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887A -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887A
KR20100034887A KR1020080094101A KR20080094101A KR20100034887A KR 20100034887 A KR20100034887 A KR 20100034887A KR 1020080094101 A KR1020080094101 A KR 1020080094101A KR 20080094101 A KR20080094101 A KR 20080094101A KR 20100034887 A KR20100034887 A KR 2010003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coal
collection box
coal
discharged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왕재
임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9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4887A/ko
Publication of KR2010003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각 탄종별 저장호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불출된 탄종별 실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호퍼로부터 원료탄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연장되는 주행레일과, 이 주행레일을 따라 각 호퍼의 이송컨베이어로 이동되는 대차, 상기 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대차 상에 설치되고 불출된 원료탄을 담기 위한 수집박스, 상기 대차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박스를 필요시 이송컨베이어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주행레일, 대차, 수직축, 수평바, 수집박스, 와이어

Description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AMOUNT OF FEEDING COAL}
본 발명은 원료탄을 정량 불출하기 위한 정량불출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정량불출기로부터 불출된 원료탄의 실량을 보다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실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원산지에서 생산되는 각종 광석은 원료 처리 설비에 의해 탄종별로 야드에 적치된다. 그리고 각 원료탄은 배합 계획에 의거 리크레이머로 불출된 후 파쇄기에서 탄종별로 파쇄된다. 파쇄된 원료탄은 블랜딩빈의 호퍼에 탄종별로 저장된다. 블랜딩비니에 저장된 원료탄은 일정 배합비에 의거하여 적량불출기(CWF)를 통해 불출된다.
상기 적량불출기는 원료탄을 배합비에 의해 자동으로 불출하는 설비이다. 상기 정량불출기는 배합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정량 불출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에 각 탄종별 불출량을 실량으로 체크하여 오차 정량 불출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정량불출기의 불출량 실량 체크는 각 탄종별 저장호퍼로부터 정량불출기에 의해 불출된 탄종을 정량불출 컨베이어 상의 측정구간에서 수거하여 수거박스에 넣고 계량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측정 시간의 과다, 다수의 인력 투입에 따른 인력손실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각 탄종별 저장호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불출된 탄종별 실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된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불출된 실량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정량불출기의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호퍼로부터 원료탄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연장되는 주행레일과, 이 주행레일을 따라 각 호퍼의 이송컨베이어로 이동되는 대차, 상기 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대차 상에 설치되고 불출된 원료탄을 담기 위한 수집박스, 상기 대차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박스를 필요시 이송컨베이어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는 상기 원료탄이 담겨진 수집박스의 무게를 측량하기 위한 측량저울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수집박스를 필요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보다 간편하게 불출된 원료탄의 실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행레일의 양 선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상기 각 롤러에 걸쳐져 상기 대차의 양단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면 구동롤러가 회전되어 구동롤러에 걸쳐져 대 차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게 되어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는 대차 상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축, 이 수직축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바, 이 수평바의 일측 선단에서 아래로 내려뜨려지고 선단에는 수집박스를 걸기 위한 고리가 설치된 로프, 수직축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기 위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수집박스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하여 수평바의 타측 선단에 무게추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집박스는 사각의 함체로 하단에는 하단을 개폐하는 도어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실량 측정을 위한 불출탄 수집박스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불출된 원료탄을 보다 간편하게 수거하여 실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불출된 원료탄의 실량을 보다 용이하게 측정하게 되어, 작업 부하를 감소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정으로 인해 장입탄의 품질 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 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불출량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설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저장호퍼(10)에 일시 저장된 탄종별 원료탄은 정량불출기의 이송컨베이어(11)를 통해 불출 이송된다. 상기 각 저장호퍼(1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장치(20)는 상기 각 저장호퍼(10)의 이송컨베이어(11)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각 이송호퍼(10)를 따라 연장되는 주행레일(21)과, 이 주행레일(21)을 따라서 이동되어 각 저장호퍼(10)로부터 불출되는 원료탄의 실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레일과 측정부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측정부는 상기 주행레일(21) 상에 놓여져 주행레일(21)을 따라 각 호퍼(10)의 이송컨베이어(11)로 이동되는 대차(22), 상기 대차(2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대차(22) 상에 설치되고 불출된 원료탄을 담기 위한 수집박스(24), 상기 대차(2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박스(24)를 필요시 이송컨베이어(11)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 상기 대차(2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탄이 담겨진 수집박스(24)의 무게를 측량하기 위한 측량저울(26)을 포함한다.
이에 주행레일(21)을 따라 따라 대차(22)를 이동시킴으로써, 수집박스(24)를 각 저장호퍼(10)의 이송컨베이어(11)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보다 간편하게 불출된 원료탄의 실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차(22)는 측면에 주행롤(23)이 설치되어 주행레일(21)에 놓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주행레일(21)의 상부에는 상기 주행롤(23)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덮판(25)이 더욱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행레일(21)의 양 선단부에 위치하는 구동롤러(30)와 피동롤러(32), 상기 구동롤러(30)와 피동롤러(32)에 걸쳐지고 양 선단은 상기 대차(22)의 앞쪽과 뒤쪽에 연결되는 와이어(34), 상기 구동롤러(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롤러(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6)와 감속기를 포함한다.
도 1은 상기 주행레일(21)과 이 주행레일(21)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구동롤 러(30)와 피동롤러(32)의 설치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구동모터(36)가 구동되면 구동롤러(30)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동롤러(30)와 피동롤러(32)에 걸쳐져 있는 와이어(34)가 일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와이어(34)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대차(22)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부는 필요시 수집박스(24)를 대차(22)로부터 이송컨베이어(11)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는 대차(22) 상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40)과, 이 수직프레임(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축(42), 이 수직축(42)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바(44), 이 수평바(44)의 일측 선단에서 아래로 내려뜨려지고 선단에는 수집박스(24)를 걸기 위한 고리(48)가 설치된 로프(46), 수직축(42)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46)를 감거나 풀기 위한 휠(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수집박스(24)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하여 수평바(44)의 타측 선단에 무게추(60)가 더욱 설치된다. 수평바(44)의 타측 선단에는 웨이트박스(62)가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60)는 상기 웨이트박스 내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수직프레임(40)과 수직축(42)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41)이 설치된다. 이에 수직프레임(40)에 대해 수직축(42)이 원활하게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 로프(46)를 매개로 수평바(44)에 설치되는 수집박스(24)를 대차(22) 상에서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바(44)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도르레(54)가 설치된다. 상기 도르레의 개수나 배치구조는 변경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로프(46)는 상기 도르레(54)에 걸쳐져 일단은 수평바(44) 선단으로부터 아래로 내려뜨려지고, 타단은 수직축(42)에 설치된 휠(50)에 감겨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휠(50)은 회전축에 휠(50)을 돌리기 위한 손잡이(42)가 설치된다. 이에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52)를 돌려 휠(50)을 일방향으로 돌려 휠(50)에 로프(46)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로프(46)에 설치되는 수집박스(24)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집박스(24)는 사각의 함체 구조물로,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박스(24)의 하부에는 도어(27)가 슬리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를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수집박스(24) 네 모서리로는 끈(29)이 연결설치되어 상기 로프(46)에 설치된 고리(48)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저울(26)은 수평바(44) 선단에 설치된다. 이에 현장에서 바로 수집박스(24)에 담긴 원료탄의 실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수평바(44) 선단에 설치되는 브라켓(64)은 측정저울(26)을 걸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20)는 불출된 원료탄의 실량 측정 작업 개시 전에는 대기 구간에서 대기하게 된다.
실량 측정 작업이 개시되어 구동모터(36)가 작동되면, 구동모터(36)는 감속 기를 통해 구동롤러(30)을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롤러(30)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롤러(30)에 걸쳐져 있는 와이어(34)가 구동롤러(3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34)의 선단에는 대차(22)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이 와이어(34)가 당겨짐에 따라 대차(22)는 주행레일(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레일(21)은 각 저장호퍼(10)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대차(22)는 주행레일(21)을 따라 각 저장호퍼(10) 별로 주행하면서 불출된 각 원료탄의 실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대차(22)가 주행레일(21)을 따라 측정대상 저장호퍼(10)의 이송 컨베이어(11) 상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모터(36)는 정지되어 대차(22)를 멈추게 된다.
대차(22)가 정지되면 작업자는 대차(22) 상에 위치하고 있는 수집박스(24)를 이송컨베이어(11) 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수집박스(24)의 이동은 수직축(42)의 회동과 휠(50)을 회전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42)을 회동시키게 되면 수직축(42)에 설치된 수평바(44)의 선단이 이송컨베이어(11) 상을 향하게 된다. 이에 수평바(44)에 로프(46)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수집박스(24)가 이송컨베이어(11)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휠(50)에 설치된 손잡이(52)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휠(50)에 감겨져 있는 로프(46)가 풀리게 된다.
따라서 로프(46) 선단에 고리(48)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수집박스(24)가 이송컨베이어(11) 위에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수집박스(24)가 이송컨베이어(11) 상에 놓여지면 수집박스(24) 하부에 도어(27)를 슬라이딩하여 닫아줌으로써 수집박스(24) 안내 놓여져 있던 원료탄이 수집박스(24) 내에 포집되도록 한다.
원료탄의 수집이 완료되면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수집박스(24)를 대차(22) 상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본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측정저울(26)을 이용하여 수집박스(24)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포집된 원료탄의 실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 작업이 완료되면 구동모터(36)를 구동하여 다른 저장호퍼(10)의 이송컨베이어(11)로 대차(22)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출량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출량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출량 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출량 측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주행레일 22 : 대차
24 : 수집박스 26 : 측정저울
27 : 도어 30 : 구동롤러
32 : 피동롤러 34 : 와이어
36 : 구동모터 40 : 수직프레임
42 : 수직축 44 : 수평바
46 : 로프 50 : 휠
54 : 도르레 60 : 무게추

Claims (6)

  1. 저장호퍼로부터 원료탄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연장되는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각 호퍼의 이송컨베이어로 이동되는 대차,
    상기 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대차 상에 설치되고 불출된 원료탄을 담기 위한 수집박스,
    상기 대차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박스를 필요시 이송컨베이어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
    를 포함하는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상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탄이 담겨진 수집박스의 무게를 측량하기 위한 측량저울을 더욱 포함하는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행레일의 양 선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상기 각 롤러에 걸쳐져 상기 대차의 양단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대차 상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축, 이 수직축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바, 이 수평바의 일측 선단에서 아래로 내려뜨려지고 선단에는 수집박스를 걸기 위한 고리가 설치된 로프, 수직축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기 위한 휠을 포함하는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박스는 하단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하단에는 하단을 개폐하는 도어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수집박스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하여 수평바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더욱 포함하는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KR1020080094101A 2008-09-25 2008-09-25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KR20100034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101A KR20100034887A (ko) 2008-09-25 2008-09-25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101A KR20100034887A (ko) 2008-09-25 2008-09-25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887A true KR20100034887A (ko) 2010-04-02

Family

ID=4221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101A KR20100034887A (ko) 2008-09-25 2008-09-25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48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885B1 (ko) * 2011-09-16 2013-03-04 (주)쓰리피아이 저울을 포함하는 오토 믹서
KR101449205B1 (ko) * 2012-12-27 2014-10-10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 트리퍼카 이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885B1 (ko) * 2011-09-16 2013-03-04 (주)쓰리피아이 저울을 포함하는 오토 믹서
KR101449205B1 (ko) * 2012-12-27 2014-10-10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 트리퍼카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023531U1 (de) Container-Betonmischanlage
CN206813412U (zh) 一种吸头装盒机
ITMI961303A1 (it)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e la contemporanea distribuzione di impasti cementizi e simili
KR20100034887A (ko) 불출 원료탄 실량 측정장치
KR101323171B1 (ko) 자동차 브레이크마찰재 성형용 원재료 정량공급장치
CN212797405U (zh) 一种氧化铜生产打包用输送机
CN206813408U (zh) 一种吸头排列装置及吸头装盒机
KR101541825B1 (ko) 이동형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101239374B1 (ko) 과일이나 농산물 선별기의 박스포장을 위한 정량 공급장치
CN106428771B (zh) 一种用于袋装货物叠装的生产线
CN206813369U (zh) 一种吸头进料装置及其吸头装盒机
CN209755710U (zh) 一种配料精准的搅拌站配料机
CN215033333U (zh) 一种螺丝冷镦机的出料机构
CN210943924U (zh) 一种自动叠包设备
CN214894401U (zh) 一种自动缩分器
CN206813436U (zh) 一种吸头盒输送装置及吸头装盒机
CN206813411U (zh) 一种吸头装盒装置及吸头装盒机
CN206106132U (zh) 开炼机操作系统
KR20090060838A (ko) 열처리용 밸브 자동 공급장치
KR20040098805A (ko) 소결 배합원료의 수분 측정 장치
CN204823355U (zh) 分切机的卸料装置
CN214774840U (zh) 一种包装袋喷码装置
CN216471188U (zh) 一种具有称重功能的卷布机
CN113504085A (zh) 一种自动缩分器
CN216037409U (zh) 一种回转出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