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087A -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087A
KR20100035087A KR1020090047542A KR20090047542A KR20100035087A KR 20100035087 A KR20100035087 A KR 20100035087A KR 1020090047542 A KR1020090047542 A KR 1020090047542A KR 20090047542 A KR20090047542 A KR 20090047542A KR 20100035087 A KR20100035087 A KR 20100035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utting
vinyl fabric
lin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270B1 (ko
Inventor
한종상
Original Assignee
한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상 filed Critical 한종상
Priority to KR102009004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270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부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권취부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비닐원단을 상하부면에서 열 융착하여 실링선을 형성하는 실링수단; 역시 구동부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실링선과 인접한 일측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수단;을 포함한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과 절취수단이 일체로 마련되어, 비닐원단에 대해 실링선과 절취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실링/절취부1; 상기 실링/절취부1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동일한 구성의 실링/절취부2; 상부는 상기 실링수단 중 승강부위의 양측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실링수단 중 고정부위의 양측에 마련되어, 실링수단의 승강에 따라 비닐원단의 양단을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실링/절취부1과 실링/절취부2의 중간 부분에서 승강되게 마련되어, 비닐원단의 경유하는 길이를 조절하는 실링/절취간격조절부; 상기 권취부의 비닐원단 이송길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SEARING AND BROKEN LINE FORMATIVE APPARATUS OF ROLL BAG}
본 발명은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백은 비닐백이 지관에 절취 가능하도록 연속 권취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롤백은 튜브형태로 연속 공급되는 비닐원단을 일정 간격마다 실링하고 실링된 일측 방향에 절취선을 형성한 후, 지관에 권취시켜서 제조한다.
이때, 상기 실링은 비닐백의 일측 단을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고, 절취선은 비닐백을 낱개씩 뜯어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1)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원단(V)을 연속 공급하는 공급부(2)와 공급부(2)로부터 비닐원단을 끌어당겨 이송시키면서 권취하는 이송 권취부(3) 사이에 설치되며, 이와 같이 결합되어, 하나의 롤백제조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1)는 공급부(2) 측에 설치되어, 연속 공급되는 비닐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면에서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실링수단(1a); 상기 실링수단(1a)와는 별도로 권취 이송부(3) 측에 설치되어, 실링된 부위와 인접한 일측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수단(1b);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1)는 실링수단(1a)과 절취수단(1b)이 각각 독립적으로 떨어져 설치되므로, 장치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어, 한정된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링수단(1a)와 절취수단(1b)가 각각 독립적으로 떨어져 설치되므로, 비닐원단의 이송 상태에 따라 또는 연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에 의해 실링신과 절취선 형성 부위의 간격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닐백의 길이(사이즈)에 따라 실링선과 절취선 형성 부위가 달라져야 하므로, 이를 조절하여 세팅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 공정을 정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링수단(1a)의 승강 동작을 위한 승강 구동부와 절취선 형성을 위한 승강 구동부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성요소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동부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권취부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비닐원단을 상하부면에서 열 융착하여 실링선을 형성하는 실링수단; 역시 구동부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실링선과 인접한 일측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수단;을 포함한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과 절취수단이 일체로 마련되어, 비닐원단에 대해 실링선과 절취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실링/절취부1; 상기 실링/절취부1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동일한 구성의 실링/절취부2; 상부는 상기 실링수단 중 승강부위의 양측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실링수단 중 고정부위의 양측에 마련되어, 실링수단의 승강에 따라 비닐원단의 양단을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실링/절취부1과 실링/절취부2의 중간 부분에서 승강되게 마련되어, 비닐원단의 경유하는 길이를 조절하는 실링/절취간격조절부; 상기 권취부의 비닐원단 이송길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링수단와 절취수단가 각각 독립적으로 떨어져 설치되지 않고 인접 설치되므로, 장치를 극히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수단와 절취수단가 각각 독립적으로 떨어져 설치되지 않고 인접 설치되므로, 비닐백의 길이에 따라 실링수단위와 절취선 형성 부위가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세팅 작업 없이도 실링수단위와 절취선 형성 부위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수단의 승강 동작에 의해 절취선이 자연적으로 형성되 므로, 실링을 위한 승강 구동부와 절취선 형성을 위한 승강 구동부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요소를 감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실링/절취부를 마련하되, 각 실링/절취부 간에 위치하는 비닐원단의 길이를 조절하여 실링 및 절취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한 사이클의 승강동작에서 복수의 실링 및 절취선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실링/절취부 자체의 위치 이동 없이도 실링 및 절취선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에 따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술의 이해를 돕도록 제시하는 첨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중 실링수단과 절취수단 및 파지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중 간격조절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실링선 및 절취선 형성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원단의 길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링선 및 절취선 형성 상태를 도시한 비닐원단 평면도이며, 이중 도면 부호 10은 본 발명인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20)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비닐원단(V)을 구동부(12)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실링수단(11); 역시 구동부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실링선과 인접한 일측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수단(13);를 포함한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11)과 절취수단(13)이 일체로 마련되어, 비닐원단(V)에 대해 실링선과 절취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실링/절취부1(10a); 상기 실링/절취부1(10a)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동일한 구성의 실링/절취부2(10b); 상부는 상기 실링수단(11) 중 승강부위의 양측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실링수단(11) 중 고정부위의 양측에 마련되어, 실링수단(11)의 승강에 따라 비닐원단(V)의 양단을 파지하는 파지부(14);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의 중간 부분에서 승강되게 마련되어, 비닐원단(V)의 경유하는 길이를 조절하는 실링/절취간격조절부(15); 상기 권취부(20)의 비닐원단 이송길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실링수단(11)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2)에 의해 승강하면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발열하는 히터가 내장된 히터블럭(11a); 상기 히터블럭(11a)의 압착면을 제공하는 압착블럭(1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블럭(11a)의 압착블럭(11b)과 마주하는 면에는 비닐원단(V)에 실링선를 형성하는 실링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히터블럭(11a)과 압착블럭(11b) 사이로 공급 이송되는 두 겹으로 된 튜브 형태의 비닐원단(V)을 승강 동작을 통해 압착/해제하면서 열을 가해 융착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 동작하는 부분은 히터블럭(11a)일 수 도 있고, 압착블럭(11b)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히터블럭(11a)이 실링수단(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압착블럭(11b)이 실링수단(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도 있고, 상기 히터블럭(11a)이 실링수단(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압착블럭(11b)이 실링수단(11)의 상부에 위치할 수 도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즉, 강한 압박을 요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중량이 무거운 히터블럭(11a)을 상부에서 하부로 승강시키고, 구동부(12)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중량에 가벼운 압착블럭(11b)을 상부에서 하부로 승강시키는 것을 선택적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히터블럭(11a)을 상부에서 하부로 승강시키는 구조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중 구동부(12)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편심회전하면서, 회전 운동을 수직 방향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발생수단(12a); 상기 동력발생수단(12a)과 링크 연결되어, 지지브래킷(12b)의 지지를 받으며 승강하는 작동간(12c); 상기 작동간(12c)의 일측 단에 고정되어, 상기 실링수단(11)을 탄발 고정한 상태로 승강시키는 고정프레임(12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발생수단(12a)은 회전축에 편심 설치된 베어링 상부에 작동간(12c)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샤프트가 일체로 이루어진 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래킷(12b)은 장치 본체의 양측에 고정되고, 수직으로 관통된 블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간(12c)은 동력발생수단(12a)의 상기 샤프트와 링크 연결된 승강봉(피스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2d)은 공급 이송되는 비닐원단(V)의 상방을 가로지르는 사각 파이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수단(11)의 승강부위를 고정프레임(12d)에 탄발 고정시키는 구조는 실링수단(11) 중 히터블럭(11a) 상부면에 일체로 수직 돌출된 핀이 고정프레임(12d)을 수직 관통하되, 그 선단부에 고정프레임(12d)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수단(11)의 히터블럭(11a) 상부면과 고정프레임(12d)의 하부면 사이에 탄발 스프링이 마련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실링수단(11)의 승강부위를 고정프레임(12d)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링을 위한 승강 압착 과정에서 완충동작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모터에 의해 동력발생수단(12a)이 편심회전하면, 동력발생수단(12a) 상부에 링크 연결된 작동간(12c)이 지지브래킷(12b)의 지지를 받으면 승강하게 되고, 상기 작동간(12c)의 일측 단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2d) 하부면에 고정된 실링수단(11)의 히터블럭(11a)이 하방에 위치한 압착블럭(11b)에 대해 승강하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절취수단(13)은 공급 이송되는 비닐원단(V)의 하 방 공간에 고정되는 톱니 형태의 칼날(13a); 공급 이송되는 비닐원단(V)을 사이에 두고 상기 칼날(13a)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파지부(14)의 일측 하부면에 마련되는 압착패드(1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압착패드(13b)는 칼날(13a) 부분으로 승강하되, 톱니가 형성된 부분의 절반 부분까지만 승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압착패드(13b)가 칼날(13a)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비닐원단(V)을 눌러 절취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칼날(13a)의 톱니 절반 부분만이 압착패드(13b)를 뚫고 들어오게 되므로, 절취선이 형성되는데, 만약 칼날(13a)의 톱니 부분 전체가 압착패드(13b)를 뚫고 들어오면 비닐원단은 절단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파지부(14)는 상기 실링수단(11)의 하부 및 절취수단(13)의 양측에 마련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파지구1,2(14a)(14b); 상기 실링수단(11)의 히터블럭(11a) 일측 방향에 마련되어, 상기 파지구1(14a)에 대응하여 스프링에 의해 탄발하면서 승강 압착하는 파지구3(14c); 상기 실링수단(11)의 히터블럭(11a)의 일측에 마련되는 파지구3(14c)의 타측 방향에 마련되어, 상기 파지구2(14b)에 대응하여 승강 압착하되, 하단부에 상기 절취수단(13)에 포함되는 칼날(13a)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압착패드(13b)가 마련된 파지구4(14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구1,2(14a)(14b)는 비닐원단(V)을 가로지르면서 비닐원단(V)의 하부면과 면 밀착하는 사각막대와, 상기 사각막대를 상방으로 탄발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장치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구3(14c)은 비닐원단(V)을 가로지르면서 비닐원단(V)의 상부면과 면 밀착하는 사각막대와, 상기 사각막대를 상방으로 탄발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가막대는 스프링을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고정프레임(12d)의 일측면에 볼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구4(14d)는 비닐원단(V)을 가로지르면서 비닐원단(V)의 상부면과 면 밀착하는 압착패드(13b)가 고정되는 사각막대와, 상기 사각막대를 상방으로 탄발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각막대는 스프링을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2d)과 지지브래킷(12b) 사이의 작동간(12c)에 고정되는 탄발블럭(12e)의 일측 면에 고정되어 고정프레임(12d)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2f) 직하방에 볼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발블럭(12e)은 고정프레임(12d)과의 사이에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어 히터블럭(11a)과 압착블럭(11b)과의 완충은 물론, 파지구4(14d)와 파지구2(14b)와의 완충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파지구4(14d)가 하강하여 파지구2(14b)에 대응하여 압착되는 과정에서 역시 하강하는 히터블럭(11a)과 압착블럭(11b)의 압착력과의 오차를 보정해 준다.
즉, 파지구4(14d)가 히터블럭(11a) 보다 더 하강하도록 높이가 조절될 경우에는 히터블럭(11a)이 압착블럭(11b)에 충분히 압착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반대로 히터블럭(11a)이 파지구4(14d) 보다 더 하강하도록 높이가 조절될 경우에는 파지구4(14d)의 압착패드가 파지구2(14b)에 충분히 압착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높이 오차에 의한 불완전 압착 상태를 보상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파지구1(14a)과 파지구3(14c)은 비닐원단(V)이 공급되는 방향 측에 위치하며, 상기 파지구2(14b)와 파지구4(14d)는 비닐원단(V)이 권취되는 방향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칼날(13a)은 상기 파지구1,2(14a)(14b)의 최상부면 보다 낮게 위치하며, 파지구4(14d)의 하강 압착에 의해 파지구2(14b)와의 사이에 위치한 비닐원단(V)이 하방으로 밀리면서 칼날(13a)의 톱니쪽으로 유도되어 찍히면서 절취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칼날(13a)이 파지구1,2(14a)(14b)의 최상부면 보다 낮게 위치하여야만, 이송되는 비닐원단(V)을 간섭하지 않을 뿐 아니라, 비닐원단(V)을 찍어서 절취선을 형성한 뒤, 칼날(13a)에 찍혀진 비닐원단(V)을 파지구1(14a)과 파지구4(14d)가 밀어서 칼날(13a)로부터 탈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실링/절취간격조절부(15)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원단(V)을 상방으로 유도하되, 그 높이를 조절하여 비닐원단(V)의 경유 길이를 가변시키는 승강기(15a); 상기 승강기(15a)의 승강 높이에 대해 비닐원단(V)의 실링선 및 절취선들의 간격(실링선 및 절취선과 다음 실링선 및 절취선과의 간격)을 길이 단위로 표시하는 간격표시구(15h);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기(15a)는 수직의 가이드봉(15b); 상기 가이드봉(15b)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련되는 리드스크루(15c); 상기 가이드봉(15b)의 지지를 받으며, 리드스크루(15c)와 치합되어 핸들 조작에 의해 리드스크루(15c)를 따라 승강하 는 승강체(15d); 상기 승강체(15d)에 축설되어 비닐원단(V)의 위치를 승강시키는 유도롤러(15e); 상기 실링/절취부1(10a)을 거쳐 인출되는 비닐원단(V)을 상기 유도롤러(15e)로 유도하는 롤러1(15f') 및 상기 유도롤러(15e)를 경유한 비닐원단(V)을 상기 실링/절취부2(10b)로 유도하는 롤러2(15f"); 상기 간격표시구(15h)에 승강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구(15g);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15a)는 비닐원단(V)을 횡단하는 방향에 한 쌍이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표시구(15h)는 승강기(15a)가 승강하는 일측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표시구(15h)는 통상적인 자의 치수의 1/2(예 : 10mm는 5mm)인 자일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 즉, 눈금의 시작점의 위치는 상기 실링/절취부1(10a)에서 롤러1(15f')까지의 길이와 상기 롤러1(15f')의 원주율 1/4에 해당하는 길이와 유도롤러(15e)의 원주율 1/2에 해당하는 길이와 상기 롤러2(15f")의 원주율 1/4에 해당하는 길이와 상기 롤러2(15f")에서 상기 실링/절취부2(10b)까지의 길이를 합한 길이를 감안하여 비닐원단(V)의 수평 진행 위치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서 될 수 있다.
그리하는 이유는 상기 각 길이의 합한 값 역시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원단(V)의 길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각 길이의 합한 값과 롤러1(15f')에서 유도롤러(1e)에 이르는 길이와 유도롤러(15e)에서 롤러2(15f")에 이르는 길이의 합이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원단(V)의 전체 길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도롤러(15e)를 기준으로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간격표시구(15h)의 눈금은 통상적인 자의 눈금에 대해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6)는 실링/절취부1(10a)에서 실링/절취부2(10b)에 이르는 비닐원단(V)의 길이의 2/3 만큼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권취부(2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면, 비닐원단(V)에 일정 간격으로 실링과 절취선을 형성하면서 롤 비닐백으로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300mm 간격의 롤 비닐백을 연속으로 가공하고자 한다면,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원단(V)의 길이는 900mm로 세팅되고, 상기 제어부(16)에 의해 제어되는 권취부(20)는 비닐원단(V)을 600mm씩 이송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원단(V)의 길이를 900mm로 하고 상기 제어부(16)에 의해 제어되는 권취부(20)는 비닐원단(V)을 600mm씩 이송시키는 이유는 실링/절취부2(10b)가 실링/절취부1(10a)에서 찍은 실링선과 절취선을 다시 찍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공급부에 권취된 비닐원단(V)이 권취부(20)에 의해 권취되면서 끌어당겨져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간격조절부(15) 및 실링/절취부 2(10b)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연속 이송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비닐원단(V)은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가 연동하면서 실링선 및 절취선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의 승강 동작은 첨부 도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동력발생수단(12a)인 캠이 편심회전하게 되면, 동력발생수단(12a)의 상방에 링크 연결된 작동간(12c)이 지지브래킷(12b)의 지지를 받으며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간(12c)이 하강하면, 작동간 상단 부분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2d)이 하강하게 되고, 결국 고정프레임(12d) 하방에 고정된 실링수단(11)의 히터블럭(11a)이 하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살링수단(11)을 구성하는 히터블럭(11a) 양측에 고정된 파지구3(14c)과 파지구4(14d)가 따라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파지구3(14c)과 파지구4(14d)는 비닐원단(V)의 양 단 즉, 공급부 측과 권취이송부 측을 하방으로 밀면서 파지구1(14a)과 파지구2(14b)에 압착시킨다.
즉, 실링선 및 절취선 형성이 이루어지는 동안 실링수단(11)과 절취수단(13)의 외측 방향의 비닐원단(V) 양쪽을 파지함으로써, 비닐원단(V)의 늘어짐이 없도록 팽팽하게 파지하며, 비닐원단(V)을 절취수단(13)의 칼날(13a) 측으로 밀면서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히터블럭(11a)은 압착블럭(11b)에 비닐원단(V)을 누르면서 열 융착시켜 실링을 하게 되며, 압착패드(13b)가 비닐원단(V)을 칼날(13a) 방향으로 눌리면서 찍히도록 하여 절취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는 비닐원단(V)에 일정간격으로 실링선 및 절취선을 형성하면서도 그 일정간격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절취간격조절부(15)가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되어 있다.
이는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하면서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의 비닐원단(V)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롤 비닐백의 장당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실링/절취간격조절부(15)의 승강기(15a) 중 유도롤러(15e) 부분이 상승하면,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 비닐원단(V)의 길이가 길어져 롤 비닐백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롤러(15e) 부분이 하강하면,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 비닐원단(V)의 길이가 짧아져 롤 비닐백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 비닐원단(V)의 길이를 판단하는 기준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절취부1(10a)의 절취수단(13)이 위치하는 "A"포인트와 유도롤러(15e)의 최고점인 "B"포인트 및 실링/절취부2(10b)의 절취수단(13)이 위치하는 "C"포인트의 길이를 모두 합한 값이다.
이때, "A"포인트에서 "B"포인트의 길이와 "B"포인트에서 "C"포인트의 길이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간격표시구(15h)의 눈금은 통상적인 자의 눈금과 비교할 때 1/2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간격표시구(15h)의 설치 위치 즉, 눈금의 시작점 위치는 상기 실링/절취부1(10a)에서 롤러1(15f')까지의 길이와 상기 롤러1(15f')의 원주율 1/4에 해당하는 길이와 유도롤러(15e)의 원주율 1/2에 해당하는 길이와 상기 롤러2(15f")의 원주율 1/4에 해당하는 길이와 상기 롤러2(15f")에서 상기 실링/절취부2(10b)까지의 길이를 합한 길이를 감안하여 비닐원단(V)의 수평 진행 위치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서 될 수 있다.
그리하는 이유는 상기 각 길이의 합한 값 역시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원단(V)의 길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길이는 불변상태이고, 상기 유도롤러(15e)의 승강에 의한 길이만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상기 가변되는 길이만을 눈금으로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실링/절취부1(10a)에서 롤러1(15f')까지의 길이와 상기 롤러1(15f')의 원주율 1/4에 해당하는 길이와 유도롤러(15e)의 원주율 1/2에 해당하는 길이와 상기 롤러2(15f")의 원주율 1/4에 해당하는 길이와 상기 롤러2(15f")에서 상기 실링/절취부2(10b)까지의 길이의 합에 해당하는 눈금을 0으로 가정하여 기준점을 잡고, 상기 유도롤러(15e)가 승강하면서 가변되는 길이만을 눈금으로 확인하면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의 비닐원단(V)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 비닐원단(V) 의 길이는 승강체(15d)에 마련된 표시구(15g)가 가리키는 간격표시구(15h)의 눈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 비닐원단(V)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제어부(16)를 통해 권취부(20)의 피딩값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피딩값의 설정은 실링/절취부1(10a)에서 실링/절취부2(10b)에 이르는 비닐원단(V)의 길이의 2/3 만큼을 이송시키도록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원단(V)의 길이가 900mm로 세팅되어 있고, 원하는 롤 비닐백의 장당 길이는 300mm 라고 가정한다면, 상기 권취부(20)는 비닐원단(V)을 600mm씩 이송시키도록 제어부(16)가 설정하고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원단(V)의 길이를 900mm로 하고 상기 제어부(16)에 의해 제어되는 권취부(20)는 비닐원단(V)을 600mm씩 이송시키는 이유는 실링/절취부2(10b)가 실링/절취부1(10a)에서 찍은 실링선과 절취선을 다시 찍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절취부1(10a)이 비닐원단(V)의 좌측 부분에 실링선과 절취선을 형성하고, 이와 900mm 떨러진 우측 부분에 실링/절취부2(10b)가 실링선과 절취선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의 제어 신호에 의해 권취부(20)가 비닐원단(V)을 권취시키면서 600mm를 이송시키고 나면,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가 각각 해당 위치에 실링선과 절취선을 형 성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의 제어 신호에 의해 권취부(20)가 비닐원단(V)을 권취시키면서 600mm를 이송시키고 나면,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가 각각 해당 위치에 실링선과 절취선을 형성한다.
그리되면,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가 동일 위치에 실링선 및 절취선을 형성시키지 않고, 300mm 간격으로 실링선 및 절취선을 형성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롤백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롤백은 권취부(20)에 의해 회전하는 지관에 권취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중 실링수단과 절취수단 및 파지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간격조절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실링선 및 절취선 형성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원단의 길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링선 및 절취선 형성 상태를 도시한 비닐원단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10a : 실링/절취부1
10b :실링/절취부2 11 : 실링수단
11a : 히터블럭 11b : 압착블럭
12 : 구동부 12a : 동력발생수단
12b : 지지브래킷 12c : 작동간
12d : 고정프레임 12e : 탄발블럭
12f : 지지프레임 13 : 절취수단
13a : 칼날 13b : 압착패드
14 : 파지부 14a ~ 14d : 파지구1 ~ 4
15 : 실링/절취간격조절부 15a : 승강기
15b : 가이드봉 15c : 리드스크루
15d : 승강체 15e : 유도롤러
15f',15f" : 롤러1,2 15g : 표시구
15h : 간격표시구 16 : 제어부
V : 비닐원단

Claims (9)

  1. 권취부(20)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비닐원단(V)을 구동부(12)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실링수단(11); 역시 구동부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실링선과 인접한 일측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취수단(13);를 포함한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11)과 절취수단(13)이 일체로 마련되어, 비닐원단(V)에 대해 실링선과 절취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실링/절취부1(10a); 상기 실링/절취부1(10a)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동일한 구성의 실링/절취부2(10b); 상부는 상기 실링수단(11) 중 승강부위의 양측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실링수단(11) 중 고정부위의 양측에 마련되어, 실링수단(11)의 승강에 따라 비닐원단(V)의 양단을 파지하는 파지부(14); 상기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의 중간 부분에서 승강되게 마련되어, 비닐원단(V)의 경유하는 길이를 조절하는 실링/절취간격조절부(15); 상기 권취부(20)의 비닐원단 이송길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11)은 구동부(12)에 의해 승강하면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발열하는 히터가 내장된 히터블럭(11a); 상기 히터블럭(11a)의 압착면을 제공하는 압착블럭(11b);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는 모터에 의해 편심회전하면서, 회전 운동을 수직 방향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발생수단(12a); 상기 동력발생수단(12a)과 링크 연결되어, 지지브래킷(12b)의 지지를 받으며 승강하는 작동간(12c); 상기 작동간(12c)의 일측 단에 고정되어, 상기 실링수단(11)을 탄발 고정한 상태로 승강시키는 고정프레임(12d);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수단(13)은 공급 이송되는 비닐원단(V)의 하방 공간에 고정되는 톱니 형태의 칼날(13a); 공급 이송되는 비닐원단(V)을 사이에 두고 상기 칼날(13a)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파지부(14)의 일측 하부면에 마련되는 압착패드(13b);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4)는 상기 실링수단(11)의 하부 및 절취수단(13)의 양측에 마련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파지구1,2(14a)(14b); 상기 실 링수단(11)의 승강부분인 히터블럭(11a) 일측 방향에 마련되어, 상기 파지구1(14a)에 대응하여 스프링에 의해 탄발하면서 승강 압착하는 파지구3(14c); 상기 실링수단(11)의 히터블럭(11a)의 일측에 마련되는 파지구3(14c)의 타측 방향에 마련되어, 상기 파지구2(14b)에 대응하여 승강 압착하되, 하단부에 상기 절취수단(13)에 포함되는 칼날(13a)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압착패드(13b)가 마련된 파지구4(14d);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절취간격조절부(15)는 실링/절취부1(10a)과 실링/절취부2(10b)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원단(V)을 상방으로 유도하되, 그 높이를 조절하여 비닐원단(V)의 경유 길이를 가변시키는 승강기(15a); 상기 승강기(15a)의 승강 높이에 대해 비닐원단(V)의 실링선 및 절취선들의 간격을 길이 단위로 표시하는 간격표시구(15h);를 포함하여 구성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15a)는 수직의 가이드봉(15b); 상기 가이드봉(15b)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련되는 리드스크루(15c); 상기 가이드봉(15b)의 지지를 받으며, 리드스크루(15c)와 치합되어 핸들 조작에 의해 리드스크루(15c)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체(15d); 상기 승강체(15d)에 축설되어 비닐원단(V)의 위치를 승강시키는 유도롤러(15e); 상기 실링/절취부1(10a)을 거쳐 인출되는 비닐원단(V)을 상기 유도롤러(15e)로 유도하는 롤러1(15f') 및 상기 유도롤러(15e)를 경유한 비닐원단(V)을 상기 실링/절취부2(10b)로 유도하는 롤러2(15f"); 상기 간격표시구(15h)에 승강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구(15g);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표시구(15h)는 승강기(15a)가 승강하는 일측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는 실링/절취부1(10a)에서 실링/절취부2(10b)에 이르는 비닐원단(V)의 길이의 2/3 만큼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권취부(2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KR1020090047542A 2009-05-29 2009-05-29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KR10116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542A KR101165270B1 (ko) 2009-05-29 2009-05-29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542A KR101165270B1 (ko) 2009-05-29 2009-05-29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087A true KR20100035087A (ko) 2010-04-02
KR101165270B1 KR101165270B1 (ko) 2012-07-19

Family

ID=4221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542A KR101165270B1 (ko) 2009-05-29 2009-05-29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2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10A1 (ko) * 2015-11-02 2017-05-11 (주)일성산업 비닐 롤백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그로부터 제조된 비닐 롤백
KR102110282B1 (ko) * 2019-12-09 2020-05-13 (주)한길패키지 포장대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대 제조장치
KR102254415B1 (ko) * 2020-12-11 2021-05-21 양대용 팰릿 적재물 포장지 제조 장치
KR20230020208A (ko) * 2021-08-03 2023-02-10 영 학 김 회전식 비닐 가공기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비닐 가공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152B1 (ko) * 2017-04-11 2017-11-02 안영섭 절취선 중앙에 절단부가 형성된 비닐봉지 제작장치
KR20190062746A (ko) 2017-11-29 2019-06-07 이상일 롤백 제조장치
KR101893322B1 (ko) 2018-02-26 2018-08-29 이상일 롤백 제조 및 띠지 바인딩 장치
KR102073755B1 (ko) 2018-08-10 2020-02-05 조경연 비닐 롤백 제조장치
KR102202184B1 (ko) 2020-03-16 2021-01-12 조경연 비닐 롤백 제조 장치
KR102581527B1 (ko) 2021-09-16 2023-09-22 조경연 비닐 롤백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298Y2 (ko) 1976-07-02 1980-02-07
KR200367824Y1 (ko) 2004-08-23 2004-11-17 이경원 롤백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10A1 (ko) * 2015-11-02 2017-05-11 (주)일성산업 비닐 롤백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그로부터 제조된 비닐 롤백
KR102110282B1 (ko) * 2019-12-09 2020-05-13 (주)한길패키지 포장대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대 제조장치
KR102254415B1 (ko) * 2020-12-11 2021-05-21 양대용 팰릿 적재물 포장지 제조 장치
KR20230020208A (ko) * 2021-08-03 2023-02-10 영 학 김 회전식 비닐 가공기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비닐 가공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270B1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270B1 (ko)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CN103612863B (zh) 一种编织袋包裹折边机构
KR101793152B1 (ko) 절취선 중앙에 절단부가 형성된 비닐봉지 제작장치
KR101475703B1 (ko) 익스펜더 튜브 자동 절단 가공 머신
CN106240902A (zh) 一种基于封切包装机的薄膜封切包装方法
KR20100090517A (ko) 굴곡 가능한 레벨러를 구비한 샤링 시스템
JP6976024B1 (ja) 包装装置
CN104773575A (zh) 一种布料输送机
CN103710898B (zh) 一种鞋舌加工设备
CN203683879U (zh) 一种鞋舌加工设备
KR101834149B1 (ko) 비닐백 손잡이 펀칭기
CN206334966U (zh) 一种轧制生产线的纠偏系统
CN105177866A (zh) 全自动收卷式多功能切被机
KR102460439B1 (ko) 타발 장비
JP5422850B2 (ja) アキューム装置
KR102313782B1 (ko) 롤백 제조장치
KR101072508B1 (ko) 롤백 실링 및 절취선 형성 장치
JP2010202286A (ja) 包装装置のフィルム搬送機構
KR101660164B1 (ko) 포장지 제조장치
KR102314715B1 (ko) 인쇄물의 스택 번들링 장치 및 방법
KR101743873B1 (ko) 사이드실링백 사이드실링장치
KR20070084895A (ko) 비닐백 제조장치
KR101574786B1 (ko) 티백 태그부착장치
JP2007161409A (ja) アキューム装置
CN206358458U (zh) 酥皮油自动包装设备供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