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751A -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751A
KR20240049751A KR1020220129274A KR20220129274A KR20240049751A KR 20240049751 A KR20240049751 A KR 20240049751A KR 1020220129274 A KR1020220129274 A KR 1020220129274A KR 20220129274 A KR20220129274 A KR 20220129274A KR 20240049751 A KR20240049751 A KR 20240049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ad
wheeled vehicle
presen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영
Original Assignee
박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영 filed Critical 박수영
Priority to KR102022012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751A/ko
Publication of KR2024004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7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3/00Tyres characterised by the transverse section
    • B60C3/04Tyres characterised by the transverse sec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dimensions of the section, e.g. low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08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tread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1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motorcycles, scoot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용 타이어 외주연 중앙부에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극대화시킨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3)는 일자형, 원형링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갖고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타이어(1) 중앙 외주연부에 접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는 접착제(2)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2)는 분리 가능한 박리지로 마감토록 하며, 패드(3)의 좌우 단부는 경사면(3a)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Motorcycle tire pad}
본 발명은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이륜차용 타이어 외주연 중앙부에 접착 고정시켜 타이어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제성을 극대화시킨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차(모터싸이클, 스쿠터 등)용 타이어는 그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륜차가 직진을 할 시에는 반원형 단면의 중앙부만 타이어가 마모가 이루어지며, 코너링, 유턴 등 선회를 할 시에는 반원형 단면의 좌우측 중 선회방향의 측면 부분이 마모가 이루어지게 된다.
실제 이륜차를 주행할 경우 대부분의 주행이 직진 위주로 이루어지게 되어 타이어의 중앙부 소모가 좌우측 부분 보다는 마모가 빨리 진행되며, 이러한 이륜차 주행 특성을 감안한 타이어, 즉 타이어의 중앙부는 내마모성이 높은 콤파운드를 사용하고, 좌우측 부분은 선회시 접지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소프트한 콤파운드를 사용한 타이어 등이 출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타이어는 이륜차의 배기량이 높을 수록 타이어 폭이 넓은 것을 사용토록 되어 있어 타이어 하나 교환하는 비용이 상당히 고가이며, 이륜차를 타는 라이더들에겐 경제적인 부담이 상당히 크게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그러한 경제적 부담을 줄여 보고자 타이어를 교환주기에 맞게 교환하지 않고 주행을 하다가 타이어 내부의 강성 보강을 위해 내입한 철심이 노출되어 접지력이 저하되거나 펑크(puncture)가 나서 노면과 그립력을 상실하여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많았던 것이다.
KR 특허등록 10-1066533 KR 특허등록 10-0049191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륜차용 타이어의 중앙부 마모가 좌우측 부분 보다 심하여 발생하는 타이어 교환주기를 보다 오래가도록 할 수 있도록 한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주행 안정성 및 경제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이륜차 타이어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주안점을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는 이륜차용 타이어 중앙 외주연부에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패드는 일자형, 원형링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갖고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타이어 중앙 외주연부에 접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패드의 좌우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는 일자형 또는 원형링 형상으로 제작되어 이륜차용 타이어 중앙 외주연부에 접착제로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륜차 주행 중 가장 마모가 심한 타이어의 중앙 외주연부에 밀착, 고정되어 주행토록 함으로써 타이어 중앙부의 마모를 현격히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타이어 중앙부 등의 마모로 타이어 교환을 행하는 주기를 대폭 늦출 수 있어 경제성이 매우 우수한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가 설치된 타이어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가 설치된 타이어의 실물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가 설치된 타이어를 소정 거리를 주행 한 상태를 보인 실물 사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내용에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는 합성고무 조성물로 성형된 원형 또는 일자형의 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를 이륜차용 타이어의 외주연 중앙부에 접착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의 좌우 단부는 타이어 좌우 사이드 부위와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를 실제 이륜차 타이어에 부착시켜 사용한 전후의 실물사진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이륜차용 타이어(1)의 중앙 외주연부에 접착제(2)를 사용하여 띠 형태로 부착되는 패드(3)를 제공한다.
상기 패드(3)는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가류 성형되는데, 그 두께는 3~5mm 정도가 바람직하며, 타이어(1)의 원호형 단면에 부합토록 그 단면이 원호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재질 자체의 탄성에 의해 띠 형태로 타이어(1) 중앙 외주연부에 부착 시 늘어나면서 원호형으로 접착되는 평판 형태로 제작 또한 가능한 것이다.
상기 패드(3)의 양측 단부면은 타이어(1)에 패드(3)가 부착 고정 시 패드(3) 두께로 인한 타이어(1)의 좌우 외주면과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원호형 또는 일자형의 경사면(3a)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3)는 일자형 또는 원형링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타이어(1) 중앙 외주연부에 정확히 중심을 잡아 접착제(2)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제(2)는 패드(3)에 사전 도포되어 박리지(도시하지 아니함)로 마감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 시 박리지를 분리시킨 후 타이어(1)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패드(3)에 도포되는 접착제(2)는 상품화 할 시에 별도로 작업자가 패드(3) 부착면에 도포하여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륜차 타이어용 패드(3)는 좌우측 경사면(3a)은 소프트한 콤파운드를 사용하고, 중앙부는 좌우측 보다는 하드한 콤파운드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3)는 접착제(2)를 커버링하고 있는 박리지를 분리 후 접착제(2)를 사용하여 이륜차 타이어(1)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밀착토록 부착하여 이륜차를 직진으로 주행 시 타이어(1)의 노면 접지면에 해당되며, 전체 주행 비중에서 직진 주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아 타이어(1)의 중앙부 마모로 인한 타이어 교환 시기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자가 도 2,3 실물 장착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드(3)를 이륜차 타이어(1)에 부착시켜 도로 주행을 실험한 결과 패드(3)가 주행시 노면과 마찰열이 발생하면서 패드(3)의 좌우 폭 보다 더 넓게 확산되면서 노면과 접촉면도 확대되었고, 노면과의 접지력 또한 양호하게 발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로 인해 이륜차에 장착된 타이어(1)의 중앙부 마모는 본 발명의 패드(3)가 마모, 소진되기 전까지는 마모가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타이어 교환주기를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이륜차 중 고 배기량에 장착된 타이어는 가격이 고가인데, 주로 중앙부 마모로 인해 좌우 사이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어도 교환을 하는 경우가 많은 바, 본 발명의 패드를 사용할 경우 타이어 중앙부 마모를 획기적으로 연장, 저감시킬 수 있어 타이어 교환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주어진다.
필요한 경우 새 타이어(1)를 교환 후 패드(3)를 부착, 사용하다가 패드(3)가 마모, 소진되면 새 패드(3)로 교환,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타이어(1)의 좌우측 마모 정도에 따라서는 장기간 타이어(1) 중앙부 마모를 억제시켜 그 사용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타이어 2: 접착제 3: 패드 3a: 경사면

Claims (1)

  1. 이륜차용 타이어(1) 중앙 외주연부에 부착될 수 있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3)에 있어서;
    상기 패드(3)는 일자형, 원형링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갖고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타이어(1) 중앙 외주연부에 접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는 접착제(2)가 도포되고;
    상기 패드(3)의 좌우 단부는 경사면(3a)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
KR1020220129274A 2022-10-10 2022-10-10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 KR20240049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274A KR20240049751A (ko) 2022-10-10 2022-10-10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274A KR20240049751A (ko) 2022-10-10 2022-10-10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751A true KR20240049751A (ko) 2024-04-17

Family

ID=9087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274A KR20240049751A (ko) 2022-10-10 2022-10-10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7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533B1 (ko) 2003-07-04 2011-09-21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 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533B1 (ko) 2003-07-04 2011-09-21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 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9143B (zh) 非充气轮胎及用于制造该非充气轮胎的方法
JP4748269B2 (ja) 非空気式タイヤの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CA2874529C (en) An airless tyre for vehicles
CN102458812B (zh) 用于翻新轮胎的重量减小的预固化胎面带
WO2009084660A1 (ja) タイヤおよびタイヤ・リム組立体
WO2016148295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CN102448710B (zh) 具有与基部胎面匹配的胎面带的翻新轮胎
US20090205762A1 (en) Method for improved retread endurance
AU2010254129A1 (en) Composite fiber bicycle wheels
US10532610B2 (en) Bicycle rim with brake track
KR20240049751A (ko) 이륜차용 타이어 패드
CN102356004A (zh) 具有保护贴花的轮胎
JPS5911901A (ja) 注型タイヤ
JP5096580B2 (ja) 劣化防止剤リザーバを備えたトレッド
JP2009508732A5 (ko)
WO2001043958A1 (en) Cover memb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3306010A (ja) 車両用タイヤ
CN109278857B (zh) 一种汽车方向拉杆
CN105612066A (zh) 轮胎三角胶结构
CN102112356B (zh) 侧面增强的铁路闸瓦
JP2008542089A (ja) 二輪車用タイヤ
KR101986478B1 (ko)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JP2012045958A (ja) 非空気式タイヤ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US20120285589A1 (en) Tread-replaceable environmental-protection wheel tire
FI66311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ill sin hela yttre yta lagringsbar foervulkaniserad slitytering -ringdel eller -seg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