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280A -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 Google Patents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280A
KR20100040280A KR1020100026423A KR20100026423A KR20100040280A KR 20100040280 A KR20100040280 A KR 20100040280A KR 1020100026423 A KR1020100026423 A KR 1020100026423A KR 20100026423 A KR20100026423 A KR 20100026423A KR 20100040280 A KR20100040280 A KR 20100040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ripod
trunnion journal
constant velocity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883B1 (ko
Inventor
미노루 이시지마
겐타 야마자키
주니치 이즈미노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143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442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28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2556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4595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0392B2/ja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3/20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 F16D3/205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having three pins, i.e. true tripo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2003/202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with trunnion rings, i.e. with tripod joints having rollers supported by a ring on the trunn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64/00Rotary shafts, gudgeons, housings, and flexible couplings for rotary shafts
    • Y10S464/904Homokinetic coupling
    • Y10S464/905Torque transmitted via radially extending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Forg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는 축방향 일단측에서 개구되어 내주면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을 형성한, 제1회전축 단부에 고정되는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과, 제2회전축 단부에 고정되는 보스와, 보스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가 구형의 트러니온(trunnion) 저널로 이루어진 트리포드와, 내주면을 트러니온 저널의 구형 외주면에 진동 가능하게 끼워 넣은 이너 롤러와, 이너 롤러의 외주면에 니들 롤러를 통해 회전 및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우터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어셈블리를 가지며,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의 오목홈에 수용시켜 하우징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오목홈이 아우터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부하를 받는 가이드면과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스의 제2회전축의 단부측 외경만 크게 모따기를 하고 있다. 트러니온 저널의 단조 분리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도피부를 설치한다. 트러니온 저널의 연결부가, 조인트 원주 방향의 직경이 조인트 축방향의 직경보다 큰 비원형 단면이다.

Description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Tripod type constant velocity joint}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 구동계에 조립되어 비직선상으로 존재하는 회전축끼리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구동계에 조립하는 등속 조인트의 일종으로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1)가 기재되어 있다. 이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1)는 구동축 등의 제1회전축(2)의 단부에 고정되는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3)과, 차륜측의 회전축 등 제2회전축(4)의 단부에 고정되는 트리포드(5)로 구성된다.
하우징(3)의 내주면에는 내주 방향 3등분 위치에 하우징(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트리포드(5)는 제2회전축(4)의 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보스(7)와, 보스(7)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원주형 트러니온 저널(8)로 구성된다. 각 트러니온 저널(8)은 롤러(9)를 니들 롤러(1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에 걸쳐 약간의 변위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롤러(9)를 하우징(3)의 오목홈(6)에 끼워 넣음으로써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1)를 구성하고 있다. 또 각 오목홈(6)을 구성하는 한쌍의 가이드면(6a)은 각각 원호형 오목면으로, 각 롤러(9)는 이들 한쌍의 가이드면(6a) 사이에 전동(轉動) 및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1)의 사용시, 예컨대 제1회전축(2)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은 하우징(3)에서 롤러(9), 니들 롤러(10), 트러니온 저널(8)을 통해 트리포드(5)의 보스(7)로 전달되어 제2회전축(4)을 회전시킨다. 또 제1회전축(2)의 중심축과 제2회전축(4)의 중심축이 불일치되는 경우 즉,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1)가 동작각을 취한 경우에는 양 회전축(2),(4)의 회전에 따라 각 트러니온 저널(8)이 대응하는 오목홈(6)의 가이드면(6a)에 대해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포드(5)를 중심으로 요동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때 각 트러니온 저널(8)에 지지된 롤러(9)가 오목홈(6)의 가이드면(6a) 위를 전동함과 동시에 트러니온 저널(8)의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들 움직임에 의해 주지한 바와 같이 제1, 제2회전축(2),(4) 사이에서 등속성이 확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1)의 경우, 작용각을 취한 상태에서 제1, 제2회전축(2),(4)을 회전시키면 각 롤러(9)가 복잡한 운동을 실시한다. 즉 각 롤러(9)는 가이드면(6a)을 따라 하우징(3)의 축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이동하고, 또 트러니온 저널(8)의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각 롤러가 이와 같은 복잡한 움직임을 수행하면 각 롤러(9)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면(6a) 사이의 상대 변위가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아 이들 양면 사이에 비교적 큰 마찰이 발생한다. 그 결과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의 경우에는 1회전 3차의 축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자동차에 조립되어 커다란 작동각(作動角)을 취한 상태에서 큰 토크를 전달할 때 등 심한 경우에는 셔더(shudder)라고 불리우는 진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문제의 대책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가, 또 특허문헌 3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7a의 구조는, 롤러 어셈블리(니들 롤러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한 내·외롤러)를 하우징의 오목홈에 평행하게 가이드하는 구조로 하여 이너 롤러의 구형 내주면과 구형 트러니온 저널 사이에서 중심 조절 및 요동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며, 구형 트러니온 저널 외주면의 모선을 트러니온 저널의 반경(A/2)보다 작은 곡률 반경(rT)의 원호로 함으로써 구면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부하 토크를 받을 때의 이너 롤러 구형 내주면과 구형 트러니온 저널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 타원의 장경(長徑)은 커진다. 구면 틈{(C-A)/2}을 크게 벌림으로써 곡률 반경(rT)을 A/2보다 작게 하지 않아도 구면 결합은 가능하지만 , 그 경우 회전 방향 요동이 커질 뿐 아니라 접촉 면적이 작아져 접촉 면압의 상승에 따른 회전 내구성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9의 구조에서는 이너 롤러의 원통형 내주면(20)과 구형 트러니온 저널(8) 사이에서 토크 부하를 받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더욱 작아지고 접촉 면압의 상승에 따른 회전 내구성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접촉면의 폭(접촉 타원 단경(短徑)에 해당)이 더 짧아지고 장경에 해당하는 원주 위의 접촉 길이가 더 길어진다. 접촉 면압도 높다.
이들 종래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는 작동각을 취한 상태에서 부하를 받아 회전할 때 트러니온 저널의 요동에 의한 상기 접촉 타원 위에 발생하는 요동 슬라이딩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어셈블리의 구름 방향을 바꾸려는 스핀 모멘트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롤러 어셈블리는 하우징의 오목홈의 가이드면과 접촉할 때까지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접촉력도 커진다. 또 하우징의 오목홈과 평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원활한 회전을 저해하여 구름 저항을 충분히 줄일 수 없다고 생각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소62-233522호 공보 [특허문헌 2] 프랑스 특허 제275289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개평3-172619호 공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구면 결합하는 이너 롤러와 구형 트러니온 저널 사이의 틈을 작게 확보한 채, 즉 회전 방향의 요동을 작게 한 상태에서 구면 결합(면압이 저감됨)을 가능하게 하고 또 접촉 타원 장경을 작게 하여 트러니온 저널의 요동에 의해 발생하는 스핀 모멘트를 작게 억제하고, 작동각을 취한 상태에서 회전할 때의 롤러 어셈블리의 전동 저항을 최대한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에 부착했을 때의 셔더 저감과 고내구성을 양립시킨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는 축방향 일단측에서 개구되어 내주면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을 형성한, 제1회전축 단부에 고정되는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과, 제2회전축 단부에 고정되는 보스와, 보스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가 구형의 트러니온 저널로 이루어진 트리포드와, 내주면을 트러니온 저널의 구형 외주면에 진동 가능하게 끼워 넣은 이너 롤러와, 이너 롤러의 외주면에 니들 롤러를 통해 회전 및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우터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어셈블리를 가지며,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의 오목홈에 수용시켜 하우징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오목홈이 아우터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부하를 받는 가이드면과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스의 제2회전축의 단부측 외경만 크게 모따기를 하고 있다. 트러니온 저널의 투영 단반경(短半徑)(부하를 받는 측과 90˚방향)이 이너 롤러 결합측단 내경 이하가 될 때까지 롤러를 기울여 부착할 때 롤러가 트리포드의 보스부(저널 언더헤드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트리포드와 제2회전축 사이의 토크 전달은 보스부에서 제2회전축 비단부(非端部)측에서 대부분을 담당하기 때문에 보스부의 제2회전축 단부측은 크게 모따기를 해도 보스부 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이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차량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높은 강도·내구성이 양립하는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트러니온 저널의 구형 외주면 중 부하를 받는 위치(접촉 타원 중심 위치)에 적당한 크기의 평면 또는 오목면을 설치할 수 있다. 평면 또는 오목면은 트러니온 저널의 구형 외주면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부분으로서 그와 같은 평면 또는 오목면이 없는 구면 결합에 의한 접촉 면적에 대해, 예컨대 1/5까지 접촉 면적이 축소될 때까지의 범위에서 임의의 크기로 한다. 트러니온 저널과 이너 롤러와의 구면 접촉 중심부에서는 상대 변위가 거의 없어 윤활 불량을 일으킬 것으로 우려되므로 상기 평면 또는 오목면을 설치함으로써 해당 부위에서의 접촉을 막아 스미어링 (smearing)에 대비할 수 있다.
아우터 롤러의 내주면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니들 롤러 리테이너를 일체로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내측 니들 롤러 리테이너 및 외측 니들 롤러 리테이너 모두 아우터 롤러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너 롤러와 니들 롤러와 아우터 롤러 3개만으로 롤러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아우터 롤러의 원통형 내주면의 조인트 내경측 단부의 내경을 Di, 이너 롤러의 외경을 do로 했을 때 Di<do의 관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트리포드 키트(트리포드와 롤러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유니트)의 상태에서 아우터 롤러가 이너 롤러로부터 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이너 롤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니들 롤러 리테이너를 일체로 설치할 수 있다. 내측 니들 롤러 리테이너 및 외측 니들 롤러 리테이너 모두 이너 롤러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너 롤러와 니들 롤러와 아우터 롤러 3개만으로 롤러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너 롤러의 원통형 외주면의 조인트 외경측 단부의 외경을 do, 아우터 롤러의 내경을 Di로 했을 때 Di<do의 관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트리포드 키트의 상태에서 아우터 롤러가 이너 롤러로부터 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는 축방향 일단측에서 개구되어 내주면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을 형성한, 제1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중공 원통형 하우징과, 제2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보스와, 보스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가 구형의 트러니온 저널로 이루어진 트리포드와, 내주면을 트러니온 저널의 구형 외주면에 진동 가능하게 끼워 넣은 이너 롤러와, 이너 롤러의 외주면에 니들 롤러를 통해 회전 및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우터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어셈블리를 가지며,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의 오목홈에 수용시켜 하우징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오목홈이 아우터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부하를 받는 가이드면과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이루어지며, 트러니온 저널의 단조 분리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도피부를 설치함으로써 단조 분리선의 융기부를 트러니온 저널의 외주면보다 안쪽으로 후퇴시키고 있다. 도피부를 설치함으로써 단조 분리선의 융기부가 트러니온 저널의 외주부에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단조 분리선(의 융기부)의 제거 가공 없이 이너 롤러와 트러니온 저널을 구면 결합면 접촉시킬 수 있게 되어 면압이 줄어든다. 따라서 차량에 부착했을 때의 셔더 저감과 고내구성 및 저비용을 양립시킨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토크 부하 영역에서의 트러니온 저널의 단면 형상을 대략 2구면 형상으로 해도 좋다. 그 경우 트러니온 저널의 분리선 위치는 이너 롤러의 내구면보다 소직경 측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지 않아도 도피부가 형성된다. 토크 부하 상태에서는 트러니온 저널과 이너 롤러의 접촉부는 트러니온 저널의 단조 분리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두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데 구면에 해당하기 때문에 엣지 로드의 염려도 없다. 상기 대략 2구면 형상의 구체적인 형태로는, 이너 롤러의 구면 내주면의 곡률 반경을 r로 했을 때 트러니온 저널의 2구면의 반경(R)을 r/2<R<r의 범위로 설정한 것을 들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를 트러니온 저널에 부착할 때 롤러 어셈블리를 기울이는 각도를 θ로 했을 때 트러니온 저널(단조 분리선 포함)의 각도 θ방향의 투영 최대 직경 ØD를 이너 롤러의 삽입측 내경 Ød 이하로 함으로써, 트러니온 저널에 롤러 어셈브리를 조립할 때 이너 롤러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조 분리선 제거 공정과 트러니온 저널에 롤러 어셈블리를 부착할 때의 압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이너 롤러의 삽입측 내경에 부분적으로 노치를 설치하고, 그 노치부의 내경을 Ød2, 트러니온 저널(단조 분리선 포함)의 각도 θ방향의 투영 최대 직경을 ØD2 로 했을 때 ØD2 < Ød2 로 설정해도 좋다.
롤러 어셈블리가 트러니온 저널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는 각도를 θ1로 했을 때 트리포드 키트에 회전축을 장착했을 때 롤러 어셈블리를 각도 θ221)까지 기울이면 회전축과 간섭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포드와 롤러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유니트를 트리포드 키트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회전축이란 회전축 자체 뿐 아니라 스냅 링과 같이 회전축에 장착한 별도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트리포드와 롤러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유니트, 즉 트리포드 키트의 상태에서 트리포드를 제2회전축에 부착하고 일단 스냅 링을 장착하면 스냅 링 또는 회전축과 간섭하여 이너 롤러가 트러니온 저널에서 분리되는 각도 θ1까지 기울일 수 없어 트리포드 키트와 회전축이 유니트 핸들링 상태가 되어 취급이 매우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는 축방향 일단측에서 개구되어 내주면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을 형성한, 제1회전축 단부에 고정되는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과, 제2회전축 단부에 고정되는 보스와, 보스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가 구형의 트러니온 저널로 이루어진 트리포드와, 내주면을 트러니온 저널의 구형 외주면에 진동 가능하게 끼워 넣은 이너 롤러와, 이너 롤러의 외주면에 니들 롤러를 끼워 회전 및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우터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어셈블리를 가지며,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의 오목홈에 수용시켜서 하우징 축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하고, 오목홈이 아우터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부하를 받는 가이드면과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이루어지며, 롤러 어셈블리를 트러니온 저널에 조립할 때 롤러 어셈블리를 조인트 축방향으로 기울여 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트리포드 저널의 연결부가, 조인트 원주 방향의 직경이 조인트 축방향의 직경보다 큰 비원형 단면이다. 조인트 원주 방향의 직경이 조인트 축방향의 직경보다 큰 비원형으로는, 예컨대 단축을 조인트 축방향으로 향하게 한 타원형을 들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를 조인트 축방향을 포함한 평면 내에서 구부려 트러니온 저널을 부착함으로써, 저널 언더헤드부와 롤러의 부착용 간섭 도피부는 저널 언더헤드부의 조인트 축방향 쪽에만 존재하면 되기 때문에 조인트 원주 방향 쪽에는 부착용 간섭 도피부가 불필요하다. 이와 같은 사양의 경우, 토크 부하를 받을 때의 최대 응력 위치가 되기 쉬운 언더헤드 원주 방향 위치의 간섭 도피부가 없기 때문에 강도 향상이 가능하며 보다 콤팩트한 조인트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성능 타입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에서, 이너 롤러의 구면 내주면과 구형 트러니온 저널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기 때문에 접촉 면압이 낮게 억제되어 강도·내구성에 유리하고, 또 트러니온 저널의 언더헤드 강도도 향상되기 때문에 고성능과 고강도·고내구성·콤팩트 모든 것을 만족하는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트러니온 저널에 롤러 어셈블리를 조립할 때 이너 롤러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조 분리선 제거 공정과 트러니온 저널에 롤러 어셈블리를 부착할 때의 압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의 횡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트러니온 저널에 롤러 어셈블리를 부착할 때의 요령을 도해(圖解)한 트리포드 키트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a∼도 4c는 트러니온 저널의 측면도이다.
도 5a, 도 5b, 도 6a, 도 6b는 트러니온 저널과 롤러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트러니온 저널의 측면도, 도 7b는 트러니온 저널의 횡단면도, 도 7c는 도 7b의 단조 분리선 볼록부의 확대도이다.
도 8a는 트러니온 저널의 측면도, 도 8b는 트러니온 저널과 이너 롤러의 접촉부의 횡단면 확대도이다.
도 9a는 트러니온 저널의 정면도, 도 9b는 트러니온 저널의 측면도, 도 9c는 도 9a의 c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트러니온 저널과 이너 롤러의 접촉부의 횡단면선도이다.
도 11은 트리포드 키트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트리포드의 정면도, 도 12b는 도 12a의 b-b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과 유사한 트리포드 키트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4a는 이너 롤러의 단면도, 도 14b는 도 14a의 Y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17a는 종래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에서의 롤러와 트러니온 저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7b는 도 17a에서의 트러니온 저널의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에서 발생하는 스핀 모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별도의 종래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a, 도 1b, 도 2를 참조하면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11)는 기본적 구성에 관한 한 상기 도 15 및 도 16의 것과 동일하며 구동축 등의 제1회전축(12)의 단부에 고정되는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14)과, 차륜측의 회전축 등 제2회전축(13)의 단부에 고정되는 트리포드(16)로 구성된다.
하우징(14)은 여기에서는 제1회전축(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14a)을 가지고 있다. 각 오목홈(14a)은 하우징(14)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며 원주 방향으로 마주 본 한쌍의 가이드면(14b)과, 하우징의 반경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여 양 가이드면(14b)을 접속하는 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가이드면(14b)은 후술하는 아우터 롤러(26)를 하우징 축방향으로 안내하여 전동시키기 위한 궤도를 제공하며 아우터 롤러(16)와의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한다. 또 오목홈(14a)의 저면 일부에는 아우터 롤러(26)의 전동을 안내하는 안내면(14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면(14c)은 아우터 롤러(26)가 오목홈(14a) 내를 이동할 때 하우징 축방향과 평행한 자세를 유지시켜 원활히 전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트리포드(16)는 보스(16a)와 트러니온 저널(16b)로 구성된다. 보스(16a)는 제2회전축(13)의 단부에 고정된다. 예컨대 제2회전축(13)에 형성된 스풀라인축과 보스(16a)에 형성된 스풀라인공(孔)을 결합시켜 스냅 링으로 위치 결정한다. 트러니온 저널(16b)은 보스(16a)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트러니온 저널(16b)의 단부는 구형으로 되어 있다.
각 트러니온 저널(16b)은 롤러 어셈블리(20)를 지지하고 있다. 롤러 어셈블리(20)는 니들 롤러(24)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한 이너 롤러(22)와 아우터 롤러(26)로 이루어진 더블 롤러 타입이다. 이너 롤러(22)의 내주면은 트러니온 저널(16b)의 구형 외주면과 대략 동일한 곡률 반경의 부분 구형 내주면이다. 이너 롤러(22)의 구형 내주면이 트러니온 저널(16b)의 구형 외주면 주위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너 롤러(22)의 원통형 외주면과 아우터 롤러(26)의 원통형 내주면 사이에 니들 롤러(24)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너 롤러(22)와 아우터 롤러(26)는 상대적으로 회전 및 축심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니들 롤러(2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우터 롤러(26)의 원통형 내주면의 양 테두리단에 원주를 따라 니들 롤러 리테이너가 설치되어 있다. 니들 롤러 리테이너의 예로서 도 1a에 아우터 롤러(26)와는 별개의 리테이너(25a)와 스냅 링(25b)을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2에 아우터 롤러(26)에 일체로 니들 롤러 리테이너(26a),(26b)를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의 부분 확대도인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 롤러(24)의 양단측에 환형의 리테이너(25a)를 배치하고 아우터 롤러(26)의 양단부 내주면에 형성한 스냅 링 홈에 스냅 링(25b)을 장착하고 있다.
아우터 롤러(26)는 하우징(14)의 오목홈(14a)에 수용된다. 각 오목홈(14a)을 구성하는 한쌍의 가이드면(14b)은 하우징(14)의 횡단면에서 아우터 롤러(26)의 외주면의 모선(母線)과 대략 동일한 원호형이다. 따라서 아우터 롤러(26)는 이들 한쌍의 가이드면(14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등속 조인트의 사용시, 예컨대 제1회전축(12)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은 하우징(14)에서 롤러 어셈블리(20),(22),(24),(26), 트러니온 저널(16b)을 통해 트리포드(16)의 보스(16a)에 전달되어 제2회전축(13)을 회전시킨다. 또 제1회전축(12)의 중심축과 제2회전축(13)의 중심축이 불일치하는 경우, 다시 말하면 작동각을 취한 상태에서는 양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각 트러니온 저널(16b)이 대응하는 오목홈(14a)의 가이드면(14b)에 대해 트리포드(16)를 중심으로 요동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때 각 트러니온 저널(16b)에 지지된 롤러 어셈블리(20)의 아우터 롤러(26)가 오목홈(14a)의 가이드면(14b) 위를 전동함과 동시에 트러니온 저널(16b)의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들 움직임에 의해 주지한 바와 같이 제1, 제2회전축 사이에서 등속성이 확보된다.
도 3에 부호 16c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포드(16)의 보스(16a)의 한쪽 단면(도 3의 왼쪽 단면)에서 보스(16a)의 외경을 크게 모따기하고 있다. 이로써 트러니온 저널(16b)에 롤러 어셈블리(20)를 부착할 때 롤러 어셈블리(20)를 크게 기울일 수 있게 되어 트러니온 저널(16b)의 부하를 받는 대향하는 두 부분만의 간섭이 되기 때문에 이너 롤러(22)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입으로 부착이 가능해진다. 트러니온 저널(16b)의 부하를 받는 위치와 직각 방향 두 부분(부하 범위 외)에 평면을 설치하여 도피해도 좋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이너 롤러(22)의 구형 내주면과 트러니온 저널(16b)의 구형 외주면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기 때문에 접촉 면압이 낮게 억제되어 강도·내구성 면에서 유리하고 동시에 회전 방향의 요동 없이 접촉 타원의 장경을 비교적 작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트러니온 저널의 요동에 따라 발생하는 접촉 타원 위의 스핀 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4)의 오목홈(14a)이 안내 편면(14c)과 필요 이상 많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롤러 어셈블리(20)의 구름 방향이 안정되어 롤러 어셈블리(20)의 구름 저항이 작아 축력(軸力)이 낮은 조인트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롤러 어셈블리의 낮은 구름 저항과 고강도·고내구성을 양립시킨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a∼도 4c는 트러니온 저널(16b)의 부하를 받는 중심 위치 부근에 평면 또는 오목면(16d)을 설치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평면 또는 오목면이 없는 구면 결합에 의한 접촉 면적에 대해 1/5까지 접촉 면적이 축소되는 범위에서 임의의 크기로 평면 또는 오목면을 만든다. 이 작은 평면 또는 오목면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는 1개인 경우, 도 4b는 4개인 경우, 도 4c는 다수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여러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반복 패턴으로 하거나 랜덤하게 분산시켜도 좋다. 도 1a 및 도 2의 실시형태의 경우, 구면 결합부의 접촉 응력은 작지만 접촉 타원 중앙부의 상대 슬라이딩량은 매우 적기 때문에 장시간 연속해서 부하를 받아 회전한 경우 윤활 불량을 일으켜 회전 내구성의 저하로 연결되기도 한다. 도 4a∼도 4c의 변형예는 그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도 5a에 도시한 변형예는 아우터 롤러(26)의 원통형 내주면의 양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돌기를 만들어 니들 롤러 리테이너(26a),(26b)를 일체 성형한 것이다. 이로써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니들 롤러 리테이너(26a) 및 외측 니들 롤러 리테이너(26b) 모두 아우터 롤러(26)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너 롤러(22)와 니들 롤러(24)와 아우터 롤러(26) 3개 만으로 롤러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단 니들 롤러 리테이너(26a),(26b)는 내측 또는 외측 어느 한쪽만 아우터 롤러(26)와 일체로 하고 다른 쪽은 별도의 스냅 링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한 변형예는 아우터 롤러(26)의 원통형 내주면의 안쪽 니들 롤러 리테이너(24), 즉 조인트 내경측 단부의 내경을 Di, 이너 롤러의 외경을 do로 했을 때 Di<do의 관계로 한 것이다. Di<do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포드 키트, 즉 트리포드(16)와 롤러 어셈블리(20)로 이루어진 유니트의 상태에서 아우터 롤러(26)가 이너 롤러(22)로부터 잘 분해되지 않게 되고 또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아우터 롤러(26)가 아래쪽으로 내려간 경우에도 트리포드(16)의 보스(16a)에 간섭하여 니들 롤러(24)가 분해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도 6a에 도시한 변형예는 이너 롤러(22)의 원통형 외주면의 양 테두리단에 원주를 따라 돌기를 만들어 니들 롤러 리테이너(22a),(22b)를 일체 성형한 것이다. 이로써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니들 롤러 리테이너(22a) 및 외측 니들 롤러 리테이너(22b) 모두 이너 롤러(22)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너 롤러(22)와 니들 롤러(24)와 아우터 롤러(26) 3개 만으로 롤러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니들 롤러 리테이너(22a),(22b)는 내측 또는 외측의 어느 한쪽만 이너 롤러(22)와 일체로 하고 다른쪽은 별도의 스냅 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한 변형예는 이너 롤러(22)의 원통형 외주면의 외측 니들 롤러 리테이너(22b), 즉 조인트 외경측 단부의 외경을 do, 아우터 롤러(26)의 내경을 Di로 했을 때 Di<do의 관계로 한 것이다. Di<do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포드 키트의 상태에서 아우터 롤러(26)가 이너 롤러(22)로부터 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도 17a를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되는 종래의 조인트는 각 트러니온 저널(8)이 트리포드(5)의 축선(z)에 수직인 2개의 평면부(8a)를 갖는다. 트러니온 저널(8)의 구형 외주면을 생성하는 원호의 반경(rT)이 이너 롤러(9a)의 구형 내주면의 곡률 반경 C/2보다 작다. 그리고 트러니온 저널(8)로의 이너 롤러(9a)의 부착은, 이너 롤러(9a)의 입구 직경(B)(내경(C)보다 작다)이 트러니온 저널(8)의 구형 외주면의 직경(A)의 이 직경 상의 사영(射影)(A)(α)보다 크거나 또는 이와 동일한 각도 α만큼 이너 롤러(9a)에 대해 그 축선(z) 주위에서 트리포드(5)를 회전시켜 수행된다. 이 종래의 조인트의 경우, 도 17b에 부호 8b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니온 저널(8)의 외경면에서 돌출된 볼록형의 단조 분리선이 트러니온 저널의 부하면 중앙부에 생기기 때문에 연삭 가공 등의 제거 작업이 불가피하다. 차량에 부착했을 때의 셔더 저감과 고내구성 및 저비용을 양립시킨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트러니온 저널의 단조 분리선 제거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구면 결합하는 이너 롤러와 트러니온 저널 사이의 틈을 작게 확보한 채 구면 결합을 가능하게 할 것이 요망된다.
도 7a∼도 7c를 참조하면 트러니온 저널(16b)의 외주면은 이너 롤러(22)의 구형 내주면과 구면 결합하는 구형인데 단조 분리선(16d)의 융기부가 도 7c에 점선으로 도시한 구형 외주면보다 안쪽으로 후퇴하여 거기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단조 분리선(16d)을 따라 부분적으로 도피부(16e)를 설치한다. 이 때문에 단조 분리선(16d) 제거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냉간 성형면인 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도피부(16e) 부분은 부하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부하 면적이 작아지는데 트러니온 저널(16b)과 이너 롤러(22)가 구면 결합에 의해 광범위하게 부하를 받는 타입이기 때문에 일부 부하 범위를 삭감해도 충분한 부하 용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a∼도 7c에는 도피부(16e)를 평면으로 한 경우를 예시했는데 원통면이나 기타 곡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도피부(16e)를 설치한 경우 도피부(16e)가 없는 경우에 비해 이너 롤러(22)를 트러니온 저널(16b)에 부착할 때의 간섭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이너 롤러(22)의 탄성 변형량을 적게 하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또 본 구조의 경우, 이너 롤러(22)는 트러니온 저널(16b)에 대해 구면 결합되어 있으며 트러니온 저널(16b)의 축방향에 관해서는 일체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각을 취한 상태에서의 회전에 따른 트러니온 저널 축방향의 이동은 이너 롤러(22)와 아우터 롤러(26) 사이에 배치된 니들 롤러(24) 위의 구름 슬라이딩에 의해 허용되기 때문에 내부 마찰력이 낮아 롤러의 낮은 구름 저항화가 도모되고 있다. 도 17a에 도시한 종래 기술의 경우, 트러니온 저널에 롤러를 부착할 때 도 3의 평면과 직교하는 평면(도 1a의 평면에 상당) 내에서 롤러를 기울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를 크게 기울이기 위해서는 보스부 외경을 작게 하는, 즉 보스부를 얇게 하거나 또는 트러니온 저널의 언더헤드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보스부 외경을 작게 하면 보스부 강도가 저하되고 트러니온 저널의 언더헤드를 길게 하면 조인트 외경이 커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도 7a∼도 7c의 구성은 상기 단점을 방지하여 롤러의 낮은 구름 저항과 고강도·고내구성, 저비용 및 소형화 모두를 양립시킨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피부(16e)의 구체적인 형태로는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예로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면의 일부를 절제하여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구면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도피부를 설치한 경우 도피부의 폭 칫수(A)가 커져 부하를 받는 면적이 작아진다. 그래서 예컨대 도 9a∼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니온 저널(16b)의 종단면에서 원호형의 도피부(16e)로 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도피부의 폭 칫수(B)가 작아 부하를 받는 면적이 커지는 유리함이 있다. 그러나 어느 실시예든지 도 8b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접촉 상태가 되어 엣지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조기 박리를 일으킨다. 엣지부에 코너(R)를 설정해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도 10에 도시한 것은 트러니온 저널(16b)의 토크 부하 영역의 외형 형상을 대략 2구면 형상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너 롤러(22)의 구형 내주면의 곡률 반경을 r로 했을 때 트러니온 저널(16b)의 2구면 반경(R)을 r/2<R<r의 범위로 설정한다. 이 경우 분리선 위치는 이너 롤러의 내구면보다 소직경 쪽으로 물러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지 않아도 도피부(16e)가 형성된다. 토크 부하 상태에서는 트러니온 저널(16b)과 이너 롤러(22)의 접촉부는 트러니온 저널(16b)의 단조 분리선(16d)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두 부분에 위치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니온 저널(16b)에 대해 이너 롤러(22)를 기울여 이너 롤러(22)가 트러니온 저널(16b)에서 빗나가는 각도를 θ1 로 했을 때 이너 롤러(22)의 각도가 θ1 보다 약간 작은 각도 θ2 가 된 시점에서 아우터 롤러(26)가 제2회전축(4) 또는 제2회전축이 장착된 스냅 링(4a)에 간섭하도록 칫수를 설정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트리포드(16)와 롤러 어셈블리(20)로 이루어진 유니트, 즉 트리포드 키트의 상태에서 트리포드(16)를 제2회전축(4)에 부착하고 일단 스냅 링(4a)을 장착하면 스냅 링(4a) 또는 제2회전축(4)과 간섭하여 이너 롤러(22)가 트러니온 저널(16)에서 분리되는 각도 θ1 까지 기울어질 수 없으며 트리포드 키트(16),(20)와 회전축(4)이 유니트 핸들링 상태가 되어 취급이 매우 용이해진다.
도 17a에 도시한 종래의 조인트는 트러니온 저널(8)의 모선의 곡률 반경(rT)을 트러니온 저널(9)의 반경 A/2보다 작게 하고 트러니온 저널(8)에 대해 롤러(9a),(9b)를 조인트 원주 방향으로 기울였을 때 ØA<ØB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하고, 또 평면부(8a)를 설치함으로써 구면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서로 구면 결합하는 이너 롤러(9a)의 내구면의 곡률에 대해 트러니온 저널(8)의 곡률 반경(rT)을 줄일 필요가 있으며 면압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트러니온 저널(8)의 곡률 반경(rT)을 줄이지 않아도 구면 결합의 틈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부착 가능해지는데 이 경우 조인트의 회전 방향 요동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토크 부하를 받는 조인트 원주 방향의 트러니온 저널 연결부와 롤러의 간섭을 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트러니온 저널의 언더헤드 직경을 크게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소형 경량화를 목적으로 한계 설계를 실시하는 경우 토크 부하를 받는 조인트 원주 방향의 트러니온 저널 연결부는 트러니온 저널의 강도가 가장 약한 부분이 될 가능성이 높아 고강도 확보가 어려워진다. 그래서 구면 결합하는 이너 롤러와 트러니온 저널 간의 틈을 줄여 회전 방향 요동을 작게 유지한 채 구면 결합에 의해 면압을 저감시킨 고내구성 타입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에서 트러니온 저널 언더헤드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 콤팩트·저비용을 달성할 것이 요망된다.
도 12a, 도 12b를 참조하면 트리포드 저널(16b)의 연결부는 조인트 원주 방향의 직경이 조인트 축방향의 직경보다 큰 비원형 단면이다. 도 12b는 조인트 원주 방향의 직경이 조인트 축방향의 직경보다 큰 비원형인 대표예로서 단축을 조인트 축방향으로 향하게 한 타원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트리포드 저널(16b)에 롤러 어셈블리(20)를 부착할 때의 요령을 도시한다. 동 도면에 부호 16c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포드(16)의 보스(16a)의, 제2회전축(13)의 단부측(도 3의 왼쪽, 도 2에서는 오른쪽)에만 큰 모따기를 설치한다. 이 큰 모따기가 트러니온 저널(16b)과 롤러 어셈블리(20)의 간섭 도피부로서 기능하며 트러니온 저널(16b)에 롤러 어셈블리(20)를 부착할 때 도 3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어셈블리(20)를 크게 기울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롤러 어셈블리(20)(의 이너 롤러(22))와 트러니온 저널(16b)이 간섭하는 것은 토크 부하가 작용하는 방향(도 3의 종이면에 수직하는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 부분 뿐이기 때문에 이너 롤러(22)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압입함으로써 부착할 수 있다.
또 트러니온 저널(16b)과 롤러 어셈블리(20)의 간섭 도피부는 조인트 축방향의 트러니온 저널 언더헤드부에 존재하면 되고 조인트 원주 방향의 트러니온 저널 언더헤드부에는 불필요하다. 이 사양의 경우 토크 부하를 받을 때의 최대 응력 위치가 되기 쉬운 언더헤드 원주 방향 위치의 간섭 도피부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강도 향상이 가능해지고, 보다 콤팩트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트러니온 저널(16b)의 토크 부하를 받는 위치와 직각 방향 두 부분(부하 범위 외)에 평면을 설치하여 도피해도 좋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고성능 타입의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에서, 이너 롤러(22)의 구면 내주면과 구형 트러니온 저널(16b)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기 때문에 접촉 면압이 낮게 억제되어 강도·내구성에 유리하고 또 트러니온 저널(16b)의 언더헤드 강도도 향상되기 때문에 고성능과 고강도·고내구성·콤팩트 모든 것을 만족하는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 도 14a,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롤러(22)를 트러니온 저널(16b)에 부착할 때 기울이는 각도를 θ로 했을 때 단조 분리선(16d)의 융기부 최외경부를 포함한 트러니온 저널(16b)의 각도 θ방향으로부터의 투영 최대 직경 ØD를 이너 롤러(22)의 결합 삽입측 내경 Ød보다 작게 설정해도 좋다. 또 도 14a,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롤러(22)의 삽입측 내경에 부분적으로 노치를 설치하고 그 노치부의 내경을 Ød2, 트러니온 저널(16b)(단조 분리선(16d) 포함)의 각도 θ방향의 투영 최대 직경을 ØD2 로 했을 때 ØD2 < Ød2 로 설정해도 좋다. 이로써 트러니온 저널(16b)에 롤러 어셈블리(20)를 조립할 때 이너 롤러(22)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조 분리선 제거 공정과 트러니온 저널(16b)에 롤러 어셈블리(20)를 부착할 때의 압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12...제1회전축 13...제2회전축
14...하우징 16...트리포드
16a...보스 20...롤러 어셈블리
22...이너 롤러 24...니들 롤러
26...아우터 롤러

Claims (10)

  1. 축방향 일단측에서 개구되어 내주면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을 형성한, 제1회전축 단부에 고정되는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과,
    제2회전축 단부에 고정되는 보스와, 보스의 원주 방향 3등분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가 구형의 트러니온 저널로 이루어진 트리포드와,
    구형 내주면을 트러니온 저널의 구형 외주면에 진동 가능하게 끼워 넣은 이너 롤러와, 이너 롤러의 외주면에 니들 롤러를 끼워 회전 및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우터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어셈블리를 가지며,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의 오목홈에 수용시켜 하우징 축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하고 오목홈이 아우터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부하를 받는 가이드면과 아우터 롤러를 하우징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 이루어지며, 롤러 어셈블리를 트러니온 저널에 조립할 때 롤러 어셈블리를 조인트 축방향으로 기울여 부착하는 것으로서 트리포드 저널의 연결부가, 조인트 원주 방향의 직경이 조인트 축방향의 직경보다 큰 비원형 단면인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트리포드의 보스의, 제2회전축의 단부측 외경을 크게 모따기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트러니온 저널의 단조 분리선을 따라 분리선의 볼록한 높이가 구면 직경 이하가 되도록 부분적으로 도피부를 설치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4. 제1항에 있어서,
    토크 부하 영역에서의 트러니온 저널의 단면 형상을 대략 2구면 형상으로 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이너 롤러의 구형 내주면의 곡률 반경을 r로 했을 때 트러니온 저널의 2구면의 반경(R)을 r/2<R<r의 범위로 설정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6. 제1항에 있어서,
    롤러 어셈블리가 트러니온 저널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는 각도를 θ1로 했을 때 트리포드 키트에 회전축을 장착한 후 롤러 어셈블리를 각도 θ221)까지 기울이면 회전축과 간섭하도록 설정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7. 제1항에 있어서,
    아우터 롤러의 내주면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니들 롤러 리테이너를 일체로 설치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8. 제7항에 있어서,
    아우터 롤러의 원통형 내주면의 조인트 내경측 단부의 내경을 이너 롤러의 외경보다 작게 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9. 제1항에 있어서,
    이너 롤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니들 롤러 리테이너를 일체로 설치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이너 롤러의 원통형 외주면의 조인트 외경측 단부의 외경을 아우터 롤러의 내경보다 크게 한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KR1020100026423A 2002-10-25 2010-03-24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KR101024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311433 2002-10-25
JP2002311433A JP2004144240A (ja) 2002-10-25 2002-10-25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JP2002328714A JP4255678B2 (ja) 2002-11-12 2002-11-12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JPJP-P-2002-328714 2002-11-12
JPJP-P-2003-045955 2003-02-24
JP2003045955A JP4350392B2 (ja) 2003-02-24 2003-02-24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305A Division KR100977450B1 (ko) 2002-10-25 2003-10-21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280A true KR20100040280A (ko) 2010-04-19
KR101024883B1 KR101024883B1 (ko) 2011-03-31

Family

ID=320741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305A KR100977450B1 (ko) 2002-10-25 2003-10-21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KR1020100026423A KR101024883B1 (ko) 2002-10-25 2010-03-24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305A KR100977450B1 (ko) 2002-10-25 2003-10-21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137895B2 (ko)
EP (3) EP1995481B1 (ko)
KR (2) KR100977450B1 (ko)
CN (1) CN100357624C (ko)
AT (1) ATE405759T1 (ko)
DE (1) DE60323029D1 (ko)
TW (1) TWI298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9965B1 (fr) * 2004-05-10 2007-08-17 Gkn Driveline Sa Sa Ensemble de roulement et joint homocinetique correspondant
TWI260376B (en) * 2004-05-18 2006-08-21 Honda Motor Co Ltd Constant-velocity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DE602005003991T2 (de) * 2004-08-03 2008-12-11 Ntn Corporation Gleichlauftripodegelenk
JP4541203B2 (ja) * 2005-03-24 2010-09-08 Ntn株式会社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JP2006283828A (ja) * 2005-03-31 2006-10-19 Ntn Corp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CN1851282B (zh) * 2005-04-21 2012-06-27 Ntn株式会社 等速联轴器及图像形成装置
KR100737055B1 (ko) * 2005-12-14 2007-07-09 오승탁 마찰저감형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KR100741308B1 (ko) * 2005-12-27 2007-07-23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구조 및 롤러어셈블리의 조립방법
KR100815677B1 (ko) 2006-05-11 2008-03-20 위아 주식회사 트라이포드식 등속조인트
WO2008080438A1 (de) * 2006-12-29 2008-07-10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Rolleinheit für ein tripodegelenk mit erhöhter lebensdauer
JP2008240907A (ja) * 2007-03-27 2008-10-09 Ntn Corp 自在継手
US7878914B2 (en) * 2007-05-17 2011-02-01 Hyundai Wia Corporation Constant velocity joint of tripod type
US8251827B2 (en) * 2007-11-29 2012-08-28 Hyundai Wia Corporation Constant velocity joint of tripod type
JP5607542B2 (ja) * 2008-01-17 2014-10-15 ジーケーエヌ・ドライブライン・ノース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関節運動抑制装置
US8177649B2 (en) * 2008-06-13 2012-05-15 Hyundai Wia Corporation Constant velocity joint of tripod type
DE102009000561A1 (de) * 2009-02-02 2010-08-05 Tedrive Holding B.V. Gleichlaufdrehgelenk mit verbesserten Montageeigenschaften
DE102009000560A1 (de) * 2009-02-02 2010-08-05 Tedrive Holding B.V. Gleichlaufdrehgelenk mit verbesserten Montageeigenschaften
WO2011114505A1 (ja) * 2010-03-19 2011-09-22 Ntn株式会社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KR101040233B1 (ko) * 2010-06-23 2011-06-0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KR20120069802A (ko) * 2010-12-21 2012-06-29 현대위아 주식회사 고절각형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CN102242775A (zh) * 2011-04-22 2011-11-16 万向钱潮股份有限公司 三球销万向节
JP1555901S (ko) * 2015-08-03 2016-08-08
JP1555643S (ko) * 2015-08-03 2016-08-08
JP1555641S (ko) * 2015-08-03 2016-08-08
KR101891135B1 (ko) * 2016-06-27 2018-08-2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WO2019112077A1 (ko) * 2017-12-05 2019-06-1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 조인트
DE102018118634A1 (de) * 2018-08-01 2020-02-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Montage einer Tripodenrolle, Tripodenrolle sowie Gleichlaufgelenk mit der Tripodenrolle
US11585388B2 (en) 2019-01-30 2023-02-21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Needle retainer for constant velocity joint and method of determining trunnion shape
JP7211261B2 (ja) * 2019-05-17 2023-01-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リポード型等速継手
DE102020212991A1 (de) * 2020-10-14 2022-04-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ripodegelen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99A (en) * 1865-03-21 Improved still for oilsy
US2346058A (en) * 1941-10-22 1944-04-04 Spicer Mfg Corp Constant-velocity joint
US4417880A (en) * 1981-09-17 1983-11-29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Joint assembly
JPS62233522A (ja) 1986-04-02 1987-10-13 Ntn Toyo Bearing Co Ltd 等速自在継手
JPS6315322A (ja) 1986-07-07 1988-01-22 Hitachi Ltd コマンド履歴取得再利用方式
US5167583A (en) * 1989-11-03 1992-12-01 Gkn Automotive Ag Tripod joint having an inner part with spherical journals provided with roller members guided in an outer part
DE4102001C2 (de) * 1991-01-24 1999-02-04 Girguis Sobhy Labib Gleichlaufdrehgelenk
DE4130183C2 (de) * 1991-09-11 1994-01-20 Gkn Automotive Ag Tripodegelenk
ES2088759B1 (es) * 1992-12-08 1998-08-01 Gkn Automotive Ag Articulacion giratoria sincronica
BR9303354A (pt) * 1992-12-08 1994-06-28 Gkn Automotive Ag Peça de trabalho, parte de junta interna e processo de formar uma peça de trabalho
DE9218285U1 (de) 1992-12-08 1994-04-07 Gkn Automotive Ag Durch Umformen hergestelltes Werkstück
DE4305278C1 (de) * 1993-02-20 1994-07-28 Gkn Automotive Ag Gleichlaufdrehgelenk vom Tripodetyp
DE4327036A1 (de) * 1993-08-12 1995-02-16 Gkn Automotive Ag Gleichlaufdrehgelenk
JPH07117108A (ja) 1993-10-25 1995-05-09 Toyota Motor Corp 深絞りブロー成形用金型
JP3043280B2 (ja) * 1996-02-15 2000-05-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
FR2752890B1 (fr) 1996-08-30 1998-09-25 Renault Joint de transmission tripode et procedes de montage d'un tel joint de transmission
JP2000039028A (ja) 1998-07-22 2000-02-08 Ntn Corp 摺動式等速ジョイント
JP3715476B2 (ja) 1999-09-27 2005-1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
EP1008778B1 (en) * 1998-12-08 2006-06-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01295855A (ja) * 2000-04-13 2001-10-26 Ntn Corp 等速自在継手
JP4334754B2 (ja) * 2000-10-13 2009-09-30 デルファイ・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JP4827291B2 (ja) * 2000-10-16 2011-11-30 ジーエム・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オペレ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TW505744B (en) 2001-01-19 2002-10-11 Honda Motor Co Ltd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6699134B2 (en) * 2001-02-21 2004-03-0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nti-shudder tripod type CV universal joint
JP2002286046A (ja) 2001-03-27 2002-10-03 Ntn Corp 等速自在継手
JP4068812B2 (ja) 2001-03-29 2008-03-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の組立方法
JP4255678B2 (ja) 2002-11-12 2009-04-15 Ntn株式会社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DE602005003991T2 (de) * 2004-08-03 2008-12-11 Ntn Corporation Gleichlauftripodegele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37895B2 (en) 2006-11-21
EP1413787B1 (en) 2008-08-20
EP1413787A2 (en) 2004-04-28
TW200407509A (en) 2004-05-16
EP1995481B1 (en) 2013-03-27
DE60323029D1 (de) 2008-10-02
US7357723B2 (en) 2008-04-15
EP1995480A1 (en) 2008-11-26
CN1499098A (zh) 2004-05-26
US20040157667A1 (en) 2004-08-12
US20070004522A1 (en) 2007-01-04
KR101024883B1 (ko) 2011-03-31
ATE405759T1 (de) 2008-09-15
TWI298767B (en) 2008-07-11
US20080161116A1 (en) 2008-07-03
KR100977450B1 (ko) 2010-08-24
EP1413787A3 (en) 2004-06-23
KR20040036572A (ko) 2004-04-30
EP1995481A1 (en) 2008-11-26
US7682253B2 (en) 2010-03-23
CN100357624C (zh) 2007-12-26
EP1995480B1 (en)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883B1 (ko) 트리포드형 등속 조인트
US5203741A (en)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 with gothic arch shaped rollers and guide grooves
US7654908B2 (en) Tripod typ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6454655B1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9980703608A (ko) 트리포오드형 등속자재조인트
GB2176871A (en) Homokinetic universal joint
EP0950823B1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EP1394430B2 (en) Cross coupling
EP1327083B1 (en) Constant velocity joint of tripod type
CA2368564C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JP4350392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KR20070025956A (ko) 트라이포드형 등속 유니버셜 조인트
CA2368546C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JP4255678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JPH10122254A (ja) 等速自在継手
JP2001234940A (ja) 等速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