(86)과 현상 롤(78)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가 없이 대부분 낙하하고, 현상 롤(78)의 외주, 즉 현상 슬리브(78A)의 외주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 후의 현상제(G)는 현상 롤(78)의 회전에 의해 박리 극부(S2)로부터 흡인 극부(S3) 사이에서 현상 롤(78)로부터 박리된다. 이에 따라, 현상 롤(78)과 감광체(28) 사이의 현상 영역에서는 미사용의 현상제(G)가 이용되어, 현상에 이용할 수 있는 토너량이 충분한 양으로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12)에서는 제 2 개구부(88) 전체가 현상 롤(78)의 회전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 롤(78)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칸막이벽(86)이 현상제(G)의 이동의 장해물로 된다. 이에 따라, 현상 롤(78)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 후의 현상제(G)는 제 2 개구부(88)를 통해서 현상제 수용실(80)에 유입하는 것이 곤란해져, 제 2 교반로(84B)에 낙하한다. 이렇게 하여, 현상 후의 현상제(G)가 제 1 교반로(84A)에 유입하지 않아, 제 1 교반로(84A)와 제 2 교반로(84B)에 존재하는 현상제(G)의 양의 편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개구부(88)는 칸막이벽(86)에 슬릿(slit) 형상으로 복수 형성된 것이여도 된다. 또한, 제 2 개구부(88)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만이 아니라,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이나, 원형 형상이여도 된다.
축경부(81A)의 형성 위치는 화상 형성 유닛(12)의 중앙부만이 아니라, 화상 형성 유닛(12)의 외형에 맞추어, 상부, 하부 중 어느 쪽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칸막이벽(86)의 벽부(86B)의 형상은 「Λ」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것만이 아니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한 것이나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 것이여도 된다.
또한, 2성분 현상 방식의 현상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자성 1성분 또는 비자성 1성분의 현상 방식의 현상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기재는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전술한 명확한 형태로 규정 또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당업자에게 있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명백하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의 가장 적절한 설명 및 그 실질적인 용도에 따라 선정되고 기재되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이해하고 특정한 용도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 및 그 동등물에 의해 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닛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 롤과 칸막이벽의 평면 투과에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반송실의 단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 롤의 자력선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 롤의 자속 밀도의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의 (a)는 본 발명과의 비교예의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현상제의 흘러내림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의 (b)는 본 발명과의 비교예의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현상제의 흘러내림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현상제의 흘러내림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현상제의 흘러 내림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현상제의 흘러내림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현상제의 흘러내림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린터(화상 형성 장치) 12…화상 형성 유닛(화상 형성 유닛)
14…전사부(전사부) 28…감광체(잠상 형성부)
40…노광 유닛(노광부) 60…정착 장치(정착부)
70…현상부(현상 장치) 78…현상 롤(현상제 유지 부재)
78A…현상 슬리브(회전체) 78B…마그넷 롤(자계 발생 수단)
80…현상제 수용실(현상제 수용실) 81…측벽(측벽)
81A…축경부(축경부) 82…현상실(현상실)
84…교반 반송실(교반 반송실) 85A…밀봉 부재(밀봉 부재)
85B…밀봉 부재(밀봉 부재) 86…칸막이벽(칸막이벽)
86B…벽부(벽부) 88…제 2 개구부(개구부)
88A…하측 가장자리부(하측 가장자리부)G…현상제(현상제)
N1…반송 극부(반송 극부) P…기록 용지(기록 매체)
S1…현상 극부(현상 극부) S2…박리 극부(박리 극부)

Claims (11)

  1.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실과,
    현상제를 자력(磁力)으로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격벽(隔璧)의 일부이며, 상기 현상제 수용실과 상기 현상제 유지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평면 투시(透視)에서 상기 현상제 유지 부재의 상방(上方)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갖는 칸막이벽과,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현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유지 부재는,
    상 유지체와 마주보고 현상제를 유지하는 현상 극부(極部)와, 상기 현상 극부와 다른 극성이고 상기 현상 극부의 현상제를 끌어당기는 반송 극부와, 상기 현상 극부와 같은 극성이고 상기 반송 극부에 끌어당겨진 현상제를 박리시키는 박리 극부가 설치된 자계 발생 수단과,
    상기 자계 발생 수단의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外周面)에 현상제를 유지 또는 박리하는 통 형상의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극부로부터 상기 박리 극부 사이의 영역과 대향해서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고 있는 현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박리 극부의 자속 밀도가 가장 높은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현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부 영역은 상기 중첩되는 영역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현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유지 부재는 현상실에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개구부보다 하측의 벽부가, 상기 개구부의 상측의 벽부의 경사각보다 중력 방향을 향해서 구부러져 있는 현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개구부보다 하측의 구부려져 있는 벽부가 「Λ」자 형상인 현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유지 부재는 현상실에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벽의 상기 개구부보다 하측의 벽부가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현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상기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벽(側壁)은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내측을 향해서 구부러져, 현상제 수용실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축경부(縮徑部)가 형성되어 있는 현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현상제 유지 부재의 회전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현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조작자에 의해 박리 가능한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현상 장치.
  11. 제 1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 장치로 잠상을 현재화(顯在化)하는 화상 형성 유닛이 복수 설치되며, 이웃하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상기 현상제 수용실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중첩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31660A 2008-10-20 2009-04-13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239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70193A JP4656223B2 (ja) 2008-10-20 2008-10-20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8-270193 2008-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71A true KR20100044071A (ko) 2010-04-29
KR101239815B1 KR101239815B1 (ko) 2013-03-06

Family

ID=4210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660A KR101239815B1 (ko) 2008-10-20 2009-04-13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45895B2 (ko)
JP (1) JP4656223B2 (ko)
KR (1) KR101239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860A1 (ko) 2020-08-31 2022-03-03 정재우 용접용 토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5792B2 (ja) * 2010-04-23 2012-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085690B2 (ja) 2010-07-07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84595B2 (ja) * 2010-09-03 2013-04-17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203252A (ja) * 2011-03-25 2012-10-22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423721B2 (en) * 2014-09-09 2016-08-23 Fuji Xerox Co., Ltd. Developing device, visible-image-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544619B2 (ja) * 2015-03-11 2019-07-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68075A (ja) *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242002B2 (ja) * 2019-03-18 2023-03-2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134B2 (ja) * 1987-05-01 1996-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5012285A (en) * 1987-05-08 1991-04-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including a partitioning arrangement for partitioning the toner accommodating tank
JP2510247B2 (ja) * 1988-07-15 1996-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方法
JP4294238B2 (ja) * 2001-08-09 2009-07-0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JP2003307910A (ja) * 2002-04-17 2003-10-31 Canon Inc 画像記録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687191B2 (ja) 2005-03-29 2011-05-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600331B2 (ja) * 2006-03-29 2010-1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97372B2 (ja) 2006-07-03 2012-03-1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860A1 (ko) 2020-08-31 2022-03-03 정재우 용접용 토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45895B2 (en) 2011-10-25
JP2010097140A (ja) 2010-04-30
KR101239815B1 (ko) 2013-03-06
US20100098463A1 (en) 2010-04-22
JP4656223B2 (ja)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815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853963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1764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aste toner conveying device incorporated in same
EP1998231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540787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804624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5862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00226688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047833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97610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6065952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90733B2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442186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10895827B2 (en) Developer conveyor having three blades
JP2009063710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17762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34234A (ja) 粉体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217328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848703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691982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5457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37085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93466B2 (ja) 画像形成装置
JP5515892B2 (ja) 現像装置
JP201021094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