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586A - 전선 피복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피복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586A
KR20100040586A KR20080099788A KR20080099788A KR20100040586A KR 20100040586 A KR20100040586 A KR 20100040586A KR 20080099788 A KR20080099788 A KR 20080099788A KR 20080099788 A KR20080099788 A KR 20080099788A KR 20100040586 A KR20100040586 A KR 20100040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ller
frame
strip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쾌
Original Assignee
박종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쾌 filed Critical 박종쾌
Priority to KR20080099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0586A/ko
Publication of KR20100040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97Removing armouring from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동력원으로써 두 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피복 제거 유닛을 구동시켜 동시에 굵기나 종류가 다른 전선의 피복을 벗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피복 제거 유닛의 샤프트의 위치가 다르게 되더라도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전선의 피복을 나선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 있어서, 수평 상으로 설치된 판 형태의 베이스; 베이스 한쪽에 설치되는 제1 피복 제거 유닛; 베이스의 다른 한쪽에 설치되는 제2 피복 제거 유닛; 제1 피복 제거 유닛 및 제2 피복 제거 유닛에 회전 구동력의 제공을 위해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제1 피복 제거 유닛에 전달하는 1차 동력 전달수단; 및 제1 피복 제거 유닛에서 출력되는 회전 동력이 제2 피복 제거 유닛으로 전달되게 제1 피복 제거 유닛과 제2 피복 제거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2차 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전선, 재활용, 피복, 동력전달, 유니버설 조인트

Description

전선 피복 제거장치{Device for peeling the cover of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동력원으로써 두 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피복 제거 유닛을 구동시켜 동시에 굵기나 종류가 다른 전선의 피복을 벗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피복 제거 유닛의 샤프트의 위치가 다르게 되더라도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선은 절연 피복이 씌워진 여부에 따라서 나전선(裸電線) 또는 절연전선(絶緣電線)으로 구분된다. 한편, 절연전선의 경우에는 피복 내부의 전선 가닥의 수에 따라서 단선(單線) 또는 연선(撚線)으로 구분된다.
한편, 전선의 나선(裸線)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과 같이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편 전선의 피복은 합성수지나 고무 등과 같이 전기 전도성이 낮은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종의 시설물 등에서 철거된 후 수거된 폐전선을 재활용하는 과정에서는 금속 재질과 비금속 재질을 따로 분리하는 분리작업이 요구된다.
폐전선을 재활용하기 위해서 금속 재질로 된 나선만을 따로 분리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전선에 열을 가하여 피복이 벗겨지게 하거나 피복을 태워 연소시키는 방식, 전선을 작은 크기로 자른(chopping) 후 바람을 이용해 금속 부분과 비금속 부분을 분리시키는 방식, 전선의 피복에 칼집을 낸 후 물리적 힘을 가해 나선과 피복을 분리시키는 방식 등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73624호의 '폐전선 탈피기' 및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837311호의 '폐전선 탈피장치' 등에서는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자동으로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게 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예의 전선 피복 제거 장치들의 경우에 전선의 굵기에 따라서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은 구비되어 있지만 서로 다른 굵기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선 피복을 동시에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 재활용하는 재활용 산업 현장에는 하나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른 종류 또는 다른 굵기의 전선 피복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굵기나 종류가 서로 다른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이종의 피복 제거 유닛끼리를 유니버설 조인트로써 연결하여 하나의 동력원으로써 이종의 전선 피복을 동시에 벗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선 피복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작업 역시 비교적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전선 피복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전선의 피복을 나선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 있어서, 수평 상으로 설치된 판 형태의 베이스; 베이스 한쪽에 한 쌍의 가이드가 마주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가이드의 폭 조절이 가능한 제 1 전선 투입 가이드, 제1 전선 투입 가이드의 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설치된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제1 전선 투입 가이드를 통해 입력된 전선의 피복에 칼집을 내는 제1 칼날이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피복 절개용 롤러, 피복 절개용 롤러의 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피복 절개용 롤러를 통과하는 전선에 힘을 가해 이송되게 하는 한 쌍의 제1 전선 이송용 롤러, 제1 칼날 사이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게 피복 절개용 롤러 상측에 설치된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 및 제1 전선 이송용 롤러 사이의 간극 이 조절되게 제1 전선 이송용 롤러의 상측에 설치된 제1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으로 형성된 제1 피복 제거 유닛; 베이스의 다른 한쪽에 한 쌍의 가이드가 마주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가이드의 폭 조절이 가능한 제2 전선 투입 가이드, 제2 전선 투입 가이드의 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설치된 제2 프레임, 제2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전선 투입 가이드를 통해 입력된 전선이 이동되게 하는 한 쌍의 제2 전선 이송용 롤러, 제2 전선 이송용 롤러의 후방에 근접 설치되어 제2 전선 이송용 롤러를 통과한 전선에 칼집을 내는 제2 칼날 및 제2 이송 롤러 사이의 간극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으로 형성된 제2 피복 제거 유닛; 제1 피복 제거 유닛 및 제2 피복 제거 유닛에 회전 구동력의 제공을 위해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제1 피복 제거 유닛에 전달하는 1차 동력 전달수단; 및 제1 피복 제거 유닛에서 출력되는 회전 동력이 제2 피복 제거 유닛으로 전달되게 제1 피복 제거 유닛과 제2 피복 제거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2차 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서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 제1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 및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은 피복 절개용 롤러, 제1 전선 이송용 롤러 및 제2 전선 이송용 롤러의 축을 수용하는 한편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포스트 바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크로스 바 상에 나사 체결되되 그 하단은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그 상단은 크로스 바의 상부로 일정 길이 노출되게 설치되는 롤러 간극 조절용 샤프트, 각각의 롤러 간극 조절용 샤프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 다수의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 중 상호 대응하는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끼리를 연결하여 서로 쌍을 이루는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이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롤러 간극 조절용 체인 및 한 쌍을 이루는 롤러 간극 조절용 샤프트 중 어느 하나의 롤러 간극 조절용 샤프트 상단에 설치되는 롤러 간극 조절용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서 2차 동력 전달수단은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고정측 피복 절개용 롤러의 축과 제2 피복 제거 유닛의 고정측 제2 전선 이동 롤러의 축은 직선상의 동일한 주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가동측 피복 절개용 롤러의 축과 제2 피복 제거 유닛의 가동측 제2 전선 이동 롤러의 축은 각각 단축으로 분리 형성된 후 유니버설 조인트로써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서 유니버설 조인트는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과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의 높이 변화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하는 길이 가변부재가 구비된 길이 가변형 유니버설 조인트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서 제1 전선 투입 가이드 및 제2 전선 투입 가이드가 설치된 전선 투입 테이블의 하부에는 왼나사 및 오른나사가 형성된 리드 스크루가 설치되는 한편 각 가이드의 하부에는 리드 스크루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서 제2 전선 이동 롤러의 둘레 중앙에는 칼날의 선단이 위치되게 환형의 절개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서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제1 전 선 이송용 롤러의 회전속도는 피복 절개용 롤러의 회전속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서 제1 전선 이송용 롤러 및 제2 전선 이송용 롤러의 원주면은 기어 형태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서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피복 절개용 롤러 및 제1 전선 이송용 롤러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 사이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되 제2 피복 제거 유닛의 제2 전선 이송용 롤러는 제2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공간 외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서 제2 칼날은 상하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되 상측의 제2 칼날은 가동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의 높이조절시 함께 그 높이가 조절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는 하나의 구동력으로써 동시에 서로 다른 형태의 피복 제거 유닛이 구동될 수 있음에 따라서 전선의 굵기나 종류에 맞춰 적절한 형태의 피복 제거 유닛을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한 후 금속 재질의 나선을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는 제1 피복 제거 유닛과 제2 피복 제거 유닛 사이의 동력전달이 유니버설 조인트로써 이루어짐에 따라서 어느 한쪽의 피복 제거 유닛을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다른 한쪽의 피복 제거 유닛을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는 제1 피복 제거 유닛과 제2 피복 제거 유닛을 하나의 동력원으로써 작동시킴에 따라서 에너지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우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좌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투입 가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피복 제거 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전선 피복 제거장치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100)는 소정 넓이를 가진 판 형상을 이루며 수평 상으로 설치된 베이스(110), 베이스(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한쪽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설치되는 제1 피복 제거 유닛(200), 베이스(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다른 한쪽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설치되는 제2 피복 제거 유닛(300), 제1 피복 제거 유닛(200)과 제2 피복 제 거 유닛(30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110)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120) 및 구동 모터(120)의 동력을 제1 피복 제거 유닛(200)과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100)의 베이스(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갖는 기대(112)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작업 관리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유리하게 된다.
베이스(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피복 제거 유닛(200) 및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은 서로 동일한 형태의 것으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처럼 서로 다른 굵기를 갖는 전선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선의 피복을 동시에 벗길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태의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은 전선의 굵기가 상대적으로 굵고 피복 내부에 다수의 가닥이 있는 연선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것인 반면에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은 상대적으로 전선의 굵기가 가늘면서 피복 내부가 단선으로 이루어진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 피복 제거 유닛(200)과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은 하나의 동일한 구동 모터(120)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구동 모터(120)와 제1 피복 제거 유닛(200) 사이에는 1차 동력 전달수단(130)이 설치되는 한편 제1 피복 제거 유닛(200)과 제2 피복 제거 유닛(300) 사이에는 2차 동력 전달수단(400)이 설치된다. 1차 동력 전달 수단(130) 및 2차 동력 전달수단(400)에 대해서는 제1 피복 제거 유닛(200) 및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은 베이스(110)의 상면 한쪽에 설치되는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220), 제1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되 그 외주면 상에는 제1 칼날(240)이 일체로 형성된 피복 절개용 롤러(230), 피복 절개용 롤러(23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프레임(220)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되 전선에 힘을 가해 이송되게 하는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 피복 절개용 롤러(230) 상에 마련된 제1 칼날(240)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260) 및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 사이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270)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는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된 제1 전선 투입 테이블(212) 상에 설치된다.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가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설치되되, 작업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서 가이드 사이가 좁혀지거나 넓혀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제1 전선 투입 테이블(212) 상에는 가로방향으로 일정 구간 가이드 레일(212a)이 형성되는 한편 그 가이드 레일(212a)을 통해서는 가이드와 일체를 이루는 일 부분이 수용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212a) 하측에는 왼나사 및 오른나사가 형성된 리드 스크루(214)가 길게 설치되는 한편 리드 스크루(214) 상에는 각 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된 너트(216a,216b)가 나사 체결된다. 양측의 각 가이드 하부에는 리드 스크루(214)에 조립되기 위한 너트(216a, 216b)가 고정 조립되거나 일체로 이루어지는 한편 리드 스크루(214)의 끝단은 베어링 등을 매개로 제1 전선 투입 테이블(212)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즉, 작업 관리자가 리드 스크루(214)의 한쪽 끝단에 마련된 가이드 간극 조절용 핸들(218)을 작동시키게 되면 리드 스크루(214)는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가이드 사이의 간극 조절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제1 프레임(22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의 후방에 위치되는 한편 대략 사각 형태의 틀이 일정 간격을 둔 채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양측의 각 제1 프레임(220) 상에는 전후에 2개의 축 조립공간(226)이 마련될 수 있게 3개의 포스트 바(222)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한편 각 포스트 바(222)의 상단끼리는 크로스 바(224)가 고정 설치된다.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 프레임(220)과 제1 프레임(220) 사이의 공간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피복 절개용 롤러(230)와 한 쌍의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이때, 피복 절개용 롤러(230) 및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는 각각 전술한 제1 프레임(220) 상에 마련된 축 조립공간(226)에 양단이 조립 설치되는 축 상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피복 절개용 롤러(230)의 외주면 상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 형의 제1 칼날(24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조립 수단 등을 매개로 조립된다. 즉, 상하에 배열된 피복 절개용 롤러(230)의 외주면 중앙에는 각각 환형의 제1 칼날(240)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측에 위치된 고정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a)는 제1 프레임(220)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부 측에 위치된 가동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b)는 하부의 고정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a)에 대하여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구조로 조립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하부의 고정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a)의 축 양단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20) 상에 고정설치된 고정 샤프트 지지 블록(500)에 베어링 등을 매개로 설치되는 한편 상부의 가동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b)의 양단은 제1 프레임 상에서 가동되게 설치된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510)에 베어링 등을 매개로 설치된다.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510)의 상부에는 제1 프레임(220)의 상부에 마련된 크로스 바(224)를 관통하여 수직 형태로 설치된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520)의 하단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520)의 도중은 크로스 바(224)에 나사 체결된다. 즉, 크로스 바(224)에 나사 체결된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520)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하단에 연결된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510)이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52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승 동작하거나 하강 동작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좌우 양측의 제1 프레임(220) 상에 각각 설치된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520)의 상단부에는 각각 동일한 형태의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530)이 일체로 조립되는 한편 각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530) 간은 롤러 간극 조절용 체인(540)으 로써 연결된 상태가 된다. 즉, 좌측의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520)와 우측의 간극 조절 샤프트(520)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상부에 위치된 가동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a)의 축이 좌우 균형되게 상승 동작하거나 하강 동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한 쌍을 이루는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520)의 어느 한쪽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520)의 상단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간극 조절용 핸들(550)이 조립 설치되면 피복 절개용 롤러(230)의 간극 조절이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된 피복 절개용 롤러(230) 사이의 간극 조절은 곧 제1 칼날(240)과 제1 칼날(240) 사이의 간극 조절로 이어진다. 즉, 전술한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510),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520),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530), 롤러 간극 조절용 체인(540) 및 롤러 간극 조절용 핸들(550) 등이 유기적으로 설치되어 작동되면서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26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는 전술한 피복 절개용 롤러(230)의 후방 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편 상하에 각각 한 쌍이 조립 설치된다. 즉,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는 제1 프레임(220) 상에 마련된 후방의 축 조립공간(226)에 설치되는 축 상에 일체로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 하측의 고정측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a)의 중심 위치는 고정되게 설치되는 반면에 상측의 가동측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b)의 중심 위치는 작업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측의 가동측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b)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제1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270)은 전술한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260)과 동일하거나 그에 근사한 구조로 이루어지면 되는 것이므로 그에 따른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의 외주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凹凸)이 연속된 기어 형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는 전선이 더욱 효과적으로 물릴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피복 절개용 롤러(230) 및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모터(120)는 베이스(110) 하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구동 모터(120)의 구동력이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에 전달되게 하는 1차 동력 전달수단(130)은 도 4 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다수의 동력 전달용 스프로킷(132)과 동력전달용 체인(134)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피복 절개용 롤러(230) 및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가 설치된 축의 한쪽 끝단에는 각각 동력 전달용 스프로킷(132)이 조립 설치된다. 그리고 하측의 고정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a)의 축과 하측의 고정측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a)의 축이 하나의 동력 전달용 체인(134a)으로써 연결되는 한편 상측의 가동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b)의 축과 상측의 가동측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b)의 축이 다른 하나의 동력 전달용 체인(134b)으로써 연결된다.
특히, 상하 측에 각각 위치된 피복 절개용 롤러(230)가 상호 맞물려 회전되도록 하는 한편 상하에 위치된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가 상호 맞물려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 전술한 하부의 동력 전달용 체인(134a)과 상부의 동력 전달용 체인(134b)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를 위해서 제1 프레임(220)의 일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설정해주기 위한 별도의 아이들 스프로켓(136) 및 방향전환용 기어(140)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120)의 축 상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122)은 구동 체인(124)으로써 전술한 아이들 스프로킷(136)과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스프로킷, 기어 및 체인 등의 배열구조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한 예에 불과한 것이다. 한편,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260) 및 제1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270)의 조작에 의해서 상측에 위치된 동력 전달용 체인(134b)의 위치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상측에 위치된 아이들 스프로킷(136)과 연결된 연결 체인(138)에는 장력의 변화가 생길 수 있는데, 비록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러한 체인의 장력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별도의 장력조절장치 등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을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은 구동 모터(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선의 굵기에 맞춰서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의 간극, 피복 절개용 롤러(230) 상에 마련된 제1 칼날(240) 사이의 간극 및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 사이의 간극을 적절히 설정한 후에 구동 모터(120)의 전원을 온(ON) 동작시키게 되면, 구동 모터(120)의 회전력은 다수의 스프로킷 및 체인으로 구성된 1차 동력 전달수단(13)에 의해서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각 축에 전달되면서 각 피복 절개용 롤러(230) 및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는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작업 관리자는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를 통해서 전선의 끝단부터 밀어 넣게 되는데, 전선의 끝단이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에 물리게 되면서 전선의 투입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전선은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에 의해서 직선상으로 투입되는 한편 피복 절개용 롤러(2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 칼날(240)이 닿는 피복 부분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집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의 칼집이 형성된 전선을 물게 되면서 전선에는 더욱 큰 힘이 가해지면서 칼집 부분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경우에는 전방에 위치된 피복 절개용 롤러(230)와 후방에 위치된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의 회전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피복 절개용 롤러(230)의 회전속도에 비하여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의 회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전방의 피복 절개용 롤러(230)와 후방의 제1 전선 이송용 롤러(250)의 회전 속도에 차이를 두게 되면 칼집이 형성된 전선의 피복과 나선의 분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피복 절개용 롤러(230)와 제1 전선 이 송용 롤러(250)의 회전비가 1.5 : 2로 설정될 경우, 피복 절개용 롤러(230)를 통과하면서 제1 칼날(250)에 의해서 칼집이 형성된 전선의 피복과 나선에 가해지는 힘에 차이가 나면서 나선과 피복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스프로킷의 규격을 달리하는 방식으로 회전비가 설정되도록 한 것이다.
제2 피복 제거 유닛(200)은 베이스(110)의 상면 다른 한쪽에 설치되는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0),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320), 제2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상하 한 쌍으로 설치되어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0)를 통과하는 전선이 강제 이동되게 하는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의 후방에 근접 설치되어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를 통과한 전선에 칼집을 내는 제2 칼날(340) 및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 사이의 간극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0)는 전술한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와 동일하거나 그와 근사한 구조로 제2 전선 투입 테이블(312)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0)와 관련하여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물론, 제1 전선 투입 가이드(210)와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0)의 조작은 작업 관리자에 의해서 별도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의 제2 프레임(320)은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2)의 후방에 위치되는 한편 대략 사각 형태의 틀이 소정 간격을 둔 채 쌍으로 설치된다. 양측의 제2 프레임(320) 상에는 각각 1개의 축 조립공간(326)이 마련될 수 있게 2개의 포스트 바(322)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한편 각 포스트 바(322)의 상단끼리는 크로스 바(324)가 고정 설치된다.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외측의 제2 프레임(320) 측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가 설치된다. 이때,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는 각각 전술한 제2 프레임(320) 상에 마련된 축 조립공간(326)에 설치되는 축 상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부 측에 위치된 고정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a)는 제2 프레임(320)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부 측에 위치된 가동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b)는 하부의 고정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a)에 대하여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질 수 있는 구조로 조립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350)이 구비되는데,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350)은 전술한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260) 및 제1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270)과 동일하거나 그에 근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3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260)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특히,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의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는 도면에 도시된 예와 같이 외주면 중간부에 소정의 절개홈(33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절개홈(332)은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칼날(340)의 선단이 안정되게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업 대상이 되는 전선이 더욱 안정되게 물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절개홈(332)은 2개의 롤러 사이에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원판을 끼워 넣은 후 일체로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고, 1개의 롤러 상에 홈을 가공하는 방식을 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2 칼날(34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된 고정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a)의 절개홈(332)과 상측에 위치된 가동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b)의 절개홈(332)에 모두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이 절개홈(332) 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한편, 하측의 제2 칼날(340a)은 고정 설치되는데 비하여 상측의 제2 칼날(330b)은 작업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서 가동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b)의 이동에 순응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측의 제2 칼날(340b)이 수용되는 칼날 케이스(342)는 가동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b)의 축이 조립되는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510)의 측면에 브래킷 등을 매개로 연결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에 구동 모터(120)의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 피복 제거 유닛(200)과 제2 피복 제거 유닛(300) 사이에는 2차 동력 전달수단(400)이 마련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의 고정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a)의 축은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고정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a)의 축과 동일한 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가동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b)의 축은 가동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b)의 축과 유니버설 조인트(420)를 매개로 연결 조립된다.
부연 설명하면, 하나의 주축(410) 상에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고정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a)와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의 고정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a)가 형성된다. 또한,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가동측 피복 절개용 롤러(230b)와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의 가동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b)는 각각 분리된 단축 상에 형성된 상태에서 유니버설 조인트(420)로써 동력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420)로써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한 축과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의 한 축이 연결되도록 하는 이유는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260)과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의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350)이 각각 따로 조작되어 각각의 높이가 일정 범위 내에서 달라지더라도 동력 전달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유니버설 조인트(4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가변형 유니버설 조인트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가변형 유니버설 조인트는 가변 구간의 확대를 위해서 일측의 조인트와 타측의 조인트 사이에 별도의 길이 가변 부재가 더 추가 조립된 것으로 시중에서도 구입 가능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피복 절개용 롤러(230)와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의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볼 경우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을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작업 관리자는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0)를 통해서 전선을 투입하기 이전에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0)의 간극 및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의 간극을 적절히 조절한다.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의 간극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2 칼날(340)의 간극 조절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한편, 구동 모터(120)의 전원이 온(ON)으로 작동된 상태에서는 제1 피복 제거 유닛(200)의 일부 축을 통해서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에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상하에 각각 위치된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는 각각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 관리자가 전선의 전단 부분을 제2 전선 투입 가이드(310)를 통해서 밀어 넣게 되면 제2 전선 이송용 롤러(330)에 물리게 되면서 전선의 이동이 시작된다. 이렇게 직선상으로 이동되는 전선이 제2 칼날(3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의 피복 상측 및 하측에는 칼집이 나면서 나선과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선 피복 제거장치(100)는 하나의 구동 모터(120)로써 제1 피복 제거 유닛(200) 및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작업 관리자는 작업 대상이 되는 전선의 굵기 또는 전선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제1 피복 제거 유닛(200)과 제2 피복 제거 유닛(300)의 각 조절수단들을 조절하면서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피복 제거 유닛(200)과 제2 피복 제거 유닛(300) 사이에 마련된 2차 동력 전달수단(400) 중의 한 구성요소로 유니버설 조인트(420)가 적용됨에 따라서 어느 일측의 피복 제거 유닛을 이용해서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타측의 피복 제거 유닛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2개의 피복 제거 유닛이 하나의 구동 모터로써 구동됨에 따라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우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좌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투입 가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피복 제거 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선 피복 제거장치 110. 베이스
120. 구동 모터 122. 구동 스프로킷
124. 구동 체인 130. 1차 동력 전달수단
132. 동력 전달용 스프로킷 134. 동력 전달용 체인
200. 제1 피복 제거 유닛 210. 제1 전선 투입 가이드
220. 제1 프레임 230. 피복 절개용 롤러
240. 제1 칼날 250. 제1 전선 이송용 롤러
260.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 270. 제1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
300. 제2 피복 제거 유닛 310. 제2 전선 투입 가이드
320. 제2 프레임 330. 제2 전선 이송용 롤러
340. 제2 칼날 350.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
400. 2차 동력 전달수단 410. 주축
420. 유니버설 조인트 500. 고정 샤프트 지지 블록
510.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 520. 롤러 간극 조절 샤프트
530.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 540. 롤러 간극 조절용 체인
550. 롤러 간극 조절용 핸들

Claims (10)

  1. 전선의 피복을 나선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전선 피복 제거장치에 있어서,
    수평 상으로 설치된 판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 한쪽에 한 쌍의 가이드가 마주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의 폭 조절이 가능한 제 1 전선 투입 가이드, 상기 제1 전선 투입 가이드의 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설치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1 전선 투입 가이드를 통해 입력된 전선의 피복에 칼집을 내는 제1 칼날이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피복 절개용 롤러, 상기 피복 절개용 롤러의 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피복 절개용 롤러를 통과하는 전선에 힘을 가해 이송되게 하는 한 쌍의 제1 전선 이송용 롤러, 상기 제1 칼날 사이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피복 절개용 롤러 상측에 설치된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 및 상기 제1 전선 이송용 롤러 사이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제1 전선 이송용 롤러의 상측에 설치된 제1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으로 형성된 제1 피복 제거 유닛;
    상기 베이스의 다른 한쪽에 한 쌍의 가이드가 마주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의 폭 조절이 가능한 제2 전선 투입 가이드, 상기 제2 전선 투입 가이드의 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설치된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전선 투입 가이드를 통해 입력된 전선이 이동되게 하는 한 쌍의 제2 전선 이송용 롤러, 상기 제2 전선 이송용 롤러의 후방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제2 전선 이송용 롤러를 통과한 전선에 칼집을 내는 제2 칼날 및 상기 제2 이송 롤러 사이의 간극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으로 형성된 제2 피복 제거 유닛;
    상기 제1 피복 제거 유닛 및 제2 피복 제거 유닛에 회전 구동력의 제공을 위해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 피복 제거 유닛에 전달하는 1차 동력 전달수단; 및
    상기 제1 피복 제거 유닛에서 출력되는 회전 동력이 상기 제2 피복 제거 유닛으로 전달되게 상기 제1 피복 제거 유닛과 제2 피복 제거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2차 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칼날 간극 조절수단, 제1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 및 제2 이송 롤러 간극 조절수단은 상기 피복 절개용 롤러, 제1 전선 이송용 롤러 및 제2 전선 이송용 롤러의 축을 수용하는 한편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포스트 바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크로스 바 상에 나사 체결되되 그 하단은 상기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그 상단은 상기 크로스 바의 상부로 일정 길이 노출되게 설치되는 롤러 간극 조절용 샤프트, 상기 각각의 롤러 간극 조절용 샤프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 상기 다수의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 중 상호 대응하는 롤러 간극 조절용 스프로킷끼리를 연결하여 서로 쌍을 이루는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이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롤러 간극 조절용 체인 및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롤러 간극 조절용 샤프트 중 어느 하나의 롤러 간극 조절용 샤프트 상단에 설치되는 롤러 간극 조절용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고정측 피복 절개용 롤러의 축과 제2 피복 제거 유닛의 고정측 제2 전선 이동 롤러의 축은 직선상의 동일한 주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가동측 피복 절개용 롤러의 축과 제2 피복 제거 유닛의 가동측 제2 전선 이동 롤러의 축은 각각 단축으로 분리형성된 후 유니버설 조인트로써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상기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과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가동 샤프트 지지 블록의 높이 변화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하는 길이 가변형 유니버설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투입 가이드 및 제2 전선 투입 가이드가 설치된 전선 투입 테이블의 하부에는 왼나사 및 오른나사가 형성된 리드 스크루가 설치되는 한편 각 가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리드 스크루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가 고 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 이동 롤러의 둘레 중앙에는 상기 칼날의 선단이 위치되게 환형의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제1 전선 이송용 롤러의 회전속도는 상기 피복 절개용 롤러의 회전속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이송용 롤러 및 제2 전선 이송용 롤러의 원주면은 기어 형태의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복 제거 유닛의 피복 절개용 롤러 및 제1 전선 이송용 롤러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 사이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 피복 제거 유닛의 제2 전선 이송용 롤러는 상기 제2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공간 외부 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칼날은 상하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되 상측의 제2 칼날은 가동측 제2 전선 이송용 롤러의 높이조절시 함께 그 높이가 조절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 제거장치.
KR20080099788A 2008-10-10 2008-10-10 전선 피복 제거장치 KR20100040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9788A KR20100040586A (ko) 2008-10-10 2008-10-10 전선 피복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9788A KR20100040586A (ko) 2008-10-10 2008-10-10 전선 피복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586A true KR20100040586A (ko) 2010-04-20

Family

ID=4221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9788A KR20100040586A (ko) 2008-10-10 2008-10-10 전선 피복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058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33B1 (ko) * 2012-05-30 2013-07-12 그리만산업(주)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101328046B1 (ko) * 2012-01-25 2013-11-20 황재형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CN105262011A (zh) * 2015-11-25 2016-01-20 威海市奥陆达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缆剥线机
CN111415788A (zh) * 2020-04-03 2020-07-14 余蓓蓓 一种废旧电缆回收装置
CN112117711A (zh) * 2020-09-18 2020-12-22 徐云霞 一种废旧电缆线的分离回收装置及使用方法
CN116564628A (zh) * 2023-03-16 2023-08-08 无锡市中汇线缆股份有限公司 一种芯线包胶层自动去胶机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046B1 (ko) * 2012-01-25 2013-11-20 황재형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101285133B1 (ko) * 2012-05-30 2013-07-12 그리만산업(주)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CN105262011A (zh) * 2015-11-25 2016-01-20 威海市奥陆达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缆剥线机
CN105262011B (zh) * 2015-11-25 2024-02-27 威海市奥陆达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缆剥线机
CN111415788A (zh) * 2020-04-03 2020-07-14 余蓓蓓 一种废旧电缆回收装置
CN111415788B (zh) * 2020-04-03 2022-04-26 云南百冠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废旧电缆回收装置
CN112117711A (zh) * 2020-09-18 2020-12-22 徐云霞 一种废旧电缆线的分离回收装置及使用方法
CN112117711B (zh) * 2020-09-18 2021-10-29 合肥源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电缆线的分离回收装置及使用方法
CN116564628A (zh) * 2023-03-16 2023-08-08 无锡市中汇线缆股份有限公司 一种芯线包胶层自动去胶机
CN116564628B (zh) * 2023-03-16 2024-02-06 无锡市中汇线缆股份有限公司 一种芯线包胶层自动去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586A (ko) 전선 피복 제거장치
KR100837311B1 (ko) 폐전선 탈피장치
KR20090025884A (ko) 사각 파이프 표면 브러싱 장치
CN113013792B (zh) 一种电力电缆外保护套自动剥离装置和自动剥离方法
CN104493855B (zh) 薄料剪切机
KR100791647B1 (ko) 창호 프레임 제조장치
KR102023031B1 (ko) 전선 탈피장치
JP5828145B2 (ja) 被覆電線の被覆剥離装置
CN113690804A (zh) 一种基于高效的电缆加工装置
CN110957679A (zh) 一种稳线剥线机
KR20130049956A (ko) 케이블 탈피장치
CN110993211A (zh) 一种针对电力电缆回收的电缆剥线设备
US365001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metals from cables
CN110773591B (zh) 一种高导热铝基板生产设备
KR101531314B1 (ko)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KR100287812B1 (ko) 전선껍질탈피장치
CN2699552Y (zh) 中、高压单芯电缆剥皮机
CN114825190B (zh) 一种配电柜电缆回收自动处理装置
CN108115954B (zh) 一种软光缆护套修复装置
JPH09511378A (ja) ワイヤー及びケーブル加工装置
KR102047694B1 (ko) 수직 전로용 케이블 견인장치
KR100769856B1 (ko)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CN212434360U (zh) 一种高压电缆剥皮装置
KR200163807Y1 (ko)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CN204397932U (zh) 薄料剪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