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297A -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 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 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297A
KR20100042297A KR1020107007797A KR20107007797A KR20100042297A KR 20100042297 A KR20100042297 A KR 20100042297A KR 1020107007797 A KR1020107007797 A KR 1020107007797A KR 20107007797 A KR20107007797 A KR 20107007797A KR 20100042297 A KR20100042297 A KR 20100042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band
tire
front wheel
wheel tir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533B1 (ko
Inventor
귄터 슈타인바흐
Original Assignee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10004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2Tread patterns directional pattern, i.e. with main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1Tyres requiring an asymmetric or a special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1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motorcycles, scooter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1,101)는 복수의 그루브(13,14,16,18,114,116)가 형성되는 트레드 밴드(12)를 가지며, 오토바이의 전륜과 후륜에 각각 장착되는 전륜 타이어(1)와 후륜 타이어(101)를 구비하고,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는 a)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X-X)에서 상기 적도면(X-X) 양쪽으로 뻗쳐있는 중앙영역(E)내에 뻗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13); 및 b)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E)내에 놓이는 축방향 내부단부(14a)를 가지고 상기 중앙영역(E) 외부의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F,G)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E)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있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4)를 구비하고,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는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X-X) 양쪽으로 뻗쳐있는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E)내에 실질적으로 널 실/랜드비(null seal/land ratio)를 형성하고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5% 내지 약 30%의 폭을 갖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1,101)는 타이어의 건조 노면 및 젖은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킬로미터 일드 및 견인특징을 이점적으로 향상되게 한다.

Description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 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 방법{Pair Of Front And Rear Pneumatic Tires For Motorcycles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n Both Wet And Dry Ground Of A Motorcycle Equipped With Said Pair}
본 발명은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트레드 밴드를 가지며, 오토바이의 전륜 및 후륜에 각각 장착되는 전륜 타이어 및 후륜 타이어를 구비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오토바이용 공기압 타이어 분야와 특히 소위 고성능 및 큰 중량의 "스포츠-여행" 오토바이용 공기압 타이어 분야에서, 타이어 제조에 해결되어야 할 가장 난점 중 하나는 타이어의 젖은 지면상의 성능, 킬로미터 일드(kilometer yield), 마모 규칙성 및 견인특징을 향상하는 한편 동시에 이들 특징 간의 최선의 가능한 절충을 찾는 문제이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는 특히 이들 특징들이 서로 상충되는 사실로 인해 해결하기가 어렵다.
젖은 지면상의 성능은 타이어의 지면접촉영역에 있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충분한 개수의 그루브들이 트래드 밴드에 있는 것과 주로 관련되는 반면에, 이와는 대조적으로 타이어의 킬로미터 일드, 마모 규칙성 및 견인특징은 그루브의 개수를 가능한 최소 한도로 줄임으로써 유리하게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그 자체적으로도 어려운 이 문제는 젖은 지면상의 성능이 직선도로 및 곡선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모두에 보장되어야 하는 사실에 의해 추가적으로 더 복잡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출원인은 오토바이 타이어의 습한 지면상의 성능 및 킬로미터 일드(kilometer yield), 마모 균일성 및 견인특성을 모두 향상시키는 문제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봄으로써, 즉,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기 위해 한번에 전륜 및 후륜 타이어 모두를 고려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았다.
이러한 관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가 특정한 디자인 특징이 형성되는 트래드 패턴을 각각 갖는 전륜 및 후륜 타이어를 함께 결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오토바이용 공기압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는
a)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 양쪽으로 뻗쳐있는 중앙영역내에 뻗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 및
b) 상기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내에 놓이는 축방향 내부단부를 가지고 상기 중앙영역 외부의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지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는 상기 후륜 타이어의 적도면 양쪽으로 확되하는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내에 실질적으로 널 실/랜드비(null seal/land ratio)를 형성하고 상기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5% 내지 약 30%의 폭을 갖는 영역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 트래드 밴드 또는 트래드 밴드의 임의의 부분의 "축전개"는 타이어의 외주면을 따라 측정할 때 폭의 펼침, 또는 다르게 말하면 평평한 표면을 따른 트래드 밴드의 전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출원인은 전륜 타이어에서 상기 형성된 바와 같은 트래드 밴드를 채택함으로써, 전륜 타이어가 직선도로 및 곡선도로 모두를 따른 주행동안 지면접촉영역하에 있는 후륜 타이어가 실질적으로 물이 없는 "트랙"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배수능력을 달성한다.
이러한 이점적인 기술적 효과는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으로 뻗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와 상기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내에 놓이는 축방향 내부단부를 갖는 상술한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 모두에 의해 작용되는 배수동작에 기인할 수 있다.
전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되는 이러한 이점적인 기술적 효과로 인해,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는 상기 후륜 타이어의 적도면 양쪽으로 뻗쳐지고 특정한 축전개를 갖는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 내에 실질적으로 널 실/랜드비를 형성하는 상기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견인성능 및 내마모성을 최적화하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에 뻗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는 또한 타이어 주행동안 힌지 요소로서 작용하므로 전륜 타이어의 주행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부가적으로 이점적인 기술적 효과를 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쌍의 타이어는 동일한 타입의 사용에 대한 종래기술의 타이어에 대하여 아래의 상당한 이점을 달성하게 한다:
a) 어떠한 수막현상도 더 양호하게 제어하도록 타이어 지면접촉영역하에 있는 물을 배수하는 전륜 타이어 능력의 향상;
b) 직선도로상에서 전륜 타이어의 주행 안정성의 향상;
c) 후륜 타이어의 견인성능의 향상;
d) 해당기술분야에서 용어 "청킹(chunking)"이라고 하는 트래드 밴드의 고무부분의 불규칙하고 불균일한 마모현상의 상당한 제거로 후륜 타이어의 마모 균일성의 향상; 및
e) 후륜 타이어의 내마모성 및 이에 따른 타이어의 킬로미터 일드의 향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은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0% 내지 약 35%의 폭을 갖는다.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은 트래드 밴드로부터 지면접촉영역하에 있는 물을 배수하도록 위임된 트래드 밴드의 바로 중앙영역내에 놓이는 축방향 내부단부를 갖는 적절한 개수의 횡방향 그루브를 제공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은 약 15% 내지 약 30% 사이의 실/랜드비를 갖는다.
아래의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 트래드 밴드 또는 트래드 밴드의 임의의 부분의 "실/랜드비"는 트래드 밴드 또는 트래드 밴드의 임의의 부분에 있는 그루브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 및 각각 트래드 밴드 또는 트래드 밴드의 임의의 부분의 전체 영역 사이의 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는 상기 트랜드 밴드의 중앙영역 및 숄더영역 사이에 놓이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을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측영역에는 특정 폭과 특정 실/랜드비가 제공된다.
이점적으로, 이들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은 타이어가 곡선도로를 따라 주행할 때, 즉, 타이어가 원심력을 균형잡는데 필요한 캠버 스러스트(camber thrust)를 제공하도록 경사질 때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더 향상시킨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중간측영역은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5% 내지 약 35%의 폭과 약 15% 내지 약 35%의 실/랜드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르면,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트래드 밴드의 소위 마모파형과 가능한 한 일치하도록 실질적으로 곡선이다.
이러한 그루브의 일치는 이점적으로 트래드 밴드의 마모를 줄이고 마모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차량의 주행동안 타이어 소음을 감소시키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또한,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전륜 타이어의 주행방향과 약 30°내지 약 60°,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내지 약 50°의 각도를 형성한다.
아래의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주향방향과 함께 전륜 타이어에 있는 그루브에 의해 형성된 모든 각도들은 그루브의 상류에서 측정할 때 아래에 형성된 각도이도록 되어있다:
*a) 그루브와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에 의해 형성된 트래드 밴드의 각각의 절반부를 양분하는 둘레방향라인 사이의 교차점에서 상기 그루브에 대한 접선; 및
b) 전륜 타이어의 주행방향.
아래의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 "상류(upstream)"와 "하류(downstream)"는 그루브의 위치에 대하여 각각 상기 그루브 이전에 그리고 상기 그루브 이후에 타이어의 회전동안 지면과 접촉하거나 압박이 가해지는 트래드 밴드의 부분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오토바이의 제동거리가 감소되고, 타이어의 제동동작의 결과적인 향상을 갖는 제동동안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의 상당한 증가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마모파형을 더 잘 따르기 위해,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상기 중앙영역 외부의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에서 상기 트래드 밴드의 상류에 위치된 곡률중심을 갖는다.
이러한 중간측영역에서,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에 의해 형성된 트래드 밴드의 각각의 절반부를 양분하는 둘레방향라인을 따라 위치된 곡률중심으로부터 측정할 때 약 40 내지 약 2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120㎜의 곡률반경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의 배수효과는 트래드 밴드의 마모감소 및 마모 균일성 향상의 상술한 효과를 유지하면서 이점적으로 최적이게 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차량의 주행동안 타이어 소음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 중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에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상술한 중앙영역내에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배수효과가 이점적으로 최적이 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적어도 2개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 내에서 상기 트래드 밴드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분포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횡방향 그루브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은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이 경우, 이러한 바람직한 그루브 배열을 채택함으로써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배수효과가 이점적으로 최적이 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륜 타이어는 상기 횡방향 그루브의 축방향으로 마주보고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그룹들 사이에 타이어 적도면의 어느 한 측면상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더 포함한다.
이점적으로, 이러한 추가적인 둘레방향으로의 "중간" 횡방향 그루브는 상기 그루브에 의해 차지된 영역과 트래드 밴드의 고무부분에 의해 차지된 영역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달성하는데 일조함으로써 트래드 밴드의 내마모성을 최적화하는 한편 트래드 밴드의 배수능력을 증가시키는 이점적인 이중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추가적인 둘레방향으로의 "중간" 횡방향 그루브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기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과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 사이의 경계선에 놓여있는 축방향 내부단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배열로 인해, 타이어가 곡선도로를 따라 주행할 때 트래드 밴드의 배수능력이 이점적으로 더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또한,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실질적을 서로 평행하다.
이러한 그루브의 일치는 이점적으로 트래드 밴드의 마모를 줄이게 하고 차량의 주행동안 소음과 주행동안 바람직하지 못한 진동의 개시 모두를 줄이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둘레방향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는 실질적으로 권선형태로 상기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을 축방향으로 교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는 바람직하게는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의 양측면에 위치된 각각의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곡률중심을 갖는 복수의 곡선 부분을 구비한다.
이점적으로, 둘레방향 그루브의 기하학적 구성은 불균일한 도로면과, 특히, 예컨대, 미국의 도로면에 형성된 소위 "레인 그루브(rain groove)"와 같은 길이방향 채널 또는 도로의 아스팔트면이 교체를 위해 제거되는 경우 도로에 형성될 수 있는 길이방향 채널을 갖는 도로면을 따라 주행할 때 전륜 타이어의 주행 안전성을 증가키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의 곡선 부분은 전륜 타이어의 주행 안정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약 40 내지 약 200㎜,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20㎜의 곡률반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륜 타이어는 전륜 타이어보다 더 낮은 곡률반경을 갖는다.
아래의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 "곡률비(curvature ratio)"는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으로의 마주보는 단부들 또는 트래드 밴드의 "캠버"를 지나는 선으로부터, 한편으로는, 적도면에서 측정되는 트래드 크라운의 높이 및 다른 한편으로는 트래드 밴드의 상기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의 거리의 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는 중앙영역 외부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있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특징으로 인해, 젖은 노면상에 한 쌍의 타이어의 전체적인 성능에 이익이 되도록 곡선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후륜 타이어의 적절한 배수능력을 유익하게 이점적으로 얻을 수 있다.
심하게 커브도는 동안, 실제로, 후륜 타이어는 전륜 타이어의 "트랙(track)"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벗어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물이 없는 지면상으로의 주행의 상술한 이점을 잃어버리게 된다.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선택적으로 있는 횡그루부는 극단적인 성능조건에서도 또한 배수능력을 상기 타이어에 이점적으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는 상기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과 숄더영역 사이에 놓이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측영역은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5% 내지 약 35%의 폭과 약 10% 내지 약 30%의 실/랜드비를 갖는다.
이런 식으로, 전륜 타이어에 대하여 바로 동일한 방식으로 곡선도로를 따라 주행할 때 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이점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소위 트래드 밴드의 마모파형과 가능한 한 많이 일치하도록 실질적으로 곡선이다.
이러한 그루브의 일치는, 실제로, 트래드 밴드의 마모를 이점적으로 줄이게 하고, 마모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주행동안 타이어 소음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바람직하기로,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후륜 타이어의 주행방향과 약 30°내지 약 60°,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내지 약 50°의 각도를 이루므로, 이에 의해 제동동안 후륜 타이어를 세우는 배수능력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며, 이와 함께 오토바이 제동거리가 감소됨으로써 타이어의 제동동작이 결과적으로 향상된다.
아래의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주행방향과 후륜 타이어의 그루브에 의해 형성된 모든 각도들은 그루브의 하류에 측정할 때 아래에 의해 형성된 각도로 되어 있다:
a) 그루브와 후륜 타이어의 적도면에 의해 형성된 트래드 밴드의 각각의 절반부를 양분하는 둘레방향라인 사이의 교차점에서 그루브에 대한 접선; 및
b) 후륜 타이어의 주행방향.
바람직하기로, 상술한 마모파형을 더 잘 따르도록 하기 위해,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상기 중앙영역 외부의 트래드 밴드의 마주보는 중간측영역에서 상기 트래드 밴드의 상류에 위치된 곡률중심을 갖는다.
이러한 중간측영역에서,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후륜 타이어의 적도면에 의해 형성된 트래드 밴드의 각각의 절반부를 양분하는 둘레방향라인을 따라 위치된 곡률중심으로부터 측정할 때 약 60 내지 240㎜,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160㎜의 곡률반경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의 배수효과는 트래드 밴드의 마모감소, 마모균일성의 향상 및 차량 주행동안 타이어 소음 감소의 상술한 효과를 유지하면서 이점적으로 최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적어도 2개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 내에서 둘레방향으로 분포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횡방향 그루브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은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그루브 배열을 채택함으로써,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배수효과가 이점적으로 최적이 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륜 타이어는 상기 횡방향 그루브의 축방향으로 마주보고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그룹들 사이에서 타이어 적도면의 어느 한 측상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그루브를 더 포함한다.
전륜 타이어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이러한 추가적인 둘레방향의 "중간" 횡방향 그루브는, 특히 후륜 타이어가 곡선도로를 주행할 때, 그루브가 차지하는 영역과 트래드 밴드의 고무부분이 차지하는 영역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달성하는데 일조함으로써 트래드 밴드의 마모 규칙성을 최적화하면서 트래드 밴드의 배수능력을 증가시키는 이중 기능을 이점적으로 발휘한다.
바람직하기로, 또한,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이러한 그루브의 일치는, 실제로, 트래드 밴드의 마모를 감소시키게 하고 차량의 주행동안 타이어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 중 적어도 일부는 브릿징 그루브(bridging grooves)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상호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후륜 타이어는 전륜 타이어에 할당된 슬립각도로 인해 전륜 타이어와 완전히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오토바이의 웨트 그립(wet grip) 성능에 대한 임계조건인 오토바이가 곡선도로를 주행할 때 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이점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 중 적어도 일부에는 후륜 타이어의 적도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갖는 테이퍼진 단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륜과 후륜에 각각 장착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륜 타이어(1)와 후륜 타이어(101)가 설치되는 청구항 27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오토바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청구항 28에 정의된 바와 같이, 전륜 타이어와 후륜 타이어가 설치되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a) 상기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 양쪽으로 뻗쳐있는 중앙영역내에 상기 전륜 타이어의 지면접촉영역하에 상기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후륜 타이어의 적도면 양쪽으로 뻗쳐있는 상기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내에 실질적으로 널 실/랜드비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후륜 타이어의 견인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 a)는 상기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상기 중앙영역내에 놓이는 축방향 내부단부를 가지고, 상기 전륜 타이어의 상기 중앙영역 외부의 상기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있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를 상기 전륜 타이어에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 a)는 상기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0% 내지 약 35%의 폭을 갖는 상기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내에 약 15% 내지 약 30% 사이의 실/랜드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 a)는 상기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으로 뻗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런 식으로, 오토바이가 직선도로 및 곡선도로 모두를 따라 주행할 때 지면접촉영역하에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이점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상기 트래드 밴드의 상기 중앙영역과 상기 숄더영역 사이에 놓이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내에 약 15% 내지 약 35% 사이의 실/랜드비를 형성하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4,16)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더 향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중간측영역은 상기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5% 내지 약 35%의 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상술한 횡방향 그루브는 상기 전륜 타이어의 주행방향과 약 30°내지 약 60°,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내지 약 50°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상기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내에 놓이는 축방향 내부단부를 가지고 상기 중앙영역 외부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있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를 상기 트래드 밴드에 형성함으로써 곡선도로를 따라 주행할 때 상기 후륜 타이어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는 상기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상기 중앙영역과 상기 숄더영역 사이에 놓이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내에 약 10% 내지 약 30% 사이의 실/랜드비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중간측영역은 상기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5% 내지 약 35%의 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상기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는 상기 후륜 타이어의 주행방향과 약 30°내지 약 60°,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내지 약 50°의 각도를 형성한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단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에 의해 더 용이하게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한 쌍의 타이어는 동일한 타입의 사용에 대한 종래기술의 타이어에 대하여 아래의 상당한 이점을 달성하게 한다:
a) 어떠한 수막현상도 더 양호하게 제어하도록 타이어 지면접촉영역하에 있는 물을 배수하는 전륜 타이어 능력의 향상;
b) 직선도로상에서 전륜 타이어의 주행 안정성의 향상;
c) 후륜 타이어의 견인성능의 향상;
d) 해당기술분야에서 용어 "청킹(chunking)"이라고 하는 트래드 밴드의 고무부분의 불규칙하고 불균일한 마모현상의 상당한 제거로 후륜 타이어의 마모 균일성의 향상; 및
e) 후륜 타이어의 내마모성 및 이에 따른 타이어의 킬로미터 일드의 향상.
도 1은 도 2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오토바이 타이어 중 전륜 타이어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부의 평면 전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4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오토바이 타이어 중 후륜 타이어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부의 평면 전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오토바이 타이어 중 전륜 타이어가 전체적으로 1로 표시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양호한 방향 안정성 및 양호한 제어능력을 가지기 위해, 전륜 타이어는 후륜 타이어에 대해 감소된 폭의 적절한 단면을 가져야만 하며, 이는 특정한 횡곡률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횡곡률의 범위는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 양단부 C1을 지나는 선 b-b로부터 (적도면 X-X를 따라 측정된) 트래드 크라운(tread crown)까지의 거리 ht 및 상기 축방향의 양단부 C1 사이의 타이어의 현을 따라 측정된 거리 wt의 비의 특정값에 의해 형성된다.
트레드 밴드의 축방향 양단부가, 예컨대, 도 1에서 C1으로 표시된 코너와 같은 정확한 기준이 없음으로 인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없는 경우, 타이어 최대 현의 값이 거리 wt로 추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비를 타이어의 곡률비라고 한다.
자동차의 전륜 타이어의 곡률비는 대개 0.3 이상이며, 도 3에 도시되고 후술되는 대응하는 후륜 타이어(101)의 곡률비보다 어떤 경우에서도 항상 더 크다.
전륜 타이어(1)는 2개의 사이드월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디얼 카커스 플라이(4)를 포함하는 중앙 크라운부(3)를 갖는 카커스 구조(2)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월의 양측 단부(4a)는 대개 "비드 코어(bead cores)"로 알려진 각각의 환형보강구조체(5) 주위로 외부로 향해있다.
비드 코어(5)의 외주가장자리상에, 카커스 플라이(4)와 상기 카커스 플라이(4)의 대응하는 외향으로 접어서 구부러진 측면 가장자리(4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는 엘라스토머 충전물(6)이 도포되어 있다.
보강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8a)을 포함하는 벨트구조체(8)가 상기 카커스 구조(2)에 동축으로 결합된다.
벨트구조체(8)는 코드(9)가 카커스 구조(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중앙 크라운부(3)상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단일층(8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따라, 코드(9)는 실질적으로 전륜 타이어(1)의 회전방향을 따라 지향된 복수의 둘레방향 코일(9a)을 형성하며, 대개 상기 회전 방향을 타이어의 적도면 X-X을 기준으로 각 코드 위치에 대하여 "0도"라고 한다.
상기 코드(9)는 직물 또는 금속코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코드는 응력 변형도표에서 상기 코드가 신장력에 대해 5% 미만의 하중으로 0.4%를 초과하는,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사이에 포함되는 신장률(percent elongation)을 갖는 거동특성(behavior)을 나타내는 강철로 제조된 코어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코드는 고탄소강선(high carbon steel wire, HT), 즉, 0.9% 이상의 탄소를 함유한 강선으로 제조된다.
직물코드가 사용되는 경우, 나일론(nylon), 레이온(rayon), PEN, PET와 같은 합성섬유, 바람직하게는 고탄성률(high modulus) 합성섬유, 특히 아라미드 섬유(예컨대, Kevlar®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탄성률사(예컨대, Kevlar®)와 얽히는 적어도 하나의 저탄성률사(low-module thread)(예컨대, 나일론사 또는 레이온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코드(hybrid cords)가 사용될 수 있다.
벨트구조체(8)의 가능한 다른 구성에 대하여, 특정한 개개의 요건에 따라 가장 적절한 하나를 당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벨트구조체(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트립들로 서로 교차되는 2개의 바람직한 방향을 따라 지향되고 바람직하게는 적도면 X-X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경사진 엘라스토머 매트릭스에 합체된, 예를 들어, 보강코드와 같은 보강요소들이 제공된 고무처리된 섬유로 된 2개의 스트립(10,11)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내부층(8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가 지면과 접촉함으로써 트래드 밴드(12)가 상술된 벨트구조체(8)상에 공지된 방식으로 접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12)는
a)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 X-X에서 상기 적도면 X-X 양쪽으로 뻗쳐있는 중앙영역 E내에 뻗쳐있는 둘레방향 그루브(13); 및
b)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 E내에 놓여있는 축방향 내부단부(14a)를 가지고 상기 중앙영역 E 외부의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G,F)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 E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있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4)를 구비한다.
상술한 둘레방향 그루브(13)와 횡방향 그루브(14)는 트래드 밴드(12)에서 대개 도 2에서 화살표 RD로 표시되는 타이어의 진행방향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뻗쳐지고 모두 참조번호 15로 표시된 복수의 고무부분(rubber portions)을 형성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 E는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 X-X 양쪽으로 뻗쳐지고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 전개의 약 10% 내지 약 35%의 폭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기로, 상기 중앙영역 E는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 X-X 양쪽으로 뻗쳐지고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 전개의 약 15% 내지 약 25%의 폭을 갖는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리고 전륜 타이어(1)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트랜드 밴드(12)의 중앙영역 E는 약 15% 내지 약 30%,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25% 사이의 실/랜드비(seal/land ratio)를 갖는다.
가장 바람직하기로, 전륜 타이어(1)의 트랜드 밴드(12)는 중앙영역 E와 상기 숄더영역 F,G 사이에 놓인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C,D)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중간측영역(C,D)은 트래드 밴드의 축 전개의 약 15% 내지 약 35%의 폭과 약 10% 내지 약 30% 사이의 실/랜드비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기로, 중간측영역(C,D)은 트래드 밴드의 축 전개의 약 15% 내지 약 25%의 폭과 약 15% 내지 약 25% 사이의 실/랜드비를 갖는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그루부(14)는 실질적으로 소위 트래드 밴드의 마모 파형(wear waves)과 가능한 한 많이 일치하기 위해 곡선이다.
바람직하기로, 횡방향 그루브(14)는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 X-X에 평행한 전륜 타이어(1)의 주행방향 RD과 약 30°내지 약 60°,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내지 약 50°의 각도 α를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각도 α는, 횡방향 그루브(14)의 상류에서 측정할 때 전륜 타이어의 주행방향 RD와 함께, 전륜 타이어의 적도면 X-X에 의해 형성된 트래드 밴드(12)의 각각의 절반부를 양분하는 둘레방향라인 L과 횡방향 그루브(14) 사이의 교차점에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14)에 대한 접선으로서 정의된다(도 2 참조).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횡방향 그루브(14)는 상술한 둘레방향라인 L을 따라 위치된 곡률중심 CC로부터 측정할 때 약 40 내지 약 2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20㎜의 곡률반경 R1을 갖는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횡방향 그루브(14)의 일부는 둘레방향 그루브(13)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또한, 전륜 타이어의 트래드 밴드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4)는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둘레방향 그루브(13)에 모두 연결되는 2개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 내에서 트래드 밴드(12)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횡방향 그루브(14)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은 둘레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한편 트래드 밴드(12)는 횡방향 그루브(14)의 축방향으로 마주보고 둘레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그룹들 사이에서 전륜 타이어(1) 적도면 X-X의 어느 한 면상에 형성된 하나의 횡방향 그루브(16)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추가적인 둘레방향의 "중간" 횡방향 그루브(16)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영역 E와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C,D) 사이의 경계선에 놓이는 축방향 내부단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모든 횡방향 그루브(14,16)는 또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추가적으로, 둘레방향 그루브(13)는 실질적으로 권선형태에서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 X-X을 축방향으로 교차하고 바람직하기로는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 X-X의 양측에 위치된 각각의 둘레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곡률중심 CD를 갖는 복수의 곡선 부분(13a,13b)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곡선 부분(13a,13b)은 약 40 내지 약 3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80㎜의 곡률반경 R2를 갖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타이어를 형성하는 후륜 타이어(101)를 설명한다.
아래 설명과 이러한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륜 타이어(1)에 대하여 앞서 도시된 요소들과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후륜 타이어(101)의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며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륜 타이어(101)는 전륜 타이어보다 낮은 곡률비를 갖는다.
벨트구조체(8)는 실질적으로 타이어의 회전방향 또는 "0도" 코드를 따라 지향되는 복수의 둘레방향코일(9a)을 형성하는 코드(9)를 포함하는 단일층(8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코드는 전륜 타이어에 대하여 설명한 코드와 유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는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 X-X 양쪽으로 뻗쳐있는 상기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 E내에 실질적으로 널(null) 실/랜드비를 형성하고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5% 내지 약 30%의 폭을 갖는 영역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기로, 중앙영역 E는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0% 내지 약 35%의 폭을 갖는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는 중앙영역 E 외부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 F,G를 향해 상기 중앙영역 E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있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1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횡방향 그루브(114)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 E와 숄더영역(F,G) 사이에 놓이는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C,D) 및 상기 중앙영역 E 사이의 경계선에 놓이는 축방향 내부단부(114a)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각각의 중간측영역(C,D)은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5% 내지 약 30%,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0%의 폭과, 약 10% 내지 약 3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5% 사이의 씰/랜드비를 갖는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실질적으로 트래드 밴드의 소위 마모파형과 가능한 한 많이 일치하도록 실질적으로 곡선이다.
바람직하기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후륜 타이어(101)의 주행방향 RD와 약 30°내지 약 60°,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내지 약 50°의 각도 β를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각도 β는 횡방향 그루브(114)의 하류에서 측정할 때 타이어(101)의 주행방향 RD와 함께,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 X-X에 의해 형성된 트래드 밴드(12)의 각각의 절반부를 양분하는 둘레방향라인 L'과 횡방향 그루브(114) 사이의 교차점에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114)에 대한 접선으로 정의된다(도 4 참조).
바람직하기로, 상술한 마모파형을 더 잘 따르도록,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상기 중앙영역 E 외부의 트래드 밴드(12)의 마주보는 중간측영역(C,D)에서 동일한 횡방향 그루브의 상류에 위치된 곡률중심 CC'를 갖는다.
이러한 중간측영역(C,D)에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바람직하게는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 X-X에 의해 형성된 트래드 밴드(12)의 각각의 절반부를 양분하는 둘레방향라인 L'을 따라 위치된 곡률중심 CC'로부터 측정할 때 약 60 내지 약 240㎜,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160㎜의 곡률반경 R1'을 갖는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3개의 횡방향 그루브(114)를 각각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 내에서 둘레방향에 분포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횡방향 그루브(114)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은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기로, 또한, 상기 각각의 횡방향 그루브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에 속하는 3개의 횡방향 그루브(114) 중 적어도 하나는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 E와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C,D) 사이의 경계선으로부터 소정거리 d에 놓여있는 축방향 내부단부(114b)를 갖는다.
이런 식으로, 곡선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후륜 타이어의 젖은 노면 성능(wet performance)을 이점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륜 타이어(101)는 상기 횡방향 그루브(14)의 축방향으로 마주보고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그룹들 사이에서 후륜 타이어(101) 적도면 X-X의 어느 한 측상의 트래드 밴드(12)내에 형성된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16)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횡방향 그루브(16)는 실질적으로 중앙영역 E와 트래드 밴드의 숄더영역(F,G) 사이에 놓이는 트래드 밴드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C,D)과 상기 중앙영역 E 사이의 경계선에 놓이는 한 쌍의 축방향 내부단부(116a,116b)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또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 중 적어도 일부, 및 더 구체적으로는, 횡방향 그루브의 축방향으로 마주보고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그룹들에 포함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브릿징 그루브(bridging grooves,)(18)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상호연결된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또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 중 적어도 일부 및 바람직하기로는 모두에 실질적으로 테이퍼지는 단부 또는 한 쌍의 단부가 형성된다. 다르게 말하면, 횡방향 그루브(114,116)의 단부는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 X-X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폭을 갖는 V형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륜 및 후륜에 전륜 타이어(1) 및 후륜 타이어(101)가 각각 설치되는 오토바이는 이러한 한 쌍의 타이어 대한 향상된 킬로미터 일드, 마모 균일성 및 견인특성과 결합된 건조 지면과 젖은 지면 모두에 양호한 성능을 이점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토바이의 건조 노면 및 젖은 노면상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특히
a)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 X-X 양쪽으로 뻗쳐있는 중앙영역 E내에 지면접촉영역하에 전륜 타이어(1)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 및
b)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 X-X 양쪽으로 뻗쳐있는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 E내에 실질적으로 널 실/랜드비를 제공함으로써 후륜 타이어(101)의 견인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반복 테스트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오토바이 타이어가 오토바이 타이어의 젖은 노면상의 성능, 킬로미터 일드, 마모 균일성 및 견인특성 모두를 향상시키는 제기된 문제를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들 결과 및 특히 젖은 노면상의 성능의 향상은 가장 중요한 영역, 즉 트래드 밴드의 중앙영역에 그루브의 개수를 후륜 견인 타이어에서 감소시킴으로써, 즉, 이들 구조요소인 지면접촉영역으로부터 물을 배수하도록 형성된 그루브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된 것임을 감안하면 완전히 놀라운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명백히, 당업자는 상술한 발명에서 특정하고 부수적인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변형 및 변경을 도입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및 변경들은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보호범위 내에 있다.

Claims (36)

  1. 복수의 그루브(13,14,16,18,114,116)가 형성되는 트레드 밴드(12)를 가지며, 오토바이의 전륜과 후륜에 각각 장착되는 전륜 타이어(1)와 후륜 타이어(101)를 구비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1,101)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는
    a) 중앙영역(E)내의 적도면(X-X)을 걸치며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X-X)으로 뻗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13); 및
    b)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E)내에 축방향 내부단부(14a)가 있고 상기 중앙영역(E) 외부의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F,G)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E)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지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들(14)을 구비하며,
    상기 횡방향 그루브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13)에 연결되고,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는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X-X)을 걸치며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E)내에 널 실/랜드비(null seal/land ratio)를 형성하고,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5% 내지 약 30%의 폭을 갖는 영역을 포함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E)은 폭이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0% 내지 35%인 영역을 포함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E)은 약 15% 내지 30%의 실/랜드비(seal/land ratio)를 갖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는 상기 중앙영역(E)과 상기 숄더영역(F,G) 사이에 놓이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C,D)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중간측영역(C,D)은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5% 내지 35% 폭과 약 15% 내지 35%의 실/랜드비를 갖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4)는 곡선인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4)는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주행방향(RD)과 약 30°내지 약 60°의 각도(α)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4)는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X-X)에 의해 형성된 트래드 밴드의 각각의 절반부를 양분하는 둘레방향 라인(L)을 따라 위치된 곡률중심(CC)으로부터 측정할 때 약 40 내지 200㎜의 곡률반경(R1)을 갖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4)는 적어도 2개의 횡방향 그루브(14)를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 내에서 상기 트래드 밴드(12)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분포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14)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은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는 상기 횡방향 그루브(14)의 축방향으로 마주보고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그룹들 사이에 상기 타이어(1) 적도면(X-X)의 어느 한 측면상의 상기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그루브(16)를 더 포함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상기 횡방향 그루브(14,16)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13)는 권선형태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X-X)을 축방향으로 교차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13)는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X-X)의 양측상에 위치되고 각각의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곡률중심(CD)을 갖는 복수의 곡선 부분(13a,13b)을 포함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부분(13a,13b)은 약 40 내지 300㎜의 곡률반경(R2)을 갖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는 상기 전륜 타이어(1)보다 곡률비가 더 낮은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는 상기 중앙영역(E) 외부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F,G)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E)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있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14)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는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상기 중앙영역(E)과 상기 숄더영역(F,G) 사이에 놓이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중간측영역(C,D)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중간측영역(C,D)은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5% 내지 35%의 폭과 약 10% 내지 약 30%의 실/랜드비를 갖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곡선인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주행방향과 약 30°내지 60°의 각도(β)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20. 제 16 항에 있어서,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는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X-X)에 의해 형성된 트래드 밴드(12)의 각각의 절반부를 양분하는 둘레방향 라인(L')을 따라 위치된 곡률중심(CC')으로부터 측정할 때 약 60 내지 240㎜의 곡률반경(R1')을 갖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114)는 적어도 2개의 횡방향 그루브(114)를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 내에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분포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114)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그룹들은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는 상기 횡방향 그루브(114)의 축방향으로 마주보고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그룹들 사이에 상기 타이어(101) 적도면(X-X)의 어느 한 측면상의 상기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그루브(116)를 더 포함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24. 제 1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116)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25.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 중 적어도 일부는 브릿징 그루브(bridging grooves)(18)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상호연결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26. 제 16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횡방향 그루브(114)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X-X)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폭을 갖는 테이퍼진 단부(114a,116a,116b)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공기압 타이어.
  27. 전륜과 후륜에 각각 장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26 항에 따른 전륜 타이어(1)와 후륜 타이어(101)가 설치되는 오토바이.
  28. 복수의 그루브(13,14,16,18,114,116)가 형성되는 트레드 밴드(12)를 가지며, 오토바이의 전륜과 후륜에 각각 장착되는 전륜 타이어(1)와 후륜 타이어(101)가 설치되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으로서,
    a)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E)내에 놓이는 축방향 내부단부를 가지고,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상기 중앙영역(E) 외부의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F,G)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E)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있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4)가 상기 전륜 타이어(1)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륜 타이어(1)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적도면(X-X)을 걸치며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E)내에 널 실/랜드비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견인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 a)는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0% 내지 35%의 폭을 갖는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의 중앙영역(E) 내에 약 15% 내지 30% 사이의 실/랜드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타이어(1)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 a)는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X-X)에서 뻗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13)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14)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적도면(X-X)에서 뻗쳐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둘레방향 그루브(13)에 연결되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드 밴드(12)의 상기 중앙영역(E)과 상기 숄더영역(F,G) 사이에 놓이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C,D) 내에 약 15% 내지 35% 사이의 실/랜드비를 형성하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4,16)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륜 타이어(1)의 배수능력을 더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중간측영역(C,D)은 상기 전륜 타이어(1)의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5% 내지 35%의 폭을 갖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루브(14,16)는 상기 전륜 타이어(1)의 주행방향(RD)과 약 30°내지 60°의 각도(α)를 형성하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
  34.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상기 중앙영역(E) 외부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숄더영역(F,G)을 향해 상기 중앙영역(E)으로부터 교대로 뻗쳐있는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14)를 상기 트래드 밴드(12)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14)는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의 상기 중앙영역(E)과 상기 숄더영역(F,G) 사이에 놓이는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측영역(C,D) 내에 약 10% 내지 30% 사이의 실/랜드비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중간측영역(C,D)은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의 축방향 전개폭의 약 15% 내지 35%의 폭을 갖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트래드 밴드(12)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횡방향 그루브(114)는 상기 후륜 타이어(101)의 주행방향(RD')과 약 30°내지 60°의 각도(β)를 형성하는 오토바이의 젖은 노면과 건조 노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방법.
KR1020107007797A 2003-07-04 2003-07-04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 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 방법 KR101066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3/007261 WO2005005169A1 (en) 2003-07-04 2003-07-04 Pair of front and rear pneumatic tires for motorcycles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n both wet and dry ground of a motorcycle equipped with said pair
KR1020067000165A KR100960604B1 (ko) 2003-07-04 2003-07-04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성능 향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165A Division KR100960604B1 (ko) 2003-07-04 2003-07-04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성능 향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297A true KR20100042297A (ko) 2010-04-23
KR101066533B1 KR101066533B1 (ko) 2011-09-21

Family

ID=340426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165A KR100960604B1 (ko) 2003-07-04 2003-07-04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성능 향상 방법
KR1020107007797A KR101066533B1 (ko) 2003-07-04 2003-07-04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 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165A KR100960604B1 (ko) 2003-07-04 2003-07-04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성능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219342A1 (ko)
EP (1) EP1641637B1 (ko)
JP (1) JP4557884B2 (ko)
KR (2) KR100960604B1 (ko)
CN (1) CN100491142C (ko)
AT (1) ATE465029T1 (ko)
AU (1) AU2003249968A1 (ko)
BR (1) BR0318388B1 (ko)
DE (1) DE60332287D1 (ko)
WO (1) WO2005005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7711B2 (ja) * 2005-05-17 2011-11-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MX2009010991A (es) 2007-04-13 2010-04-27 Pirelli Llantas para motocicleta y metodo para mejorar el desempe?o y la resistencia al desgaste de las llantas de motocicleta.
CN101903191B (zh) * 2007-11-06 2014-03-12 倍耐力轮胎股份公司 摩托车轮胎
JP5394479B2 (ja) * 2008-06-20 2014-01-22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5410517B2 (ja) * 2008-06-20 2014-02-05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自動二輪車用タイヤ
WO2010041283A1 (en) * 2008-10-08 2010-04-15 Pirelli Tyre S.P.A. Motorcycle tyre
JP4653831B2 (ja) * 2008-10-28 2011-03-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2379351B1 (en) 2008-12-24 2013-10-16 Pirelli Tyre S.p.A. Tyres for motor vehicles
JP5583691B2 (ja) * 2008-12-24 2014-09-03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モータビークル用タイヤ
US8881777B2 (en) 2008-12-24 2014-11-11 Pirelli Tyre S.P.A. Tyre for motorcycles
JP5216620B2 (ja) * 2009-02-10 2013-06-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USD608724S1 (en) 2009-03-16 2010-01-26 Trek Bicycle Corporation Bicycle tire tread
BR112012001347B1 (pt) * 2009-07-28 2020-10-13 Pirelli Tyre S.P.A pneu para veículo a motor
IT1395004B1 (it) * 2009-07-28 2012-08-07 Pirelli Coppia di pneumatici per motoveicoli.
JP5475420B2 (ja) 2009-12-04 2014-04-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5193166B2 (ja) * 2009-12-08 2013-05-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5250021B2 (ja) * 2010-12-27 2013-07-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5297503B2 (ja) * 2011-06-13 2013-09-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5714998B2 (ja) * 2011-07-14 2015-05-0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自動二輪車用タイヤ対
RU2621528C2 (ru) * 2011-12-30 2017-06-06 Пирелли Тайр С.П.А. Шина для мотоциклов
JP5433031B2 (ja) * 2012-02-10 2014-03-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EP3040214B1 (en) * 2013-09-24 2020-07-29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ire for two-wheeled motor vehicle
JP6019079B2 (ja) * 2014-09-19 2016-11-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6487702B2 (ja) * 2015-01-30 2019-03-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6378634B2 (ja) * 2015-02-10 2018-08-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6393222B2 (ja) 2015-03-18 2018-09-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モーターサイクル用タイヤ
JP6506061B2 (ja) * 2015-03-20 2019-04-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自動二輪車用タイヤ
ITUB20154585A1 (it) * 2015-10-12 2017-04-12 Pirelli Pneumatico per ruote di motocicli.
ITUB20154793A1 (it) 2015-11-04 2017-05-04 Pirelli Pneumatico per ruote di motocicli.
BR112018008445B1 (pt) 2015-11-04 2021-09-21 Pirelli Tyre S.P.A. Pneu de motocicleta
CN106314040A (zh) * 2016-08-26 2017-01-11 四川远星橡胶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电动摩托车后轮的轮胎
JP6825309B2 (ja) * 2016-11-04 2021-0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及びそれを装着した自動三輪車
RU2766039C2 (ru) * 2017-08-07 2022-02-07 Пирелли Тайр С.П.А. Шина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N107878117A (zh) * 2017-11-17 2018-04-06 南港(张家港保税区)橡胶工业有限公司 一种单导向轮胎
JP2022113482A (ja) * 2021-01-25 2022-08-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及び自動二輪車用タイヤ対
KR20240049751A (ko) 2022-10-10 2024-04-17 박수영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35597U1 (de) * 1983-12-12 1984-04-12 Metzeler Kautschuk GmbH, 8000 München Vorderradreifen fuer ein motorrad
JPH0520563Y2 (ko) * 1986-01-21 1993-05-27
JPS63116907A (ja) * 1986-11-05 1988-05-21 Bridgestone Corp 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の装着方法
JPS63315307A (ja) * 1987-06-19 1988-12-23 Bridgestone Corp 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FR2692201A1 (fr) * 1992-06-11 1993-12-17 Michelin & Cie Train de pneumatiques à sculptures directionnelles.
IT1283351B1 (it) * 1996-07-29 1998-04-17 Pirelli Pneumatico ad elevata curvatura trasversale in particolare per ruote anteriori
ES2221121T3 (es) * 1997-02-27 2004-12-16 Bridgestone Corporation Cubierta neumatica para vehiculo de dos ruedas.
EP0904961A1 (en) * 1997-09-26 1999-03-31 PIRELLI PNEUMATICI S.p.A. High performance tyre for vehicles
JP3836590B2 (ja) * 1998-01-23 2006-10-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二輪自動車用空気入りタイヤ
US6244315B1 (en) * 1998-04-16 2001-06-12 Pirelli Pneumatici S.P.A. Tyre with high transverse curvature coefficient in particular for a two-wheeled vehicle
JP4145397B2 (ja) * 1998-07-28 2008-09-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二輪自動車用空気入りタイヤ
ES2213588T3 (es) * 1999-06-30 2004-09-01 Pirelli Pneumatici Societa' Per Azioni Neumatico de alto rendimiento para un vehiculo a motor.
JP3887128B2 (ja) * 1999-07-26 2007-02-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前輪用タイヤと後輪用タイヤの組み合わせ
JP3367927B2 (ja) * 2000-01-24 2003-01-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3211917A (ja) * 2002-01-18 2003-07-30 Bridgestone Corp 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4294408B2 (ja) * 2003-08-21 2009-07-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2005138807A (ja) * 2003-11-10 2005-06-02 Sumitomo Rubber Ind Ltd 自動二輪車の後輪用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1142C (zh) 2009-05-27
CN1802268A (zh) 2006-07-12
KR100960604B1 (ko) 2010-06-07
ATE465029T1 (de) 2010-05-15
JP4557884B2 (ja) 2010-10-06
AU2003249968A1 (en) 2005-01-28
DE60332287D1 (de) 2010-06-02
JP2007506590A (ja) 2007-03-22
EP1641637B1 (en) 2010-04-21
US20060219342A1 (en) 2006-10-05
BR0318388A (pt) 2006-07-25
BR0318388B1 (pt) 2012-09-04
EP1641637A1 (en) 2006-04-05
KR20060034683A (ko) 2006-04-24
KR101066533B1 (ko) 2011-09-21
WO2005005169A1 (en)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604B1 (ko)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성능 향상 방법
US8997807B2 (en) Tyre for motor vehicles
FI85673B (fi) Fordonsdaeck.
US6070631A (en) High-transverse-curvature tire, in particular for front wheels of motor-vehicles
US8881777B2 (en) Tyre for motorcycles
KR100637851B1 (ko) 모터차량의후륜용고횡단곡률타이어
US20110162769A1 (en) Motorcycle tyre
EP2307208B1 (en) Motorcycle tyre
EP2729314B1 (en) Motorcycle tyres
CN108349318B (zh) 用于摩托车车轮的轮胎
CN113165443B (zh) 摩托车轮胎
JPH05294112A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3165444B (zh) 摩托车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