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182A -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182A
KR20100036182A KR1020090088581A KR20090088581A KR20100036182A KR 20100036182 A KR20100036182 A KR 20100036182A KR 1020090088581 A KR1020090088581 A KR 1020090088581A KR 20090088581 A KR20090088581 A KR 20090088581A KR 20100036182 A KR20100036182 A KR 20100036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keyboard
key
closer
horizont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8180B1 (ko
Inventor
요시히사 사토우
요시노리 메사키
마사유키 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6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쪽 손으로의 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키가 가로 방향의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앞쪽에 나열된 산형으로 배치됨으로써, 가로 방향 양단의 키들 간의 거리가 좁혀진다. 이 때문에 키를 소형화하거나, 키의 배열 순번을 변경하지 않고, 키 배치 폭을 좁힐 수 있으며, 키 조작 시의 가로 방향의 손의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한쪽 손으로의 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KEYBOAR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기체(基體) 위에 복수의 키가 배치된 키보드, 및 키보드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나 전자 메일의 보급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가 폭넓은 연령층의 사용자에게 이용되고 있다. 이들 정보 처리 장치의 키보드는, 통상은 복수의 키가 가로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나열되어 있고, 종래부터 널리 보급되어 온 기계식 타이프라이터의 키 배치가 그대로 유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키 배치는 인간의 손이나 팔이나 팔꿈치의 구조에 맞는 것이라고 할 수 없고, 최근에는 장시간의 타이핑에 의한 건초염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등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점에 관해서, 특허문헌 1에는 좌측 반면(盤面)과 우측 반면으로 분할된 절첩식 키보드에 있어서, 좌측 반면과 우측 반면이 분리되도록 앞쪽을 벌려 사용하는 기술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이 절첩식 키보드에 의하면, 사용시에는 복수의 키가 V자형으로 벌어져 비스듬하게 배열되고, 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깨나 팔꿈치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절첩식 키보드에서는 양손으로 키보드를 조작할 때의 신체적 부담은 경감되지만, 한쪽 손만으로 키보드를 조작할 때에는, 종래의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어깨나 팔을 크게 움직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키와 함께 누르는 시프트키나 컨트롤키는 키보드의 가로 방향의 양단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키보드에서는 한쪽 손으로의 조작이 곤란하다. 또한 키보드의 세로 방향과 비교하여 가로 방향의 손의 이동에 의한 부담은 크기 때문에 한쪽 손으로 키보드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키보드의 폭을 좁혀야 한다. 키보드의 폭을 좁히는 방법으로서는, 키보드의 키를 소형화하여, 인접하는 키들 간의 거리(키 피치)를 좁히거나, 키보드의 세로 방향이 긴 길이 방향이 되도록 키를 나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73347호 공보
그러나, 키를 소형화해 버리면, 원하는 키 이외의 키도 함께 눌리는 등, 조작성이 열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키를 키보드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나열하는 방법은, 종래부터 널리 적용되고 있는 QWERTY 배열의 키보드에 익숙해 있는 사용자에게는 사용하기에 어렵게 되어 버린다. 최근에는 한쪽 손이 불편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수화기나 자료를 쥔 채 한쪽 손으로 키보드를 조작하는 경우도 많아, 이와 같은 때에는 마우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므로, 한쪽 손으로의 키 조작성이 양호한 키보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출원에 개시한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의 과제는 한쪽 손으로의 키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키보드의 기본 형태는,
기체(基體)와, 기체 위에 배치된 복수의 키를 포함한 키보드에 있어서,
복수의 키 중 적어도 일부의 키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단이고, 가로 방향의 중앙 부분에 가까울수록 안쪽에 배치되며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앞쪽이 되는 산(山)형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키보드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키가 가로 방향의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앞쪽에 나열된 산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가로 방향 양단의 키들 간의 거리가 좁혀진다. 이 때문에, 키를 소형화하거나, 키의 배열 순번을 변경하지 않 고, 키 배치 폭을 좁힐 수 있으며, 키 조작 시의 가로 방향의 손의 이동을 억제하여, 한쪽 손으로의 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기본 형태는,
기체와, 이 기체 위에 배치된 복수의 키를 구비한 키보드와,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키 중 적어도 일부의 키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단이고, 가로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가까울수록 안쪽에 배치되며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앞쪽이 되는 산형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정보 처리 장치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키의 크기나 배열 순번을 바꾸지 않고 키 배치 폭을 좁힐 수 있어, 한쪽 손으로의 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한쪽 손으로의 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기본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전술한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제1 실시형태인 퍼스널 컴퓨터(10)의 외관도이다.
이 퍼스널 컴퓨터(10)는 본체 장치(20)에, 전면(前面)에 표시 화면(31)이 있 는 표시 장치(30)와, 상면에 복수의 키(41)가 배치된 키보드(40)와, 좌측 클릭 버튼(51), 우측 클릭 버튼(52), 및 휠(53)이 설치된 마우스(50)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체 장치(20)는 내부에 하드디스크 등이 내장된 것이며, 퍼스널 컴퓨터(10)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이 본체 장치(20)에는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21), 마이크나 이어폰 등을 접속하기 위한 각종 커넥터(22), 플렉시블 디스크(이하에서는 FD로 생략)를 장전하기 위한 FD 장전구(23), 및 CD나 DVD 등의 광 디스크를 장전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장전구(24)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 장치(30)는 본체 장치(2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표시 화면(31) 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고, 키보드(40)는 키 조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며, 마우스(50)는 표시 화면(31) 위의 임의의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그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 등에 따른 지시를 입력하는 것이다. 키보드(40)는 전술한 키보드의 일례에 상당하고, 표시 장치(30)는 전술한 표시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키(41)는 전술한 키의 일례에 상당한다.
여기서, 이 퍼스널 컴퓨터(10)는 키보드(40) 위의 키(41)의 배치가 고안됨에 따라, 한쪽 손으로의 키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키보드(4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키보드(40)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키보드(40) 위에 한쪽 손을 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보드(40)는 기체(410) 위에 복수의 키(41)[도 2에서는 각 키(41)에 개별적으로 부호가 붙어 있음]가 배치되어 있다. 기체(410)는 전술한 기체의 일례에 상당한다.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키(440)는 기체(410) 위에서, 세로 방향(A)의 중앙 영역(P_2)에, 세로 방향(A)을 따라 복수단(도 2의 예에서는, 4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문자 입력키(440) 중, 가로 방향(B)의 중앙에 가까운 키일수록 안쪽에, 가로 방향(B)의 양단측에 가까운 키일수록 앞쪽에 나열되어 있고, 그 결과, 문자 입력키(440)는 안쪽으로 볼록한 산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문자 입력키(440)가 안쪽으로 볼록한 산형으로 배치됨으로써, 문자 입력키(440)의 크기나 배치 순번을 변경하지 않고 문자 입력키(440)의 배치 폭을 좁힐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편 범위 내에 문자 입력키(440)를 배치할 수 있고, 손을 가로 방향(B)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문자나 숫자를 한쪽 손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은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이 짧고, 가운데 손가락이 가장 길기 때문에, 키보드(40) 위에 손을 두면, 5개의 손가락이 문자 입력키(440)의 산형의 나열과 적합하다. 이 때문에, 키 입력에 의해 손이나 팔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키(440)의 안쪽 영역(P_1)에는 기능이 할당된 펑션(function)키나 커서의 오른쪽에 있는 문자 등을 삭제하는 삭제(Delete)키나, 삽입 모드와 겹쳐쓰기 모드를 전환하는 인서트(Insert)키 등, 종래의 키보드에 있어서 안쪽에 배치되어 있던 각종 기능키(42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종 기능키(420)와 문자 입력키(440) 사이의 영역에는 반각 입력과 전각 입력을 전환하는 반각·전각키(431)와, 커서를 후퇴시키는 백스페이스(Back Space)키(432)가 배치되어 있다.
문자 입력키(440)보다 앞쪽에서, 가로 방향(B)의 중앙 부분에 빈 영역(P_3)에는 상하 좌우의 4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키(451)와, 시작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메뉴키(452)가 배치되어 있다. 이 메뉴키(452)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Windows(등록상표)키에 상당한다.
여기서, 전술한 키보드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산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키보다 앞쪽에, 상하 좌우의 4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키를 배치하는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많이 사용되는 화살표키(451)나 메뉴키(452)가 기체(410) 중앙 부근의 영역(P_3)에 배치됨에 따라, 한쪽 손 입력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문자 입력키(440)가 산형으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키보드(40)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화살표키(451) 및 메뉴키(452)는 전술한 제1 키의 일례에 상당하고, 화살표키(451)는 전술한 화살표키의 일례에 상당한다.
화살표키(451)나 메뉴키(452)가 배치된 영역(P_3)의 더 앞쪽에는 가타카나 입력이나 히라가나 입력이나 로마자 입력을 전환하는 전환키(471)와, 선택한 메뉴나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키(472)와, 히라가나나 가타카나 입력 등에서 이용되는 변환키(481) 및 무변환키(482)와, 공백을 입력하는 공백키(49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영역(P_3)의 가로 방향(B)에서의 양단측 각각에는 탭을 입력하기 위한 탭키(462a, 462b)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다른 키(41)와 함께 누르는 시프 트(Shift)키(461a, 461b), 컨트롤(Ctrl)키(463a, 463b), 및 알트(Alt)키(464a, 464b)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시프트키(461a, 461b), 컨트롤키(463a, 463b), 알트키(464a, 464b)는 문자 입력키(440) 등과 조합하여 이용되지만, 문자 입력키(440)와 세로 방향(A)으로 나열되어 배치됨에 따라, 새끼손가락이나 엄지손가락으로 시프트키(461a, 461b) 등을 누르고 다른 4개의 손가락으로 문자 입력키(440)를 누를 수 있어, 한쪽 손 입력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키보드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2 키를 가로 방향에서의 양단측 각각에 배치하는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고, 제2 키를 다른 키와의 조합 조작에 의해 조작되는 키로 하는 응용 형태는 더 바람직하다.
다른 키(41)와 동시에 조작되는 시프트키(461a, 461b), 컨트롤키(463a, 463b), Alt키(464a, 464b)가 기체(410)의 가로 방향(B)에서의 양단측 각각에 배치됨에 따라, 좌우 어느 손이라도 용이하게 키보드(40)를 한쪽 손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키(451)나 메뉴키(452)가 배치된 영역(P_3)의 더 앞쪽에 나열된 탭키(462a, 462b), 컨트롤키(463a, 463b), Alt키(464a, 464b), 변환키(481), 및 무변환키(482)는 중앙 영역(P_2)에 산형으로 나열된 문자 입력키(440)와는 반대로, 중앙 부분에 가까울수록 앞에 나열되고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안쪽이 되는 원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키보드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키 중 산형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키 중 적어도 일부의 키를, 가로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가까 울수록 앞에 나열되고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안쪽이 되도록 원호형으로 배치하는 응용 형태는 적합하다.
이 적합한 형태의 키보드에 의하면, 손을 폈을 때에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이 형성하는 각도와, 원호형으로 나열된 키의 배치가 적합하기 때문에, 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배치에 의하면 원호형으로 배치된 키와 중앙 영역(P_2)에 산형으로 나열된 키에 의해, 화살표키(451) 등이 배치되는 영역(P_3)이 형성되기 때문에,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계속해서, 키보드(40)의 하면측 고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키보드(40)의 하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키보드(40)의 하면에는 기체(410)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대(520)와, 절첩 가능한 다리(510)가 장착되어 있다.
도 5는 다리(510)를 세운 상태의 키보드(40)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키보드(40)의 하면에 장착된 다리(510)을 세움으로써, 기체(410)가 기울어진다. 이것에 의해, 기체(410)의 상면에 배치된 키(41)를 앞쪽을 향하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기체(410)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키보드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기체에서, 복수의 키가 배치된 상면측에 대한 하면측에, 기체를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의 둘레로 회전시키는 회전대를 구비하는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예컨대, 오른손으로 키보드(4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위치 Q1과 같이 기체(410)를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왼쪽 손으로 키보드(4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위치 Q2와 같이 기체(410)를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손의 방향과 키보드(40) 키(41)의 방향을 맞출 수 있다. 회전대(520)는 전술한 회전대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퍼스널 컴퓨터(10)에 의하면, 복수의 키(41)가 가로 방향(B)의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앞쪽으로 나열된 산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키(41)를 소형화하거나, 키(41)의 배열 순번을 변경하지 않고, 키 배치 폭을 좁힐 수 있어, 한쪽 손으로의 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상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데스크탑형의 퍼스널 컴퓨터를 나타냈지만, 이 정보 처리 장치는 노트북형 컴퓨터 등이어도 좋다.
도 1은 전술한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제1 실시형태인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도.
도 2는 키보드를 위에서 본 도면.
도 3은 키보드 위에 한쪽 손을 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키보드의 하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다리를 세운 상태의 키보드를 옆에서 본 도면.
도 6은 기체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0: 퍼스널 컴퓨터 20: 본체 장치
21: FD 장전구 22: 광 디스크 장전구
30: 표시 장치 31: 표시 화면
40: 키보드 41: 키
50: 마우스 51: 좌측 클릭 버튼
52: 우측 클릭 버튼 53: 휠
410: 기체 510: 다리
520: 회전대

Claims (8)

  1. 기체(基體)와,
    이 기체 위에 배치된 복수의 키
    를 구비한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중 적어도 일부의 키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단이고, 가로 방향의 중앙 부분에 가까울수록 안쪽에 배치되며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앞쪽이 되는 산(山)형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키보다 앞쪽에는, 상하 좌우 4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키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중 상기 산형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키 중 적어도 일부의 키는, 가로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가까울수록 앞에 나열되고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안쪽이 되는 원호형으로 배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2 키가 가로 방향의 양단측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는 다른 키와의 조합 조작에 의해 조작되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는 시프트(Shift)키, 알트(Alt)키, 및 컨트롤(Ctrl)키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서, 상기 복수의 키가 배치된 상면측에 대한 하면측에, 상기 기체를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회전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8. 기체와,
    이 기체 위에 배치된 복수의 키를 구비한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중 적어도 일부의 키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단이고, 가로 방향의 중앙 부분에 가까울수록 안쪽에 배치되며 양단 부분에 가까울수록 앞쪽이 되는 산형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090088581A 2008-09-29 2009-09-18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1158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50364 2008-09-29
JP2008250364A JP5176832B2 (ja) 2008-09-29 2008-09-29 キーボードおよび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182A true KR20100036182A (ko) 2010-04-07
KR101158180B1 KR101158180B1 (ko) 2012-06-19

Family

ID=4125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581A KR101158180B1 (ko) 2008-09-29 2009-09-18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44915B2 (ko)
EP (1) EP2169516A3 (ko)
JP (1) JP5176832B2 (ko)
KR (1) KR101158180B1 (ko)
CN (1) CN101714028A (ko)
TW (1) TWI4050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081B1 (ko) * 2010-12-21 2013-03-26 박헌주 한 손 키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6286B2 (en) 2012-03-06 2019-02-26 Todd E. Chornenky On-screen diagonal keyboard
JP6346808B2 (ja) * 2014-07-07 2018-06-20 久保田 正志 文字入力用キー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9048A (en) * 1989-10-17 1991-10-22 Sirkin Mark J Keyboard for use with one hand having curvilinear and linear rows of keys
US5393150A (en) * 1991-09-05 1995-02-28 Fort; Chris Bifurcated keyboard arrangement
US5360280A (en) * 1992-05-19 1994-11-01 Metamorfyx Ergonomic keyboard including arcuate elongated keys
US5660488A (en) * 1993-04-29 1997-08-26 Miller; Timothy M. Ergonomically condensed QWERTY keyboard
JPH0937358A (ja) * 1995-07-20 1997-02-07 Sony Corp キーボードとビデオカメラ制御システム
US5670991A (en) 1995-08-22 1997-09-23 Behavior Tech Computer Corp. Keyboard with a universally adjusting apparatus
JPH0973347A (ja) 1995-09-04 1997-03-18 Katsuya Hinata 多段階折り畳み式キーボード
US6088022A (en) * 1998-02-06 2000-07-11 Rakoski; Robert Charles Spherical keyboard with built-in mouse
US6919879B2 (en) * 1998-06-26 2005-07-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 keyboard optimized for use with the thumbs
US6489950B1 (en) * 1998-06-26 2002-12-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uxiliary input device
US7439957B2 (en) * 2001-01-25 2008-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universal keyboard
JP2002341998A (ja) 2001-05-16 2002-11-29 Casio Comput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文字入力装置
JP4016380B2 (ja) * 2002-03-28 2007-12-05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電子機器
US6726106B1 (en) * 2002-04-02 2004-04-27 Good Technology, Inc. Power management and device illumination mechanisms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20040037604A1 (en) 2002-08-22 2004-02-26 Mcnamara Brian J. Ergonomic hand-held computing deivce
US7762892B2 (en) * 2003-05-09 2010-07-27 Microsoft Corporation Mode-altering key for a character input device
US8493326B2 (en) 2003-05-09 2013-07-23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removably attachable text input device
GB2404169B (en) 2003-07-25 2005-08-17 Research In Motion Ltd Staggered keyboard for a portable device
JP2005134970A (ja) * 2003-10-28 2005-05-26 Canon Inc 親指入力キーボード、キーボードつきカメラ
CN2678002Y (zh) 2003-12-15 2005-02-09 杨竞 单手操作键盘
US7113111B2 (en) * 2004-02-26 2006-09-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arrangement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8004495B2 (en) * 2004-08-31 2011-08-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mploying a multiple-axis input device and outputting a currently selected variant at a text input location during text disambiguation
US8065525B2 (en) * 2004-09-22 2011-11-22 Bekad Mgmt. Ii, Llc Device with built-in user authentication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and identity theft protection
US20060256139A1 (en) * 2005-05-11 2006-11-16 Gikandi David C Predictive text computer simplified keyboard with word and phrase auto-completion (plus text-to-speech and a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option)
US7338224B2 (en) * 2005-06-03 2008-03-04 Microsoft Corporation Ergonomic keyboard apparatus
US20070256913A1 (en) * 2006-05-04 2007-11-08 Wee Poh K Gaming keyboard
US7825833B2 (en) * 2007-01-09 2010-11-02 Manthe Iii Leslie William Computer key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081B1 (ko) * 2010-12-21 2013-03-26 박헌주 한 손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9516A2 (en) 2010-03-31
EP2169516A3 (en) 2014-02-12
US8344915B2 (en) 2013-01-01
US20100090872A1 (en) 2010-04-15
JP2010079830A (ja) 2010-04-08
CN101714028A (zh) 2010-05-26
KR101158180B1 (ko) 2012-06-19
TW201015380A (en) 2010-04-16
TWI405097B (zh) 2013-08-11
JP5176832B2 (ja)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7399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KR101331697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501018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入力装置
US20050219209A1 (en) Keyboard for a hand-held portable computer
KR101343896B1 (ko) 휴대용 컴퓨터
JPH09128148A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およびデータ入力装置
JPH1185354A (ja) キーボード組込み型座標指示装置、キーボード・ユニット、及び情報処理機器
US20030063070A1 (en) Keyboard optimized for use with the thumbs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58180B1 (ko)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
JP2003258977A (ja) 携帯電話器
JP4447843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0267787A (ja) 入力装置及び携帯情報処理装置
JP2006268819A (ja) 携帯型電子デバイス
JPH11327762A (ja) マウス機能付きキー入力装置
JP2008123114A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CN111788776B (zh) 键盘输入电子设备的输入方法
US200401604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147243U (ja) マウス付属のスクロール装置を用いた文字入力方式
US8057116B1 (en) Data input mechanism
JP2771501B2 (ja) 鍵盤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JP2003345497A (ja) 電子機器
JP3766695B6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376669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KR20040092030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
JP2000353052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