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335A - 박리 장치 - Google Patents

박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335A
KR20150129335A KR1020140053287A KR20140053287A KR20150129335A KR 20150129335 A KR20150129335 A KR 20150129335A KR 1020140053287 A KR1020140053287 A KR 1020140053287A KR 20140053287 A KR20140053287 A KR 20140053287A KR 20150129335 A KR20150129335 A KR 2015012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nipper
moving
sheath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순
Original Assignee
조익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익훈 filed Critical 조익훈
Priority to KR1020140053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9335A/ko
Publication of KR2015012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박리 장치는 와이어의 코어를 자르지 않고 상기 코어에 피복된 외피를 파고드는 니퍼부 및 상기 니퍼부가 상기 외피를 파고든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와 상기 니퍼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PEELING APPARATUS AND PEELING METHOD}
본 발명은 와이어의 외피를 박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 흐르는 와이어는 합선, 감전 사고 등의 방지를 위해 외피로 피복될 수 있다.
외피는 부도체로 이루어지므로, 와이어의 사용을 위해서는 외피를 박리시킬 필요가 있다.
외피를 박리하는 작업은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작업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외피를 자동으로 박리하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85830호에는 마스크 및 기판을 스테이지로부터 박리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와이어의 외피를 박리시키는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85830호
본 발명은 와이어의 외피를 고속으로 박리시키는 박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박리 장치는 와이어의 코어를 자르지 않고 상기 코어에 피복된 외피를 파고드는 니퍼부 및 상기 니퍼부가 상기 외피를 파고든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와 상기 니퍼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장치는 와이어의 코어를 자르지 않고 상기 코어에 피복된 외피를 파고드는 니퍼부 및 상기 니퍼부가 상기 외피를 파고든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와 상기 니퍼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니퍼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외피를 파고드는 제1 니퍼 및 제2 니퍼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니퍼는 상기 커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니퍼는 상기 커터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방법은 와이어의 제1 위치를 그립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에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의 외피를 파고드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장치는 니퍼부와 이동부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의 외피를 자동으로 박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의 박리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박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와이어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이동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이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니퍼부와 이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니퍼부와 이동부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니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박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박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박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박리 장치는 니퍼부(110) 및 이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니퍼부(110)는 와이어(10)의 코어(11)를 자르지 않고 코어(11)에 피복된 외피(13)를 파고들 수 있다.
와이어(10)는 선형의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며 전기가 흐르는 코어(11), 코어(11)를 보호하고 감전 사고 또는 합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코어(11)에 피복된 외피(13)를 포함할 수 있다.
니퍼부(110)는 외피(13)를 자르는 칼날을 구비할 수 있으며, 칼날의 진행 거리를 적절히 조절하여 코어(11)는 자르지 않고, 외피(13)만 자를 수 있다. 니퍼부(110)의 이러한 동작을 본 명세서에서는 '외피를 파고든다'고 기재하기로 한다.
니퍼부(110)에 의하면 외피(13)가 절단될 수 있다. 이때의 절단은 완벽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흔히 외피(13)에 칼집을 내는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피(13)의 진정한 박리는 니퍼부(110)가 외피(13)를 파고든 상태에서 외피(13)를 와이어(10)의 길이 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니퍼부(110)가 파고든 상태의 외피(13)를 빼내기 위해 이동부(130)가 이용될 수 있다.
이동부(130)는 니퍼부(110)가 외피(13)를 파고든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와이어(10)와 니퍼부(110)를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니퍼부(1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와이어(10)를 이동시켜도 외피(13)를 빼낼 수 있고, 와이어(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니퍼부(110)를 이동시켜도 외피(13)를 빼낼 수 있다. 또는 니퍼부(110)와 와이어(10)를 동시에 움직여도 외피(13)를 빼낼 수 있다.
상대 이동의 전제 조건으로 우선 와이어(10)를 잡는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동부(130)에는 와이어(10)를 잡는 그립 모듈(13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립 모듈(131)은 와이어(10)의 길이 방향으로 와이어(10)에서 니퍼부(110)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잡을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1 방향 ①을 따라 진행하는 와이어(10)의 경로 상에 니퍼부(110)와 그립 모듈(131)이 이격되어 배치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박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와이어(10)와 니퍼부(110)의 상대 이동의 방향 상으로 니퍼부(110)가 고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와이어(10)가 제1 방향 ①을 따라 진행하고, 그립 모듈(131)이 와이어(10)의 흐름 상으로 니퍼부(110)의 상류에 위치할 경우, 이동부(130)는 그립 모듈(131)을 제1 방향 ①에 반대되는 제2 방향 ②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니퍼부(110)에 의해 절단된 외피(13)가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10)가 잡아당겨지므로, 절단된 외피(13)가 박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10)를 그립한 상태의 그립 모듈(131)이 고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2에서 니퍼부(110)는 그립 모듈(131)의 하류에 위치한다. 이때, 이동부(130)는 제1 방향 ①을 따라 니퍼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된 외피(13)가 잡아당겨지므로, 절단된 외피(13)가 박리될 수 있다.
정리하면, 와이어(10)가 특정 방향을 따라 박리 장치에 입력된 경우, 그립 모듈(131)과 니퍼부(110) 중 상류에 위치하는 요소가 고정되면, 하류에 위치하는 요소는 특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외피(13)를 박리시킬 수 있다.
만약, 하류에 위치하는 요소가 고정되면, 상류에 위치하는 요소는 특정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외피(13)를 박리시킬 수 있다.
니퍼부(110)에 의해 외피(13)가 파고드는 와이어(1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10)는 하나의 코어(11)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외피(13)가 피복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과 같이 복수의 코어(11)에 복수의 외피(13)가 피복될 수도 있다.
도 3은 와이어(10)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하나의 와이어(10)에 2개의 코어(11)가 마련되고, 코어(11)에 3중으로 외피(13)가 피복되고 있다.
외피 ⓔ는 각 코어(11)에 직접 피복되고, 외피 ⓓ는 2개의 코어(11)에 동시에 피복되고 있다. 그리고 외피 ⓒ는 와이어(10)의 외형을 형성하고, 외피 ⓓ를 감싸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가 흐르는 코어(11)에 피복된 외피(13)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니퍼부(110)는 와이어(10)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 ⓒ로부터 복수의 외피(13) 중 특정 외피(13)까지 파고들 수 있다.
도 4는 이동부(13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니퍼부(110)가 상대 이동의 방향상으로 고정될 때, 이동부(130)에는 니퍼부(110)가 외피(13)를 파고든 상태에서 와이어(10)를 이동시키는 회전 롤러(133)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롤러(133)는 구동부에서 제공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롤러로,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10)를 제1 방향 ① 또는 제2 방향 ②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의 회전 롤러(133)는 앞에서 설명된 그립 모듈(131)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
회전 롤러(133)에 의하면 와이어(10)는 무한대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외피(13)가 박리되는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때의 회전 롤러(133)는 니퍼부(110)가 외피(13)를 파고든 상태에서 와이어(10)를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니퍼부(110)가 제거된 상태에서 와이어(10)를 이동시키는 힘보다 큰 힘으로 와이어(10)를 가압할 수 있다.
그런데, 회전 롤러(133)에 의한 압력이 임계값을 넘어가면, 압력에 의해 코어(11)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외피(13)가 찢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와이어(10)에서 회전 롤러(133)를 통과한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회전 롤러(133)에 의한 압력이 위 임계값을 넘지않도록 하기 위해 회전 롤러(133)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회전 롤러(133)의 직경이 커지면 와이어(10)에 접촉되는 부위가 증가한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10)의 각 부위가 받는 압력이 줄어들 수 있다. 다만, 회전 롤러(133)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 도 4와 같이 회전 롤러(133)는 와이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10)의 각 부위가 받는 압력을 줄이는 동시에, 롤러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코어(11)의 훼손 또는 외피(13)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부(130)는 도 5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이동부(1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이동부(130)에는 와이어(10)의 특정 지점을 가압하는 실린더(13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실린더(135)에는 와이어(10)의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피스톤 로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와이어(10)를 가압함으로써, 와이어(10)를 그립할 수 있다. 즉, 실린더(135)는 앞에서 설명된 그립 모듈(131)을 형성할 수 있다.
실린더(135)로 그립 모듈(131)을 형성하면, 점 접촉으로 와이어(10)를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0)의 훼손 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만, 실린더(135)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제한적이므로, 외피(13)의 박리 길이이 조절이 설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도 6은 니퍼부(110)와 이동부(13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니퍼부(110)는 외피(13)를 파고드는 제1 모드(1 mode) 또는 와이어(10)로부터 멀어지는 제2 모드(2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니퍼부(110)에는 액추에이터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10)가 제1 방향 ①으로 공급되고, 이동부(130)가 니퍼부(110)의 상류에 위치하면, 이동부(130)는 제1 모드시 제1 방향 ①에 반대되는 제2 방향 ②로 와이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박리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10)는 니퍼부(110)가 제2 모드로 동작할 때, 제1 방향 ① 또는 제2 방향 ②로 출력될 수 있다.
만약, 이동부(130)에 회전 롤러(133)가 마련된다면, 회전 롤러(133)는 제1 모드시 제2 방향 ②로 와이어(10)를 이동시키고, 제2 모드시 제1 방향 ①로 와이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니퍼부(110)와 이동부(130)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에서 이동부(130)로 복수의 회전 롤러(133)가 개시되고 있다.
와이어(10)가 제1 방향 ①으로 공급되는 경우, 와이어(10) 좌측단의 외피(13)는 니퍼부(110)의 상류에 위치하는 이동부(130)에 의해 박리될 수 있다. 그러나, 니퍼부(110)의 상류에 위치하는 이동부(130)를 이용해서 와이어(10) 우측단의 외피(13)를 박리시킬 수 없다.
와이어(10) 우측단의 외피(13)를 박리시키기 위해 이동부(130)는 니퍼부(110)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130)는 니퍼부(110)의 제1 모드시 제1 방향 ①로 와이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10) 우측단의 외피(13)가 박리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니퍼부(110)가 고정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와이어(10)가 상대 이동의 방향 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부(130)는 니퍼부(110)가 외피(13)를 파고든 상태에서 니퍼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0)가 제1 방향 ①로 공급될 때, 와이어(10)의 고정점(그립 모듈(131)에 잡혀진 위치)이 니퍼부(110)의 상류이면 이동부(130)는 니퍼부(110)를 제1 방향 ①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10) 좌측단의 외피(13)가 박리될 수 있다.
만약, 와이어(10)의 고정점이 니퍼부(110)의 하류에 위치하면, 이동부(130)는 니퍼부(110)를 제1 방향 ①에 반대되는 제2 방향 ②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10) 우측단의 외피(13)가 박리될 수 있다.
한편, 외피(13)의 박리 길이를 규격화하기 위해 니퍼부(110)에는 커터(11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터(113)는 니퍼부(110)가 와이어(10)의 단부 근처에서 구동되지 않고, 와이어(10)의 중간에서 구동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도 8은 니퍼부(1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니퍼부(110)에는 와이어(10)를 절단하는 커터(113), 외피(13)를 파고드는 제1 니퍼(111)가 마련될 수 있다.
커터(113) 및 제1 니퍼(111)의 단부에는 동일한 칼날이 마련될 수 있으며, 와이어(10)를 가로지르는 거리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커터(113)는 와이어(10)의 단면 전체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됨으로써 와이어(10) 전체를 절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니퍼(111)는 와이어(10)의 단면에서 외피(13)를 절단하는 정도까지만 와이어(10)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커터(113)와 와이어(10)는 와이어(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와이어(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커터(113)의 돌출 길이를 제1 니퍼(111)의 돌출 길이보다 크게 함으로써, 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니퍼부(110)가 와이어(10)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니퍼(111)로 와이어(10)의 외피(13)를 파고든다 하더라도, 외피(13)와 코어(11) 간에 마찰력이 크므로 상대 이동이 힘들다.
이때, 커터(113)로 와이어(10)를 절단하면 위 와이어(10)는 좌측의 와이어 ⓐ와 우측의 와이어 ⓑ로 분리된다.
그 결과 제1 니퍼(111)는 결국 와이어 ⓑ의 단부 근처에서 외피(13)를 파고든 셈이 된다. 이에 따라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동부(130)는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니퍼(111)는 커터(113)가 구동된 후 구동되거나, 커터(113)와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외피(13)의 박리 길이는 제1 니퍼(111)와 커터(113)의 간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니퍼(111)와 커터(113)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복수의 와이어(10)에 대해 외피(13)의 박리 길이를 동일하게 규격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을 살펴보면, 커터(113)의 우측에만 제1 니퍼(111)가 마련된 관계로, 커터(113)에 의해 분리된 좌측의 와이어 ⓐ와 우측의 와이어 ⓑ 중에서 와이어 ⓑ에 대해서만 외피(13) 박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좌측의 와이어 ⓐ에 대해서도 외피(13)의 박리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박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의 니퍼부(110)에는 와이어(10)를 절단하는 커터(113), 외피(13)를 파고드는 제1 니퍼(111) 및 제2 니퍼(112)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니퍼(111)는 커터(113)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니퍼(112)는 커터(113)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도 9에는 제1 니퍼(111)가 커터(113)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니퍼(112)가 커터(113)의 우측에 배치된 상태가 개시된다.
이동부(130)에는 니퍼부(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모듈(132) 및 니퍼부(1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모듈(134)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모듈(132)은 제1 방향 ①로 와이어 ⓐ를 이동시키고, 제2 모듈(134)은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 ②로 와이어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에는 제1 모듈(132)이 니퍼부(110)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 모듈(134)이 니퍼부(110)의 우측에 배치된 상태가 개시된다. 그리고, 도 9에서 제1 방향 ①은 니퍼부(110)로부터 제1 모듈(132)을 향하는 방향이고, 제2 방향 ②는 니퍼부(110)로부터 제2 모듈(134)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9의 니퍼부(110)가 구동되면, 커터(113)에 의해 하나의 와이어(10)가 좌측의 와이어 ⓐ와 우측의 와이어 ⓑ로 분리된다.
그리고, 제1 니퍼(111)는 좌측의 와이어 ⓐ의 외피(13)를 파고들고, 제2 니퍼(112)는 우측의 와이어 ⓑ의 외피(13)를 파고들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모듈(132)에 의해 와이어 ⓐ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 모듈(134)에 의해 와이어 ⓑ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와이어(10)의 분리 작업, 위 분리 작업에 의해 분리된 와이어 ⓐ의 박리 작업 및 와이어 ⓑ의 박리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박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공급 수단 등으로부터 와이어(10)가 제1 방향 ①을 따라 박리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9의 구성에 따르면 커터(113)에 의해 분리된 와이어 ⓑ가 제2 모듈(134)에 의해 제2 방향 ②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10)가 공급되는 제1 방향 ①과 충돌하므로 박리 장치의 입력단에서 와이어(10)가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박리 장치에서 가공되는 와이어(10) 역시 제1 방향 ①을 따라 움직이거나, 적어도 정지하는 것이 좋다.
와이어(10)는 니퍼부(110)를 중심으로 일측의 제1 지점 P1과 타측의 제2 지점 P2에서 그립 모듈(131) 또는 회전 롤러(133)에 의해 그립(grip)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해당 그립 모듈(131) 또는 회전 롤러(133)가 와이어(10)를 이동시키는 제1 모듈(132)과 제2 모듈(134)의 기능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이동부(130)는 제2 지점 P2를 기준으로 하여 니퍼부(110)와 제1 지점 P1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점 P1의 이동 거리 L2는 니퍼부(110)의 이동 거리 L1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점 P1의 이동 거리 L2는 니퍼부(110)의 이동 거리 L1의 2배일 수 있다.
니퍼부(110)가 구동되면, 커터(113)에 의해 하나의 와이어(10)가 좌측의 와이어(10) ⓐ와 우측의 와이어(10) ⓑ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니퍼(111)는 좌측의 와이어(10) ⓐ의 외피(13)를 파고들고, 제2 니퍼(112)는 우측의 와이어(10) ⓑ의 외피(13)를 파고들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니퍼부(110)가 L1만큼 제1 방향 ①로 이동하면, 우측 와이어(10) ⓑ의 외피(13)가 박리된다. 이때, 커터(113)와 제2 니퍼(112) 사이의 간격이 L1보다 크면, 박리된 외피(13)는 우측 와이어(10) ⓑ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우측 와이어(10) ⓑ의 단부에 매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우측 와이어(10) ⓑ가 박리 장치로부터 출력될 때 박리된 외피(13)도 함께 출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박리된 외피(13)가 니퍼부(110)에 끼이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지점 P1이 제1 모듈(132)에 의해 L2만큼 제1 방향 ①로 이동하면, 좌측 와이어(10) ⓐ의 외피(13)가 박리된다. 제1 지점 P1은 L2만큼 이동하지만, 니퍼부(110)를 기준으로 하면 L2-L1만큼 이동한 셈이 된다. L2가 L1의 2배이면, 좌측 와이어(10) ⓐ로부터 박리된 외피(13)는 좌측 와이어(10) ⓐ로부터 L1만큼 이격된다.
마찬가지로, 커터(113)와 제1 니퍼(111) 사이의 간격이 L1보다 크면, 박리된 외피(13)는 좌측 와이어(10) ⓐ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좌측 와이어(10) ⓐ의 단부에 매달릴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박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박리 방법은 앞에서 살펴본 도 2의 박리 장치의 동작으로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와이어(10)의 제1 위치 x1을 그립한다(S 510). 그립 모듈(131) 또는 회전 롤러(133)가 마련된 이동부(130)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이다.
다음으로 와이어(10)에서 제1 위치 x1으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 x2의 외피(13)를 파고든다(니핑, nipping)). 니퍼부(110)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으로, 경우에 따라 와이어(10)의 커팅도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0)를 절단하는 커터(113)의 양측에 각각 니퍼를 마련함으로써 한번의 동작으로 2개의 와이어(10)에 대한 박리 작업이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제1 위치 x1과 제2 위치 x2의 간격을 증가시킨다. 위 간격 증가는 제1 위치 x1과 제2 위치 x2의 상대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부(130)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으로 위 간격 증가로 인해 와이어(10)의 외피(13)는 박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와이어 11...코어
13...외피 110...니퍼부
111...제1 니퍼 112...제2 니퍼
113...커터 130...이동부
131...그립 모듈 132...제1 모듈
133...회전 롤러 134...제2 모듈
135...실린더

Claims (12)

  1. 와이어의 코어를 자르지 않고 상기 코어에 피복된 외피를 파고드는 니퍼부; 및
    상기 니퍼부가 상기 외피를 파고든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와 상기 니퍼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박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퍼부는 상기 상대 이동의 방향 상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니퍼부가 상기 외피를 파고든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회전 롤러가 마련되는 박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회전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박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퍼부는 상기 외피를 파고드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와이어로부터 멀어지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와이어가 제1 방향으로 공급될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니퍼부의 상류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모드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박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회전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제1 모드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모드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박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퍼부는 상기 외피를 파고드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와이어로부터 멀어지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와이어가 제1 방향으로 공급될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니퍼부의 하류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모드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박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상대 이동의 방향 상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니퍼부가 상기 외피를 파고든 상태에서 상기 니퍼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와이어가 제1 방향으로 공급될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와이어의 고정점이 상기 니퍼부의 상류이면 상기 니퍼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와이어의 고정점이 상기 니퍼부의 하류이면 상기 니퍼부를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박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니퍼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외피를 파고드는 제1 니퍼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니퍼는 상기 커터가 구동된 후 구동되거나, 상기 커터와 함께 구동되며,
    상기 제1 니퍼와 상기 커터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박리 장치.
  9. 와이어의 코어를 자르지 않고 상기 코어에 피복된 외피를 파고드는 니퍼부; 및
    상기 니퍼부가 상기 외피를 파고든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와 상기 니퍼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니퍼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외피를 파고드는 제1 니퍼 및 제2 니퍼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니퍼는 상기 커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니퍼는 상기 커터의 타측에 배치되는 박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니퍼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모듈 및 상기 니퍼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모듈은 제1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박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니퍼부를 중심으로 일측의 제1 지점과 타측의 제2 지점에서 그립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니퍼부와 상기 제1 지점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지점의 이동 거리는 상기 니퍼부의 이동 거리보다 큰 박리 장치.
  12. 와이어의 제1 위치를 그립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에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의 외피를 파고드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리 방법.
KR1020140053287A 2014-05-02 2014-05-02 박리 장치 KR20150129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287A KR20150129335A (ko) 2014-05-02 2014-05-02 박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287A KR20150129335A (ko) 2014-05-02 2014-05-02 박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335A true KR20150129335A (ko) 2015-11-20

Family

ID=5484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287A KR20150129335A (ko) 2014-05-02 2014-05-02 박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93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7704A1 (zh) * 2018-11-27 2020-06-04 广东宏大韶化民爆有限公司 剥皮分线整形机
KR102371917B1 (ko) * 2021-07-13 2022-03-08 유한회사 숲이엔지 배전 선로와 태양광 발전 선로용 전선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가공 선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7704A1 (zh) * 2018-11-27 2020-06-04 广东宏大韶化民爆有限公司 剥皮分线整形机
KR102371917B1 (ko) * 2021-07-13 2022-03-08 유한회사 숲이엔지 배전 선로와 태양광 발전 선로용 전선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가공 선로
KR20230011203A (ko) * 2021-07-13 2023-01-20 유한회사 숲이엔지 배전 선로와 태양광 발전 선로용 전선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가공 선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824B1 (ko) 전선절단탈피장치
KR101039209B1 (ko) 광케이블 탈피 장치 및 방법
US3044333A (en) Insulation push back stripper
KR101533804B1 (ko)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JP6752545B2 (ja) ケーブルを剥離するための剥離パラメータを判定するための方法
CN107959265B (zh) 用于给具有多层包套的线缆剥绝缘皮的方法和设备
MX2019007260A (es) Herramienta para retirar pelicula para cable electrico.
JPH02278679A (ja) 自動圧接機におけるシールドリボンケーブルの切断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8271632A (ja) ワイヤーストリップ装置、ワイヤーハーネス圧接機及びワイヤーストリップ方法
KR20150129335A (ko) 박리 장치
WO2016181766A1 (ja) 電線加工装置
JP5947996B2 (ja) 被覆材分離具及び被覆材分離方法
KR101679690B1 (ko) 박리 장치
JPH11196514A (ja) 被覆電線の被覆材・芯線分離回収装置
WO2017199788A1 (ja) 電線皮剥装置及び電線皮剥方法
US10958048B2 (en) Peeling device and method
CN109428287B (zh) 电缆被覆剥离装置和电缆被覆剥离方法
KR101063781B1 (ko) 터미널을 전선에 결합하는 장치
KR20150129334A (ko) 박리 장치
JP4897410B2 (ja) 電線被覆切具及びその取扱方法
JP5714168B1 (ja) ケーブル送り込み装置及び剥線装置
JP6927824B2 (ja) 電線ガイド、電線クランプ装置、電線処理装置、および電線のガイド方法
US2978934A (en) Wire stripping device
JP2010142051A (ja) 切断刃ユニット
JP2019071751A (ja) 電線ストリ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