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478B1 -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478B1
KR101986478B1 KR1020190031019A KR20190031019A KR101986478B1 KR 101986478 B1 KR101986478 B1 KR 101986478B1 KR 1020190031019 A KR1020190031019 A KR 1020190031019A KR 20190031019 A KR20190031019 A KR 20190031019A KR 101986478 B1 KR101986478 B1 KR 10198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ubeless tire
coupling
air bridge
tub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화
Original Assignee
심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화 filed Critical 심종화
Priority to KR102019003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478B1/ko
Priority to PCT/KR2019/007798 priority patent/WO2020189854A1/ko
Priority to CN201980091116.1A priority patent/CN113365854B/zh
Priority to TW108127890A priority patent/TWI70116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47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comprising circumferential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4Bead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 B60C17/0045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comprising grooves or ribs, e.g. at the inner side of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 안쪽에 아치형의 에어 브릿지와 런플렛 레이어를 내외측으로 이중 설치하되, 상기 에어 브릿지와 런플레 레이어는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좌우 단면을 점차 얇게 형성하여 밀폐력, 결합력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타이어 결합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리드 와이어를 분산 배치하는 구조에 의해 결합부가 내외측으로 잘 휨 변형되면서 튜브용 휠, 튜브 리스용 휠 또는 지름이 작은 휠에도 손쉽게 장착 가능하고, 소형차는 물론 오토바이, 자전거, 퀵 보드 등의 소형 타이어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TUBELESS TIRE ASSEMBLY}
본 발명은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 안쪽에 아치형의 에어 브릿지와 런플렛 레이어를 내외측으로 이중 설치하되,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가 내외측으로 잘 휨 변형되면서 튜브용 휠, 튜브 리스용 휠 또는 지름이 작은 휠에도 손쉽게 장착 가능함은 물론 타이어와 에어 브릿지, 타이어와 휠의 밀폐력, 결합력 향상으로 타이어 공기 유출 차단, 타이어 분리 방지 및 승차감, 주행 안전성도 우수하게 확보하며, 타이어 교체시 재 사용이 가능한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및 그 밖의 퀵 보드 등에 사용하는 바퀴는 타이어(tire) 부분과,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휠(wheel) 부분으로 구분된다.
상기 타이어는 튜브(tube)의 유무에 따라 튜브 타이어와 튜브 리스(tubeless) 타이어로 구분하는데, 종래에는 주로 튜브가 내장된 형태의 튜브 타이어 조립체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튜브 타이어는 내부에 튜브가 내장되기 때문에 편평비를 100%에서 벗어나도록 제조하게 되면 타이어와 튜브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타이어와 튜브가 마찰에 의해 손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튜브 타이어의 경우는 타이어의 지름이 작아지면 타이어의 폭도 함께 줄여 주어 편평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타이어의 지름이 작아질 수록 접지 범위도 점차 작아지면서 노면 마찰력이 줄어들고, 추진력과 제동 성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튜브 타이어의 경우 펑크가 나면 공기가 급격히 새어 큰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튜브 리스 타이어는 튜브가 내장되지 않아 상기한 튜브 타이어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나 튜브 리스 타이어의 내면에 다층의 보강 구조를 갖기 때문에 비용이 고가이고 신축성이 떨어져 튜브용 휠이나 그 밖에 지름이 작은 휠에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으로 인해 일반 자동차에는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소형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및 그 밖의 퀵 보드 등의 바퀴에는 잘 적용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종래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타이어(1) 내측의 결합부(2)를 휠(5)의 안착 결합부(6)에 결합하는데, 상기 결합부 내부에 다수의 비드 와이어(3)가 내장된 상태에서 결합부를 오므려 휠의 안착 결합부(6)에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 튜브 리스 타이어는 타이어의 결합부(2) 내부에 다수의 비드 와이어(3)를 한곳에 집중적으로 내장시켜 제조하기 때문에 결합부의 신축성이 떨어져 잘 오므라지거나 벌어지지 않게 되면서 휠의 안착 결합부(6)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타이어의 결합부(2)를 결합하기 위한 휠의 사이즈가 제한적인 한계를 갖고 있었다.
즉, 튜브 리스 타이어를 튜브용 휠이나 그 밖에 지름이 작은 휠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 종래 튜브 리스 타이어는 타이어 결합부(2)가 단순히 휠의 안착 결합부(6)에 삽입된 구조에서 상기 결합부 내부에 한 곳으로 집중 내장된 있는 비드 와이어(3)에 의해 밀폐력, 결합력을 형성하기 때문에 밀폐력, 결합력을 우수하게 형성할 수 없어 공기 누출이 심하고, 펑크시 공기압이 내려가면 타이어가 휠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승차감이나 주행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는 타이어의 내부에 타이어 보강 또는 타이어 펑크시 주행을 위해 런플렛 구조물(8)(8')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1에서와 같이 타이어(1) 내부의 양 측벽에 런플렛 구조물을 일체로 결합 형성하거나 도 2에서와 같이 고 하중을 위한 경우에 타이어와 별도로 휠 외측에 런플렛 구조물(8')를 결합하는 형태로 사용하였다.
도 1의 실시 예 경우는 타이어(1)에 런플렛 구조물(8)을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타이어의 무게 증가, 타이어 제조비 상승은 물론 타이어 교체시 런플렛 구조물을 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의 실시 예 경우는 런플렛 구조물(8)을 타이어와 별도로 휠에 장착하는데 반하여 타이어의 승차감을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 도 1 및 도 2 실시 예와 같이 종래 런플렛 구조물은 타이어의 결합부와 휠의 안착 결합부의 밀폐력, 결합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특허 제2001-0092811호(2001년10월27일) 공개특허 제10-2004-0053778호(2004년06월24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 안쪽에 아치형의 에어 브릿지와 런플렛 레이어를 내외측으로 이중 설치하되,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가 내외측으로 잘 휨 변형되면서 튜브용 휠, 튜브 리스용 휠 또는 지름이 작은 휠에도 손쉽게 장착 가능하고, 소형차는 물론 오토바이, 자전거, 퀵 보드 등의 소형 타이어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튜브 리스 타이어, 에어 브릿지 및 휠의 밀폐력, 결합력을 향상시켜 튜브 리스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이 외부로 누출됨을 차단하고, 타이어가 휠에서 쉽게 분리됨을 방지하여 주므로 승차감은 물론 주행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튜브 리스 타이어 펑크시 런플렛 레이어와 에어 브릿지에 의해 이동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우수하게 확보함은 물론 타이어가 휠에서 분리됨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튜브 리스 타이어 교체시 타이어에서 에어 브릿지와 런플렛 레이어를 손쉽게 분리하여 새 타이어에 재 장착하여 재활용 가능하므로 경제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튜브 리스 타이어 안쪽의 결합부를 휠 외측의 결합 안착부에 안착되게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 안쪽의 결합부 내측에 아치형의 단면으로 중앙에서 좌우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에어 브릿지와 런플렛 레이어을 내,외측으로 이중 설치하되, 상기 에어 브릿지의 양 측단에 판 형태의 좌우 밀착부를 형성하여 튜브 리스 타이어 내측 면에 밀착하면서 기밀 결합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 브릿지는 탄성을 지닌 경량 합성수지, 상기 런플렛 레이어은 완충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 외측에는 실리콘으로 코팅한 실리콘 코팅층을 더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가 밀착되는 튜브 리스 타이어 안쪽면에는 좌우 밀착부가 일정 위치로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결합 단턱부를 더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와 런플렛 레이어에는 내부에 비드 와이어를 내장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는 휠 외측의 결합 안착부 내측면과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1,2 결합부로 형성하고, 상기 제1,2 결합부에 비드 와이어를 각각 분산 배치하여 삽입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의 비드 와이어는 휨 변형이 가능한 폴더블 합성수지 비드 와이어로 형성하고, 제2 결합부의 비드 와이어는 강성이 우수한 스틸 비드 와이어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런플렛 레이어는 중앙 안쪽에 안쪽으로 개구된 형태의 압력 분산홈을 원형 구조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런플렛 레이어는 에어 브리지 외측에 탈부착식으로 적층 설치하되, 상기 런플레 레이어의 양 단부가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 외측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 안쪽에 아치형의 에어 브릿지와 런플렛 레이어를 내외측으로 이중 설치하되, 상기 에어 브릿지와 런플레 레이어는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좌우 단면을 점차 얇게 형성하여 밀폐력, 결합력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타이어 결합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리드 와이어를 분산 배치하는 구조에 의해 결합부가 내외측으로 잘 휨 변형되면서 튜브용 휠, 튜브 리스용 휠 또는 지름이 작은 휠에도 손쉽게 장착 가능하고, 소형차는 물론 오토바이, 자전거, 퀵 보드 등의 소형 타이어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 효율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 에어 브릿지 및 휠의 밀폐력, 결합력을 향상시켜 튜브 리스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이 외부로 누출됨을 차단하고, 타이어가 휠에서 쉽게 분리됨을 방지하여 주므로 승차감은 물론 주행 안전성이 우수하고,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 펑크에도 런플렛 레이어와 에어 브릿지에 의한 이동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우수하게 확보함은 물론 타이어의 분리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 교체시 타이어에서 에어 브릿지와 런플렛 레이어를 손쉽게 분리하여 새 타이어에 다시 장착하여 재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튜브 리스 타이어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의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휠과 분리 상태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튜브 리스 타이어, 에어 브릿지 및 런플렛 레이어의 분리 상태 측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 튜브 리스 타이어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반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 효과를 보여주는 요부 측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단일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단면 구조의 튜브 리스 타이어(10) 안쪽의 결합부(11)를 휠(20) 외측의 결합 안착부(21)에 안착되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 안쪽의 결합부(11) 내측에는 아치형 단면으로 중앙에서 좌우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에어 브릿지(30)와 런플렛 레이어(40)을 내,외측으로 이중 설치하되, 상기 에어 브릿지의 양 측단에 판 형태의 좌우 밀착부(31)(31)를 형성하여 튜브 리스 타이어 내측 면에 밀착되면서 튜브 리스 타이어 내측면과 기밀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 브릿지(30)는 탄성을 지닌 경량 합성수지, 상기 런플렛 레이어(40)은 완충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는 외측에 실리콘으로 코팅한 실리콘 코팅층(32)을 더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좌우 밀착부(31)(31)가 밀착되는 튜브 리스 타이어 안쪽 면에는 좌우 밀착부가 일정 위치로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결합 단턱부(12)를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10)와 에어 브릿지(30) 사이 공간에 충진되는 공기에 의한 공기압이 증가하면 에어 브릿지(30)의 탄성이 증가되는데, 상기 에어 브릿지(30)의 단면 두께 차이로 인해 공기압이 에어 브릿지 전체로 균등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 브릿지 양측의 좌우 밀착부(31)(31)로 전달되어 집중적으로 작용하면서 튜브 리스 타이어(10)의 결합부(11) 안쪽에 밀착되는 밀착력 및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공기 유출을 차단함은 물론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11)와 휠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타이어가 휠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에어 브릿지(30)의 좌우 밀착부(31)(31)에는 내부에 비드 와이어(33)가 내장되어 에어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에 대한 밀착력 및 결합력을 전체적으로 균등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코너링시 타이어 각도의 변경으로 하중 압력이 한쪽으로 치우칠때 자세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11)는 휠 외측의 결합 안착부(21) 내측면(21a)과 상측면(21b)을 지지하는 제1,2 결합부(11a)(11b)로 형성하고, 상기 제1,2 결합부(11a)(11b)에 비드 와이어(13)(13')를 각각 분산 배치하도록 삽입하여 제1,2 결합부의 복수 위치에서 붙잡아 주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튜브 리스 타이어와 휠의 밀착력,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1 결합부의 비드 와이어(13)는 휨 변형이 가능한 폴터블 합성수지 비드 와이어로 형성하고, 제2 결합부의 비드 와이어(13')는 강성이 우수한 스틸 비드 와이어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폴더블 합성수지 비드 와이어에 의해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11)를 쉽게 오므릴 수 있어 튜브용 휠이나 튜브 리스 휠은 물론 지름이 작은 휠에도 손쉽게 장착 가능하고 상기 스틸 비드 와이어가 외측에서 이중으로 붙잡아 주면서 타이어와 휠의 결합력도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런플렛 레이어(40)는 튜브 리스 타이어(10)와 상관없이 에어 브리지(30) 외측에 탈부착식으로 적층 설치하되, 중앙 안쪽에 안쪽으로 개구된 형태의 압력 분산홈(45)을 원형 구조로 형성하여 평상시 또는 타이어 펑크시 중앙 부위나 양 측방 부위에서 작용하는 외력이 중앙에서 양측 단부로 전달되어 작용하게 되면서 에어 브릿지와 에어 리스 타이어 및 휠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주행 안정성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런플렛 레이어(40)는 내부에 결합 보강을 위해 비드 와이어(44)을 양 측방에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내장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런플레 레이어(40)의 양 단부(46)는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 외측에 형성된 홈부(31a)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되면서 런플렛 레이어에 작용하는 외력이 양측 단부로 전달되어 작용할 때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를 더욱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단일 단면 구조를 갖기 때문에 경량 및 소형으로 제작 가능한 튜브 리스 타이어(10) 안쪽의 결합부(11) 내측에 탄성을 지닌 경량 합성수지재의 에어 브릿지(30)와 완충력을 갖는 고무 재질의 런플렛 레이어(40)을 아치형으로 이중 설치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에어 브릿지(30)의 외측에 런플렛 레이어(40)을 결합하되, 상기 런플레 레이어(40)의 양 단부(46)가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 외측에 형성된 홈부(31a)에 삽입되어 서로 밀착되게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10) 안쪽의 결합부(11) 내측으로 에어 브릿지(30)와 런플렛 레이어(40)의 양 단부를 오므리면서 삽입 장착한다.
이때, 상기 에어 브릿지(30) 양 측단에 판 형태로 형성된 좌우 밀착부(31)(31)가 타이어 내측 면에 밀착하면서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좌우 밀착부(31)(31) 외측에 실리콘 코팅층(32)이 형성되어 있어 타이어 내측 면과 더욱 밀착하게 되고, 또한 상기 좌우 밀착부(31)(31)가 타이어 내측 면에 형성된 결합 단턱부(12)에 탄발 삽입되면서 일정 위치로 장착함은 물론 결합 단턱부(12)에 지지되어 미끄럼에 의한 위치 이탈이 방지되는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타이어(10)와 에어 브릿지(30)의 결합시 상기 에어 브릿지(30)는 탄성을 지는 경량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손쉽게 오무라지고, 상기 타이어의 결합부(10)는 비드 와이어(13)(13')를 두 곳에 분산 배치함과 입구 측의 제1 결합부에 위치하는 비드 와이어(13)는 휨 변형이 가능한 폴더블 합성수지 비드 와이어로 형성함에 의해 쉽게 벌어지게 되면서 에어 브릿지(30)와 런플렛 레이어(40)의 장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10) 내측에 에어 브릿지(30)와 런플렛 레이어(40)을 장착한 후 상기 타이어의 결합부(11)를 휠(20) 외측의 결합 안착부(21)에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10)의 결합부(11)에 형성된 제1,2 결합부(11a)(11b)를 휠 외측의 결합 안착부(21)에 형성되는 내측면(21a)과 상측면(21b)을 감싸며 삽입하여 지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타이어의 제1,2 결합부(11a)(11b)에는 비드 와이어(13)(13')를 각각 분산 배치하되, 상기 제1 결합부의 비드 와이어(13)는 휨 변형이 가능한 폴더블 합성수지 비드 와이어로 형성하고, 제2 결합부의 비드 와이어(13')는 강성이 우수한 스틸 비드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폴더블 합성수지 비드 와이어에 의해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11)를 쉽게 오므릴 수 있어 튜브용 휠이나 튜브 리스 휠은 물론 지름이 작은 휠에도 손쉽게 장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 결합부(11a)(11b)의 비드 와이어(13)(13')가 휠 외측의 결합 안착부(21) 내측면(21a)과 상측면(21b)에서 이중으로 붙잡아 주면서 에어 리스 타이어와 휠의 결합력도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튜브 리스 타이어(10)는 공기 주입 밸브에 의해 타이어와 에어 브릿지(30) 사이로 공기를 주입하여 충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10)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면, 공기 압이 에어 브릿지(30) 및 런플렛 레이어(40)에 가해져 탄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상기 에어 브릿지(30) 및 런플렛 레이어(40)는 동일한 단면 두께가 아니라 중앙에서 좌우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공기압이 에어 브릿지(30)와 런플렛 레이어(40)에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 브릿지와 런플렛 레이어의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전달되어 양 측단 부위에 집중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런플렛 레이어(40)는 중앙 안쪽에 안쪽으로 개구된 형태의 압력 분산홈(45)을 형성하고 있어 런플렛 레이어에 작용하는 공기압 또는 그 밖에 작용하는 외력이 중앙에서 좌우 양 측방으로 전달되고, 상기 런플렛 레이어의 양 단부(46)가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에 형성된 홈부(31a)에 결합되어 있어 결국 상기 런플렛 레이어에 작용하는 공기압이나 그 밖에 작용하는 외력이 에어 브릿지(30)의 좌우 밀착부(31)(31)로 가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 브릿지(30)는 물론 런플렛 레이어(40)에 가해지는 공기압이나 그 밖에 작용하는 외력이 에어 브릿지(30)의 좌우 밀착부(31)(31)로 집중 전달되면서 에어 브리지의 좌우 밀착부(31)(31)와 타이어 내측 면의 밀폐력, 결합력을 우수하게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 외측에 실리콘 코팅층(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 밀착부(31)(31)가 타이어 내측 면의 결합 단턱부(12)에 삽입 설치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에어 브릿지와 타이어의 밀폐력,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 브릿지와 타이어의 밀폐력, 결합력 향상으로 타이어의 공기 누출이 방지되어 승차감, 주행 안정성을 장구히 확보함은 물론 타이어와 휠의 결합력도 증가되면서 타이어가 휠에서 쉽게 분리되는 사고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튜브 리스 타이어(10)의 결합부 안쪽에 아치형의 에어 브릿지(30)와 런플렛 레이어(40)를 내외측으로 이중 설치하되, 상기 에어 브릿지(40)와 런플레 레이어(40)는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좌우 단면을 점차 얇게 형성하여 타이어 내부 공기압이나 그 밖에 작용하는 외력(외부 충격)이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에 집중 전달되어 밀폐력이 집중되고, 상기 타이어 결합부의 비드 와이어(13)(13')를 분산 배치하여 튜브용 휠, 튜브 리스용 휠 또는 지름이 작은 휠에도 손쉽게 장착 가능하고, 휠(2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타이어와 에어 브릿지, 타이어와 휠의 밀폐력, 결합력 향상시켜 주므로 타이어 공기 유출 차단, 타이어 분리 방지 및 타이어 펑크시 주행 안전성 등을 우수하게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타이어 펑크시 런플렛 레이어(40)가 노면 충격을 흡수하면서 승차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됨은 물론 이때에도 상기 런플렛 레이어(40)에 가해지는 하중이 중앙에서 좌우 양 측방으로 전달되면서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가 타이어 내측 면에 더욱 밀착되게 유지하도록 하면서 타이어 분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은 튜브 리스 타이어(10) 교체시 전술한 조립 과정과 같이 타이어에서 에어 브릿지(30) 및 런플렛 레이어(4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이를 새 타이어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어 재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10: 튜브 리스 타이어 11: 결합부
11a,11b: 제,2 결합부 12: 결합 단턱부
13,13': 비드 와이어 20: 휠
21: 결합 안착부 30: 에어 브릿지
31: 좌우 밀착부 31a: 홈부
32: 실리콘 코팅층 33,43: 비드 와이어
40: 런플렛 레이어 45: 압력 분산홈

Claims (9)

  1. 튜브 리스 타이어(10) 안쪽의 결합부(11)를 휠(20) 외측의 결합 안착부(21)에 안착되게 결합하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 안쪽의 결합부(11) 내측에 아치형 단면으로 중앙에서 좌우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에어 브릿지(30)와 런플렛 레이어(40)을 내,외측으로 이중 설치하되,
    상기 에어 브릿지의 양 측단에 판 형태의 좌우 밀착부(31)(31)를 형성하여 튜브 리스 타이어의 내측 면에 밀착하면서 기밀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브릿지(30)는 탄성을 지닌 경량 합성수지, 상기 런플렛 레이어(40)은 완충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 외측에는 실리콘으로 코팅한 실리콘 코팅층(32)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가 밀착되는 튜브 리스 타이어의 안쪽면에는 좌우 밀착부가 일정 위치로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결합 단턱부(12)를 더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브릿지(30)의 좌우 밀착부(31)(31)와 런플렛 레이어(40)에는 내부에 비드 와이어(33)(43)를 내장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리스 타이어의 결합부(11)는 휠 외측의 결합 안착부(21) 내측면(21a)과 상측면(21b)을 지지하는 제1,2 결합부(11a)(11b)로 형성하고, 상기 제1,2 결합부(11a)(11b)에 비드 와이어(13)(13')를 각각 분산 배치하여 삽입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의 비드 와이어(13)는 휨 변형이 가능한 폴더블 합성수지 비드 와이어로 형성하고, 제2 결합부의 비드 와이어(13')는 강성이 우수한 스틸 비드 와이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플렛 레이어(40)는 중앙 안쪽에 안쪽으로 개구된 형태의 압력 분산홈(45)을 원형 구조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런플렛 레이어(40)는 에어 브리지(30) 외측에 탈부착식으로 적층 설치하되, 상기 런플렛 레이어의 양 단부(46)가 에어 브릿지의 좌우 밀착부(31)(31) 외측에 형성된 홈부(31a)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KR1020190031019A 2019-03-19 2019-03-19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KR10198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19A KR101986478B1 (ko) 2019-03-19 2019-03-19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PCT/KR2019/007798 WO2020189854A1 (ko) 2019-03-19 2019-06-27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CN201980091116.1A CN113365854B (zh) 2019-03-19 2019-06-27 具备单一截面结构的无内胎轮胎总成
TW108127890A TWI701169B (zh) 2019-03-19 2019-08-06 具備單一截面結構的無內胎式輪胎組合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19A KR101986478B1 (ko) 2019-03-19 2019-03-19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478B1 true KR101986478B1 (ko) 2019-09-03

Family

ID=6795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019A KR101986478B1 (ko) 2019-03-19 2019-03-19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9050A (zh) * 2021-09-15 2022-01-04 晁银凤 一种自行车自充气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811A (ko) 2000-03-27 2001-10-27 류정열 이중 구조를 가지는 튜브리스 타이어 조립체
KR20040053778A (ko) 2002-12-13 2004-06-24 홍석기 휠과 튜브리스 타이어 조립체
KR100677730B1 (ko) * 2005-10-19 2007-02-0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서포트 링 타입 런플랫 타이어
JP2008018799A (ja) * 2006-07-12 2008-01-31 Yokohama Rubber Co Ltd:The 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JP2011518707A (ja) * 2008-04-03 2011-06-30 タイヤ・アコーステイクス・エル・エル・シー タイヤおよびホイールの騒音を低減する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11156958A (ja) * 2010-02-01 2011-08-18 Acoustic Innovations Co Ltd タイヤ内部機材支持体、タイヤ及びタイヤ組立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811A (ko) 2000-03-27 2001-10-27 류정열 이중 구조를 가지는 튜브리스 타이어 조립체
KR20040053778A (ko) 2002-12-13 2004-06-24 홍석기 휠과 튜브리스 타이어 조립체
KR100677730B1 (ko) * 2005-10-19 2007-02-0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서포트 링 타입 런플랫 타이어
JP2008018799A (ja) * 2006-07-12 2008-01-31 Yokohama Rubber Co Ltd:The 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JP2011518707A (ja) * 2008-04-03 2011-06-30 タイヤ・アコーステイクス・エル・エル・シー タイヤおよびホイールの騒音を低減する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11156958A (ja) * 2010-02-01 2011-08-18 Acoustic Innovations Co Ltd タイヤ内部機材支持体、タイヤ及びタイヤ組立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9050A (zh) * 2021-09-15 2022-01-04 晁银凤 一种自行车自充气装置
CN113879050B (zh) * 2021-09-15 2023-11-10 徐州煌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行车自充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9326B2 (en) Rim for non-pneumatic tire and wheel including the same
US11167593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non-pneumatic wheel
US10654318B2 (en) Non-pneumatic tire
JP4506853B2 (ja) 非空気式タイヤ
JP5245785B2 (ja) 非空気式タイヤ
US20100263777A1 (en) Tire and tire-rim assembly
WO2014069570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5530258B2 (ja) 非空気圧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98477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WO2016114168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H10250309A (ja) 自転車用チューブレスタイヤ及びリム
JP2009269410A (ja) 非空気圧タイヤ
JP5432837B2 (ja) 非空気圧タイヤ
JP2011246051A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1986478B1 (ko)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US6516845B2 (en) Support device within a tire cavity to provide runflat capability
US6843286B1 (en) Tire/wheel assembly, run-flat support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993116B1 (ko) 단일 단면 구조를 갖는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
JP4259010B2 (ja) リム一体型ランフラットタイヤ
WO2019114283A1 (zh) 一种三文治双向减震轮
CN113365854B (zh) 具备单一截面结构的无内胎轮胎总成
JP2012236555A (ja) タイヤ・リム組立体
US10882364B2 (en) Tire with concave sidewalls
JP4384508B2 (ja) リム
KR102003188B1 (ko) 초 경량형 튜브 리스 타이어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