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081B1 - 한 손 키보드 - Google Patents

한 손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081B1
KR101247081B1 KR1020100131596A KR20100131596A KR101247081B1 KR 101247081 B1 KR101247081 B1 KR 101247081B1 KR 1020100131596 A KR1020100131596 A KR 1020100131596A KR 20100131596 A KR20100131596 A KR 20100131596A KR 101247081 B1 KR101247081 B1 KR 10124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arrow
key
keyboar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162A (ko
Inventor
박헌주
Original Assignee
박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주 filed Critical 박헌주
Priority to KR102010013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0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손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키보드는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 상에 한 손의 손가락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키들로 이루어진 키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부는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화살표키를 구비하는 화살표키부와; 상기 화살표키부의 좌하단에 배치되며, 지정된 특수기능을 수행하는 특수키들을 구비하는 특수키부와; 상기 화살표키부를 감싸도록 상기 화살표키부의 상단에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문자키부; 및 상기 문자키부의 외주상에 배치된 기능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 손 키보드{ONE HANDED KEYBOARD}
본 발명은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작동 가능한 한 손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키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보드(1) 상의 버튼(2)을 양손으로 타자하는 방법으로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소형화를 시키기에 한계가 있고 입력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이나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과 같은 손에 들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비들이 일상 생활에 보급되어 널리 사용됨에 따라 그러한 장비들을 위한 효율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형태의 입력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의 쿼티(QWERTY)형 키보드 시스템은 기존 키보드의 키(key)의 수를 생략하지 않고 즉,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키보드의 사이즈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더욱이 한 손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한 손으로의 입력에는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 키보드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그 크기를 대폭 소형화하고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작동 가능한 한 손 키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자 입력으로부터 생기는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구조를 고려하여 자판의 배열을 실용적으로 재배치한 한 손 키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는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 상에 한 손의 손가락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키들로 이루어진 키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부는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화살표키를 구비하는 화살표키부와; 상기 화살표키부의 좌하단에 배치되며, 지정된 특수기능을 수행하는 특수키들을 구비하는 특수키부와; 상기 화살표키부를 감싸도록 상기 화살표키부의 상단에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문자키부; 및 상기 문자키부의 외주상에 배치된 기능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살표키부는 상기 4개의 화살표키가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수키부는 「SHIFT」, 「SPACE」, 「Ctrl」, 「Alt」, 「Num Lock」, 「ENTER」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HIFT」키는 손목이나 손가락의 비틀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멀리 배치되며, 「SPACE」, 「Ctrl」, 「Alt」키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HIFT」,「SPACE」, 「Ctrl」, 「Alt」키는 상기 화살표키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키부는 3줄로 이루어지며 상단 첫째 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첫째 줄은, 「Tㅂㅃ1」「Nㅈㅉ2」「Sㄷㄸ3」「Hㄱㄲ4」「Rㅅㅆ5」「Dㅁ6」「Lㄴ7」「Cㄹ8」「Mㅎ9」「Jㅐㅒ0」「Kㅔㅖ」「Q」「_-{」「@!}」「~|^」
둘째 줄은, 「Aㅇ」「Eㅏㅑ」「Iㅓㅕ」「Oㅗㅛ」「Uㅜㅠ」「Yㅡ」「<,」「>.」「"'」「?/*」「:;[」「+=]」
셋째 줄은, 「Fㅋ」「Wㅌ」「Gㅊ」「Pㅍ」「Bㅣ」「V」「X」「Z」「)(」키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키부는 상기 문자키부의 외주 상에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Esc」「Undo」「Tab」「Cap Lock」「Del」「한/영」「9 KEY」「F#」「&」「MENU」「←」키의 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는 기존 키보드의 모든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그 크기를 대폭 소형화하여 PDA 등 키보드가 적용되는 모든 환경에서 사용상의 편의 및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는 인체공학적 구조를 고려하여 자판의 배열을 실용적으로 재배치함으로써 타자 입력으로부터 생기는 손이나 손목 등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컴퓨터용 키보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른손 사용을 위한 한 손 키보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왼손 사용을 위한 한 손 키보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를 오른손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100)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2는 오른손 사용을 위한 것(오른손잡이용)이고, 도 3은 왼손 사용을 위한 것(왼손잡이용)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를 오른손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키보드(100)는 몸체가 되는 메인보드(110)와, 상기 메인보드(110) 상에 배치된 다수의 키들로 구성된 키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보드(110)는 한 손 키보드(1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본 발명의 메인보드(110)는 종래 양손 키보드의 메이보드에 비해 그 크기가 1/2 정도로 축소된 것이다.
상기 키부(120)는 상기 키보드(100)의 중앙에 원형으로 배치된 화살표키부(30), 상기 화살표키부(130)의 좌하단에 배치된 특수키부(140), 상기 화살표키부(130)를 감싸도록 그 상단에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문자키부(150), 및 상기 문자키부(150)의 외주상에 배치된 기능키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화살표키부(130)는 상기 키보드(100)의 대체로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화살표키로 구성된다. 상기 화살표키부(130)는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기존 키보드에서와 같이 'ㅗ' 형상의 배치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공간을 작게 차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특수키부(140)는 상기 화살표키부(130)의 대체로 왼쪽 아래(좌하단) 부분에 위치하며, 「SHIFT」, 「SPACE」, 「Ctrl」, 「Alt」, 「Num Lock」, 「ENTER」 키 등의 특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키들로 구성된다. 상기 특수키는 키보드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키들로서, 「ENTER」키를 제외한 「SHIFT」, 「SPACE」, 「Ctrl」, 「Alt」, 「Num Lock」키는 '엄지'를 주로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스트로크의 조합이 사용중일 때 엄지가 다른 손가락들과 손목의 과도한 움직임 없이 이들 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SHIFT」키는 손목이나 손가락의 비틀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멀리 배치되며, 「SPACE」, 「Ctrl」, 「Alt」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HIFT」,「SPACE」, 「Ctrl」, 「Alt」키는 상기 화살표키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SHIFT」, 「SPACE」, 「Ctrl」, 「Alt」키들의 배열 순서 및 각도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본 예와 다르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키보드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다수의 특수키를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중에서 활동 반경이 가장 넓은 엄지손가락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문자키부(150)는 상기 화살표키부(130)를 감싸도록 그 상단에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36개의 키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문자키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줄로 이루어지며 상단 첫째 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문자키들을 배열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줄은, 「Tㅂㅃ1」「Nㅈㅉ2」「Sㄷㄸ3」「Hㄱㄲ4」「Rㅅㅆ5」「Dㅁ6」「Lㄴ7」「Cㄹ8」「Mㅎ9」「Jㅐㅒ0」「Kㅔㅖ」「Q」「_-{」「@!}」「~|^」키
둘째 줄은, 「Aㅇ」「Eㅏㅑ」「Iㅓㅕ」「Oㅗㅛ」「Uㅜㅠ」「Yㅡ」「<,」「>.」「"'」「?/*」「:;[」「+=]」키
셋째 줄은, 「Fㅋ」「Wㅌ」「Gㅊ」「Pㅍ」「Bㅣ」「V」「X」「Z」「)(」키와 같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문자키부(150)의 배치에 있어서, 영어 알파벳 및 한글에서 자주 사용되는 글자들을 기반으로 데이터 입력이 용이하도록 키를 배치한다. 또한 언어(영어 또는 한글) 사용시 자연 음절(자음에서 모음/모음에서 자음) 변화에 기반한 키 위치 체계에 따라 자음은 가장 바깥쪽과 가장 안쪽 열에 배치하고, 모음은 가운데 열에 배치한다. 가운데 열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글자, 모음, 그리고 기호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운데 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을 본 발명의 한 손 키보드에 올려놓을 때, 손가락이 위치하는 처음 위치로서 검지는 「E」, 중지는 「O」, 약지는 「Y」, 소지는 「>」 위치에 놓고, 엄지는 「SHIFT」 위치에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문자키부(15)의 키 위치는 편안함과 효율성을 위해 구조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글자들, 자음/모음 그리고 모음/자음 사용으로부터 언어변화,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간의 손가락(엄지, 검지, 중지)에 기반하여 배열되었다. 또한, 이들 문자키들의 배열 순서는 본 예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기능키부(160)는 상기 문자키부(150)의 외주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능키부(160)는 지정된 특수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키들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기능키들을 배열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즉, 「Esc」「Undo」「Tab」「Cap Lock」「Del」「한/영」「9 KEY」「F#」「&」「MENU」「←」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들 기능키들은 본 발명의 한 손 키보드에서 가장 외각에 배치되는 키들로서 한 손의 반경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기능키들의 배열 순서는 본 예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는 인체공학적 구조를 고려하여 자판의 배열을 실용적으로 재배치함으로써 타자 입력시 50 내지 80°의 각도로 손이 자연스럽게 안쪽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손이나 손목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물질은 당업자가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키보드 110 : 메인보드
120 : 키부 130 : 화살표키부
140 : 특수키부 150 : 문자키부
160 : 기능키부

Claims (7)

  1.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 상에 한 손의 손가락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키들로 이루어진 반원 형상의 키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부는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화살표키를 구비하는 화살표키부와;
    상기 화살표키부의 좌하단에 배치되며, 적어도「SHIFT」, 「SPACE」, 「Ctrl」, 「Alt」, 「Num Lock」 및 「ENTER」키를 구비하고, 상기 「SHIFT」키는 상기 화살표키부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어, 상기 「SHIFT」, 「SPACE」, 「Ctrl」, 「Alt」키의 순서로 상기 화살표키의 좌, 우 방향 수평축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경사지게 일렬로 배열된 특수키부와;
    상기 화살표키부를 감싸도록 상기 화살표키부의 상단에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문자키부; 및
    상기 문자키부의 외주상에 배치된 기능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표키부는
    상기 4개의 화살표키가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키부는 3줄로 이루어지며 상단 첫째 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첫째 줄은, 「Tㅂㅃ1」「Nㅈㅉ2」「Sㄷㄸ3」「Hㄱㄲ4」「Rㅅㅆ5」「Dㅁ6」「Lㄴ7」「Cㄹ8」「Mㅎ9」「Jㅐㅒ0」「Kㅔㅖ」「Q」「_-{」「@!}」「~|^」
    둘째 줄은, 「Aㅇ」「Eㅏㅑ」「Iㅓㅕ」「Oㅗㅛ」「Uㅜㅠ」「Yㅡ」「<,」「>.」「"'」「?/*」「:;[」「+=]」
    셋째 줄은, 「Fㅋ」「Wㅌ」「Gㅊ」「Pㅍ」「Bㅣ」「V」「X」「Z」「)(」키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부는
    상기 문자키부의 외주 상에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Esc」「Undo」「Tab」「Caps Lock」「Del」「한/영」「9 KEY」「F#」「&」「MENU」「←」키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KR1020100131596A 2010-12-21 2010-12-21 한 손 키보드 KR10124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596A KR101247081B1 (ko) 2010-12-21 2010-12-21 한 손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596A KR101247081B1 (ko) 2010-12-21 2010-12-21 한 손 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162A KR20120070162A (ko) 2012-06-29
KR101247081B1 true KR101247081B1 (ko) 2013-03-26

Family

ID=4668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596A KR101247081B1 (ko) 2010-12-21 2010-12-21 한 손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5344U1 (de) 2016-03-22 2017-06-15 Matthäus Drory Eingabegerät in Form einer Einhandtastatur
AT520820B1 (ko) 2018-04-18 2019-08-15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182A (ko) * 2008-09-29 2010-04-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182A (ko) * 2008-09-29 2010-04-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키보드 및 정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162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7560B1 (en) Rounded keypad
US7081837B2 (en) Compressed standardized keyboard
US7310053B2 (en) Compressed standardized keyboard
US8459885B2 (en) Clock face keyboard
JP4800307B2 (ja) ハンドヘルド・コンピュータ装置のためのキーボード
US9176591B2 (en) Data entry device (DED)
AU2012214119B2 (en) Keypad
JP2003258977A (ja) 携帯電話器
KR101247081B1 (ko) 한 손 키보드
KR20120003327U (ko) 한 손 자판
US10025391B2 (en) Ergonomic keyboard
US10838509B2 (en) Ergonomic keyboard and portable computer
US20060033704A1 (en) Keypa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1628188A1 (en) Keypa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3148134U (ja) キーボード
KR20030035740A (ko) 라운드형 키 배열을 가진 키패드 장치
JP3766695B6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KR20110112007A (ko) 터치 방식의 핸드폰 및 모바일 기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US20030227445A1 (en) Easy keyboard (e-keyboard)
US20150293603A1 (en) Single-handed computer keyboard
CN102681671A (zh) 一种选取汉字和词组布局的键盘
AU2002248337A1 (en) Rounded keypad
KR20030060607A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키패드의 문자 배열 방식
MX2011010240A (es) Teclado en miniatura para uso con una mano.
CN102662481A (zh) 便于选取汉字和词组布局的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