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770A -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770A
KR20100036770A KR1020080096150A KR20080096150A KR20100036770A KR 20100036770 A KR20100036770 A KR 20100036770A KR 1020080096150 A KR1020080096150 A KR 1020080096150A KR 20080096150 A KR20080096150 A KR 20080096150A KR 20100036770 A KR20100036770 A KR 20100036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cup
hanger
shaped bas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340B1 (ko
Inventor
남기일
손홍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주식회사 이엔케이
주식회사 엠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주식회사 이엔케이, 주식회사 엠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08009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3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36Phosphat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0Pre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매 없는 금속용기의 제조를 위한 인산염 피막처리에 있어, 원판모재의 DDI(Deep Drawing Ironing; 딥드로잉 아이어닝) 가공에 의하여 성형된 컵형모재를 행거에 거치시켜 인산염 피막처리조측으로 공급시키는 한편, 인산염 피막처리가 이루어진 컵형모재를 행거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하는 로딩 및 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행거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행거의 이동경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모재이송롤러가 구비된 이송기구를 2개로 분할하여 설치하되, 하나의 이송기구는 행거의 전방측 입구와 동일한 선상에서 컵형모재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이송기구는 행거의 하부측에서 승하강하여 컵형모재를 행거의 내부로 받아 들이거나 행거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함으로서, 컵형모재의 인산염 피막처리에 따른 공정의 자동화와 이로 인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토록 함은 물론, 인산염 피막의 손상을 방지하여 이음매 없는 금속용기 제품의 품질향상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컵형모재(9)가 수평 방향으로 거치되는 골조 형상의 행거(5)가 인산염 피막처리조 측으로 연장되는 행거레일(7)상에 매달려 행거레일(7)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행거(5)의 이동경로 전방측에는 행거(5)와 동일(同一) 선상에서 컵형모재(9)를 이송시키는 이송기구(1)가 설치되고, 상기 행거(5)의 이동경로 직하방에는 행거(5)를 통한 컵형모재(9)의 거치와 이탈을 보조 하는 보조이송기구(2)가 이송기구(1)로부터 하방으로 단지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기구(1)와 보조이송기구(2)는 행거(5)의 이동경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치용 프레임으로서의 설치대(11)(21)와, 상기 설치대(11)(21)의 상단에서 설치대(1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모재이송롤러(13)(23)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21) 하부에는 승하강실린더(41)와 승하강 가이드를 포함하는 설치대(21)의 승하강기구(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96150
딥드로잉 아이어닝(DDI), 금속용기, 인산염 피막처리, 로딩 및 언로딩장치, 행거(Hanger)

Description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of base metal with cup type for coating process of phosphate}
본 발명은 행거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행거의 이동경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모재이송롤러가 구비된 이송기구를 2개로 분할하여 설치하되, 하나의 이송기구는 행거의 전방측 입구와 동일한 선상에서 컵형모재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이송기구는 행거의 하부측에서 승하강하여 컵형모재를 행거의 내부로 받아 들이거나 행거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함으로서, 컵형모재의 인산염 피막처리에 따른 공정의 자동화와 이로 인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토록 함은 물론, 인산염 피막의 손상을 방지하여 이음매 없는 금속용기 제품의 품질향상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고압가스용기에 사용되는 이음매 없는 금속용기를 제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모재가 되는 원형철판을 복동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컵(Cup) 형상으로 1차 성형시킨 다음, 이를 일측 단부가 막혀 있는 튜브(Tube) 형상으로 최 종 성형시키도록 하는 딥드로잉 아이어닝(DDI, Deep Drawing Ironing)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딥드로잉 아이어닝 공법에 의한 원판모재의 컵 성형 및 컵형모재의 튜브 성형을 행하기 이전에, 원판모재와 컵형모재에 대한 인산염 피막처리 공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서, 딥드로잉 아이어닝 공법에 따른 프레스 성형시 마찰에 의한 열발생을 최소화(냉각작용)시킴은 물론, 모재와 프레스 금형 사이의 윤활작용을 행하도록 함으로서, 원판모재와 컵형모재의 냉간소성(cold drawing)에 따른 성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인산염 피막처리 공정은, 요구하는 치수로 절단 가공된 원판모재 또는 컵 형상으로 성형된 모재가 예비탈지, 본탈지, 수세, 산세, 1차 수세, 2차 수세, 1차 피막공정(고), 2차 피막공정(중), 1차 수세, 2차 수세, 탕세(중화), 윤활, 건조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하여 완성되는 바, 종래에는 이러한 각각의 공정단계가 반자동 호이스트(Hoist)나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즉, 인산염 피막처리가 요구되는 모재를 호이스트용 행거(Hanger)나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일일이 수동으로 장착시킨 다음, 호이스트나 유압실린더가 피막처리조의 상부에 구비된 레일 등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처리조(Bath) 상부에 호이스트나 유압실린더가 위치하게 되면, 처리조의 주변에 상주하는 작업자가 행거 또는 피스톤로드를 하강 및 상승시킴으로서, 모재가 해당 처리조의 내부로 침지(沈漬) 및 이탈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원판모재 또는 컵형모재의 인산염 피막처리를 행하게 되면, 그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금속모재를 호이스트용 행거나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장착시키는 작업 및 인산염 피막처리가 이루어진 모재를 해당 장치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까다롭게 됨으로서, 모재의 인산염 피막처리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인산염 피막처리가 이루어진 원판모재나 컵형모재의 경우 그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호이스트용 행거나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로부터 모재를 분리하는 과정이나, 해당 장치로부터 분리된 모재를 1차 또는 2차 딥드로잉 아이어닝 장치측으로 운반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들의 취급 부주의로 인하여 중량물인 원판모재나 컵형모재를 바닥으로 쉽게 떨어뜨리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모재를 분리하여 운반하는 작업자들이 중량물인 모재를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당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모재의 표면에 코팅 처리된 인산염 피막이 손상되거나 이물질 등이 부착됨에 따라, 딥드로잉 아이어닝 공법으로 제조되는 금속용기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중량물인 모재를 적절한 행거상에 자동적으로 장착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2차적으로는 상기 행거가 인산염 피막처리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행거에 장착된 모재가 해당 처리조의 내부로 자동 침지 및 이탈되도록 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인산염 피막처리가 이루어진 모재를 행거로부터 자동 이탈시키도록 하는 것이 필요 하다.
본원에서는 상기와 같은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특히 딥드로잉 아이어닝 공법에 의하여 성형된 컵형모재(튜브형 모재를 포함한다, 이하 이와 같다)를 행거에 자동적으로 거치시켜 인산염 피막처리조측으로 공급시키는 한편, 인산염 피막처리가 이루어진 컵형모재를 행거로부터 자동적으로 이탈시키도록 하는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는, 행거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행거의 이동경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모재이송롤러가 구비된 이송기구를 2개로 분할하여 설치하되, 하나의 이송기구는 행거의 전방측 입구와 동일한 선상에서 컵형모재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이송기구는 행거의 하부측에서 승하강하여 컵형모재를 행거의 내부로 받아 들이거나 행거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함으로서, 컵형모재의 인산염 피막처리에 따른 공정의 자동화와 이로 인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토록 함은 물론, 인산염 피막의 손상을 방지하여 이음매 없는 금속용기 제품의 품질향상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컵형모재를 운반시키기 위한 상기 행거를 파이프형 골조구조물로 형성시켜 그 무게를 경량화시키도록 하면서도 컵형모재가 안전하게 거치 및 운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이송기구와 연계되어 컵형모재의 거치와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거의 구조를 최적화시키고, 상기 각각의 이송기구가 행거의 진행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행거의 내부로 컵형모재를 거치시키는 작업과 행거로부터 컵형모재를 이탈시키는 작업이 보다 더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컵형모재의 인산염 피막처리 공정을 보다 더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행거의 전방측 입구와 동일 선상에서 컵형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의 내부에 로드리스 실린더에 의한 컵형모재의 장착기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로드리스 실린더의 왕복대 상단부에는 컵형모재의 개구된 입구에 걸리는 이송후크가 탄력적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행거의 내부로 컵형모재를 거치시키는 로딩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 및 안전성을 한층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특히 컵형모재의 로딩작업 측면에 보다 더 최적화 될 수 있는 장치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3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컵형모재가 수평 방향으로 거치되는 골조 형상의 행거가 인산염 피막처리조 측으로 연장되는 행거레일상에 매달려 행거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행거의 이동경로 전방측에는 행거와 동일 선상에서 컵형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행거의 이동경로 직하방에는 행거를 통한 컵형모재의 거치와 이탈을 보조하는 보조이송기구가 이송기구로부터 하방으로 단지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기구와 보조이송기구는 행거의 이동경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치용 프레임으로서의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의 상단에서 설치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모재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이송기구의 설치대 하부에는 승하강실린더와 승하강 가이드를 포함하는 설치대의 승하강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행거의 최적 실시예로서, 컵형모재의 지지를 위하여 "L"자형의 골조를 형성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모재수납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모재수납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단측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어 행거레일상에 매달리는 연결판과, 상기 모재수납프레임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컵형모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후방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행거의 하단측 중앙부에는 원호상의 거치대가 모재수납프레임의 사이에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하측 중앙부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돌출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행거의 하단에 하부돌출봉이 설치된 경우에 있어, 상기 보조이송기구의 설치대 상단 중앙부에는 행거의 이동 과정에서 하부돌출봉이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이송기구의 모재이송롤러는 절개부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롤러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모재이송롤러와, 절개부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컵형모재와 밀착 회전되는 보조롤러로 분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이송기구와 보조이송기구의 설치대 하부에는 행거의 이동경로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각각의 이송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대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이송기구의 수평이송대는 설치대와 승하강기구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기구는 수평이송대의 하측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각각의 수평이송대 상부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의 바닥판 하측면에는 각각의 가이드레일과 맞물리는 가이드대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이송기구의 수평이송대 중앙부에는 스크류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스크류가 설치되고, 보조이송기구의 설치대 하측 중앙부에는 이송스크류가 삽입되는 이송너트캡이 설치됨으로서, 각각의 이송기구가 행거의 진행방향을 따라 동시에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이송기구의 설치대 내부에는 컵형모재의 장착기구가 설치되는 바, 상기 장착기구는 설치대의 바닥판 중앙부에서 이송기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로드리스 실린더와, 상기 로드리스 실린더의 왕복대에 고정 설치되는 푸싱실린더와, 상기 푸싱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모재이송롤러의 사이로 돌출되는 컵형모재의 이송후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후크의 하단부는 받침대와 힌지식으로 조립되어 후방측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후크와 받침대에는 후방측으로 각운동 된 이송후크의 복원을 위한 코일스프링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송기구의 설치대 측면부에는 컵형모재를 모재이송롤러를 따라 도입시키기 위한 보조이송실린더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보조이송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단부측에는 컵형모재를 후방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브라켓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행거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각각의 행거상에 인산염 피막처리가 요구되는 컵형모재를 지속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산염 피막처리가 이루어진 컵형모재를 행거로부터 순차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컵형모재의 로딩(거치) 및 언로딩(이탈) 작업이 이송롤러를 구비하는 2개의 분할된 이송기구 및 승하강기구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컵형모재의 인산염 피막처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음매 없는 금속용기의 제조에 따른 전체적인 인건비 절감과 공기(工期)의 단축을 이루어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인산염 피막처리된 컵형 모재의 취급 부주의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인산염 피막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인산염 피막처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기구와 합리적으로 연계되도록 파이프형 골조에 의한 행거를 형성시키는 한편, 각각의 이송기구가 행거의 진행방향을 따라 동일한 속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행거의 무게는 최대한으로 경량화시키면서도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작업은 보다 더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 또한 완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이송기구의 설치대 내부에 로드리스 실린더와 이송후크에 의한 컵형모재의 장착기구를 설치하고, 이송기구의 설치대 측면에는 상기 이송후크를 거쳐 컵형모재를 도입시키기 위한 보조이송실린더를 설치한 경우에는, 이송기구로부터 행거의 내부로 컵형모재를 거치시키는 로딩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 및 안전성을 한층 더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특히 컵형모재의 로딩작업 측면에 보다 더 최적화 될 수 있는 장치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컵형모재(9)가 수납되는 행거(5)와, 상기 행거(5)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그 전방측(도면상 우측)에 설치됨으로서 행거(5)와 동일(同一) 선상에서 컵형모재(9)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기구(1)와, 상기 행거(5)의 이동경로 직하방에 설치되어 행거(5)를 통한 컵형모재(9)의 거치와 이탈을 보조하는 승하강식 보조이송기구(2)를 주된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송기구(1)와 보조이송기구(2)에는 행거(5)의 이동경로(도면상의 들어가거나 나오는 방향)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치용 프레임으로서 형강에 의한 설치대(11)(21)가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설치대(11)(21) 상단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롤러지지대(12)(22)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롤러지지대(12)(22)를 따라서는 모재이송롤러(13)(2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재이송롤러(13)(23)는 이송기구(1)(2)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눕혀진 상태로 놓여지는 컵형모재(9)를 로딩방향이 되는 후방측(도면상 좌측) 또는 언로딩방향이 되는 전방측(도면상 우측)으로 이송시켜, 컵형모재(9)를 행거(5)의 내부로 거치시키거나 행거(5)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롤러모터(27)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 작동된다.
상기 각각의 모재이송롤러(13)(23)는 그 롤러축(13a)(23a)이 해당 롤러지지대(12)(22)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한편, 해당 롤러축(13a)(23a)에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수단으로서 벨트나 풀리 또는 체인이나 스프라켓 또는 전동기어 등이 설치됨으로서,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각각의 모재이송롤러(13)(23)가 로딩방향 및 언로딩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상에서는 상기 전동수단의 예로서, 롤러모터(27)의 구동축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27a)과, 롤러축(13a)(23a)에 고정 설치되는 전동스프라켓(23b, 도 4 참조) 및 이를 연결하는 전동체인(27b)을 각각 도시하였으며, 상기 모재이송롤러(13)(23)의 외측면에는 컵형모재(9)와의 완충기능 및 이송마찰력의 향상을 위한 고무패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 보조이송기구(2)에는 롤러모터(27)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송기구(1)에는 별도의 모터가 설치되지 아니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도면상 이송기구(1)의 설치대(11) 내측에 구비된 장착기구(3)가 모재이송롤러(13)상에 놓여진 컵형모재(9)의 이송 및 로딩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의 설명에서 별도로 기재될 것이지만, 상기 장착기구(3)가 설치된 경우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10)를 컵형모재(9)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에 동시에 적용시킨다는 측면보다는, 컵형모재(9)의 로딩작업을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장착기구(3)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송기구(1)에 컵형모재(9)의 장착기구(3)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음에 따라, 본 발명의 장치(10)를 컵형모재(9)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에 동시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모재이송롤러(13)의 양방향 회전작동을 위하여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이 이송기구(1)에도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21) 하부에는 승하강실린더(41)와 승하강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승하강기구(4)가 설치됨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초기의 상태에서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21)를 모재이송롤러(23)와 함께 행거(5)의 직하방에서 상승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송기구(1)(2)에 설치된 모재이송롤러(13)(23)가 동일 선상에 위치토록 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이송기구(1)로부터 이송되어져 들어오는 컵형모재(9)를 행거(5)의 내부로 거치시키는 로딩작업, 또는 행거(5)의 내부에 거치되어 있던 컵형모재(9)를 행거(5)로부터 이송기구(1)(2)를 따라 이탈시키는 언로딩작업을 최종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초기의 상태에서는 상기 이송기구(1)로부터 보조이송기구(2)가 하방으로 단지게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 승하강기구(4)는 설치대(21)의 바닥판(21a) 중앙부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보조이송기구(2)의 안정적인 승하강 작동에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기구(4)의 승하강실린더(41)는 공장의 바닥면 등지에 고정되는 실린더장착판(42)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피스톤로드(41a)의 선단부가 설치대(21)의 바닥판(21a)과 연결 설치되며, 도면상 상기 승하강 가이드 수단은, 승하강기구(4)의 보강판(43)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봉(44)으로 연결되는 가이드실린더(45)와, 설치대(21)의 바닥면 연결부(47)와 고정된 상태로 가이드실린더(45)를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봉(46)으로 이루어진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보조이송기구(2)와 승하강기구(4)와의 설치상태는 도면상 수평이송대(24)가 설치되지 아니한 조건하에서 설명되어진 것이고{이 경우 이송기구(1)의 수평이송대(14)는 설치대(11)의 역할을 하게 됨}, 도면에서와 같이 보조이송기구(2)와 승하강기구(4)의 사이에 수평이송대(24)가 설치되는 경우, 승하강기구(4)의 위치는 수평이송대(24)의 하부가 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주된 구성요소를 이루는 상기 행거(5)는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컵형모재(9)의 지지를 위하여 "L"자형의 골조를 형성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모재수납프레임(51)과, 상기 각각의 모재수납프레임(51)을 연결하는 상단측 연결프레임(52)과, 상기 연결프레임(52)에 설치되어 행거레일(7)상에 매달리는 연결판(56)과, 상기 모재수납프레임(5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컵형모재(9)의 탈락을 방지하는 후방지지대(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재수납프레임(51)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은 보조이송기구(2)의 모재이송롤러(23)는 행거(5)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면서도, 컵형모재(9)는 행거(5)의 하부를 통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간격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요건을 충족한다는 조건하에서 상기 행거(5)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다른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골조구조물 대신에 컨테이너(수납용기)식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와 같이, 상기 행거(5)를 파이프(중공파이프가 될 수도 있다)에 의한 골조구조물로 형성시키는 것이, 행거(5) 자체의 무게는 최대한으로 경량화시키면서도 컵형모재(9)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이송기구(2)와 연계되는 합리적인 구조설계가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5)는 도면상 행거이송대(6)에 의하여 행거레일(7)상에 매달려 설치되는 바, 상기 행거이송대(6)는 상단측에 구비된 레일롤러(61)가 행거레일(7)의 양측으로 삽입되는 한편, 미도시된 대형 스프라켓에 의하여 행거레일(7)을 따라 행거(5)의 순환루프식(Circulation Loop Type) 이송작동을 수행하는 이송체인(8)과 연결 설치됨으로서, 상기 행거(5)가 행거이송대(6)와 함께 행거레일(7)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5)의 하단측 중앙부에는 원호상의 거치대(53)가 모재수납프레임(51)의 사이에서 연결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거치대(53)의 하측 중앙부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돌출봉(55)이 설치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53)가 행거(5)의 내부에서 컵형모재(9)를 보다 더 안전하게 지지토록 함은 물론, 상기 하부돌출봉(55)이 무게중심의 유지와 더불어 장치(10)의 가동을 위한 센서봉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하부돌출봉(55)이 보조이송기구(2)와 근접하는 시점을 미도시된 센서가 파악하여, 가장 적절한 시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를 가동시키도록 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도 1과 도 2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21) 상단 중앙부에는 행거(5)의 이동 과정에서 하부돌출봉(55)이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부(57)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는 절개부(57)의 입구 내측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절개부(57)를 형성시킨 경우 보조이송기구(2)의 모재이송롤러(23)는, 절개부(57)의 후방측(도면상 좌측)에 위치하여 롤러모터(27)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모재이송롤러(23)와, 절개부(57)의 전방측(도면상 우측)에 위치하여 컵형모재(9)와 밀착 회전되는 보조롤러(23')로 분할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장치(10)의 효과적인 작동과 롤러의 배치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주된 구성요소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를 이용하여 컵형모재(9)의 로딩 및 언로딩작업을 보다 더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요소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기구(1)와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11)(21) 하부에는 행거(5)의 이동경로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각각의 이송기구(1)(2)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대(14)(24)가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위에서 이미 간략하게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수평이송대(24)는 설치대(21)와 승하강기구(4)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승하강기구(4)의 승하강실린더(41)는 수평이송대(24)의 하측 중앙 부에 위치토록 하고, 승하강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1a)와 승하강 가이드 수단인 가이드봉(46)은 수평이송대(24)의 하측면 중앙부와 모서리부에 걸쳐 각각 연결 설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기구(1) 및 보조이송기구(2)가 수평이송대(14)(24)를 따라 행거(5)의 이동경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각각의 수평이송대(14)(24) 상부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5)(25)이 고정 설치되는 한편, 설치대(11)(21)의 바닥판(11a)(21a) 하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5)(25)과 요철(凹凸) 형상으로 맞물리는 가이드대(16)(2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수평이송대(24)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5) 사이에 이송스크류(29)가 설치되는 한편,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21) 하측 중앙부에는 이송스크류(29)가 삽입되는 이송너트캡(29a)이 고정 설치되며, 보조이송기구(2)의 수평이송대(24) 일측(도 6에서 좌측)에는 이송스크류(29)의 회전을 위한 스크류모터(28)가 모터브라켓(28a)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9)와 이송너트캡(29a)은 통상의 수평 이송 스크류잭과 유사한 작동원리를 가지는 것으로서, 비교적 느린 행거(5)의 이동속도(1m/min 내외)와 동일한 속도로 각각의 이송기구(1)(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모터(28)의 구동축(28b)으로부터 출력된 회전속도를 적절한 비율로 감속시키게 되며, 이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스크류모터(28) 자체에 감속기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행거(5)의 이동속도에 맞추어 각각의 이송기구(1)(2)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조건하에서, 상기 스크류모터(28)와 이송스크류(29)를 대신하여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다른 이송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스크류모터(28)와 이송스크류(29)를 이송기구(1)의 수평이송대(14)상에 설치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아울러, 승하강기구(4)에 의한 보조이송기구(2)의 승하강 작동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스크류모터(28)와 이송스크류(29)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송기구(1)가 보조이송기구(2)와 함께 수평이송대(14)(2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설치대(11)(21)는 보조이송기구(2)의 승하강 가이드 수단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 가이드 수단 역시 마찬가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구(1)의 설치대(11) 바닥판(11a)으로부터 보조이송기구(2)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브라켓(17)상에 가이드실린더(45)가 설치되는 한편,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21) 바닥판(21a)의 하측면에는 상기 가이드실린더(45)로 삽입되는 가이드봉(46)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승하강 가이드 수단에 있어 가이드실린더(45) 자체는 단순한 형태의 슬라이드용 구멍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까지 설명되어진 본 발명에 의한 장치(10)의 구성은 컵형모재(9)의 로딩작업과 언로딩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에 해당하며, 이후에 설명되어질 장착기구(3)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경우는 컵형모재(9)의 로딩작업에 보다 더 합리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바, 상기 장착기구(3)는 도 1과 도 2 및 도 4와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송기구(1)의 설치대(11)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장착기구(3)는, 설치대(11)의 바닥판(11a) 중앙부에서 이송기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로드리스 실린더(36)와, 상기 로드리스 실린더(36)의 왕복대(37)에 고정 설치되는 푸싱실린더(34)와, 상기 푸싱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4a) 선단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32)와, 상기 받침대(32)의 상단에 설치되어 모재이송롤러(13)의 사이로 돌출되는 컵형모재(9)의 이송후크(31)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후크(31)의 하단부는 힌지결합부(31a)에 의하여 받침대(32)와 힌지식으로 조립됨으로서, 후방측(도면상 좌측)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이송후크(31) 및 받침대(32)의 전방면(도면상 우측면)에는 컵형모재(9)의 이송에 따라 후방측으로 각운동 된 이송후크(31)를 자동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일스프링(33)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후크(31)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받침대(32)의 하부에는 양측에 다수 개의 위치조정공(39a)이 관통 형성된 위치조정판(32')이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받침대(32)를 관통하여 위치조정공(39a)으로 끼움 삽입되는 위치조정핀(39)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위치조정판(32')과 위치조정핀(39)에 의하여 이송후크(31)를 받침대(32)와 함께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후크(31)는 컵형모재(9)의 개구된 입구 하단에 걸리게 되어 컵형모재(9)를 행거(5)의 내부로 밀어 넣는 기능을 담당하는 한편, 컵형모재(9)의 이송 과정에서 컵형모재(9)의 개구된 선단부과 밀폐된 후단부 사이의 무게 차이로 인하여 컵형모재(9)의 선단부가 오뚜기처럼 들려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컵형모재(9)의 로딩작업을 보다 더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와 같이 장착기구(3)의 이송후크(31)가 모재이송롤러(13)의 사이로 돌출되므로, 이송기구(1)의 모재이송롤러(13) 뿐만 아니라 보조이송기구(2)의 보조롤러(23')에는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롤러(13)(23')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롤러축, 즉 절개부(57)의 후방에서 도면부호 23a로 도시된 형태의 롤러축,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로드리스 실린더(36) 및 푸싱실린더(34)에 의한 이송후크(31)의 이송작동이 가능토록 하여야 한다.
상기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36)는 에어실린더의 일종으로서, 실린더 몸통의 내부에 피스톤만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의 상부로 돌출되는 왕복대(37)와 연결 설치됨에 따라, 에어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하여 상기 왕복대(37)가 피스톤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공지의 부품이며, 왕복대(37)의 이동을 보조 및 안내할 수 있도록 로드리스 실린더(36)의 상부면에는 가이드봉(3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드리스 실린더(36)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자동화 부품으로서 LM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들 수 있는 바, 상기 LM가이드는 이송시키고자 하는 대상물을 클리어런스(Clearance: 틈새나 여유공간)없이 가볍게 움직일 수 있고, 대상물의 주행에 따른 정밀도와 고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이송 대상물이 설치되는 왕복대(37)로서의 LM블록과, 상기 LM블록이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레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로드리스 실린더(36)나 LM가이드 이외에도, 이송후크(3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수평이동식 스크류잭(Screw-jack)이나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공지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푸싱실린더(34)에 의하여 컵형모재(9)를 이송후크(31)와 함께 밀어내는 작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왕복대(37)를 관통하여 피스톤로드(34a)와 함께 받침대(32)와 연결되는 봉 형상의 푸싱가이드(35)를 푸싱실린더(34)의 양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이송기구(1)의 설치대(11)에 이송후크(31)에 의한 장착기구(3)를 설치하여 본 발명의 장치(10)를 로딩 전용(全用)으로 사용코자 하는 경우, 도 4 및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구(1)의 설치대(11) 측면부에 컵형모재(9)를 모재이송롤러(13)를 따라 이송후크(31)를 거쳐 도입(導入)시키기 위한 보조이송실린더(18)를 설치하는 것이, 장착기구(3)의 효과적인 활용측면에서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이송실린더(18)의 피스톤로드(18a) 단부측에는 컵형모재(9)를 후방측(도 4에서 좌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브라켓(19)이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컵형모재(9)는 미도시된 적재수단에 의하여 모재이송롤러(13)와 푸시브라켓(19)의 사이로 위치한 상태에서, 보조이송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하여 푸시브라켓(19)과 함께 이송후크(31)를 거쳐 모재이송롤러(13)를 따라 도입되는 것이며, 도면부호 18b는 실린더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및 도 2를 중심으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컵형모재(9)의 연속적인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하여 수 개 내지 수십 개 또는 그 이상의 행거(5)가 행거레일(7)상에 매달려 설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인산염 피막처리에 필요한 시간 즉, 각각의 처리조에서 요구되는 처리시간을 감안하여, 상기 행거(5)가 이송체인(8)에 의하여 행거이송대(6)와 함께 비교적 느린 속도(1m/min 내외)로 행거레일(7)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행거(5)의 이동상태를 설치하여 놓는 한편, 인산염 피막처리조로 컵형모재(9)를 공급하기 위한 위치 및 인산염 피막처리가 이루어진 상태로 컵형모재(9)가 배출되어져 나오는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로딩 및 언로딩장치(10)를 각각 설치하되, 전자의 경우는 컵형모재(9)를 이송기구(1)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로봇이나 컨베이어 또는 크레인 등의 자동적재수단을, 후자의 경우는 컵형모재(9)를 이송기구(1)로부터 들어내거나(로봇,크레인) 배출(컨베이어)할 수 있는 자동하역수단을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와 근접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치(10)가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행거(5)가 행거레일(7)을 따라 본 발명의 장치(10)가 설치된 로딩 위치를 향하여 순서대로 이동하여 오게 되면, 미도시된 센서가 행거(5)의 이동위치{바람직하게는 행거(5)의 하부돌출봉(55) 위치}를 파악하여, 행거(5)가 적절한 위치로 진입하는 동시에 해당 센서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가 작동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구(1)에 놓여진 컵형모재(9)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모재이송롤러(13)를 따라(또는 장착기구에 의하여) 행거(5)의 전방 입구측으로 이송되는 한편, 승하강기구(4)의 승하강실린더(41)와 롤러모터(27)의 작동에 따라 보조이송기구(2)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보조이송기구(2)에 설치된 모재이송롤러(23) 또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기구(4)에 의하여 보조이송기구(2)가 상승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송기구(1)(2)에 구비된 모재이송롤러(13)(23)가 일직선상에 놓인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하여 행거(5)의 전방측 입구까지 이송된 컵형모재(9)가 보조이송기구(2)의 모재이송롤러(23)를 따라 행거(5)의 내부로 완전하게 거치되는 로딩작업이 완료된다.
특히, 상기 로딩작업의 과정에서 스크류모터(28)를 작동시켜 이송스크류(29)를 회전시키게 되면, 각각의 이송기구(1)(2)가 수평이송대(14)(24)를 따라 행거(5)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행거(5)의 이동방향과 컵형모재(9)의 거치방향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컵형모재(9)의 로딩작업을 보다 더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송기구(1)의 내부에 장착기구(3)가 구비된 경우에는, 컵형모재(9)의 개구된 입구가 이송후크(31)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로드리스 실린더(36)를 작동시켜 컵형모재(9)가 이송후크(31) 및 왕복대(37)와 함께 행거(5)의 입구측으로 신속하게 밀려나도록 한 다음, 푸싱실린더(34)를 작동시켜 컵형모재(9)가 행거(5)의 입구를 따라 정확하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컵형모재(9)의 로딩작업이 완료되면, 미도시된 센서(컵형모재의 로딩여부를 감지) 또는 타이머(컵형모재의 로딩시간을 측정) 등이 이를 판단하여 모재이송롤러(13)(23)용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한편, 승하강실린더(41)와 스크류모터(28)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이송기구(1) 및 보조이송기구(2)가 도 1에 도시된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여 다음의 로딩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를 이용한 로딩작업을 거쳐 인산염 피막처리조로 공급된 컵형모재(9)가 인산염 피막처리된 상태로 또 다른 본 발명의 장치(10)가 설치된 언로딩 위치를 향하여 순서대로 이동하여 오게 되면, 미도시된 센서가 행거(5)의 이동위치를 파악하여, 행거(5)가 적절한 위치로 진입하는 동시에 해당 센서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가 작동되면, 승하강기구(4)의 승하강실린더(41)에 의하여 보조이송기구(2)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행거(5)에 장착된 컵형모재(9)의 하측면이 보조이송기구(2)의 모재이송롤러(23)와 접촉하게 되는 동시에, 컵형모재(9)가 모재수납프레임(51)으로부터 직상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각각의 이송기구(1)(2)에 구비된 모재이송롤러(13)(23)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의 작동에 따라 각각의 이송기구(1)(2)에 구비된 모재이송롤러(13)(23)가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행거(5)의 내부에 거치되어 있던 컵형모재(9)가 각각의 모재이송롤러(13)(23)를 따라 행거(5)의 외부로 이탈되는 언로딩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언로딩 작업의 과정에서도 스크류모터(28)와 이송스크류(29)를 작동시킴으로서, 각각의 이송기구(1)(2)가 행거(5)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수평이송대(14)(24)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러한 언로딩 작업의 과정에서 상기 장착기구(3)는 필요치 아니하므로, 언로딩 위치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장치(10)는 장착기구(3) 대신에 모재이송롤러(13)용 모터가 설치된 장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언로딩 위치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장치(10)에 있어, 승하강기구(4)(필요에 따라서는 수평이송대도 포함됨)를 구비하는 보조이송기구(2)만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송기구(1)의 모재이송롤러(13)가 위치하는 영역에 컵형모재(9)의 배출컨베이어 등이 직접 설치되더라도 무방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컵형모재"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이음매 없는 금속용기의 제조를 위하여 통상 2차에 걸친 딥드로잉 아이어닝 공법을 적용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산염 피막처리가 요구되는 컵형모재(9)는 "그 길이가 짧고 직경이 큰 1차 성형품(컵)"과 "그 길이가 길고 직경이 작은 2차 성형품(튜브)"의 2가지 종류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딩 및 언로딩장치(10)는 "1차 성형품이 되는 컵"과 "2차 성형품이 되는 튜브"의 인산염 피막처리에 모두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컵과 튜브의 적용에 있어 단지 차이를 보이는 것은 행거(5)를 이루는 모재수납프레임(51)이 길이와 높이 및 모재수납프레임(51) 사이의 간격과 같은 치수적인 요건에 불과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를 그 작용관계와 함께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행거의 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에 있어 이송기구측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에 있어 보조이송기구측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컵형모재 장착기구의 요부확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기구 2 : 보조이송기구 3 : 장착기구
4 : 승하강기구 5 : 행거 6 : 행거이송대
7 : 행거레일 8 : 이송체인 9 : 컵형모재
10 : 로딩 및 언로딩장치 11,21 : 설치대 12,22 : 롤러지지대
13,23 : 모재이송롤러 14,24 : 수평이송대 15,25 : 가이드레일
16,26 : 가이드대 17 : 연결브라켓 18 : 보조이송실린더
19 : 푸시브라켓 23' : 보조롤러 27 : 롤러모터
28 : 스크류모터 29 : 이송스크류 31 : 이송후크
32 : 받침대 32' : 위치조정판 33 : 코일스프링
34 : 푸싱실린더 35 : 푸싱가이드 36 : 로드리스 실린더
37 : 왕복대 38,46 : 가이드봉 39 : 위치조정핀
41 : 승하강실린더 42 : 실린더장착판 43 : 보강판
44 : 연결봉 45 : 가이드실린더 47 : 연결부
51 : 모재수납프레임 52 : 연결프레임 53 : 거치대
54 : 후방지지대 55 : 하부돌출봉 56 : 연결판
57 : 절개부 61 : 레일롤러

Claims (9)

  1. 컵형모재(9)가 수평 방향으로 거치되는 골조 형상의 행거(5)가 인산염 피막처리조 측으로 연장되는 행거레일(7)상에 매달려 행거레일(7)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행거(5)의 이동경로 전방측에는 행거(5)와 동일(同一) 선상에서 컵형모재(9)를 이송시키는 이송기구(1)가 설치되고, 상기 행거(5)의 이동경로 직하방에는 행거(5)를 통한 컵형모재(9)의 거치와 이탈을 보조하는 보조이송기구(2)가 이송기구(1)로부터 하방으로 단지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기구(1)와 보조이송기구(2)는 행거(5)의 이동경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치용 프레임으로서의 설치대(11)(21)와, 상기 설치대(11)(21)의 상단에서 설치대(1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모재이송롤러(13)(23)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21) 하부에는 승하강실린더(41)와 승하강 가이드를 포함하는 설치대(21)의 승하강기구(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5)는 컵형모재(9)의 지지를 위하여 "L"자형의 골조를 형성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모재수납프레임(51)과, 상기 각각의 모재수납프레임(51)을 연결하는 상단측 연결프레임(52)과, 상기 연결 프레임(52)에 설치되어 행거레일(7)상에 매달리는 연결판(56)과, 상기 모재수납프레임(5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컵형모재(9)의 탈락을 방지하는 후방지지대(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5)의 하단측 중앙부에는 원호상의 거치대(53)가 모재수납프레임(51)의 사이에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53)의 하측 중앙부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돌출봉(5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21) 상단 중앙부에는 행거(5)의 이동 과정에서 하부돌출봉(55)이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부(57)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모재이송롤러(23)는 절개부(57)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롤러모터(27)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모재이송롤러(23)와, 절개부(57)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컵형모재(9)와 밀착 회전되는 보조롤러(23')로 분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1)와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11)(21) 하부에는 행거(5)의 이동경로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각 각의 이송기구(1)(2)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대(14)(24)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수평이송대(24)는 설치대(21)와 승하강기구(4)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기구(4)는 수평이송대(24)의 하측 중앙부에 위치하여 승하강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1a)와 승하강 가이드가 수평이송대(24)의 하측면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수평이송대(14)(24) 상부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5)(25)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11)(21)의 바닥판(11a)(21a) 하측면에는 각각의 가이드레일(15)(25)과 맞물리는 가이드대(16)(26)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이송기구(2)의 수평이송대(24)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5) 사이에 이송스크류(29)가 설치되고,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21) 하측 중앙부에는 이송스크류(29)가 삽입되는 이송너트캡(29a)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송대(24)의 일측에는 이송스크류(29)의 회전을 위한 스크류모터(28)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기구(1)와 보조이송기구(2)의 설치대(11)(21)는 승하강기구(4)의 작동에 따른 보조이송기구(2)의 승하강 가이드 수단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1)의 설치대(11) 내부에는 컵형모재(9)의 장착기구(3)가 설치되며,
    상기 컵형모재(9)의 장착기구(3)는, 설치대(11)의 바닥판(11a) 중앙부에서 이송기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로드리스 실린더(36)와, 상기 로드 리스 실린더(36)의 왕복대(37)에 고정 설치되는 푸싱실린더(34)와, 상기 푸싱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4a) 선단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32)와, 상기 받침대(32)의 상단에 설치되어 모재이송롤러(13)의 사이로 돌출되는 컵형모재(9)의 이송후크(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후크(31)의 하단부는 받침대(32)와 힌지식으로 조립되어 후방측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후크(31)와 받침대(32)에는 후방측으로 각운동 된 이송후크(31)의 복원을 위한 코일스프링(33)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1)의 설치대(11) 내부에는 컵형모재(9)의 장착기구(3)가 설치되며,
    상기 컵형모재(9)의 장착기구(3)는, 설치대(11)의 바닥판(11a) 중앙부에서 이송기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로드리스 실린더(36)와, 상기 로드리스 실린더(36)의 왕복대(37)에 고정 설치되는 푸싱실린더(34)와, 상기 푸싱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34a) 선단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32)와, 상기 받침대(32)의 상단에 설치되어 모재이송롤러(13)의 사이로 돌출되는 컵형모재(9)의 이송후크(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후크(31)의 하단부는 받침대(32)와 힌지식으로 조립되어 후방측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후크(31)와 받침대(32)에는 후방측으로 각운동 된 이송후크(31)의 복원을 위한 코일스프링(33)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1)의 설치대(11) 측면부에는 컵형모재(9)를 모재이송롤러(13)를 따라 도입시키기 위한 보조이송실린더(18)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보조이송실린더(18)의 피스톤로드(18a) 단부측에는 컵형모재(9)를 후방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브라켓(19)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1)의 설치대(11) 측면부에는 컵형모재(9)를 모재이송롤러(13)를 따라 도입시키기 위한 보조이송실린더(18)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보조이송실린더(18)의 피스톤로드(18a) 단부측에는 컵형모재(9)를 후방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브라켓(19)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KR1020080096150A 2008-09-30 2008-09-30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KR100973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150A KR100973340B1 (ko) 2008-09-30 2008-09-30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150A KR100973340B1 (ko) 2008-09-30 2008-09-30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770A true KR20100036770A (ko) 2010-04-08
KR100973340B1 KR100973340B1 (ko) 2010-07-30

Family

ID=4221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150A KR100973340B1 (ko) 2008-09-30 2008-09-30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4303A (zh) * 2018-10-31 2019-01-25 江苏恒通发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小型发电机专用运输转移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728A (ja) * 1991-08-13 1993-02-26 Shin Etsu Handotai Co Ltd ウエーハ起立方法及び装置
KR930011769A (ko) * 1991-11-13 1993-06-24 정몽헌 카오디오의 스테레오/모노 안정화 방법 및 장치
JPH06212494A (ja) * 1992-11-24 1994-08-02 Honda Motor Co Ltd 前処理及び電着塗装装置
KR101050085B1 (ko) * 2008-08-30 2011-07-19 주식회사 엔케이 인산염 피막처리된 원판모재의 언로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4303A (zh) * 2018-10-31 2019-01-25 江苏恒通发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小型发电机专用运输转移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340B1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3555B2 (ja) 板材搬出入棚装置
CN205471623U (zh) 一种玻璃片自动输送机
JP5643804B2 (ja) 板材保管棚
JP2010214577A (ja) ドア搬送装置
CN208978329U (zh) 刹车片模具超声波自动清洗装置
KR100973340B1 (ko)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컵형모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KR101050085B1 (ko) 인산염 피막처리된 원판모재의 언로딩장치
KR101005852B1 (ko) 자동차 휠너트 도금용 자동랙킹장치
CN106315157A (zh) 一种上下料输送机构
CN213922850U (zh) 一种自动放取料盘装置
CN111037172B (zh) 全自动直管焊接生产线
CN110980380B (zh) 一种用于片状产品生产的连续落料装置
CN112027681A (zh) 一种自动化板材码垛装置
CN211495802U (zh) 一种上下料机及具有该上下料机的自动传送线
CN213801922U (zh) 山楂饼刮片输送线用玻璃料板升降推拉机构
JP2008036469A (ja) 連続浸漬処理装置
KR20120006774A (ko) 물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JP2538948B2 (ja) ワ―ク搬送装置
KR100973339B1 (ko) 인산염 피막처리를 위한 원판모재 로딩장치
CN210557740U (zh) 一种带移载机的载具
JP4400963B2 (ja) 未加硫タイヤの保管供給方法および保管供給設備
CN210794780U (zh) 一种用于悬挂输送机的轮辋上料装置
CN218423755U (zh) 自动循环泡油机
CN213706874U (zh) 一种大桶废物提升机提升链条自动润滑装置
CN218750841U (zh) 自动上下料液压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