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314B1 -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314B1
KR101531314B1 KR1020130087983A KR20130087983A KR101531314B1 KR 101531314 B1 KR101531314 B1 KR 101531314B1 KR 1020130087983 A KR1020130087983 A KR 1020130087983A KR 20130087983 A KR20130087983 A KR 20130087983A KR 101531314 B1 KR101531314 B1 KR 10153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ver
pair
rollers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453A (ko
Inventor
정영철
Original Assignee
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철 filed Critical 정영철
Priority to KR102013008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3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7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8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friction, e.g. abrading, grinding, br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케이블의 상하 또는 좌우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절단롤러의 원호형 홈에 의해 케이블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그 위치에서 바로 피복에 대한 절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개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이루어지고, 피복을 향해 큰 힘을 가하여 절개날에 의한 피복의 절개 깊이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는 케이블피복 절개롤러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케이블피복 절개롤러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는 회전중심부에 회전축에 결합하기 위한 축결합부를 구비하는 원반형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형 홈의 내부에는 상기 원호형 홈의 좌우 중심부에서 상기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호형 홈에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기 위한 절개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Incision roller for cable coating and cable coating stripp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피복 탈피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피복을 절개하는 데 사용되는 케이블피복 절개장치와 이를 가지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의 개선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cable)은 전기 또는 빛을 전달하기 위한 내부의 금속선 또는 광섬유와 이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피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케이블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10)은 내부의 금속선 또는 광섬유 등의 내선(12)들과 이들의 외부를 둘러싸는 금속으로 된 내피(14)와 내피(14)를 둘러싸는 PE 등의 합성수지로 된 피복(16)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습과 방충, 외부영향으로 인한 전기적 노이즈방지 등을 위해 피복(16)은 내피(14)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강하게 압착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10)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전기 및 통신분야 기술이 빠르게 발달함에 따라 교체되어 폐기되는 케이블(10)의 양이 날로 증가하고 있고, 환경오염의 문제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10)은 각 소재별로 분리되어 재활용될 수 있도록 피복(16)을 탈피시킨다. 케이블(10)의 소재 중 특히 PE 등의 합성수지로 된 피복(16)의 재활용은 경제성이 크기 때문에 케이블(10)의 피복을 탈피하기 위한 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공고번호 실1994-0002342(초고압 케이블의 외피 탈피기, 1994년04월13일 공고) 및 공개번호 특2000-0027193호(광케이블의 탈피장치, 2000년 5월 15일 공개)에는 이송되는 케이블의 상하에서 칼날로 피복을 절개하여 절개된 피복을 좌우 양측으로 분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9-55135(전선의 심선과 피복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1997년 2월 25일 공개)는 전선공급장치, 공급되는 전선을 예열하는 예열장치, 분리장치본체 및 전선인수장치로 이루어진 피복분리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번호 20-0314261호(광체이블 피복 탈피장치, 2003년 5월 23일 공고)의 등록실용신안공보는 히터가 내장된 열전도블록과, 열전도블록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예열되어 내측으로 삽입된 광케이블의 피복층을 절개하는 한 쌍의 커터와, 커터가 선단에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작동부재와, 커터 내에 광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안내구멍을 갖는 안내부재로 이루어진 광케이블피복 탈피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피복을 상하에서 칼날로 절개하여 분리하면서 또한 피복이 잘 벗겨지도록 예열하는 기술은 2004년 이전부터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로서 그 이전 기술에 비해 나름대로의 효과를 가지기는 하지만 여전히 많은 개선과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롤러와 피복을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기 위한 칼날이 떨어져 있어 피복을 절개할 때 케이블이 요동되지 않도록 케이블의 장력을 매우 크게 유지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는 케이블을 사전에 예열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케이블의 장력을 크게 하는 경우에도 케이블의 흔들림은 존재하기 때문에 여전히 피복의 절개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피복분리장치는 피복이 잘 분리되는 케이블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케이블(10)의 경우 피복이 내피에 강하게 압착되어 있어 피복(16)이 내피(14)에서 잘 분리되지 않으며, 특히 칼날에 의한 절개부위에 인접한 피복(16)이 분리되는 피복(16)에서 떨어져 내피(14)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그 외에도 종래의 피복분리장치에서는 분리된 피복이 상하로 유동되는 문제, 분리된 피복이 이송롤러들에 의해 이동되는 도중 앞뒤 속도가 맞지 않아 피복이 구겨지는 문제가 있음도 알아차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알려진 종래기술을 더욱 개선함으로써 피복의 탈피성능이 향상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와 이에 필요한 도구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경로를 따라 케이블피복의 절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피복 절개기구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완전하게 절개된 케이블피복의 절개부위를 한 번 더 절개하면서 절개부위를 케이블에서 이탈시켜 양 옆으로 벌려줄 수 있는 보조절개 탈피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측이 절개된 피복을 케이블에서 원활하게 분리시켜 바깥으로 벌려줄 수 있으면서도 분리된 케이블피복이 상하로 유동되어 구겨지지 않고 정해진 이송경로로 보내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피복 탈피구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에서 분리된 피복이 구겨지지 않고 이송될 수 있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는 회전중심부에 회전축에 결합하기 위한 축결합부를 구비하는 원반형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형 홈의 내부에는 상기 원호형 홈의 좌우 중심부에서 상기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호형 홈에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기 위한 절개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원호형 홈의 표면에는 상기 원호형 홈에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돌기가 상기 원호형 홈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는 상기 절개날과 상기 절개날의 일측면에 결합된 제1분할몸체 및 상기 절개날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분할몸체와 좌우 대칭을 이루며 상기 절개날의 타측면에 결합된 제2분할몸체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분할몸체, 상기 제2분할몸체 및 상기 절개날은 결합수단을 통해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절개날은 링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제1분할몸체, 상기 제2분할몸체 및 상기 절개날에는 3곳 이상의 대응 위치에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수단은 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차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들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들 사이로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양측에서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여주기 위한 피복절개부; 상기 피복절개부 앞쪽 배치되고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2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제2회전축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며 외주면에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인입롤러들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입롤러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인입시켜 상기 피복절개부로 밀어주는 케이블인입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서 끝단이 상기 피복 내측의 상기 케이블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절개된 피복이 상기 케이블의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케이블피복 탈피구를 구비하여 구성된 피복탈피부; 상기 피복절개부와 상기 케이블인입부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피복절개부와 상기 케이블인입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및 위에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설치장소를 제공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호형 홈의 크기가 서로 다른 2쌍 이상의 상기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2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인입롤러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원호형 홈의 크기가 서로 다른 2쌍 이상의 인입롤러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에서 분리된 상기 피복을 절단하여주기 위한 피복절단부; 및 상기 피복탈피부에서 분리된 상기 피복을 상기 피복절단부를 향해 안내하고 이송하는 이송롤러들 가지는 피복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피복절개부, 상기 케이블인입부 및 상기 피복이송부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피복절개부, 상기 케이블인입부 및 상기 피복이송부로 전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복절개부와 상기 피복탈피부 사이에 설치되어 통과되는 상기 케이블을 가열하여주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복탈피부, 상기 피복절단부, 상기 피복이송부 및 상기 가열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서 전후 이동 가능케 설치된 가동테이블 상에 탑재되어 있어 인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위치에 따라 위치조정 가능하고, 상기 케이블피복 탈피구와 상기 이송롤러들은 상기 가동테이블 상에서 상기 가동테이블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간격 조정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이동부는 상기 가동테이블에 고정된 고정부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것이 좋다.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은 간격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제2회전축은 간격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복이송부는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복수의 제1롤러의 쌍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일측에서 분리된 상기 피복을 이송하기 위한 제1피복이송부와,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복수의 제2롤러의 쌍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타측에서 분리된 상기 피복을 이송하기 위한 제2피복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롤러의 쌍들과 상기 제2롤러의 쌍들은 상기 피복탈피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의 표면과 상기 제2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피복의 원활한 이송을 위한 요철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복탈피부는 상기 케이블피복 탈피구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절개부에서 끝단이 상기 피복 내측의 상기 케이블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절개부 부위의 상기 피복을 상기 케이블에서 분리하여주기 위한 보조절개 탈피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케이블의 상하 또는 좌우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절단롤러의 원호형 홈에 의해 케이블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그 위치에서 바로 케이블피복에 대한 절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개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절단롤러의 원호형 홈에 의해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블피복을 절개하기 위한 절개날에 큰 힘을 가할 수 있어 케이블피복의 절개 깊이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절개 탈피구에 의한 절개부위의 케이블피복에 대한 재절개와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케이블피복의 탈피가 깨끗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끝단에 반원추형상의 갖는 케이블피복 탈피구에 의해 케이블피복이 케이블에서 원활하게 분리됨과 아울러 상하 가이드에 의해 상하유동이 방지되므로 탈피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치에 설치된 이송롤러들은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케이블피복의 이송속도가 뒤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피복이 상하로 구겨지지 않고 평평하게 잘 펼쳐지고, 케이블피복의 절단도 깔끔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의 사시도,
도 3은 도 2 케이블피복 절개롤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사이에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치를 나타낸 정면배치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치를 좌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 케이블피복 탈피장치에서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와 케이블인입롤러 및 모터 하부의 피복절단부의 평면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가동테이블과 가동테이블에 설치되는 피복절단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배치도,
도 9는 케이블인입부의 인입롤러들 앞쪽에 설치될 수 있는 전선유입구의 정면도,
도 10은 피복절단부의 구성을 좌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모터 하부의 피복절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배치도,
도 12는 회전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 구성을 도 10의 좌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이송롤러와 가이드롤러의 동력전달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케이블피복 탈피구 안쪽 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케이블피복 탈피구의 바깥쪽 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보조절개 탈피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보조절개 탈피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절개 탈피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케이블피복 절개롤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사이에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는 원반형의 몸체(110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10a)의 중심부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축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결합부(111)는 회전축(S)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그 내면 일측에는 키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10a)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원호형 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형 홈(114)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케이블(10)의 일 측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10)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원호형 홈(114)의 표면에는 원호형 홈(114)에 삽입되는 케이블(1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돌기(115)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5)들은 원호형 홈(114)의 외주면을 따라 몸체(110a)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5)들은 그 접촉부위의 케이블(10)의 표면을 가압하여 케이블(10)이 적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없어도 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10)의 미끄럼을 방지할 필요가 없거나 어느 정도의 슬립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돌기(115)는 필요치 않다.
도 2 내지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호형 홈(114)에는 원호형 홈(114)의 좌우 중심부에서 몸체(110a)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개날(116) 설치되어 있다. 이 절개날(116)은 회전축(S)을 중심으로 몸체(110a)가 회전함에 따라 원호형 홈(114)에 삽입되는 케이블(10)의 피복(16)을 케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절개롤러(110)는 주물이나 기계가공에 의해 그 전체를 일체로 만들 수도 있으나, 도 3과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몇 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개날(116)과 이 절개날(116)의 일측면에 결합된 제1분할몸체(110a-1) 및 절개날(116)을 중심으로 제1분할몸체(110a-1)와 좌우 대칭을 이루며 절개날(116)의 타측면에 결합된 제2분할몸체(110a-2)를 결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분할몸체(110a-1), 절개날(116) 및 제2분할몸체(110a-2)의 결합은 핀 등의 결합수단(118)을 통해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좋다. 제1분할몸체(110a-1), 제2분할몸체(110a-2) 및 링 형상의 절개날(116)에는 3곳 이상의 대응 위치에 핀 구멍(118a)을 형성하고, 이 핀 구멍(118a)에 핀으로 된 결합수단(118)을 결합하여 제1분할몸체(110a-1), 절개날(116) 및 제2분할몸체(110a-2)가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절개날(116)의 외주면은 도 2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톱니형 등 여타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는 한 쌍의 회전축(S)을 통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보고 설치되어 원호형 홈(114)으로 삽입되는 케이블(10)을 이송시키면서 절개날(116)이 케이블(10)의 피복(16)을 상하 양측에서 절개하여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를 이용하는 경우, 같은 장소에서 케이블(10)을 이송시키는 힘을 제공하면서 피복(16)을 절개하여줄 수 있어 공간사용 효율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블(10)이 원호형 홈(114)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및 좌우로 흔들리지 못하도록 구속된 상태에서 피복(16)의 절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서 피복(16) 절개가 이루어지고 피복을 향해 큰 힘을 가할 수 있어 절개성능도 뛰어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 한 쌍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케이블(10)의 상면과 하면에서 피복(16)의 절개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는 한 쌍이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케이블(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피복(16)의 절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수한 경우에는,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 한 쌍이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2 내지 4에는 한 쌍의 회전축(S)에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만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10)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과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 홈(114)의 크기가 다른 복수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을 한 쌍의 회전축(S)에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치를 나타낸 정면배치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치를 좌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 케이블피복 탈피장치에서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와 케이블인입롤러 및 모터 하부의 피복절단부의 평면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가동테이블과 가동테이블에 설치되는 피복절단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배치도이다.
도 5 내지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치(200)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여주기 위한 프레임(20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201) 상에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를 이용한 피복절개부(2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복절개부(210)는 앞뒤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201) 상에 설치된 제1지지대(211)와 이 제1지지대(211)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제1회전축(S1)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쪽 제1회전축(S1)은 제1지지대(211)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쪽 제1회전축(S1)은 승강부재(212)를 통해 제1지지대(211)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쪽에 상부쪽의 제1회전축(S1)을 하방으로 가압하여주기 위한 가압기구(213)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기구로(213)는 나사를 이용한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한 쌍의 제1회전축(S1) 외주면에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원호형 홈(114)의 크기가 다른 5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각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에 설치된 절개날(116)의 돌출된 높이도 서로 다르다.
한 쌍의 제1회전축(S1)의 우측 단부에는 스프라켓(SP)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라켓(SP)은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232)을 통해 뒤에서 설명되는 제2회전축(S2)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것이다.
피복절개부(210)는 승강부재(212)에 설치되어 상부쪽 제1회전축(S1)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측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과 제1지지대(211)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쪽 제1회전축(S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만 하는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피복절개부(210)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의 회전속도는 뒤에서 설명되는 케이블인입부(250)에 설치되는 인입롤러들에 비해 조금 크게 하여 절개날(116)의 절개부위 가장자리의 선속도가 인입롤러들 표면의 선속도보다 빠르게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는 경우, 절개날(116)의 선속도가 피복(16)이 통과하는 속도보다 빨라지고, 이 속도 차이로 인해 절개날(116)이 피복(16)을 원활하게 그리고 깨끗하게 베어서 절개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와 피복 사이에서는 약간의 슬립이 일어난다.
이 실시 예의 피복절개부(210)는 여러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10)의 피복을 절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직경이 같거나 유사한 케이블(10)만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만 설치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예는 쌍을 이루는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쌍을 이루는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은 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여타의 구성요소들도 이에 맞게 자세를 바꾸어야 할 것이다.
이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은 제1회전축(S1)의 회전에 의해 제1회전축(S1)과 함께 회전하면서 케이블(10)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마주하는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 사이로 통과하는 케이블(10)의 피복(16)을 상하 양측에서 케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절개부(17)를 형성하여준다.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 외주면에 앞에서 설명한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피복절개부(210)를 통과한 케이블(10)의 피복(16)에는 절개부(17)와 함께 일정 간격으로 흠집이 형성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치(200)는 피복절개부(210) 앞쪽의 프레임(201) 상에 설치된 케이블인입부(250)를 구비한다.
케이블인입부(250)는 케이블(10)을 피복절개부(210)로 원활하게 공급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피복절개부(210) 앞쪽의 제2지지대(251)에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블인입부(250)는 제2지지대(251)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2회전축(S2)과 한 쌍의 제2회전축(S2)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며 외주면에 원호형 홈(254)이 형성되어 있는 5쌍의 인입롤러(252)들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쪽의 제2회전축(S2)은 제2지지대(251)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쪽의 제2회전축(S2)은 승강부재(253)를 통해 제2지지대(25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제2지지대(251)의 상단에는 승강부재(253)를 하방으로 눌러주기 위한 가압기구(2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기구(255)로는 나사부재를 이용한 것이 적당하다.
인입롤러(252)는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232)을 통해 구동부(2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아래쪽의 제2회전축(S2)에는 왼쪽 단부에 스프라켓(SP)과 제1기어(G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라켓(SP)과 제1기어(G1)는 하부측의 제2회전축(S2)과 함께 회전한다. 제1기어(G1)에는 제2기어(G2), 제3기어(G3) 및 제4기어(G4)가 차례대로 맞물려 있다. 제4기어(G4)는 상측부의 제2회전축(S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기어(G2)와 제3기어(G3)는 링크부재(L)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부재(L)는 제2기어(G2)가 설치되는 하단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제3기어(G3)는 링크부재(L)의 상단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3기어(G3)는 링크부재(L)의 회동각도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L) 또는 제3기어(G3)는 링크부재(L)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인입부(250)의 승강부재(253)가 상하운동을 하여 상측부의 인입롤러(252)들과 하측부의 인입롤러(252)들 사이가 가까워졌다 멀어졌다 하는 경우라도 제1기어(G1), 제2기어(G2), 제3기어(G3), 제4기어(G4)의 맞물림은 해제되지 않는다. 스프라켓(SP)의 회전력은 제1기어(G1), 제2기어(G2), 제3기어(G3), 제4기어(G4)를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제4기어(G4)와 같은 제2회전축(S2)에 설치된 상측부의 인입롤러(252)들이 하측부의 인입롤러(252)들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측부의 인입롤러(252)들은 시계방향으로, 하측부의 인입롤러(252)들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제2회전축(S2)의 오른쪽 단부에는 스프라켓(SP)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는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232)을 통해 한 쌍의 제1회전축(S1)으로 회전동력을 각각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인입부(250)에 진입한 케이블(10)은 인입롤러(252)들의 쌍에 의해 장치 안쪽으로 잡아당겨지며, 이렇게 인입된 케이블(10)은 다음으로 피복절개부(210)로 진입한다.
인입롤러(252)들 앞쪽에 원호형 홈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크기가 다른 인입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인입가이드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데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케이블인입부(250)는 인입롤러(252)들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10)을 인입시켜 피복절개부(210)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피복절개부(210) 뒤쪽에는 바람직하게, 케이블(1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270), 절개된 피복(16)을 케이블(10)에서 탈피하기 위한 피복탈피부(280), 탈피된 피복(16)을 그 뒤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피복이송부(300) 및 탈피된 피복(16)을 절단하기 위한 피복절단부(320)가 차례대로 설치되는 데, 이들은 바람직하게, 도 7과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테이블(340) 상에 탑재되어 좌우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여러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 중 케이블(10)이 나오는 위치에 맞게 가열부(270) 등을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가동테이블(340)은 프레임(201) 상에 앞뒤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부(202)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핸들(H)을 회전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피복절개부(210)에 이웃하여 설치되는 가열부(270)는 피복(16)이 절개된 케이블(10)을 가열하여 PE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16)을 유연하게 만들어 피복(16)이 내피에서 잘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열부(270)는 케이블(10)에 열을 가할 수 있으면 되므로 다양한 가열수단이 이용될 수 있지만, 전열선을 이용하거나 고주파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합성수지로 된 피복(16)은 가열되면 유연하게 되므로 케이블(10)의 내피에서 이탈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가열부(270) 내의 온도는 피복(16)의 종류, 피복의 두께, 케이블(10)의 이송속도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열부(270) 뒤쪽의 가동테이블(340) 상에는 피복탈피부(2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복탈피부(280)는 절개된 피복(16)을 케이블(10)에서 탈피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동부(MP)와 고정부(FP)를 가지며 케이블(10)이 지나는 자리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FP)는 가동테이블(340)에 고정되며, 에어척이나 스프링을 통해 한 쌍의 이동부(MP)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압력을 가한다. 양 측의 이동부(MP) 상에 케이블(10)의 좌우로 배치되는 케이블피복 탈피구(281)가 설치된다. 이 케이블피복 탈피구(281)는 절개부(17)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서 끝단이 피복(16) 내측의 케이블(10)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절개된 피복(16)이 케이블(10)의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블피복 탈피구(281)의 바람직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13과 14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피복탈피부(280)는 케이블피복 탈피구(281) 앞쪽에 설치된 보조절개 탈피구(291)를 더 구비한다. 이 보조절개 탈피구(291)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피복절개부(17)에서 완전하게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재절개 하면서 상측의 피복을 케이블에서 분리하여 양쪽으로 벌리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보조절개 탈피구(291)는 상하의 절개부(17)에서 끝단이 피복(16) 내측의 케이블(10)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절개부(17) 부위의 피복(16)을 케이블(10)에서 분리하여준다. 이에 따라 보조절개 탈피구(291)는 절개부(17) 부위의 피복(16)이 케이블(10)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 부분을 케이블피복 탈피구(281) 앞쪽에서 미리 분리시켜 케이블피복 탈피구(281)에서 원활하게 피복(16)을 탈피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절개 탈피구(291)는 에어척 등의 지지구를 통해 케이블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조절개 탈피구(291)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케이블피복 탈피구(281) 양 옆을 거쳐서 피복탈피부(280) 뒤쪽으로 피복이송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예의 피복이송부(300)는 피복탈피부(280)에서 분리된 피복(16)을 피복절단부(320)를 향해 안내하면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이송과정에서 피복(16)을 평평하게 펴주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피복이송부(300)는 일측의 이동부(MP) 상에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복수의 제1이송롤러(301)의 쌍들로 이루어지고 케이블(10) 일측에서 분리된 피복(16)을 이송하기 위한 제1피복이송부(301a)와,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타측 이동부(MP) 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2롤러(302)의 쌍들로 이루어지고 케이블(10) 타측에서 분리된 피복(16)을 이송하기 위한 제2피복이송부(302a)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제1이송롤러(301)들과 제2이송롤러(302)들은 이동부(MP) 저부에 배치되는 기어들을 통해 제1이송롤러(301)들은 제1이송롤러(301)들끼리, 제2이송롤러(302)들은 제2이송롤러(302)들끼리 서로 연결되어 바람직하게 동시에 같은 회전속도로 구동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제1이송롤러(301)의 쌍들과 제2이송롤러(302)의 쌍들은 피복탈피부(280)에서 멀어질수록 즉, 뒤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증가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뒤쪽으로 갈수록 피복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하여 피복(16)이 이송과정 중에 구겨지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피복(16)이 잘 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제2이송롤러(301, 302)들의 표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분리된 피복(16)에서 슬립이 적게 발생되도록 또는 슬립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피복 탈피구(281)와 제1, 제2이송롤러(301, 302)들 앞쪽에 가열부(270)에서 빠져나오는 케이블(1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및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3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가이드롤러(303)는 좌우 이동부(MP)에 각각 설치되어 간격조정 가능하다.
케이블(10)의 직경에 차이가 있더라도 피복(16)의 두께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벗겨진 피복(16)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롤러(301)의 쌍들의 간격과 제2이송롤러(302)의 쌍들의 간격은 간격조정이 필요치 않다.
피복이송부(320)의 제1, 제2이송롤러(301, 302)들과 한 쌍의 가이드롤러(303)는 구동부(2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피복이송부(300) 뒤쪽에 케이블(10)에서 분리되어 이송되어오는 피복(16)을 절단하여주기 위한 피복절단부(320)가 구비되는 데, 이는 도 6과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329)의 동력을 풀리들을 통해 회전날과 안내롤러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경우에 따라, 피복절단부(32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날(326a)의 측방에 설치된 모터(329a)로 회전날(326a)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피복절단부(320)는 장치에서 분리되어서 별개의 장치로 여타의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피복절단부(320)에서 절단된 피복(16)은 배출부(340)를 통해 프레임(201) 외부로 미끄러져 내려가며, 이렇게 미끄러져 내려간 절단된 피복(16)은 컨베이어(350)를 통해 수집통(360)으로 보내진다. 피복(16)이 탈피되고 남은 케이블(10)의 나머지 부분은 중앙부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외부로 방출된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치(200)는 피복절개부(210), 케이블인입부(250) 및 피복이송부(300)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부(230)를 구비한다. 이 구동부(230)로는 모터가 적당하다. 특별한 경우에는 원동기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피복절단부(320)도 구동부(230)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나, 모터(329)를 통해 별도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230)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은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232)과 스프라켓(SP) 또는 벨트와 풀리, 기어 등을 통해 피복절개부(210), 케이블인입부(250) 및 피복이송부(300)로 전달된다. 이 실시 예는, 피복절개부(210)는 케이블인입부(250)를 통해 구동부(230)의 동력을 전달받고 케이블인입부(280)와 피복이송부(300)는 구동부(230)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9는 케이블인입부의 인입롤러들 앞쪽에 설치될 수 있는 전선유입구의 정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인입롤러(252)들 앞쪽의 프레임(201) 상에 원호형 홈(254)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입공(242)들이 형성되어 있는 인입가이드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인입가이드부재(240)는 케이블(10)의 인입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고 쌍을 이루는 인입롤러(252)들 사이로 케이블(10)이 정확한 위치에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인입공(242)은 케이블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거기에 맞는 인입공(242)으로 케이블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직경이 다른 여러 개가 좌우로 배열되어 있다. 이 인입공(242)은 인입롤러(252)들의 쌍의 개수에 맞추어 같은 개수로 설치된다.
도 10은 피복절단부의 구성을 좌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모터 하부의 피복절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배치도이고, 도 12는 회전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 구성을 도 10의 좌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피복절단부(320)는 절단부프레임(32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절단부프레임(321)에는 피복절단부(320)를 이루는 여러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절단부프레임(321)은 내측벽부(322)와 외측벽부(324)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벽부(324)는 피복절단부(320)의 외벽을 이루도록 수직한 평판으로 형성되고, 내측벽부(322)는 외측벽부(324) 안 쪽에 설치된다. 외측벽부(324)와 내측벽부(322)는 각각 한 쌍이 좌우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피복절단부(320)는 피복탈피부(280)에서 탈피된 길고 가느다란 외피를 짧게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회전날(326)과 고정날(328)을 포함한다. 고정날(328)은 외측벽부(324)와 내측벽부(322) 사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회전날(326)은 고정날(328)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내측벽부(322)와 외측벽부(324)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날(326)이 회전함으로써 고정날(328) 위를 지나는 피복이 절단되게 된다. 회전날(326)과 고정날(328)은 교체 가능한 팁을 가져, 팁이 마모되면 새로운 팁으로 교체할 수 있다.
피복탈피부(280)에서 벗겨진 피복은 두 갈래로 갈라지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벽부(322)와 내측벽부(324)가 한 쌍을 이룰 뿐만 아니라 회전날(326)과 고정날(328)도 한 쌍을 이루어 각각 두개씩 설치된다.
또한, 회전날(326)과 고정날(328) 쪽으로 피복을 안내할 수 있도록 피복절단부(320)에 인접하여 안내롤러(330)가 상하로 배치되어 절단부프레임(321)에 설치된다. 상하의 두 안내롤러(330) 사이에는 작은 틈이 있어서 이 틈 사이로 피폭이 통과한다. 피복은 두 안내롤러(330) 사이를 지나면서 압축되고 곧게 펼쳐져서 회전날(326)과 고정날(328)이 있는 쪽으로 진입하게 된다.
회전날(326)이 두 개임에도 도 10 내지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절단부(320)를 구성하는 경우, 절단부프레임(321)의 상부에 1개의 모터(329)만 설치하여도 된다. 두 회전날(326)을 하나의 모터(329)로써 회전시키기 위해 절단부프레임(321)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전동요소들이 설치된다.
먼저 모터(329)에는 구동풀리(DP)가 설치된다. 모터(329)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풀리(DP)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피복절단부(320)의 전동장치는 하나의 축에 함께 설치되는 제1풀리(P1)와 제2풀리(P2), 또 다른 하나의 축에 함께 설치되는 제3풀리(P3)와 제4풀리(P4), 그리고 안내롤러(330)와 하나의 축에 설치되는 제5풀리(P5)를 포함한다. 각각의 풀리들은 제1풀리(P1)를 제외하고는 모두 절단부프레임(321)의 측면에 좌우 대칭되도록 한 쌍식 설치된다.
제1풀리(P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풀리(P2)와 하나의 축에 의해 함께 회전하며, 이 축은 절단부프레임(321)을 가로질러 설치되므로 대응되는 제1풀리(P1)와 한 쌍의 제2풀리(P2)가 모두 세 개의 풀리가 하나의 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한다. 제1풀리(P1)는 벨트 또는 체인 등의 전동요소에 의해 구동풀리(DP)와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329)에 의해 구동풀리(DP)가 회전하면, 제1풀리(P1), 한 쌍의 제2풀리(P2)가 함께 회전한다.
제2풀리(P2)의 아래쪽에는 제3풀리(P3)가 설치된다. 제3풀리(P3)는 제2풀리(P2)와는 달리 대응되는 한 쌍이 하나의 축에 연결되지 않고 분리된다. 제3풀리(P3)는 제4풀리(P4) 및 회전날(326)과 하나의 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한다. 제2풀리(P2)와 제3풀리(P3)는 벨트 또는 체인 등의 전동요소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2풀리(P2)가 회전하면, 제3풀 리(P3)가 회전하며, 제3풀리(P3)외 연결된 회전날(326)이 회전한다. 또한, 제3풀리(P3)가 회전하면, 제4풀리(P4)도 함께 회전한다.
제4풀리(P4)는 벨트 또는 체인 등의 전동요소에 의해 제5풀리(P5)와 연결된다. 제5폴리(P5)는 안내롤러(330)와 하나의 축에 설치되므로 제4풀리(P4)가 회전하면 제5풀리(P5) 및 안내롤러(330)가 함께 회전한다.
피복탈피부(280)를 빠져 나온 피복은 각각 두 갈래로 나뉘어져 먼저 한 쌍의 안내롤러(3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는 동시에 회전날(326)과 고정날(328) 사이에서 절단되며,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은 한 쌍의 내측벽부(324) 사이를 통과하여 케이블피복 탈피장치(200)를 빠져나간다.
도 13은 이송롤러와 가이드롤러의 동력전달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을 함께 참조하면, 구동부(230)에 연결된 스프라켓(SP)의 수평축이 회전되면 이 수평축의 회전동력은 베벨기어를 거쳐 수직축에 설치된 구동스프라켓(DSP)으로 전달된다. 구동스프라켓(DSP)이 회전되면 체인(CH)을 통해 제1, 제2이송롤러(301, 302)들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제1스프라켓(SP1)과 가이드롤러(303)를 구동하기 위한 제2스프라켓(SP2)으로 전달된다. 케이블의 직경 변화에 따른 한 쌍의 가이드롤러(303) 등의 간격조정 시의 체인(CH)에 걸리는 장력의 변화는 장력조절롤러(CR)를 통해 조정한다. 그리고 제1롤러(301)들 간의 동력전달과 제2롤러(302)들 간의 동력전달은 이동부(MP) 하부에서 서로 물리는 평기어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같은 구동부(230)의 동력으로 제1, 제2이송롤러(301, 302)들 및 한 쌍의 가이드롤러(303)가 회전될 수 있다.
도 14는 케이블피복 탈피구 좌측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케이블피복 탈피구의 우측면 사시도이다.
도 14와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피복 탈피구(281)는 장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몸체(28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281a)의 안쪽 면에 피복이 탈피된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케이블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태의 안내홈(282)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피복 탈피구(281)의 앞쪽 끝단은 벗겨진 피복을 좌우로 벌려줄 수 있도록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경사면(28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283)의 앞쪽 끝단에 외주면이 반원추의 형상을 하고 있는 반원추형상부(284)가 구비되어 있다. 반원추형상부(284) 상하로는 벗겨진 피복이 반원추형상부(284)를 타고 뒤쪽으로 빠져나가면서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방지부(285)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케이블피복 탈피구(281)는 경사면(283) 후단에서 안쪽으로 꺾인 계단부(286)와 이 계단부(286) 안쪽에서 안내홈(282)이 형성된 안쪽 면과 평행하게 뒤쪽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연장표면부(287)를 구비하여, 평면모양이 화살표 반쪽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몸체(281a)에는 고정구를 이용해 상기 케이블피복 탈피장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28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피복 탈피구(281)는 한 쌍이 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케이블피복 탈피구(281)는 대략 화살표 모양을 취하고 있다.
도 16은 보조절개 탈피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7은 보조절개 탈피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절개 탈피구의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조절개 탈피구(291)는 이송되어오는 케이블(10)의 절개부의 불완전하게 절개된 피복(16)을 절개하여 주면서 절개부 부위의 피복(16)을 케이블(10)에서 이탈시켜 좌우로 벌려주기 위한 것으로, 피복분리벌림날부(292)를 구비한다. 이 피복분리벌림날부(292)는 피복(16)이 절개된 절개부 저부에서 피복(16) 하부로 파고들면서 절개부 좌우의 피복(16) 일부를 케이블(10)에서, 이 실시 예에서는 케이블(10)의 내피(14)에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피복분리벌림날부(292)는 앞쪽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피복분리벌림날부(292)는 케이블(10)에서 분리된 피복(16)을 좌우로 벌려줄 수 있도록 앞쪽은 좁고 뒤쪽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점점 증가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피복분리벌림날부(292)의 저면은 바람직하게 오목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피복분리벌림날부(292) 위쪽에는 양 측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93)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분리벌림날부(292) 앞쪽에는 경사절개날부(29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절개날부(294)는 앞쪽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고, 경사절개날부(294)의 가장자리가 뒤쪽으로 갈수록 케이블(10)에 점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뒤쪽으로 이송되는 케이블(10)이 뒤쪽으로 갈수록, 경사절개날부(294)는 점점 깊게 케이블(10)의 절개부에 삽입되면서 미절개된 부분의 피복(16)을 절개하여준다. 또한, 이 경사절개날부(294)는 피복분리벌림날부(292)가 케이블(10)의 절개부로 정확하게 삽입되면서 절개부를 통해 피복(16) 밑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피복(16)은 피복분리벌림날부(292)에 의해 케이블(10)의 내피(14)에서 분리되면서 좌우로 벌려지게 된다.
피복분리벌림날부(292)와 경사절개날부(294) 위쪽에 장착부(29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부(295)에는 보조절개 탈피구(291)를 필요한 곳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296)들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95)는 필요한 곳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고정대상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바뀔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절개 탈피구(291)는 체결공(296)에 결합되는 볼트(B)를 통해 에어척(310)의 이동편(312)에 고정되어 있고, 에어척(310)은 에어척 부착판(314)을 통해 가동테이블에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피복 탈피장치(2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복을 탈피하고자 하는 케이블(10)의 직경에 따라 케이블(10)을 거기에 맞는 인입가이드부재(240)의 인입공(242)으로 삽입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인입롤러들(252)의 쌍에 물리도록 한다. 그런 다음 핸들(H)을 돌려서 가동테이블(340)을 이동시켜서 가열부(270), 피복탈피부(280), 피복이송부(300) 및 피복절단부(320)를 케이블(10)이 인입되는 위치에 정렬시킨다.
이 경우, 케이블인입부(250)에 케이블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케이블(10)이 인입되는 인입공(242)을 감지하도록 하고, 가동테이블(340)이 감지된 인입공의 대응위치에 도달하면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동테이블(340)의 위치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동테이블(340)을 필요한 위치에 정렬시킨 후 구동부(230)를 가동하면 구동부(230)의 동력은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232)과 스프라켓(SP)을 통해 케이블인입부(250)의 아래쪽 제2회전축(S2)으로 전달된다. 아래쪽 제2회전축(S2)의 동력은 제1기어(G1) 내지 제4기어(G4)를 통해 상부쪽의 제2회전축(S2)으로 전달되어 쌍을 이루는 인입롤러(252)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케이블(10)을 피복절개부(210) 쪽으로 보낸다.
한편, 한 쌍의 제2회전축(S2)이 회전하면 이들과 연결된 피복절개부(210)의 한 쌍의 제1회전축(S1)도 제2회전축(S2)과 함께 회전하면서 제1회전축(S1)에 설치된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케이블인입부(250)에서 들어오는 케이블(10)은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들 사이로 들어가게 되고, 바람직하게, 케이블(10)의 이송속도보다 빠른 선속도로 회전하는 케이블피복 절개롤러(110)의 절개날(116)에 의해 케이블(10)의 피복(16)은 상하 양쪽에서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다.
이렇게 상하 양측에서 피복(16)이 절개된 상태의 케이블(10)은 가열부(27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피복탈피부(280)로 보내진다.
가열부(270)에서 빠져나오는 케이블(10)은 먼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보조절개 탈피구(291)를 만난다. 보조절개 탈피구(291)는 피복의 절개부(17)에 미절개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한 번 더 절개하여주면서 절개부위, 이 실시 예에서는 케이블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피복(16) 일부를 케이블(10)의 내피(14)에서 분리하면서 양 옆으로 벌려준다. 보조절개 탈피구(291)를 통과한 케이블(10)은 케이블피복 탈피구(281) 쪽으로 보내진다. 케이블피복 탈피구(281)는 케이블(10)의 양 측면에서 피복(16)을 케이블(10)에서 완전히 분리하면서 분리된 피복(16)을 양 옆으로 벌려준다.
케이블(10)에서 분리된 피복(16)은 피복이송부(300)의 제1, 제2이송롤러(301, 302)들을 통해 피복절단부(320)로 보내진다. 케이블인입부(250)와 피복절개부(210)를 구동하는 구동부(230)의 동력은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232)과 스프라켓(SP) 등을 통해 케이블이송부(300)의 수평축으로도 전달되고, 이는 베벨기어 등을 통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좌우의 제1, 제2이송롤러(301, 302)와 한 쌍의 가이드 롤러(303)로 전달된다. 제1이송롤러(301)들 끼리 및 제2이송롤러(302)들 끼리는 이동부(MP) 하부에 설치된 평기어를 통해 동력이 전달된다.
즉, 피복탈피부(280)에서 케이블(10) 양측으로 분리된 피복(16)은 이송부(300)의 제1, 제2이송롤러(301, 302)들을 통해 피복절단부(320)로 이송된다. 피복(16)은 세워진 상태로 제1, 제2이송롤러(301, 302)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평평하게 펼쳐진 후 안내롤러(330)로 진입하면서 옆으로 누운 상태로 피복절단부(320)의 회전날(326)과 고정날(328) 쪽으로 보내지게 된다.
회전날(326)과 고정날(328) 쪽으로 보내진 피복(16)은 고정날(328)과 모터(329)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326)에 의해 짧게 절단된 후 컨베이어(350)를 거쳐 수집통(360)으로 보내진다. 이러한 과정으로 피복수집통(360)에 수집된 PE 등의 합성수지로 된 피복(16)은 재활용된다.
한편, 피복(16)이 분리된 케이블(10)은 케이블피복 탈피구(281) 내측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홈(282)과 양측 피복절단부 사이의 두 내벽(324) 사이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피복 탈피장치(200) 뒤쪽으로 배출된다. 피복(16)이 벗겨진 케이블(10)은 폐기처분 되거나 남아있는 재활용 재료를 얻기 위해 다른 장치로 보내진다.
본 발명은 광케이블이나 전선의 피복을 효율적으로 탈피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용된다.
10: 케이블 16: 피복
110: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110a: 몸체
110a-1: 제1분할몸체 110a-1: 제2분할몸체
114: 원호형 홈 115: 돌기
116: 절개날 200: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210: 피복절개부 230: 구동부
250: 케이블인입부 270: 가열부
280: 피복탈피부 281: 케이블피복 탈피구
291: 보조절개 탈피구 300: 피복이송부
320: 피복절단부

Claims (13)

  1. 회전중심부에 회전축에 결합하기 위한 축결합부를 구비하는 원반형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형 홈의 내부에는 상기 원호형 홈의 좌우 중심부에서 상기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호형 홈에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기 위한 절개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절개날과 상기 절개날의 일측면에 결합된 제1분할몸체 및 상기 절개날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분할몸체와 좌우 대칭을 이루며 상기 절개날의 타측면에 결합된 제2분할몸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분할몸체, 상기 제2분할몸체 및 상기 절개날은 결합수단을 통해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절개날은 링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제1분할몸체, 상기 제2분할몸체 및 상기 절개날에는 3곳 이상의 대응 위치에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수단은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홈의 표면에는 상기 원호형 홈에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돌기가 상기 원호형 홈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항 또는 제2항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들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들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들 사이로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양측에서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여주기 위한 피복절개부;
    상기 피복절개부 앞쪽 배치되고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2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제2회전축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며 외주면에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인입롤러들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입롤러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인입시켜 상기 피복절개부로 밀어주는 케이블인입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서 끝단이 상기 케이블의 피복 내측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절개된 상기 피복이 상기 케이블의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케이블피복 탈피구를 구비하여 구성된 피복탈피부;
    상기 피복절개부와 상기 케이블인입부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피복절개부와 상기 케이블인입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및
    위에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설치장소를 제공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호형 홈의 크기가 서로 다른 2쌍 이상의 상기 케이블피복 절개롤러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2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인입롤러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원호형 홈의 크기가 서로 다른 2쌍 이상의 인입롤러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서 분리된 상기 피복을 절단하여주기 위한 피복절단부; 및
    상기 피복탈피부에서 분리된 상기 피복을 상기 피복절단부를 향해 안내하고 이송하는 이송롤러들 가지는 피복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피복절개부, 상기 케이블인입부 및 상기 피복이송부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것이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피복절개부, 상기 케이블인입부 및 상기 피복이송부로 전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절개부와 상기 피복탈피부 사이에 설치되어 통과되는 상기 케이블을 가열하여주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복탈피부, 상기 피복절단부, 상기 피복이송부 및 상기 가열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서 전후 이동 가능케 설치된 가동테이블 상에 탑재되어 있어 인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위치에 따라 위치조정 가능하고,
    상기 케이블피복 탈피구와 상기 이송롤러들은 상기 가동테이블 상에서 상기 가동테이블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간격 조정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이동부는 상기 가동테이블에 고정된 고정부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회전축은 간격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제2회전축은 간격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이송부는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복수의 제1롤러의 쌍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일측에서 분리된 상기 피복을 이송하기 위한 제1피복이송부와,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복수의 제2롤러의 쌍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타측에서 분리된 상기 피복을 이송하기 위한 제2피복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롤러의 쌍들과 상기 제2롤러의 쌍들은 상기 피복탈피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의 표면과 상기 제2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피복의 원활한 이송을 위한 요철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탈피부는 상기 케이블피복 탈피구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절개부에서 끝단이 상기 피복 내측의 상기 케이블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절개부 부위의 상기 피복을 상기 케이블에서 분리하여주기 위한 보조절개 탈피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KR1020130087983A 2013-07-25 2013-07-25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KR10153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983A KR101531314B1 (ko) 2013-07-25 2013-07-25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983A KR101531314B1 (ko) 2013-07-25 2013-07-25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453A KR20150012453A (ko) 2015-02-04
KR101531314B1 true KR101531314B1 (ko) 2015-06-24

Family

ID=5248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983A KR101531314B1 (ko) 2013-07-25 2013-07-25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419B1 (ko) * 2018-07-10 2018-09-12 (주) 명전와이어 와이어 재생 장치
CN112838513B (zh) * 2020-12-28 2022-12-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佛山供电局 一种激光清障装置
KR102298448B1 (ko) * 2021-06-02 2021-09-03 안정업 케이블 피복제거 장치
CN117913710B (zh) * 2024-03-19 2024-06-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威海供电公司 一种电缆护套处理用轴向电动切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967A (en) * 1979-09-12 1982-07-20 Greenberg William B Cable stripper with peeler
KR19990024153A (ko) * 1998-12-12 1999-03-25 남호창 폐전선 탈피기
KR20120067857A (ko) * 2010-12-16 2012-06-26 이동수 케이블의 피복체를 벗겨내는 방법 및 장치
KR101198859B1 (ko) * 2012-05-08 2012-11-07 (주)영동하이테크 광케이블 피복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967A (en) * 1979-09-12 1982-07-20 Greenberg William B Cable stripper with peeler
KR19990024153A (ko) * 1998-12-12 1999-03-25 남호창 폐전선 탈피기
KR20120067857A (ko) * 2010-12-16 2012-06-26 이동수 케이블의 피복체를 벗겨내는 방법 및 장치
KR101198859B1 (ko) * 2012-05-08 2012-11-07 (주)영동하이테크 광케이블 피복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453A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314B1 (ko)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KR101531318B1 (ko) 케이블피복 탈피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KR101039209B1 (ko) 광케이블 탈피 장치 및 방법
US5107735A (en) Insulation stripping device for cables
KR101198859B1 (ko) 광케이블 피복 분리장치
KR101719333B1 (ko) 광케이블 박피 및 재활용 장치어셈블리
JP6106385B2 (ja) スリーブ取外し装置
CN109176622B (zh) 一种载带连接器的检测筛分机构
KR20200114840A (ko) 광케이블 탈피장치
KR101531320B1 (ko) 케이블피복 보조절개 탈피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WO2014060999A1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rmally stripping optical cables
US6979385B2 (en) Method and facility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steel pipe and covering resin in resin-covered steel pipe
KR101480645B1 (ko) 전선피복절단장치
WO2011024714A1 (ja) コンベヤベルトのゴム質切裂装置およびゴム質切裂方法
CN218226856U (zh) 送料组件及模切设备
KR20010044779A (ko)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소재 분리 회수방법 및 그 장치
US5853529A (en) Machine for cutting and fusing plastic plates
US6949059B2 (en) Two cylinder one piece pin stripping device
KR101558729B1 (ko) 포장 접착테이프용 절단기
KR20180089002A (ko) 광케이블 탈피기
EP3330059B1 (fr) Distributeur d'adhesif et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gaines comportant un tel distributeur
KR20150129335A (ko) 박리 장치
CN216543516U (zh) 零件分离设备
US2365569A (en) Apparatus for detaching the edges of sheet paper and like materials
US4506429A (en) Method for preparing belt end portions for spliced mechanical interconnection, belt end portions prepared thereby and spliced interconnection forme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